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943B1 -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943B1
KR101381943B1 KR1020130135544A KR20130135544A KR101381943B1 KR 101381943 B1 KR101381943 B1 KR 101381943B1 KR 1020130135544 A KR1020130135544 A KR 1020130135544A KR 20130135544 A KR20130135544 A KR 20130135544A KR 101381943 B1 KR101381943 B1 KR 101381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call
module
terminal
unnecess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근기
김봉진
Original Assignee
(주)디지털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털이엠씨 filed Critical (주)디지털이엠씨
Priority to KR1020130135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단말기가 구비되는 챔버, 상기 챔버와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에 기지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콜 시뮬레이터, 상기 챔버 및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스펙트럼 분석기, 단말기에 안정 적인 전원을 공급하고, 공급 전원 레벨을 가변하며 테스트를 진행하는 DC-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챔버와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은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와 DC 전원 공급 장치 및 챔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TEST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은 이동체나 보행중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통신을 하거나 또는 고정된 위치에 있는 상대방과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크게 제어국과 기지국 및 이동체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통신은 현재 3세대 이동통신인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이를 장기적으로 진화시킨 LTE(long term evolution)가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공중선 전력, 주파수 허용 편차, 불요발사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테스트는 사람이 수동으로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0476호(2006.07.06.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단말기가 구비되는 챔버, 상기 챔버와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에 기지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콜 시뮬레이터, 상기 챔버 및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스펙트럼 분석기, 단말기에 안정 적인 전원을 공급하고, 공급 전원 레벨을 가변하며 테스트를 진행하는 DC-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챔버와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챔버와 콜 시뮬레이터, 스펙트럼 분석기 및 챔버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손실을 측정하는 케이블 손실 측정 모듈과, 상기 테스트를 제어하는 단말기 측정 모듈, 상기 테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측정 항목 선택 모듈, 및 상기 테스트를 진행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측정 모듈은 최대 출력 측정 모듈, 주파수 오류 측정 모듈,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모듈, 불요발사 측정 모듈,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모듈,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최대 출력 측정 모듈은 상기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RB 로딩 모듈과, 상기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최대 출력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최대 출력 측정 제어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최대 출력 측정 모듈이 상기 단말기의 최대 출력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단말기의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RB 로딩 모듈과 상기 최대 출력 측정 모듈이 상기 단말기의 최대 출력을 재측정하도록 하는 최대 출력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주파수 오류 측정 모듈은 상기 최대 출력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상기 단말기의 주파수 오류를 측정하도록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는 주파수 오류 측정 제어 모듈과,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주파수 오류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주파수 오류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의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주파수 오류 측정을 재측정하도록 하는 주파수 오류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모듈은 상기 최대 출력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상기 단말기의 인접채널 누설비를 측정하도록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는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제어 모듈과,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의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을 재측정하도록 하는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불요발사 측정 모듈은 Nominal 채널의 바로 바깥쪽에 생기는 원하지 않는 방사 신호에 대해서 불요발사를 측정하는 불요발사 I,II,III,IV 측정 모듈, 864MHz ~ 869MHz의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하는 불요발사 V-1, 869MHz ~ 894MHz, 950MHz ~ 960MHz의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하는 불요발사 V-2, LTE Fundamental Signal 이외의 30MHz ~ 1GHz 대역에서 불요발사 측정을 행하는 불요발사 VI-1 측정 모듈, 및 LTE 신호 이외의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하는 불요발사 VI-2 측정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불요발사 I,II,III,IV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불요발사 I,II,III,IV 측정 설정 모듈과, 상기 불요발사 I,II,III,IV에 대한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불요발사 I,II,III,IV에 대한 RB 로딩 모듈, 상기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불요발사 I,II,III,IV 측정을 싱글모드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불요발사 I,II,III,IV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불요발사 I,II,III,IV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I,II,III,IV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불요발사 I,II,III,IV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I,II,III,IV 측정을 재 측정하도록 하는 불요발사 I,II,III,IV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불요발사 V-1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불요발사 V-1 