KR101387981B1 -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981B1
KR101387981B1 KR1020130109850A KR20130109850A KR101387981B1 KR 101387981 B1 KR101387981 B1 KR 101387981B1 KR 1020130109850 A KR1020130109850 A KR 1020130109850A KR 20130109850 A KR20130109850 A KR 20130109850A KR 101387981 B1 KR101387981 B1 KR 101387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put
nth
input
p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민형
이경헌
조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Priority to KR102013010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데이터 신호 및 전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신호를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와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로 분리시키는 제1 내지 제n PoE 변환부, 상기 분리된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를 각각 전달 받는 제1 내지 제n 데이터 출력 포트, 상기 분리된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에 따른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병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각각보다 큰 출력 전력을 생성하는 출력 전력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출력 전력을 전달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큰 전력을 필요로 하면서도 별도의 전원 설치 공사가 어려운 전력 장치(PD: Powered Device)에 대하여 적절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Description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APPRATUS,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POWER BY USING PoE}
본 발명은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로 입력되는 입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병합하여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각각보다 큰 출력 전력을 생성함으로써, 기존에 1개의 PoE 연결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던 출력 전력보다 큰 출력 전력을 전력 장치(PD: Powered Device)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PoE(Power over Ethernet)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PoE 기술에서는, 전력을 공급하는 PoE 스플리터(110)와 전력을 공급 받는 전력 장치(PD: Powered Device)(120)가 1:1로만 연결될 수 있고 표준에서 정하고 있는 UTP 케이블의 기술적 사양의 한계로 인하여 1개의 UTP 케이블(130)이 최대 15.4W 또는 30W 정도의 전력만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장치에 큰 전력을 공급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특히, 위와 같은 종래의 PoE 기술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큰 전력을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예를 들면, 네트워크 공유기, IP 전화기, 네트워크 모니터, 네트워크 프린터 등)에 적절한 전력을 공급하기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전력 공급 수단을 구비하거나 전원 공사를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PoE를 통하여 복수의 입력 포트로 입력되는 입력 전력을 병합하여 복수의 입력 포트 각각에서 입력되는 입력 전력보다 큰 출력 전력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로 입력되는 입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병합하여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각각보다 큰 출력 전력을 생성함으로써, 기존에 1개의 PoE 연결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던 출력 전력보다 큰 출력 전력을 전력 장치(PD: Powered Device)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데이터 신호 및 전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신호를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와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로 분리시키는 제1 내지 제n PoE 변환부, 상기 분리된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를 각각 전달 받는 제1 내지 제n 데이터 출력 포트, 상기 분리된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에 따른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병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각각보다 큰 출력 전력을 생성하는 출력 전력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출력 전력을 전달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i) 데이터 신호 및 전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신호를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와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로 분리시키는 제1 내지 제n PoE 변환부, 상기 분리된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를 각각 전달 받는 제1 내지 제n 데이터 출력 포트, 상기 분리된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에 따른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병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각각보다 큰 출력 전력을 생성하는 출력 전력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출력 전력을 전달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장치, (ii) 상기 장치의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에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력 신호를 전달하는 PoE 스위치, 및 (iii) 상기 장치의 상기 제1 내지 제n 데이터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 받고 상기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력을 전달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 데이터 신호 및 전력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b)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신호를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와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로 분리시키는 단계, (c) 상기 분리된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를 각각 제1 내지 제n 데이터 출력 포트로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분리된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에 따른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병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각각보다 큰 출력 전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생성된 출력 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1개의 PoE 연결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던 출력 전력보다 큰 출력 전력을 전력 장치(PD: Powered Device)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큰 전력을 필요로 하면서도 별도의 전원 설치 공사가 어려운 전력 장치(PD: Powered Device)에 대하여 적절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입력 포트로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 전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출력 포트에 대하여 출력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저전력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PoE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oE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oE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 부하 공유 회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전력보다 큰 출력 전력이 생성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oE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은 전력 제공 장치(200), PoE 스위치(300) 및 전력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oE 스위치(300)는 UTP 케이블 등의 연결 수단을 통하여 전력 제공 장치(200)에 데이터 신호 및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입력 포트(211 내지 213)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와 전력 신호를 서로 분리시키고, 데이터 신호를 각각 복수의 데이터 출력 포트(251 내지 253)로 전달하며, 전력 신호에 따른 입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병합함으로써 복수의 입력 전력 각각보다 더 큰 출력 전력을 생성하여 전력 출력 포트(26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제공 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장치(PD, Powered Device)(400)는 전력 제공 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와 출력 전력을 각각 데이터 입력 포트(411, 421 및 431)와 전력 입력 포트(412, 422 및 432)를 통하여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종래기술에서 