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581B1 -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투명 lcd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투명 lcd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581B1
KR101385581B1 KR1020120090864A KR20120090864A KR101385581B1 KR 101385581 B1 KR101385581 B1 KR 101385581B1 KR 1020120090864 A KR1020120090864 A KR 1020120090864A KR 20120090864 A KR20120090864 A KR 20120090864A KR 101385581 B1 KR101385581 B1 KR 101385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olarizing film
layer
crystal pane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4183A (ko
Inventor
임로빈
Original Assignee
오디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디하이텍(주) filed Critical 오디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12009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581B1/ko
Publication of KR2014002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02F1/133507Films for enhancing the lumin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평행한 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 패널, 입사된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층을 구비하고 액정 패널의 전면(前面) 및 배면(背面)에 각각 부착되되, 상기 액정층에 전기 신호가 인가된 때 상기 액정 패널의 배면으로 입사된 광이 상기 액정 패널을 통과하여 상기 액정 패널의 전면으로 출사되도록 미리 정해진 편광각으로 부착된 전면 편광 필름 및 배면 편광 필름, 및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층과, 입사된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층을 구비하고 상기 배면 편광 필름의 배면에 부착되되, 상기 배면 편광 필름의 편광각과 동일한 편광각으로 부착된 확산 편광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 편광 필름은 상기 액정 패널의 전면으로 입사된 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하는 액정 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투명 LCD 장치{Liquid crystal panel assembly and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ith the same}
본 발명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 조립체와, 이 액정 패널 조립체를 구비한 투명 LCD 장치에 관한 것이다.
LCD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종류로서, 액정 패널(liquid crystal panel)과, 액정 패널의 전면 및 배면에 부착된 한 쌍의 편광 필름과, 액정 패널의 배면에 백색광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구비한다. PDP, AMOLE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LCD 장치는 픽셀(pixel)이 자체 발광을 하지 않고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며, 더욱이 백라이트 유닛에서 출사된 광을 편광 필름에 의해 필터링(filtering)하여 가시성을 제공하는 핸디캡(handicap)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휘도 향상, 반사율 저감, 및 시야각 확대를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LCD 장치의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에 상품을 개재하여 상품을 전시함과 동시에 액정 패널에 그 상품과 연관된 영상이나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상품 전시 효과를 극대화하는 투명 LCD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투명 LCD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패널이 이격되어 있으므로 액정 패널을 투과하는 광 세기가 더욱 약해진다. 따라서, 휘도 향상을 위한 기술이 더욱 요구된다.
본 발명은, 배면(背面) 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은 높고, 전면(前面)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반사율은 낮은 액정 패널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투명 LCD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평행한 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 패널, 입사된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층을 구비하고 액정 패널의 전면(前面) 및 배면(背面)에 각각 부착되되, 상기 액정층에 전기 신호가 인가된 때 상기 액정 패널의 배면으로 입사된 광이 상기 액정 패널을 통과하여 상기 액정 패널의 전면으로 출사되도록 미리 정해진 편광각으로 부착된 전면 편광 필름 및 배면 편광 필름, 및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층과, 입사된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층을 구비하고 상기 배면 편광 필름의 배면에 부착되되, 상기 배면 편광 필름의 편광각과 동일한 편광각으로 부착된 확산 편광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 편광 필름은 상기 액정 패널의 전면으로 입사된 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하는 액정 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배면 편광 필름은 입사된 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반사 방지층을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 편광 필름은 입사된 광의 손실을 줄여 휘도를 높이는 휘도 향상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시 대상물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전면(前面)에 배치된, 상기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상기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상기 전시 대상물과 이격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상기 전시 대상물에 광(光)을 투사하는 광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투명 LCD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패널 조립체의 배면으로부터 입사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은 확산 편광 필름과 배면 편광 필름을 통해 높은 투과율로 액정 패널을 투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정 패널 조립체를 구비하는 투명 LCD 장치는 높은 휘도와 넓은 시야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패널 조립체의 전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 자연광은 전면 편광 필름에 의해 반사가 억제되므로, 보다 선명하게 전면에 표시된 영상과 내부에 전시된 상품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LCD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패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면 편광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면 편광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확산 편광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패널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투명 LCD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LCD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정 패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LCD 장치(10)는 스마트폰, 헤드폰, 책, 병 등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보여줌과 동시에 별도의 영상, 예를 들어 그 상품에 연관된 영상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면(前面)에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상품을 전시하는데 사용된다. 투명 LCD 장치(10)는 전시 대상물(5)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housing)(11)과, 하우징(11)의 전면(前面)에 배치된 액정 패널 조립체(20)와, 액정 패널 조립체(20)와 전시 대상물(5)에 광(光)을 투사하는 복수의 광원(16)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구비한다.
