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558B1 - Connection member for establishing pillar - Google Patents

Connection member for establishing pill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558B1
KR101383558B1 KR1020130145344A KR20130145344A KR101383558B1 KR 101383558 B1 KR101383558 B1 KR 101383558B1 KR 1020130145344 A KR1020130145344 A KR 1020130145344A KR 20130145344 A KR20130145344 A KR 20130145344A KR 101383558 B1 KR101383558 B1 KR 10138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support
support plate
control lev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용균
이인재
윤정현
Original Assignee
윤정현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현,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윤정현
Priority to KR102013014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5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5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Provided is a connection member for constructing pillars which is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radial direction in such a manner that pillars of various sizes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and which is plac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a concrete base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end can be connected with the pillar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assembling process and connecting and supporting pillars of various sizes using just one connection member. The connection member for constructing pillars includes: a support part to which a pillar is inserted and fixed; a control part for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support par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illar;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expanded or contracted support part, wherein lower portions of the control part, the fixing part and the expanded or contracted support part are fixed inside the cured concrete bas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art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crete base in order to insert and fix the pillar.

Description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CONNECTION MEMBER FOR ESTABLISHING PILLAR}CONNECTION MEMBER FOR ESTABLISHING PILLAR}

본 발명은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내 표지판이나 이정표의 기둥을 콘크리트 기초에 연결하는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member for pillar install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ng member for pillar installation connecting the pillar of the guide sign or milestone to the concrete foundation.

야외 공원이나 등산로 등에는 이용객들의 편의를 위해서 안내 표지판이나 이정표 등이 설치되고 있다.Information signs and milestones are installed in outdoor parks and hiking trails for the convenience of visitors.

전술한 안내 표지판이나 이정표들은 안정적인 지지기반을 마련해 설치된다. 즉 종래에는 안내 표지판 및 이정표의 기둥을 콘크리트 기초에 직접 삽입하여 설치하였으나, 최근에는 주로 앵커볼트가 노출되도록 콘크리트 기초를 양생한 후에 앵커볼트에 안내 표지판 및 이정표의 기둥을 결합하여 설치하고 있다. The above guide signs and milestones are installed with a stable support base. That is, in the past, the guide signs and milestones are directly inserted into the concrete foundation, but recently, the anchor bolts are mainly exposed to curing the concrete foundation, and then the anchor bolts are installed by combining the guide signs and the milestone pillars.

한편, 최근에는 친환경 분위기가 일반화되면서 안내 표지만 및 이정표의 기둥들도 철재에서 목재(천연목 또는 합성목재)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Meanwhile, in recent years, as environmentally friendly atmospheres have become commonplace, only guide signs and milestone columns have been replaced with steel (natural or synthetic wood).

그런데, 앵커볼트가 돌출된 콘크리트 기초에 기둥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기둥의 하부에 플랜지가 마련되어야 하는데, 목재로 이루어진 기둥에는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랜지에 형성된 홈부와 앵커볼트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in order to couple the pillar to the concrete base on which the anchor bolt protrudes, a flange should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pillar, but the pillar made of wood has a problem in that the flange cannot b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re was another problem that the position of the groove portion and the anchor bolt formed in the flange do not match.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모색되어 왔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153984 호(등록일자: 2012년 05월 31일, 명칭: 지주용 이동식 기초구조 및 이들 이용한 기초구조의 설치방법)를 들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methods have been sought,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53984 (Registration Date: May 31, 2012, Name: Shoring movable base structure and installation of such base structure) Method).

전술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153984 호"는 지주(기둥)와, 지주의 하단을 고정하는 기초석과, 지주와 기초석을 연결하는 연결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안내 표지판이나 이정표와 같은 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구가 상측을 돌출되게 기초석을 미리 타설하고, 체결구에 연결체를 결합시킨 후, 연결체에 지주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above-mentioned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153984" is composed of a pillar (column), a foundation stone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pillar, and a connecting body connecting the pillar and the foundation stone, and facilities such as guide signs or milestones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fastener protrudes the upper side so that the foundation stone is placed in advance, and after coupling the connecting body to the fastener,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ix the support to the connecting body.