1개의 PoE 연결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던 출력 전력보다 큰 출력 전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장치에는, 고화질 IP CCTV, 네트워크 공유기, IP 전화기, 네트워크 모니터, 네트워크 프린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력 제공 장치(200)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력 제공 장치(200)의 내부 구성 및 구체적인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oE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입력 포트(211 내지 213), 복수의 PoE 변환부(221 내지 223), 연결부(231 내지 233), 출력 전력 제어부(240), 복수의 데이터 출력 포트(251 내지 253) 및 전력 출력 포트(2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입력 포트, 즉,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211 내지 213)는 각각 외부의 PoE 스위치(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 및 전력 신호를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PoE 변환부, 즉, 제1 내지 제n PoE 변환부(221 내지 223)는 복수의 입력 포트(211 내지 2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즉, 데이터 신호와 전력 신호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신호)를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와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로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n PoE 변환부(221 내지 223)에 의하여 분리된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는 각각 제1 내지 제n 데이터 출력 포트(251 내지 253)로 전달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n PoE 변환부(221 내지 223)에 의하여 분리된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에 따른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은 연결부(231 내지 233)를 통하여 후술할 출력 전력 제어부(24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서, 연결부(231 내지 233)가 포함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만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제공 장치(200)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231 내지 233) 없이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이 곧바로 출력 전력 제어부(240)로 전달되는 실시예도 얼마든지 상정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전력 제어부(240)는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병합하여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각각보다 큰 출력 전력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출력 전력을 전력 출력 포트(26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전력 제어부(240)는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각각의 값 이상이고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을 모두 합한 값 이하인 범위 내에서 출력 전력의 값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전력 제어부(240)는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을 모두 병합하여 최대값의 출력 전력을 생성한 후 이렇게 생성된 출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만을 전력 출력 포트(260)로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전력 제어부(240)는 복수의 입력 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력을 병합하여 출력 전력을 생성함에 있어서 능동 부하 공유(active load sharing)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능동 부하 공유 기술을 이용할 경우, 각 입력 포트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에 대하여 이상적인 부하 공유가 가능하게 되어 출력 부하에 따라 입력 포트 사이의 전류가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을 입력 받는 입력 포트를 복수 개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 부하 공유 회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용의 전류 공유(current sharing) 칩(예를 들면, Linear 사의 LTC4357 칩 등)을 이용하여 능동 부하 공유 회로를 구성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출력 전력 제어부(240)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전류 공유 칩을 통하여 능동 부하 공유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전력보다 큰 출력 전력이 생성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입력 포트 각각을 통하여 전력이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전력 제어부(240)는 입력 포트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력을 병합함으로써 각 입력 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력의 최대값을 모두 합한 값에 해당하는 출력 전력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입력 포트가 총 4개이고 각각의 입력 포트로부터 최대 30와트(Watt)의 전력이 입력되는 경우에, 출력 전력 제어부(240)는 최대 120와트(= 30와트 x 4)의 출력 전력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 전력 출력 포트가 하나인 경우에 대하여만 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제공 장치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는 복수의 전력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 전력 제어부는 복수의 전력 출력 포트 각각에 전달되는 출력 전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출력 포트에 대응되어 연결되는 복수의 전력 장치에게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제공 장치(200)에 의하면, 기존에 1개의 PoE 연결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던 출력 전력보다 큰 출력 전력을 전력 장치(PD: Powered Device)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고화질 IP CCTV와 같이 큰 전력을 필요로 하면서도 별도의 전원 설치 공사가 어려운 전력 장치(PD: Powered Device)에 대하여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종래기술에 따른 PoE 스플리터(Splitter)
120: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 장치
130: 종래기술에 따른 UTP 케이블
140: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 전송 케이블
150: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 전송 케이블
200: 전력 제공 장치
211 내지 213: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
221 내지 223: 제1 내지 제n PoE 변환부
231 내지 233: 제1 내지 제n 연결부
240; 출력 전력 제어부
251 내지 253: 제1 내지 제n 데이터 출력 포트
260: 전력 출력 포트
300: PoE 스위치
400: 제1 내지 제n 전력 장치(PD, Powered Device)
411, 421, 431: 제1 내지 제n 전력 장치의 데이터 입력 포트
421, 422, 432: 제1 내지 제n 전력 장치의 전력 입력 포트

Claims (10)

  1.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데이터 신호 및 전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신호를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와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로 분리시키는 제1 내지 제n PoE 변환부,
    상기 분리된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를 각각 전달 받는 제1 내지 제n 데이터 출력 포트,
    상기 분리된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에 따른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병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각각보다 큰 출력 전력을 생성하는 출력 전력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출력 전력을 전달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중 상기 병합되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장치에서 요구되는 전력을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력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을 모두 병합하여 출력 전력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출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는 제1 내지 제n 전력 장치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 전력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력 제어부는 능동 부하 공유(active load sharing)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전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항의 장치,
    상기 장치의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에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력 신호를 전달하는 PoE 스위치, 및
    상기 장치의 상기 제1 내지 제n 데이터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 받고 상기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력을 전달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장치
    를 포함하는 시스템.
