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485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진 데이터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진 데이터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485B1
KR101387485B1 KR1020070065137A KR20070065137A KR101387485B1 KR 101387485 B1 KR101387485 B1 KR 101387485B1 KR 1020070065137 A KR1020070065137 A KR 1020070065137A KR 20070065137 A KR20070065137 A KR 20070065137A KR 101387485 B1 KR101387485 B1 KR 101387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pictur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pecial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059A (ko
Inventor
허한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4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식별정보가 포함된 다수의 사진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일자별로 분류된 형태로 사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 사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진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진 데이터 표시방법{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진 앨범 표시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과정의 실시 예를 나타낸 화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의 표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의 표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사진 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의 실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포토 앨범에서 특별한 식별정보(이하 "별표"라 칭함)를 가진 사진 만을 필터링하여 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진 데이터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 앨범 기능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도 1a와 같이 한 장씩 보여주는 경우와 도 1b와 같이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형태는 각 사진에 커서를 위치시키기 전에는 사진 촬영 일자 등의 정보를 알 수 없고 그에 따른 부가정보(context)를 알 수 없다.
본 발명은 저장된 사진 데이터의 부가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식별정보를 가진 사진 데이터만을 정렬하여 보여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기 화면에서 별도의 식별정보를 가진 사진 데이터만 슬라이드 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진 저장시 간단히 별도의 식별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저장된 사진 데이터를 일자별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특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식별 정보를 가진 사진 데이터만을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특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식별정보를 가진 사진 데이터를 일자별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특징은 식별정보가 사진 소정 부위에 별표의 형태로 표시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특징은 대기화면에서 식별정보를 가진 사진만을 슬라이드 쇼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특징은 대기화면에서 식별정보를 가진 사진들의 일부가 중첩되면서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식별정보가 포함된 다수의 사진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그 식별정보를 가진 사진만을 선택하여 이를 일자별로 분류된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 사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는, 무선통신부(100), 입력부(200), 제어부(300), 저장부(400) 및 출력부(500)를 포함한다.
한 구성요소들(100, 200, 300, 400, 500) 중, 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로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는, 휴대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를 포함하여 이동통신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1)의 구성요소별 개략적인 기능 및 동작을 설명한다.
무선통신부(100)는 무선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연결, 화상 호 연결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무선 인터넷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신호는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00)는 다양한 무선 신호를 각각 검색하여 수신하기 위한 별개의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0)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구현되는 외부의 단말 및/또는 서버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방송용 모듈(120)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용 모듈(120)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용 모듈(120)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정보는, DMB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에 포함된 형태로 수신될 수도 있다. 또는,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는, 와이브로(wide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iMax), 와이파이(WiFi), 무선 랜(Wireless LAN), HSDPA(High Speed Download Packet Access), WCDMA(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00)는, 단말기(1)의 사용자로부터 키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키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키 입력부(210)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210)는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200)는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오디오 입력부(220)를 포함한다. 오디오 입력부(220)는 마이크(microphone)를 포함한다.
입력부(200)는 외부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비디오 입력부(230)를 포함한다. 비디오 입력부(230)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을 포함한다.
제어부(300)는 단말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들(100, 200, 400, 500)이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들(100, 200, 400, 500)은 제어부(300)로부터 발생한 제어 신호에 따라 각각의 고유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400)는 단말기(1)로 입출력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1)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4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40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출력부(500)는 단말기의 동작에 관련한 정보를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의 형태로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50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510),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부(520) 및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출력부(530)를 포함한다.
오디오 출력부(510)는 스피커(speaker)를 포함한다.
비디오 출력부(5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출력부(530)는 모터(motor)를 포함한다.
저장부(400)에 저장된 사진데이터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 데이터 또는 무선통신부(100)를 통해 외부로부터 무선방식으로 수신한 사진 데이터 또는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00)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 중 일부 사진 데이터는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식별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진 데이터 표시 과정의 실시 예를 나타낸 화면들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구현은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동작하는 것을 예로 한다.
