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983B1 - Spacer car for power line capable of preventing being moved backward - Google Patents

Spacer car for power line capable of preventing being moved backw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983B1
KR101383983B1 KR1020120112307A KR20120112307A KR101383983B1 KR 101383983 B1 KR101383983 B1 KR 101383983B1 KR 1020120112307 A KR1020120112307 A KR 1020120112307A KR 20120112307 A KR20120112307 A KR 20120112307A KR 101383983 B1 KR101383983 B1 KR 101383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frame
power transmission
roll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인철
김형곤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2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9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9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02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two road wheels in tandem on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miting trolley or crane travel; Arrangements of buffer-sto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car for a power line which is allowed only to move forward of the power line and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backward of the power line. A spacer car for a power l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arding part on which an operator boards; a column frame extending upwards from the boarding part; a main roller which can be move along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power lin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a surface of the power line and b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column frame to be able to rotate; and a unidirectional brake allowing the boarding part and the column frame only to move toward a front side of the power line, wherein the unidirectional brake has an upper roller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power line, a lower roller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power line, and a wedge member resiliently biased forwards toward a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power line.

Description

후방으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Spacer car for power line capable of preventing being moved backward}Spacer car for power line capable of preventing being moved backward}

본 발명은 후방으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페이서카가 송전선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만을 허용하고 송전선의 후방으로 밀리는 것은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capable of preventing the rearward sliding, and more particularly, a spacer for a transmission line that allows only the spacer car to move forward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prevents the rear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from being pushed back. It's about the car.

일반적으로 스페이서카(Spacer car)는 송전선의 보수작업에 사용되며 공구류를 적재하고 작업자가 탑승하여 송전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로서, 특히, 송전선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고 댐핑효과를 제공하여 송전선을 더욱 안전한 설치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스페이서 댐퍼(Spacer Damper)의 설치작업에 주로 사용된다.In general, spacer car is used for repairing transmission lines, and it is a device that loads tools and enables workers to work while moving along transmission lines. In particular, it maintains transmission lines at regular intervals and provides a damping effect. It is mainly used for the installation work of spacer damper that can maintain the transmission line in a safer installation stat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의 좌측면도이며, 상기 도 1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8954호의 도 1과 매우 유사하다. 본 발명의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스페이서카(200)는, 망(206)으로 감싸진 프레임(205)의 전방(F) 좌측 및 후방(R)에 좌측에 안내휠(241) 및 가이드 로울러(242)가 구비된다. 물론, 프레임(205)의 전방(F) 우측 및 후방(R)에 우측에도 안내휠(241) 및 가이드 로울러(2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안내휠(241)과 가이드 로울러(242) 사이에 송전선(207)이 지나가게 된다. 1 is a left side view of a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ich is very similar to FIG. 1 of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0408954. Referring to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 car 2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guide wheel 241 on the left side to the front (F) left and rear (R) of the frame 205 wrapped with a mesh 206. And a guide roller 242 is provided. Of course, the guide wheel 241 and the guide roller 242 are also provided on the right side and the rear side R of the frame 205. The power transmission line 207 passes between the guide wheel 241 and the guide roller 242.

한편, 풋 브레이크(228)의 상단은 송전선(207)에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풋 브레이크(228)의 하단은 이송판(226)과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선(224)의 일단은 이송판(226)에 연결되고, 연결선(224)의 타단은 작동판(22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판(220)을 발로 밟으면 연결선(224)이 이송판(226)의 하단을 상방으로 당겨 올리게 되고, 풋 브레이크(228)는 이송판(226)과 함께 상방으로 상승하여, 송전선(207)에 접촉하게 되며, 풋 브레이크(228)와 송전선(207)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스페이서카(200)를 제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foot brake 228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power transmission line 207, the lower end of the foot brake 228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late 226.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e 224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late 226,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224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plate 220. Accordingly, when the operating plate 220 is stepped on, the connecting line 224 pulls up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plate 226 upward, and the foot brake 228 rises upward together with the transfer plate 226, thereby transmitting the power line 207. ), The spacer car 200 may be braked by friction between the foot brake 228 an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207.

