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994B1 - 퇴비 살포장치 - Google Patents

퇴비 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994B1
KR101385994B1 KR1020130113796A KR20130113796A KR101385994B1 KR 101385994 B1 KR101385994 B1 KR 101385994B1 KR 1020130113796 A KR1020130113796 A KR 1020130113796A KR 20130113796 A KR20130113796 A KR 20130113796A KR 101385994 B1 KR101385994 B1 KR 101385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t
spreading
unit
spray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금수
하성경
Original Assignee
하성경
황금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성경, 황금수 filed Critical 하성경
Priority to KR1020130113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01C3/06Manure distributors, e.g. dung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7/00Fertilisers or seeders with centrifugal wheels
    • A01C17/005Driving mechanisms for the throw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비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송부와 살포부의 과부하 없이 원활한 작동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측면 영역으로 퇴비를 필요로 하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살포시킬 수 있는 퇴비 살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적재함(100); 상기 적재함(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200);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되어서 구동되며 상기 적재함(100)의 바닥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퇴비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구조의 이송부(300); 및 상기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된 퇴비를 내부로 수용하도록 상기 적재함(100)의 후단에 설치되며 측방으로 퇴비를 살포시키도록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살포출구(532)를 구비하는 드럼(530)과, 상기 드럼(5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되어서 구동되며 상기 드럼(530)의 내부에 수용된 퇴비를 상기 살포출구(532)를 통과시켜 살포시키는 살포날개(550)로 이루어진 살포부(500);를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퇴비 살포장치{Manure spra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퇴비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송부와 살포부의 과부하 없이 원활한 작동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측면 영역으로 퇴비를 필요로 하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살포시킬 수 있는 퇴비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흔히 논과 밭 등의 토양 상태를 증진시키고 작물의 성장촉진을 위하여 화학 비료나 퇴비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의 유기농법에서는 질 좋은 작물을 생산하기 위한 일환으로 화학비료 대신 다량의 퇴비가 사용되고 있다.
순수 인력을 이용하여 퇴비를 논과 밭에 살포하는 재래식 농사방법은 인력난이 가중되고 있는 농촌의 현 실정상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최근에는 경운기, 트랙터 및 스피드 스프레이어(Speed Sprayer, SS기) 등의 농기계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퇴비를 살포하는 퇴비 살포기가 다량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퇴비 살포장치는 퇴비를 수용할 수 있는 적재함과, 차량 엔진의 유압으로 구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함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퇴비를 함체의 일측(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 이송된 퇴비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를 통해 배출된 퇴비를 살포하는 살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 퇴비 살포장치는 차량 엔진의 동력인출장치(Power Take Off)에 체인이나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부(유압펌프)의 구동을 통하여 상기 이송부 및 살포부의 작동을 구현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퇴비 살포장치는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엔진 동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살포 작업 시 이송부 및 살포판을 구동시키는 동력이 약해 효과적인 살포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0191호에는 차량 엔진과 독립되어 엔진의 유압장치와 연결 설치되는 별도의 유압펌프를 이용하여 이송부와 살포부를 작동시키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송부(3)는 적재함(1)에 수용된 퇴비를 개폐부(7)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적재함(1)의 바닥 전방에서 후방으로 작동하는 컨베이어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이송부(3)는 기어, 벨트 앤 풀리, 혹은 체인 앤 스프로킷에 의한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이송용 유압펌프(2)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살포부(5)는 적재함(1)의 후방으로 이송된 퇴비를 차량이 지나간 후방 영역에 살포시키는 것으로, 적재함(1)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살포판(5a)과 상기 살포판(5a)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살포날개(5b)를 포함하며, 이러한 살포부(5)의 살포판(5a)은 기어, 벨트 앤 풀리, 혹은 체인 앤 스프로킷에 의한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살포용 유압펌프(4)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인하여, 이송용 유압펌프(2)의 구동으로 이송부(3)는 적재함(1)에 수용된 퇴비를 후방으로 이송시키고, 살포용 유압펌프(4)의 구동으로 살포부(5)는 원심력에 의해 상면에 수용된 퇴비를 살포범위 조정판(6)의 사이 공간 내에서 후방으로 살포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퇴비 살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우선 적재함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살포범위 조정판(6) 사이 공간 전 영역으로 퇴비가 살포되기 때문에, 특정 위치에 퇴비를 집중적으로 살포하기에는 곤란함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과수원과 같이 차량의 양측에 한해 퇴비를 집중적으로 살포할 수 없어 과수원 등에 활용이 불가한 문제가 있다.
