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744B1 - 풍력 발전기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744B1
KR101387744B1 KR1020120028360A KR20120028360A KR101387744B1 KR 101387744 B1 KR101387744 B1 KR 101387744B1 KR 1020120028360 A KR1020120028360 A KR 1020120028360A KR 20120028360 A KR20120028360 A KR 20120028360A KR 101387744 B1 KR101387744 B1 KR 101387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hole
plate
shaped fram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648A (ko
Inventor
하광태
유철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8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74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1/067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of th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2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풍력 발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는 블레이드, 블레이드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셀 및 나셀을 지지하는 타워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로서, 회전 방향으로 볼 때 블레이드의 후방부에 형성된 홀 및 블레이드의 내부에 설치되어 홀을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포함하되, 개폐 장치는 홀이 형성된 블레이드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되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신장되며 비틀릴 수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몸체부는 몸체부가 비틀림에 따라 홀과 연통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개구부가 홀과 연통된 경우 블레이드의 내부로부터 블레이드의 외부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풍력 발전기{WIND TURBINE GENERATOR}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자연 에너지인 풍력을 이용해서 발전하는 수평축 풍력 발전기는 타워 상에 설치된 나셀(nacelle), 나셀의 전방 측에 설치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 설치되는 블레이드(blade)를 구비한다.
이 때, 나셀은 허브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메인 샤프트에 의하여 허브와 연결된다. 나셀의 내부에는 메인 샤프트와 연결된 증속기 및 증속기와 연결된 발전기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풍력 발전기는 풍력 발전기를 향하여 바람이 불어오면 블레이드가 회전하고, 회전하는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기가 발전을 하게 된다.
그런데,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는 회전시 블레이드 루트부로부터 블레이드 팁 방향으로 블레이드 길이의 70~90% 정도의 위치에서 큰 소음이 발생한다. 그리고 블레이드가 회전함에 따라 선행하는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발생했던 와류의 영향이 후행하는 블레이드에 공기역학적인 영향을 주어 풍력 발전기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레이드의 회전시 발생하는 와류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풍력 발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셀 및 상기 나셀을 지지하는 타워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로서, 회전방향으로 볼 때 상기 블레이드의 후방 측에 형성된 홀 및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홀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일측이 고정되되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타측이 비틀릴 수 있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몸체의 타측 일부가 상기 홀을 폐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여 원심력이 발생하면 상기 몸체가 비틀림에 따라 상기 몸체의 타측 일부가 상기 홀을 폐쇄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 상기 홀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가 제공된다.
상기 홀은 상기 블레이드의 뒷전(trailing edge)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형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판형 프레임은 상기 블레이드의 연장 방향으로 배열되는 비틀림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형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판형 프레임의 외측면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홀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판형 프레임은 3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3개의 판형 프레임은 상호 120도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블레이드의 팁 방향 단부 측에 중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틀림 중심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량체의 외주부에 상기 중량체가 상기 몸체와 함께 비틀릴 때 상기 중량체의 비틀림을 가이드하기 위한 중량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블레이드의 루트부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팁 방향으로 블레이드 전체 길이의 70~9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블레이드의 연장 방향으로 배열된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내부의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홀이 형성된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유동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가 회전시 블레이드의 뒷전 내부로부터 공기가 블레이드의 외부로 배출되어 블레이드의 뒷전의 후방에 형성되는 와류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 부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IV-IV'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내부에 설치되는 계폐 장치의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내부에 설치되는 계폐 장치의 몸체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서 A 부분의 블레이드 내측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내부에 설치되는 계폐 장치의 몸체부가 비틀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IX-IX'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내부로부터 공기가 블레이드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 부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IV-IV'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내부에 설치되는 계폐 장치의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내부에 설치되는 계폐 장치의 몸체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서 A 부분의 블레이드 내측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내부에 설치되는 계폐 장치의 몸체부가 비틀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IX-IX'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내부로부터 공기가 블레이드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는 타워(2) 상에 설치된 나셀(nacelle)(3), 나셀(3)의 전방 측에 설치되는 허브(4) 및 상기 허브(4)에 설치되는 블레이드(blade)(5)를 구비한다.
