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060B1 -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060B1
KR101383060B1 KR1020120155917A KR20120155917A KR101383060B1 KR 101383060 B1 KR101383060 B1 KR 101383060B1 KR 1020120155917 A KR1020120155917 A KR 1020120155917A KR 20120155917 A KR20120155917 A KR 20120155917A KR 101383060 B1 KR101383060 B1 KR 101383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user
anesthesia induction
anesthesia
unit
automat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면웅
권규현
손영태
박현철
임춘학
김재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9/00Local anaesthesia; Hypo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마취유도완료 판단부, 마취유도가 완료되면, 인퓨져가 소정의 주사액을 투여하도록 지시하는 투여지시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투여지시정보를 상기 인퓨져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UTOMATIC CONTROL OF INFUSOR}
실시예들은 인퓨저의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취유도완료 시점을 기초로 한 인퓨저의 자동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수술 환경에 대한 새로운 설계 방법이 정보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수술에 필요한 진단 및 영상기기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수술 프로세스 및 정보의 흐름을 구성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 가운데 의료진에게 적절한 수술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들이 활발히 연구되어 개발되고 있다. 비전, 음성, 모션 등의 다양한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수술실 상황정보를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상황인식 기술과 개별 수술에 대한 위험 요소인식 및 상황 판단을 위한 모델링 기술이 대표적이다. 또한 그에 따른 순차적 의사결정 지원기술 또한 각광받고 있다. 게다가 위의 기술들을 활용하여 축적된 수술실 내의 많은 데이터 및 정보를 효과적으로 가시화하거나 사용자의 편의성 및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인터랙션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상황에 따른 정보를 수술 관계자가 능률적으로 인식하고 수술 절차에 맞게 필요한 정보를 안내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수술 도구에 센서를 부착하여 도구의 사용을 통하여 수술 절차를 인지하는 방법 및 workflow editor를 통하여 수술지식을 수집하여 수술 모델을 생성하고,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generic workflow를 생성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수술 시 예방적 항생제의 투여는 환자에게 감염 위험 및 관련 비용을 낮추는데 중요한 사항이다. 예방적 항생제란 수술 후 감염의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수술부위 감염 예방목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를 의미한다. 수술부위 감염은 수술부위에 감염이 생긴 것으로 수술환자 100명당 2 내지 3명 정도로 드물게 발생하지만, 병원 내 감염에서 2-3위를 차지하고 40-50%는 예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술부위 감염 발생시 사망률이 높아지고 입원 기일이 증가하면 재입원율 또한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수술 시 적절한 예방적 항생제 사용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세부적으로, 항생제의 효능은 상처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가장 높은 원인균에 작용하며, 오염 가능한 시간 동안 절개 부위에 적절한 농도를 유지한다. 그리고 환자에게 안전한 항생제이어야 하며 합병증 내성 비용을 줄이도록 단기 사용할 것 등이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국가진료비가감지원사업에 있어서, 항생제의 투여율이 그 평가 지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최초 예방적 항생제의 투여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의 바람직한 최초 투여시기는 피부절개 전 1시간 이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피부절개가 이루어 지기 전의 수술 준비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과정이 나타난다. 예방적 항생제의 이상적인 투여 시점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취가 시작된 이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마취 유도가 종료된 시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수술 관계자는 이러한 이상적인 항생제 투여시점을 놓쳐 버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항생제 투여 누락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환자에 대한 마취유도완료 후 항생제 투여를 누락하지 않고 수술을 수행하도록 도와주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퓨져 자동제어장치는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마취유도완료 판단부, 마취유도가 완료되면, 인퓨져가 소정의 주사액을 투여하도록 지시하는 투여지시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투여지시정보를 상기 인퓨져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마취유도완료 판단부는,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는 바이탈 사인 센서부를 포함하되, 마취유도완료 판단부는 측정된 바이탈 사인을 기초로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마취유도완료 판단부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및 수신된 음성신호에서 소정의 음성정보를 식별하는 음성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마취유도완료 판단부는, 수술관계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이 해당되는 수술 단계를 추정하는 수술 단계 추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술 단계 추정부는 마취 준비단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인퓨져는 실린지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주사액은 항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가 마취유도완료된 상태를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표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표시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마취유도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마취유도완료 판단부는 수신된 마취유도완료 신호를 기초로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EMR서버에 