또한 퇴비가 덩어리로 뭉쳐 있을 시, 살포부(5)에 구성된 살포날개(5b)의 회전력에 의해 흩뿌려지는 과정에서 균일한 살포가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살포 구동에 부하를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이송부(3)와 살포부(5)의 작동을 위한 2개의 유압펌프(2,4)를 구성함으로서 구동력 증대 효과는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으나, 2개의 유압펌프(2,4)가 유압장치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각종 유압관로나 구동계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2개의 유압펌프를 제작해야함에 따른 제작원가가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문헌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0191호(2005.03.29)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드럼 구조를 이루는 살포부의 회전 작동으로부터 퇴비의 살포를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퇴비 살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과수원과 같이 살포장치가 지나는 통로의 한쪽 혹은 양쪽 측방을 향해 퇴비를 효율적으로 살포시킬 수 있는 퇴비 살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송부와 살포부의 과부하 없이 원활한 작동을 구현할 수 있는 퇴비 살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재함(100);
상기 적재함(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200);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되어서 구동되며 상기 적재함(100)의 바닥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퇴비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구조의 이송부(300); 및
상기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된 퇴비를 내부로 수용하도록 상기 적재함(100)의 후단에 설치되며 측방으로 퇴비를 살포시키도록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살포출구(532)를 구비하는 드럼(530)과, 상기 드럼(5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되어서 구동되며 상기 드럼(530)의 내부에 수용된 퇴비를 상기 살포출구(532)를 통과시켜 살포시키는 살포날개(550)로 이루어진 살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적재함(100)의 후단에는 상기 이송부(300)로 이송된 퇴비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개폐도어(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01)과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샤프트(410)가 축설되며,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01)과 연결샤프트(410) 및 이송부(300)의 피동축(301)과 연결된 풀리(P)를 벨트(B)로 연결하는 제1 동력전달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샤프트(410)에는 구동부(200)의 구동력을 이송부(300)로 전달하거나 차단시키는 클러치(4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포날개(550)는 퇴비가 유입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드럼(530)에 축설되는 회전축(510)과, 상기 회전축(510)상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 날개(551)와, 회전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날개(551)의 각 전면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 날개(55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날개(551)는 회전방향에 대해 중앙부가 볼록 형성된 곡면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날개(551)에는 퇴비가 유입되는 전방 일측에 절개부(551a)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좋다.
또한 상기 살포부는 적재함(100)의 양쪽 측방으로 퇴비를 살포할 수 있도록 대칭구조를 이루는 제1 살포부(500)와 제2 살포부(500A)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살포부(500)의 제1 살포날개(550)와 상기 제2 살포부(500A)의 제2 살포날개(550A)의 반대방향 회전력을 동기화시키는 제3 동력전달부(8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3 동력전달부(800)는, 상기 제1 살포날개(550)의 회전축(510)상에 축설된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게 풀리(P)가 축설된 제1 중간기어(810)와, 상기 제1 중간기어(810)와 치합되며 제2 살포날개(550A)의 회전축(510A)상에 축설된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게 풀리(P)가 축설된 제2 중간기어(830)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530)의 살포출구(532) 끝단에는 상, 하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향조정용 확장출구(535) 혹은 측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길이조정용 확장출구(53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드럼 구조를 이루는 살포부의 회전 작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원심력으로부터 퇴비를 원거리 영역까지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살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살포장치가 지나는 통로의 한쪽 혹은 양쪽 측방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만 필요한 양의 살포를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로 한 퇴비 살포 양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적재함의 후단에 살포부가 수직구조를 이루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종래 수평구조의 살포부에 비해 적재함에 대한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다 콤팩트 구조의 살포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퇴비 살포장치의 부분 평면 예시도.