사용자가 단말기 내에 저장된 사진을 보기 위해서는 메뉴를 이용하여 사진 앨범 기능을 이용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사진 데이터의 표시 형태를 나타낸 실시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가 일자에 따라 구분(grouping)되어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3b와 같이 화면 우측의 화살표를 누르면 도 3c와 같이 이전 날짜의 사진들이 마찬가지로 날짜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진들을 날짜별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진의 표시 방식은 가장 최근의 것이 먼저 표시되게 할 수도 있고, 가장 오래된 사진부터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좌·우 방향의 설정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좌측을 누를 때 현재 화면에 표시된 날짜의 사진 데이터 이전 일자의 사진을 표시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현재 화면에 표시된 날짜의 사진 데이터 이후 일자의 사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의 표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는 사진 데이터 중 일부 사진들은 소정 부위에 특별한 표식(예를 들어 "별표")을 가지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별표" 표시된 사진들만 보고 싶은 경우, 도 4b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 "Starred" 옵션 버튼을 누른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 중 별표 표식을 가진 사진만을 추출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4c에서와 같이 별표 표식만을 가 진 사진들만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도 3a에서와 같이 각 일자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Starred" 옵션 버튼은 "All photos"로 변경되어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a의 상태에서 임의의 사진을 선택하면 도 5a와 같이 "한 장 보기 모드"가 된다. 화면에는 현재 선택된 사진의 좌·우에는 선택된 사진의 전·후 사진의 일부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3차원의 영상처럼 좌·우측 벽면에 걸린 액자처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우측 사진을 선택하면 도 5b와 같이 사진들이 한 장씩 좌측으로 쉬프트(shift)되면서 우측에 있던 사진이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이때 우측에는 새로운 사진이 위치하고, 이전에 중앙에 위치했던 사진은 좌측에 표시되게 된다. 사진들의 움직임이 마치 슬로우 비디오를 보는 듯 부드럽게 그 위치를 변환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별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온/오프 (on/off)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의 좌측 하단에 별표 표식이 있다. 사용자는 이 표식을 클릭(또는 선택)하여 별표를 마크할 수 있다. 온/오프는 토글(toggle)의 형태로 바뀐다. 즉, 오프(on)상태에서 클릭을 하면 도 6b와 같이 별표의 색상이 변하면서 온(on) 상태로 변환된다. 그 반대의 경우도 동일하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별표 마크를 가진 사진들만을 대기화면(wallpaper)에서 슬라이드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대기화면을 설정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별표로 표시된 사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종래의 대기화면 설정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사진앨범에서 별표 마 크를 갖도록 설정된 사진들만이 대기화면에서 슬라이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진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단말기 내에 저장된 사진을 일자별로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저장된 혹은 사진의 저장시에 별표 표식을 설정할 수 있다.
셋째, 별표 표식을 가진 사진만을 한번에 정리하여 볼 수 있다.
넷째, 별표 표식을 가진 사진만을 대기화면에서 슬라이드 형태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촬영일자 정보가 포함된 다수의 사진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사진이 상기 촬영일자 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사진이 상기 촬영일자 별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옵션 선택 입력이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진 중, 특별한 식별표시가 중첩되어 표시된 사진만이 상기 촬영일자 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별한 식별 표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진에 대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별한 식별표시가 사진 소정 부위에 별표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이 슬라이드 쇼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 쇼가 대기화면에서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촬영일자 정보가 포함된 다수의 사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
    상기 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진을 상기 촬영일자 별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상기 사진이 상기 촬영일자 별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옵션 선택 입력이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진 중, 특별한 식별표시가 중첩되어 표시된 사진만을 상기 촬영일자 별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특별한 식별표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진에 대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진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한 식별표시가 중첩되어 표시된 사진은 대기화면에서 슬라이드 쇼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진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70065137A 2007-06-29 2007-06-29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진 데이터 표시방법 KR101387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137A KR101387485B1 (ko) 2007-06-29 2007-06-29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진 데이터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137A KR101387485B1 (ko) 2007-06-29 2007-06-29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진 데이터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059A KR20090001059A (ko) 2009-01-08
KR101387485B1 true KR101387485B1 (ko) 2014-04-21

Family

ID=4048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137A KR101387485B1 (ko) 2007-06-29 2007-06-29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진 데이터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627A1 (ko) * 2016-10-12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24B1 (ko) * 2009-11-13 201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682A (ja) * 2004-03-30 2005-10-13 Olympus Corp デジタルカメラ、アルバム管理方法、およびアルバム管理プログラム
JP2007067768A (ja) * 2005-08-31 2007-03-15 Sony Corp 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682A (ja) * 2004-03-30 2005-10-13 Olympus Corp デジタルカメラ、アルバム管理方法、およびアルバム管理プログラム
JP2007067768A (ja) * 2005-08-31 2007-03-15 Sony Corp 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627A1 (ko) * 2016-10-12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059A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35059B (zh)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9124785B2 (en) Method for receiving low-resolution and high-resolution images and device therefor
US8433370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639296B2 (en) Mobile device and an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EP303383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660544B2 (en) Mobile terminal, method of displaying data therein and method of editing data therein
EP2051486B1 (en) Mobil terminal and data uploading method thereof
US20160227285A1 (en) Browsing videos by searching multiple user comments and overlaying those into the content
US8244294B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20110275416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07157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laying data therein
US20100245346A1 (en) Image Receiving Apparatus and Memory Medium
EP1952625A1 (en) Electronic program guide for mobile tv device
US9621800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A2641054C (en) Mobile terminal process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data play and playing data according to information
KR1013874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진 데이터 표시방법
KR201400660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스처 레코딩 방법
KR20140123280A (ko)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US20080244469A1 (en) Method of optimizing the displaying of image media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N110933300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和电子终端设备
KR101141654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단말기
KR101427263B1 (ko) 이동 단말기의 파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A2583062C (en) Method of optimizing the displaying of image media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JP2008079086A (ja) 携帯端末
KR101351035B1 (ko) 단말기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