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086B1 -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086B1
KR101382086B1 KR1020120105623A KR20120105623A KR101382086B1 KR 101382086 B1 KR101382086 B1 KR 101382086B1 KR 1020120105623 A KR1020120105623 A KR 1020120105623A KR 20120105623 A KR20120105623 A KR 20120105623A KR 101382086 B1 KR101382086 B1 KR 101382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lth
body part
health state
bat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475A (ko
Inventor
김재욱
전영주
김영민
김종열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5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0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61B5/0079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using mirrors, i.e. for self-ex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1Detecting trem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89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욕실의 영상촬영구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감지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욕실의 반투명 거울 뒷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ANALYZING HEALTH CONDITION OF USER IN BATHROOM}
욕실환경에서 반투명 거울 뒷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하고, 촬영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관심과 더불어, 실시간 데이터 수집에 의한 데이터 분석 방식 및 툴(tool)이 고도화되는 등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개인화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소비자의 의식 변화에 따른 고객 요구의 다양화와 기대수준의 향상으로 건강 서비스 및 관련 시스템 이용의 편리성 및 맞춤화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축적된 개인의 건강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활 습관병 예방이나 체중관리 등의 개인화(personalized) 건강관리 사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는 과거 건강관리 서비스가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이나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질병 치료에만 국한되는 헬스케어(Healthcare)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최근 소비자들의 건강관리 니즈(needs)는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질병의 사전예방 및 건강유지로 선회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결과이다.
즉,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삶의 질(Quality of Life)과 웰빙/wellness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소비자들은 차츰 건강상태 측정, 적정 운동량 관리 등의 사전 예방적인 건강관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신체의 각 부분은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변할 수가 있다. 특히, 사용자의 신체 일부 중에서 안색과 혀의 색상이 건강을 진단하는 주요 요소로서 표준화된 측정을 위한 강인한 조명 조건이 필수이다.
예를 들어, 안면과 혀의 크기, 형태, 및 색상 등의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하다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등의 분석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는, 욕실의 영상촬영구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감지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욕실의 반투명 거울 뒷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싱부는, 거리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의 측정 결과,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싱부는, 미세전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전류 감응형 센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미세전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싱부는, 진동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센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직/간접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부는, 상기 신체 일부에 대한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는,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건강 상태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는, 신체 특징 및 상기 신체 특징에 대응되는 건강 상태가 저장되어 있는 건강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 분석부는,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상기 신체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신체 특징을 이용하여 상기 건강 상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건강 상태를 추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은 욕실의 영상촬영구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욕실의 반투명 거울 뒷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거리측정센서, 미세전류 감응형 센서, 및 진동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직/간접 조명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은,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 신체 특징 및 상기 신체 특징에 대응되는 건강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상기 신체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신체 특징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건강 상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계절, 날씨변화, 측정시각 명암변화 등의 외부환경적 요인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 함으로써, 아침 기상 후나 저녁 취침 전 무화장/양치상태가 자동적으로 충족되어 건강 진단을 위한 안색/혀 촬영의 표준화 상태를 자동으로 충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얼굴 및 혀 영상촬영을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 설치 없이 욕실 거울을 이용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욕실 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 환경에서 거울의 일면에 표시되는 가이드 라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 환경에서 사용자의 안면이 인접하는 거울의 일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계 중에서 촬영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욕실 환경(100)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는 욕실 환경(100)에서 사용자의 안면 또는 혀 등의 신체 일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신체 일부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욕실 환경(100)이라 함은, 계절, 날씨변화, 측정시각 명암변화 등의 외부환경적 요인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조명이 제공되는 환경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가 반드시 욕실 내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외부환경적 요인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조명이 가능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욕실 환경(100)이라 함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분석이 일괄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아침 기상 