도 1에서 전방(F)이 후방(R)보다 고도가 높은 경우, 작업자가 전방(F)을 향하여 이동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송전선(207)을 팔로 당겨서 스페이서카(200)를 전방(F)을 향하여 다소 이동시킨 후에 이송판(226)을 밟아서 스페이서카(200)가 후방(R)으로 밀리지 않도록 제동하고, 또 다시 송전선(207)의 더 앞부분을 파지한 후 팔로 당기면서 이와 동시에 이송판(226)에서 발을 떼며, 팔을 완전히 당긴 후에는 이송판(226)을 다시 밟는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해야만 했다.In FIG. 1, when the front F is higher than the rear R, in order for the worker to move toward the front F, the worker pulls the power transmission line 207 with the arm to move the spacer car 200 forward F. In FIG. After moving slightly toward the brake plate by stepping on the transfer plate 226 to prevent the spacer car 200 from being pushed to the rear R, and again holding the front part of the transmission line 207 and pulling it with the arm and at the same time the transfer plate 226 After releasing the foot and pulling the arm completely, it was necessary to repeat the process of stepping on the transfer plate 226 again.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팔로 송전선(207)을 당기는 타이밍과 이송판(226)에서 발을 떼고 다시 이송판(226)을 발로 밟는 타이밍이 제대로 맞지 않을 경우에 스페이서카(200)가 후방(R)으로 상당히 긴 거리만큼 밀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스페이서카(200)가 스페이서 댐퍼를 통과하는 구간에서는 풋 브레이크(228) 및 이송판(226)을 이용하여 스페이서카(200)를 밀리지 않도록 제동하는 것이 어려워서, 로프 등으로 스페이서카(200)를 전력선(207) 및 스페이서 댐퍼에 묶은 후에 스페이서카(200)를 이동시키는 불편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the timing of pulling the transmission line 207 with the arm and the timing of releasing the foot from the transfer plate 226 and stepping on the transfer plate 226 again, the spacer car 200 moves to the rear R. There was a problem pushed by an extremely long distance. In particular, in the section in which the spacer car 200 passes through the spacer damper, it is difficult to brake the spacer car 200 using the foot brake 228 and the transfer plate 226 so that the spacer car 200 is not pushed. After binding to the power line 207 and the spacer damper, there was a inconvenience to move the spacer car 200.

게다가, 전력선(207)의 경사가 급한 구간에서는 스페이서카(200)가 후방(R)으로 밀리기 더욱 쉬우며, 스페이서카(200)가 후방(R)으로 밀리는 현상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피로가 가중되어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거나 심지어 작업자가 탈진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slope of the power line 207 is urgent, the spacer car 200 is more likely to be pushed to the rear R, and when the phenomenon in which the spacer car 200 is pushed to the rear R is repeated, worker fatigue is caus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xcessive work time is aggravated or even when the worker is exhaust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송전선의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which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being pushed to the rear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페이서카를 제동하는 시점을 정교하게 제어할 필요가 없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which does not need to precisely control the timing of braking the spacer ca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페이서카를 제동하는 데에 있어서 작업자의 적극적인 행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which does not require an active action of an operator in braking the spacer ca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는,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부; 상기 탑승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둥 프레임; 송전선의 표면에 접촉한 채로 상기 송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기둥 프레임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 롤러; 및 상기 탑승부와 상기 기둥 프레임이 송전선의 전후방 중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만 허용하는 일방향 브레이크;를 구비하며, 상기 일방향 브레이크는, 상기 송전선의 상부와 접촉하는 상부 롤러와, 상기 송전선의 하부와 접촉하는 하부 롤러와, 상기 상부 롤러와 상기 송전선 사이의 틈을 향하여 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쐐기 부재를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arding unit for the operator to board; A pillar frame extending upward from the boarding portion; A main roller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pillar frame; And a one-way brake allowing only the boarding portion and the pillar frame to move forwards in front and rear of the transmission line, wherein the one-way brake includes an upper roller conta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a lowe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a wedge member elastically biased forward toward the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바람직하게, 상기 쐐기 부재는, 상기 송전선과 접촉하며 상기 송전선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1면과, 상기 상부 롤러와 접촉하며 상기 송전선의 길이 방향과 경사진 제2면을 갖는다.Preferably, the wedge member has a fir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roller and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는,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부; 상기 탑승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둥 프레임; 송전선의 표면에 접촉한 채로 상기 송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기둥 프레임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 롤러; 및 상기 탑승부와 상기 기둥 프레임이 송전선의 전후방 중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만 허용하는 일방향 브레이크;를 구비하며, 상기 일방향 브레이크는, 상기 송전선의 상부와 접촉하는 상부 롤러와, 상기 송전선의 하부와 접촉하는 하부 롤러와, 상기 하부 롤러와 상기 송전선 사이의 틈을 향하여 전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된 쐐기 부재를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arding unit for a worker to board; A pillar frame extending upward from the boarding portion; A main roller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pillar frame; And a one-way brake allowing only the boarding portion and the pillar frame to move forwards in front and rear of the transmission line, wherein the one-way brake includes an upper roller conta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a lowe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A lower roller and a wedge member elastically biased forward toward a gap between the lower roller an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바람직하게, 상기 쐐기 부재는, 상기 송전선과 접촉하며 상기 송전선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1면; 및 상기 하부 롤러와 접촉하며 상기 송전선의 길이 방향과 경사진 제2면;을 갖는다.Preferably, the wedge member, the fir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ransmission line a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ower roller and inclined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바람직하게, 상기 기둥 프레임은 상기 탑승부의 전방좌측, 전방우측, 후방좌측, 후방우측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일방향 브레이크는 상기 탑승부의 전방좌측 또는 전방우측으로부터 연장된 기둥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메인 롤러의 후방에 위치한다.Preferably, the pillar frame extends upward from the front left side, the front right side, the rear left side, and the rear right side, respectively, and the one-way brake is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pillar frame extending from the front left side or the front right side of the vehicle. I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roller.

