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120B1 - A driv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hich combines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nto one stick - Google Patents

A driv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hich combines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nto one 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120B1
KR101385120B1 KR1020130064200A KR20130064200A KR101385120B1 KR 101385120 B1 KR101385120 B1 KR 101385120B1 KR 1020130064200 A KR1020130064200 A KR 1020130064200A KR 20130064200 A KR20130064200 A KR 20130064200A KR 101385120 B1 KR101385120 B1 KR 101385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hand
lever
acceler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2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4771A (en
Inventor
전교
Original Assignee
전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교 filed Critical 전교
Priority to KR1020130064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120B1/en
Publication of KR2013006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7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1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개의 막대에 브레이크와 가속기능이 결합된 자동차 운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면서 가속위치, 중립, 브레이크위치로 이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가 이동하여 상기 가속위치에 있게 되면 엔진의 쓰로틀을 열어 차량의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손가속수단과, 상기 레버가 이동하여 상기 브레이크위치에 있게 되면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스터 막대를 밀어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차량이 정지되도록 하는 손브레이크 수단과, 상기 레버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버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가이드수단과, 손브레이크가 걸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손브레이크 고정수단과, 상기 레버가 가속위치에 있을 경우 운전자가 손을 떼더라도 상기 레버가 가속위치에 머무르도록 하는 크루즈 컨트롤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손으로 조작하는 레버가 기존의 브레이크페달과 가속페달과 독립적으로 작동됨으로써, 손으로 운전하는 것과 발로 운전하는 것 중에서 운전자의 상황이나 취향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riving device in which a brake and an acceleration function are coupled to one bar, and a lever moving to an acceleration position, a neutral position, and a brake position while rotating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bout an axis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lever Is moved to the acceleration position to open the engine throttle to accelerate the vehicle, and when the lever moves to the brake position, the brake is activated by pushing the booster bar of the brake booster to operate the vehicle. Hand brake means for stopping, guide mean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ver to prevent the lever from swinging left and right, hand brake fixing means for continuously holding the hand brake is engaged, and the lever is accelerated Position, the lever will still By including cruise control means for staying at, the hand-operated lever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existing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giving you the freedom to choose between hand-drive and foot-drive, depending on your preferences and preferences. As a result, the driver's convenience is greatly improved.

Description

한 개의 막대에 브레이크와 가속기능이 결합된 자동차 운전장치{A driv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hich combines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nto one stick}A driv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hich combines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nto one stick}

본 발명은 한 개의 막대에 브레이크와 가속기능이 결합된 자동차 운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손으로 조작가능한 하나의 레버가 브레이크 및 가속기의 기능을 동시에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운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riving device in which a brake and an acceleration function are combined in one rod, and more particularly, a single lever that can be operated by the driver simultaneously improves the driver's convenience by simultaneously functioning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t relates to a car driving device that can be.

종래, 악셀레이터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손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한 운전 보조장치에 관한 기술로, 대한민국특허공고 제1991-0004895호 및 제1991-0004896호가 소개된 바 있으며, 이들은 조작 손을 일반인의 조향 손축에 대략 직각 방향으로 설치하고, 조작 손은 어느 일 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작 손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서 가속과 급속 또는 저속 등의 제어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Conventionally, as a technology relating to a driving assistance device that allows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to be operated by h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s. 1991-0004895 and 1991-0004896 have been introduc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operation hand can be rotated about any one point, so that control such as acceleration and rapid or low speed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hand.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조작 손이 조향축의 목 부분에 장착되기 때문에 틸트 기능을 사용할 수 없어서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도록 조향 손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는 폐단이 있고, 또한 조작 손과 악셀레이터 및 브레이크페달을 연결하고 있는 각 연결대 등은 일반인이 운전할 경우 다리 또는 팔에 걸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해하여 매우 불편하고, 또한 안전 운전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갖는다.However, the above patents have a closed end in which the tilt of the steering hand cannot be properly adjusted to fit the user's body structure because the tilting function cannot be used because the operating hand is mounted on the neck portion of the steering shaft, and also the operating hand, the accelerator and the brake Each connecting rod and the like connecting the pedals are very inconvenient to prevent people from being caught or moved by the legs or arms when driving the general public, and also have a problem of inhibiting safe driving.

또한, 하나의 페달로 브레이크와 가속기를 겸하게 한 장치(출원번호 10-2002-0011189, 출원인 조익동)와 하나의 손잡이로 브레이크와 가속기를 작동시키는 장애자용 운전 보조장치(출원번호 10-2005-0062793, 출원인 고용성)가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다. In addition, a device that combines a brake and an accelerator with one pedal (Application No. 10-2002-0011189, Applicant Jo Ik-dong) and a driv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disabled for operating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with one handle (Application No. 10-2005-0062793 , Patent applicant's employment) has been filed and registered.

상기 장치 중 하나의 페달로 브레이크와 가속기를 겸하는 장치는 발로 조작하는 것으로서, 사람의 발은 손보다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운전자가 위급 상황에서 오조작을 하여 사고가 생길 수 있는 위험요소가 있었다. One of the above devices is a pedal and a device that acts as both a brake and an accelerator. Since a human foot is less accurate than a hand, there is a risk that an accident may occur due to an incorrect operation of a driver in an emergency situation.

또한, 하나의 손잡이로 브레이크와 가속기를 작동시키는 장애자용 운전 보조장치는 크래쉬패드 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운전자가 오른손을 앞으로 내밀어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the handicapped driving aid for operating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with one handle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crash pad, the driver has the inconvenience to operate by pushing the right hand forwar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발 대신 손을 사용하여 브레이크와 가속기를 조작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운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operating a brake and accelerator using a hand instead of a foot, to provide a vehicle driving device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There is this.

또한, 운전자의 팔이 편안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인간의 신체 구조상 가장 편안한 위치에서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 운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driving apparatus that can be operated in the most comfortable position of the human body structure so that the driver's arm can be operated in a comfortable state.

또한, 하나의 레버를 사용하되, 브레이크와 가속기의 작동방향이 정반대 방향으로 되어, 운전자 실수에 의한 사고의 가능성이 기존 차량에 비해 월등히 낮은 자동차 운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use of one lever,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s the opposite direction, the object is to provide a vehicle driving device that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due to driver error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existing vehicle.

또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이 기존 차량보다 단축될 수 있는 자동차 운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기존 차량으로 주행 모드에서 정지 모드로 들어가려면 운전자가 가속기로부터 오른발을 들어올려 좌측으로 이동한 후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식으로 곡선 운동을 해야 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은 레버를 잡은 오른손을 앞으로 밀기만 하면 되는 직선 운동이기 때문에 위급 상황시 운전자의 반응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driving apparatus that the time taken to operate the brake can be shorter than the existing vehicle. This means that in order to enter the stop mode from the driving mode of the existing vehicle, the driver should lift the right foot from the accelerator, move to the left, and press the brake pedal, whereas the present invention only needs to push the right hand holding the lever forward. Because of the linear movement, the reaction time of the driver can be shortened in case of emergency.

또한, 본 발명은 신호 대기가 길어지거나 정체 구간에서 정지 시간이 길어질 경우 오른손으로 레버를 지속적으로 밀고 있을 필요 없이 버튼 하나로 브레이크를 고정시킬 수 있어서, 저렴하고 간단한 기계장치로 운전 편의성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자동차 운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in one button without the need to continuously push the lever with the right hand when the signal wait is long or stop time in the congestion section, it can provid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with a cheap and simple mechanism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hicle driving device.

또한, 기존의 브레이크페달과 가속페달을 사용하면서도 레버를 조작할 수 있고, 손으로 운전하는 것과 발로 운전하는 것 중에서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자동차 운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driving apparatus which can operate a lever while using a conventional brake pedal and an accelerator pedal and can freely select between driving by hand and driving by foot.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체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면서 가속위치, 중립, 브레이크위치로 이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가 이동하여 상기 가속위치에 있게 되면 엔진의 쓰로틀을 열어 차량의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손가속수단과, 상기 레버가 이동하여 상기 브레이크위치에 있게 되면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스터 막대를 밀어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차량이 정지되도록 하는 손브레이크 수단과, 상기 레버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버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가이드수단과, 손브레이크가 걸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손브레이크 고정수단과, 상기 레버가 가속위치에 있을 경우 운전자가 손을 떼더라도 상기 레버가 가속위치에 머무르도록 하는 크루즈 컨트롤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운전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in the present invention, a lever moving to an acceleration position, a neutral position, and a brake position while rotating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bout an axis fixed to a vehicle body, and the lever moves to the engine when the lever is in the acceleration position. A hand acceleration means for accelerating the vehicle by opening the throttle of the vehicle, a hand brake means for pushing the booster rod of the brake booster to operate the brake when the lever is moved to the brake position, and stopping the vehicle; Guide mean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ver to prevent the shaking from side to side, hand brake fixing means for continuously holding the hand brake, and if the lever is in the acceleration position Cruise control to keep the lever in the acceleration position A motor vehicle drive comprising a means is provided.

본 발명의 자동차 운전장치는 상기 레버를 후방으로 당기면 가속위치가 되고, 상기 레버를 전방으로 밀면 브레이크위치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vehicle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an acceleration position when the lever is pulled backward, and to be a brake position when the lever is pushed forwar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가속수단은 상기 레버 후방에 부착된 쓰로틀당김쇠와, 상기 쓰로틀당김쇠와 연결된 손가속케이블과, 상기 손가속케이블과 연결되며 엔진에 있는 쓰로틀을 열기 위한 쓰로틀케이블과, 상기 쓰로틀당김쇠가 결합되고, 전방에는 상기 손가속케이블이 결합되며, 차체에 고정된 손가속고리집에서 이동하는 손가속고리와, 상기 손가속고리가 상기 레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운동을 하도록 형성되는 손가속고리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 acceleration means is a throttle pull attached to the rear of the lever, a hand acceleration cable connected to the throttle pull, a throttle cable connected to the hand acceleration cable and to open the throttle in the engine, The throttle pulley is coupled, the hand acceleration cable is coupled to the front, the hand acceleration ring moving in the hand acceleration ring house fixed to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hand acceleration ring circumferential movement arou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lever It may be made of a hand-held ring house.

상기 손브레이크수단은 상기 레버의 전방에 부착된 브레이크밀대와, 상기 브레이크밀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단에 부채꼴톱니가 형성되고, 차체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채꼴톱니막대와, 상기 부채꼴톱니와 맞물리어 회전하는 가로바톱니와, 상기 가로바톱니 윗면에 맞물리는 선형톱니와, 상기 선형톱니와 일체를 이루면서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스터막대와 연결되는 손브레이크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and brake means may include a brake rod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lever, a fan blad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brake rod, and having a sprocket tooth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rotating about an axis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fan blade. A horizontal tooth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horizontal teeth, a linear tooth that is engag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teeth, and the hand brake pipe which is integral with the linear teeth and connected to the booster rod of the brake booster.

본 발명에 있어서, 운전자의 발로 밟아 조작하는 브레이크 페달과, 운전자의 발로 밟아 조작하는 가속페달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레버가 각각 독립적으로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스터 막대를 조작하도록 하는 브레이크 독립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속페달과 상기 레버가 독립적으로 엔진의 쓰로틀을 열도록 설치되는 가속 독립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ake pedal for stepping on a driver's foot, an accelerator pedal for stepping on a driver's foot, and brake independent driving means for allowing the brake pedal and the lever to independently operate a booster rod of a brake booster In addition,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lever may further include an independent acceleration means for driving is installed to open the throttle of the engine independently.