후나 저녁 취침 전 무화장/양치상태의 환경으로서, 시간적 의미에서의 환경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신체 일부라 함은, 사용자의 안면, 혀, 눈, 및 안색 등,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모든 부위를 통칭하는 용어로 해석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신체 일부를 사용자의 안면 또는 혀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는 얼굴 및 혀 영상촬영을 위해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설치할 필요없이, 욕실 거울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영상촬영을 위한 거울 영역은 반투명 거울, 즉 욕실 내부에서 뒷면이 보이지 않는 거울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는 반투명 거울 뒷면에 엘이디 조명의 가이드라인을 설치하여 촬영 시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촬영 거리와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반투명 거울 뒷면에 엘이디 조명의 가이드 라인을 설치함으로써, 비촬영 시에는 시각적 이질감을 감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는 반투명의 거울뿐만 아니라,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 촬영 거리 및 위치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라인의 경우에도, 엘이디 조명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결국, 일실시예에 따르면, 계절, 날씨변화, 측정시각 명암변화 등의 외부환경적 요인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실시예에 따르면,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 함으로써, 아침 기상 후나 저녁 취침 전 무화장/양치상태가 자동적으로 충족되어 건강 진단을 위한 안색/혀 촬영의 표준화 상태를 자동으로 충족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200)는 욕실환경을 이용하여, 계절, 날씨변화, 측정시각 명암변화 등의 외부환경적 요인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200)는 센싱부(210), 판단부(220), 및 영상 촬영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210)는 욕실의 영상촬영구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210)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혀가 근접(접촉)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영상촬영구역은, 욕실 내에서 영상 촬영부(230)의 촬영이 가능한 구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21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수단, 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210)는 거리측정센서, 미세전류 감응형 센서, 및 진동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210)가 거리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센싱부(210)는 상기 거리측정센서의 측정 결과,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210)가 미세전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센싱부(210)는 상기 미세전류 감응형 센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미세전류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210)가 진동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진동센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부(220)는 상기 감지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부(220)는 사전에 설정된 기준 거리를 유지하고, 센싱부(210)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의 거리가 선정된 기준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거리는, 촬영하는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의 분석이 가능한 거리로서 카메라의 성능, 조명의 특성, 사용자 설정 등의 변수를 적용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부(23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200)는 건강 상태 분석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부(240)는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부(240)는 안면과 혀의 크기, 형태 및 색상의 안정적 추출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촬영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혀로서, 정확한 촬영 정보의 획득을 위해서 정확한 위치에서 촬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200)는 신체 일부에 대한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5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직/간접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안색과 혀의 색상이 건강을 진단하는 주요 요소로서 표준화된 측정을 위한 강인한 조명 조건이 필수이며, 직/간접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250)는 안색과 혀의 색상 확인이 일괄되도록 욕실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부(230)는 조명부(250)를 이용하여, 최적의 촬영 환경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거울을 보며 가이드 라인에 따라 얼굴 위치를 맞추고, 조명부(250)가 표시하는 거리 센싱 점등색이 녹색이 될 때까지 거울까지의 촬영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촬영거리가 부적합할 경우 점등색이 붉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50)는 거리 센싱 알림을 표시하기 위해 LED 가이드라인 등을 활용하거나 독립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부(230)는 얼굴 및 혀 촬영위치에 대해서 사용자의 미세조정 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50)를 이용함으로써, 계절, 날씨변화, 측정시각 명암변화 등의 외부환경적 요인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도록, 도 1에서 설명한 욕실 환경(100)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50)는 반투명 거울의 앞면, 즉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인접한 측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직/간접 조명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50)는 반투명 거울의 뒷면, 즉 직/간접 조명이 설치된 반대 측면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를 위한 광원은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고, 시각적 이질감을 줄이기 위해 비촬영시에는 거울의 뒷면에 설치되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하여 건강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측정거리, 측정위치 및 측정각도의 안정화가 중요하고, 이러한 안정화를 위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촬영 위치를 가이드 하는 조명부(250)의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직/간접 조명의 경우 기존 욕실에 장착되어 있는 실내 조명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익숙한 조명이기 때문에 비촬영시에도 사용자로 하여금 이질감을 느끼지 않게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20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에 기초하여 건강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서 건강 상태 데이터베이스(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데이터베이스(260)는 신체 특징 및 상기 신체 특징에 대응되는 건강 상태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데이터베이스(260)는 혀의 색상 또는 안면의 색상과 그에 따른 건강 상태와 관련한 정보들을 기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혀를 촬영하고, 촬영된 정보로부터 설질과 설질, 설태와 설질, 설태와 설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건강한 혀는 보통 옅은 분홍색 혹은 약간 흰색이 섞인 분홍색을 띠는데, 혀의 등쪽, 즉 입천장과 닿는 쪽 표면의 전체 혹은 넓은 부위에 걸쳐 하얗게 또는 검게 변하거나 털이 난 것처럼 보이는 증상을 설태라고 한다. 설태는 주로 흰색이나 회백색, 혹은 누런 빛을 띠는 흰색인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백태라고 부른다.
