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289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289B1
KR101385289B1 KR1020140004720A KR20140004720A KR101385289B1 KR 101385289 B1 KR101385289 B1 KR 101385289B1 KR 1020140004720 A KR1020140004720 A KR 1020140004720A KR 20140004720 A KR20140004720 A KR 20140004720A KR 101385289 B1 KR101385289 B1 KR 101385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oma
kit
air
capsule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규
배준석
김용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289B1/ko
Priority to CN201410208540.9A priority patent/CN104776497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perfuming or deodori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07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receiving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바디와;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의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아로마 케이스와;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간으로 송풍하는 송풍기와; 아로마 캡슐이 착탈되고 공간에 무빙 가능하게 수용된 아로마 키트와; 아로마 키트를 공기토출구 차폐위치로 무빙시키거나 공기토출구 개방위치로 무빙시키는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를 포함하여, 아로마 키트가 공기토출구를 개폐하여 별도의 공기토출구 도어 없이 공기토출구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별도의 공기토출구 도어를 설치하는 경우 보다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로 향을 발산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의 온도나 청정도나 습도 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조유닛이 설치되며, 내부에 실내의 공기를 공기 흡입구로 흡입하여 공조유닛으로 유동시키고 공조유닛에 의해 공조된 공기를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가 설치된다.
공기조화기는 방향제 등의 향을 분사시키는 방향제 분사부를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방향제 등의 아로마 성분은 실내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KR 10-0220728 B1 (1999.09.15)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방향제 분사수단이 흡입그릴체에 설치되어, 방향제 분사수단의 서비스시 흡입그릴체를 본체에서 분리해야 방향제 분사수단의 서비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아로마 케이스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간으로 송풍하는 송풍기와; 아로마 캡슐이 착탈되고 상기 공간에 무빙 가능하게 수용된 아로마 키트와; 상기 아로마 키트를 공기토출구 차폐위치로 무빙시키거나 공기토출구 개방위치로 무빙시키는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아로마 케이스는 전면에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송풍기에서 송풍된 공기가 상기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케이스는 로어 아로마 케이스와, 상기 로어 아로마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어퍼 아로마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캡슐은 아로마 성분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아로마 케이스에는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마개가 걸리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배출공을 통과한 아로마 성분이 통과하는 스토퍼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키트는 상기 아로마 캡슐이 착탈되는 아로마 캡슐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는 상기 아로마 캡슐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아로마 캡슐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캡슐 삽입홈은 상기 아로마 캡슐의 삽입시 아로마 캡슐과 접촉되는 단자가 배치된 아로마 캡슐 장착홈과; 상기 아로마 캡슐 장착홈 보다 깊이가 깊은 아로마 캡슐 보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키트는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아로마 캡슐의 장착시 상기 아로마 캡슐과 접촉되는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키트는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전압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는 상기 아로마 키트가 안착된 아로마 키트 캐리어와;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를 상기 공간에서 진퇴시키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 무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 무빙기구는 상기 아로마 케이스에 설치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시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를 진퇴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를 진퇴시키는 종동축이 형성된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는 상기 종동축이 안내되고 상기 종동축에 의해 진퇴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는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와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 연결되어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를 전방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를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 록킹, 록킹해제시키는 록킹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를 감속시키는 감속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속기구는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와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랙과,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와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 중 다른 하나에 회전되게 연결된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키트는 전류를 단속하는 안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는 상기 아로마 키트의 정 위치시 상기 안전 스위치를 온시키는 스위치 조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키트는 상기 발광기구의 광에 의해 빛나는 아로마 데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송풍기와; 아로마 캡슐이 착탈되고 상기 본체에 무빙되게 배치된 아로마 키트과; 상기 아로마 키트를 무빙시키는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는 상기 아로마 키트가 배치된 아로마 키트 캐리어와;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를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 무빙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로마 키트는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 전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키트와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 연결되어 상기 아로마 키트를 전방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키트를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 록킹, 록킹해제시키는 록킹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키트를 감속시키는 감속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에 설치되어 상기 아로마 키트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로마 키트가 공기토출구를 개폐하여 별도의 공기토출구 도어 없이 공기토출구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별도의 공기토출구 도어를 설치하는 경우 보다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아로마 키트가 무빙될 수 있어,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아로마 키트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아로마 키트가 공기토출구 개방위치에서 아로마 캡슐 서비스 위치로 2단 슬라이딩되어, 공기조화기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아로마 캐리어가 공기조화기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아로마 키트가 외부로 인출되므로, 아로마 캡슐의 서비스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아로마 캡슐의 오장착시 아로마 키트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어 안전성이 높고,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발광기구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아로마가 발생되는 부분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캡슐 서비스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캡슐 서비스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키트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케이스 및 아로마 키트 캐리어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주요부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주요부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캡슐 서비스시 주요부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의 아로마 캡슐 홀더에 아로마 캡슐이 장착되었을 때의 아로마 키트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에 아로마 캡슐이 오장착되었을 때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캡슐 서비스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캡슐 서비스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I)와 공기토출구(O)가 형성된 본체(2)와; 본체(2)에 설치된 열교환기(4)와; 공기흡입구(I)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4)를 통과시킨 후 공기토출구(O)로 토출하는 송풍기(6)와; 아로마 캡슐(C)이 착탈되고 본체(2)에 무빙되게 배치된 아로마 키트(8)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공조 운전과 아로마 운전과 공조 및 아로마 운전 등을 을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9)(10)(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운전은 아로마 발생물질이 수용된 아로마 캡슐(C)에서 아로마 성분이 배출되고, 배출된 아로마 성분이 송풍기(6)에서 송풍된 공기와 함께 실내로 넓게 퍼지는 운전이다. 아로마 운전은 아로마 운전이 입력된 후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아로마 운전시간은 공기조화기가 아로마 운전 제어를 실시하도록 설정된 시간이다. 아로마 운전은 아로마 운전이 입력된 시점부터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1회 실시된 후 완료될 수 있다.
