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327B1 - 순환식 전기 보일러 - Google Patents

순환식 전기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327B1
KR101383327B1 KR1020130125475A KR20130125475A KR101383327B1 KR 101383327 B1 KR101383327 B1 KR 101383327B1 KR 1020130125475 A KR1020130125475 A KR 1020130125475A KR 20130125475 A KR20130125475 A KR 20130125475A KR 101383327 B1 KR101383327 B1 KR 10138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hot water
temperature
heating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회
Original Assignee
김윤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회 filed Critical 김윤회
Priority to KR102013012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225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electrical central heating boilers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식 전기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열매체유가 저장되며, 매개체를 일정 온도로 가열시키는 내부 프레임과, 이 내부 프레임의 외부에 구성되어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고열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 프레임으로 구성된 외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내부 프레임의 내측 하부 및 중앙부에 설치되어 열매체유를 일정 온도로 가열시키는 히팅부재; 상기 히팅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매개체를 공급받아 가열된 열매체유를 통해 가열시키고, 가열된 매개체를 배출하는 순환라인; 상기 순환라인과 연결되어 가열된 매개체의 온도를 조절한 후, 배출하는 온도 조절부재; 상기 온도 조절부재와 연결되어 온도 조절이 이루어진 매개체를 공급받아 공급처로 공급하고, 상기 순환라인측으로 냉수로 이루어진 매개체를 공급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매개체 가열을 위한 전원 공급 여부, 온수 공급, 온수의 온도조절 및 히팅 온도 제어가 이루어지는 순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순환식 전기 보일러{Circulator Type Electric Boiler}
본 발명은 순환식 전기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우나 등에 공급되는 온수의 가열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도 보일러 운용 비용를 절감할 수 있으며, 소음이 없으면서도 설치 공간을 최소화함은 물론, 취급이 용이한 순환식 전기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보일러는 히터가 설치된 물탱크와, 열교환기가 구비되며, 이 물탱크의 물을 열교환기측으로 강제로 압송함과 아울러 물탱크측으로 이송하는 펌프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 보일러는 물탱크의 용량에 따라 히터의 발열량이 높아야 물을 단시간내에 가열할 수 있는 구조로서, 히터의 구입비용에 부담이 있었다. 그리고 히터의 발열량이 높다하더라도 물탱크내의 충진된 물이 히터에 접촉되는 공간 및 면적이 넓어 단시간내에 온도를 보상에 어려운 점과 아울러 히터에 의한 열교환을 극대화하기 어려워 물탱크의 상,중,하 온도 편차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전기 보일러는 바닥에 배설되는 온수관에 가열선을 설치함과 동시에 온수관의 양 끝단부로 관통되도록 하고, 가열선을 전원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원에 의한 가열선의 발열로서 온수관 내의 물을 가열함에 따라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된 출원으로서, 예를 들면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4531호 (1999.08.25.)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축열식 전기보일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보일러 본체 하단에 전기 히터)를 설치하되, 보일러 본체 내에 비중이 큰 고체물질과 열매체유를 충전하여 전기히터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고온으로 축열되게 하고, 보일러 본체 상부에는 물이 충전된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열교환기 저면에는 다수의 히터파이프를 설치하되, 히터파이프는 보일러본체를 관통하여 열매체유와 접하게 하므로서, 축열된 열매체유의 열을 이용하여 열교환기에 충전된 물을 가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에 따른 전기 보일러는 보일러 본체 하단에 설치된 전기히터를 가열시켜 열매체유와 고체물질을 가열함으로써, 서서히 발열되는 전기히터에 의해 열매체유 및 고체물질은 충분히 가열되어 열을 흡수 축열하게 된다.