상기 브레이크 독립구동수단은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되고, 상단에 손브레이크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발브레이크 막대와, 부스터막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발브레이크 막대가 밀어주어 브레이크 부스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곁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rake independent driv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the foot brake rod is formed at the top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hand brake pipe, the booster rod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oot brake rod is push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It can be made with side branches to activate the brake booster.

또한, 상기 가속 독립구동수단은 좌우 두 개의 기다란 고리를 병렬로 결합한 형태로 하나의 고리에는 발가속케이블이 연결된 제1 단추가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고리에는 손가속케이블이 연결된 제2 단추가 삽입되는 쌍고리와,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쌍고리가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직선운동하는 쌍고리집과, 상기 쌍고리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쌍고리집의 전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쌍고리집 내부로 이동되어 쓰로틀케이블을 당김으로써 엔진의 쓰로틀을 여는 쌍고리막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celeration independent driving means is a form that combines the left and right two long loops in parallel, one ring is inserted into the first button connected to the foot acceleration cable, the other ring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utton connected to the hand acceleration cable And a pair of rings, which are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are inserted into the pair of rings, which are linear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are moved into the pair of houses through the holes formed in the front of the pair of rings, integral with the pair of rings. By pulling the throttle cable, it can be done as a twin ring opening the engine thrott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가속 위치에 놓고 주행하다가 상기 브레이크페달을 밟아 자동차를 정지시킬 경우, 엔진이 엄청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회전 복귀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topping the vehicle by pressing the brake pedal while driving with the lever in the acceleration position, the idle return means may be further installed to prevent the engine from rotating at a tremendous speed.

상기 공회전 복귀수단은 부스터막대의 곁가지에 부착된 공회전복귀케이블과, 상기 공회전복귀케이블이 삽입된 케이블관과, 상기 공회전복귀케이블의 타측에 연결된 공회전복귀 갈퀴막대와, 상기 갈퀴막대의 이동에 따라 접히거나 풀어지는 가속막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dle return means is a idle return cable attached to the side branch of the booster rod, the cable pipe is inserted into the idle return cable, the idle return rake ro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idle return cable, and fold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ake rod Or loosened acceleration rod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브레이크 고정수단은 상기 레버의 손잡이 전방에 설치되며 한 번 누르면 들어가고 다시 한 번 누르면 나오기를 반복하는 버튼과, 상기 손잡이와 일체를 이루는 바깥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과 함께 전후 이동을 하면서 한 번 들어가고 나올 때마다 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을 하는 버튼심과, 상기 바깥통과 일체를 이루는 육각통 속에 삽입되어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버튼심에 일단이 삽입되어 전후이동하며, 브레이크고정케이블에 연결된 육각기둥과, 상기 브레이크고정케이블의 잡아당김에 의해 간격이 좁아지도록 설치되는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의 전방에 설치된 좌우 강철톱니와, 차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강철톱니의 간격이 벌어지면 상기 강철톱니와 결합되는 좌우 톱니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 brake fixing means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handle of the lever and press once to enter the button and press again to repeat the exit, and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cylinder integrally with the handle, the button And while moving back and forth with a button shim that continues to rotate in one direction each time entering and exit, and inserted into the hexagonal tube integrally with the outer cylinder,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button shim without rotation, and moved back and forth, Hexagonal column connected to the brake fixing cable, the tongs installed so as to narrow the gap by the pull of the brake fixing cable, the left and right steel teeth installed in front of the tongs,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spacing of the steel teeth When opened, it may be made of left and right toothed plate coupled to the steel tooth.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레버가 전후로 이동할 때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레버 좌우에 설치된 가이드판과, 상기 레버의 전방에 부착되고 좌우에 창문이 형성된 베어링통과, 상기 베어링통의 좌우 창문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판과 접촉하므로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는 베어링이 구비된 베어링판과, 상기 좌우 베어링판의 내측에 형성된 원기둥과, 상기 원기둥에 개제된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means is provided with guide plate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ver to prevent the lever from swinging left and right when moving back and forth, a bearing tu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lever and formed with a window on the left and right, left and right windows of the bearing cylinder It may be made of a bearing plate provided with a bearing to minimize the wear caused by friction because it protrudes through the guide plate, a cylinder formed inside the left and right bearing plate, and a compression spring provided in the cylinder.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레버가 가속 위치에 들어오게 되면 가이드판 사이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베어링판이 베어링통 내부로 약간 밀려 들어가게 되며, 압축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가이드판과 베어링 표면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The guide plate has a shape such that the width between the guide plates becomes narrow when the lever enters the acceleration position so that the bearing plate is slightly pushed into the bearing cylinder, and the compression spring is compressed to provide a friction force between the guide plate and the bearing surface. This happen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루즈 컨트롤 수단은 상기 레버의 일측에 접하게 설치되는 이동가이드판과, 상기 이동가이드판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하여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벽과, 상기 이동가이드판에 일단이 접하게 형성되는 이동가이드판 원통과, 상기 이동가이드판 원통이 끼워지며 상기 고정벽에 일단이 접하게 형성되는 고정벽 원통과, 상기 이동가이드판 원통과 고정벽 원통 내부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인장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결합되는 인장스프링고리와, 상기 이동가이드판에 고정되고 원뿔형 형상의 쐐기가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쐐기벽과, 상기 쐐기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고정벽 하부의 암나사와 결합되고, 상단에는 나사손잡이가 구비되는 쐐기막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ise control means is a movement guide plate which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ever, a fixed wall fixed to the vehicle body to hold the position of the movement guide plate, one end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guide plate A movable guide plate cylinder to be formed, a fixed wall cylinder into which the movable guide plate cylinder is fitted, and one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wall, a tension spring installed inside the movable guide plate cylinder and the fixed wall cylinder, and the tension spring. Tension spring ring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edge, the wedge wall is fixed to the moving guide plate and is formed so that the conical wedge is f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wedge is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lower end is formed with a male screw It is coupled to the female screw of the lower wall, the upper end may be made of a wedge bar provided with a screw handl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발 대신 손을 사용하여 브레이크와 가속기를 조작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운전자 오른 손바닥이 땅을 향하고 의자 팔걸이에 팔을 얹은 것과 같은 자세로 조 작하기 때문에 그 편의성이 한결 높다고 하겠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operating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using a hand instead of a foot,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comfort of the driver. In particular, it is more convenient because the driver's right palm faces the ground and operates in the same position as the arm is placed on the chair armrest.

또한, 하나의 레버를 사용하되, 브레이크와 가속기의 작동방향이 정반대 방향으로 되어, 운전자 실수에 의한 사고의 가능성이 기존 차량에 비해 월등히 낮은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use of one lever,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s the opposite direction,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due to driver error is much lower than the existing vehicle.

또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이 기존 차량보다 단축되어 위급 상황시 운전자의 반응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time taken to operate the brake is shorter than that of the existing vehicle, and the reaction time of the driver may be shortened in an emergency situation.

또한, 본 발명은 신호 대기가 길어지거나 정체 구간에서 정지 시간이 길어질 경우 오른손으로 레버를 지속적으로 밀고 있을 필요 없이 버튼 하나로 브레이크를 고정시킬 수 있어서, 저렴하고 간단한 기계장치로 운전 편의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by one button without the need to continuously push the lever with the right hand when the signal wait is long or stop time in the congestion se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with a cheap and simple mechanism .

또한, 손으로 조작하는 레버가 기존의 브레이크페달과 가속페달과 독립적으로 작동됨으로써, 손으로 운전하는 것과 발로 운전하는 것 중에서 운전자의 상황이나 취향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hand-operated lever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existing brake pedal and accelerator pedal, so that the driver can freely select between driving by hand and driving by foot, according to the driver's situation and taste, which greatly improves the driver's convenience.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 운전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 운전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 운전장치의 손가속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손브레이크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서 손브레이크수단과 발브레이크의 동작설명을 위한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손브레이크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손브레이크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가이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크루즈 컨트롤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가속 독립구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공회전 복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가속막대들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가속막대들의 다시 접힘을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in which a vehicle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hand acceleration means of the vehicle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 brak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and brake means and the foot brake in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hand brak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and brak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guid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ruise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celeration independent driv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dle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3e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ion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and 14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refolding of the acceleration rod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will be.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exemplary, self-explanatory, allowing for equivalent explan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2부터 도 14까지 모든 도면에 “전후좌우”(Front Back Left Right) 혹은 “전후상하”(F B Up Down)를 표시하는 아이콘이 삽입되어 있는데,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전”, 자동차의 후미방향을 “후”, 운전자의 오른편을 “우”, 왼편을 “좌”로 정하였으며, 아이콘 우측에 정육면체 한 변이 길이를 mm 단위로 표시하여 도면상 부품들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 설명에서 지칭하는 “좌우”는 운전자의 입장에서 본 좌우를 말하는 것이며, 출력된 도면상의 좌우 위치와는 상관이 없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면에 서서 후방을 바라보는 투시각도에서 출력된 도면상에서는 운전장치의 “우”가 도면상의 좌측에 표시된다.2 to 14, an icon indicating “Front Back Left Right” or “FB Up Down” is inserted in all the drawings. The rear end of the driver was set to "after", the driver's right side was "right", and the left side was "left". On the right side of the icon, one side of the cube was displayed in mm units to estimate the size of the parts on the drawing. The term “left and right” referred to in the drawing description refers to the left and right viewed from the driver's point of view and has no relation to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n the output drawing. For example, in the drawing output from the perspective angle of standing in front of the vehicle and looking rearward, “right” of the driving device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 운전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 운전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provided with a vehicle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자동차 운전장치는 한 개의 막대에 브레이크와 가속기능을 결합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콤비네이션 스틱(이하, 콤보 스틱)으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The automobile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 brake and an acceleration function in one bar,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referred to as a combination stic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mbo stick).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존 오토 차량의 자동변속기 레버 자리에 본 발명의 콤보스틱을 설치한다. 이 경우 자동변속기 레버는 다른 위치로 옮겨야 되는데, 조향 손 뒤쪽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에 자동변속기 레버를 설치한다. 스티어링 칼럼에 자동변속기 레버를 설치한 차량을 일명 칼럼 쉬프트(column shift)라고 부르는데, 기존의 오토차량 중 현대 트라제나 시보레 아발란치 등 소수의 모델에서 이러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ure 1, the combo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ositio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of the existing auto vehicle. In this case, the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has to be moved to another position. The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is installed in the steering column behind the steering hand. Vehicles equipped with automatic transmission levers in the steering column are called column shifts, and this is the case in a few models, including Hyundai Trajet and Chevrolet Avalanc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콤보스틱을 구비한 차량은 칼럼 쉬프트 차량에서 비어 있던 운전자 오른손 위치에 콤보스틱을 설치하여 운전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Such a vehicle equipped with the combo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driving convenience by installing the combo stick in the position of the driver's right hand that is empty in the column shift vehicle.

콤보스틱은 손잡이(1)와 레버(3)로 구성되며, 손잡이(1)에는 브레이크를 전방으로 민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버튼(2)이 있다. 레버(3)가 전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구멍이 뚫려 있는 레버커버(4)는 기존 오토 차량의 자동변속기 레버커버와 대동소이하며 자동차의 실내와 외부의 경계면 상에 위치한다. 다만 레버(3) 좌측의 글씨가 기존 오토 차량의 경우에는 “PRND2L”이었던 것이 콤보스틱 차량에서는 “B ← I → A” 즉, 브레이크(Brake)를 뜻하는 “B”, 공회전(Idle)을 뜻하는 “I”, 가속기(Accelerator)를 뜻하는 “A”로 바뀌었다.The combo stick consists of a handle (1) and a lever (3), and the handle (1) has a button (2) which can be fixed in the position to push the brake forward. The lever cover 4 having a hole necessary for moving the lever 3 forward and backwar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cover of an existing auto vehicle and is located on the interior and exterior boundary of the vehicle. However, the letters on the left side of the lever (3) were “PRND2L” in the case of the existing auto vehicle, meaning “B ← I → A” in the combo stick vehicle, that is, “B” which means brake, and idle. Is changed to “I” and “A” for accelerator.