공조 운전은 냉방 운전과 난방운전과 공기청정 운전과 제습 운전 등의 운전일 수 있고,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과 공기청정 운전과 제습 운전 중에 선택된 하나의 운전일 수 있다. 공조 운전은 아로마 키트(8)가 온,오프 운전되지 않는 비 아로마 운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과, 공조 운전과, 공조 및 아로마 운전 등이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운전은 공조 운전의 제1운전과, 아로마 운전의 제2운전과, 공조 및 아로마 운전의 제3운전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운전과 제2운전과 제3운전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하, 공조 운전을 냉방 운전인 예로 설명하면, 공기조화기는 제1운전시 아로마 캡슐(C)에서 아로마 성분이 배출되지 않고, 열교환기(4)와 열교환된 공기가 공기토출구(O)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제1운전은 공조 단독 운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2운전시 아로마 캡슐(C)에서 아로마 성분이 배출되고, 공기가 열교환기(4)를 온도변화 없이 통과한 후 아로마 성분과 함께 공기토출구(O)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제2운전은 아로마 단독 운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3운전시 아로마 캡슐(C)에서 아로마 성분이 배출되고, 열교환기(4)와 열교환된 공기가 아로마 캡슐(C)에서 배출된 아로마 성분과 함께 공기토출구(O)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제3운전은 공조 및 아로마 동시 운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운전정지 중에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공조 운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조 운전의 도중에 입력부(10)로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공조 및 아로마 운전으로 변경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조 운전의 도중에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공조 운전 종료될 수 있고,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아로마 운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운전정지 중에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아로마 운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의 도중에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공조 및 아로마 운전으로 변경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의 도중에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아로마 운전이 종료될 수 있고, 입력부(10) 입력에 의해 공조 운전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내부에 아로마 발생물질인 기능성 물질이 담겨질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외부에서 고전압이 인가되면, 기능성 물질이 미립화되어 외부로 분무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아로마 발생물질인 기능성 물질을 하전시켜 전위차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기능성 물질을 미스트 형태로 분무하는 정전분무캡슐일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액체 상태로 아로마 캡슐(C)에 담겨질 수 있고, 고전압인가에 의해 생긴 전기력에 의해 액적이 미립화되어 분무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로즈마리 아로마오일, 페퍼민트 아로마오일, 레몬 아로마오일, 바질 아로마오일 등의 각종 아로마 오일일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에서 배출된 아로마는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고,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기능성 물질이 담겨지는 용기(12)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아로마 성분이 배출되는 배출공(13)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13)은 용기(12)에 형성될 수 있고, 용기(12) 내의 기능성 물질에서 생성된 아로마 성분은 배출공(13)을 통과하여 아로마 캡슐(C)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용기(12)에 배치되고 용기(12) 내 기능성 물질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인가단자(미도시)와; 용기(12)의 내부에 배치되고 기능성 물질이 모세관 현상으로 상승되는 다공성 전극(미도시)과, 용기(12)에 배치되고 고전압 인가시 다공성 전극과 전위차를 발생하는 접지 전극(미도시)를 포함한다.
용기(12)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기능성 물질이 담겨지는 공간이 형성된 바디(14)와, 바디(14)의 상면을 덮고 배출공(13)이 형성된 덮개(15)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미사용시 배출공(13)을 막는 마개(16)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배출공(13)이 마개(16)에 막힌 상태에서 운반되거나 보관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마개(16)가 용기(12)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용기(12)가 아로마 키트(8)에 장착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아로마 키트(8) 중 후술하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장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I)가 형성된 흡입 바디(20)와;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S)이 형성되고 공간(S)의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O)가 형성된 아로마 케이스(28)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6)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흡입 바디(20)를 통해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송풍기(6)에 의해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간(S)으로 송풍될 수 있으며, 공간(S)의 공기는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기토출구(O)를 토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본체(2)는 흡입 바디(20)와 아로마 케이스(28)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흡입 바디(20)와 아로마 케이스(28) 이외에 후술하는 프론트 커버(31)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2)는 흡입바디(20)가 설치되는 베이스(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고, 흡입바디(20)는 베이스(22)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22)에는 공기조화기의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2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조화기의 각종 전장부품은 송풍기(6)와, 아로마 키트(8)와, 후술하는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흡입바디(20)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흡입바디(20)와 열교환기(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26)은 공기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화유닛(26)은 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화유닛(26)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방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화유닛(26)은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온발생기와 전기집진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송풍기(6)에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변화된 공기가 공기조화기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 바디일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케이스(28)에 수용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송풍기(6)에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유입구(27)가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송풍기(6)에서 송풍된 공기가 공기유입구(27)를 통해 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 공간(S)으로 유입된 공기는 공간(S)을 통과하여 공기토출구(O)로 토출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케이스(28)에 무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공간(S)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고, 공간(S)에 무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공기조화기의 외부에서 공기토출구(O)가 보이게 설치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송풍기(6)와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송풍기(6)와 마주보는 면에 공기유입구(27)가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6)는 송풍기(6)에 설치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송풍기(6)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공기조화기의 외부에서 공기토출구(O)가 보이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6)에서 하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아로마 케이스(28)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상면에 공기유입구(27)가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전면에 공기토출구(O)가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배면과 하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각각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로마 케이스(28)는 복수개의 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로마 케이스(28)는 로어 아로마 케이스(29)와, 로어 아로마 케이스(29)의 상부에 설치되고 공기유입구(27)가 형성된 어퍼 아로마 케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아로마 케이스(30)는 상면 일부에 공기유입구(27)가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로어 아로마 케이스(29)의 선단과 어퍼 아로마 케이스(30)의 선단 사이에 공기토출구(O)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2)는 송풍기(6)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커버(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31)는 송풍기(6)를 보호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프론트 아우터 커버가 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31)는 아로마 케이스(28)의 선단 보다 큰 개구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그 선단이 개구부(32)에 위치될 수 있고, 아로마 성분이 포함된 공기나 아로마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공기는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간(S)에서 공기토출구(O)를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직접 토출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는 그 선단이 개구부(32)에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아로마 성분이 포함된 공기나 아로마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공기는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간(S)에서 공기토출구(O)를 토출된 후 개구부(32)를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프론트 커버(31)가 공기조화기의 전면 전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론트 커버(31)는 송풍기(6)의 전방에 배치되어 송풍기(6)를 가릴 수 있다.