하지만, 전기히터의 발열시간 및 열매체유와 고체물질의 가열시간이 오래 걸려 다량의 온수가 필요한 사우나와 같은 장소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시간 지속적으로 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수와 냉수가 반복적으로 배출 및 공급이 이루어지질 때, 저온수, 즉 냉수의 가열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온수 보일러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4531호 (1999.08.25.)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수를 가열시키는 수단으로 열매체유와 히터를 구성함으로써, 사우나 등에 공급되는 온수의 가열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도 보일러 운용 비용를 절감할 수 있으며, 소음이 없으면서도 설치 공간을 최소화함은 물론, 취급이 용이한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열매체유가 저장되며, 매개체를 일정 온도로 가열시키는 내부 프레임과, 이 내부 프레임의 외부에 구성되어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고열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 프레임으로 구성된 외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내부 프레임의 내측 하부 및 중앙부에 설치되어 열매체유를 일정 온도로 가열시키는 히팅부재; 상기 히팅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매개체를 공급받아 가열된 열매체유를 통해 가열시키고, 가열된 매개체를 배출하는 순환라인; 상기 순환라인과 연결되어 가열된 매개체의 온도를 조절한 후, 배출하는 온도 조절부재; 상기 온도 조절부재와 연결되어 온도 조절이 이루어진 매개체를 공급받아 공급처로 공급하고, 상기 순환라인측으로 냉수로 이루어진 매개체를 공급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매개체 가열을 위한 전원 공급 여부, 온수 공급, 온수의 온도조절 및 히팅 온도 제어가 이루어지는 순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은 단열재가 수용되며, 본체부의 둘레면을 감싸는 단열 프레임; 상기 단열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본체부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 프레임;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덮개가 구성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본체부를 지면에 안착시키기 위해 조절볼트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안착부재와, 용이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이동바퀴가 구성된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에는 온도 조절부재와 내부 프레임을 연결 및 고정시키는 결합 플랜지가 서로 대향되게 적어도 4개 이상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내부에 온수가 저장되어 사우나와 같은 공급처에 공급하며, 저장되는 온수의 하부로 지하수와 같은 냉수를 유입시켜 순환라인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냉수 및 온수를 포함하는 매개체를 공급받는 제1냉온수 이송관과, 상기 가열된 매개체를 온도 조절부재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냉온수 이송관으로 이루어진 냉온수 이송관; 및 상기 제1냉온수 이송관으로부터 매개체를 공급받아 열매체유를 통해 이 매개체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고, 가열된 매개체를 제2냉온수 이송관측으로 이송시키는 가열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코일은 동 재질로 이루어지고, 냉온수 이송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코일에는 열전도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이 가열코일들 사이사이에 동 재질로 이루어진 열전도 패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에는 저장탱크와 제1냉온수 이송관을 연결하는 매개체 유입관과, 온도 조절부재와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매개체 공급관 및 상기 제2냉온수 이송관과 온도 조절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재는 가열된 매개체의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일면에 가열선이 구성되고, 온수가 이동하는 수로를 분할하는 분할격벽이 서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우나 등에 공급되는 온수의 가열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도 보일러 운용 비용를 절감할 수 있으며, 소음이 없으면서도 설치 공간을 최소화함은 물론, 취급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외부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내부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순환라인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온도 조절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외부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내부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순환라인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온도 조절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순환식 전기 보일러는 보일러의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열매체유가 수용되는 본체부(110)와, 이 본체부(1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전원 공급 여부, 온수 공급, 온수의 온도조절, 히팅 온도 제어가 이루어지는 순환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열매체유가 수용되며, 냉수 또는 온수 등의 물이 순환하는 순환라인(310)과, 이 순환라인(310)의 상부에 구성되어 순환된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재(410)와, 열매체유를 가열시키는 히팅부재(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10)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외관을 이루며, 내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외부 프레임(120)과, 이 외부 프레임(120)의 내부에 구성되며, 냉온수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열매체유가 저장되고, 냉온수의 공급 및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순환라인(310), 온도 조절부재(410), 히팅부재(510)가 설치되는 내부 프레임(140)으로 이루어진다.
외부 프레임(120)은 내부 프레임(140)의 가열시 발생하는 고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단열재가 수용되도록 상하측이 절곡 형성되는 단열 프레임(122)과, 이 단열 프레임(122)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되는 고정 프레임(124)과, 본체부(110)의 상부 및 하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프레임(126) 및 하부 프레임(128)으로 구성된다.
단열 프레임(1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본체부(110) 둘레면을 감싸는 패널로서, 단열재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측 및 하측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소정의 홈을 형성한다.