이 때, 풍력 발전기(1)의 블레이드(5)의 회전 방향으로 볼 때, 블레이드(5)의 후방부, 예를 들어, 뒷전(trailing edge)의 후방면(8)에 홀(7)이 형성되며, 홀(7)을 개폐하기 위하여 블레이드(5)의 내부에 개폐 장치(10)가 설치된다.
이 때, 홀(7)의 위치는 블레이드(5)의 루트부, 즉 블레이드(5)의 회전 중심인 허브측으로부터 블레이드(5)의 단부인 팁 방향(이하 '블레이드의 연장 방향")으로 블레이드 전체 길이의 70~90% 사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홀(7)은 블레이드의 연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홀(7)의 폭 및 홀(7)의 연장 길이는 블레이드(5)가 회전할 때 블레이드(5)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와류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정도의 공기의 흐름이 블레이드(5)의 내부로부터 블레이드(5)의 외부 측으로 발생하도록 실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후방면(8)에 홀(7)이 형성된 상태에서 홀(7)은 블레이드(5)가 회전할 경우 개방되며, 블레이드(5)의 회전이 멈추거나 느려지면 폐쇄회도록 작동한다. 이와 같은 홀(7)의 개폐를 위하여 블레이드 내부에는 개폐 장치(10)가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의 블레이드(5)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 장치(10)는 몸체(20)를 포함한다. 이 때, 몸체(20)는 상기 블레이드(5)의 내부에 일측이 고정되되 상기 블레이드(5)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타측이 비틀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몸체(20)는, 블레이드(5)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몸체(20)의 타측 일부가 홀(7)을 폐쇄하도록 형성되며, 블레이드(5)가 회전하여 원심력이 발생할 경우 몸체(20)가 비틀림에 따라 몸체(20)의 타측 일부가 홀을 폐쇄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 홀(7)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20)는 복수의 판형 프레임(22, 23, 24)를 포함한다. 이 때, 복수의 판형 프레임(22, 23, 24)은 블레이드(5)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블레이드(5)의 연장 방향으로 배열되는 비틀림 중심축(26)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도록 블레이드(5) 내부에 설치된다.
이 때, 복수의 판형 프레임(22, 23, 24)는 각각의 일측 단부가 비틀림 중심축(26) 위치에서 서로 결합되며, 중심축(26)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판형 프레임(22, 23, 24)은 비틀림 중심축(26)을 기준으로 120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한편, 복수의 판형 프레임(22, 23, 24)의 일 단부, 예를 들어 허브 방향 단부는 블레이드 내부의 일측(12)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열된 복수의 판형 프레임(22, 23, 24)은, 블레이드(5)의 회전에 따라 원심력을 받을 경우 비틀림 중심축(26)을 중심으로 비틀리도록 형성된다. 이 때, 복수의 판형 프레임(22, 23, 24)은 연장 방향으로 볼 때 허브 방향 단부가 블레이드(5) 내부의 일측(1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허브 방향 단부는 비틀리지 않으며, 팁 방향 단부 측이 허브 방향 단부 측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리도록 형성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판형 프레임(22, 23, 24) 중 어느 하나의 판형 프레임(23)의 일측면(23a)이 홀(7)을 폐쇄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복수의 판형 프레임(22, 23, 24)의 중심축(26)의 연장 방향 단부에는 중량체(3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체(3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형성되어, 판형 프레임(22, 23, 24)이 원심력에 의하여 비틀릴 때 판형 프레임(22, 23, 24)이 보다 잘 비틀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형 프레임(22, 23, 24)이 원심력을 받을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프레임(22, 23, 24)은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린다. 이 때, 판형 프레임(22, 23, 24)은 판형 프레임을 형성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블레이드(5)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만일 판형 프레임(22, 23, 24)에 가해지던 원심력이 약해질 경우 판형 프레임(22, 23, 24)은 다시 반대 방향으로 비틀려 비틀리기 전의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형 프레임(22, 23, 24)이 비틀림에 따라 중심축(26)에 연결된 중량체(30)가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릴 때 중량체(3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중량체(30)의 외주부에는 중량체 가이드(32)가 형성된다.
