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688B1 -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688B1
KR101387688B1 KR1020120069726A KR20120069726A KR101387688B1 KR 101387688 B1 KR101387688 B1 KR 101387688B1 KR 1020120069726 A KR1020120069726 A KR 1020120069726A KR 20120069726 A KR20120069726 A KR 20120069726A KR 101387688 B1 KR101387688 B1 KR 101387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electrode
soil
contaminated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903A (ko
Inventor
김성철
최정희
하태현
김두헌
심성주
이유진
이현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9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6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0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B09C1/085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electrochemically, e.g. by electrokin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7/00Separation, other than separation of solid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group or subclass, e.g. B03C
    • B01D57/02Separation, other than separation of solid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group or subclass, e.g. B03C by electrophore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면적에 전기동력학 기반의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적용시 효율적 구성이 가능한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염 토양에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가 삽입되는 제1 전극부; 상기 오염 토양에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가 삽입되며 각각이 상기 제1 전극부 각각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전극부;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 및 상기 전원 생성부로부터 상기 생성된 전원을 전송받은 후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생성부는 비접촉 방식에 의해 상기 생성된 전원을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불필요한 배선을 줄이는 방식으로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이 대면적에 구현되는 경우 효율적 구성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누전 등에 의한 안전 사고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Soil recovery system}
본 발명은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면적에 전기동력학 기반의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적용시 효율적 구성이 가능한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동력학(electrokinetics)이란 토양에 매설된 양극과 음극 간에 직류 전류를 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전기삼투(electroosmosis), 전기영동(electrophoresis), 및 이온이동(ionic migration) 등의 물리화학적 현상을 이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전기동력학을 기반으로 한 토양 정화 기술의 경우 토양에 매설된 양극(Anode)과 음극(Cathode) 사이에 직류 전류를 가하게 되면 양극과 음극에서는 각각 전해반응(electrolysis)이 발생하며, 전해반응에 따라 생성되는 H+와 OH-는 두 전극 사이에 생성되는 전위 구배(potential gradient)를 구동력으로 하여 H+는 음극으로, OH-는 양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H+의 이동도(mobility)가 OH-에 비해서 크므로 산 전선(acid front)의 영역 확장이 염기 전선(base front)의 영역 확장보다 빠르게 이루어져 토양이 산성화되는 영역이 넓어지게 되고, 토양 입자 표면에 흡착된 중금속이 용출되어 이온의 형태로 공극수 내부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전장(electric field)의 영향에 의해 중금속, 염류 등의 양이온을 쉽게 음극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음극 주변으로 이동하는 중금속, 염류 등의 양이온은 음극 표면에 도금되거나 또는 주변의 OH- 기와 결합하여 수산화물로 석출되므로 음극 전극을 제거하거나 또는 음극 근처의 토양만을 굴착하는 방식으로 중금속, 염류 등의 양이온과 이의 결합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기존의 오염 물질 제거 방법인 굴착처리와 비교시에 매우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전기동력학을 이용하여 토양 정화를 실시하는 경우 토양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염류, 방사능물질, 및 유기물질 등과 같은 오염 물질들을 개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들이 혼합된 오염토양에서도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시설 재배지 또는 간척지 등에 많이 집적되어 있는 염류 및 오염된 콜로이드의 효과적인 제거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기동력학을 이용한 토양 정화 기술은 토양의 종류와 무관하게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의 오염 물질에 적용할 수 있으며, 현장 내에서의 오염 물질에 대한 손쉬운 처리에 따라 경제성이 담보되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동력학을 이용한 토양 정화 기술의 경우 대면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토양에 설치한 후 다수의 양극과 음극에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데, 이 경우 전원 공급을 위한 배선이 복잡해지므로 비효율적이며 누전 사고 등의 안전 사고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비접촉 방식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여 불필요한 배선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면적에 적용이 용이하도록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은 오염 토양에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가 삽입되는 제1 전극부; 상기 오염 토양에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가 삽입되며 각각이 상기 제1 전극부 각각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전극부;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 및 상기 전원 생성부로부터 상기 생성된 전원을 전송받은 후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생성부는 비접촉 방식에 의해 상기 생성된 전원을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전원을 비접촉 방식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전송하는 송신 코일부 및 상기 생성된 전원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주파수 제어 또는 정전류 제어에 의해 상기 생성되는 전원의 주파수 또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생성된 전원을 비접촉 방식에 의해 전송받는 수신 코일부 및 상기 전송받은 전원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 토양의 상태 감지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제어부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감지 정보는 상기 오염 토양의 전기 전도도, 온도, 수분 함유량, 또는 수소 이온 농도(pH)에 대한 감지 정보이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오염 토양의 전기 전도도, 온도, 수분 함유량, 또는 수소 이온 농도(pH)에 대한 감지 정보 및 상기 전송받은 전원의 출력 전압/전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받은 전원의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미리 결정된 주기 또는 상기 상태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로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주파수, 상기 전류, 상기 전압, 또는 상기 극성이 조절된 전원을 직류, 펄스, 상기 직류 및 상기 펄스가 혼합된 형태, 또는 교류와 상기 펄스가 혼합된 형태로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불필요한 배선을 줄이는 방식으로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이 대면적에 구현되는 경우 효율적 구성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누전 등에 의한 안전 사고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오염 토양의 전기 전도도, 온도, 수소 이온 농도(pH), 또는 수분 함유량과 같은 토양 상태를 감지한 후 감지 결과에 따라 오염 토양의 정화를 위해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오염 토양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토양에 재배되는 작물에 대한 최적의 생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원 생성부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전원 공급부의 상세 블록도, 및
도 5는 도 1의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압 파형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1)은 제1 전극부(10), 제2 전극부(20), 전원 생성부(30), 전원 공급부(40), 및 상태 감지부(50)를 포함한다.