이러한 단열 프레임(122)에는 후술할 순환라인(310)의 매개체 유입관(340) 및 매개체 공급관(350)이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에는 매개체 유입관(340) 및 매개체 공급관(350)의 외주 사이의 틈을 밀폐시키기 위해 버링 가공에 의한 플랜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고정 프레임(124)은 단열 프레임(122)의 내측에 구성되어 단열재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며, 상측 및 하단이 각각 상부 프레임(126) 및 하부 프레임(128)과 고정 결합되어 본체부(110)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이 진공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아울러, 단열 프레임(122) 및 고정 프레임(124)은 외부 프레임(12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고정바(125)를 구성하고, 이 고정바(125)와 단열 프레임(122) 및 고정 프레임(124)의 양측 단부가 고정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극대화함은 물론, 밀폐력 역시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단열 프레임(122) 및 고정 프레임(124)이 서로 직접 연결 구성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한편, 외부 프레임(120)을 이루는 구성요소 중, 상부 프레임(126)은 개방된 본체부(11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덮개(132)가 구성된다.
여기서, 밀폐덮개(132)는 둘레면에 단열 프레임(122) 및 고정 프레임(124) 중 어느 하나, 또는 단열 프레임(122) 및 고정 프레임(124) 둘 모두와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되며, 중앙측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가 내장되거나,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128)은 본체부(110)의 하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단열 프레임(122) 및 고정 프레임(124)과 결합되며, 외부 프레임(120)의 내부에 구성되는 내부 프레임(140)을 지지하고,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용이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부면에 다수의 이동바퀴(136)가 구성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128)에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지면과의 수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착부재(134)가 더 구성되며, 이 안착부재(134)는 조절볼트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기 보일러와 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내부 프레임(140)은 외부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열매체유가 저장되는 가열 본체부(142)와, 이 가열 본채부(142)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매체유를 가열시키는 히팅부재(510)가 구비되며, 이 히팅부재(510)의 상측으로 냉온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순환라인(310) 및 순환라인(310)을 통해 순환하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여 저장탱크(150)로 배수하는 온도 조절부재(410)가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순환라인(310), 온도 조절부재(410) 및 히팅부재(510)의 내부 프레임(140)의 가열 본체부(142)에 내장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내부 프레임(140)에는 온도 조절부재(41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온도 조절부재(410)와 내부 프레임(140)을 연결 및 고정시키는 결합 플랜지(144)가 내측 둘레면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적어도 4개 이상 복수 설치된다.
여기서, 저장탱크(150)는 내부에 온수가 저장되어 사우나와 같은 공급처에 공급하며, 저장되는 온수의 하부로 지하수와 같은 냉수를 유입시켜 순환식 전기 보일러로 공급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순환라인(310)은 저장탱크(15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이를 일정 온도로 가열시키는 것으로, 내부 프레임(140)에 내장 설치되어 가열된 열매체유를 통해 물을 온수로 가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순환라인(310)은 내부 프레임(140) 상부 일측 및 타측부에 각각 구성되는 제1냉온수 이송관(322) 및 제2냉온수 이송관(324)이 구성되며, 이 복수의 냉온수 이송관(320)을 연결하고, 내부에 냉수 및 온수를 포함하는 매개체가 순환하면서 열매체유의 가열온도를 순환하는 매개체측으로 전도시켜 가열시키는 가열코일(330)이 구성된다.
냉온수 이송관(320)은 저장탱크(150)로부터 냉수 및 온수를 포함하는 매개체를 공급받아 이 매개체를 가열코일(330)로 이송시키는 제1냉온수 이송관(322) 및 이 제1냉온수 이송관(322)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가열코일(330)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가열된 매개체가 유입되며, 유입된 매개체를 저장탱크(150)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제2냉온수 이송관(32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냉온수 이송관(322)의 일측에는 저장탱크(150)와 연결된 매개체 유입관(340)이 연결 구성되어 저장탱크(150)로부터 매개체가 순환라인(310)측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제2냉온수 이송관(324)에는 온도 조절부재(410)와 연결되는 연결배관(326)이 구성되어 가열된 매개체를 온도 조절부재(410)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가열코일(330)은 동 재질로 이루어져 열매체유의 열전도율을 극대화하고, 내부에 매개체가 순환하는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으로, 냉온수 이송관(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구성된다.
이러한 가열코일(330)은 냉온수 이송관(320)과의 연결시, 내부를 순환하는 매개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 플런저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 구성되는 가열코일(330)에는 열전도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이 가열코일(330)들 사이사이에 동 재질로 이루어진 열전도 패널(332)이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순환라인(310)은 저장탱크(150)로부터 공급된 매개체가 제1냉온수 이송관(322)으로 유입되면, 제1냉온수 이송관(322)은 유입된 매개체를 복수의 가열코일(330)측으로 분배시켜 공급한다.