본체(2)는 로어 커버(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33)는 프론트 커버(31)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로어 커버(33)는 베이스(22)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케이스(28)에 형성된 공기토출구(O)만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기토출구(O) 뿐만 아니라 별도의 토출 패널(34)(35)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2)는 아로마 케이스(28)와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토출패널(34)(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 패널(34)(35)은 송풍기(6)의 옆에 위치되게 설치된 사이드 토출 패널일 수 있다. 토출 패널(34)(35)에는 사이드 공기 토출구(34A)(35A)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34)(35)은 좌측 공기토출구(34A)가 형성된 좌측 토출패널(34)과, 우측 공기토출구(35A)가 형성된 우측 토출패널(35)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토출패널(34)은 송풍기(6)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송풍기(6)에서 좌측 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할 수 있다. 좌측 토출패널(34)에는 좌측 공기토출구(34A)를 통과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좌측 베인(34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좌측 베인(34B)은 좌측 공기토출구(34A)를 개폐할 수 있다. 우측 토출패널(35)은 송풍기(6)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고, 송풍기(6)에서 우측 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할 수 있다. 우측 토출패널(35)에는 우측 공기토출구(35A)를 통과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우측 베인(35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우측 베인(35B)은 우측 공기토출구(35A)를 개폐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좌측 베인(34B)을 회전시키는 좌측 구동기구와, 우측 베인(35B)을 회전시키는 우측 구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구동기구와 우측 구동기구는 모터 등의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구동기구와 우측 구동기구는 아로마 운전시 밀폐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공조 운전시 개방모드로 제어될 수 있으며, 공조 및 아로마 운전시 개방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케이스(28)에 형성된 공기토출구(O)만으로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기토출구(O) 뿐만 아니라 무빙 가능하게 배치된 무빙 토출바디(36)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무빙 토출바디(36)는 본체(2)의 상부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무빙 토출바디(36)는 송풍기(6)의 상측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무빙 토출바디(36)는 송풍기(6)에서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무빙 토출바디(36)는 전면에 무빙 토출구(36A)가 형성될 수 있다. 무빙 토출바디(36)는 상승시 무빙 토출구(36A)가 상승되어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며, 하강시 무빙 토출구(36A)가 본체(2)의 내부로 삽입되어 은닉될 수 있다. 본체(2)는 무빙 토출바디(36)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37)는 흡입바디(20)와 프론트 커버(3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무빙 토출바디(36)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는 모터 등의 구동원과, 구동원의 구동시 무빙 토출바디(36)를 승강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는 구동원에 설치된 피니언과, 피니언에 치합된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는 아로마 운전시 하강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공조 운전시 상승모드로 제어될 수 있으며, 공조 및 아로마 운전시 상승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공기흡입구(I)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공기흡입구(I)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공기흡입구(I)와 송풍기(6)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본체(2) 내부에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흡입바디(20)와 송풍기(6)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흡입바디(20)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6)는 공기흡입구(I)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4)를 통과시킨 후 공간(S)으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기(6)는 복수개의 임펠러(61)(62)(63)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6)는 복수개의 임펠러(61)(62)(63)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구성되고, 하나의 팬모터에 하나의 임펠러가 설치된 셋트가 복수 셋트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6)는 복수개의 팬모터(64)(65)(66)와 복수개의 임펠러(61)(62)(63)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6)는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1임펠러(61)와,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2임펠러(62)와,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를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3임펠러(63)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6)는 제1임펠러(61)를 회전시키는 제1팬모터(64)와, 제2임펠러(62)를 회전시키는 제2팬모터(65)와, 제3임펠러(63)를 회전시키는 제3팬모터(66)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6)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6)는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전,후,좌,우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시로코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는 복수개 임펠러(61)(62)(63)의 유로를 형성하는 팬하우징(67)과, 팬하우징(67)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68)를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67)은 임펠러(61)(62)(63) 보다 개수가 더 적을 수 있고, 팬 하우징(67)에는 제1임펠러(61)의 스크롤부 및 토출부와, 제2임펠러(62)의 스크롤부 및 토출부와, 제3임펠러(63)의 스크롤부 및 토출부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68)는 임펠러(61)(62)(63) 보다 개수가 더 적을 수 있고, 오리피스(68)에는 제1임펠러(61)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부(68A)와, 제2임펠러(62)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부(68B)와, 제3임펠러(63)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부(68C)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송풍기(6)는 제1팬모터(64)와 제1임펠러(61)가 아로마 케이스(28) 및 사이드 토출패널(34)(35)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1송풍유닛이 될 수 있다. 송풍기(6)는 제2팬모터(65)와 제2임펠러(62)가 사이드 토출패널(34)(35)를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2송풍유닛이 될 수 있다. 송풍기(6)는 제3팬모터(65)와 제3임펠러(63)가 사이드 토출패널(34)(35) 및 무빙 토출바디(36)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3송풍유닛이 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시 회전되는 임펠러의 대수가 냉방 운전시 회전되는 임펠러 대수 보다 적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시 회전되는 임펠러 대수가 냉방 및 아로마 운전시 회전되는 임펠러 대수 보다 적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시 아로마 케이스(28)와 토출 패널(34)(35) 및 무빙 토출바디(36)를 통해 공기를 분산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송풍기(6)는 냉방 운전시, 제1,2,3 팬모터(64)(65)(66)가 모두 구동될 수 있고, 제1,2,3 임펠러(61)(62)(63)는 모두 회전될 수 있다. 송풍기(6)는 냉방 및 아로마 운전시 제1,2,3 팬모터(64)(65)(66)가 모두 구동될 수 있다. 송풍기(6)는 제1,2,3 임펠러(61)(62)(63)는 모두 회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운전시 아로마 케이스(28)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고, 토출 패널(34)(35) 및 무빙 토출바디(36)로는 공기를 토출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송풍기(6)는 아로마 운전시 제1팬모터(64)만 구동되고 제2팬모터(65)와 제3팬모터(66)가 정지일 수 있다. 송풍기(6)는 제1임펠러(61)만 회전되고, 제2임펠러(62) 및 제3임펠러(63)가 정지일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송풍기(6)와 공기토출구(O)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공간(S)에 무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토출구(O)를 막는 제1위치로 무빙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토출구(O)를 개방하는 제2위치로 무빙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위치는 공기토출구 차폐위치(P1)일 수 있고, 제2위치는 공기토출구 개방위치(P2)일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공기토출구(O)를 개폐하는 공기토출구 도어로 기능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공기토출구(O)를 개폐하기 위한 별도의 공기토출구 도어 없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캡슐(C)이 착탈되는 아로마 캡슐 홀더(82)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장착되어 아로마 캡슐(C)의 장착시 아로마 캡슐(C)과 접촉되는 단자(85)(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장착되고 단자(85)(8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전압 발생기(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캡슐 홀더(82)는 아로마 캡슐(C)을 보호할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을 이동시킬 수 있다.