측정 설정 모듈과, 불요발사 V-1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불요발사 V-1 RB 로딩 모듈, 상기 불요발사 V-1 테스트 조건 중 주파수 범위가 상기 불요발사 I, 불요발사 II, 불요발사 III, 불요발사 IV의 측정 주파수 범위와 중복된다면 불요발사 V-1 측정을 종료하는 주파수 매칭 모듈, 상기 불요발사 V-1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불요발사 V-1 측정을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모드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불요발사 V-1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불요발사 V-1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1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불요발사 V-1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1 측정을 재측정하도록 하는 불요발사 V-1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불요발사 V-2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불요발사 V-2 측정 설정 모듈과, 불요발사 V-2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불요발사 V-2 RB 로딩 모듈, 상기 불요발사 V-2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불요발사 V-2 측정을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모드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불요발사 V-2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불요발사 V-2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2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불요발사 V-2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2 측정을 재측정하도록 하는 불요발사 V-2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불요발사 VI-1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불요발사 VI-1 측정 설정 모듈과, 불요발사 VI-1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불요발사 VI-1 RB 로딩 모듈, 상기 불요발사 VI-1 테스트 조건 중 현재 측정하는 밴드가 하이 밴드인지 로우 밴드인지 판단하는 밴드 판단 모듈, 상기 밴드 판단 모듈에서 판단된 밴드가 로우 밴드일 경우, LTE 신호 이외의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불요발사 VI-1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밴드 판단 모듈에서 판단된 밴드가 하이 밴드일 경우,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불요발사 VI-1 측정을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을 10MHz로 확대하고 재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불요발사 VI-1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불요발사 VI-1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불요발사 VI-1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I-1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불요발사 VI-1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I-1 측정을 재측정하도록 하는 불요발사 VI-1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불요발사 VI-2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불요발사 VI-2 측정 설정 모듈과, 불요발사 VI-2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불요발사 VI-2 RB 로딩 모듈, 상기 불요발사 VI-2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불요발사 VI-2 측정을 1GHz의 스팬으로 분할하여 측정하도록 하며,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을 10MHz로 확대하고 재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불요발사 VI-2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불요발사 VI-2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불요발사 VI-2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I-2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불요발사 VI-2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I-2 측정을 재 측정하도록 하는 불요발사 VI-2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설정 모듈과, 상기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에 대한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점유 주파수 대역폭 RB 로딩 모듈, 상기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을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평균값 측정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을 재측정하도록 하는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은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하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 및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하는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설정 모듈과, 상기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에 대한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RB 로딩 모듈, 상기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을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수행하고,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zoom scan span)을 10MHz로 확대하고 재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제어 모듈이 제 1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하기 전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을 종료하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모듈, 제 1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 완료 후 상기 단말기의 통화 재 연결하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설정 모듈과, 상기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에 대한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RB 로딩 모듈, 상기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을 1GHz의 스팬으로 측정한 후,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zoom scan span)을 10MHz로 확대하고 재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제어 모듈이 제 2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하기 전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을 종료하는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모듈, 제 2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 완료 후 상기 단말기의 통화 재 연결하는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 DC-전원 공급장치 및 챔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제어기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측정 항목 선택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케이블 손실 측정 개념도.