바람직하게, 상기 일방향 브레이크는, 상기 상부 롤러가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롤러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롤러를 상기 송전선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프레임 힌지; 및 상기 하부 롤러가 상기 송전선의 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는 프레임 고정쇠;를 갖는다.Preferably, the one-way brake, the upper frame is installed the upper roller; A lower frame on which the lower roller is installed; A frame hinge rotatably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o selectively separate the lower roll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a frame fixing member capable of fix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n a state where the lower roller is positioned below the power transmission line.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 힌지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측면 중 상기 탑승부의 바깥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고정쇠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측면 중 상기 탑승부의 안쪽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다.Preferably, the frame hinge is formed on a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facing outwards of the boarding portion, and the frame clamp is on a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facing inward of the boarding portion. Is formed.

바람직하게, 상기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는, 상기 일방향 브레이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one-way brak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pacer car for power transmission line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송전선의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를 제공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acer car for a transmission line that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being pushed to the rear of the transmission line.

둘째, 스페이서카를 제동하는 시점을 정교하게 제어할 필요가 없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를 제공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that does not need to precisely control the timing of braking the spacer car.

셋째, 스페이서카를 제동하는 데에 있어서 작업자의 적극적인 행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를 제공할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that does not require active action of the operator in braking the spacer ca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일방향 브레이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방향 브레이크에 구비된 프레임 힌지를 중심으로 하부 프레임이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above,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rpretation.
1 is a left side view of a spacer car for a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left side view of a spacer car for a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ne-way brake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2.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wer frame is rotated around a frame hinge provided in the one-way brake of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elem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elem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일방향 브레이크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left side view of a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ne-way brake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는,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부(2)와, 상기 탑승부(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둥 프레임(4)과, 송전선(1)의 표면에 접촉한 채로 상기 송전선(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기둥 프레임(4)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 롤러(10)와, 상기 탑승부(2)와 상기 기둥 프레임(4)을 포함한 상기 송전선용 스페이서카가 송전선(1)의 전후방 중 전방(F)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만 허용하는 일방향 브레이크(20)를 구비한다.2 and 3, a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arding unit 2 for a worker to board and a pillar frame 4 extending upward from the boarding unit 2. And the main roller 10 which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and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pillar frame 4, and the boarding unit ( 2) and the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including the pillar frame 4 are provided with a one-way brake 20 that allows only the front and rear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to move forward.

탑승부(2)에는 송전선(1)의 보수 작업, 스페이서 댐퍼의 설치 및 보수 작업 등을 위하여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스페이서카를 경량화 할 수 있도록 탑승부(2)의 전후좌우측면 및 하부에는 메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공 플레이트 등이 이 메쉬를 대체할 수도 있다. In the boarding unit 2, an operator can board for repair work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installation and repair work of a spacer damper, and a worker can work safely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a mesh is formed on the front, rear, right, left sides and the bottom of the boarding unit 2 so that a perforated plate or the like may replace the mesh.

기둥 프레임(4)은 탑승부(2)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의 좌측면도이므로 도 2에는 탑승부(2)의 전방 좌측 및 탑승부(2)의 후방 좌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기둥 프레임(4)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탑승부(2)의 전방 우측 및 탑승부(2)의 후방 우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기둥 프레임(4)이 추가로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기둥 프레임(4)의 개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항상 4개의 기둥 프레임(4)이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송전선(1)의 종류에 따라 기둥 프레임(4)의 개수는 얼마든지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illar frame 4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oarding unit 2. FIG. 2 is a left side view of the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so in FIG. 2, only two pillar frames 4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left side of the boarding unit 2 and the rear left side of the boarding unit 2 are shown. Two pillar frames 4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right side of (2) and the rear right side of the boarding portion 2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spacer car for power transmission lines. However, the number of pillar frames 4 is merely exemplary, and four pillar frames 4 are not always required to be installed in a spacer car for power transmission lines, and the number of pillar frames 4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power transmission lines 1. Of course, it can be changed.