아로마 캡슐 홀더(82)는 아로마 캡슐(C)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아로마 캡슐 삽입홈(83)(84)이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 삽입홈(83)(84)은 아로마 캡슐(C)이 장작되는 아로마 캡슐 장착홈(83)과; 아로마 캡슐(C)이 보관되는 아로마 캡슐 보관홈(84)을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아로마 캡슐 장착홈(83)과 아로마 캡슐 보관홈(84)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의 사용시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의 미사용시 아로마 캡슐 보관홈(84)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에는 아로마 캡슐(C)의 삽입시 아로마 캡슐(C)과 접촉되는 단자(85)(86)가 배치될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은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에 삽입되었을 때 아로마를 배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아로마 캡슐 보관홈(84)은 단자(85)(86)가 배치되지 않고, 아로마 캡슐(C)은 미사용시 아로마 캡슐 보관홈(84)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 홀더(82)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로어 아로마 캡슐 홀더(82A)와, 로어 아로마 캡슐 홀더(82A)의 상부에 설치된 어퍼 아로마 캡슐 홀더(82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퍼 아로마 캡슐 홀더(82B)에는 아로마 캡슐 장착홈(83) 및 아로마 캡슐 보관홈(84)이 형성될 수 있다.
단자(85)(86)는 아로마 캡슐(C)의 고전압 인가단자와 접촉되는 고전압 연결단자(85)와, 아로마 캡슐(C)의 접지전극과 접촉되는 접지 연결단자(86)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이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에 삽입되었을 때, 아로마 캡슐(C)의 고전압 인가단자는 고전압 연결단자(85)와 접촉될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의 접지전극는 접지 연결단자(86)와 접촉될 수 있다. 단자(85)(86)는 일부가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단자(85)(86)는 어퍼 아로마 캡슐 홀더(82B)에 설치될 수 있다. 단자(85)(86)는 후술하는 고전압 발생기(88)와 리드 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전류를 단속하는 안전 스위치(87)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스위치(87)는 온,오프되는 리미트 스위치일 수 있다. 안전 스위치(87)는 외력에 의해 제1단자와 제2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 변형되어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접점되는 것에 의해 온될 수 있다. 안전 스위치(87)는 외력이 제거되면 제1단자와 제2단자 중 탄성 변형되었던 단자가 복원되면서 제1단자와 제2단자가 분리될 수 있고, 오프될 수 있다. 안전스위치(87)는 제어부(24)와 고전압 발생기(88) 사이에 설치되거나, 고전압 발생기(88)와 고전압 연결단자(85)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안전 스위치(87)의 오프시 고전압은 아로마 캡슐(C)로 인가되지 않고, 아로마 캡슐(C)은 아로마 성분을 생성하지 않는다.
고전압 발생기(88)는 제어부(24)에서 온 신호가 출력되면, 고전압을 발생하여 고전압 연결단자(85)로 인가할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은 고전압 인가에 따라 미스트 형태의 아로마 성분을 생성할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88)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88)는 로어 아로마 캡슐 홀더(82A)와 어퍼 아로마 케이스(82B)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후술하는 발광기구(130)의 광에 의해 빛나는 아로마 데코(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데코(89)는 아로마 키트 홀더(82)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고, 외부에서 공간(S)을 볼 때 공간(S)을 통해 보일 수 있게 다. 아로마 데코(89)는 후술하는 발광기구(130)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밝게 보일 수 있고, 아로마 키트(8)의 장식미를 높일 수 있다. 아로마 데코(89)는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아로마 키트 홀더(82)와 함께 전진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외관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온,오프 운전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온 운전시 아로마 캡슐(C)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미스트 형태의 아로마 성분은 아로카 캡슐(C)에서 배출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오프 운전시, 아로마 캡슐(C)로 인가되는 고전압을 차단할 수 있고, 미스트 형태의 아로마 성분 생성은 중단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설정주기로 온,오프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의 온 시간은 아로마 키트(8)의 오프 시간 보다 짧을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운전시간 동안 설정 횟수 온,오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키트(8)를 무빙시키는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아로마 키트(8)를 공기토출구 차폐위치(P1)로 무빙시키거나 공기토출구 개방위치(P2)로 무빙시킬 수 있다.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아로마 케이스(28)에 설치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아로마 키트(8)가 배치된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안착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 홀더(82)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전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아로마 캡슐 서비스위치(P3)로 무빙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로마 키트 캐리어(92)가 아로마 키트(8)를 공기토출구 차폐위치(P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아로마 키트(8)가 전진될 수 있고, 아로마 키트(8)는 전진되어 아로마 캡슐 서비스 위치(P3)로 무빙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의 위치가 고정인 상태에서 아로마 키트(8)가 후퇴될 수 있고,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캡슐 비서비스 위치로 무빙될 수 있다. 여기서, 아로마 캡슐 비서비스 위치는 공기토출구 밀폐 위치(P1)와 동일 위치일 수 있다.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공간(S)에서 진퇴시키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 무빙기구를 포함한다. 아로마 키트 캐리어 무빙기구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캐리어 무빙기구는 아로마 케이스(28)에 설치된 구동원(94)과; 구동원(94)의 구동시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진퇴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96)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재(96)는 구동원(94)에 연결되고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진퇴시키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와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연결되어 아로마 캡슐 홀더(82)를 전방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기구(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키트(8)를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와 착탈시키는 록킹기구(98)(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록킹기구(98)(99)는 아로마 캡슐 홀더(82)를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록킹, 록킹해제시킬 수 있다. 록킹기구(98)(9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로마 키트(8)와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고정시켜,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의 이동시 아로마 키트(8)가 함께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록킹기구(98)(99)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로마 키트(8)를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와 분리시킬 수 있고,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기준으로 전진되거나 후퇴될 수 있다. 록킹기구(98)(99)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설치된 푸시 래치(98,Push latch)와,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구비되어 아로마 캡슐 홀더(82)와 함께 무빙되고 푸시 래치(98)에 록킹, 록킹해제되는 래치(99)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99)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푸시 래치(98)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래치(99)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의 후퇴시 푸시 래치(98)의 걸이구에 구속되어 걸릴 수 있고, 푸시 래치(98)는 걸이구가 래치(99)를 구속하는 것에 의해 아로마 캡슐 홀더(82)를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입력부(9)(10)(11)는 본체(2)와 이격된 리모컨(9)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9)(10)(11)는 리모컨(9)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 수신부는 본체(2)에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9)(10)(11)는 본체(2)에 설치된 본체 컨트롤러(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컨트롤러(10)는 본체(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본체 컨트롤러(10)는 본체(2)에 디스플레이와 별도로 설치된 컨트롤 패널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본체(2)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또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컨트롤러(10)가 터치 스크린 또는 센서를 포함할 경우, 본체 컨트롤러(10)는 프론트 커버(31)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9)(10)(11)는 휴대단말기나 컴퓨터 등과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은 본체(2)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나 컴퓨터 등에 설치된 공기조화기 조작용 앱을 통해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 조작용 앱을 통해 입력된 명령의 출력신호는 와이파이 모듈로 수신될 수 있다.
