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85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using touch-scree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using touch-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859B1
KR101384859B1 KR1020070068864A KR20070068864A KR101384859B1 KR 101384859 B1 KR101384859 B1 KR 101384859B1 KR 1020070068864 A KR1020070068864 A KR 1020070068864A KR 20070068864 A KR20070068864 A KR 20070068864A KR 101384859 B1 KR101384859 B1 KR 101384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y
drag
character
touch screen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5666A (en
Inventor
권진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859B1/en
Publication of KR20090005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6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8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수단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문자배열이 스크롤 되도록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수단에 의한 드래그를 감지하고, 입력될 문자가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는 종별문자배열(420)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부(20)와; 상기 입력된 문자를 이용하여 글자를 조합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기기의 문자입력에 있어, 단순한 드래그 동작만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를 정확히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touch screen to input a desired character by scrolling the character array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mean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unit 20 detects a drag by the touch means and sequentially displays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corresponding to the drag direction so that a character to be input is selected; It comprises a control unit 10 for combining the letters by using the input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haracter input of the mobile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accurately input the desired character using only a simple drag operation.

터치스크린, 문자입력, 드래그 Touch screen, text input, drag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using touch-screen}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using touch-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드래그 종류에 따른 기능을 분류한 테이블.3 is a table classifying functions according to a type of drag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이 실시예에서 드래그 입력 방향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rag input direction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5d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구동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5A to 5D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screen driven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 제어부 20 : 터치스크린부10: control unit 20: touch screen unit

30 : 터치컨트롤러부 40 : 문자조합저장부30: touch controller unit 40: character combination storage unit

400 : 문자박스 410 : 터치수단400: text box 410: touch means

420 : 종별문자배열 500 : 제1드래그420: type character array 500: the first drag

510 : 제2드래그 520 : 제3드래그510: second drag 520: third drag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수단의 상, 하, 좌, 우측 드래그 방향에 따른 영문, 숫자, 한글모음, 한글자음 배열을 스크롤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scroll a desired character by scrolling an array of alphabets, numbers, Korean vowels and Korean consonants according to the dragging direction of the touch mea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method using a touch screen.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에는 대표적으로 PDA(Personal Digital Assitants)가 있으며, 그 밖에도 네비게이션, POS(Point-of-sale)기기, ATM(Automatic Teller Machi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셀룰러 폰 등이 있다.In general, a device for inputting text using a touch screen is typically a PDA (Personal Digital Assitants). In addition, navigation, Point-of-sale (POS), Automatic Teller Machine (ATM), Portable Multimedia (PMP) Player) cellular phones.

특히, 모바일기기는 크기가 축소됨에 따라, 문자입력 방법에 있어 기능 향상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In particular, as the size of the mobile device is reduced,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function in the text input method is increased.

그리고,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단말기는 키보드모양의 키를 누르거나, 특정 칸 안에서 모양을 그려 형상을 인식하게 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In addition, a portable terminal using a conventional touch screen adopts a method of pressing a keyboard-shaped key or drawing a shape in a specific compartment to recognize a shape.

그러나, 종래에 키보드모양의 경우에는 그 칸이 작아 원하는 키를 입력하기 힘들거나 오타가 많았고, 문자인식은 필체에 따라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keyboard shape, the cell is small, so it is difficult to input a desired key or a large number of typo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수단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종별문자배열이 스크롤 되어, 터치해제시 특정위치의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croll the type character array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mean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the character at a specific position when the touch is released It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a touch screen to be inpu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치수단에 의한 드래그를 감지하고, 입력될 문자가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는 종별 문자배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입력된 문자를 이용하여 글자를 조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drag by the touch means, and sequentially displays the type character array corresponding to the drag direction so that the character to be input can be selected It comprises a touch scree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mbining the letters using the input character.

그리고,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된 상기 종별문자배열을 스크롤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may scroll the displayed type character array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input characte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input from the user.

또한, 상기 문자입력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부에서 수신된 터치신호로부터 터치 위치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터치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ouch controller that calculates a touch position from the touch signal received by the touch screen unit and transmits the touch position to the controller.

한편, 상기 문자입력장치는, 상기 종별 문자배열을 저장하는 문자조합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input device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haracter combination storage for storing the type character array.

그리고, 상기 종별 문자배열은, 영문배열, 숫자배열, 한글모음배열 또는 한글자음배열 중 어느 하나 일수도 있다.The type character array may be any one of an English array, a numeric array, a Korean vowel array, and a Korean consonant array.