그러나 전술한 대한민국등록특허는 기초석과 지주를 연결하기 위해서 체결구 및 연결체가 구비되어 하기 때문에 조립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연결체로 인해 시공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Republic of Korea Patent has a problem that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the fastener and the connecting body is provided to connect the base stone and the support, as well as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due to the connecting body.

또한, 연결체에 지주를 고정하기 위해서 지주의 단면을 변형시켜야 하기 때문에 지주의 강도가 약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the strength of the support is weakened because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must be deformed in order to fix the support to the connector.

게다가, 지주 마구리면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연결체를 구비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불합리하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was an unreasonable and uneconomical problem because it has to be provided with various sizes of connection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olding surface.

본 발명은 다양한 굵기의 기둥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확장 및 수축되고, 상단이 기둥과 연결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기초의 상면으로 노출되게 타설되는 연결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부품수와 조립공정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연결부재를 이용해 다양한 굵기의 기둥을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member that is radially expanded and contracted so that pillars of various thicknesses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and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so that the top can be connected to the pillar,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the assembly process. As well as to provide a connection member for installing the pillar to be able to support by connecting the pillars of various thicknesses using a single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초에 기둥이 설치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기둥이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부; 기둥의 굵기에 대응하도록 지지부를 확장 또는 수축시키는 조절부; 및 확장 또는 수축된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조절부, 및 고정부, 그리고 확장 또는 수축 고정된 지지부의 하부 측은 양생되는 콘크리트 기초 내부에 고정되며, 지지부의 상부 측은 기둥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기초의 상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a pillar to be installed on a concrete foundation, the connection memb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pillar is inserted and fixed; Adjusting unit for expanding or contracting the support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pillar;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expanded or contracted support part, wherein the adjusting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fixed part and the extended or contracted support part are fixed inside the cured concrete foundat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is fixed by inserting a column. Can be exposed to the top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구체적으로 지지부는, 9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면서 4개가 한 조를 이루는 수직한 지지플레이트;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는 기둥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기초의 상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upport portion, including a vertical support plate forming a set of four while being spac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the upper portion of each support plate may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so that the pillar is fitted .

더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기초의 상면으로 노출된 각각의 지지플레이트에는 지지플레이트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지지플레이트들의 내측으로 삽입된 기둥에는 어느 하나의 체결공과 마주하는 또 다른 체결공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기둥은 어느 하나의 체결공과, 연결공 및 또 다른 체결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체결볼트에 의해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됨과 아울러 또 다른 체결공을 관통한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캡 너트에 의해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each support plat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is formed with one or more fastening holes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another fastening facing one of the fastening holes in the column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s A connection hol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all, and the column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by a fastening bolt tha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one of the fastening holes and the connection hole and another fastening hole,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penetrating another fastening hole. It can be fixed to the support plate by the cap nut.

구체적으로 지지플레이트는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 또는 단면이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 또는 수직한 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plate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is bent at a right angle,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is convex, or a vertical plate shape.

구체적으로 조절부는, 지지플레이트가 확장 또는 수축되도록 조작하는 조절레버; 및 조절레버와 각각의 지지플레이트들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 바;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lever for manipulating the support plate to expand or contract; And a plurality of link bars connecting the control lever and the respective support plates.

더 구체적으로 조절레버는, 수직한 기둥 형상을 가지며 지지플레이트들의 하부 내측 중심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조절레버의 상단에는 각각의 지지플레이트에 대응하는 링크 바들의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링크 바의 타단은 마주하는 지지플레이트의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lever has a vertical columnar shape and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wer inner center of the support plates, and one end of the link bars corresponding to each support plate is pivotal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control lever. The other end of the link bar may extend to the inner side of the opposing support plate to be pivotally connected.

구체적으로 고정부는, 확장 또는 수축된 어느 하나의 지지플레이트 및 조절레버 사이에 걸쳐지는 수평한 봉 형상의 고정 암;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horizontal rod-shaped fixing arm that extends between any one of the supporting plate and the control lever extended or contracted.