제1 전극부(10)는 오염 토양(S)의 면적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가 삽입된다.
제2 전극부(20)는 오염 토양(S)의 면적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가 삽입되며 각각이 제1 전극부(10) 각각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전원 생성부(30)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부(10) 및 제2 전극부(2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생성한다.
이때, 전원 생성부(30)의 상세 구성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 공급부(40)는 전원 생성부(30)로부터 상기 생성된 전원을 전송받은 후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부(10) 및 제2 전극부(20)로 공급한다.
이때, 전원 공급부(4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 생성부(30)로부터 상기 생성된 전원을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40)의 상세 구성은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태 감지부(50)는 오염 토양(S) 내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되며 오염 토양(S)의 상태 감지 정보를 생성한 후 전원 공급부(4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상태 감지 정보는 오염 토양(S)의 전기 전도도, 온도, 수분 함유량, 또는 수소 이온 농도(pH)에 대한 감지 정보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전원 생성부에 대한 상세 블록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생성부(30)는 전원 발생부(31), 송신 코일부(33), 제1 제어부(35)를 포함한다.
송신 코일부(33)는 전원 발생부(31)에서 생성되는 전원을 비접촉 방식에 의해 전원 공급부(40)로 전송한다.
제1 제어부(35)는 전원 발생부(31)에서 생성된 전원을 제어한다.
이때, 제1 제어부(35)는 전원 발생부(31)로부터 상기 생성된 전원에 대한 주파수 정보 또는 전류 정보를 전송받은 후 주파수 제어 또는 정전류 제어에 의해 상기 생성된 전원의 주파수 또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 생성부(30)는 전원 발생부(31)와 송신 코일부(33) 외에 노이즈 제거를 위한 EMI 필터, 역률 보상을 위한 PFC(Power Factor Correation)회로, 및 고주파 노이즈 제거를 위한 FB(Ferrite Bead)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제어부(35)는 주파수 제어 또는 정전류 제어에 의해 상기 생성된 전원의 주파수 또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전원 공급부에 대한 상세 블록도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40)는 수신 코일부(41), 전원 출력부(43), 및 제2 제어부(45)를 포함한다.
수신 코일부(41)는 전원 생성부(30)에서 생성된 전원을 비접촉 방식에 의해 전송받는다.
전원 출력부(43)는 수신 코일부(41)를 통하여 전송받은 전원을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부(10) 및 제2 전극부(20)로 출력한다.
제2 제어부(45)는 상태 감지부(50)로부터 전송받은 오염 토양(S)의 상태 정보(S1)(다시 말해서, 오염 토양(S)의 전기 전도도, 온도, 수분 함유량, 또는 수소 이온 농도(pH)에 대한 감지 정보) 및 전원 출력부(43)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전류 정보(S2)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받은 전원의 전압을 조절한다.