메인 롤러(10)는 기둥 프레임(4)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메인 롤러(10)의 하단이 송전선(1)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롤러(10), 기둥 프레임(4), 탑승부(2)를 포함한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의 자중에 의하여 스페이서카는 송전선(1)에 걸리게 되며, 메인 롤러(10)가 송전선(1)에 접촉된 채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스페이서카는 송전선(1)의 전방(F) 또는 후방(R)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롤러(10)의 중앙에는 송전선(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골(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서카가 송전선(1)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바람 등에 의하여 좌측(L) 또는 우측(R)으로 흔들리더라도 메인 롤러(10)가 송전선(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ain roller 1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frame 4,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roller 10 is in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Accordingly, the spacer car is caught by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by the weight of the power transmission spacer car including the main roller 10, the pillar frame 4, and the boarding unit 2, and the main roller 10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By rotating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pacer car can move forward (F) or rear (R)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Referring to FIG. 3, since a valley 14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in roller 10, the left side of the left side may be formed by the wind or the like while the spacer car is caught on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Even if it shakes to L) or the right side R, the main roller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일방향 브레이크(20)는 송전선(1)의 상부와 접촉하는 상부 롤러(22)와, 송전선(1)의 하부와 접촉하는 하부 롤러(24)와, 상기 상부 롤러(22)와 상기 송전선(1) 사이의 틈을 향하여 전방(F)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쐐기 부재(25)를 갖는다. 메인 롤러(10)와 마찬가지로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4)도 각각 골(22A, 24A)을 가진다. The one-way brake 20 includes an upper roller 22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a lower roller 24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the upper roller 22 an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It has a wedge member 25 elastically biased forwardly toward the gap therebetween. Like the main roller 10,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4 have valleys 22A and 24A, respectively.

상기 상부 롤러(22)는 상부 프레임(26)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롤러(24)는 하부 프레임(27)에 설치된다. 도 2에서는 2개의 하부 롤러(24)의 중간에 1개의 상부 롤러(22)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부 롤러(24)와 상부 롤러(22)의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제한 되지 않는다. 쐐기 부재(25)는 상부 프레임(26) 중 상부 롤러(22)의 후방에 설치되며, 쐐기 부재(25)의 후방측 단은 로드(rod)와 이 로드의 외측을 둘러싸는 스프링으로 이뤄져 있고, 쐐기 부재(25)의 전방측 단은 상기 로드에 연결된 쐐기(25C)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쐐기(25C)가 상부 롤러(22)와 송전선(1) 사이의 틈을 향하여 전방(F)으로 탄성 바이어스 될 수 있다.The upper roller 22 is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26, the lower roller 24 is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27. In FIG. 2, one upper roller 2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two lower rollers 24, but the number of the lower rollers 24 and the upper rollers 22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2. . The wedge member 25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upper roller 22 of the upper frame 26, the rear end of the wedge member 25 is composed of a rod and a spring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od, The front end of the wedge member 25 consists of the wedge 25C connected to the said rod. Therefore, the wedge 25C can be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front F toward the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22 an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쐐기 부재(25)의 쐐기(25C)는 제1면(25A)과 제2면(25B)을 가지며, 여기서 제1면(25A)은 송전선(1)과 접촉하며 송전선(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면이고, 제2면(25B)은 상부 롤러(22)와 접촉하며 송전선(1)의 길이 방향과 경사진 면이다. The wedge 25C of the wedge member 25 has a first surface 25A and a second surface 25B, where the first surface 25A is in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It is a parallel surface, and the 2nd surface 25B is the surface which contact | connects the upper roller 22, and is incline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As shown in FIG.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쐐기 부재(25)는 상부 프레임(26)이 아닌 하부 프레임(27)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프레임(27) 중 하부 롤러(24)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쐐기(25C)는 하부 롤러(24)와 송전선(1) 사이의 틈을 향하여 전방(F)으로 탄성 바이어스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쐐기 부재(25)의 쐐기(25C)는 제1면(25A)과 제2면(25B)을 가지고, 제1면(25A)은 송전선(1)과 접촉하며 송전선(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나, 제2면(25B)은 도 2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하부 롤러(24)와 접촉하며 송전선(1)의 길이 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unlike shown in Figure 2, the wedge member 25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27, not the upper frame 26, more specifically, of the lower roller 24 of the lower frame 27 It can be installed at the rear. In this case, the wedge 25C may be elastically biased forward F toward the gap between the lower roller 24 an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As shown in FIG. 2, the wedge 25C of the wedge member 25 has a first surface 25A and a second surface 25B, and the first surface 25A is in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Although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the second surface 25B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roller 24 and is incline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as shown in FIG. 2.

