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747B1 -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747B1
KR101386747B1 KR1020130072871A KR20130072871A KR101386747B1 KR 101386747 B1 KR101386747 B1 KR 101386747B1 KR 1020130072871 A KR1020130072871 A KR 1020130072871A KR 20130072871 A KR20130072871 A KR 20130072871A KR 101386747 B1 KR101386747 B1 KR 101386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usage
energy saving
building
te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연주
정근수
이승민
한송수
최해문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2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Measuring mean values of current or voltage during a given time inter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는 건물에 설치된 변압기 각각에 대해 과부하가 걸리는지를 판단하고, 룩업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입주사 중에서 상기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판단된 변압기와 연결된 입주사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입주사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의 측정치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결정된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이 많은 상위 N(상기 N은 자연수)개의 입주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입주사에 전력 절감 통지를 전송하는 통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DEVIE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POWER BASED OF MONITORING ELECTRIC POWER USAGE ACCORDING TO TENANT COMPANY OF BUILD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현재 전력 수급 상황을 보면, 전력수요 급증으로 인해 순환정전이 발생되고 있고, 차후에도 피크 전력 급상승에 따른 공급 능력 부족으로 대규모 정전이 예측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력 수급 대책을 발표하였는데, 이러한 전력 수급 대책에 따르면 절전 사용자에게는 전기요금을 감면해주는 반면에, 과다 사용자에게 기본요금을 할증하도록 하는 요금제도를 새로 도입하여 과다 사용자에게 경제적 비용 부담을 가중하도록 하고 있다.
대형건물의 경우 전력사용량 절감을 위해 난방온도를 20도 이하로 유지하고 냉방온도를 26도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건물 내 개인들은 개인용 전기 난방기구를 사용하는 등 오히려 전력 사용량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전기사용을 관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층별, 사무실과 같은 파트별로 각각의 전력사용량을 계측하는 장치는 전무한 상태에서 막연한 현장 단속만을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건물 내 설비된 전력 계량기를 통해 단순히 일일 사용량을 확인하는 등의 조치로는 전기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너무 미흡하여, 막연한 절전만 외칠 뿐 실제적으로 전기사용량의 절감은 거의 효과가 없는 실정이다.
또한, 보통 대형 건물의 전기사용량은 전체 사용량을 사용자의 수나 파트별로 균등하게 분할하여 전기요금이 책정되고 있어, 실제로 각 층별로 전기사용량을 확인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실제적으로 어느 부분에서 전력사용이 급증하는지를 체크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건물의 입주사별로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건물의 전력 관리를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190994호(발명의 명칭: 지능형 전력 기기 기반 유비쿼터스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록일자: 2012년 10월 8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물 내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근거하여 건물 내 입주사별 전력 관리를 할 수 있는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물 내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뿐만 아니라 전력 사용량의 순간 변화율도 함께 고려하여, 짧은 순간 동안 전력을 집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입주사에 대해서도 전력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력 사용량이나 그 순간 변화율이 높은 입주사에게 전력 절감 통지를 함으로써, 해당 입주사로 하여금 전력 사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력 절감 통지를 통해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벤트 응모 시 계획된 에너지 절감 플랜에 따라 해당 입주사의 전기기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입주사로 하여금 전력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는 건물에 설치된 변압기 각각에 대해 과부하가 걸리는지를 판단하고, 룩업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입주사 중에서 상기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판단된 변압기와 연결된 입주사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입주사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의 측정치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결정된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이 많은 상위 N(상기 N은 자연수)개의 입주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입주사에 전력 절감 통지를 전송하는 통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율을 연산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의 순간 변화율을 측정하고, 상기 순간 변화율의 측정치 및 상기 전력 사용량의 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건물에 설치된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가 연결되어 있는 입주사를 매칭하여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지부는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관한 내용 및 유알엘(URL) 정보를 상기 전력 절감 통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유알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입주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의 응모 시에 입력된 에너지 절감에 관한 내역에 기초하여 에너지 절감 플랜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에너지 절감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한 입주사와 연관된 전기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절감에 관한 내역은 에너지 절감 미션을 위한 에너지 절감량, 참여 희망 시간 및 참여 대상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의 응모 시, 에너지 절감 미션에 참여를 희망하는 시간이 동일한 입주사의 개수가 기준치(그 시간대의 전기 사용량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에 참여를 희망하는 전기기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에 참여를 희망하는 시간이 동일한 입주사에 대한 미션 참여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미션 참여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의 응모 결과에 따른 당첨 입주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당첨 입주사와 연관된 