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952B1 - Wire Joint Connector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 Google Patents

Wire Joint Connector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952B1
KR102313952B1 KR1020190172158A KR20190172158A KR102313952B1 KR 102313952 B1 KR102313952 B1 KR 102313952B1 KR 1020190172158 A KR1020190172158 A KR 1020190172158A KR 20190172158 A KR20190172158 A KR 20190172158A KR 102313952 B1 KR102313952 B1 KR 102313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ain body
accommodating part
termi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3389A (en
Inventor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알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오 filed Critical ㈜알파오
Priority to PCT/KR2020/01695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25608A1/en
Publication of KR20210033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H01R4/2407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having saw-tooth projec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가 제안되며,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에 제1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전선수용부 및 제2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전선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 중앙에 터미널 장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터미널 장착부에 장착되는 터미널; 및 상기 본체와의 결합 시에 상기 본체의 밑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설계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가 상기 터미널이 장착된 본체 측으로 가압되어 체결되면, 상기 본체의 제1 전선수용부 및 제2 전선수용부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3 전선수용부 및 제4 전선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밑면이 서로 마주보는 변을 갖는 다각형 형태이며, 상기 밑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 각각이 상기 터미널 측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 말단에 형성된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wires is proposed, wherein the connector assembly includes a first wire receiving part and a second wire for mounting the first wire in an upwardly open inner space.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econd wire receiving part for mounting the terminal, and having a terminal mounting part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a terminal mounted on the terminal mounting part of the main body; and a cover designed to surround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combined with the main body, wherein the cover includes a first wire of the main body when the cover is pressed and fastened toward the main body on which the terminal is mounted. It includes a third wire receiving part and a fourth wire receiving part formed to face each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and the main body has a polygonal shape having a bottom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Forming a side wall,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formed at the ends of the first wire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wire receiving portion so that each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s drawn out from the terminal side And,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may be formed on sidewalls facing each other of the main body, and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Description

무탈피 전선 커넥터 조립체{Wire Joint Connector with Insulation Displacement}Stripless Wire Connector Assembly {Wire Joint Connector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본 발명은 무탈피 전선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본체에 전선 접속용 터미널을 설치하고, 상기 터미널 상에 한 쌍의 전선을 배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커버로 상기 각각의 전선을 가압하여 터미널의 커터에 의해 피복이 절개되면서 피복 내부의 심선과 터미널의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무탈피 전선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el-free wire connecto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a terminal for wire connection is installed in the body of the connector, and each wire is connected with a separate cover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wires is disposed on the terminal. It relates to a peel-free wire connector assembly that allow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re wire and the terminal inside the coating while the coating is cut by the cutter of the terminal by pressing.

일반적으로 소정의 전선을 분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전선과 연결하거나 전선의 끝단을 소정의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주로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들의 피복을 벗긴 후 노출된 심선들을 꼬아서 서로 연결하는 방법이 보편적이다.In general, as a method for connecting a predetermined electric wire with one or more other separated electric wires or connecting the end of an electric wire to a predetermined device, a method of connecting the exposed core wires by twisting the exposed core wires after removing the coating of the wires to be mainly connected This is universal.

그리고, 서로 다른 전선을 연결할 경우에는 절연 테이프로 테이핑하여 다른 연결부와의 접촉이나, 또는, 외부물체 및 외부의 습기로부터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연결작업은 상당히 번거롭고 연결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connecting different wires, they are taped with insulating tape to block contact with other connection parts or from external objects and external moisture. There were disadvantages such as being

또한, 연결되어 있는 전선 간의 축 방향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도 매우 약해서 전선 간의 접속이 축 방향으로 쉽게 분리 및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In addition, the resistance to the axial tensile force between the connected wires is also very weak,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res is easily separated and separated in the axial direction.