더 구체적으로 고정 암이 걸쳐지는 어느 하나의 지지플레이트에는 고정 암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조절레버의 외측면 상에는 관통공을 관통한 고정 암의 연장단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조절공이 조절레버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ny one of the support plates through which the fixing arm extends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arm penetrates, and a plurality of adjusting holes through which the extension end of the fixing arm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is selectively fit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It may be formed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는, 기둥이 끼워져 연결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끼워지는 기둥의 굵기에 맞추어 지지부를 확장 또는 수축시키는 조절부, 및 확장 또는 수축된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부품수와 조립공정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연결부재를 이용해 다양한 굵기의 기둥을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illar mounting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pillar is inserted and connected, an adjusting portion for expanding or contracting the support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pillar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and fixing the expanded or contracted support portion. By including the fixing portion, as well as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the assembly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upported by connecting the pillars of various thickness using a single connec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는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가혹한 외부 환경에 견딜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luminum and aluminum alloy, it is not only advantageous to withstand harsh external environments, but also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y to carry since it can reduce weigh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에 기둥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nnection member for pillar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3A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nded state of the connection member illustrated in FIG. 2;
3B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tracted state of the connection member illustrated in FIG. 2, and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llar is coupled to the pillar installation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100)는 안내 표지판이나 이정표의 기둥(S)이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에 끼워지는 기둥(S)의 굵기에 맞추어 지지부(110)를 확장 또는 수축시키는 조절부(120), 및 확장 또는 수축된 지지부(1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1 to 4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member for installing the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em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110 and the support (110) to which the pillars (S) of guide signs or milestones are fitted and fixed. It includes a control unit 120 for expanding or contracting the support 110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pillar (S) fitted to the 110, and a fixing portion 130 for fixing the expanded or contracted support (110).

여기서 지지부(110), 조절부(120) 및 고정부(130)는 가혹한 외부 환경에 견딜 수 있으면서 무게를 줄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Here, the support 110, the adjusting unit 120 and the fixing unit 130 can be made of aluminum and aluminum alloy to withstand the harsh external environment while reducing the weight and easy to transport.

먼저, 지지부(110)는 4개가 한 조를 이루면서 상단에 인접한 내측으로 기둥(S)이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112)를 포함한다. First, the support unit 110 includes a support plate 112 in which four pillars S are fitted into and fixed to an inner side adjacent to an upper end thereof.

지지플레이트(112)들은 평면에서 봤을 때 가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한 가상의 원호 상에 9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면서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The support plates 112 extend vertically from the top to the lower side while being spac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on the imaginary arc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center point in plan view.

이때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12)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면이 소정의 곡률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 또는 수직한 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진다.In this case, each of the support plates 112 is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is bent at a right angle as shown in FIGS. 1 to 4, or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is convexly curv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or a vertical plate shape is not shown. It has either shape.

예를 들어, 수직한 기둥(S)을 수평으로 절단하였을 때 단면이 원형인 기둥(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여 지지할 때에는 단면이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된다. 그리고 수직한 기둥(S)을 수평으로 절단하였을 때 단면이 정사각인 기둥(S)을 연결하여 지지할 때에는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112), 또는 수직한 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되는데, 이때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112)는 정사각 기둥(S)의 마구리면과 연결되는 모서리부분에 각각 밀착되며, 수직한 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는 기둥(S)의 마구리면과 연결되는 측면들에 각각 밀착된다. For example, when a vertical column S is cut horizontally, a support plate (not shown) having a convexly curved shape is used to connect and support a column (not shown)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do. When the vertical pillars S are horizontally cut and the vertical pillars 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pillars S, the supporting plate 112 has a shape in which a cross section is bent at a right angle, or a vertical plate-shaped support plate. (Not shown) is used, wherein the support plate 112 having a cross-section bent at right angles is in close contact with corner portions connected to the corner surface of the square pillar S, and the support plate has a vertical plate shape. (Not shown)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f the side surfaces connected with the ridge surface of the pillar (S).

한편,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12)의 상단에 인접하게는 지지플레이트(112)들의 내측으로 삽입된 기둥(S)을 연결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플레이트(112)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체결공(114)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alo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support plate 112 to be fixed while connecting the column (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plates 112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each support plate 112 The fastening hole 114 is formed.