중량체 가이드(32)는 중량체(30)의 외주면과 인접한 내주면을 가지는 내부 공간(33)을 구비하며 블레이드(5)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만일 중량체 가이드(32)가 없으면, 판형 프레임(22, 23, 24)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판형 프레임(22, 23, 24)이 비틀리는 동안 중량체(30)가 심하게 흔들릴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중량체(30)가 심하게 흔들릴 경우 판형 프레임(22, 23, 24)이 파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20)가 연장 방향으로 힘을 받을 경우 중심축(26)을 중심으로 판형 프레임(22, 23, 24)이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릴 수 있도록 판형 프레임(22, 23, 24)은 신축성 및 비틀림 강성을 갖는 공지된 복합 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판형 프레임(22, 23, 24)이 몸체를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몸체(20)를 형성하는 판형 프레임의 형태, 수 및 크기 등은 원심력의 크기, 판형 프레임을 구성하는 재료의 특성 및 중량체(30)의 중량 등의 인자에 따라 실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블레이드(5)의 후방면(8)의 내측면에는 유동 가이드(40)가 형성된다.
유동 가이드(40)는 일단이 홀(7)과 연결되며 타단이 판형 프레임(23)의 일 측면(23a)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직사각 단면을 갖는 관형 부재로 형성된다.
유동 가이드(40)는 접착과 같은 결합 방법에 의하여 블레이드 후방면(8)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에 원심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의 일측면(23a)이 유동가이드를 막도록 형성되며,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에 원심력이 가해지면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이 비틀리면서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의 일측면(23a)이 유동 가이드(40)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의 일측면(23a)이 유동 가이드(40)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벗어나면, 블레이드(5) 내부의 공기는 유동 가이드(40)를 지나 블레이드(5)의 후방면에 형성된 홀(7)을 통하여 블레이드(5)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5)의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 장치(10)의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의 일측면(23a)과 블레이드의 후방면(8)에 형성된 홀(7) 사이에 유동 가이드(40)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었으나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의 일측면(23a)이 블레이드 후방면(8)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유동 가이드의 설치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풍력 발전기(1)의 개폐 장치(10)의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는 블레이드(5)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장치(10)의 몸체(20)의 판형 프레임(22)의 일측면이 유동 가이드(40) 및 이와 연결된 홀을 폐쇄하도록 형성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의 일측면(23a)이 유동 가이드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블레이드(5)가 회전하면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 및 중량체(30)에는 원심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에 원심력이 작용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비틀리게 된다. 이 때, 판형 프레임의 재료 특성에 따라 판형 프레임은 도 8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이 때,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의 블레이드 연장 방향 일 단부는 블레이드(5)의 내부 일측(1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의 블레이드 연장 방향 타단부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의 비틀림 중심축(2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의 타단부가 비틀림 중심축(2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의 일측면(23a)은 도 9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I) 위치에서 (I')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일측면(23a)의 이동 정도는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이 비틀리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의 비틀림에 따라 일측면(23a)이 함께 비틀릴 경우 블레이드(5) 내부가 유동 가이드(40)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이 비틀림으로써 유동 가이드(40)가 블레이드 내부(6)와 연통하도록 하는 판형 프레임(23)의 비틀림 정도는 블레이드(5)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 판형 프레임의 크기 및 비틀림 강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실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7)에 인접한 판형 프레임(23)의 일측면(23a)의 위치가 변경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내부(6)가 유동 가이드(40)와 연통되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5) 내부(6)와 블레이드(5) 외부(9)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블레이드 내부(6)로부터 블레이드 외부(9)로 공기가 화살표 (II)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 내부(6)로부터 블레이드 외부(9)로 공기가 유동하면 블레이드 후방면(8)에 형성된 홀(7)을 통하여 토출된 공기가 블레이드(5) 후방 측에 형성되는 와류의 생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5) 후방 측에 형성되는 와류의 생성이 줄어들게 될 경우 와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5)의 후방면에 홀(7)을 형성하고, 홀(7)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장치(10)를 블레이드(5)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블레이드(5) 후방측에서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홀(7)의 위치, 형태 및 크기는 실험적으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는, 별도의 모터와 같은 전기적인 구동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간단한 구조의 개폐 장치(10)를 이용하여 풍력 발전기(1)의 블레이드(5)가 회전하는 경우에만 풍력 발전기의 후방 측에 블레이드의 내부(6)로부터 블레이드의 외부(9)로 유동하는 새로운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풍력 발전기(1) 블레이드(5)의 후방에 형성되는 와류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풍력 발전기 2 타워