이에 다양한 선행기술에서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커넥터에 장착할 때 피복의 일부를 절단하기 위한 칼날을 구비한 터미널에 의하여 피복내의 심선과 절단과 동시에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prior art methods have been proposed in which a terminal having a blade for cutting a part of the sheath when mounted on a connector without stripping the covering of the electric wire makes contact with the core wire in the sheath at the same time as cutting is made.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전선 커넥터 조립체를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wire connector assembly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에 제1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전선수용부 및 제2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전선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 중앙에 터미널 장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터미널 장착부에 장착되는 터미널; 및 상기 본체와의 결합 시에 상기 본체의 밑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설계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가 상기 터미널이 장착된 본체 측으로 가압되어 체결되면, 상기 본체의 제1 전선수용부 및 제2 전선수용부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3 전선수용부 및 제4 전선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밑면이 서로 마주보는 변을 갖는 다각형 형태이며, 상기 밑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 각각이 상기 터미널 측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 말단에 형성된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전선수용부는, 상기 터미널장착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제1전선이 직진 배치되는 제1직진수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제1전선이 외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절곡 배치되는 제1절곡수용부가 마련되며,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전선수용부는, 일측에 상기 제1직진수용부와 폭 방향에 대해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터미널장착부를 기준으로 건너편에 배치되어 평행하게 형성되고 전선 배치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전선이 직진 배치되는 제2직진수용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상기 제2전선이 외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절곡 배치되되 상기 본체의 외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절곡수용부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하는 제2절곡수용부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3, 4전선수용부는, 상기 제1, 2전선수용부의 제1, 2직진수용부 및 제1, 2절곡수용부에 대응되도록 하는 제3, 4직진수용부 및 제3, 4절곡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2개구 단부에는 상기 본체로의 상기 커버 가압시 상기 제1, 2전선수용부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1, 2전선이 상기 제1, 2전선수용부 단부인 상기 본체 테두리측에서 하방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각각의 제1, 2전선의 저면을 떠받치기 위한 제1, 2전선떠받침부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as a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w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re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wire for mounting the first wire in the upwardly open inner space are mounted.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econd wire receiving part for doing so, and having a terminal mounting part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a terminal mounted on the terminal mounting part of the main body; and a cover designed to surround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combined with the main body, wherein the cover includes a first wire of the main body when the cover is pressed and fastened toward the main body on which the terminal is mounted. It includes a third wire receiving part and a fourth wire receiving part formed to face each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and the main body has a polygonal shape having a bottom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Forming a side wall,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formed at the ends of the first wire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wire receiving portion so that each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s drawn out from the terminal side and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formed on sidewalls facing each other of the main body and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wherein the first wire receiving part is the first wire on one side based on the terminal mounting part The first straight receiving portion arranged in this straight line is provided, and the first bending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a bent state in which the first wire is bent outwardly, and the second wire receiving por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provided on one side. A first straight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straight receiving portion that ar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based on the terminal mounting portion and formed in parallel and in which the second wire is disposed straight along the wire arrangement direction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A second bent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so that the second wire is bent outwardly bent and plac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bent accommodating part bas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third corresponding to this is provided. The 4 wire receiving part is provided with a 3rd and 4th straight line receiving part and a 3rd and 4th bending receiving part to correspond to the 1st and 2nd straight receiving part and the 1st and 2nd bending receiving part of the 1st and 2nd wire receiving part, At th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e first and second wires protruding to the outside from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portions when the cover is pressed to the main body are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portions. The bottom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is prevented from being bent downward from the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wire support parts for supporting are provided, respectively.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의 크기는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sizes of the third wire accommodating part and the fourth wire accommodating part may be larger than the sizes of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의 측벽의 높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height of the sidewalls of the third wire accommodating part and the fourth wire accommodating part may be greater than diameters of the first electric wire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의 측벽 사이의 폭은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a width between the sidewalls of the third wire accommodating part and the fourth wire accommodating part may be smaller than diameters of the first electric wire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과제 해결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The above problem solving methods are only som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flected are based 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be derived and understood as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과 터미널 간의 결합 인장력이 확보되어 전선이 터미널로부터 분리 또는 이탈될 가능성이 희박해지고,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ding tension between the wire and the terminal is secured, so that the possibility of the wire being separated or separated from the terminal is reduced,