전기기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한 입주사의 전력 사용 절감량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액을 산정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한 입주사별로 일정기간 동안의 전력 사용 절감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된 랭킹 상위 N(상기 N은 자연수)개의 입주사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인센티브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방법은 전력 관리 장치의 검출부에서, 건물에 설치된 변압기 각각에 대해 과부하가 걸리는지를 판단하고, 룩업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입주사 중에서 상기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판단된 변압기와 연결된 입주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력 관리 장치의 측정부에서, 상기 검출된 입주사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의 측정치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관리 장치의 통지부에서, 상기 결정된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이 많은 상위 N(상기 N은 자연수)개의 입주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입주사에 전력 절감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내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근거하여 건물 내 입주사별 전력 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내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뿐만 아니라 전력 사용량의 순간 변화율도 함께 고려하여, 짧은 순간 동안 전력을 집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입주사에 대해서도 전력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사용량이나 그 순간 변화율이 높은 입주사에게 전력 절감 통지를 함으로써, 해당 입주사로 하여금 전력 사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절감 통지를 통해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벤트 응모 시 계획된 에너지 절감 플랜에 따라 해당 입주사의 전기기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입주사로 하여금 전력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참여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에너지 매니저 로그인 화면 및 회원가입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에너지 현황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에너지 차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절약 플래너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기본 환경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시설 및 장비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사용자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팝업(알림창)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유저 등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로그인 이벤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는 에너지 절감 랭킹 이벤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에너지 전체 사용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공용/세대별 에너지 전체 사용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부하관리(일일)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부하관리(일일) 세부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부하관리(주간)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기본환경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공용시설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변압기(TR)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100)는 검출부(110), 측정부(120), 통지부(130), 저장부(140), 관리부(150), 표시부(160), 인센티브 제공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10)는 건물에 설치된 변압기 각각에 대해 과부하가 걸리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검출부(110)는 상기 건물에 마련된 전류 측정 시스템과 연계하여 상기 변압기 각각의 전류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류 값을 임계 값과 비교하여 상기 변압기 각각에 대한 과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출부(110)는 상기 측정된 전류 값이 상기 입계 값보다 큰 경우에 해당하는 변압기에 대해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10)는 상기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판단된 변압기를 거쳐서 전류를 공급받는 건물 내 입주사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검출부(110)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부(110)는 상기 룩업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입주사 중에서 상기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판단된 변압기와 연결된 입주사를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룩업테이블은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 하기 이전에 미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건물에 설치된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가 연결되어 있는 입주사를 매칭하여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검출된 입주사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건물에 마련된 전류 측정 시스템에 포함된 스마트 미터(smart meter)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스마트 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입주사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전력 사용량의 측정치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전력 사용량의 측정치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전력 사용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율을 연산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의 순간 변화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순간 변화율의 측정치 및 상기 전력 사용량의 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전력 사용량만을 측정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짧은 순간(예: 15분 이내) 동안 전력을 집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간과하게 되어, 결국 전력 사용량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력 사용량뿐만 아니라 상기 전력 사용량의 순간 변화율도 함께 고려하여, 짧은 순간 동안 전력을 집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지부(130)는 상기 결정된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이 많은 상위 N(상기 N은 자연수)개의 입주사를 선정한다. 이때, 상기 통지부(1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력 사용량이 많은 상위 N개의 입주사를 선정할 수도 있지만, 전력 사용량의 순간 변화율이 높은 상위 N개의 입주사를 선정할 수도 있다. 또 달리, 상기 통지부(130)는 전력 사용량이 많으면서 그 순간 변화율도 높은 상위 N개의 입주사를 선정할 수도 있다.