입력부(9)(10)(11)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인식모듈은 본체(2)에 구비될 수 있다. 음성인식모듈은 기설정된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제어부(24)로 출력할 수 있다. 음성인식모듈은 " 냉방", " 공기청정", "제습", 아로마 운전 " 등과 같이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같은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고, " 강풍 ", " 약풍 " 등과 같은 풍량의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입력부(9)(10)(11)는 리모컨(9)이나 휴대단말기나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11)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04)은 제어부(24)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11)에는 리모컨 수신부와, 와이파이 모듈, 음성인식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에는 복수개의 통신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리모컨 수신부와 와이파이 모듈과 음성인식모듈은 모두 하나의 통신모듈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통신모듈에 분산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통신모듈(11)은 프론트 커버(31)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키트(8)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구(130)는 아로마 키트(8)를 조명하는 아로마 키트 조명기구일 수 있다. 발광기구(130)는 본체(2)에 설치되어 아로마 키트(8)를 밝게 조명할 수 있다. 발광기구(130)는 제어부(24)에 연결되어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발광기구(130)는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간(S)을 조명하여 아로마 키트(8)를 조명할 수 있다. 발광기구(130)는 아로마 케이스(28) 외부에 설치되어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기유입구(27)로 광을 조사할 수 있고, 공기유입구(27)로 조사된 광은 공기유입구(27)를 통과하여 공간(S)으로 조사될 수 있다. 공간(S)으로 조사된 광은 아로마 키트(8)를 밝게 조명할 수 있다. 발광기구(130)는 공기토출구(C)를 조명할 수 있고, 공기토출구 조명기구로 기능할 수 있다.
발광기구(130)는 본체(2)의 내부 중 아로마 케이스(28)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130)는 송풍기(6)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130)는 송풍기(6)에 아로마 케이스(28)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130)는 송풍기(6)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간(S)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기구(130)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원은 엘이디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원은 아로마 케이스(28)를 마주본 상태에서 아로마 케이스(28)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기구(130)는 아로마 운전이 입력되면, 온될 수 있고, 발광기구(130)는 아로마 운전의 초기 설정시간 동안 온되어 아로마 키트(8) 및 공간(S)을 조명할 수 있다. 발광기구(130)는 초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오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케이스 및 아로마 키트 캐리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주요부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주요부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아로마 캡슐 서비스시 주요부 평면도이다.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로마 케이스(28)를 따라 전후 슬라이딩 될 수 있고, 아로마 케이스(28)와 아로마 키트 캐리어(9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전후 슬라이딩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와 아로마 키트 캐리어(92) 중 어느 하나(28)에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의 이동 방향으로 긴 돌출 가이드(102)(104)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92)에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의 이동시 돌출 가이드(102)(104)에 안내되는 가이드 리브(92A)(92B)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는 돌출 가이드(102)(104)와 가이드 리브(92A)(92B)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가이드(102)(104)는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돌출부일 수 있고, 가이드 리브(92A)(92B)는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리브일 수 있다. 돌출 가이드(102)(104)는 로어 아로마 케이스(29)의 하판에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리브(92A)(92B)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의 측단에 옆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는 동력전달부재(96)에 의해 밀리거나 당겨지는 가이드 레일(93)이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96)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링크에는 구동원(94)에 연결되는 구동축(96A)과,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진퇴시키는 종동축(96B)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는 구동축(96A)이 구동원(94)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종동축(96B)이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종동축(96B)은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레일(93)에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93)의 내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종동축(96B)은 가이드 레일(93)에 안내되면서 가이드 레일(93)을 밀거나 당길 수 있고, 가이드 레일(93)은 종동축(96B)에 의해 진퇴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93)은 종동축(96B)의 위치 이동시 종동축(96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93)은 구동원(94)의 개수와 동일 개수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한 쌍의 구동원(94) 및 한 쌍의 동력전달부재(96)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 레일(93)은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캐리어 무빙기구는 어느 하나의 구동원에 어느 하나의 동력전달부재가 연결된 제1구동기구(90A)와, 다른 하나의 구동원에 다른 하나의 동력전달부재가 연결된 제2구동기구(9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기구(90A)와, 제2구동기구(90B)는 아로마 케이스(28)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에는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에 형성된 종동축(96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중 다른 하나에는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에 형성된 종동축(96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93)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93)은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게 형성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기구(90A)의 구동원(94)과 제2구동기구(90B)의 구동원(9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에 형성된 종동축(96B)과,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에 형성된 종동축(96B)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 및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제1구동기구(90A)의 구동원(94) 및 제2구동기구(90B)의 구동원(94)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 및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는 그 각각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구동기구(90A)와 제2구동기구(90B)의 구동시, 한 쌍의 가이드 레일(93) 중 어느 하나는 제1구동기구(90A)의 종동축(96B)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93) 중 다른 하나는 제2구동기구(90B)의 종동축(96B)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후퇴될 수 있다.