본체와 커버가 결합되면, 두 개의 전선이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하게 되어 마치 하나의 전선처럼 보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re combined, the two wires are positioned on one straight line, so that it has the effect of looking like one wire.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부착된 후, 두 전선이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부착된 후, 두 전선이 삽입된 후 본체와 커버가 결합되고 난 후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되는 터미널을 도시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expla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ir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wir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the wir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state in which two wires are inserted after the terminal is attached to the wir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state after the terminal is attached to the wir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wo wires are inserted, the body and the cover are combined,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ir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terminal attached to a wir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inten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ingular forms used hereinafter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1)의 정면 사시도이다. 상기 커넥터는 본체(10), 상기 본체와 맞물려 결합되는 커버(20), 그리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를 연결하고 있는 브리지(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터미널 장착부(13)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두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ir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may include a main body 10 , a cover 20 engaged with the main body, and a bridge 30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nnector may include a terminal attached to or coupled to the terminal mounting unit 13 to electrically connect two wires.

상기 본체(10)는 그 밑면이 다각형 형태이고, 서로 마주보는 변이 평행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여러 다각형 중 팔각형 형태의 밑면을 갖는 본체(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밑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측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의 밑면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The main body 10 may preferably have a polygonal bottom surface and parallel sides facing each other. 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body 10 having an octagonal bottom surface among several polygons is shown. The body is formed to have a side wall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Referring to Figure 3,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s shown.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10)를 그 밑면을 제외한 대부분을 둘러싸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일정한 간격 또는 유격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cover 20 is formed to surround most of the main body 10 except for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may be design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or clearance from the main body.

상기 본체(10)는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에 제1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전선수용부(11) 및 제2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전선수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통해 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본체에 장착 또는 고정되는 터미널(미도시)의 전선진입부 각각에 두 전선을 올려놓은 뒤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그 힘을 통해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두 전선이 상기 터미널의 심선접속부로 밀려 내려가 안착되면서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에 실장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1 전선(110) 및 상기 제2 전선(120)이 상기 제1 및 제2 전선수용부(11, 12) 각각에 실장되었을 때의 예상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이 상기 커넥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습이 도 5에 도시된다.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11 for mounting the first wire in the upwardly open inner space and a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12 for mounting the second wire. . In order to actually connect two wires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wires are placed on each wire entry part of a terminal (not shown) mounted or fixed to the body, and then the force is applied by pressing the cover toward the body. As the cover and the main bod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 the two wires are pushed down to the core wire connection part of the terminal and seated, so that they can be mounted on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12 . 4 shows an expected state when the first electric wire 110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120 are mounted 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wire accommodating parts 11 and 12, respectively.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ic wire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or is illustrated in FIG. 5 .

또한, 상기 본체(10)는 내부 공간 중앙에 터미널이 장착될 수 있는 터미널 장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 각각이 상기 터미널 측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 말단에 형성된 제1 개구(18) 및 제2 개구(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18) 및 상기 제2 개구(19)는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개구(18)의 단면의 중심 및 상기 제2 개구(19)의 단면의 중심이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개구들의 배치 구조 또는 위치 등은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결합한 후에,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이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의 배치 구조 또는 위치 등은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서로 체결되고 나면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이 마치 하나의 전선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terminal mounting unit 13 to which the terminal can be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opening 18 and a second opening formed at the ends of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12 so that each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s drawn out from the terminal side. 2 openings 19 . The first opening 18 and the second opening 19 may be formed on sidewalls facing each other and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at is,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opening 18 and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19 may be positioned on one straight line. Such an arrangement structure or location of the openings allows the first electric wire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to be positioned on a single straight line after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re combined. In other words, the arrangement structure or position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may look as if the first electric wire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are one electric wire after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re fasten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와 결합 또는 체결된 후에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1, 12)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3 전선수용부(21) 및 제4 전선수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가 결합 또는 체결되고 나면,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3 전선 수용부(21)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제1 전선이 수용 또는 안착되며,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22)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제2 전선이 수용 또는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cover 20 is coupled or fastened to the body, the third wire receiving part 21 and the fourth formed to face each of the first wire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wire receiving part 11 and 12 are formed. It may include a wire receiving part (22). More specifically, after the cover and the main body are coupled or fastened, the first wire is accommodated or se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third wire accommodating part 21, , the second wire may be accommodated or seated in a space formed by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12 and the fourth wire accommodating part 22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를 설명하도록 한다.2 is a plan view of a wir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wir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에는 각각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고정부(14, 15, 16, 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전선수용부(21)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22)에는 각각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고정부(23, 24)가 형성될 수 있다. Wire fixing parts 14, 15, 16, 17 for fixing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may be formed in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12, respectively. have. In addition, wire fixing parts 23 and 24 for fixing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may be formed in the third wire accommodating part 21 and the fourth wire accommodating part 22, respectively.