상기 통지부(130)는 상기 선정된 입주사에 전력 절감 통지를 전송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력 사용량이나 그 순간 변화율이 높은 입주사에게 전력 절감 통지를 함으로써, 해당 입주사로 하여금 전력 사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지부(130)는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관한 내용 및 유알엘(URL) 정보를 상기 전력 절감 통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절감 통지를 전송받은 입주사의 단말기는 상기 전력 절감 통지에 포함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사이트 접속을 통해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하는 경우, 상기 관리부(150)는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의 응모 시에 입력된 에너지 절감에 관한 내역에 기초하여 에너지 절감 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절감에 관한 내역은 에너지 절감 미션을 위한 에너지 절감량, 참여 희망 시간 및 참여 대상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관리부(150)는 어느 정도의 양만큼 에너지를 절감할 것인지, 어느 시간대에 참여를 희망하는지, 어떤 전기기기를 대상으로 참여할 것인지 등의 입력 데이터에 따른 에너지 절감에 관한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150)는 상기 생성된 에너지 절감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한 입주사와 연관된 전기기기(이벤트 참여 대상 전기기기로서 예를 들면 조명기기, 냉난방기기, 컴퓨터 등을 포함)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의 응모 시, 에너지 절감 미션에 참여를 희망하는 시간이 동일한 입주사가 다수 존재하여 그 개수가 기준치(참여 희망 시간대의 전기 사용량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를 초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관리부(150)는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에 참여를 희망하는 전기기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에 참여를 희망하는 시간이 동일한 입주사에 대한 미션 참여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150)는 상기 결정된 미션 참여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의 응모 결과에 따른 당첨 입주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당첨 입주사와 연관된 전기기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한 입주사의 전력 사용 절감량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액을 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센티브 제공부(170)는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한 입주사별로 일정기간 동안의 전력 사용 절감량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인센티브 제공부(17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된 랭킹 상위 N개의 입주사에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100), 즉 상기 검출부(110), 상기 측정부(120), 상기 통지부(130), 상기 저장부(140), 상기 관리부(150), 상기 표시부(160), 상기 인센티브 제공부(17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10)에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100)의 검출부(110)는 건물에 설치된 변압기 각각에 대해 과부하가 걸리는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단계(220)에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100)의 검출부(110)는 룩업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입주사 중에서 상기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판단된 변압기와 연결된 입주사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단계(230)에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100)의 측정부(120)는 상기 검출된 입주사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의 측정치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전력 관리 장치(100)의 측정부(120)는 상기 전력 사용량의 순간 변화율을 측정할 수 있으며, 그 순간 변화율 측정치를 상기 전력 사용량의 측정치와 함께 상기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240)에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100)의 통지부(130)는 상기 결정된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이 많은 상위 N개의 입주사를 선정한다.
다음으로, 단계(250)에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100)의 통지부(130)는 상기 선정된 입주사에 전력 절감 통지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참여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10)에서 전력 절감 통지를 전송받은 입주사의 단말기는 상기 전력 절감 통지에 포함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한다.
다음으로, 단계(320)에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100)의 관리부(150)는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의 응모 시에 입력된 에너지 절감에 관한 내역에 기초하여 에너지 절감 플랜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계(330)에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100)의 관리부(150)는 상기 생성된 에너지 절감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한 입주사와 연관된 전기기기의 운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건물 내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근거하여 건물 내 입주사별 전력 관리를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건물 내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뿐만 아니라 전력 사용량의 순간 변화율도 함께 고려하여, 짧은 순간 동안 전력을 집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입주사에 대해서도 전력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력 사용량이나 그 순간 변화율이 높은 입주사에게 전력 절감 통지를 함으로써, 해당 입주사로 하여금 전력 사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력 절감 통지를 통해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벤트 응모 시 계획된 에너지 절감 플랜에 따라 해당 입주사의 전기기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입주사로 하여금 전력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17은 빌딩 에너지 유저 가이드를 위한 매뉴얼이고, 도 18 내지 도 26은 빌딩 에너지 매니저 가이드를 위한 매뉴얼이다.
도 4는 에너지 매니저 로그인 화면 및 회원가입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매니저(Energy Manager) 로그인 화면으로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한다. 계정이 없는 경우 도 4의 ii)와 같은 회원가입 화면으로 이동한다. 참고로, 도 4의 i)에 도시된 에너지 로그인 화면은 에너지 매니저/유저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로그인 아이디의 권한에 따라 빌딩 관리자 화면 또는 빌딩 이용자 화면으로 이동한다. 빌딩 이용자는 권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1. 에너지 마스터: 입주세대 대표 관리자
2. 에너지 매니저: 입주세대 에너지 관리 직원
3. 에너지 유저: 입주세대 일반 직원
한편, 도 4의 ii)에 도시된 회원가입 화면을 통해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 회사별로 배포된 인증코드를 입력하고, 아이디를 입력한 후 그 중복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휴대폰번호를 입력하면 회원가입이 완료된다.