본 발명의 자동차 운전장치는 상기 콤보스틱을 전방으로 밀면 브레이크가 걸리고, 후방으로 당기면 가속기가 작동되어 차량이 주행하게 된다. 차량의 운행을 위하여 운전자의 오른다리를 쓸 필요가 없고, 오른손이 오른다리를 대신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 피로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오른손으로 콤보스틱을 조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차량운행을 계속할 수 있도록 기존의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기 페달은 그대로 둔다.In the vehicle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bo stick is pushed forward, the brake is applied, and when the vehicle is driven backward, the accelerator is operated.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driver's right leg to drive the vehicle, and since the right hand can replace the right leg, the driver's fatigue can be greatly reduced. However, the existing brake pedal and accelerator pedal are left in place so that the vehicle can continue to operate even when the combo stick cannot be operated with the right hand.

콤보스틱의 작동 방향과 관련하여, 제1감으로 떠오르는 것은 밀면 가속기, 당기면 브레이크이지만 이는 기능상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브레이크를 걸면 운전자의 몸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때 오른손을 뒤로 당겨 브레이크를 걸기는 쉽지 않다. 이와 반대로, 밀면 브레이크가 걸리도록 설계하면 운전자의 몸이 전방으로 쏠리는 힘을 오른손에 실어서 콤보스틱을 밀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합리적이다. 따라서, 콤보스틱의 작동 방향은 도 1에 표시한 것과 같이 전방으로 밀면 브레이크, 후방으로 당기면 가속기이다.Regarding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combo stick, the first thing that comes to mind is the push-up accelerator, the pull-up brake, but there is a functional problem. Because, when you apply the brake, the driver's body is pulled forward, and it is not easy to apply the brake by pulling back your right hand. On the contrary, it is more rational to design the brake to be pushed so that the driver's body can push the combo stick with the right hand force. Therefore,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combo stick is a brake when pushed forward and an accelerator when pulled backward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콤보스틱이 구비된 차량에는 브레이크와 가속기가 각각 2개씩 있는데, 기존의 브레이크를 발브레이크, 콤보스틱의 브레이크를 손브레이크, 기존의 가속기를 발가속기, 콤보스틱의 가속기를 손가속기로 칭한다.In the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combo stick, there are two brakes and two accelerators. The conventional brakes are foot brakes, the brakes of the combo sticks are hand brakes, the existing accelerators are foot accelerators, and the accelerators of the combo sticks are called hand accelerators.

본 발명의 자동차 운전장치는 차체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면서 가속위치, 중립, 브레이크위치로 이동하는 레버(3)와, 상기 레버(3)가 이동하여 상기 가속위치에 있게 되면 엔진의 쓰로틀을 열어 차량의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손가속수단과, 상기 레버(3)가 이동하여 상기 브레이크위치에 있게 되면 브레이크 부스터(29)의 부스터 막대를 밀어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차량이 정지되도록 하는 손브레이크 수단과, 상기 레버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버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가이드수단과, 손브레이크가 걸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손브레이크 고정수단과, 상기 레버가 가속위치에 있을 경우 운전자가 손을 떼더라도 상기 레버가 가속위치에 머무르도록 하는 크루즈 컨트롤 수단을 포함한다. The vehicle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r (3) for moving to an acceleration position, a neutral position, and a brake position while rotating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bout an axis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lever (3) moves so as to be in the acceleration position. And a hand acceleration means for accelerating the vehicle by opening the throttle of the engine and pushing the booster bar of the brake booster 29 when the lever 3 is moved to the brake position so that the brake is operated to stop the vehicle. Hand brake means, guide mean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ver to prevent the lever from swinging from side to side, hand brake fixing means for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hand brake is engaged, and the lever in the acceleration position. Cruise control means, if present, to keep the lever in the accelerated position even if the driver releases it. All.

도 2에 표시된 모든 운전장치는 발브레이크와 발가속기를 밟지 않고, 콤보스틱이 공회전 위치에 있을 때의 모양이다.All of the driving devices shown in Fig. 2 are shaped when the combo stick is in the idle position without stepping on the foot brake and the accelerator.

콤보스틱 손잡이(1)를 후방으로 당기면 레버(3)는 차체에 고정된 축(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레버(3) 후방에 부착된 쓰로틀당김쇠(6)가 손가속케이블(8)을 당기게 되는데, 손가속케이블(8)과 쓰로틀케이블(70)은 연결되어 있으므로 엔진(73)에 있는 쓰로틀(71)을 열게 되어 차량이 가속하게 된다.Pulling the combo stick handle (1) backward, the lever (3) is rotated around the shaft (5)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 throttle pull (6) attached to the rear of the lever (3) is the hand-clamp cable (8) ), The hand acceleration cable (8) and the throttle cable (70) is connected, so that the throttle (71) in the engine (73) is opened to accelerate the vehicle.

콤보스틱을 전방으로 밀면 레버(3)의 전방에 부착된 브레이크밀대(17)가 부채꼴톱니핀(20)을 밀게 되며, 부채꼴톱니막대(21A)는 차체에 고정된 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부채꼴톱니(21B)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부채꼴톱니(21B)와 맞물려 있는 가로바톱니(23A)는 그 윗면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좌측가로바톱니(23B) 윗면에 맞물려 있는 선형톱니(24A)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선형톱니(24A)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손브레이크 파이프(24)가 브레이크 부스터(29)의 부스터막대(27)를 밀게 되면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자동차가 정지하게 된다. 발브레이크 막대(30)는 손브레이크 파이프(24)가 지나가는 부분이 좌우로 나뉘어 있어 발브레이크는 손브레이크와는 독립적으로 브레이크 부스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When the combo stick is pushed forward, the brake rod 17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lever 3 pushes the fan tooth pin 20, and the fan tooth rod 21A rotates about the shaft 22 fixed to the vehicle body. While moving forward, the sprocket 21B moves to the rear. Horizontal bar teeth (23A) engaged with the fan-shaped teeth (21B) pushes the linear teeth (24A) engag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side bar teeth (23B) forward while the upper surface moves forward. When the handbrake pipe 24 integrally formed with the linear teeth 24A pushes the booster rod 27 of the brake booster 29, the brake is operated to stop the vehicle. The foot brake bar 3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through which the hand brake pipe 24 passes, so that the foot brake can operate the brake booster independently of the hand brake.

레버(3) 좌우측에는 가이드판(40)이 설치되어 있어 레버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판(40)의 후반, 즉 가속기가 작동하는 위치는 약간 좁게 되어 있어 레버를 단단히 붙잡아 주므로 콤보스틱에서 손을 떼더라도 쓰로틀이 일정하게 열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운전자의 지속적인 조작 없이도 차량이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게 된다. 레버를 좌우에서 잡아주는 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가이드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나사손잡이(50)가 레버커버(4) 상에 설치되어 있다.Guide plates 40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ver 3 to prevent the lever from swinging from side to side. The second half of the guide plate 40,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accelerator is operated is slightly narrowed so that the lever is firmly held so that the throttle remains constant even when the hand is removed from the combo stick, so that the vehicle can be operated at a constant speed without continuous operation of the driver. You will drive. Screw handles 50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guide plates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force holding the lever from left and right are installed on the lever cover (4).

발가속기와 손가속기가 독립적으로 쓰로틀케이블(70)을 당길 수 있도록 가속쌍고리(57)를 설치하였고, 가속쌍고리(57)는 쌍고리집(56) 내부에서 전후 이동을 하게 된다.Accelerator pairs 57 are installed to allow the foot accelerator and hand accelerator to pull the throttle cable 70 independently, and the accelerator pairs 57 are moved back and forth within the pair rings 56.

콤보스틱 레버(3)를 가속 위치에 놓고 주행하다가 오른발로 발브레이크를 밟아 자동차를 정지시킬 경우, 손가속기에 의해 쓰로틀은 열려 있으나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하였으므로 엔진이 엄청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회전 복귀장치(58~68)를 설치하였다. 콤보스틱이 가속기 위치에 있더라도 발브레이크를 밟으면 공회전 복귀장치가 작동하여 쓰로틀을 공회전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역으로 발가속기를 밟아 차량을 운행하다가 손브레이크를 밀어 차량을 정지시켜도 동일하게 공회전 복귀장치가 작동하게 된다.이런 장치를 교차공회전 복귀수단이라 명명한다.If you stop the car by stepping on the foot brake with your right foot while driving the combo stick lever 3 in the accelerated position, the throttle is opened by the hand accelerator but the load on the engine is reduced, so the engine rotates at tremendous speed. In order to prevent this, idling return devices (58 to 68) were installed. Even when the combo stick is in the accelerator position, pressing the foot brake will activate the idle return to return the throttle to the idle position. On the contrary, the idling return device is operated even when the vehicle is driven by the accelerator and the hand brake is pushed to stop the vehicle. Such a device is called a cross idling return means.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 운전장치의 손가속수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에는 콤보스틱의 가속 기능과 관련된 부품만 남기고 다른 부품들은 모두 삭제함으로써 설명하고자 하는 부품이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들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하였다.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hand acceleration means of the vehicle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o leave only the parts related to the acceleration function of the combo stick and delete all the other parts parts to be described to perform other functions It is not blocked by the parts.

도 3은 공회전 위치에 있던 콤보스틱을 후방으로 최대한 당겨 최고 가속 상태로 이동한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mbo stick in the idling position is pulled backward to the maximum acceleration state.

상기 손가속수단은 상기 레버(3) 후방에 부착된 쓰로틀당김쇠(6)와, 상기 쓰로틀당김쇠(6)와 연결된 손가속케이블(10)과, 상기 손가속케이블(10)과 연결되며 엔진에 있는 쓰로틀을 열기 위한 쓰로틀케이블(70)과, 상기 쓰로틀당김쇠(6)가 결합되고 전방에는 상기 손가속케이블(10)이 결합되며 차체에 고정된 손가속고리집(7)에서 이동하는 손가속고리(9)와, 상기 손가속고리(9)가 상기 레버(3)의 회전축(5)을 중심으로 원주운동을 하도록 형성되는 손가속고리집(7)으로 이루어진다.The hand accelera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throttle tug (6) attached to the rear of the lever (3), the hand acceleration cable (10) connected to the throttle tug (6), the hand acceleration cable (10) and the engine The throttle cable (70) for opening the throttle in the, the throttle pull (6) is coupled and the hand acceleration cable (10) is coupled to the front and the hand moving in the hand-held ring (7) fixed to the vehicle body Accelerated ring (9), and the hand acceleration ring (9) consists of a hand acceleration ring (7) formed to perform a circumferential movement around the rotation axis (5) of the lever (3).

상기 레버(3) 후방에 부착된 쓰로틀당김쇠(6)가 점선으로 표시된 공회전 위치의 손가속고리(9A)를 후방으로 잡아당겨 실선으로 표시된 손가속고리(9B)의 위치까지 이동시켰다. 이때 손가속고리(9) 전방에 부착된 손가속케이블(10)이 손가속케이블관(8)을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엔진의 쓰로틀이 열려 가속하게 된다. 손가속고리(9)는 차체에 고정된 손가속고리집(7) 내부에서 콤보스틱의 회전축(5)을 중심으로 원주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손가속고리(9)가 후방으로 이동할수록 손가속케이블(10)이 아래쪽으로 처지게 되며 손가속고리집(7)의 전방에 뚫려 있는 케이블구멍(7A)의 벽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손가속롤러(11)를 설치하였다.The throttle tug 6 attached to the rear of the lever 3 pulled backward the hand-held ring 9A in the idle posi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and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hand-held ring 9B indicated by the solid line. At this time, the hand acceleration cable 10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hand acceleration ring 9 exits the hand acceleration cable tube 8 so that the engine throttle is opened and accelerated. Hand acceleration ring (9) is a circumferential movement around the rotation axis (5) of the combo stick inside the hand acceleration ring (7)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refore, as the hand acceleration ring 9 moves backward, the hand acceleration cable 10 sags downward, and may cause friction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cable hole 7A drilled in front of the hand acceleration ring house 7.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hand acceleration roller 11 was installed.