도 2는 종래 퇴비 살포장치의 부분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퇴비 살포장치의 평면 예시도.
도 4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제1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측면 예시도.
도 5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제2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측면 예시도.
도 6은 제1 실시 예에 의한 살포부의 구성을 보이는 배면 예시도.
도 7은 제1 실시 예에 의한 살포부를 구성하는 드럼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제1 실시 예에 의한 살포부를 구성하는 살포날개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제2 실시 예에 의한 퇴비 살포장치의 평면 예시도.
도 10은 제2 실시 예에 의한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 예시도.
도 11은 제2 실시 예에 의한 살포부의 구성을 보이는 배면 예시도.
도 12는 제3 실시 예에 의한 살포부의 구성을 보이는 배면 예시도.
도 13은 제4 실시 예에 의한 살포부의 구성을 보이는 배면 예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퇴비 살포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들이다.
우선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송부와 살포부의 과부하 없이 원활한 작동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측면 영역으로 퇴비를 집중적으로 살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살포장치는 적재함(100), 구동부(200), 이송부(300), 및 살포부(5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적재함(100)은, 퇴비가 수용 적재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적재함(100)의 바닥면에 이송부(300)가 구비된다.
이송부(300)는, 적재함(100)에 수용된 퇴비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구조를 이룬다. 즉, 적재함(100)의 바닥 전, 후단에 피동축(301)이 나란히 축설되고, 상기 전, 후단 피동축(301)에 각기 축설된 스프로킷(302)을 체인(303)으로 연결하며, 상기 체인(303)에는 다수개의 이송바(304)가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이송부(300)의 구성은 종래의 것과 크게 구별되지 않는다.
이러한 적재함(100)의 후단에는 상기 이송부(300)로 이송된 퇴비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개폐도어(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개폐도어(150)는 살포 작업 즉, 상기 구동부(200)의 작동 시에는 열림 상태에서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되는 퇴비를 통과시켜 살포부(500)로 제공하게 되고, 구동부(200)의 미 작동 시에는 닫힘 상태에서 적재함(100)내 퇴비가 안전하게 적재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도어(150)는 회동 구조를 이루도록 상단부가 적재함(100)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에 래칫기어(152)가 축설되고 그 주변부에 래치(153)가 설치됨으로서, 레버(151)를 회전시켜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도어(150)를 적절히 회동시킨 상태에서 래치(153)가 래칫기어(152)에 결합되어 회동된 개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적재함(100)은 경운기, 트랙터 등의 후단에 탈 부착 연결하여 사용하는 트레일러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스피드 스프레이어(Speed Sprayer, SS기)의 후단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구동부(200)는, 상기 이송부(300) 및 살포부(500)를 향해 구동력을 분기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엔진 혹은 유압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의한 구동부(200)는 적재함(100)의 후단에 고정 탑재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200)와 이송부(300)는 제1 동력전달부(400)를 매개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의한 제1 동력전달부(400)로서, 구동부(200)의 구동축(201)과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샤프트(410)가 적재함(100)상에 축설되며, 상기 구동축(201), 연결샤프트(410), 및 이송부(300)의 피동축(301)과 연결되는 풀리(P)들과 상기 풀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벨트(B)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410)와 이송부(300)의 피동축(301) 사이에 별도의 감속기(470)를 구성함으로서, 큰 토크를 필요로 하는 이송부(300)에 대한 큰 감속비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으로 인해 구동부(200)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다단의 풀리(P)와 벨트(B) 및 감속기(470)를 거치면서 일정 비로 감속된 회전력을 이송부(300)의 피동축(301)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적재함(100)에 많은 용량의 퇴비가 수용된 상태라 하더라도 구동부(200)의 과부하 없이 퇴비를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샤프트(410)에는 클러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러치(430)는 구동부(200)의 구동력을 이송부(300)로 전달하거나 혹은 차단시키는 것으로, 전자식 클러치 혹은 기계식 클러치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클러치(430)의 구성으로 인해, 예컨대 이송부(300)의 작동 중, 퇴비에 포함된 이물질이 이송부(300)의 이송바(304)에 걸리는 등 퇴비의 이송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 