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459B1 -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459B1
KR101386459B1 KR1020130142605A KR20130142605A KR101386459B1 KR 101386459 B1 KR101386459 B1 KR 101386459B1 KR 1020130142605 A KR1020130142605 A KR 1020130142605A KR 20130142605 A KR20130142605 A KR 20130142605A KR 101386459 B1 KR101386459 B1 KR 101386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case
unit
ligh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호상
정병권
장대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4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1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은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며 비산되는 석면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에서 포집된 상기 석면이 전달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응집되는 샘플부와, 상기 샘플부에 응집되는 상기 석면에 빛을 발광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한 상기 빛이 상기 석면에 의하여 굴절된 후 전달되어 상기 석면의 종류 및 농도를 측정하는 데이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Asbestos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중의 입자들을 포집하여 간단하게 석면을 검출할 수 있는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면(아스베스토)은 천연석으로 생산되는 광물군 중에서 높은 항장력과 유연성을 지닌 견사 모양의 특이한 광택을 나타내는 섬유상 집을 이루는 것의 속칭으로서, 모두 단일섬유가 매우 가늘며, 가는 섬유다발로 쉽게 풀어져 미소섬유나 섬유다발 상태로 대기 중에 쉽게 부유하게 된다.
이러한 석면은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절연성 등이 뛰어나기 때문에 석면 가스켓(단열재), 석면시멘트(내화재), 석면직물(방화재), 석면크레이크라이닝(마찰재)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은 건축자재와 자동차 부품, 섬유제품 등으로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우수한 기능을 가지는 석면은 섬유형태가 가늘고 날카로우며, 매우 뻣뻣하고 특히 체내보존성이 높아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이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석면은 극히 제한된 취급자만이 다룰 수 있게 하며, 그 사용 및 제거, 폐기물 처리에 관한 엄격한 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석면을 장기간 흡입하게 되면, 폐암, 악성종피종, 석면폐 등의 직업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석면을 검출하는 방식은 PLM, PCM 등의 편광,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하여 석면입자를 관찰후 계수하는 방식, XRD를 활용하여 석면고유의 광물적 특성을 분석하는 방식, SEM, TEM등 전자현미경을 활용하여 석면의 형상 및 미세구조를 관찰하는 방식 등으로 나눌수 있다.
광학현미경, XRD, 전자현미경 기반의 기존의 분석법은 실내공기의 포집, 필터링, 샘플공기내 입자상 물질의 전처리, 검지시약 염색, 편광현미경을 활용하여 육안으로 관찰, 석면섬유의 계수, XRD 분석을 통한 결정상 확인등의 다단계의 과정을 통해서만 최종적으로 석면의 종류와 공기내 농도를 결정내릴수 있는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석면 제품을 사용하는 위치에서 석면을 검출할 수 있는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석면을 검출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석면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은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며 비산되는 석면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에서 포집된 상기 석면이 전달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응집되는 샘플부와, 상기 샘플부에 응집되는 상기 석면에 빛을 발광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한 상기 빛이 상기 석면에 의하여 굴절된 후 전달되어 상기 석면의 종류 및 농도를 측정하는 데이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며 비산하는 상기 석면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포집하는 포집기와, 상기 포집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석면을 채취하여 상기 포집기로 전달하는 시료채취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시료채취기는 상기 석면으로 형성된 천장 및 벽에 회전하여 긁어내는 그라인더와, 상기 그라인더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그라인더가 상기 석면을 긁어낼 때 상기 석면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샘플부는 상기 포집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전달되는 상기 석면을 응집시키는 응집부와, 상기 응집부의 상부에 매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응집부로 응집되는 상기 석면의 분진을 하부로 전달하는 샘플필터와, 상기 응집부에 응집된 상기 석면의 종류를 염색할 수 있는 굴절시약을 분사하는 시약분사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굴절시약은 백석면, 악티놀라이트, 트레몰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염색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샘플부로 상기 빛을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빛의 색상을 조절하는 칼라필터와, 상기 칼라필터와 상기 램프의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부는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한 빛이 상기 굴절시약이 분사된 상기 석면에 반사되어 유입되는 분광센서와, 상기 분광센서로 유입된 상기 빛을 감지하여 상기 석면의 종류를 판단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의 