손가속고리(9)는 대략 기다란 직육면체 모양을 하고 있으나 원주운동을 해야 하므로 약간 둥글게 휘어진 형태이며, 속이 비어 있어 쓰로틀당김쇠(6)가 그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콤보스틱 레버(3)가 공회전 위치에 있을 때는 쓰로틀당김쇠(6)의 후면이 손가속고리(9)의 후방 벽(9B)에 근접해 있어, 레버(3)를 조금만 더 후방으로 당기면 가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레버(3)를 공회전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밀어 손브레이크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쓰로틀당김쇠(6)가 손가속고리(9)의 내부를 지나가기만 할 뿐 손가속고리(9)의 위치에는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기 때문에 한 개의 레버(3)로 브레이크 기능과 가속기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레버(3)를 최대한 전방으로 밀어 브레이크를 완전히 걸었을 때 쓰로틀당김쇠(6)의 전면(6A)이 손가속고리의 전방 벽(9F)에 닿지 않도록 손가속고리(9)의 길이를 정하였다. 도3에서 설명한 손가속롤러(11)는 손가속고리집(7)의 우측 벽면 내부에 고정된 손가속롤러핀(12)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케이블 구멍(7A)이 손가속케이블(10)과의 마찰에 의해 상호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Hand acceleration ring (9) has a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the circumferential motion is slightly rounded form, and the hollow throttle pull (6) is entered into the inside. When the combo stick lever (3) is in the idle position, the rear of the throttle pulley (6) is close to the rear wall (9B) of the handgrip ring (9), which can be accelerated by pulling the lever (3) slightly further backwards. Will be.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r 3 is pushed forward from the idling position to operate the hand brake, the throttle pulley 6 only passes the inside of the hand ring 9, and there is no position at the position of the hand ring 9. Since there is no influence, one lever 3 can perform the brake function and the accelerator function independently. When the lever (3) was pushed forward as far as possible to fully engage the brake, the length of the handgrip ring (9) was determined so that the front (6A) of the throttle pulley (6) did not touch the front wall (9F) of the handgrip ring. . The hand acceleration roller 1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rotates around the hand acceleration roller pin 12 fixed inside the right wall of the hand acceleration ring 7, so that the cable hole 7A is connected to the hand acceleration cable 10. To prevent mutual wear by friction.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기 손브레이크수단은 상기 레버(3)의 전방에 부착된 브레이크밀대(13, 15, 17)와, 상기 브레이크밀대(13, 15, 17)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단에 부채꼴톱니(21B)가 형성되고 차체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채꼴톱니막대(21A)와, 상기 부채꼴톱니와 맞물리어 회전하는 가로바톱니(23)와, 상기 가로바톱니 윗면에 맞물리는 선형톱니(24A)와, 상기 선형톱니(24A)와 일체를 이루면서 브레이크 부스터(29)의 부스터막대와 연결되는 손브레이크 파이프(24)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hand brake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rake rod 13, 15, 17, the brake rod 13, 15, 17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lever (3) and fan-shaped at the top 21A of teeth are formed and the fan-shaped toothed rod 21A rotating about an axis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 horizontal teeth 23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fan-shaped teeth, and the linear teeth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teeth. And a handbrake pipe 24 which is integral with the linear teeth 24A and connected to the booster rod of the brake booster 29.

콤보스틱을 전방으로 미는 힘을 상당한 거리에 있는 브레이크 부스터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일련의 부품들이 필요하다. 손브레이크 밀대의 구조는 세 부분(13, 15, 17)이 두 개의 관절(14, 1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밀대부착쇠(13)는 콤보스틱 레버(3)에 고정되었고, 밀대관절1번(14)은 콤보스틱의 회전축(5)을 중심으로 원주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짧은 브레이크밀대(15)의 후미는 레버(3)가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밀대관절2번(16)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긴 브레이크밀대(17)는 그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에서 상하로 약간 벗어난 각도로부터 힘을 받게 되므로 차체에 고정된 밀대고리 2개(18, 19) 중 특히 후방 밀대고리(18) 내벽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 밀대고리(18)의 내벽을 베어링 구조로 만든다(도면 상에는 나타내지 않았음).A series of parts is needed to deliver the force pushing the combo stick forward to the brake booster at a considerable distance. In the structure of the hand brake pusher, three parts 13, 15, and 17 are connected by two joints 14 and 16. The push rod fitting 13 is fixed to the combo stick lever 3, the push rod joint No. 1 (14) is circumferential movement around the axis of rotation (5) of the combo stick. Therefore, the rear end of the short brake rod 15 is moved up and down relative to the joint joint No. 2 (16) as the lever 3 moves back and forth. Since the long brake rod 17 receives a force from an angle slightly shifte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center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among the two push rods 18 and 19 fixed to the vehicle body, especially the friction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rear push rod 18. Wear may occur. To prevent this, the inner wall of the rear push ring 18 is made into a bearing structure (not shown in the drawing).

콤보스틱이 공회전 위치에 있을 때(도 5a), 긴 브레이크밀대의 전단(17A)은 부채꼴톱니핀(20)에 겨우 닿아 있을 정도이며, 레버(3)를 가속 위치로 당기면(도 5 b) 긴 브레이크밀대의 전단(17A)은 부채꼴톱니 막대(21A)의 홈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브레이크 부스터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상의 분리로 인해서 콤보스틱의 손가속기 기능과 손브레이크 기능이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combo stick is in the idle position (FIG. 5A), the front end 17A of the long brake pin is only touching the flat toothed pin 20, and when the lever 3 is pulled to the acceleration position (FIG. 5B), The front end 17A of the brake chuck is pulled out of the groove of the fan-shaped toothed rod 21A, and thus has no effect on the brake booster. This structural separation allows the hand accelerator function and the hand brake function of the combo stick to operate independently.

레버(3)를 공회전 위치로부터 브레이크 위치로 밀 경우(도 5c), 긴 브레이크밀대의 전단(17A)이 부채꼴톱니핀(20)을 전방으로 밀게 되며, 부채꼴톱니 막대(21A)는 차체에 고정된 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부채꼴톱니(21B)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lever 3 is pushed from the idle position to the brake position (FIG. 5C), the front end 17A of the long brake push rod pushes the fan toothed pin 20 forward, and the fan toothed rod 21A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It rotates about the axis 22 and moves forward, and the sprocket 21B moves backward.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의 발로 밟아 조작하는 브레이크 페달과, 운전자의 발로 밟아 조작하는 가속페달이 구비되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레버(3)가 각각 독립적으로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스터 막대를 조작하도록 하는 브레이크 독립구동수단과, 상기 가속페달과 상기 레버(3)가 독립적으로 엔진의 쓰로틀을 열도록 설치되는 가속 독립구동수단이 더 포함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ake pedal for stepping on the driver's foot and an accelerator pedal for stepping on the driver's foot are provided, and the brake pedal and the lever 3 independently drive the brake booster rods to operate the booster rods. Means,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lever 3 is further included independent acceleration means for driving the engine to open the throttle.

상기 브레이크 독립구동수단은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되고 상단에 손브레이크 파이프(24)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발브레이크 막대(30)와, 부스터막대(27)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발브레이크 막대(30)가 밀어주어 브레이크 부스터(29)를 작동시키기 위한 곁가지(27A)로 이루어진다. The brake independent drive means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oot brake rod 30 and the booster rod 27 which is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and ha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hand brake pipe 24 is inserted. Accordingly, the foot brake rod 30 is made of a side branch 27A for pushing and operating the brake booster 29.

도 6a는 발브레이크도 밟지 않고 손브레이크도 밀지 않은 모양이며, 도 6b는 발브레이크는 밟지 않고 손브레이크를 민 상태이다. 손브레이크를 밀면 부채꼴톱니(2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가로바톱니(23)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손브레이크 파이프(24)는 이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선형톱니(24A)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손브레이크 파이프 전단(24F)이 부스터막대(27)의 좌우 곁가지(27A)를 밀기 때문에 브레이크 부스터(29)가 작동하게 된다. 손브레이크 파이프(24)는 차체에 고정된 두 개의 고리(25, 26)에 의해 상하좌우 흔들림 없이 전후로만 이동한다. 6A is a shape in which the foot brake is not stepped on and the hand brake is not pushed, and FIG. 6B is a state in which the hand brake is pushed without stepping on the foot brake. Pushing the hand brake causes the sprocket 21 to move rearward and rotate the horizontal bar teeth 23 counterclockwise, and the hand brake pipe 24 moves forward with the linear teeth 24A integrally formed therein. Will move. At this time, since the hand brake pipe front 24F pushes the left and right side branches 27A of the booster rod 27, the brake booster 29 is operated. The handbrake pipe 24 moves only back and forth without shaking up, down, left and right by two rings 25 and 26 fixed to the vehicle body.

도 6c는 손브레이크는 밀지 않고 발브레이크를 밟은 모양이다. 손브레이크를 밀지 않았기 때문에 손브레이크 파이프의 후미(24R)는 도 6a와 마찬가지로 고리(25)의 후방으로 빠져나와 있는 상태에 머물러 있으나, 부스터막대(27)는 발브레이크 막대(30)가 부스터막대 좌우 곁가지(27A)를 밀어 전방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손브레이크 파이프(24) 속으로부터 이동한 거리만큼 빠져나왔다. 이러한 모양이 발브레이크 막대(30)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것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Figure 6c is a step of stepping on the foot brake without pushing the hand brake. Since the hand brake is not pushed, the rear 24R of the hand brake pipe remains in the state of exiting the rear of the ring 25 as in FIG. 6A, but the booster rod 27 has the foot brake rod 30 left and right of the booster rod. Since the side branches 27A were pushed forward to move forward, they moved out of the hand brake pipe 24. This shape is hidden by the foot brake bar 30 and is not shown in dotted lines.

손브레이크 파이프(24)와 발브레이크 막대(30)는 서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각각 독립적으로 브레이크 부스터(29)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독립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좌우로 갈라진 발브레이크 막대(30)의 구조와 부스터막대 곁가지(27A)를 제공한다.Since the hand brake pipe 24 and the foot brake rod 30 do not contact each other, the brake boosters 29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order to implement this independence, the structure of the left and right foot brake rods 30 which are split from each other and the booster rod side branches 27A are provided.

본 발명에서는 손브레이크를 민 상태에서 장시간 신호대기를 해야 하는 경우, 오른팔로 전방으로 미는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수고를 덜기 위하여 콤보스틱 레버를 브레이크 위치에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손브레이크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nd brake is pushed for a long time while the hand brake is to be pushed, the force should b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front of the right arm, in order to reduce the effort, as a device for fixing the combo stick lever in the brake position, hand brake fixing Means are provided.