또한, 제어부는, 상기 문자입력이 설정된 문자박스에서 구현되도록 제 어하고, 상기 문자박스는, 사용자로부터 최초 문자입력 명령 수신시 팝업 실행되는 팝업창 일수도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ext input to be implemented in the set text box, and the text box may be a pop-up window that is executed when the text input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한편, 제어부는, 상기 터치수단의 터치위치와 문자박스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종별문자배열의 스크롤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croll speed of the type character array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position of the touch unit and the text box.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터치수단의 터치위치가 문자박스 안에 위치하면, 상기 종별문자배열의 스크롤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crolling of the type character array to be stopped when the touch position of the touch means is located in the text box.

또한,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부로부터 상기 터치수단의 터치 해지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문자박스상의 설정위치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문자로 인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recognize a character located at a setting position on the text box as an input character when detecting the touch release of the touch means from the touch screen unit.

한편, 본 발명은 (A) 문자입력명령을 받는 단계와, (B) 상기 문자입력명령에 따라 문자박스를 팝업 하는 단계와, (C) 제어부가 상기 문자박스상에서 터치된 터치수단의 제1드래그 방향에 따라 종별 문자배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D) 상기 제어부가 제2드래그 및 제3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상기 종별문자배열을 변환 또는 스크롤하여 입력문자를 설정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F) 상기 제어부가 터치해제 감지시 설정위치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문자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receiving a text input command, (B) popping up the text box according to the text input command, (C) the first drag of the touch means touched on the text box by the controller Displaying the type character array according to the direction; (D) the control unit converts or scrolls the type character arra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nd third drags to position the input character at the set position; and F) includes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including the step of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character located at the setting position as the input character when detecting the touch release.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은, (G) 상기 입력된 문자를 글자로 조합하는 단계와, (H) 상기 조합된 글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touch screen may further include (G) combining the input characters into letters, and (H) displaying the combined letters.

또한, 상기 (D)단계는, 상기 종별문자배열은, (D1) 상기 종별문자배열이 영 문배열인 경우, 제2드래그를 감지하여, 상기 제2드래그 방향에 따라 대소문자를 구별하는 단계와, (D2) 상기 종별문자배열이 숫자배열인 경우, 제2드래그를 감지하여, 상기 제2드래그 방향에 따라 숫자 또는 특수문자를 구별하는 단계와, (D3) 상기 종별문자배열이 한글자음배열 또는 한글모음인 경우, 제2드래그를 감지하여, 상기 제2드래그 방향에 따라 문자배열을 스크롤 하는 단계, 그리고 (D4) 상기 (D3)단계 수행후, 터치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ep (D), the type character array, (D1) when the type character array is the English character array, detecting a second drag, and distinguishing the upper and lower case according to the second drag direction and (D2) if the type character array is a number array, detecting a second drag and distinguishing a number or a special characte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drag; (D3) the type character array is a Korean consonant array or In the case of the Korean vowel, the method may include detecting a second drag, scrolling the character array according to the second drag direc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o release the touch after performing (D4) the step (D3). .

한편, (E1) 상기 (D1) 및 (D2)단계의 수행 후, 제3드래그를 감지하여, 상기 제3드래그 방향에 따라 문자배열을 스크롤 하는 단계와, (E2) 상기 (D4)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터치해제되지 않고, 상기 종별문자배열이 한글자음인 경우, 상기 제3드래그를 감지하여, 상기 제3드래그 방향에 따라 탁음 또는 쌍자음으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E3) 상기 (D4)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터치해제되지 않고, 상기 종별문자배열이 한글모음인 경우, 상기 제3드래그를 감지하여, 상기 제3드래그 방향에 따라 쌍모음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E1) after performing the steps (D1) and (D2), detecting the third drag, scrolling the character array according to the third drag direction, and (E2) the determination of the step (D4) As a result, if the type character array is Hangul consonants without the touch release, detecting the third drag and converting the third drag into a sound or twin consonant according to the third drag direction, and (E3) (D4)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tep, if the type character array is not the touch release, and the Hangul vowels,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cting the third drag, and converting to a pair vowel according to the third drag direction.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종별문자배열의 스크롤시, 스크롤 속도를 드래그 길이에 비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croll spe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rag length when the type character string is scrolled.

또한, 상기 제1드래그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 하, 좌 및 우의 4가지 드래그로 구분되고, 상기 제2드래그는, 상기 제1드래그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꺾여 진행되는 드래그이며, 상기 제3드래그는, 상기 제2드래그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꺾여 진행되는 드래그일 수도 있다.The first drag is divided into four drags: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and the second drag is a drag tha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drag direction. The third drag may be a drag tha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econd drag direction.

