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943B1 - Plug - Google Patents

Plu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943B1
KR101387943B1 KR1020120088981A KR20120088981A KR101387943B1 KR 101387943 B1 KR101387943 B1 KR 101387943B1 KR 1020120088981 A KR1020120088981 A KR 1020120088981A KR 20120088981 A KR20120088981 A KR 20120088981A KR 101387943 B1 KR101387943 B1 KR 101387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ing
terminal
plug
degrees
sold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2306A (en
Inventor
이종배
지상근
최익창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8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943B1/en
Publication of KR20140022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3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9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접촉단자가 구비되어 잭에 삽입되는 접촉단자부, 상기 접촉단자와 일체로 연결되어서, 상기 각각의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전선이 납땜 되는 납땜단자가 구비된 납땜단자부 및 상기 납땜단자 상에 납땜부위가 노출되도록 상기 납땜단자 둘레에 구비된 납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납땜부위는 납땜단자의 둘레를 따라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A contact terminal portion provided with a contact terminal and inserted into a jack, a soldering terminal portion having a solder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integrally and soldering an electric wire corresponding to each contact terminal, and a soldering portion exposed on the soldering terminal And a soldering guide portion provided around the soldering terminal, wherein the soldering portion is formed diagon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oldering terminal.

Description

플러그{PLUG}Plug {PLUG}

본 발명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오디오 플러그의 납땜단자를 개선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vention in which a solder terminal of an audio plug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is improved.

일반적으로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기기는 3.6㎜ 구경을 가지는 오디오 플러그를 통하여 이어폰 또는 소형 헤드폰과 접속되고, 오디오 콤퍼넌트 시스템과 같은 오디오 기기는 6.3㎜ 구경을 가지는 오디오 플러그를 통하여 마이크 또는 대형 헤드폰과 접속된다.In general, audio equipment such as portable cassette players are connected to earphones or small headphones through an audio plug having a diameter of 3.6 mm, and audio equipment such as audio component systems are connected to a microphone or large headphones through an audio plug having a diameter of 6.3 mm. do.

오디오 플러그는 크게 단자부와 파지부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단자부는 오디오 기기에 설치된 잭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부분이고 파지부는 내측에 각 단자와 전선이 납땜 되는 납땜단자가 실장되고 플러그를 잭에 삽입하거나 또는 뺄 경우에 손잡이 역할을 한다. 단자부는 오디오 기기와 이어폰 또는 헤드폰의 호환성 때문에 그 규격이 표준화되어 있으나, 파지부는 그 크기나 모양이 제조회사마다 다양하게 제작가능하다.Audio plugs can be divided into terminals and gripping parts, and the terminal parts are inserted into and contacted with jacks installed in the audio equipment, and the gripping parts are mounted with soldering terminals for soldering each terminal and wire to the inside, and the plugs are inserted into the jacks, or When pulled out, it serves as a handle. The terminal part is standardized due to the compatibility of the audio device with the earphone or the headphone, but the gripping par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by manufacturers.

오디오 플러그의 파지부의 형상은 일자형, L자형, 사선형 등이 있다. 상기의 파지부의 형상은 오디오 기기에서 케이블이 인출되는 각도와 파지부 내의 실링 형태에 있어서 서로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형상을 가진 오디오 플러그를 제작함에 있어서 제작자의 최대의 관심사는 4극 플러그의 몰딩부 납땜구조를 변경하여 단선이 되지 않는 오디오 플러그를 만드는 것이다.The grip portion of the audio plug has a straight shape, an L shape, a diagonal shape, and the like. The shape of the gripping portion differs from each other in the angle at which the cable is drawn out of the audio device and the sealing form in the gripping portion. Nevertheless, the greatest concern of the manufacturer in manufacturing the above-described audio plug is to change the molding structure of the four-pole plug and to make the audio plug not disconnected.

이어폰 또는 헤드폰 제품이 공장에서 출하된 이후에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과정에서 제품에 있어서 불량률이 많거나 고장이 많은 부분은 플러그의 파지부이다. 이의 원인은 파지부에 연결되어 인출되는 전선의 인장력, 인장각도에 의하여 파지부 내의 납땜부위에서 납땜한 전선이 떨어져서 발생하는 것이다.In the process of being used by the user after the earphone or headphone product is shipped from the factory, the defective part of the product or the failure part of the product is the grip part of the plug. The cause of this is that the soldered wire in the soldering portion of the gripper is pulled out by the tensile force and the tension angle of the wire drawn out connected to the gripper.