상기 손브레이크 고정수단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의 손잡이 전방에 설치되며 한 번 누르면 들어가고 다시 한 번 누르면 나오기를 반복하는 버튼(2)과, 상기 손잡이(1)와 일체를 이루는 바깥통(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2)과 함께 전후 이동을 하면서 한 번 들어가고 나올 때마다 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을 하는 버튼심(32)과, 상기 바깥통(31)과 일체를 이루는 육각통(31A) 속에 삽입되어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버튼심에 일단이 삽입되어 전후이동하며 브레이크고정케이블(33)에 연결된 육각기둥(34)과, 상기 브레이크고정케이블(33)의 잡아당김에 의해 간격이 좁아지도록 설치되는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의 전방에 설치된 좌우 강철톱니(37A, 38A)와, 차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강철톱니의 간격이 벌어지면 상기 강철톱니와 결합되는 좌우 톱니판(39)으로 이루어진다. The hand brake fixing means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handle of the lever 3, as shown in Figure 7 to 8, the button (2) to enter once and to press again to exit and the handle (1) And a button core 32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cylinder 31 integrally with the button 2 and continuously rotates in one direction each time it enters and exits while moving back and forth with the button 2, and the outer cylinder ( 31 is inserted into the hexagonal cylinder (31A) which is integral with the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button core without rotation, the hexagonal pillar (34) connected to the brake fixing cable (33) and moved back and forth, and the brake fixing cable (33) Tweezers are installed to narrow the gap by the pulling of the), the left and right steel teeth (37A, 38A) installed in front of the tongs,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when the gap between the steel teeth is coupled to the steel saw teeth It is made in the left and right saw tooth plate 39.

이와 같은 손브레이크 고정수단은 콤보스틱 손잡이(1) 전방에 달린 버튼(2)은 한 번 누르면 들어가고 다시 한 번 누르면 나오기를 반복하는 누름버튼(push button) 구조로 되어 있다(속칭 똑딱이). 누름버튼 구조 중 움직이지 않는 바깥통(31)은 콤보스틱 손잡이(1)와 일체를 이루며, 버튼(2)과 함께 전후 이동을 하는 버튼심(32)은 한 번 들어가고 나올 때마다 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나 브레이크고정케이블(33)은 회전해서는 안 되므로 버튼심(32)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육각기둥(34)에 연결하였는데, 육각기둥(34)은 버튼심(32)과 함께 전후 이동은 하지만 누름버튼바깥통(31)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육각통(31A) 속에 들어 있어 회전할 수 없다. 회전하지 않는 육각기둥(34)이 회전하는 버튼심(32)에 의해 끌려 나가고 다시 되돌아 들어오기를 반복하는 동안 상호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베어링(34A)을 사용하였다. 도 7b는 버튼(2)이 튀어나온 모습인데, 압축스프링(35)은 원래의 길이를 회복하기 위하여 팽창하였고, 케이블(33)은 케이블관(36)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빠져 나왔다.This hand brake fixing means is a button (2)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ombo stick handle (1) has a push button structure (push button tick) that is pressed once and enters again and again to exit. The outer cylinder 31, which does not move in the pushbutton structure, is integrated with the combo stick handle 1, and the button shim 32 that moves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button 2 continues in one direction each time it enters and exits. It turns. However, since the brake fixing cable 33 should not rotate, it was connected to the hexagonal pillar 34 without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button core 32. The hexagonal pillar 34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button core 32, but the push button. It cannot be rotated because it is in the hexagonal cylinder 31A which is integral with the outer cylinder 31. The bearing 34A was used to reduce mutual friction while the non-rotating hexagonal column 34 was pulled out by the rotating button shim 32 and returned again. 7B shows the button 2 protruding, the compression spring 35 is expanded to restore the original length, and the cable 33 is pulled out of the cable tube 36 by a certain length.

버튼이 튀어나오면서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도 8에 예시한 것과 같이 자전거 브레이크 구조와 대동소이하며 빨래집게와도 유사한 구조에 의해 좌측집게(37) 후미와 우측집게(38) 후미 간의 간격이 좁아진다. 이때 집게의 전방부 즉 자전거 브레이크의 고무패드가 부착되는 위치에 설치된 좌우 강철 톱니(37A, 38A)는 손잡이 부분을 누르면 앞부분이 벌어지는 빨래집게와 마찬가지로 그 간격이 벌어져서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좌우 톱니판(39)에 걸리게 된다.When the button pops out, the cable is pulled out, which is similar to the bicycle brake structure as illustrated in FIG. 8, and similarly to the clothespi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ear left tongs 37 and the right tongs 38 is narrowed.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steel teeth (37A, 38A) install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tongs, that is, the rubber pads of the bicycle brake are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tooth plates fixed to the vehicle body by the gap betwee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ongs. 39).

이후 자동차를 다시 주행시키려면 버튼(2)을 다시 한 번 눌러서 들어간 위치가 되도록 하면 된다. 그러면 브레이크고정케이블(33)이 콤보스틱 레버(3) 내부에서 아래로 이동하여 좌우 집게(37, 38) 후미 사이가 넓어지면서 톱니(37A, 38A)가 톱니판(39)으로부터 풀리게 되므로 레버(3)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n, to drive the car again, press the button (2) once again to enter the position. Then, the brake fixing cable 33 moves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combo stick lever 3, and the teeth 37a and 38a are released from the tooth plate 39 as the rear end of the left and right tongs 37 and 38 widens. ) Can be moved backwards.

본 발명에서는 콤보스틱 레버가 전후로 이동할 때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가이드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레버(3)가 전후로 이동할 때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레버 좌우에 설치된 가이드판(40, 41, 42)과, 상기 레버의 전방에 부착되고 좌우에 창문이 형성된 베어링통(43)과, 상기 베어링통(43)의 좌우 창문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판과 접촉하므로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는 베어링(46)이 구비된 베어링판(44, 45)과, 상기 좌우 베어링판의 내측에 형성된 원기둥(44A, 45A)과, 상기 원기둥에 개제된 압축스프링(47)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e means for preventing the combo stick lever from moving side to side when moving back and forth. The guide means is provided with guide plates 40, 41, and 42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ver to prevent the lever 3 from swinging from side to side when the lever 3 moves back and forth, and a bearing cylinder 43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lever and having window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 Bearing plates 44 and 45 having protrudi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windows of the bearing barrel 43 and contacting the guide plate to minimize abrasion due to friction, and the left and right bearing plates. It consists of cylinders 44A and 45A formed in the inner side, and the compression spring 47 provided in the cylinder.

상기 가이드판(40, 41, 42)은 레버(3)의 좌우에 설치되는데, 레버(3)와 가이드판이 직접 접촉하는 것은 아니고, 레버(3) 전방에 부착된 베어링통(43)의 좌우 창문에 얼굴을 내밀고 있는 베어링판(44, 45)의 베어링(46)이 가이드판과 접촉하므로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좌우 베어링판(44, 45) 사이에는 압축스프링(47)이 들어있으며, 압축스프링(47)의 전후상하 방향 이탈을 막기 위하여 원기둥(44A, 45A)이 베어링판(44, 45)과 일체를 이루고 있다. 압축스프링(47)이 좌우 베어링판(44, 45)을 바깥으로 밀고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힘이 없는 한 베어링판은 베어링통(43)의 좌우 창살부분(43A)에 밀착되며, 따라서 좌우 베어링간의 최대폭이 결정된다.The guide plates 40, 41, and 42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ver 3, and the lever 3 and the guide plate are not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left and right windows of the bearing cylinder 43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lever 3 are provided. Since the bearings 46 of the bearing plates 44 and 45 protruding the face contact with the guide plates, wear due to friction can be minimized. Compression springs 47 are inclu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bearing plates 44 and 45, and cylinders 44A and 45A are integral with the bearing plates 44 and 45 to prevent the compression springs 47 from moving forward and backward. have. Since the compression spring 47 pushes the left and right bearing plates 44 and 45 outward, the bearing plat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grate portions 43A of the bearing barrel 43, so that the bearing plate 43 has no force from the outside. This is determined.

좌측 가이드판(40)과 우측 가이드판(41)은 원주 운동을 하는 베어링통(43)의 위치에 맞도록 측면에서 보았을 때 둥글게 휘어진 눈썹모양을 하고 있다. 좌우 가이드판(40, 41) 사이의 간격은 베어링통(43)이 브레이크 위치에 있을 때는(도 9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구조), 좌우 베어링간 최대폭과 동일하기 때문에 레버(3)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기만 할 뿐 레버(3)의 전후 이동에 아무런 마찰력도 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레버(3)가 공회전 위치에 오게 되면(도 9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구조), 좌우 가이드판(40, 41) 사이의 간격이 약간 넓어져서 레버(3)가 헐거워진 느낌이 들기 때문에 운전자가 눈으로 보지 않더라도 오른손의 감각만으로 공회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레버(3)가 가속 위치에 들어오게 되면 좌측가이드판(40)과 이동가이드판(42) 사이의 간격이 좌우 베어링간 최대폭보다 약간 좁아져서 좌우 베어링판(44, 45)이 베어링통(43) 내부로 약간 밀려 들어가게 되며, 압축스프링(47)이 압축된다. 이때 압축스프링(47)이 바깥을 향해 미는 힘에 의해 가이드판(40, 42)과 베어링(46) 표면 사이에 마찰력이 생긴다.The left guide plate 40 and the right guide plate 41 have an eyebrow shape that is curved when viewed from the side to fit the position of the bearing cylinder 43 that performs the circumferential motion. The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guide plates 40 and 41 is the same as the maximum width between the left and right bearings when the bearing cylinder 43 is in the brake position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in FIG. 9), thereby preventing the left and right shake of the lever 3. It merely does not apply any friction force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ever 3. Then, when the lever 3 is in the idling position (structure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9), the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guide plates 40, 41 is slightly widened, so the driver feels that the lever 3 is loosened. Even if you do not see it, you can check the idling position with your right hand. However, when the lever 3 enters the acceleration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guide plate 40 and the movement guide plate 42 is slightly narrower than the maximum width between the left and right bearings, so that the left and right bearing plates 44 and 45 are bearing cylinders 43. ) Is slightly pushed into the inside, the compression spring 47 is compressed. At this time, a friction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guide plates 40 and 42 and the surface of the bearing 46 by the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47 pushing outward.

레버(3)를 가속 위치로 당겨서 엔진의 쓰로틀을 열게 되면 쓰로틀의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쓰로틀케이블이 전방으로 당겨지고, 쓰로틀케이블의 최후방에 연결되어 있는 손가속고리(9) 역시 전방으로 당겨지며, 손가속고리(9)는 쓰로틀당김쇠(6)를 전방으로 당기므로 결국 쓰로틀당김쇠와 붙어있는 레버(3)가 전방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레버(3)에서 손을 떼는 순간 레버(3)는 공회전 위치까지 저절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가이드판(40, 42)과 베어링(46) 표면 사이의 마찰력이 쓰로틀 비틀림스프링의 힘보다 크도록 충분히 강한 압축스프링(47)을 설치하면 레버(3)에서 손을 떼더라도 레버(3)는 운전자가 한 번 설정해 놓은 위치에 머물러 있게 될 것이다. 이는 운전자가 오른손을 레버에서 떼더라도 쓰로틀이 일정하게 열려서 차량이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게 되므로 기존의 크루즈 컨트롤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When the engine throttle is opened by pulling the lever (3) to the acceleration position, the throttle cable is pulled forward by the torsion spring of the throttle, and the hand ring (9)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hrottle cable is also pulled forward. The hand acceleration ring (9) pulls the throttle pull (6) forward, so that the lever (3) attached to the throttle pull is pulled forward. Therefore, the moment the release of the lever (3), the lever (3) will automatically move to the idle position. However, if a sufficiently strong compression spring 47 is installed such that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guide plates 40 and 42 and the surface of the bearing 46 is greater than the force of the throttle torsion spring, the lever 3 will not be released even if the lever 3 is released. The driver will stay in the position you set once. This means that even if the driver releases his right hand from the lever, the throttle is kept open and the vehicle is driven at a constant speed, thereby implementing the existing cruise control function.