클러치(430)를 차단 동작시켜 구동부(200)의 과부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살포부(500)는, 이송부(300)에 의해 적재함(100)의 후단으로 이송된 퇴비를 실제 살포시키는 부분으로, 적재함(100)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는 드럼(530)과, 상기 드럼(5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살포날개(55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드럼(530)은 내부에 살포날개(550)를 수용할 수 있게 원통 구조를 이루면서, 전단에는 상기 이송부(300)로부터 이송된 퇴비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게 유입구(531)가 형성되고, 측방으로 퇴비를 살포시키도록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살포출구(5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531)는 살포날개(5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상기 살포출구(532)는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살포날개(550)는 퇴비가 유입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드럼(530)에 축설되는 회전축(510)과, 상기 회전축(510)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 날개(551)와, 상기 제1 날개(551)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 날개(553)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날개(551)는 회전 동작 시 퇴비의 큰 원심력을 확보할 수 있게 회전방향에 대해 중앙부가 볼록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드럼(530)의 유입구(531)를 향하는 전방 일측에 절개부(551a)를 형성함으로서 회전 중 유입구(531)를 통해 유입되는 퇴비가 급작스럽게 날개에 부딪힘으로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553)는 제1 날개(551)의 회전방향에 대해 전면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퇴비의 분쇄 절단 기능을 도모할 수 있음으로서 살포 과정에서 퇴비가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적인 살포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살포날개(550)의 구성으로 인해, 드럼(530)내부로 유입된 퇴비의 살포 원심력을 구현하는 살포날개(550)의 작동 하중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서 구동부(200)와 살포날개(550)를 연결하는 제2 동력전달부(600)의 간소화가 가능해지고 구동부(200)의 과부하 역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구조를 이루는 살포부(500)의 작용을 살펴보면,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된 퇴비는 유입구(531)를 통해 드럼(530)의 내부로 유입되고, 살포날개(550)의 중앙 부근으로 낙하하다가 살포날개(550)의 원심력에 의해 살포날개(550)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러져 드럼(530)의 외곽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드럼(530)의 하부에 접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살포출구(532)를 통과하며 살포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200)와 살포부(500)는 제2 동력전달부(600)를 매개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의한 제2 동력전달부(600)로서, 구동부(200)의 구동축(201)과 상기 살포부(500)를 구성하는 살포날개(550)의 회전축(510)상에 각기 축설된 풀리(P)와 이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살포부(500)는 드럼(530)의 내부에서 고속 회전하는 살포날개(550)의 원심력에 의해 드럼(530)의 내부 둘레를 따라 퇴비를 회전시키다가 드럼(530)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된 살포출구(532)를 통하여 살포시키는 것으로, 큰 토크를 필요로 하기 보다는 상대적으로 고속 회전력을 필요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2 동력전달부(600)의 간소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퇴비 살포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들이다.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 제2 실시 예에 의한 퇴비 살포장치 역시 적재함(100), 구동부(200), 이송부(300), 및 살포부(5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이러한 적재함(100), 구동부(200), 이송부(300), 및 살포부(500)에 대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크게 구별되지 않는다.
다만 제1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200)가 적재함(100)의 후단부에 설치 구성되어 있는 것인데 반해, 제2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200)가 적재함(100)의 전단부에 설치 구성되어 있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다시 말해 구동부(200)의 동력을 이송부(300)와 살포부(500)로 분기하여 전달하는 제1,2 동력전달부(400,500)에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0)의 전방에 설치된 구동부(200)의 구동력을 후방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샤프트(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처럼 적재함(100)의 전방에 구동부(20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경운기, 트랙터, 스피드 스프레이어 등과 같이 적재함(100)의 전방에 착석한 차량 운전자가 살포장치 구동 및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된다.