다시 도 2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It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탑승부(2)에 탑승한 작업자가 일방향 브레이크(20)를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쉽게 설치하거나 탈거할 수 있도록, 일방향 브레이크(20)는 탑승부(2)의 전방좌측 또는 전방우측으로부터 연장된 기둥 프레임(4)의 상단에 연결된 메인 롤러(1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ne-way brake 20 is a pillar extending from the front left or front right side of the boarding portion 2 so that an operator who rides on the boarding portion 2 can easily install or remove the one-way brake 20 on the power line spacer car. It is preferably located behind the main roller 10 connected to the top of the frame 4.

작업자가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를 전방(F)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부 롤러(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도 2 참조)하게 되고 이 때 쐐기(25C)는 단순히 상부 롤러(2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를 전방(F)으로 이동시키는 데에 있어서 쐐기 부재(25)는 아무런 방해를 하지 않는다. 반대로, 작업자가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를 후방(R)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부 롤러(2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도 2 참조)하게 되고 쐐기 부재(25)는 상부 롤러(22)에 탄성 바이어스 된 상태이므로, 상부 롤러(22)가 쐐기(25C)의 제2면(25B)을 타고 올라가기 시작하게 된다. 쐐기 부재(25)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는 쐐기(25C)가 상부 롤러(22)와 송전선(1) 사이로 파고 들게 된다. When the worker moves the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toward the front (F), the upper roller 2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see Fig. 2) and the wedge 25C is simp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roller 22 Maintain state. Therefore, the wedge member 25 does not interfere at all in moving the spacer car for power transmission lines F forward. On the contrary, when the operator moves the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toward the rear R, the upper roller 22 is rotated clockwise (see FIG. 2) and the wedge member 25 is elastically biased to the upper roller 22. Since it is a state, the upper roller 22 will start to ride up the 2nd surface 25B of the wedge 25C. From the standpoint of the wedge member 25, the wedge 25C penetrates between the upper roller 22 an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4)는 송전선(1)과 타이트하게 접촉하고 있으므로 쐐기(25C)가 상부 롤러(22)와 송전선(1) 사이에 파고 들면, 상부 롤러(22)와 쐐기(25C) 사이, 그리고 송전선(1)과 쐐기(25C)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되어 상부 롤러(22)는 더 이상 시계 방향(도 2 참조)으로 회전할 수 없다. 또한, 상부 롤러(22)는 일방향 브레이크(20)에 상대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일방향 브레이크(20)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상대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부 롤러(22)의 시계 방향 회전이 방지된다는 것은 결국 송전선용 스페이서카가 후방(R)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As can be seen in FIG. 3, since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4 are in tight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when the wedge 25C is dug between the upper roller 22 an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 Friction occurs between the upper roller 22 and the wedge 25C and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and the wedge 25C so that the upper roller 22 can no longer rotate clockwise (see FIG. 2). . In addition, sinc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upper roller 22 is fixed to the one-way brake 20,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ne-way brake 20 is fixed to the spacer car for power transmission lines,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upper roller 22 is prevented. In the end, it means that the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rear side (R).

따라서,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는 전방(F)로는 아무런 문제없이 이동 가능하고, 일방향 브레이크(20)에 의하여 송전선용 스페이서카가 후방(R)으로 밀리게 되는 현상은 자동으로 방지된다. 그러므로, 종래기술과는 달리 스페이서카를 제동하는 시점을 정교하게 제어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can move to the front side F without any problem, and the phenomenon that the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is pushed to the rear side R by the one-way brake 20 is automatically prevented. Therefore, unlike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ecisely control the timing of braking the spacer car.