그리고, 가열코일(330)은 제1냉온수 이송관(322)으로부터 유입되는 매개체를 제2냉온수 이송관(324)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이 가열코일(330)의 외부에 구성되는 열매체유를 통해 매개체를 시간당 4℃ ~ 6℃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공급처에 필요한 온수가 제2냉온수 이송관(324)의 일면에 연결된 연결배관(326)을 통해 온도 조절부재(410)측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온도 조절부재(410)는 제2냉온수 이송관(324)과 연결배관(326)을 통해 연결되며, 이 연결배관(326)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순환라인(310)을 통해 가열된 온수의 온도를 공급처에서 필요한 온수의 온도인 70℃ ~80℃의 온도로 조절하여 매개체 공급관(350)을 통해 저장탱크(150)로 공급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온도 조절부재(410)는 바닥면에 전원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원에 의해 발열하면서 가열된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열선(414)이 구성되고, 온수가 이동하는 수로(415)와, 이 수로(415)를 분할하여 온수가 가열선(414)을 통해 충분한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분할격벽(412)이 서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온도 조절부재(410)의 양측에는 각각 연결배관(326) 및 매개체 유입관(340)이 결합되며, 온수의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실링 결합부(416, 418)가 형성된다.
히팅부재(510)는 내부 프레임(140)의 하측부와, 중앙측에 다수 형성되어 열매체유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히팅부재(510)는 내부에 가열매체가 구비되며, 일단에는 이 가열매체를 가열시키는 가열 플런저(512)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히팅부재(510)는 내부 프레임(140)에 구성된 히팅부재(510)를 통해 열매체유를 220℃ ~ 230℃의 온도로 가열시키며, 중앙측에 구성되며, 내부 프레임(140)의 수직한 방향으로 구성되는 히팅부재(510)를 통해 열매체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순환라인(310)의 가열코일(330)을 가열함으로써, 가열코일(330)을 순환하는 매개체의 가열 온도 역시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순환식 전기 보일러는 순환 제어부(210)에 구성된 제어 콘트롤러(212)에 의해 본체부(1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전원 공급 여부, 온수 공급, 온수의 온도조절, 히팅 온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순환 제어부(210)에는 본 발명의 순환식 전기 보일러의 구동시 소모되는 전기량을 파악하기 위해 계량기(214)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순환식 전기 보일러는 우나 등에 공급되는 온수의 가열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도 보일러 운용 비용를 절감할 수 있으며, 소음이 없으면서도 설치 공간을 최소화함은 물론, 취급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본체부 120: 외부 프레임
122: 단열 프레임 124: 고정 프레임
126: 상부 프레임 128: 하부 프레임
140: 내부 프레임 142: 가열 본체부
150: 저장탱크 210: 순환 제어부
212: 제어 콘트롤러 310: 순환라인
320: 냉온수 이송관 322: 제1냉온수 이송관
324: 제2냉온수 이송관 326: 연결배관
330: 가열코일 340: 매개체 유입관
350: 매개체 공급관 410: 온도 조절부재
510: 히팅부재

Claims (9)

  1. 내부에 열매체유가 저장되며, 매개체를 일정 온도로 가열시키는 내부 프레임과, 이 내부 프레임의 외부에 구성되어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고열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 프레임으로 구성된 외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내부 프레임의 내측 하부 및 중앙부에 설치되어 열매체유를 일정 온도로 가열시키는 히팅부재;
    상기 히팅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매개체를 공급받아 가열된 열매체유를 통해 가열시키고, 가열된 매개체를 배출하는 순환라인;
    상기 순환라인과 연결되어 가열된 매개체의 온도를 조절한 후, 배출하는 온도 조절부재;
    상기 온도 조절부재와 연결되어 온도 조절이 이루어진 매개체를 공급받아 공급처로 공급하고, 상기 순환라인측으로 냉수로 이루어진 매개체를 공급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매개체 가열을 위한 전원 공급 여부, 온수 공급, 온수의 온도조절 및 히팅 온도 제어가 이루어지는 순환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은 단열재가 수용되며, 본체부의 둘레면을 감싸는 단열 프레임;
    상기 단열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본체부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 프레임;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덮개가 구성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본체부를 지면에 안착시키기 위해 조절볼트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안착부재와, 용이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이동바퀴가 구성된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에는 온도 조절부재와 내부 프레임을 연결 및 고정시키는 결합 플랜지가 서로 대향되게 적어도 4개 이상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내부에 온수가 저장되어 사우나와 같은 공급처에 공급하며, 저장되는 온수의 하부로 지하수와 같은 냉수를 유입시켜 순환라인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냉수 및 온수를 포함하는 매개체를 공급받는 제1냉온수 이송관과, 상기 가열된 매개체를 온도 조절부재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냉온수 이송관으로 이루어진 냉온수 이송관; 및
    상기 제1냉온수 이송관으로부터 매개체를 공급받아 열매체유를 통해 이 매개체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고, 가열된 매개체를 제2냉온수 이송관측으로 이송시키는 가열코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코일은 동 재질로 이루어지고, 냉온수 이송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코일에는 열전도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이 가열코일들 사이사이에 동 재질로 이루어진 열전도 패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에는 저장탱크와 제1냉온수 이송관을 연결하는 매개체 유입관과, 온도 조절부재와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매개체 공급관 및 상기 제2냉온수 이송관과 온도 조절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재는 가열된 매개체의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일면에 가열선이 구성되고, 온수가 이동하는 수로를 분할하는 분할격벽이 서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전기 보일러.