그리고, 상기 소정의 각은, 45°내지 135°사이의 각일 수도 있다.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an angle between 45 ° and 135 °.

또한, 영문배열, 숫자배열, 한글자음배열 및 한글모음배열의 상기 종별문자배열은, 상기 제1드래그의 방향에 대응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드래그 중 상방 및 하방에 각각 영문배열 또는 숫자배열이 하나씩 설정된 경우, 상기 제1드래그의 좌측 및 우측방향에는 각각 한글자음배열 또는 한글모음배열이 하나씩 설정되며, 상기 종별문자배열은, 종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종방향으로 스크롤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ype character array of the English array, the number array, the Hangul consonant array and the Hangul vowel array is set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drag, and the English array or number array is located above and below the first drag, respectively. When set one by one, the Hangul consonant array or Hangul vowel array is set one by o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drag, and the type character array may be displa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cro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상기 제1드래그 중 상방 및 하방에 각각 한글자음배열 또는 한글모음배열이 하나씩 설정된 경우, 상기 제1드래그의 좌측 및 우측방향에는 각각 영문배열 또는 숫자배열이 하나씩 설정되며, 상기 종별문자배열은, 횡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어, 횡방향으로 스크롤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gul consonant array or Hangul vowel array is set to the upper and lower one of the first drag, respectively, the English or numeric array is se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drag, respectively, the type character array It may be display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scro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발일기기의 문자입력에 있어, 단순한 드래그 동작만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를 정확히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esired character can be correctly input using only a simple drag operation in the character input of the hair curling device.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래그 감지 및 종별문자배열(420)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부(2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부(20)는 터치수단(410)에 의한 드래그를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방향에 따라 종별문자배 열(420)을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이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unit 20 for displaying a drag detection and a type character array 420.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unit 20 is a part that detects the drag by the touch unit 410 and displays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여기서, 상기 터치수단(410)은 사람의 손, 스타일러스펜 및 기타 막대모양의 부재일 수 있다.Here, the touch means 410 may be a human hand, a stylus pen and other bar-shaped members.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부(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의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터치컨트롤러부(3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터치컨트롤러부(30)는 상기 터치스크린부(20)에서 수신된 터치신호로부터 터치 위치를 산출하여 후술할 제어부(10)로 송출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The touch screen unit 20 is connected to the touch controller unit 30 that detects a touch signal of a character input from a user. In this case, the touch controller unit 30 is a part for calculating a touch position from the touch signal received by the touch screen unit 20 and sending it to the controller 10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터치신호는 정전용량방식의 고주파변화, 초음파방식의 음파변화, 저항막방식의 전압변화, 적외선방식의 빛변화, 피에조효과방식의 압력변화를 총칭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상기 터치신호는 제품의 용도와 기능에 따라 다양화 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touch signal refers to a high frequency change of the capacitive method, a sound wave change of the ultrasonic method, a voltage change of the resistive film method, a light change of the infrared method, and a pressure change of the piezo effect method. In this case, the touch signal may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use and function of the product.

한편, 상기 터치컨트롤러부(30)는 상기 문자를 조합하는 제어부(1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입력된 문자를 통해 글자로 조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the touch controller unit 3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 for combining the character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0 is a par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nit 20 by combining the letters through the input characters.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종별문자배열(420)을 저장하고 있는 문자조합저장부(4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문자조합저장부(40)는 상기 종별문자배열(420)을 저장하는 곳으로 영문배열, 숫자배열, 한글모음배열, 한글자음배열이 저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문자조합저장부(40)에는 특수기호 및 여러 국적의 문자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 is connected to the character combination storage unit 40 for storing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In this case, the character combination storage unit 40 is a part for storing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the English array, the numeric array, the Korean vowel array, the Hangul consonant array. In addition, the character combination storage unit 40 may include special symbols and characters of various nationalities.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작동순서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10)가 사용자로부터 문자입력명령을 입력받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S100). 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from the controller 10 receiving a text input command from a user (S100).

상기 문자입력명령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기설정된 것으로, PDA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메세지 작성명령, 메일 작성명령 등 문자입력이 필요한 기능의 실행명령이다.The text input command is preset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e touch screen. In the case of the PDA, the text input command is an execution command of a function requiring text input such as a message writing command or a mail writing command.

따라서, 상기 시작명령은 단말기 본체의 실행버튼 입력 또는 터치스크린부(110)상의 실행 입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the start command may be made of an execution button input of the terminal body or an execution input on the touch screen unit 110.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문자입력명령에 따라 문자박스(400)를 팝업(Pop-Up)하게 한다(S110).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causes the text box 400 to pop-up according to a text input command (S110).