한편,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송전선(1)이 있는 경우, 스페이서 댐퍼는 이 두 개의 송전선(1) 사이를 이어준다. 그리고, 기둥 프레임(4)은 좌측 메인 롤러(10)의 좌측면과 우측 메인 롤러(10)의 우측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롤러(10)는 송전선(1) 중 스페이서 댐퍼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뿐만 아니라 스페이서 댐퍼가 설치된 구간도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다. 그러나,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송전선(1)은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4) 사이에 타이트 하게 맞물려 있기 때문에 도 3의 상태에서는 스페이서 댐퍼가 하부 프레임(27)의 우측면에 걸리게 된다. 결국, 도 3의 상태에서는 일방향 브레이크(20)가 스페이서 댐퍼를 통과하여 지나칠 수 없다. 따라서, 송전선용 스페이서카가 송전선(1) 중 스페이서 댐퍼가 설치된 구간을 지나치기 위해서는 하부 프레임(27) 및 하부 롤러(24)를 송전선(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탈시킬 필요가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are two transmission lines 1 parallel to each other, the spacer damper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transmission lines (1). In addition, since the pillar frame 4 is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the left main roller 10 and the right side of the right main roller 10, the main roller 10 has only a section in which the spacer damper is not installed in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In addition, the section in which the spacer damper is installed can pass freely. However,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3, since the transmission line 1 is tightly engaged between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4, in the state of FIG. 3, the spacer damper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frame 27. I get caught. As a result, in the state of FIG. 3, the one-way brake 20 cannot pass through the spacer damper. Therefore, in order for the spacer car for the transmission line to pass the section in which the spacer damper is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line 1, it is necessary to selectively detach the lower frame 27 and the lower roller 24 from the transmission line 1, and to solve such a problem.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도 3의 일방향 브레이크에 구비된 프레임 힌지를 중심으로 하부 프레임이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wer frame is rotated around a frame hinge provided in the one-way brake of FIG. 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방향 브레이크(20)는 프레임 힌지(28)와, 프레임 고정쇠(29)를 갖는다. 여기서, 프레임 힌지(28)는 하부 롤러(24)를 송전선(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부 프레임(26)과 하부 프레임(27)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이며, 프레임 고정쇠(29)는 하부 롤러(24)가 송전선(1)의 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26)과 하부 프레임(27)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3 and 4, the one-way brake 20 has a frame hinge 28 and a frame clamp 29. Here, the frame hinge 28 is a configura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upper frame 26 and the lower frame 27 in order to selectively detach the lower roller 24 from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the frame clamp 29 It is a structure for fixing the upper frame 26 and the lower frame 27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roller 24 is located below the transmission line 1.

한편, 프레임 힌지(28)는 상부 프레임(26)과 하부 프레임(27)의 양측면 중 탑승부(2)의 바깥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되고, 프레임 고정쇠(29)는 상부 프레임(26)과 하부 프레임(27)의 양측면 중 탑승부(2)의 안쪽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프레임 힌지(28)와 프레임 고정쇠(29)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탑승부(2)의 좌측에 일방향 브레이크(20)가 형성된 상태(즉, 도 3 및 도 4의 상태)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프레임 힌지(28)는 상부 프레임(26)의 좌측 하단과 하부 프레임(27)의 좌측 상단에 형성되고, 프레임 고정쇠(29)는 상부 프레임(26)의 우측 하단과 하부 프레임(27)의 우측 상단에 형성된다. 만약, 탑승부(2)의 우측에 일방향 브레이크(20)가 형성된다면, 프레임 힌지(28)는 상부 프레임(26)의 우측 하단과 하부 프레임(27)의 우측 상단에 형성되고, 프레임 고정쇠(29)는 상부 프레임(26)의 좌측 하단과 하부 프레임(27)의 좌측 상단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hinge 28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frame 26 and the lower frame 27 toward the outside of the boarding portion 2, the frame clamp 29 is the upper frame 26 and the lower frame It is formed on the side facing inward of the boarding part 2 of both side surfaces of (27). For exampl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rame hinge 28 and the frame clamp (29) is as follows. That is,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one-way brake 20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boarding unit 2 (that is, the state of FIGS. 3 and 4), the frame hinge 28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side of the upper frame 26. It is formed on the upper left of the lower frame 27, the frame fixing member 29 is formed on the lower right of the upper frame 26 and the upper right of the lower frame 27. If the one-way brake 2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arding unit 2, the frame hinge 28 is form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upper frame 26 and the upper right side of the lower frame 27, and the frame clamp 29 ) Is formed at the lower left of the upper frame 26 and the upper left of the lower frame 27.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스페이서카를 작업자가 송전선(1)을 따라 이동시키는 중에 스페이서 댐퍼 구간을 만나게 되면, 프레임 고정쇠(29)를 풀게 되고, 하부 프레임(27) 및 이에 고정된 하부 롤러(24)는 자중에 의하여 프레임 힌지(28)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도 4의 상태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26)의 우측 하단과 하부 프레임(27)의 우측 상단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서 댐퍼가 이 공간을 통해 지나갈 수 있다. When the operator encounters the spacer damper section while moving the spacer car shown in FIGS. 1 to 4 along the transmission line 1, the frame clamp 29 is released, and the lower frame 27 and the lower roller 24 fixed thereto are provided. ) Rotates on the basis of the frame hinge 28 by its own weight, thereby bringing about the state of FIG. 4. Referring to FIG. 4, since a sufficient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upper frame 26 and the upper right side of the lower frame 27, a spacer damper may pass through the space.