이때, 제2 제어부(45)는 오염 토양(S)의 상태 정보(S1)를 미리 결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제1 출력치를 결정하고,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 정보(S2)를 미리 결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제2 출력치를 결정한 후 상기 제1 출력치 및 상기 제2 출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의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제어부(45)가 오염 토양(S)의 상태 정보(S1) 및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전류 정보(S2)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는 이유를 상태 감지부(50)로부터 전송되는 오염 토양(S)의 상태 감지 정보가 오염 토양(S)의 전기 전도도인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염 토양(S)에 재배되는 작물이 2 dS/m 내지 2.5 dS/m의 토양 전기 전도도에서 생육이 잘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기준값(다시 말해서, 기준 토양 전기 전도도)을 2 dS/m 내지 2.5 dS/m로 미리 결정한 후 상태 감지부(50)로부터 전송되는 오염 토양(S)의 전기 전도도에 대한 감지 정보와 상기 기준 토양 전기 전도도를 비교하여 상태 감지부(50)로부터 전송되는 오염 토양(S)의 전기 전도도가 2 dS/m 미만인 경우 전원 공급부(40)로부터 제1 전극부(10) 및 제2 전극부(20)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낮추거나 또는 상태 감지부(50)로부터 전송되는 오염 토양(S)의 전기 전도도가 2.5 dS/m 초과인 경우 전원 공급부(40)로부터 제1 전극부(10) 및 제2 전극부(20)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크기를 높이는 방식으로 오염 토양(S)의 전기 전도도를 조절하여 작물의 재배 환경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태 감지부(50)를 오염 토양(S)의 전기 전도도, 온도, 수분 함유량, 및 수소 이온 농도(pH)를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종류별로 복수 개 구성한 후 제2 제어부(45)에서 오염 토양(S)의 전기 전도도, 온도, 수분 함유량, 및 수소 이온 농도(pH)의 변화를 동시에 반영하여 전원 공급부(40)로부터 제1 전극부(10) 및 제2 전극부(20)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 공급부(40)는 수신 코일부(41)와 전원 출력부(43) 사이에 정류 다이오드 및 고주파 노이즈 제거를 위한 FB(Ferrite Bead)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제어부(45)는 오염 토양(S)의 상태 감지 정보 및 전원 출력부(43)의 출력 전압/전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부(10)가 양극으로 동작하고 제2 전극부(20)가 음극으로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거나 미리 결정된 주기 또는 상태 감지부(50)로부터 전송되는 오염 토양(S)의 상태 감지 정보에 따라 극성을 조절(다시 말해서, 제1 전극부(10)가 음극으로 동작하고 제2 전극부(20)가 양극으로 동작하도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전원 공급부(40)가 전원의 극성을 조절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부(10)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어 제1 전극부(10)가 양극으로 동작하고 제2 전극부(20)에 음의 전압이 인가되어 제2 전극부(20)가 음극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2 전극부(20) 주변으로 오염 토양 내부에 포함된 중금속, 염류, 또는 방사성 양이온 들이 이동한 후 음극 주변에서 생성되는 OH-기와 반응하여 음극 주변 토양의 알칼리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리 결정된 주기 또는 상기 상태 감지 정보(오염 토양(S)의 수소 이온 농도(pH))에 따라 전원 공급부(40)로부터 제1 전극부(10) 및 제2 전극부(20)로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1 전극부(10)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고 제2 전극부(20)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전원의 극성 조절 전 제2 전극부(20) 주변에서 발생된 토양의 알칼리화에 따른 주변의 침전물, 다시 말해서 중금속, 염류, 또는 방사성 양이온 등과 같은 오염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전극부(20) 주변의 저항 증가 상태가 상기 오염물질의 이동에 의해 완화되어 상기 저항 증가 상태가 완화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상기 오염물질 제거를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 제어부(35) 및 제2 제어부(45)의 제어에 의해 전원 공급부(40)는 주파수, 전류, 전압, 또는 극성이 조절된 전원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펄스, 상기 직류 및 상기 펄스가 혼합된 형태, 또는 교류와 상기 펄스가 혼합된 형태로 제1 전극부(10) 및 제2 전극부(20)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1)은 전원 생성부(30)에서 생성된 전원을 비접촉 방식에 의해 전원 공급부(40)로 전송한 후 전원 공급부(40)로부터 오염 토양(S)에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가 삽입되는 제1 전극부(10) 및 제2 전극부(20)로 공급하여 전기동력학 기반으로 오염 토양(S)을 정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복수 개의 제1 전극부(10) 및 제2 전극부(20)측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선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이 대면적에 구현되는 경우 효율적 구성이 가능해지고, 누전 등에 의한 안전 사고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태 감지부(50)로부터 오염 토양의 전기 전도도, 온도, 수분 함유량, 수소 이온 농도(pH)와 같은 토양 상태를 감지한 후 감지 결과에 따라 오염 토양의 정화를 위해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오염 토양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토양에 재배되는 작물에 대한 최적의 생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10) : 제1 전극부
(20) : 제2 전극부 (30) : 전원 생성부
(31) : 전원 발생부 (33) : 송신 코일부
(35) : 제1 제어부 (40) : 전원 공급부
(41) : 수신 코일부 (43) : 전원 출력부
(45) : 제2 제어부 (50) : 상태 감지부

Claims (8)

  1. 오염 토양에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가 삽입되는 제1 전극부;
    상기 오염 토양에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가 삽입되며 각각이 상기 제1 전극부 각각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전극부;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