3 나셀 4 허브
5 블레이드 6 블레이드 내부
7 홀 8 후방면
10 개폐 장치 20 몸체
22 23 24 판형 프레임 26 중심축
30 중량체 32 중량체 가이드
40 유동 가이드

Claims (10)

  1.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셀 및 상기 나셀을 지지하는 타워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로서,
    회전방향으로 볼 때 상기 블레이드의 후방 측에 형성된 홀 및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홀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일측이 고정되되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타측이 비틀릴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연장 방향으로 배열된 비틀림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판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판형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판형 프레임의 외측면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홀을 폐쇄하는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여 원심력이 발생하면 상기 몸체가 비틀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판형 프레임의 외측면이 상기 홀을 폐쇄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 상기 홀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 상기 블레이드의 뒷전(trailing edge)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프레임은 3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3개의 판형 프레임은 상호 120도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블레이드의 팁 방향으로 상기 몸체의 단부 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틀림 중심축에 결합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의 외주부에서 상기 중량체가 상기 몸체와 함께 비틀릴 때 상기 중량체의 비틀림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체의 외주면과 인접한 내주면을 가지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위치고정되도록 형성된 중량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블레이드의 루트부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팁 방향으로 블레이드 전체 길이의 70~9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블레이드의 연장 방향으로 배열된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내부의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홀이 형성된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유동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KR1020120028360A 2012-03-20 2012-03-20 풍력 발전기 KR101387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360A KR101387744B1 (ko) 2012-03-20 2012-03-20 풍력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360A KR101387744B1 (ko) 2012-03-20 2012-03-20 풍력 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648A KR20130106648A (ko) 2013-09-30
KR101387744B1 true KR101387744B1 (ko) 2014-04-22

Family

ID=4945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360A KR101387744B1 (ko) 2012-03-20 2012-03-20 풍력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7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2163A1 (en) 1982-11-23 1984-06-07 Staangaakonsult Kalmar Hb Device at a wind propeller
JP2003254226A (ja) 2002-03-05 2003-09-10 Ebara Corp 風車の気流騒音低減装置
KR20110098773A (ko) * 2008-12-02 2011-09-01 아에로볼텍스 밀즈 엘티디 와류 역학적 터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2163A1 (en) 1982-11-23 1984-06-07 Staangaakonsult Kalmar Hb Device at a wind propeller
JP2003254226A (ja) 2002-03-05 2003-09-10 Ebara Corp 風車の気流騒音低減装置
KR20110098773A (ko) * 2008-12-02 2011-09-01 아에로볼텍스 밀즈 엘티디 와류 역학적 터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648A (ko)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713B2 (en) Wind manipulator and turbine
CA2986281C (en) Rotor blade with serrations
JP5331117B2 (ja) 風車翼およびこれを用いる風力発電装置
US8550786B2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with self-starting capabilities
US8985947B2 (en) Power producing spinner for a wind turbine
US20110116923A1 (en) Blade for a rotor of a wind or water turbine
CA2568235A1 (en) Wind power generator
US7633178B1 (en) Fluid driven energy generator
JP2008115781A (ja) 開閉式補助ブレード付きh−ダリウス型風車
KR101468913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KR20110004689A (ko) 풍력터빈장치
KR101387744B1 (ko) 풍력 발전기
KR100999320B1 (ko) 양력발전기용 양력블레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0125599A2 (en) Rotor blade with aerodynamic flow static diverter, in particular blade for vertical axis aeolic rotor, and vertical axis aeolic rotor with static flow diverters
US20100135809A1 (en) Wind wheel
KR101187792B1 (ko) 풍력 발전용 날개 조립체
KR20110008789A (ko) 풍력 발전용 날개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KR101745904B1 (ko) 이중 날개가 형성된 냉각팬
CN112703314B (zh) 具有带空气动力学特性的叶片承载结构的风力涡轮机
KR20150069066A (ko) 양항력 블레이드 및 그 양항력 블레이드를 갖는 수직축 풍력 발전용 로터 장치
KR20150003237U (ko) 풍력 발전장치
JP2019173636A (ja) 発電装置の出力増強デバイス及び自然エネルギ型発電装置
KR101581342B1 (ko) 풍력 발전기용 양방향 블레이드
KR101973065B1 (ko) 풍력 발전기 및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팁
KR101396549B1 (ko) 풍력발전기용 회전력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