일방향 브레이크(20)가 스페이서 댐퍼 구간을 모두 통과한 후에는 프레임 힌지(28)를 기준으로 하부 프레임(27)을 회전시켜 도 3의 상태로 만들고, 프레임 고정쇠(29)를 걸게되면,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는 계속적으로 송전선(1) 상에서 전방(F)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After the one-way brake 20 passes through the spacer damper section, the lower frame 27 is rotated based on the frame hinge 28 to make the state of FIG. 3, and when the frame clamp 29 is engaged, the spacer for the transmission line The car can continuously move forward F on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또한, 연결 부재(30)는 일단이 상부 프레임(2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 부재(30)의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을 회동시켜 연결 부재(30)를 메인 롤러(10)의 회전축에 걸어 일방향 브레이크(20)를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방향 브레이크(20)가 송전선(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고,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면 연결 부재(30)의 형상과, 연결 부재(30)가 연결되는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방향 브레이크(20)의 타단은 메인 롤러(10)의 회전축이 아닌 기둥 프레임(4)에 고정될 수도 있고 탑승부(2)에 고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3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26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open, so that the other end is rotated about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30 to connect the connection member. The one-way brake 20 can be fixed to the spacer car for power transmission lines by hooking the 30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main roller 10. If the one-way brake 20 is rotated about the power transmission line 1 to prevent overturning and the position can be fixed, the shape of the connection member 30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connection member 30 is connected may be changed. Can be. For example, the other end of the one-way brake 20 may be fixed to the pillar frame 4 and not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main roller 10 or to the boarding unit 2.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thereof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송전선 2 : 탑승부
4 : 기둥 프레임 10 : 메인 롤러
20 : 일방향 브레이크 22 : 상부 롤러
24 : 하부 롤러 25 : 쐐기부재
25A : 제1면 25B : 제2면
26 : 상부 프레임 27 : 하부 프레임
28 : 프레임 힌지 29 : 프레임 고정쇠
30 : 연결 부재
1: transmission line 2: boarding unit
4: pillar frame 10: main roller
20: one-way brake 22: upper roller
24: lower roller 25: wedge member
25A: First page 25B: Second page
26: upper frame 27: lower frame
28: frame hinge 29: frame clamp
30:

Claims (8)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부;
상기 탑승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둥 프레임;
송전선의 표면에 접촉한 채로 상기 송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기둥 프레임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 롤러; 및
상기 탑승부와 상기 기둥 프레임이 상기 송전선의 전후방 중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만 허용하는 일방향 브레이크;를 구비하며,
상기 일방향 브레이크는,
상기 송전선의 상부와 접촉하는 상부 롤러와,
상기 송전선의 하부와 접촉하는 하부 롤러와,
상기 상부 롤러와 상기 송전선 사이의 틈을 향하여 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된 쐐기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Boarding unit for the operator to board;
A pillar frame extending upward from the boarding portion;
A main roller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pillar frame; And
And a one-way brake allowing only the boarding portion and the pillar fram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front and rear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The one-way brake,
An upper roller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 lower roller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a wedge member elastically biased forward toward the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부재는, 상기 송전선과 접촉하며 상기 송전선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1면과, 상기 상부 롤러와 접촉하며 상기 송전선의 길이 방향과 경사진 제2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The method of claim 1,
The wedge member has a fir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roller and a second surfac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부;
상기 탑승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둥 프레임;
송전선의 표면에 접촉한 채로 상기 송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기둥 프레임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 롤러; 및
상기 탑승부와 상기 기둥 프레임이 상기 송전선의 전후방 중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만 허용하는 일방향 브레이크;를 구비하며,
상기 일방향 브레이크는,
상기 송전선의 상부와 접촉하는 상부 롤러와,
상기 송전선의 하부와 접촉하는 하부 롤러와,
상기 하부 롤러와 상기 송전선 사이의 틈을 향하여 전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된 쐐기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Boarding unit for the operator to board;
A pillar frame extending upward from the boarding portion;
A main roller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pillar frame; And
And a one-way brake allowing only the boarding portion and the pillar fram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front and rear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The one-way brake,
An upper roller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 lower roller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a wedge member elastically biased forward toward a gap between the lower roller an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부재는,
상기 송전선과 접촉하며 상기 송전선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1면; 및
상기 하부 롤러와 접촉하며 상기 송전선의 길이 방향과 경사진 제2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The method of claim 3,
The wedge member
A fir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parallel to a length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And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ower roller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a length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프레임은 상기 탑승부의 전방좌측, 전방우측, 후방좌측, 후방우측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일방향 브레이크는 상기 탑승부의 전방좌측 또는 전방우측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기둥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된 상기 메인 롤러의 후방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pillar frame extends upward from the front left side, front right side, rear left side, and rear right side of the boarding unit, respectively.
The one-way brake is a spacer car for a transmiss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hind the main roller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frame extending from the front left or front right side of the vehicl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브레이크는,
상기 상부 롤러가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롤러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롤러를 상기 송전선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프레임 힌지; 및
상기 하부 롤러가 상기 송전선의 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는 프레임 고정쇠;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one-way brake,
An upper frame on which the upper roller is installed;
A lower frame on which the lower roller is installed;
A frame hinge rotatably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o selectively separate the lower roll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And a frame fixing clamp configured to fix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n a state where the lower roller is positioned below the power transmission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힌지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측면 중 상기 탑승부의 바깥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고정쇠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측면 중 상기 탑승부의 안쪽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hinge is formed on the side facing outward of the vehicle, of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he frame clamp has a spacer wire for a transmiss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ide facing inward of the boarding portion of the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브레이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ransmission line spacer ca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memb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one-way brake.
KR1020120112307A 2012-10-10 2012-10-10 Spacer car for power line capable of preventing being moved backward KR1013839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307A KR101383983B1 (en) 2012-10-10 2012-10-10 Spacer car for power line capable of preventing being moved backw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307A KR101383983B1 (en) 2012-10-10 2012-10-10 Spacer car for power line capable of preventing being moved backw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983B1 true KR101383983B1 (en) 2014-04-10