이때, 상기 문자박스(400)는 드래그 방향에 따른 종별문자배열(420)을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터치스크린부(110)상의 소정의 위치에 팝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문자박스(400) 위치는 모바일기기의 설계와 구성에 따라 다양한 위치가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xt box 400 displays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and pops u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110. Here, the position of the text box 400 may be various positions depending on the design and configuration of the mobile device.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사용자로부터 제1드래그(500)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여기서, 상기 제1드래그(500)란 최초 사용자로부터 문자박스(400)상에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것을 말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rag 500 is detected by the user (S120). Here, the first drag 500 refers to dragging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text box 400 from the first user.

다음으로, 상기 제1드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감지된 제1드 래그(500) 방향에 따라 종별문자 배열(420)을 디스플레이한다(S130). Next, when the first drag is detected,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type letter array 420 according to the detected direction of the first drag 500 (S130).

상기 종별문자배열(420)은 상기 문자박스(400)를 중심으로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된다.The type character array 420 is displayed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box 400.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130단계의 판단결과 종별문자배열(420)이 영문배열인 경우, 제2드래그(510)를 감지하여, 상기 제2드래그(510) 방향에 따라 상기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결정한다(S210,S212).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 detects the second drag 510 when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is an English arra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130, and determines the second drag 510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drag 510. Case is determined (S210, S212).

반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130단계의 판단결과 종별문자배열(420)이 숫자배열인 경우, 제2드래그(510)를 감지하여, 상기 제2드래그(510) 방향에 따라 상기 문자열을 숫자 또는 특수문자로 변환한다(S220,S222).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0 detects the second drag 510 when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is a number arra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130, and displays the str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drag 510. Convert to numbers or special characters (S220, S222).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130단계의 판단결과 종별문자배열(420)이 한글자/모음배열인 경우에는, 역시 제2드래그를 감지하여(S230), 상기 제2드래그(510) 방향에 따라 문자배열을 스크롤한다(S232). If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is a Hangul / vowel array, the control unit 10 also detects a second drag (S230), and then moves toward the second drag 510. Scroll the character array accordingly (S232).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제232단계를 수행 후, 터치해제 여부를 판단한다(S240). In this case, after performing step 232,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to release the touch (S240).

상기 제240단계의 감지결과, 터치해제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에는 문자박스(400)상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받는다.(S410)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step 240, when the touch release is detected, the controller 10 receives a character located on the text box 400.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212단계와 제222단계 수행후, 제3드래그(520)를 감지하여, 상기 제3드래그(520) 방향에 따라 문자배열을 스크롤 한다(S310,S312). The controller 10 detects the third drag 520 after performing the second and second steps 222 and 222, and scrolls the character arra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hird drag 520 (S310 and S312).

여기서, 상기 제어부(10)는 제310단계로부터 제3드래그(520)가 감지되지 않 으면, 터치해제 여부를 감지한다(S400)Here, if the third drag 520 is not detected from step 310, the controller 10 detects whether the touch is released (S400).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240단계의 판단결과 터치해제 여부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종별문자배열(420)이 한글자음배열이면, 상기 제3드래그(520)를 감지하여, 상기 제3드래그(520) 방향에 따라 상기 문자박스(400)상에 위치한 문자를 탁음 또는 쌍자음으로 변환한다(S320,S322).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release is not detected a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240, if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is a Hangul consonant array, the controller 10 detects the third drag 520.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hree-drag 520, the characters located on the text box 400 is converted into a sound or double consonants (S320, S322).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제320단계의 판단결과 제3드래그(520)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240단계를 수행한다.In this case, if the third drag 520 is not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320, the controller 10 performs step 240.

한편,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240단계의 판단결과 터치해제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종별문자배열(420)이 한글모음배열이면, 제3드래그(520)를 감지하여, 상기 제3드래그(520) 방향에 따라 상기 문자박스상에 위치한 문자를 쌍모음으로 변환한다(S330,S332). On the other hand, if the touch release is not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240, if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is the Hangul vowel array, the control unit 10 detects the third drag 520 and the third drag. According to the direction (520), the characters located on the text box are converted into a pair of vowels (S330, S332).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제330단계의 판단결과 제3드래그(520)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240단계를 수행한다.If the third drag 520 is not detected a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330, the controller 10 performs step 240.

상기 제332단계 수행 후, 상기 제어부(10)는 터치해제감지 여부를 판단한다(S400). After performing step 332,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release is detected (S400).