도 5는 에너지 현황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현황 화면에서 오늘 날짜와 접속자 정보(업체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화살표를 이용하여 다른 날짜의 일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현황을 일, 주, 월, 통합(월간비교)을 선택하여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의 ii), iii), iv) 는 각각 에너지 현황을 주, 월, 통합(월간비교) 단위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시 도 5의 i)을 참조하면, 오늘(현재 기준) 사용한 전력요금 현황을 알려 주며, 어제보다 얼마 더 사용하였는지 전일 요금과 비교하여 알려준다(주는 지난주 요금과 비교, 월은 지난달 요금과 비교, 통합은 해당 월 요금을 알려줌).
또한, 매 시간 사용한 전력량(kW)을 막대 그래프로 알려 주되, 주는 요일별 전력량, 월은 일별 전력량, 통합은 월별 전력량을 막대 그래프로 알려준다.
도 6 및 도 7은 에너지 차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차트 내 선택 메뉴 바(랭킹, 포인트)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랭킹 페이지, 포인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랭킹 페이지이고 도 7은 포인트 페이지이다.
도 6의 랭킹 페이지에서는 여러 업체의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하여 당사의 에너지 사용률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비교하여 준다. 베스트(BEST) 순위는 전체 중 최고 순위 5개 업체만 노출될 수 있다.
도 7의 i)과 같은 포인트 페이지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 기간 중 획득한 에너지 절감 포인트 누적점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진행된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7의 ii)에서와 같이 에너지 절감포인트와 이벤트 리스트가 나오지 않는다.
도 8은 절약 플래너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8의 i)은 에너지 마스터로 설정된 인원이 직접 에너지 플랜을 할 수 있는 화면이다. 이 화면에서는 알림 여부 선택 시 팝업으로 매니저가 행동할 수 있도록 알려주며, 시간 및 % 설정 을 페이지 이동 없이 설정할 수 있다.
도 8의 i)에서 설정 해당 영역을 터치하면, 도 8의 ii) 아래 부분에 설정 영역이 노출된다. 도 8의 iii)에서는 설정된 결과에 따라 월간 예상절감금액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며, 설정 저장시 그 시간에 맞춰 알림 메시지가 전달된다.
도 9는 기본 환경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기본 환경 설정 화면에서는 에너지 마스터(Master)가 전체적인 사업장 에너지 플랜을 할 수 있는데, 특히 기본 환경 설정이 가능한 영역이다. 이 영역에서는 개업시기, 재실인원, 근무시간, 점심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시설 및 장비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시설 및 장비 설정 화면에서는 마스터가 시설과 장비를 재설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도 10의 i)에서 상단의 '+' 아이콘 터치 시, 도 10의 ii)와 같이 시설 및 장비를 추가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고, 도 10의 i)에서 시설 각 명칭 옆에 있는 아이콘 터치 시, 도 10의 iii)과 같이 목록을 접을 수 있으며, 도 10의 i)에서 해당 장비 터치 시, 도 10의 iv)와 같이 수정을 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의 ii), iii), iv) 화면에서는 장비 수정 및 추가 시 소요전력, 설치수량을 설정 할 수 있다.
도 11은 사용자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 화면에서는 에너지마스터 비밀번호 변경 및 에너지매니저, 에너지유저 추가를 할 수 있으며, 에너지 매니저 관리업무 설정 및 에너지 유저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는 해당 매니저에게 담당할 관리업무를 부여할 수 있고, 마스터는 유저들이 볼 수 있는 메뉴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도 11의 i)에 도시된 사용자 설정 화면에서 '+' 아이콘을 터치하면, 도 11의 ii)와 같은 화면으로 이동하여 매니저 및 유저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i)에 도시된 사용자 설정 화면에서 '비밀번호 변경'을 터치하면, 도 11의 iii)과 같은 화면으로 이동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2는 팝업(알림창)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i) ~ viii)에 도시된 각각의 도면은 절약플래너 설정에 따라 에너지 매니저에게 전달되는 알림 메시지들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들은 팝업 화면을 통해 매일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전달되며, 에너지 매니저별로 알림메시지 전달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3은 유저 등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유저는 입주세대 사용자로서, 사업장 전체 관리자인 에너지 마스터, 에너지 관리 책임자인 에너지 매니저, 사업장 근로자인 에너지 유저와 같이 3가지 등급으로 구분된다.