상기 광원(16)은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 하우징(11)의 측면(13)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광원(16)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하우징(11)의 배면(14)에 인접한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16) 외에도 도광판, 반사 시트,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광판은 광원(16)으로부터 방출되는 선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한다. 반사 시트는 하우징(11)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광원(16)에서 방출되는 광을 액정 패널 조립체(20) 및 전시 대상물(5) 측으로 반사한다. 확산 시트는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확산하고, 프리즘 시트는 광을 특정 각으로 모으는 기능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액정 패널 조립체(20)는 액정 패널(21)과, 전면 편광 필름(30)과, 배면 편광 필름(40)과, 확산 편광 필름(50)을 구비한다. 액정 패널(21)은 서로 평행하고 투명한 한 쌍의 전면 및 배면 기판(25, 26)과, 그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23)을 구비한다. 전면 기판(25)에는 픽셀(pixel) 단위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전극(미도시)이 형성된다. 전극을 통해 특정 픽셀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액정 타입에 따라서 꼬여있던 액정의 꼬임이 풀리거나 반대로 액정이 꼬이게 된다.
전면 편광 필름(30)과 배면 편광 필름(40)은 액정 패널(21)의 전면(前面) 및 배면(背面)에 각각 부착된다. 도 3은 도 2의 전면 편광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면 편광 필름(30)은 접착층(31)과, 접착층(31)의 전면(前面)에 적층 형성된 지지층(32)과, 지지층(32)의 전면에 적층 형성된 편광층(33)과, 편광층(33)의 전면에 적층 형성된 반사 방지층(34)과, 반사 방지층(34)의 전면에 적층 형성된 보호층(35)을 구비한다.
접착층(31)은 전면 기판(25)의 전면에 전면 편광 필름(30)을 접착하기 위한 층으로 감압성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지지층(32)은 예컨대, TAC(tri acetyl cellulose) 필름와 같은 합성수지 필름일 수 있다. 지지층(32)은 시야각 확대(wide view) 처리가 된 것일 수 있다. 편광층(33)은 입사된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킨다. 여기서,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킨다는 의미는 입사되는 광 중에서 특정한 일 방향 편광만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방향의 편광은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편광층(33)은 예컨대, PVA(polyvinyl alcohol)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일 수 있다.
반사 방지층(34)은 액정 패널(21)의 전면(前面)으로 입사된 광의 반사를 억제한다. 반사 방지층(34)은 예컨대, TAC(tri acetyl cellulose)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을 AR(anti-reflection) 코팅, AG(anti-glare) 코팅, 또는 LR(low reflecition) 코팅 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35)은 예컨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일 수 있다. 보호층(35)에도 AR 코팅, AG 코팅, 또는 LR 코팅 처리하여 반사 방지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배면 편광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면 편광 필름(40)은 접착층(41)과, 접착층(41)의 배면(背面)에 적층 형성된 지지층(42)과, 지지층(42)의 배면(背面)에 적층 형성된 편광층(43)과, 편광층(43)의 배면(背面)에 적층 형성된 보호층(44)을 구비한다.
접착층(41)은 배면 기판(26)의 배면에 배면 편광 필름(40)을 접착하기 위한 층으로 감압성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지지층(42)은 예컨대, TAC(tri acetyl cellulose) 필름와 같은 합성수지 필름일 수 있다. 편광층(43)은 입사된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킨다. 여기서,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킨다는 의미는 입사되는 광 중에서 특정한 일 방향 편광만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방향의 편광은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편광층(43)은 예컨대, PVA(polyvinyl alcohol)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일 수 있다. 보호층(44)은 예컨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일 수 있다.
배면 편광 필름(40)은 전면 편광 필름(30)이 구비한 것과 같은, 반사를 억제하는 반사 방지층을 구비하지 않는다. 반사 방지층 형성을 위한 AR 코팅, AG 코팅, LR 코팅은 광 투과율을 저하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광원(16)(도 1 참조)의 빛이 액정 패널 조립체(20)를 투과하는 광 투과 성능이 열화될 수 있다. 액정 패널 조립체(20)의 광 투과 성능 열화는 투명 LCD 장치(10)(도 1 참조)의 휘도 및 선명한 화질에 악영향을 주므로 반사 방지층은 배면 편광 필름(40)에 구비되지 않는다.