제1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인출번호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관련한 중복설명은 생략하였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살포부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배면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의한 살포부는 적재함(100)의 양측으로 퇴비를 살포할 수 있도록 대칭구조를 이루는 제1,2 살포부(500,500A)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적재함(100)의 후단에 서로 이웃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1,2 드럼(530,530A)과, 상기 제1,2 드럼(530,530A)의 내부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 살포날개(550,550A), 및 상기 제1,2 살포날개(550,550A)의 반대방향 회전력을 동기화시키는 제3 동력전달부(8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실시 예에 의한 제3 동력전달부(800)는 상기 제1 살포날개(550)의 회전축(510)상에 축설된 풀리(P)와 벨트(B)로 연결되게 풀리(P)가 축설된 제1 중간기어(810)와, 상기 제1 중간기어(810)와 치합되며 상기 제2 살포날개(550A)의 회전축(510A)상에 축설된 풀리(P)와 벨트(B)로 연결되게 풀리(P)가 축설된 제2 중간기어(83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구동부(200)의 구동으로 제1 살포날개(5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좌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살포출구(532)를 향해 퇴비를 살포하게 된다. 이때 제1 살포날개(550)의 회전축(510)과 풀리 및 벨트로 연결된 제1 중간기어(810)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제1 중간기어(810)와 치합된 제2 중간기어(8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2 중간기어(830)와 풀리 및 벨트로 연결된 제2 살포날개(550A)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우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살포출구(532A)를 향해 퇴비를 살포하게 된다.
이처럼 제1,2 살포부(500,500A)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과수원 같이 살포장치가 지나는 통로 양측에 퇴비를 집중적으로 살포할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한편 도 1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530)을 구성하는 살포출구(532)에는 방향조정용 확장출구(53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530)을 구성하는 살포출구(532)에는 길이조정용 확장출구(53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즉, 살포출구(532)로부터 방향조정용 확장출구(535)를 회동시키거나 혹은 살포출구(532)로부터 길이조정용 확장출구(536)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살포출구(532)를 통해 살포되는 토비의 살포영역을 적절히 조정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에 퇴비가 집중적으로 살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적재함 150: 개폐도어
200: 구동부 300: 이송부
400: 제1 동력전달부 410: 연결샤프트
430: 클러치 500, 500A: 살포부
530, 530A: 드럼 531, 531A: 유입구
532, 532A: 살포출구 550, 550A: 살포날개
551: 제1 날개 553: 제2 날개
600: 제2 동력전달부 700: 전달샤프트
800: 제3 동력전달부 810: 제1 중간기어
830: 제2 중간기어

Claims (9)

  1. 적재함(100);
    상기 적재함(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200);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되어서 구동되며 상기 적재함(100)의 바닥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퇴비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구조의 이송부(300); 및
    상기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된 퇴비를 내부로 수용하도록 상기 적재함(100)의 후단에 설치되며 측방으로 퇴비를 살포시키도록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살포출구(532)를 구비하는 드럼(530)과, 상기 드럼(5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되어서 구동되며 상기 드럼(530)의 내부에 수용된 퇴비를 상기 살포출구(532)를 통과시켜 살포시키는 살포날개(550)로 이루어진 살포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살포날개(550)는 퇴비가 유입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드럼(530)에 축설되는 회전축(510)과, 상기 회전축(510)상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 날개(551)와, 회전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날개(551)의 각 전면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 날개(553)를 포함하여 구성한 퇴비 살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0)의 후단에는 상기 이송부(300)로 이송된 퇴비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개폐도어(150)를 포함하여 구성한 퇴비 살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01)과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샤프트(410)가 축설되며,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01)과 연결샤프트(410) 및 이송부(300)의 피동축(301)과 연결된 풀리(P)를 벨트(B)로 연결하는 제1 동력전달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샤프트(410)에는 구동부(200)의 구동력을 이송부(300)로 전달하거나 차단시키는 클러치(430)를 포함하여 구성한 퇴비 살포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551)는 회전방향에 대해 중앙부가 볼록 형성된 곡면 구조를 이루는 퇴비 살포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551)에는 퇴비가 유입되는 전방 일측에 절개부(551a)를 포함하여 구성한 퇴비 살포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부는 적재함(100)의 양쪽 측방으로 퇴비를 살포할 수 있도록 대칭구조를 이루는 제1 살포부(500)와 제2 살포부(500A)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살포부(500)의 제1 살포날개(550)와 상기 제2 살포부(500A)의 제2 살포날개(550A)의 반대방향 회전력을 동기화시키는 제3 동력전달부(800)를 포함하여 구성한 퇴비 살포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동력전달부(800)는, 상기 제1 살포날개(550)의 회전축(510)상에 축설된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게 풀리(P)가 축설된 제1 중간기어(810)와, 상기 제1 중간기어(810)와 치합되며 제2 살포날개(550A)의 회전축(510A)상에 축설된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게 풀리(P)가 축설된 제2 중간기어(830)로 이루어진 퇴비 살포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530)의 살포출구(532) 끝단에는 상, 하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향조정용 확장출구(535) 혹은 측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길이조정용 확장출구(536)를 포함하여 구성한 퇴비 살포장치.