결과 및 진행상황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바퀴가 구비되는 케이스 내부에서 석면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석면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굴절시약으로 석면을 염색한 후 색상으로 석면을 판독하므로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석면을 검출할 때 석면노출이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하여 석면을 포집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원부에서 석면으로 빛을 발광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바퀴(110)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며 비산되는 석면(20)을 포집하는 포집부(200)와, 상기 포집부(200)에서 포집된 상기 석면(20)이 전달되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응집되는 샘플부(300)와, 상기 샘플부(300)에 응집되는 상기 석면(20)에 빛을 발광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광원부(400)와, 상기 광원부(400)에서 발광한 상기 빛이 상기 석면(20)에 의하여 굴절된 후 전달되어 상기 석면(20)의 종류 및 농도를 측정하는 데이터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사각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며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110)가 구비되어 사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바퀴(110)가 구비되므로 유치원, 어린이집, 학교, 사무실 등 석면(20)함유 건축자재를 사용하는 건물에 케이스(100)를 쉽게 이동시켜 석면(20)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며 비산하는 상기 석면(20)을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포집하는 포집기(210)와, 상기 포집기(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석면(20)을 채취하여 상기 포집기(210)로 전달하는 시료채취기(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포집기(21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서 소정이상 하부로 하락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집기(210)는 상측 단부가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에 구비되므로 공기 중에 비산하는 먼지, 석면(20) 등을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포집시킬 수 있다.
상기 시료채취기(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포집기(210)의 상단에 결합되며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그라인더(221)를 회전시켜 긁어 석면(20)을 포집할 수 있다.
상기 샘플부(300)는 상기 포집부(200)에서 포집된 먼지, 석면(20) 등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포집된 후 상기 석면(20)을 응집시킬 수 있는 응집부(310)와, 상기 응집부(310)의 상부에 매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응집부(310)로 응집되는 상기 석면(20)의 분진을 하부로 전달하는 샘플필터(320)와, 상기 응집부(310)에 응집된 상기 석면(20)의 종류를 염색할 수 있는 굴절시약(340)을 분사하는 시약분사기(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응집부(310)는 상기 포집부(200)의 하단과 동일한 선상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응집부(310)는 상기 석면(20)의 분진이 하부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석면(20)의 분진을 모니터링 완료 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응집부(310)는 상기 포집부(200)에서 하부로 하락하는 상기 석면(2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포집부(200)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샘플필터(320)는 상기 응집부(3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매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샘플필터(320)는 상기 포집부(200)를 통해 상기 응집부(310)로 전달되는 상기 석면(20)을 판별하기 위하여 상기 석면(20)을 식별할 수 있는 크기를 제외한 작은 크기의 석면(20)이 하부의 응집부(3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매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약분사기(33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일 측면에 결합되어 굴절시약(340)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시약분사기(330)는 전면에 상기 굴절시약(340)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샘플필터(320) 상부에 응집되는 상기 석면(20)으로 상기 굴절시약(340)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굴절시약(340)은 백석면, 악티놀라이트, 트레몰라이트 등 다양한 석면(20)들을 염색할 수 있으며 굴절시약(340)의 종류에 따라 다른 입자상 물질과 선택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00)는 상기 샘플부(300)로 상기 빛을 발광하는 램프(410)와, 상기 램프(4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빛의 색상을 조절하는 칼라필터(420)와, 상기 칼라필터(420)와 상기 램프(410)의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케이스(1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각도조절장치(4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램프(410)는 제논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굴절시약(340)이 분사된 상기 석면(20)으로 빛을 발광하여 상기 굴절시약(340)으로 염색된 상기 석면(20)의 색차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칼라필터(420)는 상기 