오디오 플러그의 파지부는 플러그 전체의 무게 중심의 문제로 인하여 길이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납땜단자의 길이가 충분히 길지 못하고 짧은 것이 특징이다. 종래 기술은 납땜 되는 전선이 납땜단자 상의 둘레를 감싸는 식으로 납땜을 하고 플러그의 길이 방향으로 납땜 된 전선을 90도 각도로 꺾어서 인출하는 방식이어서 단선이 될 확률이 매우 높았다.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는 도면과 함께 설명할 것이다.The grip part of the audio plug is limited in length due to the problem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hole plug, so the length of the soldering terminal is not long enough and is short. In the prior art, the soldered wires are soldered in such a manner as to wrap around the soldering terminals, and the soldered wires are drawn at a 90 degree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g, so the probability of disconnection is very high.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drawings.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플러그 파지부 내의 단선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있는 오디오 플러그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relating to a durable audio plug by preventing a disconnection in the audio plug gripping por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는, 접촉단자가 구비되어 잭에 삽입되는 접촉단자부, 상기 접촉단자와 일체로 연결되어서, 상기 각각의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전선이 납땜 되는 납땜단자가 구비된 납땜단자부 및 상기 납땜단자 상에 납땜부위가 노출되도록 상기 납땜단자 둘레에 구비된 납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납땜부위는 납땜단자의 둘레를 따라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tact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ontact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jack, is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integrally, the sold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tact terminals soldered A soldering terminal portion provided with a terminal and a soldering guide portion provided around the soldering terminal to expose a soldering portion on the soldering terminal, the soldering portion i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oldering terminal.

상기 플러그는 상기 납땜부위에 사선방향으로 납땜이 된 전선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g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n electric wire soldered in an oblique direction to the soldering portion.

상기 플러그는 상기 납땜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납땜부위에 납땜 된 전선의 마디 및 상기 마디와 연결되어 인출된 전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보다는 크고 180도 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g preferably has an angle formed by a node of a wire soldered to at least one of the soldering parts and a wire connected to the node and drawn out, the angle being greater than 90 degrees and smaller than 180 degrees.

상기 플러그는 오디오 플러그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g is preferably an audio plug.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납땜부위의 전선과 납땜단자의 납땜 각도를 조절하여 납땜단자 부위에 단선이 잘 되지않아 내구성이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irst, by controlling the soldering angle of the soldering wire and the soldering terminal can not be a good disconnection to the soldering terminal area can be obtained the effect of enhanced durability.

둘째,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제작자가 본 발명에 따라 쉽게 납땜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부를 파지부 내에 구비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Secon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by providing a guide portion in the gripping portion that serves as a guide so that the manufacturer can easily sold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오디오 플러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저면도(bottom view)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평면도(top view)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납땜부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dio plu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dio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the audio plug according to the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n audio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op view of an audio plug according to the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n audio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oldering portion of the audio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플러그들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오디오 플러그들이다.The plugs illustrated in FIGS. 2 to 7 are audio plugs correspon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오디오 플러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은 전형적인 4극 플러그를 도시하고 있다. 플러그는 크게 나누어서 단자부(110)와 파지부(120)로 구성된다. 단자부(110)는 다시 나누어서 끝 부분인 팁, 중간의 2개의 링, 네 번째에 위치하는 슬리브로 구성된다. 4개의 단자부와 각각 연결되는 파지부의 납땜단자가 구비된다. 납땜단자에서 가장 끝에 있는 납땜단자가 단자부의 팁과 연결되며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단자부의 단자와 파지부의 납땜단자가 연결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dio plug. 1 illustrates a typical four pole plug. The plug is roughly divided into a terminal portion 110 and a gripping portion 120. The terminal unit 110 is divided into a tip that is divided into two ends, two rings in the middle, and a sleeve positioned in a fourth position. Soldering terminals of the gripping portion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our terminal portions are provided. The soldering terminal at the end of the solderin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of the terminal and the soldering terminal of the gripping part are connected in a symmetrical shape.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하였듯이, 종래의 오디오 플러그의 납땜단자에 납땜을 하는 방식은, 납땜단자의 둘레 방향으로 납땜하려는 전선의 일정 마디를 감는 식으로 납땜을 하여서 나머지 인출된 전선은 90도 각도로 꺾인 다음, 곧게 펴져서 파지부 내부에 몰딩이 되고 몰딩 부분을 다시 실링하였다. 따라서 상기 90도로 꺾인 전선 부분이 단선의 원인이 되어 왔었다.A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invention, the soldering terminal of the conventional audio plug is soldered by winding a certain node of the wire to be solder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oldering terminal, and the remaining lead wire is 90 degrees. After bending at an angle, it was straightened to be molded inside the gripping portion, and the molding portion was again sealed. Therefore, the electric wire part bent at 90 degrees has been the cause of disconnec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오디오 플러그는 크게 단자부(210)와 파지부(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파지부에 발명의 특징이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dio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dio plug,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portion 210 and a grip portion 220. The present invention has features of the invention in the gripping portion.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오디오 플러그의 둘레를 90도 간격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 저면도, 측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3 to 6 show the circumference of the audio plug,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intervals of 90 degrees, respectively, and are a bottom view, a side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납땜단자는 4개의 단자로 구성되는데, 좌측부터 슬리브와 연결된 1차 납땜단자(221), 두 번째 링과 연결된 2차 납땜단자(222), 첫 번째 링과 연결된 3차 납땜단자(223), 및 팁과 연결된 4차 납땜단자(224)로 구성된다.The soldering terminal is composed of four terminals, the primary soldering terminal 221 connected to the sleeve from the left side, the secondary soldering terminal 222 connected to the second ring, the tertiary soldering terminal 223 connected to the first ring, and And a fourth solder terminal 224 connected to the tip.