여기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400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터치해제가 감지되지 않으면, 두 경로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Here, the controller 10 controls to move in two paths when the touch release is not detected in the operation 400.

즉, 제400단계의 수행결과 터치해제가 감지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1드래그(500) 방향에 따라 결정된 종별문자배열(420)이 영문문자배열과 숫자배열인 경우에는, 상기 제310단계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도 2의 점선참조). 그러나,상기 종별문자배열(420)이 한글자음배열 또는 한글모음배열이면, 터치해제가 될 때까지 대기한다(도 2의 S400의 실선참조).That is, if the touch release is not detected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400,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that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drag 500 is an English character array and a numeric array. Control to perform step 310 (see dashed line in Figure 2). However, if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is the Hangul consonant array or Hangul vowel array, the device waits until the touch is released (see solid line in S400 of FIG. 2).

이후, 제400단계의 판단결과 터치해제가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 해당문자를 입력받는다(S410). 이때, 문자의 입력이라 함은 문자박스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받는 것을 말한다.Subsequently, when the touch release is recognized a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400, the controller 10 receive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located at the set position (S410). At this time, the input of the character refers to receiving the character located in the text box.

즉,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문자박스가 설정된 위치인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다.That is, in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xt box has been set as an example.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입력된 문자를 조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20)에 디스플레이한다(S420). 예를 들어, 'ㅇ,ㅔ,ㄹ,ㅈ,l,ㅈ,ㅓ,ㄴ,ㅈ,ㅏ'의 문자를 조합하여 '엘지전자'라는 글자를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ㄷ,ㅐ,ㅎ,ㅏ,ㄴ,ㅁ,l,ㄴ,ㄱ,ㅜ,ㄱ'의 문자를 조합하여 '대한민국'이라는 글자를 조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국문으로 예를 들었지만, 영문, 숫자, 특수기호, 이밖에 다른 국적의 문자를 글자로 조합할 수도 있다.Next, the controller 10 combines the input characters and displays them on the touch screen unit 20 (S420). For example, the letter “L, E” may be combined by combining the letters 'ㅇ, ㅔ, ㄹ, ㅈ, l, ㅈ, ㅓ, ㄴ, ㅈ, ㅏ'.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the letters 'Korea,' by combining the letters 'ㄷ, ㅐ, ㅎ, ㅏ, ㄴ, ㅁ, l, ㄴ, ㄱ, ㅜ, ㄱ'. Here, although the example is in Korean, English, numbers, special symbols, and other national characters may be combined into letters.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종별문자배열(420)의 스크롤시, 스크롤 속도를 드래그 길이에 비례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롤시 드래그 길이가 짧으면, 상기 제어부(10)는 스크롤 속도가 느리도록 제어하고, 드래그 길이가 길면 스크롤 속도를 빠르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scroll spe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rag length when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is scrolled. For example, if the drag length during scrolling is short,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scroll speed to be slow, and if the drag length is long, the controller 10 controls to speed the scroll speed.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터치수단(410)이 문자박스(400)상에 위치하면 스크롤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문자박스(400)상에는 문자배열 중 하나의 문자가 디스플레이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controls to stop scrolling when the touch means 410 is positioned on the text box 400. In this case, one character of the character array is displayed on the text box 400.

이하에서는, 도 3의 드래그 종류에 따른 기능분류 테이블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unction classification table according to the drag type of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드래그 종류에 따른 기능분류 테이블이다.3 is a functional classification table according to the type of drag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테이블에서는 종별문자배열(420)이 횡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테이블은 드래그 종류별 기능을 도시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제1드래그(500)를 입력하면, 영문문자배열, 숫자배열, 한글자음배열 또는 한글모음배열 중 하나가 문자박스(400)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2드래그(510)를 입력하면, 영문문자배열에서는 영문 대소문자가 구별된다. 또한, 숫자배열에서는 특수문자와 숫자가 구별된다. 다음으로, 한글자음배열에서는 한글자음이 스크롤 되고, 한글모음배열에서는 한글모음이 스크롤 된다.In the table, as shown in FIG. 3,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is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an example. The table shows the function of each drag type.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the first drag 500, one of the English character array, the numeric array, the Hangul consonant array, and the Hangul vowel array is displayed on the text box 400.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the second drag 510, the English character sequence is distinguished from the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Also, special characters and numbers are distinguished in the array of numbers. Next, the Hangul consonants scroll in the Hangul consonant array, and the Hangul vowel scrolls in the Hangul vowel arrangement.