그러나 오랜 기간 차량을 사용하면 처음에는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던 가이드판과 베어링 구조가 마모에 의해 헐거워질 수 있으므로 우측 가이드판의 후반부, 즉 레버가 가속 위치에 있을 때 베어링과 가이드판이 접촉하는 부분을 이동 가능한 구조로 만들었다. 이동 가이드판(42)은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전반부(41)와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도 10에 예시한 장치에 의해 운전자가 그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vehicle is used for a long time, the guide plate and the bearing structure, which initially provided sufficient friction force, may be loosened due to wear, and thus move the latter part of the right guide plate, that is, the bearing and the guide plate contact when the lever is in the acceleration position. Made possible. The movement guide plate 42 is structurally separated from the front part 41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can move left and right, and the driv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position by the device illustrated in FIG. 10.

도 10에 예시한 것과 같이 이동가이드판(42)의 우측면에는 세 종류의 구조물이 이동가이드판(42)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데, 곧 인장스프링고리(42A), 원통(42B), 쐐기벽(42C)이 그것이다. 이동가이드판(42)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하여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벽(48)을 설치하였으며, 고정벽(48)의 좌측면에는 인장스프링고리(48A)와 고정벽원통(48B)이 고정벽(48)과 일체를 이루고 있다. 이동가이드판 원통(42B)은 고정벽 원통(48B) 속에 들어가기 때문에 좌우 이동만 가능하고 전후상하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어 이동가이판의 위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두 원통 내부에는 인장스프링(49)이 들어 있어 이동가이드판(42)을 고정벽(48) 쪽으로 잡아당기고 있다. 그러나 이동가이드판 원통(42B)이 고정벽 원통(48B) 속으로 끝까지 들어갈 수 없는 것은 쐐기(50)가 쐐기벽(42C)을 가로막고 있기 때문이다. 쐐기(50)는 나사손잡이(50A), 쐐기막대(50B)와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그 하단(50C)은 수나사로 되어 있어 고정벽 하부의 암나사 속을 관통하고 있다. 이러한 쐐기 구조를 이동가이드판의 전후방에 각각 한 세트씩 설치하였다.As illustrated in FIG. 10, three types of structures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vement guide plate 42 on the right side of the movement guide plate 42, that is, the tension spring ring 42A, the cylinder 42B, and the wedge wall 42C. ) Is that. In ord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movement guide plate 42, a fixed wall 48 fixed to the vehicle body was installed, and a tension spring ring 48A and a fixed wall cylinder 48B were fixed to the left side of the fixed wall 48. It is integral with the wall 48. Since the movable guide plate cylinder 42B enters the fixed wall cylinder 48B, only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possible, and the movable guide plate cylinder 42B cannot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by securing the positional stability of the movable guide plate. Tension springs 49 are contained in the two cylinders to pull the movable guide plate 42 toward the fixed wall 48. However, the movement guide plate cylinder 42B cannot enter the fixed wall cylinder 48B to the end because the wedge 50 blocks the wedge wall 42C. The wedge 50 is integral with the screw handle 50A and the wedge rod 50B, and its lower end 50C is a male screw and penetrates the female screw below the fixed wall. One set of these wedge structures wa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movable guide plate.

장기간 차량 사용 후 마모에 의해 콤보스틱 레버(3)가 가속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헐거워졌다면 쐐기손잡이(50A)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된다. 그러면 쐐기(50)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쐐기벽(42C)을 좌측으로 밀기 때문에 이동가이드판(42)과 좌측가이드판(40) 사이가 좁아져서 마모에 의해 헐거워진 것을 회복할 수 있다.If the combo stick lever 3 is not fixed to the acceleration position due to wear after a long period of use of the vehicle, the wedge knob 50A may be turned clockwise. Then, the wedge 50 pushes the wedge wall 42C to the left while descending downwar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movable guide plate 42 and the left guide plate 40 is narrowed and loosened by wear.

또한, 상기 가속 독립구동수단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두 개의 기다란 고리를 병렬로 결합한 형태로 하나의 고리에는 발가속케이블이 연결된 제1 단추가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고리에는 손가속케이블이 연결된 제2 단추가 삽입되는 쌍고리(57)와,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쌍고리(57)가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직선운동하는 쌍고리집(56)과, 상기 쌍고리(57)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쌍고리집(56)의 전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쌍고리집 내부로 이동되어 쓰로틀케이블을 당김으로써 엔진의 쓰로틀을 여는 쌍고리막대(57A)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acceleration independent driving means as shown in Figure 11, the first button connected to the foot acceleration cable is inserted into one ring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two long right and left rings in parallel, the other hand loop is a hand acceleration cable The pair of hooks 57 is inserted into the connected second button, the pair of hooks 56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pair of hooks 57 are inserted and linearl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pair of hooks 57 are integrated. It is made of a bicyclic rod (57A) opening the throttle of the engine by moving to the inside of the bicyclic ring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front of the bicyclic ring 56 to pull the throttle cable.

콤보스틱의 손가속기와 기존의 발가속기가 각각 독립적으로 엔진의 쓰로틀을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1에 예시한 것과 같은 쌍고리(57)를 제공한다. 쌍고리(57)는 차량의 실내와 엔진실의 경계가 되는 벽면(54)의 전방, 곧 엔진실 내에 위치하며, 그 모양은 좌우 두 개의 기다란 고리를 병렬로 결합한 형태인데, 좌측 고리에는 발가속케이블(55)이 들어가고 우측 고리에는 손가속케이블(10)이 들어간다. 도11에 예시된 형태는 발가속기(53)는 밟지 않고 손가속기를 절반 정도 당긴 모습이다. 손가속케이블(10)이 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손가속케이블 전단에 부착된 단추(10A)가 쌍고리(57) 후미를 후방으로 당기게 되고 쌍고리(57)는 차체에 고정된 쌍고리집(56) 내부에서 후방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쌍고리(57)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쌍고리막대(57A)가 쌍고리집(56) 전면에 뚫려 있는 구멍을 통하여 쌍고리집(56) 내부로 들어오면서 쓰로틀케이블(70)을 당김으로써 엔진의 쓰로틀이 열리게 된다. 역으로, 손가속기는 당기지 않고 발로 발가속기(53)를 밟는 경우에는 발가속케이블(55)에 의해 쌍고리(57)가 당겨지고 동일한 방식으로 엔진의 쓰로틀이 열린다. 이러한 과정에 두 가속기는 상대방의 위치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고, 또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독립성이 확보된다.In order to allow the hand accelerator of the combo stick and the existing foot accelerator to independently open the throttle of the engine, a double ring 57 as illustrated in FIG. 11 is provided. The double ring 57 is located in front of the wall 54, which is the boundary betwee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he engine compartment, in the engine compartment, and its shape is a form in which two left and right elongated rings are coupled in parallel. The cable 55 is entered and the right acceleration cable 10 is entered in the right ring. 11 is a state in which the foot accelerator 53 pulls the hand accelerator about half without stepping on it. As the hand acceleration cable 10 is pulled backward, the button 10A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hand acceleration cable pulls the rear end of the twin ring 57 and the twin ring 57 is a double ring house 56 fixed to the vehicle body. ) Straight line movement from inside to back. At this time, the twin ring rod 57A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twin ring 57 enters the twin ring 56 through the hole drilled in the front of the twin ring 56 and pulls the throttle cable 70 to pull the engine. The throttle of is opened. Conversely, when the foot accelerator 53 is stepped on by foot without pulling the hand accelerator, the pair claw 57 is pulled by the foot acceleration cable 55, and the throttle of the engine is opened in the same manner. In this process, the two accelerators have no influence on the opponent's position and no influence, so that each independence is secur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가속 위치에 놓고 주행하다가 상기 브레이크페달을 밟아 자동차를 정지시킬 경우, 엔진이 엄청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회전 복귀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topping the vehicle by pressing the brake pedal while driving with the lever in the acceleration position, the idle return means may be further installed to prevent the engine from rotating at a tremendous speed.

콤보스틱 레버(3)를 가속 위치에 놓고 주행하다가 오른발로 발브레이크를 밟아 자동차를 정지시킬 경우, 손가속기에 의해 쓰로틀은 열려 있으나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하였으므로 엔진이 엄청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회전 복귀장치(58~68)를 설치하였다. 콤보스틱이 가속기 위치에 있더라도 발브레이크를 밟으면 공회전 복귀장치가 작동하여 쓰로틀을 공회전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역으로 발가속기를 밟아 차량을 운행하다가 손브레이크를 밀어 차량을 정지시켜도 동일하게 공회전 복귀장치가 작동하게 된다.If you stop the car by stepping on the foot brake with your right foot while driving the combo stick lever 3 in the accelerated position, the throttle is opened by the hand accelerator but the load on the engine is reduced, so the engine rotates at tremendous speed. In order to prevent this, idling return devices (58 to 68) were installed. Even when the combo stick is in the accelerator position, pressing the foot brake will activate the idle return to return the throttle to the idle position. On the contrary, the idling return device operates even when the vehicle is operated by stepping on the accelerator and the vehicle is stopped by pushing the hand brake.

상기 공회전 복귀수단은 부스터막대의 곁가지(27A)에 부착된 공회전복귀케이블(51)과, 상기 공회전복귀케이블(51)이 삽입된 케이블관(52)과, 상기 공회전복귀케이블(51)의 타측에 연결된 공회전복귀 갈퀴막대(60A)와, 상기 갈퀴막대의 이동에 따라 접히거나 풀어지는 가속막대들(63, 65, 67)로 이루어진다.The idle return means is the idle return cable 51 attached to the side branches (27A) of the booster rod, the cable pipe 52 into which the idle return cable 51 is inserted, and the other side of the idle return cable 51 It consists of a connected idle return rake rod (60A) and the acceleration rods (63, 65, 67) to be folded or releas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ake rod.

상기 도 2에서 간략히 언급하였듯이, 콤보스틱 레버(3)를 가속 위치에 놓고 주행하다가 발브레이크를 밟아 자동차를 정지시킬 경우, 콤보스틱의 크루즈 컨트롤 기능으로 인해 쓰로틀은 동일한 크기로 열려 있으나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하였으므로 엔진이 엄청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콤보스틱이 쓰로틀을 얼마만큼 열어 놓았든지 상관없이 발브레이크를 밟으면 자동적으로 쓰로틀을 공회전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도11에 예시한 것과 같은 공회전 복귀장치를 제공한다.As briefly mentioned in FIG. 2, when driving the vehicle with the combo stick lever 3 in an accelerated position and pressing the foot brake, the throttle is opened to the same size due to the cruise control function of the combo stick, but the load applied to the engine Decreases, causing the engine to spin at tremendous speed. No matter how much the combo stick has left open the throttle provides an idle return device as illustrated in Fig. 11 to automatically return the throttle to the idle position when the foot brake is pressed.

발브레이크를 밟으면 발브레이크 막대의 좌우로 갈라진 부분이 부스터막대 곁가지(27A) 양날개를 전방으로 밀게 되는데 곁가지(27A) 우측에 부착된 공회전복귀케이블(51)이 케이블관(52)을 빠져나오면서 그 반대편 끝에 연결된 공회전복귀 갈퀴막대(60A)를 우측으로 당기게 된다. 갈퀴막대(60A)는 공회전복귀 갈퀴(60B), 보조갈퀴(60C), 갈퀴위치안정막대(60D)와 일체를 이루고 있어서 갈퀴구조 전체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갈퀴(60B)가 손목시계줄처럼 접히고 풀어지도록 만들어진 가속막대들(63, 65, 67)을 접힌 상태로부터 풀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가속쌍고리(57)는 여전히 가속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속막대3번(67)이 공회전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엔진의 쓰로틀이 닫히게 된다.When stepping on the foot brake, the left and right parts of the foot brake rod are pushed forward by the booster rod side branches (27A), and the idle return cable (51) attached to the right side of the side branches (27A) exits the cable pipe (52). Pull the idle return rake rod (60A)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to the right. The rake rod 60A is integrated with the idle return rake 60B, the auxiliary rake 60C, and the rake position stabilizing rod 60D, so that the entire rake structure moves to the right. At this time, since the rake 60B is released from the folded state, the acceleration rods 63, 65, and 67, which are made to be folded and released like a wristband, are accelerated, although the acceleration pair 57 is still in the acceleration position. Because the bun 67 returns to the idle position, the throttle of the engine is closed.