제1구동기구(90A)의 구동원(94)과 제2구동기구(90B)의 구동원(94)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에 형성된 종동축(96B)과,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에 형성된 종동축(96B)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 및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 각각이 전방 방향을 향하게 제1구동기구(90A)의 구동원(94) 및 제2구동기구(90B)의 구동원(94)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구동기구(90A)의 동력전달부재(96) 및 제2구동기구(90B)의 동력전달부재(96)는 그 각각이 공기토출구(O)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구동기구(90A)와 제2구동기구(90B)의 구동시, 한 쌍의 가이드 레일(93) 중 어느 하나는 제1구동기구(90A)의 종동축(96B)에 의해 전방으로 밀릴 수 있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93) 중 다른 하나는 제2구동기구(90B)의 종동축(96B)에 의해 전방으로 밀릴 수 있으며,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전진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는 록킹기구(98)(99)가 장착되는 록킹기구 장착부(92C)가 형성될 수 있다. 록킹기구 장착부(92C)에는 푸시 래치(98)가 설치될 수 있다. 록킹기구 장착부(92C)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의 후판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기구(97)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97A)와,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연결되고 롤러(97A)에 탄성적으로 감긴 탄성부재(97B)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기구(97)는 탄성부재(97B)가 연결되는 탄성부재 커넥터(97C)를 포함할 수 있고, 탄성부재(97B)는 일단이 탄성부재 커넥터(97C)에 연결되고, 타단이 롤러(97A)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기구(97)는 탄성부재 커넥터(97C)가 아로마 키트 캐리어(82)에 연결될 수 있고, 롤러(97A)가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롤러(97A)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의 뒷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탄성부재 커넥터(97C)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82)의 앞부분에 장착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97B)는 일부가 아로마 키트 홀더(82)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복원될 수 있다. 탄성부재(97B)는 적어도 일부가 롤러(97A)에 감긴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97B)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로마 키트(8)의 후퇴시 전후 방향의 폭이 길게 롤러(97A)에서 풀리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탄성부재(97B)는 아로마 키트(8)의 전진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폭이 짧게 롤러(97A)에 감기면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는 탄성부재 커넥터(97C)가 장착되는 커넥터 장착부(92D)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 커넥터(97C)에는 후크가 형성될 수 있고, 커넥터 장착부(92D)는 후크가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후크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로마 캡슐 홀더(82)를 감속시키는 감속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구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와 아로마 캡슐 홀더(8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랙(112)과, 다른 하나에 회전되게 연결된 피니언(114)을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탄성기구(9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전진될 수 있는데, 감속기구는 피니언(114)이 랙(112)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될 때 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아로마 키트(8)의 이동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랙(112)은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형성될 수 있다. 피니언(114)은 아로마 키트(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피니언(114)은 아로마 키트(8)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기어 홀더(116)는 통해 아로마 키트(8)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기어 홀더(116)는 아로마 키트(8)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 리브에 끼움되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고, 후크 등의 걸이 수단에 의해 아로마 키트(8)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피니언(114)은 기어 홀더(116)에 형성된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기어 홀더(116)을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피니언(114)은 아로마 키트(8)의 하부에서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랙(112)을 따라 회전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피니언(114)과 기어 홀더(116)는 감속 댐퍼로 기능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는 아로마 키트(8)의 정 위치시 안전 스위치(87)를 온시키는 스위치 조작부(92E)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아로마 키트(8)의 정 위치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로마 키트(8)가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고정되는 위치로서, 래치(99)가 푸시 래치(98)에 걸려서 구속되는 위치일 수 있다. 스위치 조작부(92E)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서 아로마 키트(8)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위치 조작부(92E)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의 아로마 캡슐 홀더에 아로마 캡슐이 장착되었을 때의 아로마 키트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의 아로마 캡슐이 오장착되었을 때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아로마 키트 홀더(82)에는 아로마 캡슐 장착홈(83)과, 아로마 캡슐 보관홈(84)이 서로 상이한 깊이(H1)(H2)로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 장착홈(83)과 아로마 캡슐 보관홈(84)은 그 각각의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 장착홈(83)과 아로마 캡슐 보관홈(84)의 각각은 아로마 캡슐 홀더(82)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 보관홈(84)은 아로마 캡슐 장착홈(83) 보다 그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이 제1깊이(H1)일 경우, 아로마 캡슐 보관홈(84)은 제1깊이(H1) 보다 깊은 제2깊이(H2)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 보관홈(84)의 깊이인 제2깊이(H2)는 마개(16)의 높이(H3)와 제1깊이(H1)의 합과 같거나 합 보다 클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마개(16)가 용기(12)에 결합된 상태로 아로마 캡슐 보관홈(84)에 삽입될 수 있고, 이 때, 마개(16)의 상단은 아로마 캡슐 홀더(82)의 상면과 같은 높이이거나 아로마 캡슐 홀더(82)의 상면 보다 낮은 높이일 수 있다.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의 깊이(H1)는 용기(12)의 높이와 같거나 용기(12)의 높이 보다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의 깊이(H1)는 용기(12)의 높이와 마개(16)의 높이(H3)의 합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16)와 분리된 용기(12)는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에 삽입되었을 때, 용기(12)의 상단이 아로마 캡슐 홀더(82)의 상면과 같은 높이이거나 아로마 캡슐 홀더(82)의 상면 보다 낮은 높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착오 등에 의해 마개(16)를 용기(12)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용기(12)를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마개(16)의 적어도 일부는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으며, 마개(16)의 전부 또는 일부는 아로마 캡슐 홀더(82)의 상면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아로마 케이스(28)에는 배출공(13)을 개폐하는 마개(16)가 걸리는 스토퍼(30A)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0A)는 배출공(13)으로 배출된 아로마 성분이 통과하는 스토퍼 통공(30B)이 형성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은 마개(16)가 배출공(13)을 막도록 용기(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12)가 아로마 캡슐 장착홈(83)에 장착될 수 있고, 이때, 마개(16)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2) 및 아로마 키트(8)와 함께 아로마 케이스(28)의 내부로 후퇴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가 아로마 케이스(28)의 내부로 후퇴될 때, 마개(16)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0A)에 걸릴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마개(16)가 스토퍼(30A)에 걸리는 것에 의해 공간(S)으로 깊숙이 삽입되지 못하며, 사용자는 아로마 키트(8)의 위치를 보고, 아로마 캡슐(C)의 오장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스토퍼(30A)는 그 형성 위치에 따라, 마개(16)가 걸리는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스토퍼(30A)는 아로마 키트(8)가 아로마 캡슐 서비스위치(P3)에서 공기토출구 차폐위치(P1)로 이동되는 도중일 때, 마개(16)를 구속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아로마 키트(8)는 공기토출구 차폐위치(P1)에 정상적으로 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사용자 등은 아로마 키트(8)가 공기토출구 차폐위치(P1)까지 후퇴되지 못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의 오장착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30A)는 아로마 키트(8)가 공기토출구 차폐위치(P1)에서 공기토출구 개방위치(P2)로 이동되는 도중일 때, 마개(16)를 구속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아로마 키트(8)는 공기토출구 개방위치(P2)에 정상적으로 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사용자 등은 아로마 키트(8)가 공기토출구 개방위치(P2)까지 후퇴되지 못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잇고, 아로마 캡슐(C)의 오장착을 인지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의 오장착시, 사용자는 아로마 키트(8)를 손으로 눌렀다가 떼는 것에 의해 아로마 키트(8)를 다시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고, 사용자는 마개(16)를 용기(12)에서 분리한 후 아로마 키트(8)를 다시 후방으로 밀 수 있다. 마개(16)와 분리된 용기(12)는 아로마 키트(8)와 함께 아로마 케이스(28) 내부로 다시 삽입될 수 있고, 마개(16)가 분리된 아로마 캡슐(C)은 스토퍼(30A)에 걸리지 않게 되며, 아로마 캡슐(C)은 정상적으로 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아로마 운전 또는 공조 및 아로마 운전시, 용기(12)의 배출공(13)은 스토퍼 통공(30B)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용기(12)에 형성된 배출공(13)은 적어도 일부가 스토퍼 통공(30B)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 볼 수 있다. 아로마 운전 또는 공조 및 아로마 운전에 의해 아로마 키트(8)가 온되면, 용기(12)에서 배출된 아로마 성분은 스토퍼 통공(30B)을 통과할 수 있고, 배출공(13) 및 스토퍼 통공(30B)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아로마 성분은 송풍기(6)에서 송풍된 공기와 함께 공기토출구(O)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공조운전시,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후퇴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송풍기(6)는 구동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의 후퇴모드시,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후퇴시킬 수 있다.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의 후퇴시,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와 함께 후퇴되어 공기토출구 차폐위치(P1)에서 공기토출구 개방위치(P2)로 이동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의 후퇴시 공기토출구(O)는 개방될 수 있다.