각각의 납땜단자 상에는 전선이 납땜 되는 납땜부위가 구비되는데, 이 납땜부위를 표시하기 위하여 절연체 재질의 가이드가 각각의 납땜단자를 구별하면서 납땜단자의 둘레를 감싸면서 납땜단자와 결합되어 있고, 납땜부위가 노출되는 형태로 납땜부위를 표시하고 있다. 1차 납땜단자 상에는 가이드 부분이 돌출 형성(227)되어 있어서 납땜부위를 표시하고 있다. 2차 납땜단자 및 3차 납땜단자의 경우 납땜부위가 단자의 둘레를 따라 비스듬한 사선방향으로 단자가 노출되는 형태로 납땜부위를 표시하고 있다(222, 223). 4차 납땜단자인 팁에 연결된 납땜단자의 경우, 단자의 길이가 납땜을 하기에 세로로 충분히 길기 때문에 사선 모양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고, 180도 부분에만 가이드가 덮여 있다.On each soldering terminal, there is a soldering part where electric wires are soldered. In order to indicate the soldering part, an insulator guide is combined with the soldering terminal while surrounding the soldering terminal while distinguishing each soldering terminal. The soldering part is shown in the form that is exposed. On the primary solder terminal, a guide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227 to indicate the solder por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ary soldering terminal and the tertiary soldering terminal, the soldering portions are mark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oldering portions are exposed in oblique diagonal direc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erminals (222 and 223). In the case of the solder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tip, which is the fourth soldering terminal, the length of the terminal is long enough vertically for soldering so that it is not exposed in a diagonal shape, and the guide is only covered at 180 degrees.

납땜단자 상의 작은 원모양의 홈은 사출홀(225)이다. 금형에 의한 가이드 제작시에 필요한 것이다.The small circular groove on the solder terminal is the injection hole 225. It is necessary at the time of guide production by a metal mold | die.

납땜부위에서 납땜 되는 전선과 납땜단자가 이루는 각도는 매우 중요하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전선의 일부 마디를 단자의 둘레를 따라 두르는 형태로 납땜을 한 후 90도를 꺾어서 전선을 인출하였는데, 이는 단자의 두께가 좁기 때문에 전선을 세로 방향으로 납땜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단자의 둘레를 따라 납땜을 하는 경우 납땜부위가 충분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납땜부위에서 인출되는 전선을 몰딩하여 하나의 케이블로 피복을 하기 위하여는 불가피하게 90도로 전선이 꺾여야만 했었다.The angle between the soldered wire and the solder terminal is very important. In the prior art, after soldering a portion of the wire around the terminal, the wire was drawn at an angle of 90 degrees because the wire could not be sold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was narrow. Therefore, when solder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oldering part is sufficient, but in order to mold the wire drawn out from the soldering part and coat it with one cable, the wire had to be folded at 90 degrees.