또한, 설태가 검게 보이는 경우 흑설 혹은 흑모설이라고 부르는데, 세균이나 곰팡이가 원인인 경우가 많고, 담배나 복용하는 약물에 의해 변색이 되는 경우도 있다. 잘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상피조직이 두꺼워진 경우도 있고, 매우 드물지만 계속 두꺼워지는 경우 설암의 초기 소견인 경우도 있다.
건강 상태 데이터베이스(260)는 이러한 혀의 정보를 신체 특징으로서 기록하고, 혀의 정보와 관련된 건강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200)는 통신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70)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 등으로 건강 상태의 분석에 따른 결과를 전송하는 등, 건강 상태 분석 장치(200)에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 환경에서 거울의 일면에 표시되는 가이드 라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 환경에서 거울의 일면, 즉 거울의 뒷면(300)에는 가이드 라인(310)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라인(310)은 엘이디 조명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안면 및 혀의 크기, 형태, 색상 등의 안정적 추출을 위해 측정거리, 측정위치 및 측정각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즉, 가이드 라인(310)은 사진촬영모드에서 사진촬영 프레임과, 눈, 코, 혀의 위치를 엘이디 조명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반투명 거울 상에서 표시되는 가이드 라인(310)을 확인하면서, 정확한 위치에 자신의 신체 일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가이드 라인(310)을 통해서 안면 중에서 눈의 좌/우 대칭점을 촬영 기준점으로 맞춤으로써 얼굴의 대칭유지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이드 라인(310)을 통해서 표준 혀 대칭점을 제공하여 혀의 좌/우 틀어짐 방지와 혀 내민 길이와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를 이용하면, 계절, 날씨변화, 측정시각 명암변화 등의 외부환경적 요인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장치를 이용하면, 얼굴 및 혀 영상촬영을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 설치 없이 욕실 거울을 이용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 환경에서 사용자의 안면(410)이 인접하는 거울의 일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의 안면(410)은 거울의 일면, 즉 거울의 앞면(400)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거울의 뒷면에 위치하는 가이드 조명을 통해서 표시되는 가이드 라인(420)을 확인하면서, 안면(410)을 최적의 촬영을 위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욕실의 영상촬영구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건강 상태 분석 장치가 사진촬영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거울의 뒷면에 눈, 코, 혀의 촬영 위치에 따라 가이드 라인을 점등할 수 있다(단계 501).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단계 502).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거리측정센서, 미세전류 감응형 센서, 및 진동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욕실의 영상촬영구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설정된 촬영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503).
판단 결과, 설정된 촬영 범위 내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위치하였다면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사용자의 안면에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직/간접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504).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설정된 촬영 범위 내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위치하였다면 사용자가 정확한 촬영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거울 뒷면에 위치하는 가이드 조명을 통해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만약, 판단 결과, 설정된 촬영 범위 내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위치하지 않았다면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단계 502로 분기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거리 측정을 재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 제공되는 조명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할 수 있다(단계 505).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의 건강 상태는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 신체 특징 및 상기 신체 특징에 대응되는 건강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신체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신체 특징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추출하여 분석할 수 있다(단계 506).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분석은 도 6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 등으로 건강 상태의 분석에 따른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507).
도 6은 도 5의 단계 중에서 촬영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촬영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안면 및 혀 영역 추출을 위한 특징점을 검출할 수 있다(단계 601).
다음으로, 단계 601을 통해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촬영되는 사용자의 이미지로부터 안면 영역을 추출하고(단계 602), 혀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단계 607).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추출되는 안면 영역에 대해서 이마, 왼쪽 볼, 오른쪽 볼, 콧잔등 등의 세부 안색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단계 603).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나눠지는 세부 안색 영역에서의 밝기 성분, 붉은색 성분, 푸른색 성분 값들의 평균값 산출하고(단계 604), 산출된 평균값과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사용자 평균 안색 정보 및 안색 표준 건강 값들과 비교할 수 있다(단계 605).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비교 결과를 참고하여 영역별 건강 정보를 종합하여 안색에 의한 건강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단계 606).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촬영되는 사용자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혀 영역을 이용하여 건강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단계 607에서 추출된 혀 영역에서 혀끝, 가운데, 좌/우, 뒤쪽 부위별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단계 608).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분할된 부위별 혀 색깔, 형태, 습윤도, 자세를 추출하고(단계 609), 추출된 특성들을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혀 건강 정보 및 혀 표준 건강 값들과 비교할 수 있다(단계 610).