기록된 환자의 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주사액이 상기 환자에게 투여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주사액 적절성 판단부를 더 포함하되, 소정의 주사액이 상기 환자에게 투여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퓨져가 동작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투여거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투여거절정보를 상기 인퓨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퓨져 자동 제어시스템은 인퓨져,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기초로 소정의 주사액을 투여하도록 상기 인퓨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측정된 바이탈 사인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바이탈 신호를 기초로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및 수신된 음성신호에서 소정의 음성정보를 식별하는 음성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술관계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이 해당되는 수술 단계를 추정하는 수술 단계 추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술 단계 추정부는 마취 준비단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퓨져는 실린지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주사액은 항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기초로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EMR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EMR 서버에 기록된 환자의 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주사액이 환자에게 투여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인퓨져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은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마취유도가 완료되면, 인퓨져가 소정의 주사액을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퓨져는 실린지 펌프이고, 상기 소정의 주사액은 항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취유도완료를 판단하여 환자에 대하여 항생제를 자동으로 투여하여 항생제 투여 누락률을 낮춤으로써 수술실에서의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의료 시스템을 평가하는 평가지표를 나타낸다.
도 2는 이상적인 항생제 투여시점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퓨져(infusor) 자동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취유도완료 판단부(110)가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장치의 예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다른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퓨져 자동 제어 및 항생제 투여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100)는 환자에 대한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마취유도완료 판단부(110), 마취유도가 완료되면, 인퓨져가 소정의 주사액을 투여하도록 지시하는 투여지시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120), 및 투여지시정보를 상기 인퓨져에 전송하는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취유도완료 판단부(110)가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장치의 예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마취유도완료 판단부(11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환자가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마취유도완료 판단부(110)는 환자의 바이탈 사인(vital signs)을 측정하는 바이탈 사인 센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탈 사인은 활력징후라고도 하며 호흡, 맥박, 체온, 혈압, 뇌파를 포함한다. 바이탈 사인 센서부(111)를 통해서 바이탈 사인 신호를 측정하고 수신한 마취유도완료 판단부(110)는 측정된 바이탈 사인 신호를 기초로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뇌파를 분석하여 수치화하여 의식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BIS(Bispectral index Score) 40-60 범위에 있으면 전신마취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이 마취유도완료라는 것은 마취통증의학과 의사가 환자의 전신마취유도완료뿐 아니라 수술과 관련된 모니터링, 정맥로 확보등을 마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환자의 상태 및 수술의 종류에 따라서 마취유도가 완료된 후 다른 수술 준비 단계가 추가될 수 있으므로, BIS 수치에 더하여 보완적으로 음성인식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첫번째로는 BIS score로 시스템이 1차적으로 마취 완료를 인식하고, 두 번째는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다"는 의사의 음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시스템이 2차적으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요소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한다면, 시스템이 마취유도완료 상황을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마취유도완료 판단부(110)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112) 및 마이크로폰(112)에 수신된 음성신호에서 소정의 음성 정보를 식별하는 음성인식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마취제를 투여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뒤, 수술 관계자의 음성으로 "마취유도완료"를 말하면, 마취유도완료 판단부(110)는 해당 음성 정보를 기초로 마취유도완료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술 관계자는 마취의일 수 있다. 이때, "마취유도완료"라는 음성 정보가 마취유도가 완료되었음을 인식하도록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환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마취유도완료를 판단할 수도 있다. 후자에 관하여 예를들면, 점차적으로 마취가 유도됨에 따라 숫자를 세는 것이 어려울 것이므로, 환자에게 숫자를 세어보도록 지시하여 숫자를 세는 환자의 음성이 그치면 마취가 유도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마취유도완료 판단부(110)는 수술관계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이 해당되는 수술 단계를 추정하는 수술 단계 추정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술 단계 추정부는 마취 준비단계를 추정할 수 있다. 마취유도완료 판단부(110)는 마취 준비단계가 종료되는 시점으로부터 마취가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마취가 시작되고 나서 일정시간 후에 마취유도가 완료됨을 판단할 수 있다.