또한, 사용자가 제3드래그(520)를 하면, 영문문자배열에서는 영문문자가 스크롤 된다. 그리고, 숫자배열에서는 숫자가 스크롤 된다. 다음으로, 한글자음배열에서는 자음이 탁음 또는 쌍자음으로 변환되고, 한글모음배열에서는 모음이 쌍모음으로 변환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makes the third drag 520, the English character scrolls in the English character array. In the array, the numbers scroll. Next, the consonant is converted to a consonant or a double consonant in the Hangul consonant array, and the vowel is converted into a double vowel in the Hangul vowel arrangement.

본 실시예는 종별문자배열(420)이 횡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즉, 상기 제1드래그 중 상방 및 하방에 각각 한글자음배열 또는 한글모음배열이 하나씩 설정될 때, 상기 제1드래그의 좌측 및 우측방향에는 각각 영문배열 또는 숫자배열이 하나씩 설정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is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aken as an example. That is, when one Hangul consonant array or Hangul vowel array is set one above and one among the first drags, one English array or one numeric array is se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drag, respectively.

그러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종별문자배열이 종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드래그 중 상방 및 하방에 각각 영문배열 또는 숫자배열이 하나씩 설정되고, 상기 제1드래그의 좌측 및 우측방향에는 각각 한글자음배열 또는 한글모음배열이 하나씩 설정될 수도 있다.Howev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ype character array is displa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or more English or numeric arrays are respectively set up and down in the first drag,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drag are set. Each Hangul consonant array or Hangul vowel array may be set one by one.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예시도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이 실시예에서 드래그 입력 방향의 일예로 도시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rag input direction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문자박스(400)상에 터치수단(410)과 상, 하, 좌, 우 드래그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1드래그(500)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 하, 좌 및 우의 4가지 드래그로 구분되고, 상기 제2드래그(510)는 상기 제1드래그(500)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꺾여 진행되는 드래그이며, 상기 제3드래그(520)는 상기 제2드래그(510)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꺾여 진행되는 드래그를 말한다. 이때, 상기 소정의 각은 45°내지 135°일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FIG. 4 illustrates the touch means 410 and the up, down, left and right drag directions on the text box 400. At this time, the first drag 500 is divided into four drags of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and the second drag 510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drag 500 direction. The third drag 520 refers to a drag proceeding by b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direction of the second drag 510.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45 ° to 135 °.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5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예시도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E.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구동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5A to 5D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screen driven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는 문자박스(400)상에 종별문자배열(420)중 영문배 열을 도시하고, 도 5b는 종별문자배열(420)중 숫자배열을 도시하며, 도 5c는 종별문자배열(420)중 한글자음배열을 도시하며, 도 5d는 종별문자배열(420)중 한글모음을 도시하고 있다.As shown, FIG. 5A shows an English sequence of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on the text box 400, FIG. 5B shows a number array of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and FIG. 5C shows a type character. A Hangul consonant array in the array 420 is shown, and FIG. 5D shows a Hangul vowel in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여기서, 상기 영문문자배열은 영문 대소문자를 포함하고, 상기 숫자배열은 특수문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글자음배열은 탁음 또는 쌍자음을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상기 한글모음배열은 쌍모음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Herein, the alphabetic character array includes English upper and lowercase letters, the numeric array includes special characters, the Hangul consonant array includes a table sound or a double consonant, and finally, the Hangul vowel array includes a pair vowel. Say.

이때, 상기 도 5a는 상기 제2드래그에 의해 미도시한 영문 소문자로 변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5b는 상기 제2드래그에 의해 미도시한 특수문자로 변화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FIG. 5A may be converted to a lower case alphabet letter not shown by the second drag. In addition, FIG. 5B may be changed to a special character not shown by the second drag.

또한, 상기 종별문자배열(420)은 특수기호 및 다른 국적의 문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ype character array 420 may include special symbols and characters of other nationalities.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어, 본 실시예는 상기 홀드 앤 드래그 십을 예로 들었지만, 터치 앤 홀드(Touch and Hold)를 이용하여 실행대기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resent embodiment takes the hold and drag ship as an example, but can also execute execution using touch and hold.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본 발명은 간단한 드래그 동작만을 가지고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 키패드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화면의 공간활용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screen is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case having a character keypad because the character can be input only with a simple dra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모발일기기에서 작은 문자입력키를 누를 때 발생하는 오타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typo generated when pressing a small character input key in the hair styl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모발일기기의 문자입력에 있어, 필체에 따른 문자인식보다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recognition rate than the character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handwriting in the character input of the hair styling apparatus.