KR1020130125475A 2013-10-21 2013-10-21 순환식 전기 보일러 KR101383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475A KR101383327B1 (ko) 2013-10-21 2013-10-21 순환식 전기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475A KR101383327B1 (ko) 2013-10-21 2013-10-21 순환식 전기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327B1 true KR101383327B1 (ko) 2014-04-14

Family

ID=5065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475A KR101383327B1 (ko) 2013-10-21 2013-10-21 순환식 전기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2774A (zh) * 2020-03-04 2020-06-23 武汉科技大学 一种太阳能相变储能罐
KR102337878B1 (ko) 2021-06-22 2021-12-09 최대호 내부 순환형 보일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120B1 (ko) 2006-09-06 2007-08-07 전행곤 보일러의 가열시스템
KR20110011034U (ko) * 2010-05-20 2011-11-28 안상문 열교환기와 이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KR20130000146U (ko) * 2011-06-28 2013-01-08 범민철 전기 온수 보일러
KR101301791B1 (ko) 2012-10-11 2013-08-29 자오이앤피주식회사 전기 온수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120B1 (ko) 2006-09-06 2007-08-07 전행곤 보일러의 가열시스템
KR20110011034U (ko) * 2010-05-20 2011-11-28 안상문 열교환기와 이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KR20130000146U (ko) * 2011-06-28 2013-01-08 범민철 전기 온수 보일러
KR101301791B1 (ko) 2012-10-11 2013-08-29 자오이앤피주식회사 전기 온수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2774A (zh) * 2020-03-04 2020-06-23 武汉科技大学 一种太阳能相变储能罐
KR102337878B1 (ko) 2021-06-22 2021-12-09 최대호 내부 순환형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712B1 (ko) 옥외용 냉온열 벤치
CN101392952B (zh) 取暖用自循环锅炉
FI76205B (fi) System omfattande en vaermeackumulator och en vaermevaexlare.
KR101383327B1 (ko) 순환식 전기 보일러
JP2013113488A (ja) 熱交換器付設型貯湯装置
JP5003607B2 (ja) 給湯システム
EP2495500B1 (en) Hot water supply system
KR101468724B1 (ko) 순간 가열식 전기보일러 시스템
KR102036713B1 (ko) 옥외용 냉온열 벤치 제어 방법
JP2021071216A (ja) 太陽光発電を利用した熱源貯蔵システム
CN107554386A (zh) 一种物流车保温装置
KR20120002607U (ko) 축열식 전기보일러
JP201006588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用架台
CN209944475U (zh) 电采暖器
KR102252532B1 (ko) 보일러 장치
CN109780614B (zh) 电采暖器及其控制方法
JP4966587B2 (ja) 蓄熱温水併用暖房システム
CN206094528U (zh) 速热储水式电热水器
KR100637255B1 (ko) 전기보일러
KR101542199B1 (ko) 저수식 열회수 보일러
JP2007309568A (ja) 給湯システム及び給湯方法
JP2002147858A (ja) 凍結防止ヒータ付き給湯装置
JP2019113205A (ja) 床暖房パネル及び床暖房システム
KR101515879B1 (ko) 전기보일러용 히터
CN203294105U (zh) 水电两用采暖散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