수술 단계 추정부(114)는 집도의의 수술 동작을 감지(sensing)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모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식 방법은 신체에 센서가 부착 또는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된 센서의 위치 또는 회전, 이동 정보를 입력 받아 동작을 추적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으로는 광학 동작 추적기(Optical Motion Tracker, 추적하고자 하는 신체에 마커를 부착하고 신체 동작에 따른 3차원 공간상에서 마커의 움직임을 추적), 가속도 센서(신체에 부착되어 동작에 따른 부착 부위의 가속도 값을 출력하여 움직임 추정), 압력 센서, IMU 센서(부착된 신체 부위의 회전 정도를 출력)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비접촉식 방법은 신체에 센서 또는 이외의 어떠한 물질을 붙이거나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카메라(비전 센서, CCD)를 통해 신체 모션을 추적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각도로 설치된 복수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수술 동작을 다각도로 촬영하고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질감을 느끼지 않아 평소와 같은 자유로운 동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수술 단계 추정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072420호에서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 동작 센싱 방식에 있어서, 3차원 카메라를 이용한 거리 정보를 이용해 집도의의 손동작을 인식할 수도 있다. 즉, 3차원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손 영역을 검출한다. 그리고 3차원 카메라 입력 영상을 이진 영상으로 만든 후, 조명에 의한 잡음 처리로 대략적인 손 영역을 찾아낸다. 또한, 거리 별 마스크를 이용한 필터링으로 정확한 손 영역을 찾아낸다. 그리고, 식별된 손 영역의 윤곽선의 벡터들의 외적을 구하여 외적 벡터의 방향과 각도를 통해 손가락 끝 점을 검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손동작 및 손가락의 동작에 대한 3차원 데이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수술 단계 추정부(114)는 수술 동작을 일정한 패턴으로 구분하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술 동작을 패턴으로 구분하는 처리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 또는 집도의가 사용하는 도구의 움직임을 기초로, 동작 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분된 동작 패턴을 수술 단계에 포함되는 특정 수술 동작 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수술 단계 지식모델(미도시)에서 검색하여 현재 수술 동작이 어떤 수술 동작인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수술 과정에 있어서, 특정 행위에 대한 패턴이 기 저장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술 단계 추정부(114)는 집도의의 동작을 인식하여 현재 수술 단계가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으므로, 마취준비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마취준비단계가 완료됨을 판단하면, 마취유도완료 판단부(110)는 마취준비완료 후 소정의 시간 후부터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퓨져(140)는 실린지 펌프(syringe pump)일 수 있다. 그러나 인퓨져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환자에게 승압약제, 혈압강하제, 항암제, 분만 촉진제, 비경구 영양제, 마취제와 같은 주사액을 투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주사액은 항생제일 수 있다. 그러나, 소정의 주사액이 항생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마취유도가 완료된 후 환자에게 필요한 임의의 주사액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도가 나타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100)는 표시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마취 완료된 상태를 표시부(150)가 표시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표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이 생성된 표시정보를 표시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표시부(150)는 마취유도완료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50)는 "마취유도가 완료되었음, 항생제를 투여하시오"이라고 표시할 수 있다. 수술 관계자는 이 메시지를 보고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취유도완료 판단부(110)는 단지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입력 받아서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외부장치에서 마취유도완료 신호를 통신부(150)가 수신하고 제어부(120)는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인퓨져(1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다른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의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100)는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구성에서 주사액 적절성(suitable) 판단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사액 적절성 판단부(160)는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서버에 기록된 환자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인퓨져에 보관된 소정의 주사액이 해당 환자에게 투여가 가능하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MR 서버에는 특정 환자의 진료기록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특정 항생제가 몸에 맞지 않는 경우 이러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주사액 정보를 수술 관계자(예컨대, 집도의 및 간호사 등)가 입력하면, 주사액 적절성 판단부(160)는 이 소정의 주사액이 해당 환자에게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인퓨져에 보관된 주사액이 해당환자에게 부적절한 경우, 주사액 적절성 판단부(160)는 이러한 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하고, 제어부(120)는 인퓨져(140)가 해당 주사액을 투여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투여거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30)는 이 투여거절정보를 인퓨져에 전송하여 보관된 인퓨져가 투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사액 적절성 판단부(160)는 별도의 표시장치 또는 소리장치(미도시)를 통해서 현재 주사액이 부적절함을 수술 관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술한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100)는 특정한 인퓨져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장치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은 인퓨져(10) 및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제어부(20)는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기초로 인퓨져(10)가 소정의 주사액을 투여하도록 인퓨져(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은 환자의 바이탈 사인(호흡, 맥박, 체온, 혈압)을 측정하는 센서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0)는 측정된 바이탈 사인을 제어부(20)로 전송하고, 제어부(20)는 수신한 바이탈 신호를 기초로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은 BIS 및/또는 음성인식등을 통한 방법으로 상술한 바와 같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은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41) 및 수신된 음성신호에서 소정의 음성정보를 식별하는 음성 인식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술 관계자의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마취유도완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러한 판단을 제어부(20) 외부의 다른 장치에서 수행함이 상이하다. 