공회전 복귀장치의 보다 자세한 구조는 도 12에 예시한 것과 같다. 공회전복귀 갈퀴구조(60)가 공회전복귀 케이블(51)에 의해 우측(전후좌우 아이콘 참조)으로 당겨지면 갈퀴막대(60A)는 갈퀴막대통(58) 속으로 들어오게 되고, 반대편 좌측에 있는 갈퀴위치안정막대(60D)는 위치안정막대통(61)으로부터 빠져나온다. 이때 공회전복귀 압축스프링(59)이 압축되는데, 브레이크 부스터막대가 중립위치로 되돌아오면 압축스프링(59)의 힘에 의해 갈퀴(60)도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A more detailed structure of the idle return device is as illustrated in FIG. 12. When the idling return rake structure 60 is pulled to the right (see front, back, left and right icons) by the idling return cable 51, the rake rod 60A enters into the rake rod barrel 58, and the rake position on the opposite left side. The stabilization rod 60D comes out of the position stabilization rod barrel 61. At this time, the idle return compression spring 59 is compressed. When the brake booster rod returns to the neutral position, the rake 60 is also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59.

가속막대들은 쌍고리막대(57A) 외에 가속막대1번(63), 가속막대2번(65), 가속막대3번(67)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막대들은 가속막대관절1번(62), 관절2번(64), 관절3번(66)에 의해 연결된다. 이들 중 관절2번의 축은 그 상하 끝부분이 가속막대1번(63)의 상하 표면보다 돌출되어 있어서 이 돌출된 부분을 갈퀴(60B)가 잡아당기게 된다.Acceleration rods are composed of the acceleration rod No. 1 (63), the acceleration rod No. 2 (65), the acceleration rod No. 3 (67) in addition to the bicyclic rod (57A). It is connected by the second 64, the joint 3 (66). Of these, joint axis 2 has its upper and lower ends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cceleration rod No. 1 (63) so that the rake 60B pulls this protruding portion.

갈퀴(60B)의 위치는 가속관절2번(64)의 돌출부 바로 후방에 있어서 손가속기가 공회전 위치에 있을 때는 브레이크를 밟아도 이 돌출부(64)를 건드리지 않는다. 그러나 손가속기가 조금이라도 가속기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이 돌출부(64)가 갈퀴(60B)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갈퀴(60B)에 의해 잡아당겨지게 된다. 그러나 갈퀴(60B)를 얼마나 돌출부(64)에 근접하게 설치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기계의 정밀도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갈퀴의 전후 폭은 돌출부(64)의 바로 후방에서 시작하여, 도12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최대 가속시의 돌출부(64B) 위치까지 포함한다. 돌출부(64)가 갈퀴(60B)의 중간 부근에 있을 때는 별 문제가 없으나, 양끝 부분에 있을 때는 갈퀴(60B)를 당기게 되면 갈퀴가 전방 혹은 후방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러한 갈퀴(60B)의 흔들림을 막기 위하여 갈퀴의 좌측에 보조갈퀴(60C)와 갈퀴위치안정막대(60D)를 설치하였다.The position of the rake 60B is just behind the protrusion of the acceleration joint No. 64, and when the hand accelerator is in the idle position, the rake 60B is not touched by the brake. However, when the hand accelerator moves to the accelerator position even a little, the protrusion 64 is pulled by the rake 60B because it enters the rake 60B. However, how close the rake 60B can be installed to the projection 64 will be determined by the precision of the machine.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rake start just behind the projection 64 and include the projection 64B at the maximum accelera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When the protrusion 64 is near the middle of the rake 60B, there is no problem, but when the rake 60B is pulled at both ends, the rake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preventing the rake 60B from shaking. To the left of the rake, an auxiliary rake (60C) and a rake position bar (60D) were installed.

보조갈퀴(60C)의 상하 폭은 가속막대들 특히 상하폭이 제일 넓은 가속막대1번(63)을 지나 좌우 이동을 하기에는 충분하지만 돌출부(64)가 지나갈 수는 없도록 갈퀴(60B)보다는 약간 좁게 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 즉 보조갈퀴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돌출부(64)를 가로막고 있는 상태에서는 손가속기나 발가속기를 작동시키지 못하게 하였다.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auxiliary rakes 60C are sufficient to move left and right through the acceleration rods, especially the acceleration rod No. 1, which has the largest upper and lower widths, but slightly narrower than the rakes 60B so that the protrusions 64 cannot pass. have. Therefore, the brake is applied, that is, the auxiliary rake is moved to the right to block the protrusion 64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hand accelerator or the foot accelerator.

관절들의 좌우 위치는 가속쌍고리(57)의 중심과 가속막대3번(67)의 중심을 잇는 직선을 중심선으로 했을 때 관절1번(62)은 중심선보다 약간 우측, 관절2번(64)은 중심선보다 약간 좌측에 있다. 따라서 아무리 급하게 발가속기를 밟거나 손가속기를 당겨도 가속막대들은 접힌 상태를 유지한 채 전후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갈퀴(60B)가 관절2번(64)을 우측으로 당겨 그 위치가 관절1번보다 더 우측으로 가게 되면 쓰로틀의 비틀림스프링(72)이 전방으로부터 당기는 힘에 의해 관절2번(64)은 관절1번(62)을 축으로 하여 원운동을 하면서 가속막대들이 시계줄 풀어지듯 풀리게 되고, 관절3번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속막대3번(67)은 차체에 고정된 가속막대집(68) 속으로 들어가서 공회전 위치까지 복귀하게 된다.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joints are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acceleration bicyclic ring 57 and the center of the acceleration rod No. 3 (67). Slightly left of center line. Therefore, no matter how quick you step on the accelerator or pull the hand accelerator, the acceleration rods will be folded back and forth. However, if the rake 60B pulls the joint 2 (64) to the right and its position goes to the right side than the joint 1, the joint 2 (64) is the joint by the force that the torsion spring 72 of the throttle pulls from the front. Acceleration rods are released as the clock bands are released while circular motion is made with the axis of No. 62 as the axis. Acceleration rod No. 3 (67) is moved into the acceleration rod housing 68 fixed to the vehicle body as joint No. 3 moves forward. Will return to the idle position.

가속막대3번(67)이 공회전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는 쓰로틀 비틀림스프링의 잡아당기는 힘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콤보스틱 레버(3)를 중립 위치까지 밀면 쌍고리막대(57A)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속막대2번(65)의 관절2번(64) 부분에 들어있는 태엽형 스프링(69)의 힘에 의해 가속막대들은 접힌 상태로 되돌아간다. 애초에 공회전 상태로 복귀할 때는 태엽형 스프링의 힘보다 쓰로틀 비틀림스프링의 힘이 더 강하기 때문에 공회전 복귀가 가능했지만, 쓰로틀 비틀림스프링의 힘이 없는 상황에서는 태엽형 스프링(69)이 원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에 의해 가속막대들이 다시 접히게 된다.Since the pulling force of the throttle torsion spring no longer works in the state where the acceleration bar 3 (67) is returned to the idle position, pushing the combo stick lever 3 to the neutral position in this state causes the double bar 57A to come out. The rods are moved forward, and the acceleration rods are returned to the folded state by the force of the spring-loaded spring 69 in the joint portion 64 of the acceleration rod No. 65. When returning to idling in the first place, idling return was possible because the force of the throttle torsion spring is stronger than the force of the spring. However, in the absence of the force of the throttle torsion spring, the force spring (69) tries to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The acceleration rods are folded back.

태엽형스프링(69)의 힘이 제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관절2번(64)의 축이 가속막대1번(63)과 접하는 부위는 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겉돌지 않으며, 가속막대2번(65)과 접하는 부위(64B)는 원통으로 되어 있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태엽형스프링(69)의 안쪽 끝(69A)은 관절2번 축의 홈(64A)에 들어가고 바깥쪽 끝(69B)은 가속막대 2번(65)의 내벽에 있는 홈(65A)에 들어간다. In order to ensure that the force of the spring spring 69 is properly transmitted, the area where the axis of joint 2 (64) is in contact with the acceleration rod 1 (63) is a quadrangular shape and does not rotate, and the acceleration rod 2 (65) and The contact part 64B is a cylinder and can rotate freely. And the inner end 69A of the mainspring 69 enters the groove 64A of the joint 2nd axis, and the outer end 69B enters the groove 65A of the inner wall of the acceleration rod 2 65.

공회전복귀장치 중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갈퀴막대통(58), 갈퀴위치안정막대통(61), 가속막대집(68)과 쌍고리집(56)은 상하 두 장의 철판에 요철을 만들어 붙이고 그 중앙에 이동하는 부품들이 들어가게 하면 먼지 등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므로 기계적 오작동을 막을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우월할 것이다(도면으로는 제시하지 않았음).The rake rod cylinder (58), the rake position stabilization rod cylinder (61), the acceleration rod housing (68), and the twin ring housing (56), which are fixed to the vehicle body,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teel plates by making irregularities, It will prevent mechanical malfunctions because it will not allow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to enter, and it will be aesthetically superior (not shown).

이상과 같은 공회전 복귀장치는 발가속기를 밟고 주행하다가 손브레이크를 밀어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즉, 발가속기를 밟으면 발가속케이블(55)에 의해 쌍고리(57)가 당겨져 가속막대관절2번(64)의 돌출부가 공회전복귀 갈퀴 안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이때 손브레이크를 밀면 브레이크 부스터막대 곁가지(27A)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갈퀴(60)가 관절2번(64)을 우측으로 당겨서 동일한 방식으로 가속막대들이 접힌 상태로부터 풀어지게 된다.The idle return device as described above operates in the same way even when the vehicle is stopped by pushing the hand brake and pushing the hand brake. That is, when the foot accelerator is pressed, the pair of hooks 57 are pulled by the foot acceleration cable 55, and the protrusion of the acceleration rod joint No. 2 (64) enters the idle return rake. At this time, when the hand brake is pushed, the branch of the brake booster rod ( Since 27A) moves forward, the rake 60 pulls joint 2 64 to the right to release the accelerator rods from the folded state in the same manner.

본 발명의 콤보스틱 차량에는 가속기와 브레이크가 각각 두 개씩 있기 때문에 아래 [표 1]에 정리한 것과 같은 상호 간섭 현상을 고려하였다.In the combo stick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are two accelerators and two brakes, mutual interference such as summarized in Table 1 below is considered.