한편,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의 크기는 상기 제3 전선수용부(21)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22)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상기 제3 전선수용부(21)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22)의 크기는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상기 터미널 측으로 좀더 잘 밀어주기 위한 구조적인 고려에 따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앞서 설명한 전선수용부들은 홈 또는 채널의 형태를 가지며, 특히 상기 홈 또는 채널의 단면이 원호의 형태인 경우,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의 홈 또는 채널의 단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3 전선수용부(21)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22)의 홈 또는 채널의 단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Meanwhile, the sizes of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12 may be smaller than the sizes of the third wire accommodating part 21 and the fourth wire accommodating part 22 . Conversely, the sizes of the third wire accommodating part 21 and the fourth wire accommodating part 22 may be larger than the sizes of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12 . . This is according to structural considerations for better pushing the first and second wires toward the terminal. 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wire accommodating parts have the shape of a groove or channel, and in particular,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groove or channel is in the form of an arc,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12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roove or channel may be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roove or channel of the third wire accommodating part 21 and the fourth wire accommodating part 22 .

한편, 본원발명은, 상기 제1전선수용부(11)는, 상기 터미널장착부(13)를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제1전선(110)이 직진 배치되는 제1직진수용부(111)가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제1전선(110)이 외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절곡 배치되는 제1절곡수용부(112)가 마련되며,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전선수용부(12)는, 일측에 상기 제1직진수용부(111)와 폭 방향에 대해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터미널장착부(13)를 기준으로 건너편에 배치되어 평행하게 형성되고 전선 배치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전선(120)이 직진 배치되는 제2직진수용부(121)가 마련되며 타측에 상기 제2전선(120)이 외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절곡 배치되되 상기 본체(10)의 외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절곡수용부(112)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하는 제2절곡수용부(122)가 마련되며,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3, 4전선수용부(21,22)는, 상기 제1, 2전선수용부(11,12)의 제1, 2직진수용부(111,121) 및 제1, 2절곡수용부(112,122)에 대응되도록 하는 제3, 4직진수용부(211,221) 및 제3, 4절곡수용부(212,222)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본원발명은, 제1, 2전선수용부(11,12)에 각각 터미널장착부(13)를 기준으로 하여 전선 배치방향 양측으로 제1, 2직진수용부(111,121)와 절곡수용부(112,122)를 마련하여, 제1, 2전선(110,120)이 서로 간의 접속을 위해서 상기 제1, 2전선수용부(11,12)의 터미널(40)의 심선접속부(450)로 장착될 경우, 이 터미널장착부(13)를 기준으로 제1, 2전선(110,120)이 각각 절곡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각각의 제1, 2전선(110,120)들은 외력에 의해 인장 방향으로의 인장력이 가해졌을 경우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는 전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버티는 힘이 강하게 되면서 그 결과 커넥터로부터의 전선 이탈이 예방되어 전선 단락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제1, 2개구(18,19) 단부에는 제1, 2전선떠받침부(18a,19a)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즉, 본원발명은 상기 제1, 2전선떠받침부(18a,19a)에 의해 상기 본체(10)로의 커버(20) 가압시 제1, 2전선수용부(11,12)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제1, 2전선(110,120)이 상기 제1, 2전선수용부(11,12) 단부인 상기 본체(10) 테두리측에서 하방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각각의 제1, 2전선(110,120)의 저면을 떠받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 커넥터 설치시 전선이 꺾이는 등에 따라 다양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전선 수명 연장은 물론 이에 따른 비용절감과 제품 신뢰성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제1 전선수용부(11) 및 제2 전선수용부(12)는 터미널 장착부(13)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는 곡선부분(11-1, 12-1)과 직선부분(11-2, 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곡선부분과 상기 직선부분이 터미널 장착부(13)에 의해 분할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렇게 분할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터미널 장착부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할된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의 일 부분은 곡선부분 및 직선부분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re receiving portion 11 is provided with a first straight receiving portion 111 in which the first wire 110 is disposed in a straight line on one side based on the terminal mounting portion 13, and A first bend receiving part 11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which is bent and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ic wire 110 is bent outward,