음성 인식부(42)는 인식된 음성 정보를 제어부(20)로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20)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마취유도완료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은 수술 관계자의 동작은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이 해당되는 수술단계를 추정하는 수술 단계 추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술 단계 추정부(50)는 수술 관계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현재 수술 단계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술한 수술 단계 추정부(114)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현재 수술 동작을 추정할 수 있다. 특히, 수술 단계 추정부(50)는 마취 준비단계를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인퓨져(10)는 실린지 펌프(syringe pump)일 수 있다. 그러나 인퓨져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환자에게 승압약제, 혈압강하제, 항암제, 분만 촉진제, 비경구 영양제, 마취제와 같은 주사액을 투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주사액은 항생제일 수 있다. 그러나, 소정의 주사액이 항생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마취유도가 완료된 후 환자에게 필요한 임의의 주사액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은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이 표시부를 제어하여, 표시부가 마취유도가 완료되었고, 항생제를 투여해야 하는 시점이 도래하였음을 수술 관계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은 EMR 서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EMR 서버(60)에 기록된 환자의 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주사액이 환자에게 투여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인퓨져(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따른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은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 및 마취유도가 완료된 경우, 소정의 주사액을 인퓨져가 투여(또는 토출)하는 단계(S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는 상술한 마취유도완료여부 판단 방법들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주사액은 항생제일 수 있고, 인퓨져는 실린지 펌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는,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여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퓨져 자동 제어 및 항생제 투여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예컨대, 제어부(1)는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시스템 내에 포함되는 여러 장치들(2,3,4,5)과 통신하여 이 장치들을 제어할수 있다. 제어부(1)는 마취유도완료를 판단하면, 인퓨져(2)를 동작시켜 소정의 주사액을 토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제어부(1)는 디스플레이 장치(3)를 이용하여 수술 관계자에게 항생제 투여시점을 알릴 수 있다. 또한, 터치입력이 가능한 태블릿 PC(4)를 이용하여 수술관계자로부터 현재 수술 준비단계 등의 정보를 입력 받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장치들을 이용하여 수술 과정에 필요한 다른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1)는 EMR 서버에 저장된 환자의 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인퓨져(2)에 입력된 주사액이 해당 환자에게 적절하지 않은 경우, 인퓨져(2)가 해당 주사액을 토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명세서의 각 구성간의 정보의 교환은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NFC, ZigBee, Bluetooth, 3G, GSM, WIMax, Wi-Fi, Wireless USB/ Ultrawideband, RS232, WiDi, LA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마취유도완료 판단부;
    마취유도가 완료되면, 인퓨져가 소정의 주사액을 투여하도록 지시하는 투여지시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투여지시정보를 상기 인퓨져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마취유도완료 판단부는,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는 바이탈 사인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취유도완료 판단부는 측정된 바이탈 사인을 기초로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마취유도완료 판단부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및
    수신된 음성신호에서 소정의 음성정보를 식별하는 음성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마취유도완료 판단부는,
    수술관계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이 해당되는 수술 단계를 추정하는 수술 단계 추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술 단계 추정부는 마취 준비단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퓨져는 실린지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사액은 항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가 마취유도완료된 상태를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표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표시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마취유도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마취유도완료 판단부는 수신된 마취유도완료 신호를 기초로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서버에 기록된 환자의 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주사액이 상기 환자에게 투여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주사액 적절성 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주사액이 상기 환자에게 투여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퓨져가 동작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투여거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투여거절정보를 상기 인퓨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장치.