즉 지지플레이트(112)들의 내측으로 삽입된 기둥(S)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체결공(114)과 기둥(S)에 형성된 연결공(J) 및 어느 하나의 체결공(114)과 마주하는 또 다른 체결공(11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체결볼트(116)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12)에 연결되고, 체결볼트(116)에 의해 연결된 기둥(S)은 또 다른 체결공(114)을 관통한 체결볼트(116)에 체결되는 캡 너트(118)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12)에 고정된다. That is, the pillar S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s 11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J formed in any one of the fastening holes 114 and the pillars S and one of the fastening holes (as shown in FIG. 4). 114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112 by a fastening bolt 116 which sequentially passes through another fastening hole 114 facing the fastening hole, and the column S connected by the fastening bolt 116 is another fastening hole. It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112 by a cap nut 118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116 penetrating 114.

이러한 지지부(110)는 조절부(120) 및 고정부(130)에 의해 기둥(S)의 굵기에 대응하도록 확장 또는 수축된 상태 하에서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12)에 형성된 체결공(112)이 콘크리트 기초(B)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 기초(B)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 기둥(S) 설치를 위해 터파기 한 부분의 바닥면 상으로 지지부(110)의 하부를 삽입시킨 상태 하에서 터파기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지지부(110)의 하부 측, 그리고 조절부(120) 및 고정부(130)는 콘크리트 기초(B)에 내부에 고정된다. The support 110 is a fastening hole 112 formed in each of the support plates 112 under the expanded or contracted state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pillar (S) by the adjusting unit 120 and the fixing unit 130 is concrete It is fixed to the concrete foundation B so as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B. In other words, in the state of inse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10 onto the bottom surface of one portion of the trench for installing the pillar (S)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trench portion to cure,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10, and the adjusting portion 120 and the fixing portion 1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ncrete foundation (B).

조절부(120)는 지지플레이트(112)가 확장 또는 수축되도록 조작하는 조절레버(122), 및 조절레버(122)와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12)들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 바(124;link bar)를 포함한다. The adjusting unit 120 includes a control lever 122 for manipulating the support plate 112 to expand or contract, and a plurality of link bars 124 connecting the control lever 122 to the respective support plates 112. ).

조절레버(122)는 수직한 기둥 형상을 가지면서 지지플레이트(112)들의 하부 내측 중심, 다시 말해 평면에서 봤을 때 서로 마주하는 지지플레이트(112)를 잇는 가상의 선분들이 교차되는 부분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The control lever 122 has a vertical columnar shape and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wer inner center of the support plates 112, that is, at the intersection of the imaginary line segments connecting the support plates 112 that face each other in plan view. do.

이러한 조절레버(122)의 상단에는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12)에 대응하는 링크 바(124)들의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각각의 링크 바(124)의 타단은 마주하는 지지플레이트(112)의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One end of the link bars 124 corresponding to each support plate 112 is pivotal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control lever 122, and the other end of each link bar 124 is opposite to the support plate 112. It extends to the inner side of the pivotably connected.

즉 조절레버(122)의 상단에 인접한 외측면 상에는 90도 간격으로 제 1 힌지브라켓(H1)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 1 힌지브라켓(H1)에는 각각의 링크 바(124)의 일단이 제 1 힌지핀(P1)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12)의 내측면 상에는 각각 제 2 힌지브라켓(H2)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 2 힌지브라켓(H2)에는 각각의 링크 바(124)의 타단이 제 2 힌지핀(P2)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That is, the first hinge bracket H1 is formed at an interval of 90 degrees on the outer surface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control lever 122, and one end of each link bar 124 is first at each first hinge bracket H1. It is rotatably connected by the hinge pin P1. The second hinge bracket H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each support plate 112, and the other end of each link bar 124 is formed on the second hinge pin P2 of the second hinge pin P2. Is rotatably connected.

여기서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조절레버(122)가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조절레버(122)를 원기둥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2 to 4, although the control lever 122 is shown in a cylindrical shape, it will be appreciated by anyone that the control lever 122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한편, 고정부(130)는 확장 또는 수축된 지지플레이트(112)를 고정시키는 고정 암(132)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fixing part 130 includes a fixing arm 132 for fixing the extended or contracted support plate 112.