The second wire receiving portion 12 corresponding to this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raight receiving portion 1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on one side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mounting portion 13 and formed in parallel The second straight line receiving part 121 is provided along the wire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second wire 120 is disposed straight, and the second wire 120 is bent outwardly on the other side, and the main body ( 10) is provided with a second bent accommodating part 122 to lie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bent accommodating part 112 based on the outside of the
The third and fourth wire receiving portions 21 and 22 corresponding thereto are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 receiving portions 111 and 121 and first and second bending receiv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portions 11 and 12. (112,12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and fourth straight accommodating parts 211 and 221 and the third and fourth bending accommodating parts 212 and 222 to correspond to it are provid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accommodating parts 111 and 121 and the bending accommodating parts 112 and 122 on both sides of the wire arrangement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terminal mounting part 13 in the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parts 11 and 12, respectively. ), and the first and second wires 110 and 120 are mounted as the core wire connection part 450 of the terminal 40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parts 11 and 12 for connection between each other, this terminal Since the first and second wires 110 and 120 each have a bent structure based on the mounting part 13,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110 and 120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hen a tensile force in the tensile direction is applied by an external force. As the holding force becomes stronger compared to the existing electric wire, the wire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as a result, and safety accidents such as wire short circu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d second electric wire support portions 18a and 19a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8 and 19, respectively.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from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portions 11 and 12 when the cover 20 to the main body 10 is pressed by the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portions 18a and 19a. The first and second wires 110 and 120 that become the first and second wires receiving portions 11 and 12, which are the ends of the body 10, are prevented from being bent downward at the rim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110 and 120, respectively. B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as a result, various damage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due to bending of the wires when installing the connector, and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ife of the wires as well as reduce costs and improve product reliability.
In addition,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12 of the main body may be divided into two parts by the terminal mounting part 13 . In addition,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12 may be composed of curved portions 11-1 and 12-1 and straight portions 11-2 and 12-2. . In FIG. 2 , the curved portion and the straight portion are illustrated as being divided by the terminal mounting unit 13 , but may not necessarily be divided as such. That is, a portion of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12 divided into two parts by the terminal mounting part may include both a curved part and a straight part.