도 14는 로그인 이벤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i)에서와 같이 로그인 하면 스탬프를 받을 수 있다(1일 1회). 도 14의 ii)에서와 같이, 일정 횟수의 스탬프를 받은 후 도 14의 i)에서 '확인'을 클릭하면, 로그인 이벤트에 자동으로 응모된다. 도 14의 ii)에서 '확인'을 클릭하면, 도 14의 iii)에서와 같이 이벤트에 참여한 분들 중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보내준다.
도 15는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는 빌딩 내 입주한 유저들에게 부하관리 스케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Push 메시지를 발송하고, 그에 따라 에너지 절감에 성공한 입주사 내 참여자에게 리워드 포인트를 제공하며, 프로모션 완료 시점에 포인트에 따른 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에너지 절감 습관을 조성하고, 에너지 절감 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5의 i)에서와 같이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가 있을 경우 푸쉬메시지를 받을 수 있다. 도 15의 i)에서 '이벤트 보기'를 클릭하면, 도 15의 ii)에서와 같이 이벤트 화면으로 이동한다. 도 15의 ii)에서 '미션 참여'를 클릭하면, 도 15의 iii)에서와 같이 미션에 참여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에 이어서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i)에서와 같이 참여한 미션의 성공 여부와 획득한 포인트 내역은 앱을 실행하여 에너지 차트의 포인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벤트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6의 ii)에서와 같이 에너지 절감포인트와 이벤트 리스트가 나오지 않는다.
도 17는 에너지 절감 랭킹 이벤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에너지 절감 랭킹 이벤트는 빌딩 내 입주사들의 절감률을 비교하여 일정기간 내 랭킹 상위 업체를 대상으로 포상금을 제공하고, 포상 내용을 공지하여 에너지 절약 캠페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다.
도 17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일 BEST 에너지 절약 기업 상위 5위의 순위를 보여주고, 1주일간 랭킹변동을 집계하여 선정된 1위 업체에 포상금(예: 회식비 50만 원)을 제공한다. 또한, 도 17의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을 통해 에너지 절감 우수 업체 포상 내역을 공지한다.
도 18는 에너지 전체 사용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전체 사용량 화면에서는 오늘 날짜와 접속빌딩 정보(빌딩명)를 확인할 수 있고, 화살표를 이용하여 다른 날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빌딩 에너지 현황을 일, 주, 월을 선택하여 파악할 수 있으며, 전체/공용/세대별로 사용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오늘(현재 기준) 사용한 전력사용 현황을 알려 줄 수 있고, 월간 전력사용 현황 정보도 같이 확인하여 월 대비 금일 전력 사용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의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는 월간 사용량과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도 18의 i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은 지난달 사용량과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에 이어서 에너지 전체 사용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전체 사용량 화면에서는 빌딩 내 설치된 각각의 변압기 사용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시간대 별로 사용 전력을 막대 그래프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9의 i)에서 'TR1'을 터치하면, 도 19의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 'TR1'의 상세 정보 현황 화면을 제공하며, 이 상세 정보 현황 화면을 통해 시간 별 사용량과 최대 사용량 및 평균 사용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ii)에서 '상세'를 터치하면, 변압기 사용 입주세대 현황, 입주세대 별 전력사용량 및 부하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도 20은 공용/세대별 에너지 전체 사용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의 공용/세대별 에너지 전체 사용량 화면은 도 18 및 도 19의 에너지 전체 사용량 화면의 세부 기능과 동일하다.