  6.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 데이터 신호 및 전력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b)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포트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신호를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와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로 분리시키는 단계,
    (c) 상기 분리된 제1 내지 제n 데이터 신호를 각각 제1 내지 제n 데이터 출력 포트로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분리된 제1 내지 제n 전력 신호에 따른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병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각각보다 큰 출력 전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생성된 출력 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 중 상기 병합되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장치에서 요구되는 전력을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전력을 모두 병합하여 출력 전력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출력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출력 포트는 제1 내지 제n 전력 장치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 전력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능동 부하 공유(active load sharing)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전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109850A 2013-09-12 2013-09-12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87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850A KR101387981B1 (ko) 2013-09-12 2013-09-12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850A KR101387981B1 (ko) 2013-09-12 2013-09-12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981B1 true KR101387981B1 (ko) 2014-04-22

Family

ID=5065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850A KR101387981B1 (ko) 2013-09-12 2013-09-12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9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9315A1 (en) * 2007-08-15 2009-02-19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over ethernet provisioning for a computing device using a network profile
US20100031070A1 (en) * 2008-07-30 2010-02-04 Hiroshi Tomomitsu Power supply system, server, power supply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1208610B1 (ko) * 2011-06-24 2012-12-10 (주)엔에스티정보통신 Usb를 이용한 원거리충전 및 기기공유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9315A1 (en) * 2007-08-15 2009-02-19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over ethernet provisioning for a computing device using a network profile
US20100031070A1 (en) * 2008-07-30 2010-02-04 Hiroshi Tomomitsu Power supply system, server, power supply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1208610B1 (ko) * 2011-06-24 2012-12-10 (주)엔에스티정보통신 Usb를 이용한 원거리충전 및 기기공유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RAFT(201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446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pplying and receiving power over ethernet
US9531551B2 (en) Dynamically configurable power-over-ethernet apparatus and method
US7873844B2 (en) Physical separation and recognition mechanism for a switch and a power supply for power over Ethernet (PoE) in enterprise environments
US10122545B2 (en) Power forwarding via a powered device
US200502013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multiple devices using power-transmitting network connections
US9184922B2 (en) Power-over-ethernet relay system, power injector and access bridge device
EP3174172B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network
US8311591B2 (en) Closed-loop efficiency modulation for use in network powered applications
US20140084681A1 (en) Maintain power signature (mps) from a powered device (pd) while power is drawn from another source
US9389662B2 (en) Rectifier circuit and powered device
US9306755B2 (en) Data transmission device
WO20130551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ting supply for a power amplifier
EP2773063B1 (en) Power supply method, current sharing module and power supply system
US7737573B2 (en) Power over ethernet combiner
US9880572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KR101387981B1 (ko) PoE(Power over Ethernet)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6101665A1 (zh) 通信网供电的控制装置和方法
US20180069713A1 (en) Dual power over ethernet redundancy
JP3616559B2 (ja) 通信装置
US1014844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over ethernet
WO2019100280A1 (zh) 一种受电电路装置
WO2016197846A1 (zh) 有源以太网供电资源处理方法及装置
WO2017092390A1 (zh) 通信网供电控制方法及装置
JP2009296260A (ja) データ伝送装置
JP2005253243A (ja) 電源ケーブルを介した無停電電源装置とそれから電源の供給を受ける機器間の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