고정 암(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연장된 봉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고정 암(132)은 확장 또는 수축된 어느 하나의 지지플레이트(112)와 조절레버(122) 사이에 걸쳐진다. 다시 말해 고정 암(132)은 어느 하나의 지지플레이트(112)를 관통하여 조절레버(122)에 끼워지는데, 이를 위해서 어느 하나의 지지플레이트(112)에는 고정 암(132)이 관통하는 관통공(134)이 형성되며, 조절레버(122)의 외측면 상에는 관통공(134)을 관통한 고정 암(132)의 연장단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조절공(136)이 형성된다. 이때 조절공(136)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조절레버(122)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The fixed arm 132 has a rod shape extending horizontally as shown. This fixing arm 132 is spanned between any one of the support plate 112 and the control lever 122 is extended or contracted. In other words, the fixed arm 132 penetrates through one of the support plates 112 and is fitted to the control lever 122.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arm 112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ed arm 132 penetrates. 134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adjustment holes 136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122, the extension end of the fixing arm 132 through the through hole 134 is selectively fitted. At this time, the adjustment hole 136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rol lever 122 while being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즉, 고정 암(132)의 관통공(134)을 관통하여 조절레버(122)의 최상단에 형성된 조절공(136)에 끼워지면 지지부(110)는 최대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반대로 고정 암(132)의 관통공(134)을 관통하여 조절레버(122)의 최하단에 형성된 조절공(136)에 끼워지는 지지부(110)는 최대로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insertion hole 134 of the fixing arm 132 is inserted into the adjusting hole 136 formed at the top of the control lever 122, the support 110 maintains the maximum contracted state, and conversely, the fixing arm The support 110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hole 13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lever 122 by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34 of 132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it is expanded to the maximum.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100)의 사용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ate of use of the pillar mounting connection member 100 form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우선, 안내표지판이나 이정표의 기둥(S)이 설치될 지면을 터파기 한다. 그리고 기둥(S)의 굵기에 대응하도록 지지부(110)의 지지플레이트(112)를 확장 또는 수축시킨 상태 하에서 터파기 한 부분의 바닥면 상에 지지부(110)의 하단을 고정시킨다. 이때 지지플레이트(112)의 하단은 터파기 한 부분의 바닥면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First, the ground on which the guide signs or milestones S are to be installed is destroyed.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10 is fix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112 of the support 110 is expanded or contract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pillar S. At this time,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112 may be pointed to be easily inserted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여기서 조작레버(122)를 지지플레이트(112)의 상부 측으로 밀어 올린 상태 하에서 고정 암(132)을 관통공(134)을 관통시켜 조절레버(122)의 최하단에 형성된 조절공(136)에 결합시키면 지지플레이트(112)는 최대로 확장되며, 반대로 조작레버(122)를 지지플레이트(112)의 하부 측으로 밀어 내린 상태 하에서 고정 암(132)을 관통공(134)을 관통시켜 조절레버(122)의 최상단에 형성된 조절공(136)에 결합시키면 지지플레이트(112)는 최대로 수축된다. In this case, when the operation lever 122 is pushed up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12, the fixing arm 132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34 to be coupled to the control hole 13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lever 122. The support plate 112 extends to the maximum and, on the contrary, the control lever 122 penetrates the fixing arm 132 through the through hole 134 while the operation lever 122 is pushed down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12. When coupled to the control hole 136 formed on the top end of the support plate 112 is contracted to the maximum.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12)들이 확장 또는 수축된 상태로 터파기 한 부분에 고정되면, 다음으로 터파기 한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이때 타설된 콘크리트는 양생되면서 콘크리트 기초(B)를 형성하는데, 이렇게 양생된 콘크리트 기초(B)에 의해 지지부(110)의 지지플레이트(112)들은 체결공(114)이 콘크리트 기초(B)의 상면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pport plates 112 are fixed to one portion of the trench in an expanded or contracted state, the concrete is poured into one portion of the trench to cure. At this time, the poured concrete is cured to form a concrete foundation (B), the support plate 112 of the support 110 by the cured concrete foundation (B) is fastening hole 114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B) It is fix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지지부(110)가 콘크리트 기초(B)에 고정되면, 콘크리트 기초(B)의 상면에 지반다짐을 실시 한 후, 콘크리트 기초(B)의 상면 외부로 노출된 지지플레이트(112)에 기둥(S)을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unit 110 is fixed to the concrete foundation (B), after performing the ground compa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B), the pillar (on the support plate 112 exposed out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B) ( Connect and fix S).