도 20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에너지 전체 사용량 화면에서는 입주세대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엘리베이터, 복도 전등 등의 전력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0의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별 에너지 전체 사용량 화면에서는 각 입주세대들이 사용하는 전력량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도 21은 부하관리(일일)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관리(일일) 화면에서는 부하관리 DR 시행 시작 및 남은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일' 또는 '주간'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부하관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일 전력 사용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공용/전체/세대 전력사용량 금일 정보를 분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21의 ii) 내지 iv)에서와 같이 공용/전체/세대 전력 사용량 금일 정보를 각각 그래프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한눈에 쉽게(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1의 v)에서와 같이, 부하관리 세대 상세 화면을 통해 입주세대 중 평균 부하가 높은 입주세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2는 부하관리(일일) 세부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의 i)에 도시된 부하관리(일일) 화면에서 부하관리 '전체'를 터치하면, 도 22의 i)와 같은 부하관리 전체 세부화면으로 이동한다. 상기 부하관리 전체 세부화면에서는 전체 부하, 공용 부하, 세대 부하에 관한 정보, 및 시간별 전체 전력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1의 i)에 도시된 부하관리(일일) 화면에서 부하관리 '공용'을 터치하면, 도 22의 ii)와 같은 부하관리 공용 세부화면으로 이동한다. 상기 부하관리 공용 세부화면에서는 전체 부하, 공용 부하에 관한 정보, 및 시간별 공용전력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1의 i)에 도시된 부하관리(일일) 화면에서 부하관리 '세대'를 터치하면, 도 22의 iii)와 같은 부하관리 세대 세부화면으로 이동한다. 상기 부하관리 세대 세부화면에서는 전체 부하, 세대 부하에 관한 정보, 및 시간별 세대전력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2의 iii)에 도시된 부하관리 세대 세부화면에서 '상세'를 터치하면, 도 22의 iv)와 같은 부하관리 세대 상세 화면으로 이동한다. 상기 부하관리 세대 상세 화면에서는 입주세대 중 평균 부하가 높은 입주세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3은 부하관리(주간)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관리(주간) 화면에서는 주간 부하관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부하관리 시간 때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여 절감 예상 금액 및 성공 여부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주간 부하 절감 사례가 없을 경우에는 도 23의 i)과 같은 화면을 제공하고, 주간 부하 절감 사례가 있을 경우에는 도 23의 ii)와 같은 화면을 제공하여 절감 예상 금액 및 성공 여부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4는 기본환경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환경 설정 화면에서는 빌딩 매니저가 빌딩 에너지 플랜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본환경 설정으로는 기본환경, 공용시설, 및 변압기(TR) 설정이 있다.
또한, 상기 기본환경 설정 화면에서는 기본 환경 및 전력 계약종별 설정이 가능한 영역을 제공한다. 상기 기본 환경의 경우 빌딩 개업시기, 관리인원, 청소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계약종별 설정에서는 전력사용 용도, 계약전력, 전력량계, 역률, 수전 전압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5는 공용시설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용시설 설정 화면에서는 공용시설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단계 옆 아이콘을 터치하여 단계 목록을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으며, '+' 아이콘을 터치하여 공용시설을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목록 중 수정하고 싶을 경우 해당 목록을 터치하면, 터치 목록을 수정할 수 있다.
도 25의 ii)는 단계 목록을 접은 화면이고, 도 25의 iii)은 공용시설 추가 화면이다. 또한, 도 25의 iv)는 공용시설 수정 화면이고, 도 25의 v)는 가동시간 설정화면이다. 상기 가동시간 설정화면에서는 공용시설의 가동시간을 설정하고, 가동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에 알림 메시지를 받아볼 수 있다.
도 26은 변압기(TR)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R 설정 화면에서는 변압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R 옆 아이콘을 터치하여 TR 목록을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다. 상기 TR 설정 화면에서는 실질적인 변압기 목록 수정은 불가하며, 변압기 위치 및 이용전력에 대한 정보 및 사용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6의 ii)는 TR 목록을 접은 화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검출부
120: 측정부
130: 통지부
140: 저장부
150: 관리부
160: 표시부
170: 인센티브 제공부
180: 제어부

Claims (10)

  1. 건물에 설치된 변압기 각각에 대해 과부하가 걸리는지를 판단하고, 룩업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입주사 중에서 상기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판단된 변압기와 연결된 입주사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입주사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의 측정치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결정된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이 많은 상위 N(상기 N은 자연수)개의 입주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입주사에 전력 절감 통지를 전송하는 통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부는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관한 내용 및 유알엘(URL) 정보를 상기 전력 절감 통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율을 연산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의 순간 변화율을 측정하고, 상기 순간 변화율의 측정치 및 상기 전력 사용량의 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에 설치된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가 연결되어 있는 입주사를 매칭하여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알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입주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의 응모 시에 입력된 에너지 절감에 관한 내역에 기초하여 에너지 절감 플랜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에너지 절감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한 입주사와 연관된 전기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에 관한 내역은
    에너지 절감 미션을 위한 에너지 절감량, 참여 희망 시간 및 참여 대상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의 응모 시, 에너지 절감 미션에 참여를 희망하는 시간이 동일한 입주사의 개수가 기준치(그 시간대의 전기 사용량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에 참여를 희망하는 전기기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에 참여를 희망하는 시간이 동일한 입주사에 대한 미션 참여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미션 참여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의 응모 결과에 따른 당첨 입주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당첨 입주사와 연관된 전기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한 입주사의 전력 사용 절감량에 따른 전기요금 절감액을 산정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한 입주사별로 일정기간 동안의 전력 사용 절감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된 랭킹 상위 N(상기 N은 자연수)개의 입주사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인센티브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10. 전력 관리 장치의 검출부에서, 건물에 설치된 변압기 각각에 대해 과부하가 걸리는지를 판단하고, 룩업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의 입주사 중에서 상기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판단된 변압기와 연결된 입주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력 관리 장치의 측정부에서, 상기 검출된 입주사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의 측정치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관리 장치의 통지부에서, 상기 결정된 전력 사용량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이 많은 상위 N(상기 N은 자연수)개의 입주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입주사에 전력 절감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정된 입주사에 전력 절감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상기 에너지 절감 미션 이벤트에 관한 내용 및 유알엘(URL) 정보를 상기 전력 절감 통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방법.