KR1020130113796A 2013-09-25 2013-09-25 퇴비 살포장치 KR101385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796A KR101385994B1 (ko) 2013-09-25 2013-09-25 퇴비 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796A KR101385994B1 (ko) 2013-09-25 2013-09-25 퇴비 살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994B1 true KR101385994B1 (ko) 2014-04-16

Family

ID=5065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796A KR101385994B1 (ko) 2013-09-25 2013-09-25 퇴비 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9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426A (ko) * 1998-12-29 1999-04-26 공상국 과수용 퇴비 살포기
KR20100069111A (ko) * 2008-12-16 2010-06-24 (주)한서정공 차량 탑재용 퇴비 살포기
KR101180487B1 (ko) * 2010-07-06 2012-09-06 강병권 액비 살포용 차
KR20120121268A (ko) * 2011-04-26 2012-11-05 정명순 트랙터용 비료 살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426A (ko) * 1998-12-29 1999-04-26 공상국 과수용 퇴비 살포기
KR20100069111A (ko) * 2008-12-16 2010-06-24 (주)한서정공 차량 탑재용 퇴비 살포기
KR101180487B1 (ko) * 2010-07-06 2012-09-06 강병권 액비 살포용 차
KR20120121268A (ko) * 2011-04-26 2012-11-05 정명순 트랙터용 비료 살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8142B2 (en) Dual conveyor granular commodity dispersement system
KR100960848B1 (ko) 유기질 비료살포기
CN107593047A (zh) 一种生态农业便捷播种施肥装置
CN209897621U (zh) 一种农田种植用可均匀施肥的施肥机
CN201107894Y (zh) 撒肥机
KR101781472B1 (ko) 육묘장 분무장치
KR20110027052A (ko) 이중 배출구를 가지는 더블 비료살포기
KR101385994B1 (ko) 퇴비 살포장치
KR200443493Y1 (ko) 유압식 다목적 비료살포기
CN108566805B (zh) 一种高效防堵塞的颗粒肥料播撒装置
KR20100072460A (ko) 비료 및 퇴비살포기
CN212306064U (zh) 芝麻变叶病土壤防治装置
CA3042603C (en) Drop chute deflector for enhancing entrainment of granular product in an airstream of an agricultural product applicator
CN207185130U (zh) 农用多功能施肥机
KR102616099B1 (ko) 운반차 겸용 차륜형 살포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526412B1 (ko)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KR200318962Y1 (ko) 쌀겨가공장치
CN216253800U (zh) 一种果园果树用肥料施肥控制机构
CN218790026U (zh) 一种化肥农药混合喷施装置
KR102419432B1 (ko) 농작업기용 비료 살포장치
KR101152877B1 (ko) 트랙터용 퇴비 살포기
CN220528578U (zh) 一种施肥装置
KR100996149B1 (ko) 퇴비살포장치
KR102139550B1 (ko) 분무작업 겸용 퇴비살포기
KR200469262Y1 (ko) 퇴비 살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