2차 작동Secondary operation
손가속기Hand accelerator 손브레이크Hand brake 발가속기Foot accelerator 발브레이크Foot brake 1차 작동Primary operation 손가속기Hand accelerator 정상 정지Normal stop OKOK 공회전복귀장치 작동Idle Return Device Operation 손브레이크Hand brake 정상출발Normal departure 불가능impossible OKOK 발가속기Foot accelerator OKOK 공회전복귀장치 작동Idle Return Device Operation 정상정지Normal stop 발브레이크Foot brake 불가능impossible OKOK 정상출발Normal departure

총 4개의 장치를 1차, 2차에 걸쳐 작동시킬 경우 총 16가지 조합이 가능한데, 이 중 동일한 장치를 1차, 2차에 작동시키는 것은 아무런 간섭의 의미가 없으므로 사선을 그어 제외하였고, 또한 운전자가 손만 사용하거나 발만 사용하는 4가지 조합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정상출발” 혹은 “정상정지”로 표시).A total of 16 combinations are possible when operating a total of four devices in the first and second phases. Of these, operating the same device in the first and second phases has no meaning of interference. There are no problems with the four combinations that use only hands or feet only (marked as “normal start” or “normal stop”).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은 운전자가 1차 작동시에는 손을 쓰다가 그 다음에 발을 쓰는 경우(우상 영역)와, 1차로 발을 쓰다가 그 다음에 손을 쓰는 경우(좌하 영역)이다. 그러나 1, 2차 모두 가속기이거나, 1, 2차 모두 브레이크이면 별 문제가 없다(OK로 표시). 다만, 손가속기와 발가속기를 함께 쓰는 경우 둘 중에서 쌍고리를 더 많이 당긴 것에 의해 차량의 주행속도가 결정된다.Problems may arise when the driver uses his or her hand for the first operation and then the foot (right area) and the first and then the hand (lower left area). However, there is no problem if both the primary and secondary accelerators or the primary and secondary brakes are used (marked OK). However, when the hand accelerator and the foot accelerator are used together,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by pulling the pair of the two more.

결국 남은 것은 4가지 조합인데, 손가속기를 가속 위치에 둔 상태에서 발브레이크를 밟는 경우와 발가속기를 밟고 주행하다가 발가속기에서 발을 떼지 않은 채 손브레이크를 미는 경우에는 공회전 복귀장치가 작동하므로 문제가 해결된다. 그리고 발브레이크이든 손브레이크이든 브레이크를 건 상태에서는 가속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공회전 복귀장치의 보조갈퀴가 수행한다.After all, there are only four combinations, but if you step on the foot brakes with the hand accelerator in the acceleration position and push the hand brake without taking your foot off the throttle, the idling return device works. Is solved. The auxiliary rake of the idling return device plays a role of preventing the accelerator from operating in the brake state, whether it is a foot brake or a hand brake.

차량이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신속한 엔진 예열을 위하여 엔진 회전 속도를 높이고자 한다면, 발브레이크는 밟지 말고 발가속기만 밟든지, 콤보스틱의 손가속기를 당기면 된다. 이 경우 자동변속기의 위치는 주차(P) 위치에 있어야 할 것이다.If you want to increase the engine speed for fast engine warm-up while the vehicle is stationary, you can step on the accelerator instead of stepping on the foot brake or pull on the combo stick.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should be in the parking position (P).

콤보스틱 차량은 반드시 손으로만 운전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손이 발보다 덜 피로해진다고 하여도 장시간 운전시에는 피로해지지 말란 법이 없으므로 오른손이 힘들면 오른발로 대신 할 수 있고, 오른손이 무언가 다른 일을 해야 한다면 역시 오른발이 교대해 줄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 혹은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서 손으로 운전하는 것과 발로 운전하는 것 중에서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Combo sticks do not have to be driven by hand. Even if your hands are less tired than your feet, you shouldn't be tired when driving for a long time, so if your right hand is hard, you can do it with your right foot, and if your right hand needs to do something different, your right foot can also shift.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the taste of the driver, the driver can freely choose between driving by hand or driving by foot.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he extent possible.

1 : 손잡이 2 : 버튼
3 : 레버 4 : 레버커버
6 : 쓰로틀당김쇠 7 : 손가속고리집
8 : 손가속케이블관 9 : 손가속고리
10 : 손가속케이블 11 : 손가속롤러
13 : 브레이크밀대부착쇠 15, 17 : 손브레이크 밀대
20 : 부채꼴톱니핀 21A : 부채꼴톱니막대
21B : 부채꼴톱니 23 : 가로바톱니
24 : 손브레이크 파이프 24A : 선형톱니
27 : 부스터막대 27A : 부스터막대 곁가지
29 : 브레이크 부스터 30 : 발브레이크 막대
33 : 브레이크고정 케이블 34 : 버튼육각기둥
34A : 버튼육각기둥 베어링 37, 38 : 브레이크고정 집게
39 : 브레이크고정 톱니판 40, 41 : 가이드판
42 : 이동가이드판 42A : 인장스프링고리
42B : 이동가이드판 원통 42C : 쐐기벽
43 : 가이드구조 베어링통 44, 45 : 가이드구조 베어링판
47 : 가이드구조 압축스프링 48 : 가이드구조 고정벽
50 : 이동가이드판 조절 쐐기 51 : 공회전복귀 케이블
52 : 공회전복귀 케이블관 56 : 가속쌍고리집
57 : 가속쌍고리 58 : 공회전복귀 갈퀴막대통
59 : 공회전복귀 압축스프링 60A : 공회전복귀 갈퀴막대
60B : 공회전복귀 갈퀴 60C : 공회전복귀 보조갈퀴
60D : 공회전복귀 갈퀴위치안정막대 61 : 갈퀴위치안정막대통
62 : 가속막대관절 1번 63 : 가속막대 1번
64 : 가속막대관절 2번 65 : 가속막대 2번
66 : 가속막대관절 3번 67 : 가속막대 3번
68 : 가속막대집 69 : 태엽형스프링
70 : 쓰로틀케이블
1: knob 2: button
3: lever 4: lever cover
6: throttle pull 7: hand acceleration ring
8: hand acceleration cable pipe 9: hand acceleration ring
10: hand acceleration cable 11: hand acceleration roller
13: Brake stick clamp 15, 17: Hand brake push rod
20: fan toothed pin 21A: fan toothed rod
21B: Fan tooth 23: Horizontal toothed tooth
24: Handbrake Pipe 24A: Linear Tooth
27: Booster Rod 27A: Booster Rod Side Branch
29: Brake Booster 30: Foot Brake Bar
33: Brake fixing cable 34: Button hexagon pillar
34A: Button hexagon pillar bearing 37, 38: Brake fixing clamp
39: Brake fixing tooth plate 40, 41: guide plate
42: moving guide plate 42A: tension spring ring
42B: cylindrical guide plate 42C: wedge wall
43: guide structure bearing cylinder 44, 45: guide structure bearing plate
47: guide structure compression spring 48: guide structure fixed wall
50: moving guide plate adjustment wedge 51: idle return cable
52: idle return cable tube 56: accelerated bicyclic collection
57: acceleration bicyclic 58: idling return rake rod
59: idle return compression spring 60A: idle return rake rod
60B: idling return rake 60C: idling return rake
60D: idling return rake position bar 61: rake position bar
62: acceleration rod joint no.63 63: acceleration rod no.1
64: acceleration rod joint no.2 65: acceleration rod joint no.2
66: acceleration rod joint 3 times 67: acceleration rod joint 3
68: acceleration rod collection 69: hand-held spring
70: throttle cable

Claims (2)

브레이크부스터에 작용하여 차량을 정지시키며 손으로 조작하는 손브레이크수단;
상기 손브레이크수단과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발브레이크;
상기 손브레이크수단과 상기 발브레이크가 상호 간섭 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 독립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장치;
엔진 쓰로틀을 열어 차량을 가속시키며 손으로 조작하는 손가속수단과;
상기 손가속수단과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발가속기;
상기 손가속수단과 상기 발가속기가 상호 간섭 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속독립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가속장치; 및
상기 손가속수단을 이용하여 엔진 쓰로틀을 열고 주행하다가 상기 발브레이크가 자동차를 정지시킬 경우 상기 손가속수단에 의해 여전히 열려 있는 엔진 쓰로틀을 상기 손가속수단에 의해 엔진 쓰로틀이 얼마나 열렸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엔진 쓰로틀을 공회전 위치로 되돌리고, 상기 발가속기로 주행하다가 상기 손브레이크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정지시킬 경우 상기 발가속기에 의해 엔진 쓰로틀이 얼마나 열렸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엔진 쓰로틀을 공회전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교차공회전복귀수단을 포함하는 한 개의 막대에 브레이크와 가속기능이 결합된 자동차 운전장치.


Hand brake means for operating the brake booster to stop the vehicle by hand;
A foot brake acting independently of the hand brake means;
A brake device comprising brake independent driving means for allowing the hand brake means and the foot brake to operate independently without mutual interference;
Hand acceleration means for opening the engine throttle to accelerate the vehicle and to operate by hand;
A foot accelerator acting independently of the hand acceleration means;
An acceleration device comprising acceleration independent driving means for allowing the hand acceleration means and the foot accelerator to operate independently without mutual interference; And
Regardless of how much the engine throttle is opened by the hand acceleration means, the engine throttle still opened by the hand acceleration means when the foot brake stops the vehicle while driving and opening the engine throttle using the hand acceleration means. When the engine throttle is returned to the idle position and the vehicle is stopped by the hand brake means while the vehicle is stopped using the hand brake means, the cross for returning the engine throttle to the idle position regardless of how long the engine throttle is opened by the accelerator. A vehicle driving device in which a brake and an acceleration function are combined in one bar including an idle return means.


삭제delete
KR1020130064200A 2013-06-04 2013-06-04 A driv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hich combines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nto one stick KR1013851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200A KR101385120B1 (en) 2013-06-04 2013-06-04 A driv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hich combines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nto one 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200A KR101385120B1 (en) 2013-06-04 2013-06-04 A driv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hich combines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nto one stic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710A Division KR101301676B1 (en) 2011-02-28 2011-02-28 A driv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hich combines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nto one sti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771A KR20130064771A (en) 2013-06-18
KR101385120B1 true KR101385120B1 (en) 2014-04-14

Family

ID=4886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200A KR101385120B1 (en) 2013-06-04 2013-06-04 A driv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hich combines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nto one 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12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131B1 (en) * 1996-09-13 1999-04-01 박병재 Accel/brake lever for an automobile
JP2002119542A (en) * 2000-10-13 2002-04-23 Honda Motor Co Ltd Vehicle for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JP2006137389A (en) * 2004-11-15 2006-06-01 Honda Motor Co Ltd Manual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131B1 (en) * 1996-09-13 1999-04-01 박병재 Accel/brake lever for an automobile
JP2002119542A (en) * 2000-10-13 2002-04-23 Honda Motor Co Ltd Vehicle for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JP2006137389A (en) * 2004-11-15 2006-06-01 Honda Motor Co Ltd Manual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771A (en)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676B1 (en) A driv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hich combines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nto one stick
KR101243218B1 (en) Drive assistant device for automobile
JP5714281B2 (en) Bicycle saddle angle adjustment device
CN210494426U (en)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and nursing vehicle with same
JP2008204421A (en) Portable driving assistance device for automobile
KR101385120B1 (en) A driv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hich combines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into one stick
JP2000309255A (en) Electric parking brake operating device
US20070228793A1 (en) Theft protection chair structure for motor vehicles
KR102178080B1 (en) Wheelchair having self brake
JP2004291950A (en) Manual operation assisting device for automobile
WO2018151269A1 (en) Footrest device
CN219728160U (en) Automobile hand-driving for disabled people
KR200342298Y1 (en) Wheel chair
JP6734979B1 (en) Accelerator pedal assist device
JPH02116911A (en) Forward/backward adjustable stepping type pedal
JP3183821U (en) Wheelchair safety device
KR101941491B1 (en) 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JP2015128671A (en) Safety tool for wheelchair
JPH0528248U (en) Vehicle seat armrest structure
KR20190055652A (en) Portable Brake for Wheel Chair
JP3072470B2 (en) wheelchair
JP2006176095A (en) Automobile drive assist device
KR101352763B1 (en) Automatic stand for a bicycle
JPS6225769Y2 (en)
JPH0537295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