Family

ID=5065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307A KR101383983B1 (en) 2012-10-10 2012-10-10 Spacer car for power line capable of preventing being moved backw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98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972B1 (en) 2022-04-14 2022-08-26 이경재 Spacer car with improved safety features
KR200497177Y1 (en) * 2022-12-28 2023-08-1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Device for speed control of spacer c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4130A (en) * 2003-11-07 2005-05-12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stopping unloader automatically in emergency
KR200408954Y1 (en) 2005-11-24 2006-02-15 복기용 Spacer car for electric cable
KR100669231B1 (en) 2006-06-05 2007-01-16 지에스네오텍 주식회사 Electric wire guide apparatus for exchanging an electric wire
KR101175787B1 (en) 2009-11-30 2012-08-21 현대제철 주식회사 Braking apparatus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4130A (en) * 2003-11-07 2005-05-12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stopping unloader automatically in emergency
KR200408954Y1 (en) 2005-11-24 2006-02-15 복기용 Spacer car for electric cable
KR100669231B1 (en) 2006-06-05 2007-01-16 지에스네오텍 주식회사 Electric wire guide apparatus for exchanging an electric wire
KR101175787B1 (en) 2009-11-30 2012-08-21 현대제철 주식회사 Braking apparatus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972B1 (en) 2022-04-14 2022-08-26 이경재 Spacer car with improved safety features
KR200497177Y1 (en) * 2022-12-28 2023-08-1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Device for speed control of spacer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983B1 (en) Spacer car for power line capable of preventing being moved backward
PH12015502171A1 (en) Brake device for two-wheeled motor vehicle
RU2013150110A (en) TRANSPORTATION TROLLEY FOR SURFACE TRANSPORTATION FOR STORING THE PATIENT AND / OR COLUMN OF THE OPERATING TABLE
CN203328125U (en) Draw-bar box and wheel set structures thereof
CN103754064B (en) Wheel group structure
CN203699769U (en) Main rope pressing wheel component structure for endless rope continuous tractor
CN203757190U (en) Tube bundle support and vehicular tube bundle positioning structure
CN205771731U (en) A kind of driving drum is scrubbed and is used brush roll drive mechanism
CN103448700A (en) Dual-pedal operating mechanism of auxiliary driving cab of instructional car
CN202952961U (en) Bulldozer braking maneuver device
JP2016132275A (en) Bicycle stand
CN205533612U (en) Bonding operating block and bonding frock
KR200469062Y1 (en) Autobicycle carrier
CN206312602U (en) A kind of isolated braid over braid
CN204342194U (en) A kind of drum hydraulic tractor
CN204400016U (en) The automatic covering mechanism of top board chain trench
CN202783615U (en) Draw bar type brake device
CN203638035U (en) Anti-drop bicycle variable speed gear
CN204586712U (en) A kind of fire hose rack
CN204623733U (en) A kind of adjustable handle-bar
CN204024167U (en) Fall arrest rack device for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CN102022017A (en) Occluding part for translating parking plate and occluder with same
CN203766602U (en) Vehicle safety tension device allowing position to be adjustable
JP4993377B2 (en) Parking equipment
KR20150015150A (en) Door h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