램프(4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램프(410)에서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칼라필터(420)는 상기 램프(410)의 전면에 별도의 결합체에 의하여 결합되며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장치(43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일 측면 및 모서리에 결합되어 상기 램프(410)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여 상기 램프(410)와 상기 램프(410)의 전면에 결합된 상기 칼라필터(420)가 상기 응집부(310)에 응집된 상기 석면(20)으로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부(500)는 상기 광원부(400)에서 발광한 빛이 상기 굴절시약(340)이 분사된 상기 석면(20)에 반사되어 유입되는 분광센서(510)와, 상기 분광센서(510)로 유입된 상기 빛을 감지하여 상기 석면(20)의 종류를 판단하는 처리부(520)와, 상기 처리부(520)의 결과 및 진행상황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광센서(510)는 색차계 등 다양한 컬러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램프(410)에서 발광한 빛이 상기 굴절시약(340)에 염색된 상기 석면(20)에 의하여 굴절된 후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520)는 상기 분광센서(510)로 전달된 빛의 색상을 감지하여 일반적으로 백석면, 청석면, 갈석면 등 유해한 석면(20)의 색상과 매칭 및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30)는 상기 처리부(520)에서 다양한 석면(20)에 굴절시약(340)을 염색하였을 때 발생하는 색상을 나타낸 데이터와 상기 분광센서(510)에서 감지한 상기 석면(20)의 색상을 비교한 값을 외부로 표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30)는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하여 석면을 포집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10)은 공기 중에 비산하는 석면(20)을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포집하는 포집부(200)와, 상기 포집부(200)에서 포집된 상기 석면(20)이 전달되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응집되는 샘플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2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며 비산하는 상기 석면(20)을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포집하는 포집기(210)와, 상기 포집기(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석면(20)을 채취하여 상기 포집기(210)로 전달하는 시료채취기(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포집기(21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서 소정이상 하부로 하락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집기(210)는 상측 단부가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에 구비되므로 공기 중에 비산하는 먼지, 석면(20) 등을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포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기(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포집기(210)의 상부는 상하 및 좌우로 연장될 수 있도록 주름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포집기(210)에 주름부(211)가 형성되므로 천장 및 벽체 등 상기 케이스(100)를 이동하지 않고 쉽게 상기 석면(20)을 포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집기(210)에 주름부(211)를 구비하지 않으면 석면(20)으로 형성된 자재가 많이 시공되는 천장이나 벽면에 석면(20)을 검출할 때 상기 케이스(100)를 들어올리거나 기울여야 한다. 상기 케이스(100)를 들어올리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시약분사기(330)의 굴절시약(340)이 상기 석면(20)으로 분사되지 않으며 상기 석면(20) 또한 상기 샘플필터(320)로 응집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기 포집기(210)에 주름부(211)를 구비하여 석면(20)을 검출하려는 위치에 상기 포집기(210)만 이동시켜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상기 석면(20)을 응집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포집기(21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도 주름부(211)를 설치하여 상기 석면(20)을 상기 샘플필터(320)로 응집시킬 때 상기 석면(20)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비산하지 않고 하부로 하락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기(210)는 공기 중에 비산하는 석면(20)을 포집하기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가 구비되어 공기 중에 비산하는 먼지, 석면(20) 등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시료채취기(220)는 상기 석면(20)으로 형성된 천장 및 벽에 회전하여 긁어내는 그라인더(221)와, 상기 그라인더(221)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그라인더(221)가 상기 석면(20)을 긁어낼 때 상기 석면(20)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시료채취기(220)는 천장에 형성된 석면(20)텍스 또는 벽면에 설치된 석면(20)이 함유된 벽체의 성분을 측정하기 위하여 주름부(211)가 구비되는 상기 포집부(2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그라인더(221)는 상기 시료채취기(220)의 상단에 구비되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100)에 모터를 구비하여 모터를 작동시킬 때 상기 그라인더(22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료채취기(220)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에 구비되는 석면(20)텍스에 접하도록 상기 포집기(210)를 연장하여 상기 그라인더(221)를 회전시키면 상기 그라인더(221)에 의하여 상기 석면(20)텍스의 석면(20)이 하부로 전달되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된 샘플필터(3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샘플필터(320)로 