아울러, 상기 전선수용부의 형상에 따라서, 각 전선수용부에 형성된 전선고정부에 의해 각 전선이 고정되긴 하겠지만, 상기 전선들이 실제로는 휘어지면서 안착될 것이다. 이는 상기 전선들이 터미널과 수직방향으로 접촉하는 대신, 어느 정도 기울기를 갖은 채 접촉하므로, 이는 상기 전선들과 상기 터미널 간의 결합력, 또는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wire accommodating part, although each wire is fixed by the wire fixing part formed in each wire accommodating part, the wires will actually be bent and seated.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wires and the terminal, or tensile strength, since the wires contact the terminals with a certain inclination instead of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1)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선 커넥터에서 조금더 변형된 모습을 보여준다. 커버(20)의 제3 전선수용부(21) 및 제4 전선수용부(22)의 측벽(21-1, 21-2, 21-3, 21-4¸22-1, 22-2, 22-3, 22-4)의 높이가 인입되는 전선(즉,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직경보다 크게(또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20)의 제3 전선수용부(21) 및 제4 전선수용부(22)의 측벽(21-1, 21-2, 21-3, 21-4¸22-1, 22-2, 22-3, 22-4) 사이의 폭이 인입되는 전선(즉,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직경보다 작게(또는 좁게) 형성될 수 있다.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slightly more deformed state in the wire connector shown in FIG. 1 . Sidewalls 21-1, 21-2, 21-3, 21-4¸22-1, 22-2, 22 of the third wire receiving portion 21 and the fourth wire receiving portion 22 of the cover 20 The height of -3 and 22-4) may be formed to be larger (or high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coming electric wire (ie, the first electric wire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In addition, the sidewalls 21-1, 21-2, 21-3, 21-4¸22-1, 22-2 of the third wire accommodating part 21 and the fourth wire accommodating part 22 of the cover 20 , 22-3, 22-4) may be formed to be smaller (or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coming wire (ie,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이는 2개의 전선을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1)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제1 및 제2 전선을 상기 커버의 전선수용부(21, 22)에 먼저 삽입한 후에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그 힘을 통해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두 전선이 터미널(40)의 심선접속부로 밀려 내려가 안착되면서 상기 커넥터에 실장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 전선이 상기 커버의 전선수용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를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전선들이 이탈되어 터미널에 정확하게 인입되지 않는 등 접속 불량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This is when two electric wir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using the electric wir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wires are first inserted into the electric wire receiving portions 21 and 22 of the cover, and then the cover is removed. By pressing toward the main body, the cover and the main bod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orce, and the two wires are pushed down to the core wire connection part of the terminal 40 and are mounted on the connector while seated, the first and second wires of the cov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not stably fixed to the wire receiving part. Accordingly, when the cover and the main body are coupl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onnection defect occurs, such as the wires are detached and are not accurately introduced into the terminal.

상기 전선수용부(21, 22)의 측벽의 높이 및/또는 폭(또는 간격)을 위에서 언급한대로 크게 또는 작게하여, 상기 전선들이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의 결합 이전에도, 상기 커버의 전선수용부(21, 22)에 고정이 될 수 있도록 한다.By making the height and/or width (or spacing) of the sidewalls of the wire receiving portions 21 and 22 larger or smaller as mentioned above, even before the wires are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main body, the wire receiving portion of the cover ( 21, 22) so that it can be fix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되는 터미널(40)을 도시한다.7 shows a terminal 40 attached to a wir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터미널은 각각 상단부에 하향 경사진 커팅부(411)가 마련된 중앙직립편(410), 상기 중앙직립편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된 한 쌍의 외측직립편(421), 상기 제1 전선 또는 상기 제2 전선이 하방 진입되는 통로인 전선진입부(440)와 그와 연통된 하부에 위치되어 피복이 절개된 상기 제1 전선 또는 상기 제2 전선 내부의 심선이 진입된 후 상기 중앙직립편 및 상기 외측직립편과 접속되도록 하는 공간이며, 상기 전선진입부의 중앙에서 상기 중앙 직립편 측으로 경사진 하부에 위치하는 심선접속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is a central upright piece 410 provided with a downwardly inclined cutting part 411 at the upper end, respectively, a pair of outer upright pieces 421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upright piece, the first wire or the The central upright piece and the central wire after the first wire or the core wire inside the second wire, which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communicating with the wire entry part 440,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econd wire enters downward, is cut. It is a space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upright piece, and may include a core wire connection part 450 located at a lower portion inclined toward the central upright piece from the center of the wire entry part.