기둥(S)을 지지플레이트(112)에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해서는, 지지플레이트(112) 내측으로 기둥(S)을 삽입시킨 상태 하에서 체결볼트(116)와 캡 너트(118)를 이용해 기둥(S)을 지지플레이트(112)에 고정시킨다. In order to fix the column S to the support plate 112, the fastening bolt 116 and the cap nut 118 under the state in which the column S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 112 are used to fix the column S. To the support plate 112.

즉, 지지플레이트(112)들의 내측으로 기둥(S)이 삽입되면, 기둥(S)에 형성된 연결공(J)과 어느 하나의 체결공(114) 및 어느 하나의 체결공(114)과 마주하는 또 다른 체결공(114)은 연결되는데, 이때 어느 하나의 체결공(114)과 기둥(S)에 형성된 연결공(J) 및 어느 하나의 체결공(114)과 마주하는 또 다른 체결공(114)을 순차적으로 체결볼트(116)를 관통시킨 후, 또 다른 체결공(114)을 관통한 체결볼트(116)에 캡 너트(118)를 체결시켜 기둥(S)의 설치를 완료한다. That is, when the pillar S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s 112, the connection hole J formed in the pillar S and one of the fastening holes 114 and one of the fastening holes 114 face each other. Another fastening hole 114 is connected, in which one of the fastening hole 114 and the connection hole (J) formed in the pillar (S) and another fastening hole 114 facing one of the fastening holes 114 ) Through the fastening bolt 116 sequentially, and then fasten the cap nut 118 to the fastening bolt 116 through another fastening hole 114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pillar (S).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100)는 기둥(S)이 끼워져 연결되는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에 끼워지는 기둥(S)의 굵기에 맞추어 지지부(110)를 확장 또는 수축시키는 조절부(120), 및 확장 또는 수축된 지지부(110)를 조절부(12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0)를 포함함으로써, 부품수와 조립공정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연결부재(100)를 이용해 다양한 굵기의 기둥(S)을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게 한다. The connection member 100 for pillar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s described above extends the support 110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110 to which the pillar S is inserted and connected, and the pillar S fitted to the support 110. Or by including a control unit 120 for contracting, and a fixing unit 130 for fixing the expanded or contracted support 110 to the control unit 120, not only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assembly process but also one connection By using the member 100 can be supported by connecting the pillars (S) of various thicknesses.

상기와 같은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pillar mounting connection member 100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 110 : 지지부
112 : 지지플레이트 114 : 체결공
116 : 체결볼트 118 : 캡 너트
120 : 조절부 122 : 조절레버
124 : 링크 바 130 : 고정부
132 : 고정 암 134 : 관통공
136 : 조절공 B : 기초
J : 연결공 S : 기둥
100: connecting member for pillar installation 110: support
112: support plate 114: fastening hole
116: fastening bolt 118: cap nut
120: control unit 122: control lever
124: link bar 130: fixed portion
132: fixed arm 134: through hole
136: adjusting hole B: foundation
J: Connector S: Column

Claims (9)