송풍기(6)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정화유닛(26)에 의해 정화되거나 열교환기(4)와 열교환된 후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 공간(S)에서 공기토출구(O)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아로마운전시,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후퇴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아로마 키트(8)는 운전될 수 있으며, 송풍기(6)는 구동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의 후퇴모드시,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공조운전과 같이,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후퇴시킬 수 있고, 아로마 키트(8)는 공기토출구 차폐위치(P1)에서 공기토출구 개방위치(P2)로 이동될 수 있으며, 공기토출구(O)는 개방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의 운전시 아로마 캡슐(C)에는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에서는 아로마 성분이 배출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에서 배출된 아로마 성분은 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기(6)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정화유닛(26)과 열교환기(4)를 통과할 수 있고,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는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공간(S)에서 아로마 성분과 혼합될 수 있다. 아로마 성분과 혼합된 공기는 공기토출구(O)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고, 공기와 함께 실내로 토출된 아로마 성분은 공기에 의해 실내로 넓게 퍼질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공조 및 아로마 운전시,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후퇴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아로마 키트(8)는 운전될 수 있으며, 송풍기(6)는 구동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의 후퇴모드시,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공조 운전 또는 아로마 운전과 같이,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후퇴시킬 수 있고, 아로마 키트(8)는 공기토출구 차폐위치(P1)에서 공기토출구 개방위치(P2)로 이동될 수 있으며, 공기토출구(O)는 개방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의 운전시 아로마 캡슐(C)에는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아로마 캡슐(C)에서는 아로마 성분이 배출될 수 있다. 아로마 캡슐(C)에서 배출된 아로마 성분은 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기(6)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정화유닛(26)에서 정화되거나 열교환기(4)와 열교환된 후 아로마 케이스(28)의 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 공간(S)에서 아로마 성분과 혼합될 수 있다. 아로마 성분과 혼합된 공기는 공기토출구(O)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고, 공기와 함께 실내로 토출된 아로마 성분은 공기에 의해 실내로 넓게 퍼질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시시,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전진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아로마 키트(8)가 운전 중이였으면 아로마 키트98)는 정지될 수 있으며, 송풍기(6)를 정지할 수 있다.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의 전진모드시,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90)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를 전진시킬 수 있고, 아로마 키트(8)는 공기토출구 개방위치(P2)에서 공기토출구 차폐위치(P1)로 이동될 수 있으며, 공기토출구(O)는 아로마 키트(8)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사용자는 아로마 캡슐(C)을 서비스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으로 아로마 키트(8)를 밀었다가 뗄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래치(99)가 푸시 래치(98)를 작동시킬 수 있고, 푸시 래치(98)는 래치(99)를 구속 해제할 수 있다. 래치(99)의 구속 해제시 탄성기구(97)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아로마 키트(8)를 전방 방향으로 밀 수 있고, 아로마 키트(8)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공기토출구(O)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일부가 본체(2)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전진될 수 있고,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캡슐 서비스위치(P3)에 위치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가 아로마 캡슐 서비스위치(P3)에 도달되면, 아로마 캡슐(C)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아로마 캡슐(C)을 아로마 키트(8)에서 꺼낼 수 있고, 새로운 아로마 캡슐(C) 또는 아로마 발생물질이 보충된 아로마 캡슐(C)을 다시 아로마 키트(8)에 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아로마 캡슐(C)의 장착 후 아로마 키트(8)를 후방 방향으로 밀수 있고, 이때, 탄성기구(97)는 탄성 변형될 수 있고, 래치(99)는 푸시 래치(98)에 걸림될 수 있다. 아로마 키트(8)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92)에 위치 고정될 수 있고, 아로마 키트(8)는 공기토출구(O)를 막는 공기토출구 차폐위치(P1)에 유지될 수 있다.