  10. 인퓨져;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기초로 소정의 주사액을 투여하도록 상기 인퓨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측정된 바이탈 사인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바이탈 신호를 기초로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및
    수신된 음성신호에서 소정의 음성정보를 식별하는 음성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수술관계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이 해당되는 수술 단계를 추정하는 수술 단계 추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술 단계 추정부는 마취 준비단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퓨져는 실린지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사액은 항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가 마취유도완료 여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EMR 서버에 기록된 환자의 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주사액이 환자에게 투여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인퓨져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 시스템.
  18.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마취유도가 완료되면, 인퓨져가 소정의 주사액을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취유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퓨져는 실린지 펌프이고, 상기 소정의 주사액은 항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
KR1020120155917A 2012-12-28 2012-12-28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383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917A KR101383060B1 (ko) 2012-12-28 2012-12-28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917A KR101383060B1 (ko) 2012-12-28 2012-12-28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060B1 true KR101383060B1 (ko) 2014-04-08

Family

ID=5065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917A KR101383060B1 (ko) 2012-12-28 2012-12-28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0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2037A (zh) * 2021-11-22 2022-02-25 重庆城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同步控制技术的术中监测装置
KR20220125952A (ko) 2021-03-08 2022-09-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차원 바코드를 활용한 인퓨저 용액 부피 추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5951A (ko) 2021-03-08 2022-09-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 감쇠를 활용한 인퓨저 수액 부피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14338A (ko) 2022-07-25 2024-02-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 매칭 기반 인퓨저 용액 잔여량 추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947B1 (ko) * 2001-07-06 2004-12-17 주식회사 바이오넷 목표농도 조절 주입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5530553A (ja) * 2002-06-24 2005-10-13 ユニバーシティ・オブ・フロリダ 麻酔時の呼吸ガス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70032058A (ko) * 2004-07-07 2007-03-20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약물 전달 시스템을 위한 투여량 제어
US20120095437A1 (en) * 2008-10-17 2012-04-19 Thomas Hemmerling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 of anesthesi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947B1 (ko) * 2001-07-06 2004-12-17 주식회사 바이오넷 목표농도 조절 주입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5530553A (ja) * 2002-06-24 2005-10-13 ユニバーシティ・オブ・フロリダ 麻酔時の呼吸ガス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70032058A (ko) * 2004-07-07 2007-03-20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약물 전달 시스템을 위한 투여량 제어
US20120095437A1 (en) * 2008-10-17 2012-04-19 Thomas Hemmerling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 of anesthesia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952A (ko) 2021-03-08 2022-09-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차원 바코드를 활용한 인퓨저 용액 부피 추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5951A (ko) 2021-03-08 2022-09-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 감쇠를 활용한 인퓨저 수액 부피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14082037A (zh) * 2021-11-22 2022-02-25 重庆城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同步控制技术的术中监测装置
CN114082037B (zh) * 2021-11-22 2024-04-26 重庆城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同步控制技术的术中监测装置
KR20240014338A (ko) 2022-07-25 2024-02-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 매칭 기반 인퓨저 용액 잔여량 추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20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uring patient medication and fluid delivery at the clinical point of use
US10500340B2 (en) Injection system
AU2015210926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enhancing visualization during insertion of an invasive device
CA2966024A1 (en) Cosmetic and therapeutic injection safety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202303607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uring Patient Medication and Fluid Delivery at the Clinical Point of Use
KR101383060B1 (ko) 인퓨져 자동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