전달된 상기 석면(2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비산하지 않도록 작은 크기의 석면(20)은 상기 샘플필터(320) 하부에 형성된 응집부(310)로 하락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부(222)는 상기 그라인더(22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그라인더(221)가 작동되며 상기 석면(20)을 긁을 때 상기 석면(20)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포집기(2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그라인더(221)와 상기 비산방지부(222) 사이에 비산방지공간(2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공간(223)에는 상기 포집기(210)와 연결되는 다수의 홀이 구비되어 상기 비산방지공간(223)으로 상기 석면(20)이 전달될때 상기 포집기(210)로 상기 석면(20)을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원부에서 석면으로 빛을 발광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상기 샘플부(300)에 응집되는 상기 석면(20)에 빛을 발광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광원부(400)와, 상기 광원부(400)에서 발광한 상기 빛이 상기 석면(20)에 의하여 굴절된 후 전달되어 상기 석면(20)의 종류 및 농도를 측정하는 데이터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샘플부(300)로 상기 빛을 발광하는 램프(410)와, 상기 램프(4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빛의 색상을 조절하는 칼라필터(420)와, 상기 칼라필터(420)와 상기 램프(410)의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케이스(1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각도조절장치(4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00)는 제논램프, LED와 같이 빛을 발광하는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00)는 상기 각도조절장치(430)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면에서 다양한 각도로 조절되며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칼라필터(420)는 상기 광원부(4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400)에서 발광하는 빛의 색상, 자외선, 가시광, 적외선 영역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칼라필터(420)에 의하여 필터링되는 빛은 샘플부(300)의 샘플필터(320) 상부에 응집되어 굴절시약(340)에 염색된 상기 석면(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석면(20)은 굴절시약(340)에 의하여 상기 석면(2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부(500)는 상기 광원부(400)에서 발광한 빛이 상기 굴절시약(340)에 염색된 상기 석면(20)에 반사되어 유입되는 분광센서(510)와, 상기 분광센서(510)로 유입된 상기 빛을 감지하여 상기 석면(20)의 종류를 판단하는 처리부(520)와, 상기 처리부(520)의 결과 및 진행상황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광센서(510)는 상기 칼라필터(420)에 의하여 필터링된 빛이 상기 굴절시약(340)에 의하여 염색된 상기 석면(20)으로 전달된 후 상기 석면(20)에서 다시 굴절되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분광센서(510)도 상기 광원부(400)와 동일하게 각도조절장치(430)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광센서(510)는 색차계, 컬러센서 등과 같이 색상을 판별하여 수치화할 수 있는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광센서(510)는 상기 빛이 상기 석면(20)으로 전달되어 전달되면서 상기 석면(20)의 색상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520)는 상기 분광센서(510)가 판단한 상기 석면(20)의 색상을 수치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520)는 기존에 표준석면을 다수 준비하여 굴절시약(340)으로 염색하여 라이브러리화한 색의 좌표를 사전에 입력해놓아 상기 분광센서(510)에서 판단한 상기 석면(20)의 색상과 비교하여 상기 석면(2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30)는 상기 처리부(520)에서 판단한 상기 석면(20)의 종류 및 상기 처리부(520)의 처리결과를 외부로 표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 20: 석면
100: 케이스 200: 포집부
300: 샘플부 400: 광원부
500: 데이터부

Claims (7)

  1.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며 비산되는 석면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에서 포집된 상기 석면이 전달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응집되는 샘플부와,
    상기 샘플부에 응집되는 상기 석면에 빛을 발광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한 상기 빛이 상기 석면에 의하여 굴절된 후 전달되어 상기 석면의 종류 및 농도를 측정하는 데이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샘플부는 상기 포집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전달되는 상기 석면을 응집시키는 응집부와,
    상기 응집부의 상부에 매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응집부로 응집되는 상기 석면의 분진을 하부로 전달하는 샘플필터와,
    상기 응집부에 응집된 상기 석면의 종류를 염색할 수 있는 굴절시약을 분사하는 시약분사기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샘플부로 상기 빛을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빛의 색상을 조절하는 칼라필터와,
    상기 칼라필터와 상기 램프의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부는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한 빛이 상기 굴절시약이 분사된 상기 석면에 반사되어 유입되는 분광센서와,
    상기 분광센서로 유입된 상기 빛을 감지하여 상기 석면의 종류를 판단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의 결과 및 진행상황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며 비산하는 상기 석면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포집하는 포집기와,