또한, 상기 한 쌍의 외측직립편 커팅부(421)의 하부로는, 상기 제1 전선 또는 상기 제2 전선의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상기 심선이 안정적으로 상기 직립편들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직립부(424)가 상기 한 쌍의 외측 직립편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중앙직립편의 커팅부 하부와 상기 한 쌍의 외측 직립편 직립부의 하부로는, 상기 심선을 상기 중앙 직립편의 중앙 하부에 인접하는 상기 심선접속부까지 안내하는 경사부(423)가 마련되며, 상기 중앙 직립편의 경사부 하부에는, 상기 심선접속부에 해당되는 부위가 심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진 오목부(412)가 마련되며, 상기 오목부에 대응되는 외측직립편의 일측이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심선을 오목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돌출부(422))가 상기 한 쌍의 외측 직립편의 경사부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outer upright piece cutting portions 421, the upright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coating of the first wire or the second wire is cut and at the same time the core wire can stably enter between the upright pieces. 424 is provided in each of the pair of outer upright pieces, and as a lower portion of the cutting portion of the central upright piece and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outer upright pieces, the core wire is adjacent to the center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upright piece. An inclined portion 423 guiding to the core wir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an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entral upright piece, there is a concave portion 412 rounded concavely so th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e wir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wire. One side of the outer upright piec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and a protrusion 422 for pushing the core wire in the concave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of the pair of outer upright pieces. can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has been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1: 전선 커넥터
10: 본체
20: 커버
30: 브리지
11, 12: 전선수용부
13: 터미널 장착부
14, 15, 16, 17: 전선고정부
18, 19: 개구
1: Wire connector
10: body
20: cover
30: bridge
11, 12: wire receiving part
13: terminal mount
14, 15, 16, 17: wire fixing part
18, 19: opening

Claims (9)

두 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에 제1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전선수용부 및 제2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전선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 중앙에 터미널 장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터미널 장착부에 장착되는 터미널; 및
상기 본체와의 결합 시에 상기 본체의 밑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설계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가 상기 터미널이 장착된 본체 측으로 가압되어 체결되면, 상기 본체의 제1 전선수용부 및 제2 전선수용부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3 전선수용부 및 제4 전선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밑면이 서로 마주보는 변을 갖는 다각형 형태이며, 상기 밑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 각각이 상기 터미널 측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 말단에 형성된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전선수용부는,
상기 터미널장착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제1전선이 직진 배치되는 제1직진수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제1전선이 외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절곡 배치되는 제1절곡수용부가 마련되며,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전선수용부는,
일측에 상기 제1직진수용부와 폭 방향에 대해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터미널장착부를 기준으로 건너편에 배치되어 평행하게 형성되고 전선 배치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전선이 직진 배치되는 제2직진수용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상기 제2전선이 외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절곡 배치되되 상기 본체의 외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절곡수용부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하는 제2절곡수용부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3, 4전선수용부는,
상기 제1, 2전선수용부의 제1, 2직진수용부 및 제1, 2절곡수용부에 대응되도록 하는 제3, 4직진수용부 및 제3, 4절곡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2개구 단부에는 상기 본체로의 상기 커버 가압시 상기 제1, 2전선수용부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1, 2전선이 상기 제1, 2전선수용부 단부인 상기 본체 테두리측에서 하방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각각의 제1, 2전선의 저면을 떠받치기 위한 제1, 2전선떠받침부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A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wires, comprising:
a body provided with a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for mounting the first wire in the upwardly open internal space and a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for mounting the second wire, the terminal mounting part being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internal space;
a terminal mounted on the terminal mounting part of the main body; and
and a cover designed to surround the rest of the body except for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when combined with the body,
The cover includes a third wire receiving part and a fourth wire receiving part formed to face each of the first wire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wire receiving part of the main body when the cover is pressed and fastened toward the main body on which the terminal is mounted. do,
The main body has a polygonal shape having sides facing each other, and forms a side wall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The body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formed at the ends of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so that each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s drawn out from the terminal side,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formed on sidewalls facing each other of the main body, and are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e first wire receiving unit,
Based on the terminal mounting portion, a first straight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first wire is arranged straight is provided on one side, and a first bending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where the first wire is bent and disposed in a bent outward state,
The second wire receiving unit corresponding to this,
On one side, the first straight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straight receiving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ar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based on the terminal mounting part, are formed in parallel,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receiving part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wire arrangement direction. A second bent receiving par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second wire is bent outwardly and plac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bent receiving part with referenc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 third and fourth wire receiving units corresponding to this,
The 3rd and 4th straight line receiving part and 3rd, 4th bending receiving part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1st, 2nd straight receiving part and the 1st, 2nd bending receiving part of the 1st and 2nd wire receiving part,
At th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e first and second wires protruding from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parts when the cover is pressed to the body are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parts.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support portions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by preventing them from being bent downward from the side are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의 크기는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sizes of the third wire accommodating part and the fourth wire accommodating part are larger than sizes of the first wire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의 측벽의 높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a height of sidewalls of the third wire accommodating part and the fourth wire accommodating part is greater than diameters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의 측벽 사이의 폭은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a width between sidewalls of the third wire accommodating part and the fourth wire accommodating part is smaller than diameters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72158A 2019-09-18 2019-12-20 Wire Joint Connector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KR102313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6954 WO2021125608A1 (en) 2019-09-18 2020-11-26 Non-stripped wire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706,085 2019-09-18
US201929706085 2019-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389A KR20210033389A (en) 2021-03-26
KR102313952B1 true KR102313952B1 (en) 2021-10-18