2: 본체 4: 열교환기
6: 송풍기 8: 아로마 키트
12: 용기 13: 배출공
16: 마개 22: 흡입바디
27: 공기유입구 28: 아로마 케이스
29: 로어 아로마 케이스 30: 어퍼 아로마 케이스
30A: 스토퍼 30B: 스토퍼 통공
82: 아로마 키트 홀더 83: 아로마 캡슐 장착홈
84: 아로마 캡슐 보관홈 85,86: 전극
87: 안전스위치 90: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
92: 아로마 키트 캐리어 92E : 스위치 조작부
93: 가이드 레일 94: 구동원
96: 동력전달부재 97: 탄성기구
98,99: 록킹기구 112: 랙
114: 피니언 130: 발광기구
O: 공기토출구 S: 공간

Claims (26)

  1.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아로마 케이스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간으로 송풍하는 송풍기와;
    아로마 캡슐이 착탈되고 상기 공간에 무빙 가능하게 수용된 아로마 키트와;
    상기 아로마 키트를 공기토출구 차폐위치로 무빙시키거나 공기토출구 개방위치로 무빙시키는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케이스는 전면에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송풍기에서 송풍된 공기가 상기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케이스는 로어 아로마 케이스와, 상기 로어 아로마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어퍼 아로마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캡슐은 아로마 성분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아로마 케이스에는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마개가 걸리는 스토퍼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된 아로마 성분이 통과하는 스토퍼 통공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키트는 상기 아로마 캡슐이 착탈되는 아로마 캡슐 홀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는 상기 아로마 캡슐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아로마 캡슐 삽입홈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캡슐 삽입홈은
    상기 아로마 캡슐의 삽입시 아로마 캡슐과 접촉되는 단자가 배치된 아로마 캡슐 장착홈과;
    상기 아로마 캡슐 장착홈 보다 깊이가 깊은 아로마 캡슐 보관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키트는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아로마 캡슐의 장착시 상기 아로마 캡슐과 접촉되는 단자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키트는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전압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는
    상기 아로마 키트가 안착된 아로마 키트 캐리어와;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를 상기 공간에서 진퇴시키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 무빙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 무빙기구는
    상기 아로마 케이스에 설치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시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를 진퇴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를 진퇴시키는 종동축이 형성된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는 상기 종동축이 안내되고 상기 종동축에 의해 진퇴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는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와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 연결되어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를 전방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기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를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 록킹, 록킹해제시키는 록킹기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를 감속시키는 감속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구는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와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랙과,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와 상기 아로마 캡슐 홀더 중 다른 하나에 회전되게 연결된 피니언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키트는 전류를 단속하는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는 상기 아로마 키트의 정 위치시 상기 안전 스위치를 온시키는 스위치 조작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키트는 상기 발광기구의 광에 의해 빛나는 아로마 데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1.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송풍기와;
    아로마 캡슐이 착탈되고 상기 본체에 무빙되게 배치된 아로마 키트과;
    상기 아로마 키트를 무빙시키는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키트 무빙기구는
    상기 아로마 키트가 배치된 아로마 키트 캐리어와;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를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아로마 키트 캐리어 무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아로마 키트는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 전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키트와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 연결되어 상기 아로마 키트를 전방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기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키트를 상기 아로마 키트 캐리어에 록킹, 록킹해제시키는 록킹기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키트를 감속시키는 감속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에 설치되어 상기 아로마 키트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40004720A 2014-01-14 2014-01-14 공기조화기 KR101385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720A KR101385289B1 (ko) 2014-01-14 2014-01-14 공기조화기
CN201410208540.9A CN104776497B (zh) 2014-01-14 2014-05-16 空气调节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720A KR101385289B1 (ko) 2014-01-14 2014-01-1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289B1 true KR101385289B1 (ko) 2014-04-16

Family

ID=5065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720A KR101385289B1 (ko) 2014-01-14 2014-01-1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5289B1 (ko)
CN (1) CN10477649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5834A3 (en) * 2015-01-13 2016-07-27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WO2018010621A1 (zh) * 2016-07-11 2018-01-18 吕寿芹 一种空调排风香味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65981B (zh) * 2016-01-25 2018-12-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
CN106679086B (zh) * 2016-12-27 2019-07-30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CN110538340B (zh) * 2019-09-02 2021-01-15 广州莱为电子科技有限公司 香薰机的工作状态控制方法、装置、香薰机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3561A (ja) 2001-09-13 2003-03-19 Funai Electric Co Ltd 空調機器
KR20050020528A (ko) * 2003-08-23 2005-03-04 고영진 다목적 블로워
JP2012032066A (ja) 2010-07-30 2012-02-16 Toyota Home Kk 環境調整システム
KR20130142451A (ko) * 2012-06-19 2013-12-30 이용화 차량용 다기능 공기 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8455A (ja) * 1985-03-13 1986-09-16 Hitachi Ltd 空気清浄機
KR20050110227A (ko) *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어컨 실내기의 휘산부재 취부구조
KR101318354B1 (ko) * 2011-10-21 2013-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2419823U (zh) * 2011-12-08 2012-09-05 滕钢 具有香薰功能的空调
CN202521735U (zh) * 2012-01-16 2012-11-07 广州华凌制冷设备有限公司 香氛空调器
CN202598694U (zh) * 2012-05-31 2012-12-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带有香薰功能的空调器室内机及包括其的空调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3561A (ja) 2001-09-13 2003-03-19 Funai Electric Co Ltd 空調機器
KR20050020528A (ko) * 2003-08-23 2005-03-04 고영진 다목적 블로워
JP2012032066A (ja) 2010-07-30 2012-02-16 Toyota Home Kk 環境調整システム
KR20130142451A (ko) * 2012-06-19 2013-12-30 이용화 차량용 다기능 공기 청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5834A3 (en) * 2015-01-13 2016-07-27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N105805829A (zh) * 2015-01-13 2016-07-27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
WO2018010621A1 (zh) * 2016-07-11 2018-01-18 吕寿芹 一种空调排风香味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76497B (zh) 2018-05-15
CN104776497A (zh)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29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1385289B1 (ko) 공기조화기
CN108143323B (zh) 浴室管理器
ES2672104T3 (es) Procedimiento para suministrar aire en una cabina de pulverización (realizaciones) y una unidad de ventilación para implementar el procedimiento (realizaciones)
KR101385291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EP2364420A1 (en) Humidifier
KR200465406Y1 (ko) 휴대 겸용 공기청정기
KR101385286B1 (ko) 공기조화기
CN101737853A (zh) 空调机
KR101385292B1 (ko) 공기조화기
CN107951430B (zh) 洗脸台下柜
KR20230105505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0A (ko) 옷걸이 장치
JP2019018052A (ja) 送風装置
KR102484780B1 (ko) 세면대 하부장 모듈
CN204817424U (zh) 具补风系统的通风柜
KR101412750B1 (ko) 공기조화기
CN108378764B (zh) 一种多功能卫浴柜
EP4206386A1 (en) Hanger device
KR102261717B1 (ko) 공기처리기
EP4206387A1 (en) Hanger device
EP4206390A1 (en) Hanger device
EP4206381A1 (en) Hanger device
KR20230105751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74A (ko) 옷걸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