    상기 전원 생성부로부터 상기 생성된 전원을 비접촉 방식에 의해 전송받는 수신 코일부, 상기 전송받은 전원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제어된 전원을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로 출력하는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오염 태양의 상태 감지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제어부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생성부는 비접촉 방식에 의해 상기 생성된 전원을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전송하며,
    상기 상태 감지 정보는 상기 오염 토양의 전기 전도도에 대한 감지 정보이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오염 토양에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기준 전기 전도도, 상기 오염 토양의 전기 전도도에 대한 감지 정보, 및 상기 전원 출력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출력 전원의 출력 전압/전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받은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전원을 비접촉 방식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전송하는 송신 코일부 및 상기 생성된 전원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주파수 제어 또는 정전류 제어에 의해 상기 생성되는 전원의 주파수 또는 전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 정보는 상기 오염 토양의 온도, 수분 함유량, 또는 수소 이온 농도(pH)에 대한 감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오염 토양의 온도, 수분 함유량, 또는 수소 이온 농도(pH)에 대한 감지 정보 및 상기 전송받은 전원의 출력 전압/전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받은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미리 결정된 주기 또는 상기 상태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로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8. 제 3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주파수, 상기 전류, 상기 전압, 또는 상기 극성이 조절된 전원을 직류, 펄스, 상기 직류 및 상기 펄스가 혼합된 형태, 또는 교류와 상기 펄스가 혼합된 형태로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KR1020120069726A 2012-06-28 2012-06-28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KR101387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726A KR101387688B1 (ko) 2012-06-28 2012-06-28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726A KR101387688B1 (ko) 2012-06-28 2012-06-28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03A KR20140002903A (ko) 2014-01-09
KR101387688B1 true KR101387688B1 (ko) 2014-04-25

Family

ID=5013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726A KR101387688B1 (ko) 2012-06-28 2012-06-28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5063B (zh) * 2016-07-19 2019-03-12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维持污染土壤电动修复效率的在线补水装置及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112A (ko) * 2006-07-04 2007-01-31 아펠블루셈 리센티스 비.브이. 오염된 토양의 전기적으로 향상된 인 시츄 정화
KR20090054087A (ko) * 2007-11-26 2009-05-29 한국전기연구원 전기동력학을 이용한 토양 복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1144A (ko) * 2009-11-09 2011-05-17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공명형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112A (ko) * 2006-07-04 2007-01-31 아펠블루셈 리센티스 비.브이. 오염된 토양의 전기적으로 향상된 인 시츄 정화
KR20090054087A (ko) * 2007-11-26 2009-05-29 한국전기연구원 전기동력학을 이용한 토양 복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1144A (ko) * 2009-11-09 2011-05-17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공명형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03A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548B1 (ko) 전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전기동력학적 토양 정화 시스템
EP2969275B1 (en) In situ remediation of soils and groundwater containing organic contaminants
CN102976472A (zh) 一种铁阴极电芬顿地下水修复方法
HK1108402A1 (en) Electrolytic eluent generator and method of use
CN106734176A (zh) 土壤/固体废物污染环保修复系统以及修复方法
JP2006346549A (ja) 汚染土壌の原位置浄化方法
KR101297089B1 (ko) 전원 조절 기능을 갖는 전기동력학적 토양 정화 시스템
KR101387688B1 (ko) 토양 오염 정화 시스템
KR100406766B1 (ko) 동전기를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CN104817139B (zh) 上流式电芬顿固定床反应装置
CN105750322A (zh) 一种基于电势差的导流电极布设与场强补偿方法
CN109304365B (zh) 一种锑污染土壤用电动修复方法
KR100735036B1 (ko) 펄스파워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저항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928215B1 (ko) 일체형 전극 모듈을 이용한 토양 복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93349A (ko) 전력저감형 전기역학적 토양 정화 방법
KR20140010612A (ko) 전원 분배 기능을 갖는 전기동력학적 토양 정화 시스템
CN106734173A (zh) 土壤/固体废物污染环保修复系统以及修复方法
KR20140006127A (ko) 유출수 재활용이 가능한 토양 정화 시스템
JP2005161171A (ja) 土壌汚染浄化構造およびその方法
CN110369479A (zh) 基于带电胶体在电场中的移动的原理富集土壤重金属钒的方法
CN104556311A (zh) 一种循环冷却水的杀菌方法及应用
CN111132938B (zh) 电力控制装置和方法
JP3834808B2 (ja) 有機塩素化合物の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CR20230291A (es) Métodos y sistemas de tratamiento de agua
KR20090054089A (ko) 단계적 전원인가 장치를 이용한 토양 복원 시스템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