Claims (18)

터치수단에 의한 입력을 받는 터치스크린부와;A touch screen unit which receives an input by a touch unit; 상기 터치수단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컨트롤러부;A touch controller unit sensing a touch of the touch screen by the touch unit; 종별문자 배열을 저장하는 문자조합저장부; 그리고Character combin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type character array; And 터치컨트롤러부의 감지에 따라 문자박스를 팝업하고, 터치 스크린에 입력되는 제1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문자조합저장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종별문자 배열을 문자박스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제2드래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종별 문자 배열을 문자박스에 스크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Pops up the text box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touch controller unit, sequentially displays the corresponding type letter array stored in the text combination storage unit in the text box according to the first drag direction input to the touch screen, and inputs the text box to the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scrolling the type of character array displayed on the character box according to the 2 drag. 터치수단에 의한 입력을 받는 터치스크린부와;A touch screen unit which receives an input by a touch unit; 상기 터치수단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컨트롤러부;A touch controller unit sensing a touch of the touch screen by the touch unit; 종별문자 배열을 저장하는 문자조합저장부; 그리고Character combin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type character array; And 터치컨트롤러부의 감지에 따라 문자박스를 팝업하고, 터치 스크린에 입력되는 제1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문자조합저장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종별문자 배열을 문자박스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제2드래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종별 문자 배열을 변환하고,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제3드래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종별 문자 배열을 문자박스에 스크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Pops up the text box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touch controller unit, sequentially displays the corresponding type letter array stored in the character combination storage unit in the text box according to the first drag direction input to the touch screen, and inputs the text box to the touch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displayed type character array according to the drag and scrolling the displayed type character array to the text box according to the third drag input to the touch screen.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종별 문자배열은,The type character array is, 영문배열, 숫자배열, 한글모음배열 또는 한글자음배열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array of English, number array, Hangul vowel array or Hangul consonant arra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 문자입력이 설정된 문자박스에서 구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로부터 상기 터치수단의 터치 해지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문자박스상의 설정위치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문자로 인식하도록 제어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ext input to be implemented in the set text box, and when detecting the touch release of the touch means from the touch screen unit, a touch screen for controlling to recognize a character located at a setting position on the text box as an input text.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수단의 드래그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 종별문자배열의 스크롤 속도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The control unit is a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croll speed of the type character array in proportion to the drag length of the touch mean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수단의 터치위치가 문자박스 안에 위치하면, 상기 종별문자배열의 스크롤이 정지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crolling of the type character array to be stopped when the touch position of the touch means is located in the text box. 삭제delete (A) 터치스크린에서 문자입력명령을 받는 단계와;(A) receiving a text input command on the touch screen; (B) 상기 문자입력명령에 따라 문자박스를 터치스크린에 팝업 하는 단계와;(B) popping a text box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text input command; (C)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제1드래그 방향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종별 문자배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C) displaying a type character arr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ag direction touched on the touch screen; (D)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제2드래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된 종별문자배열을 문자박스를 따라 스크롤하는 단계; 그리고(D) scrolling the displayed type character array along the text box according to the second drag input to the touch screen; And (F) 터치스크린의 터치해제 감지시, 문자박스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문자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F) detecting the touch release of the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the step of recognizing a character located in the text box as input characters. (A) 터치스크린에서 문자입력명령을 받는 단계와;(A) receiving a text input command on the touch screen; (B) 상기 문자입력명령에 따라 문자박스를 터치스크린에 팝업 하는 단계와;(B) popping a text box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text input command; (C)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제1드래그 방향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종별 문자배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C) displaying a type character arr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ag direction touched on the touch screen; (D)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제2드래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된 종별문자배열을 변환하는 단계;(D) converting the displayed type character array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drag input to the touch screen; (F)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제3드래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된 종별문자배열을 문자박스를 따라 스크롤하는 단계; 그리고(F) scrolling the displayed type character array along the text box according to the third drag input to the touch screen; And (G) 터치스크린의 터치해제 감지시, 문자박스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문자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G) detecting the touch release of the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the step of recognizing a character located in the text box as input characters.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D)단계는,Step (D), (D1) 상기 종별문자배열이 영문배열인 경우, 제2드래그에 의하여 대소문자를 변경하는 단계; 또는(D1) changing the case by the second drag when the type character array is an English array; or (D2) 상기 종별문자배열이 숫자배열인 경우, 제2드래그에 의하여 특수문자로 변경하는 단계; 또는(D2) if the type character array is a number array, changing to a special character by a second drag; or (D3) 상기 종별문자배열이 한글자음배열이거나 한글모음배열인 경우, 제2드래그에 의하여 탁음 또는 쌍자음으로 변경하거나, 쌍모음으로 변경하는 단계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D3) when the type character array is a Korean consonant array or a Korean vowel array,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y one of the steps of changing to a tack or a double consonant or a vowel by a second drag. Character input method.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드래그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 하, 좌 및 우의 4가지 드래그로 구분되고,The first drag is divided into four drags of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상기 제2드래그는 상기 제1드래그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꺾여 진행되는 드래그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And the second drag is a drag proceeding by b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drag direction.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종별문자배열의 스크롤시, 스크롤 속도를 드래그 길이에 비례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Character scroll method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when scrolling the type character array, the scroll speed is controll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rag length.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상기 제1드래그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 하, 좌 및 우의 4가지 드래그로 구분되고,The first drag is divided into four drags of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상기 제2드래그는 상기 제1드래그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꺾여 진행되는 드래그이며, The second drag is a drag proceeding by b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drag direction, 상기 제3드래그는 상기 제2드래그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꺾여 진행되는 드래그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And the third drag is a drag proceeding by b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econd drag direction. 제 15 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소정의 각은,The predetermined angle is, 45°내지 135°사이의 각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between 45 ° to 135 °.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영문배열, 숫자배열, 한글자음배열 및 한글모음배열의 상기 종별문자배열은, 상기 제1드래그의 방향에 대응하도록 설정되고,The type character array of the English array, the numeric array, the Korean consonant array and the Korean vowel array is set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drag, 상기 제1드래그 중 상방 및 하방에 각각 영문배열 또는 숫자배열이 하나씩 설정된 경우,In the case where an English or numeric array is set up and down, respectively, of the first drag, 상기 제1드래그의 좌측 및 우측방향에는 각각 한글자음배열 또는 한글모음배열이 하나씩 설정되며,A Hangul consonant array or Hangul vowel array is set one by o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drag, 상기 종별문자배열은, 종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종방향으로 스크롤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The type character array is displa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crol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7 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1드래그 중 상방 및 하방에 각각 한글자음배열 또는 한글모음배열이 하나씩 설정된 경우,In the case where the Hangul consonant array or Hangul vowel array is set one above and one below the first drag, 상기 제1드래그의 좌측 및 우측방향에는 각각 영문배열 또는 숫자배열이 하나씩 설정되며,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drag, an English or numeric array is set, respectively. 상기 종별문자배열은, 횡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어, 횡방향으로 스크롤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The type character array is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croll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KR1020070068864A 2007-07-09 2007-07-0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using touch-screen KR1013848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64A KR101384859B1 (en) 2007-07-09 2007-07-0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using touch-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64A KR101384859B1 (en) 2007-07-09 2007-07-0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using touch-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66A KR20090005666A (en) 2009-01-14
KR101384859B1 true KR101384859B1 (en) 2014-04-29