헤드폰 또는 이어폰에 있어서 소비자가 가장 많이 불만스러워 하는 부분은 플러그 단자 내의 전선의 단선 부분이다. 따라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헤드폰 또는 이어폰임에도 불구하고, 플러그 단자를 끼우고 빼는 횟수가 많아지면 많아 질수록 납땜부위의 전선이 단선되기 쉬워져서, 납땜부위가 단선이 되는 경우 이를 수리하여 재사용하기 보다는 새로운 제품으로 바꾸게 되고, 실질적으로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의 내구연한이 존재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The most dissatisfied consumer of headphones or earphones is the disconnection of the wires in the plug terminals. Therefore, even though it is a headphone or earphone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the more the number of plug terminals is inserted and removed, the easier the wires at the soldering parts are disconnected. It is a fact that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product, and practically, the durability of earphones or headphones has existed.

<제 1 실시예>&Lt; Embodiment 1 >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오디어 플러그에 구현될 수 있다. 납땜부위가 45도 기울기로 사선 방향으로 노출된 형태이다. 납땜부위가 기존의 기술처럼 단자 둘레를 따라 각도가 없이 형성되는 경우 90도로 인출 도선이 꺾이기 때문에 단선의 위험이 있었고, 반대로 90도를 이루면 납땜단자의 폭이 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납땜부위가 좁아서 제대로 납땜이 되기 어렵다. 따라서 0도에서 90도 사이에서 중앙의 값인 45도로 납땜부위가 기울어진 경우에 납땜부위의 확보 및 인출 도선이 꺾이는 각도, 두 가지를 조화롭게 안배할 수 있다. 이 경우 납땜 된 도선의 마디와 인출 도선이 이루는 각도는 135도이다. 이 135도의 각도는 90도 보다 크기 때문에 전선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n audio plug as an embodiment. The soldered part is exposed in an oblique direction at a 45 degree inclination. If the soldering part is formed without angle along the terminal circumference lik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a risk of disconnection because the lead wire is bent at 90 degrees. On the contrary, if the soldering part is 90 degrees, the soldering terminal is narrow, so the soldering area is relatively narrow. It is hard to be soldered.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soldered portion is inclined at 45 degrees, which is the center value between 0 degrees and 90 degrees, it is possible to harmonize both the securing angle of the soldered portion and the angle at which the lead wire is bent. In this case, the angle between the node of the soldered lead and the lead wire is 135 degrees. This 135-degree angle is greater than 90 degrees, so the wires don't overdo it.

<제 2 실시예>&Lt; Embodiment 2 >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오디오 플러그에 구현될 수 있다. 납땜부위가 0도 이상 45도 미만의 각도로 사선방향으로 노출된 형태이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기울어진 각도가 작기 때문에 납땜부위는 제 1 실시예보다 넓은 반면에, 납땜부위에서 납땜 된 도선의 마디와 인출 도선이 이루는 각도는 135도보다 작기 때문에 단선의 위험은 제 1 실시예보다 크다고 볼 수 있다.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n audio plug as an embodiment. The soldered part is exposed in oblique direction at an angle of more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45 degrees. Since the inclination angl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oldering region is wider than the first embodiment, whereas the angle between the node of the lead and the lead wire of the soldered solder at the soldering region is smaller than 135 degrees, so that the risk of disconnection is increased. It can be seen that it is larger than the first embodiment.

<제 3 실시예>&Lt; Third Embodiment >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오디오 플러그에 구현될 수 있다. 납땜부위가 45도 초과 90도 미만의 각도로 사선방향으로 노출된 형태이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기울어진 각도가 크기 때문에 납땜부위는 제 1 실시예보다 좁은 반면에, 납땜부위에서 납땜 된 도선의 마디와 인출 도선이 이루는 각도는 135도보다 크기 때문에 단선의 위험은 제 1 실시예보다 적다고 볼 수 있다.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n audio plug as an embodiment. The soldered part is exposed diagonally at an angle of more than 45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Since the angle of inclina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oldering area is narrower than the first embodiment, while the angle between the node of the lead wire and the lead wire that is soldered at the soldering area is greater than 135 degrees. It can be seen that less than the first embodiment.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 2 실시예에서는 납땜부위가 넓다는 이점이 있고, 제 3 실시예에서는 단선의 위험이 적은 이점이 있으나, 종합하여 판단하건대 단선 및 납땜부위의 면적에 있어서 제 1 실시예가 가장 이상적인 실시예에 해당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oldering part is wide, and in the third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isk of disconnection is small, but in conclusion, the first embodiment is most suitable for the area of the disconnection and the soldering part.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only.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it is limit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described below.