도 5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환경 설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방법의 순서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제어기에 대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측정 항목 선택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케이블 손실 측정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SAR 측정을 위한 최대 출력 측정 모듈의 선택 및 환경 설정 도면.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환경 설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0)와, 챔버(100)와 접속된 스펙트럼 분석기(Spectrum Analyzer, 200), 단말기에 기지국을 대신하여 보낸 신호에 따른 측정값을 수신하는 콜 시뮬레이터(Call Simulator, 300), 및 챔버(100)와 콜 시뮬레이터(300) 및 스펙트럼 분석기(200)를 제어하는 제어기(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펙트럼 분석기는 예를 들어, E4440A를 사용할 수 있으며, 콜 시뮬레이터는 CMW50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펙트럼 분석기와 콜 시뮬레이터는 GPIB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단말기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챔버와 스펙트럼 분석기 및 콜 시뮬레이터를 서로 접속시키는 케이블은 분배기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챔버는 단말기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 단말기가 수납되는 챔버 내부는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다. 또한, 챔버에는 단말기를 스펙트럼 분석기와 분석기에 접속시키는 접속 단자가 구비되며, 수납된 단말기를 관찰할 수 있는 관측창이 구비된다. 물론, 챔버는 후술될 제어기에 의해 온도 및 습도가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제어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제어기는 콜 시뮬레이터 및 챔버와 접속되어 콜 시뮬레이터 및 챔버를 제어하여 단말기 측정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항목 선택 모듈(410), 케이블 손실 측정 모듈(420)과,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 주파수 오류 측정 모듈(440),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모듈(450), 불요발사 측정 모듈(460),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모듈(470),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 및 환경 설정 모듈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측정 항목 선택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측정 항목 선택 모듈(4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어떠한 항목을 측정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대한 최대 출력, 주파수 오류, 인접채널 누설비, 불요발사, 점유 주파수 대역폭,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항목 선택 모듈(410)은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측정 항목 선택 모듈(410)에서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모듈만이 활성화된다. 한편, 도 3에서 SEM 측정에 대한 항목은 불요발사 I, II, III, IV에 대한 측정 항목이다. 'Test Items' 항목에서 측정값과 limit&margin 설정값과 비교하여 fail 또는 margin 부족 시 summary file에 작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케이블 손실 측정 개념도이다.
케이블 손실 측정 모듈(420)은 항목 측정을 수행하기 전 케이블 손실을 측정한다. 도 3에서 'Cable Loss Cal.'에 해당하며, 케이블, 즉, 외부 RF 연결 케이블에 대한 손실을 자동으로 측정한다. 여기서, 케이블은 스펙트럼 분석기와 콜 시뮬레이터 및 챔버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을 의미하며,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해당 케이블의 손실을 측정한다. 물론, 실질적인 케이블 손실 측정은 스펙트럼 분석기와 시그널 제너레이터(Signal Generator)를 통해 진행되며, 측정된 케이블 손실은 케이블 손실 측정 이후로 진행될 다양한 측정의 기본 보정값으로 사용된다.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은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최대 출력(max power)을 측정하며, 이를 위해서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은 RB(리소스 블록)를 로딩하는 RB 로딩 모듈과, RB에 따라 단말기의 최대 출력을 측정하도록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는 최대 출력 측정 제어 모듈, 및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은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하고, RB를 로딩하고, 최대 출력을 4회 측정한 후 최대 레벨로 저장한다. 이후,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통해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통화가 연결되어 있으면 최대 출력 측정을 종료하고, 통화가 끊어져 있으면 불안정으로 인해 측정이 실패한 것이므로 통화 연결을 시도한 후 RB를 로딩하여 출력 측정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또한,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은 측정된 최대 출력과 스펙(기준값) 상/하 한계값을 비교하여 통과인지 실패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재검증이 필요할 경우에는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이 자동으로 재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재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결과를 측정자가 볼 수 있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결과를 저장할 경우, 어떠한 측정 항목이며 어떤 채널인지 등 측정 조건에 대해서도 명기하여 추후 재검증 시 측정 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재측정 수행 시 무한반복될 우려가 있으므로, 재측정 횟수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펙값에 대한 마진(margin)값을 설정하여 각 항목의 측정된 값이 스펙 대비 마진이 충분하여 더 이상 검증의 의미가 있는지, 마진이 조금 밖에 없어서 추후에 재검증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이러한 마진값에 의한 재측정 구성은 후술되는 모든 측정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주파수 오류 측정 모듈(440)은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에서 측정된 최대 출력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주파수 오류를 측정한다. 또한, 주파수 오류 측정 중 통화 연결이 종료되면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을 통해 최대 출력을 재측정하고 이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주파수 오류를 재 측정한다. 하지만, 주파수 오류 측정 동안 통화 연결이 유지되어 있었다면 주파수 오류 측정을 종료한다. 이를 위해서, 주파수 오류 측정 모듈(440)은 최대 출력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단말기의 주파수 오류를 측정하도록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는 주파수 오류 측정 제어 모듈과,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주파수 오류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주파수 오류 측정 제어 모듈이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단말기의 주파수 오류 측정을 재측 정하도록 하는 주파수 오류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모듈(450)은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에서 측정된 최대 출력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인접채널 누설비(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LR)를 측정한다. 인접채널 누설비의 측정 역시, 주파수 오류 측정과 같이 측정 중 통화 연결이 종료되면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을 통해 최대 출력을 재측정하고 이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인접채널 누설비를 재 측정한다. 하지만,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동안 통화 연결이 유지되어 있었다면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이므로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을 종료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모듈(450)은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는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제어 모듈과,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불요발사 측정 모듈(460)은 단말기의 불요발사를 측정하며, 불요발사 I 측정 모듈(462), 불요발사 II 측정 모듈(463), 불요발사 III 측정 모듈(464), 불요발사 IV 측정 모듈(465), 불요발사 V-1 측정 모듈(466), 불요발사 V-2 측정 모듈(467), 불요발사 VI-1 측정 모듈(468) 및 불요발사 VI-2 측정 모듈(469)을 포함한다.