KR1020130072871A 2013-06-25 2013-06-25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386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871A KR101386747B1 (ko) 2013-06-25 2013-06-25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871A KR101386747B1 (ko) 2013-06-25 2013-06-25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747B1 true KR101386747B1 (ko) 2014-04-17

Family

ID=5065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871A KR101386747B1 (ko) 2013-06-25 2013-06-25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7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574B1 (ko) 2008-10-28 2011-03-16 한국전력공사 고객기준부하 기반의 상시 부하 저감 시스템
KR20110128830A (ko) * 2009-01-26 2011-11-30 제네바 클린테크 인코포레이티드 원격 디스플레이를 갖는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기기의 자동 검출
KR101141286B1 (ko) 2011-10-21 2012-05-04 (주) 에코센스 무정전 다측점 멀티계측기를 통한 개별 전력 소비처별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27124B1 (ko) * 2012-01-27 2013-01-31 대동산전주식회사 건물의 특정공간별 실시간 전력 및 전기요금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574B1 (ko) 2008-10-28 2011-03-16 한국전력공사 고객기준부하 기반의 상시 부하 저감 시스템
KR20110128830A (ko) * 2009-01-26 2011-11-30 제네바 클린테크 인코포레이티드 원격 디스플레이를 갖는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기기의 자동 검출
KR101141286B1 (ko) 2011-10-21 2012-05-04 (주) 에코센스 무정전 다측점 멀티계측기를 통한 개별 전력 소비처별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27124B1 (ko) * 2012-01-27 2013-01-31 대동산전주식회사 건물의 특정공간별 실시간 전력 및 전기요금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kler et al. Plug-Mate: An IoT-based occupancy-driven plug load management system in smart buildings
D’hulst et al. Demand response flexibility and flexibility potential of residential smart appliances: Experiences from large pilot test in Belgium
JP6156576B2 (ja) 電力需給制御装置、電力需給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1416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2235458A (ja) 地震活動に基づいてユーティリティ供給を遮断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6349483A (ja) 使用電力監視システム
KR20100018444A (ko) 실시간 지능 자율 부하관리 장치 및 방법
Doherty et al. Device-level plug load disaggregation in a zero energy office building and opportunities for energy savings
US10209759B2 (en) Standby power controller with external information capability
JP2014226036A (ja) 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GB2479817A (en)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central energy automation appliance and distributed energy control nodes
KR101456318B1 (ko) 부하 제어 장치에서의 부하 제어 방법
JP5731416B2 (ja) 電力制御システム、電力制御装置及び電力制御方法
WO2011039603A1 (ja) 電力監視システム
Veleva et al. Wireless smart platform for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JP2016158369A (ja) 電力消費管理装置、需要家装置、電力消費管理システム、電力消費管理方法および電力消費管理プログラム
JP2002297832A (ja) 情報処理装置、料金提示用プログラムおよび料金提示方法
JP5952069B2 (ja) 消費監視システム
JP5508250B2 (ja) 省エネルギー支援装置
KR20120072306A (ko)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386747B1 (ko) 건물의 입주사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반의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6015850A (ja) 電力消費管理装置、電力消費管理システム、電力消費管理方法および電力消費管理プログラム
KR101778543B1 (ko) 전기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4926330B2 (ja) コンサルティング用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2015014823A (ja) エネルギー使用量評価システム、エネルギー使用量評価演算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