전면 편광 필름(30)과 배면 편광 필름(40)은 액정 패널(21)의 액정층(23)에 전기 신호가 인가된 때 액정 패널(21)의 배면으로 입사된 광원(16)의 빛이 액정 패널(21)을 통과하여 액정 패널(21)의 전면(前面)으로 출사되도록 미리 정해진 편광각으로 부착된다. 다시 말해, 액정층(23)의 액정 타입(type)에 따라서 전면 편광 필름(30)과 배면 편광 필름(40)의 편광각이 90° 차이가 나도록 액정 패널(21)의 전면 및 배면에 전면 편광 필름(30)과 배면 편광 필름(40)이 부착되거나, 편광각이 0° 차이가 나도록, 즉 편광각이 같도록 전면 편광 필름(30)과 배면 편광 필름(40)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N(twisted nematic)형 액정은 전극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디폴트(default) 상태인 때 액정 배열이 90° 꼬여있고,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꼬임각(twisting angle)이 0° 가 되도록 풀린다. 따라서, 전기 신호 인가시에 화면이 밝아지게 하기 위해 전면 편광 필름(30)과 배면 편광 필름(40)은 두 필름의 편광각이 같도록 즉, 0° 차이가 나도록 정렬하여 액정 패널(21)에 부착된다. 한편, STN(super twisted nematic)형 액정은 전극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디폴트(default) 상태인 때 액정 배열이 180° 꼬여있고,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꼬임각이 90° 가 되도록 약간 풀린다. 따라서, 전기 신호 인가시에 화면이 밝아지게 하기 위해 전면 편광 필름(30)과 배면 편광 필름(40)은 두 필름의 편광각이 90° 차이가 나도록 정렬하여 액정 패널(21)에 부착된다.
도 5는 도 2의 확산 편광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확산 편광 필름(50)은 배면 편광 필름(40)의 배면(背面)에 부착되며, 접착층(51)과, 접착층(51)의 배면(背面)에 적층 형성된 지지층(52)과, 지지층(52)의 배면(背面)에 적층 형성된 편광층(53)과, 편광층(53)의 배면(背面)에 적층 형성된 휘도 향상층(54)과, 휘도 향상층(54)의 배면(背面)에 적층 형성된 광 확산층(55)과, 광 확산층(55)의 배면(背面)에 적층 형성된 보호층(56)을 구비한다.
접착층(51)은 배면 편광 필름(40)의 배면에 확산 편광 필름(50)을 접착하기 위한 층으로 감압성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지지층(52)은 예컨대, TAC(tri acetyl cellulose) 필름와 같은 합성수지 필름일 수 있다. 편광층(53)은 입사된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킨다. 여기서,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킨다는 의미는 입사되는 광 중에서 특정한 일 방향 편광만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방향의 편광은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편광층(53)은 예컨대, PVA(polyvinyl alcohol)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일 수 있다.
휘도 향상층(54)은 입사된 빛의 광 투과율을 향상시키고 광 손실율을 저감한다. 이를 통해 투명 LCD 장치(10)(도 1 참조)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광 확산층(55)은 입사된 빛을 확산시킨다. 전시 대상물(5)에 가려져 광원(16)(도 1 참조)의 빛이 액정 패널 조립체(20)의 배면 전체에 균일한 세기로 입사되지 못할 수 있지만, 상기 확산 편광 필름(50)의 광 확산층(55)을 통과하면서 확산되어 액정 패널 조립체(20) 전면(前面)의 전체 면적으로, 즉 화면 전체로 광이 투사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휘도 및 화질이 향상된다. 보호층(56)은 예컨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일 수 있다.
확산 편광 필름(50)은 배면 편광 필름(40)의 편광곽과 동일한 편광각으로 배면 편광 필름(40)에 부착된다. 정리하면, 액정층(23)(도 2 참조)의 액정 타입에 따라서, 전면 편광 필름(30), 배면 편광 필름(40), 및 확산 편광 필름(50)의 편광각이 동일하게 정렬되거나, 전면 편광 필름(30)과 배면 편광 필름(40)의 편광각은 90° 차이나고, 배면 편광 필름(40)과 확산 편광 필름(50)의 편광각은 동일하게 정렬될 수 있다.