    상기 포집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석면을 채취하여 상기 포집기로 전달하는 시료채취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채취기는 상기 석면으로 형성된 천장 및 벽에 회전하여 긁어내는 그라인더와,
    상기 그라인더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그라인더가 상기 석면을 긁어낼 때 상기 석면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시약은 백석면, 악티놀라이트, 트레몰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염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30142605A 2013-11-22 2013-11-22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8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605A KR101386459B1 (ko) 2013-11-22 2013-11-22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605A KR101386459B1 (ko) 2013-11-22 2013-11-22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459B1 true KR101386459B1 (ko) 2014-04-17

Family

ID=5065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605A KR101386459B1 (ko) 2013-11-22 2013-11-22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4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020B1 (ko) 2016-03-30 2017-07-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산 석면농도 측정을 위한 이미지데이터 취득장치의 슬릿 세척 방법
KR102261476B1 (ko) 2019-12-12 2021-06-07 주식회사 한국환경과학연구소 다채널 석면 샘플링 장치
KR20210137593A (ko) * 2020-03-26 2021-11-18 신종우 석면 채취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1268A (ja) * 1993-12-22 1995-07-21 Ask:Kk 石綿の簡易判別方法
JP2007218641A (ja) 2006-02-14 2007-08-30 Horiba Ltd アスベスト検出装置
KR101062834B1 (ko) 2011-07-12 2011-09-07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석면 고형시료 채취장치
JP2013064735A (ja) 2012-09-14 2013-04-11 Tokyu Construction Co Ltd 特定物質検出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1268A (ja) * 1993-12-22 1995-07-21 Ask:Kk 石綿の簡易判別方法
JP2007218641A (ja) 2006-02-14 2007-08-30 Horiba Ltd アスベスト検出装置
KR101062834B1 (ko) 2011-07-12 2011-09-07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석면 고형시료 채취장치
JP2013064735A (ja) 2012-09-14 2013-04-11 Tokyu Construction Co Ltd 特定物質検出装置及び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020B1 (ko) 2016-03-30 2017-07-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산 석면농도 측정을 위한 이미지데이터 취득장치의 슬릿 세척 방법
KR102261476B1 (ko) 2019-12-12 2021-06-07 주식회사 한국환경과학연구소 다채널 석면 샘플링 장치
KR20210137593A (ko) * 2020-03-26 2021-11-18 신종우 석면 채취 시스템
KR102351702B1 (ko) 2020-03-26 2022-01-17 신종우 석면 채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459B1 (ko) 석면 모니터링 시스템
CN103674798B (zh) 一种空气灰尘检测仪
CN103994954B (zh) 一种雾霾测量仪
CN102338733A (zh) 溶液中纳米粒子浓度的浊度法检测方法
US201802526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mberless smoke detection and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Nizamali et al. Assessing microplastic characteristics in bottled drinking water and air deposition samples using laser direct infrared imaging
Baron Measurement of Airborne Fibers A Review
CN105126479B (zh) 袋式除尘器在线定点直射型检漏装置及检漏方法
US108522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mberless smoke detection and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KR101386460B1 (ko) 석면 모니터링 방법
US10408733B2 (en) Crystalline particle detection
EP34132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mberless smoke detection and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KR101523658B1 (ko) 형광 에어로졸을 이용한 필터류의 입자 투과 성능 평가 시험 방법 및 장치
KR20120070087A (ko) 10㎿급 라지스케일 칼로리미터
JP4997639B2 (ja) レーザー誘起蛍光を用いたアスベスト判定方法
CN202083659U (zh) 人造短纤维的质量均匀度检测装置
CN103969185B (zh) 一种提高导模共振生物传感器测试灵敏度的方法
Stopford et al. Real-time detection of airborne asbestos by light scattering from magnetically re-aligned fibers
CN206594017U (zh) 一种在线颗粒图像粒度分析装置
KR20160128053A (ko) 데이터 매칭 기법을 이용한 석면 판별 방법
EP2956757B1 (en)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sbestos fibres
WO2021234622A1 (en) Air quality assessment based upon optical absorbance
CN107144584A (zh) 一种基于x射线方法测量矸石回收漏煤率及报警系统
Alexandrov et al. Development of an automated asbestos counting software based on fluorescence microscopy
CN207882283U (zh) 一种便携式荧光免疫层析试条成像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