콘크리트 기초에 기둥이 설치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기둥이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기둥의 굵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확장 또는 수축시키는 조절부; 및
확장 또는 수축된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 및 상기 고정부, 그리고 확장 또는 수축 고정된 상기 지지부의 하부 측은 양생되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부 측은 상기 기둥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지지부는,
9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면서 4개가 한 조를 이루는 수직한 지지플레이트;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는 상기 기둥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확장 또는 수축되도록 조작하는 조절레버; 및
상기 조절레버와 각각의 상기 지지플레이트들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
In th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pillar to be installed on the concrete foundatio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pillar is inserted and fixed;
Adjusting unit for expanding or contracting the support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pillar; And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expanded or contracted support part.
The adjusting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which is expanded or contracted fixed are fixed inside the cured concrete base,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part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ase so that the pillar is fitted and fixed. Become,
The support portion
It includes a vertical support plate constituting a set of four while being spac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each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so that the pillar can be fitted and fixed,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ntrol lever for manipulating the support plate to expand or contract; And
And a plurality of link bars connecting the control levers to the support plates, respectivel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면으로 노출된 각각의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들의 내측으로 삽입된 기둥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체결공과 마주하는 또 다른 상기 체결공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은 어느 하나의 상기 체결공과, 상기 연결공 및 또 다른 상기 체결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됨과 아울러 또 다른 상기 체결공을 관통한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캡 너트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support plate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is formed with one or more fastening holes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The pillars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s are formed with connection holes connected to the other fastening holes facing one of the fastening holes.
The pillar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by a fastening bolt tha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any one of the fastening hole, the connecting hole and the other fastening hole, and is also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passing through the other fastening hole. Connection member for pillar installation,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support plate by a nu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 또는 단면이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 또는 수직한 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late is a pillar-connected connec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ny one of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is bent at right angles, the shape of the convex curved section, or the vertical plate shap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는,
수직한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들의 하부 내측 중심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조절레버의 상단에는 각각의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응하는 링크 바들의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링크 바의 타단은 마주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lever comprises:
It has a vertical columnar shape and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wer inner center of the support plates,
One end of the link ba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upport plates is pivotal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control lever,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link bars is pivotally connected to an inner side of the support plate facing each other. Connection member for pillar install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확장 또는 수축된 어느 하나의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조절레버 사이에 걸쳐지는 수평한 봉 형상의 고정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unit includes:
And a horizontal rod-shaped fixing arm that extends between the one or more of the supporting plates and the control lever extended or contracte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암이 걸쳐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 암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레버의 외측면 상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고정 암의 연장단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조절공이 상기 조절레버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
The method of claim 7,
One of the support plates to which the fixing arm extends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arm pass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the connecting member for the pillar install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djusting holes to be selectively fitted through the extension end of the fixing arm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rol le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설치용 연결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is a connecting member for pillar installa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luminum, or aluminum alloy.
KR1020130145344A 2013-11-27 2013-11-27 Connection member for establishing pillar KR1013835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344A KR101383558B1 (en) 2013-11-27 2013-11-27 Connection member for establishing pill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344A KR101383558B1 (en) 2013-11-27 2013-11-27 Connection member for establishing pill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558B1 true KR101383558B1 (en) 2014-04-09

Family

ID=5065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344A KR101383558B1 (en) 2013-11-27 2013-11-27 Connection member for establishing pill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55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082A (en) * 1994-05-23 1995-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nchor frame
KR200414307Y1 (en) * 2006-01-25 2006-04-18 신천희 Tilt adjustment structure of pillar for assembly faci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082A (en) * 1994-05-23 1995-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nchor frame
KR200414307Y1 (en) * 2006-01-25 2006-04-18 신천희 Tilt adjustment structure of pillar for assembly fac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266B1 (en) Prefabricated pillar structure
JP5420030B1 (en) Wooden pole installation structure
KR20140061032A (en) Prestressed precast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JP6577155B1 (en) Remodeling method of block fence with insufficient strength to fence fence and metal fittings used in this method
KR100912700B1 (en) Apparatus of maintaining and adjusting horizontally the sign board and hanger
KR101722977B1 (en) A reinforcement of foundation
KR101383558B1 (en) Connection member for establishing pillar
CN203729605U (en) Inter-column reinforcing structure for preventing historic building from collapsing continuously
KR101463106B1 (en) The precast concrete pillar and girder connecting structure for a building
KR101035430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pillar in soundproof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482585B1 (en) Post foundation block structure
KR102134745B1 (en) Bridge support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JP5635173B2 (en) Wooden pole support device
JP2013167133A (en) Column base joint metal fitting and building structure
JP2002047662A (en) Portable columnar foundation body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1759651B1 (en) Connector structure for a bent of deck road
KR200437077Y1 (en) A charnel house
JP4609800B2 (en) Foundation concrete formwork
JP4496500B2 (en) Holding member
JP5056534B2 (en) Structure installation method for water gradient floor
JP2007231596A (en) Column base fixture, column base fixing structure and column base fixing method
KR200329513Y1 (en) Fixing construction of anchor bolt for laying
KR200463273Y1 (en) Assembly post for fence
CN213417656U (en) Assembled road guardrail
JP7083285B2 (en) Seismic isolation upper foundation struc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