110: 종래 오디오 플러그의 단자부
120: 종래 오디오 플러그의 파지부
210: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단자부
220: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파지부
221: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제 1 납땜단자
222: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제 2 납땜단자
223: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제 3 납땜단자
224: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제 4 납땜단자.
225: 사출홀
226: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몰드
227: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제 1 납땜단자 상의 가이드
110: terminal portion of a conventional audio plug
120: holding part of the conventional audio plug
210: terminal portion of the audio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0: holding part of the audio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1: first soldering terminal of an audio plug according to the invention
222: second soldering terminal of the audio plug according to the invention
223: third solder terminal of an audio plug according to the invention
224: Fourth solder terminal of the audio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5 injection hole
226: mold of an audio plug according to the invention
227: Guide on the first solder terminal of the audio plug according to the invention

Claims (4)

접촉단자가 구비되어 잭에 삽입되는 접촉단자부;
상기 접촉단자와 일체로 연결되어서, 상기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전선이 납땜 되는 납땜단자가 구비된 납땜단자부;
상기 납땜단자 상에 납땜부위가 노출되도록 상기 납땜단자 둘레에 구비된 납땜 가이드부; 및
상기 납땜부위에 사선방향으로 납땜이 된 전선; 을 포함하되,
상기 납땜부위는 상기 납땜단자의 둘레를 따라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납땜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납땜부위에 납땜된 전선의 마디 및 상기 마디와 연결되어 인출된 전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보다는 크고 180도 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A contact terminal portion provided with a contact terminal and inserted into a jack;
A soldering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integrally and having a soldering terminal for soldering an electric wir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ing terminal;
A soldering guide portion provided around the soldering terminal to expose a soldering portion on the soldering terminal; And
An electric wire soldered in an oblique direction to the soldering part; &Lt; / RTI &gt;
The soldering portion is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oldering terminal,
And a plug formed by the node of the wire soldered to at least one of the soldering parts and the wire connected to the node and drawn out, the plug being larger than 90 degrees and smaller than 180 degre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오디오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lug is an audio plug.
KR1020120088981A 2012-08-14 2012-08-14 Plug KR1013879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981A KR101387943B1 (en) 2012-08-14 2012-08-14 Pl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981A KR101387943B1 (en) 2012-08-14 2012-08-14 Pl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306A KR20140022306A (en) 2014-02-24
KR101387943B1 true KR101387943B1 (en) 2014-04-29

Family

ID=5026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981A KR101387943B1 (en) 2012-08-14 2012-08-14 Plu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94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982U (en) * 1997-12-20 1999-07-26 변재중 Audio plug
KR200250932Y1 (en) 1998-12-31 2002-01-30 변재중 Earphone Plugs for Portable Devices
KR20050117171A (en) * 2004-06-10 2005-12-14 변재중 Straight multipolar plug
KR20060083737A (en) * 2005-01-18 2006-07-21 변재중 Multi poles plug and jack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982U (en) * 1997-12-20 1999-07-26 변재중 Audio plug
KR200250932Y1 (en) 1998-12-31 2002-01-30 변재중 Earphone Plugs for Portable Devices
KR20050117171A (en) * 2004-06-10 2005-12-14 변재중 Straight multipolar plug
KR20060083737A (en) * 2005-01-18 2006-07-21 변재중 Multi poles plug and jack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306A (en) 201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9567B2 (en) Surface mount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824720B2 (en) Detachable earphone
TW201407897A (en) Plug connector
US10290955B2 (en) Terminal for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 wires without peeling
JPH04280084A (en) Plug/cable splicing device witout solder
KR101387943B1 (en) Plug
US11128081B2 (en) Easily assembled connector
JP6587243B1 (en) Connection devices, plugs and sockets
US920322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0402892B1 (en) Audio flug
JP2021119737A (en) Thermal protector
JP5727544B2 (en) Coaxial connector device
KR200194324Y1 (en) Audio plug
JP2010108634A (en) Connection device with cord
KR100892822B1 (en) Snap type terminal
CN110518515B (en) Multi-thread rotatable connector
KR200250932Y1 (en) Earphone Plugs for Portable Devices
JP2013168476A (en) Common mode choke coil
JPH08236196A (en) Dc cord for ac adaptor
KR102313952B1 (en) Wire Joint Connector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KR102053627B1 (en) Earphone plug
TWM498981U (en) Transmission cable protector
JP5022244B2 (en) Corded connector
CN205793152U (en) A kind of Headphone structure
JP2015055587A (en) Harness structure of resolver st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