이에,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영역별 건강 정보를 종합하여 설진에 의한 건강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단계 611).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단계 606 및 단계 611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판단한 건강 수준을 종합하여, 안색과 설진 영상에 의한 건강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단계 612).
이로써,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은 촬영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을 이용하면, 계절, 날씨변화, 측정시각 명암변화 등의 외부환경적 요인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분석 방법을 이용하면,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 함으로써, 아침 기상 후나 저녁 취침 전 무화장/양치상태가 자동적으로 충족되어 건강 진단을 위한 안색/혀 촬영의 표준화 상태를 자동으로 충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건강 상태 분석 장치 210: 센싱부
220: 판단부 230: 영상 촬영부
240: 건강 상태 분석부 250: 조명부
260: 건강 상태 데이터베이스 270: 통신부

Claims (14)

  1. 욕실의 영상촬영구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감지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욕실의 반투명 거울 뒷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미세전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전류 감응형 센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미세전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거리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의 측정 결과,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진동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센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직간접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
    를 더 포함하는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신체 일부에 대한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조명을 제공하는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건강 상태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신체 특징 및 상기 신체 특징에 대응되는 건강 상태가 저장되어 있는 건강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 분석부는,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상기 신체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신체 특징을 이용하여 상기 건강 상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건강 상태를 추출하는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9. 욕실의 영상촬영구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욕실의 반투명 거울 뒷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미세전류 감응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거리측정센서 및 진동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신체 일부가 선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직간접 조명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신체 특징 및 상기 신체 특징에 대응되는 건강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상기 신체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신체 특징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건강 상태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105623A 2012-09-24 2012-09-24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82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623A KR101382086B1 (ko) 2012-09-24 2012-09-24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623A KR101382086B1 (ko) 2012-09-24 2012-09-24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475A KR20140039475A (ko) 2014-04-02
KR101382086B1 true KR101382086B1 (ko) 2014-04-04

Family

ID=5065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623A KR101382086B1 (ko) 2012-09-24 2012-09-24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0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578B1 (ko) * 2020-02-11 2020-09-16 (주)철과비젼 스마트 세정장치, 스마트 세정시스템 및 세장장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3609A (ja) * 2007-12-25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健康管理システム
KR20100108981A (ko) * 2009-03-31 2010-10-08 신광엘리베이터(주) 위험상태 감시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3609A (ja) * 2007-12-25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健康管理システム
KR20100108981A (ko) * 2009-03-31 2010-10-08 신광엘리베이터(주) 위험상태 감시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475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101B1 (ko) 관심 객체에 대한 외부 광원의 속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247497B1 (ko) 환경 적응형 얼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US98753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285624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stimating bilirubin levels
US9875394B2 (en) Skin analysis method, skin analysis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kin analysis device
US9992409B2 (en) Digital mirror apparatus
US11361445B2 (en) Image analysis for detecting mask compliance
KR101301821B1 (ko) 안색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안색 정보를 이용한 건강 상태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건강 분류 함수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2469720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눈의 충혈도 판단 방법
KR20170088174A (ko) 영상 기반의 두피 진단 정보 제공 방법
CN113837145A (zh) 用于产生针对所选择识别文档的符合的面部图像的系统
CN104137028A (zh) 控制被显示图像的旋转的设备和方法
CA3041991C (en)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color of digital image based on the human sclera and pupil
Anping et al. Assessment for facial nerve paralysis based on facial asymmetry
US11730372B2 (en) Accessory device and imaging device
US20240177550A1 (en) Skin reflectance image correction in biometric image capture
KR101382086B1 (ko) 욕실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00121228A1 (en) Bilirubin estimation using sclera color and accessories therefor
US202202876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upillary response
US11872050B1 (en) Image integrity and repeatability system
JP2021056708A (ja) 体毛の計測システム、計測方法、および計測プログラム
van Geel et al. Henry Ford Health System Scholarly Comm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