Family

ID=4048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864A KR101384859B1 (en) 2007-07-09 2007-07-0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using touch-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8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74B1 (en) * 2010-06-10 2016-1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of a portable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4161A (en) * 1998-02-04 1999-08-17 Pfu Ltd Character inpu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040036462A (en) * 2002-10-26 200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pointing device and the apparatus therefor
KR20050038441A (en) * 2003-10-22 200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chra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4161A (en) * 1998-02-04 1999-08-17 Pfu Ltd Character inpu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040036462A (en) * 2002-10-26 200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pointing device and the apparatus therefor
KR20050038441A (en) * 2003-10-22 200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ch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66A (en)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1510B2 (en) Method and device having touchscreen keyboard with visual cues
KR100478020B1 (en) On-screen key input device
US201002255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EP0769175B1 (en) Multiple pen stroke character set and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US82812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EP2653955B1 (en) Method and device having touchscreen keyboard with visual cues
US20060119582A1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US20120069027A1 (en) Input device
JP2009288873A (en) Mobile terminal and character input method
JP4316687B2 (en) Screen touch input device
JP2003015808A (en) Touch-type key input apparatus
KR201100180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screen in poratable terminal
US20120249425A1 (en)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2051585B1 (en)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having a function of hand writing using multi-touch
KR20100024471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n initial phoneme, a medial vowel or a final phoneme of hangul at a time using a touch screen
KR20080095811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1000396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using touch screen
KR1012847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KR1013848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using touch-screen
JP4030575B2 (en) Touch type key input device, touch type key input method and program
EP2942704A1 (en) Handheld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US20150089432A1 (en) Quick data entry systems and methods
KR1005062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JP4614505B2 (en) Screen display type key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