광원(16)(도 1 참조)에서 투사된 광이 액정 패널(21)에 앞서 확산 편광 필름(50)과 배면 편광 필름(40)을 통과하면서 확산되고 광 손실이 저감되어 화면의 휘도와 선명도가 향상된다. 또한, 전면 편광 필름(30)으로 인해 액정 패널 조립체(20) 전방(前方)의 외부 자연광 반사가 억제되어 화면 번들거림이 감소된다. 이런 작용의 조합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투명 LCD 장치(10)(도 1 참조)의 화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투명 LCD 장치 11: 하우징
16: 광원 20: 액정 패널 조립체
21: 액정 패널 30: 전면 편광 필름
40: 배면 편광 필름 50: 확산 편광 필름

Claims (6)

  1. 한 쌍의 평행한 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 패널;
    입사된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층을 구비하고 액정 패널의 전면(前面) 및 배면(背面)에 각각 부착되되, 상기 액정층에 전기 신호가 인가된 때 상기 액정 패널의 배면으로 입사된 광이 상기 액정 패널을 통과하여 상기 액정 패널의 전면으로 출사되도록 미리 정해진 편광각으로 부착된 전면 편광 필름 및 배면 편광 필름; 및,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층과, 입사된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층을 구비하고 상기 배면 편광 필름의 배면에 부착되되, 상기 배면 편광 필름의 편광각과 동일한 편광각으로 부착된 확산 편광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 편광 필름은 상기 액정 패널의 전면으로 입사된 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확산 편광 필름은:
    상기 배면 편광 필름의 배면에 적층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배면에 적층 형성된 지지층과;
    상기 지지층의 배면에 적층되어서, 입사된 광을 일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의 배면에 적층되어서, 입사된 빛의 광 투과율을 향상시키는 휘도 향상층과;
    상기 휘도 향상층 배면에 적층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층;
    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 편광 필름은 입사된 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반사 방지층을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편광 필름과 배면 편광 필름의 편광각은 90° 차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조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편광 필름과 배면 편광 필름의 편광각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조립체.
  6. 전시 대상물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전면(前面)에 배치된, 제1 항, 제4 항 및 제5 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상기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상기 전시 대상물과 이격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상기 전시 대상물에 광(光)을 투사하는 광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LCD 장치.
KR1020120090864A 2012-08-20 2012-08-20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투명 lcd 장치 KR101385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864A KR101385581B1 (ko) 2012-08-20 2012-08-20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투명 lcd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864A KR101385581B1 (ko) 2012-08-20 2012-08-20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투명 lcd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183A KR20140024183A (ko) 2014-02-28
KR101385581B1 true KR101385581B1 (ko) 2014-04-23

Family

ID=5026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864A KR101385581B1 (ko) 2012-08-20 2012-08-20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투명 lcd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112B1 (ko) * 2014-05-02 2020-09-29 오디하이텍(주) 창 설치용 투명 lcd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639A (ko) * 2000-04-10 2001-10-19 김순택 비반전(非反轉) 액정표시소자
KR20100013621A (ko) * 2008-07-31 2010-02-10 오디하이텍(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KR101122883B1 (ko) * 2011-03-18 2012-03-20 (주)티원시스템즈 전시물품을 배경으로 안내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쇼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639A (ko) * 2000-04-10 2001-10-19 김순택 비반전(非反轉) 액정표시소자
KR20100013621A (ko) * 2008-07-31 2010-02-10 오디하이텍(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KR101122883B1 (ko) * 2011-03-18 2012-03-20 (주)티원시스템즈 전시물품을 배경으로 안내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쇼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183A (ko) 201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2866B2 (en) Mirror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10023123B2 (en) Image display mirror for a vehicle
US10377312B2 (en) Image display mirror for a vehicle
EP2506066A2 (en) Display and electronic unit
US10207645B2 (en) Vehicle including mirror with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4238478A (ja) 液晶表示装置
CN101187749A (zh) 液晶显示装置
WO2012005050A1 (ja) 液晶表示装置
KR102161112B1 (ko) 창 설치용 투명 lcd 장치
WO2013129375A1 (ja) 液晶表示装置
CN103576374B (zh) 液晶显示装置
US20160363813A1 (en) Polaroid,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7113235B2 (ja) 画像表示装置
KR101385581B1 (ko) 액정 패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투명 lcd 장치
KR101460139B1 (ko) 한 쌍의 액정 패널을 구비한 lcd 장치
JP2020101716A (ja) 液晶表示装置
KR101460145B1 (ko) 투명 lcd 장치
JP5439786B2 (ja) 光拡散シート、液晶映像源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661208B1 (ko) 광원 일체형 투명 lcd 장치
KR101408984B1 (ko) 거울로 사용 가능한 액정 패널 조립체
CN107077026B (zh) 镜面显示器
US830551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WO2013011781A1 (ja) 液晶ディスプレイ
US10007144B1 (en) Segmented transparent LCD with localized backlighting
JP2016135667A (ja) 車両用映像表示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