Family

ID=7525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158A KR102313952B1 (en) 2019-09-18 2019-12-20 Wire Joint Connector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3952B1 (en)
WO (1) WO2021125608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3081A (en) 2008-12-24 2010-07-08 Yazaki Corp Illumination unit
KR101084600B1 (en) 2010-06-29 2011-11-1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Splice joint device for insulation displacement crimp
KR101099002B1 (en) * 2011-03-08 2011-12-29 주식회사 조우테크 The connector for electric wire joint
KR101887884B1 (en) 2017-05-29 2018-09-06 유옥자 Terminal for electric wire joint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1126A (en) * 1993-06-08 1994-12-22 Yazaki Corp Wire harness protector and length-regulating method of wire harness
KR102027142B1 (en) * 2019-04-09 2019-10-02 ㈜알파오 Electric wire joint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3081A (en) 2008-12-24 2010-07-08 Yazaki Corp Illumination unit
KR101084600B1 (en) 2010-06-29 2011-11-1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Splice joint device for insulation displacement crimp
KR101099002B1 (en) * 2011-03-08 2011-12-29 주식회사 조우테크 The connector for electric wire joint
KR101887884B1 (en) 2017-05-29 2018-09-06 유옥자 Terminal for electric wire joint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608A1 (en) 2021-06-24
KR20210033389A (en)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744B2 (en) Wire management member and electric cable connector with wire management member
CN106207669B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cable retention
US7651381B2 (en) Contact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CN108933336B (en) Terminal for peeling-free electric wire connector
US3936128A (en)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US7367534B2 (en) Drop wire clamp
KR880002191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143452B1 (en) The terminal for electric wire joint connector
KR20150127550A (en)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KR102076247B1 (en) Electrical Contact
CN112636100A (en) Electrical connector
US7234669B2 (en) Clamp
KR102313952B1 (en) Wire Joint Connector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KR960002131B1 (en) Connection device
KR101981067B1 (en) Terminal for electric wire joint connector
KR101962621B1 (en) Terminal for electric wire joint connector
KR920007538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50236433A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Connector
US6179669B1 (en) Molded receptacle for a daisy chain power cord assembly
KR102039651B1 (en) Connector housing and connector
JP3638843B2 (en) IDC connector
KR102027139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 cable
CN110676622B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cable retention
US8070513B2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wire holding device
KR200209880Y1 (en) Patch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