불요발사 측정 모듈(460) 중 불요발사 I 측정 모듈(462)과 불요발사 II 측정 모듈(463), 불요발사 III 측정 모듈(464) 및 불요발사 IV 측정 모듈(465)은 불요발사 측정 설정 모듈을 통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한다. 이후, RB 로딩 모듈을 통해 RB를 로딩하고 불요발사 측정 제어 모듈을 통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제어하여 싱글모드(single mode) 측정 후 결과 저장 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한다. 측정 결과는 수치 및 이미지로 저장된다. 이후, 불요발사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통해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통화가 연결되어 있으면 최대 출력 측정을 종료하고, 통화가 끊어져 있으면 통화 연결을 시도한 후 RB를 로딩한 후 불요발사 측정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불요발사 V-1 측정 모듈(466)은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하는 불요발사 V-1 측정 설정 모듈과, 해당 신호가 이전에 측정한 주파수 범위에 포함된다면 중복 측정이므로 이전 측정한 주파수 범위와 측정할 주파수 범위를 비교하여 중복일 경우 불요발사 V-1 측정을 종료하는 주파수 매칭 모듈, 해당 신호가 이전에 측정한 주파수 범위가 아니라면 RB를 로딩하는 불요발사 V-1 RB 로딩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RB에서 특정 항목만을 선택하여 로딩하거나, 모든 항목을 로딩할 수 있다. RB를 로딩한 후 불요발사 V-1 측정 제어 모듈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제어하여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모드로 측정하도록 한다. 또한, 측정된 결과 데이터와 결과 이미지를 불요발사 V-1 결과 저장 모듈을 통해 저장한다. 물론, 전술된 실시 예에서는 스윕 0.1s 모드로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윕 모드의 시간은 조건, 예를 들어, 장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불요발사 V-2 측정 모듈(467)은 950MHz ~ 960MHZ 및 869MHz ~ 894MHz의 대역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불요발사 V-2 측정 모듈(467)은 불요발사 V-2 측정 설정 모듈을 통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V-2 모드로 설정하고,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한다. 이후, RB 로딩 모듈로 RB를 로딩하여 950MHz ~ 960M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를 측정한다. 이때, 불요발사 V-2 측정 제어 모듈은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제어하여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모드로 측정한다. 여기서, 밴드 8과 밴드 20일 경우, LTE 신호 이외의 869 ~ 894MHz 대역을 측정하며, 밴드 8과 밴드 20 이외의 밴드일 경우, 869MHz ~ 894MHz 대역을 측정한다. 두 경우 모두 측정 후 결과 데이터를 불요발사 V-2 결과 저장 모듈을 통해 저장하고 결과를 이미지로 저장한다. 또한, 불요발사 V-2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통해 통화 연결이 종료되어 있을 경우에는 RB 로딩부터 불요발사 V-2 측정을 재수행하며, 통화 연결이 되어 있을 경우 측정을 종료한다.
불요발사 VI-1 측정 모듈(468)은 30MHz ~ 1GHz 대역과 LTE 싱글 이외의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불요발사 VI-1 측정 모듈(468)은 불요발사 VI-1 측정 설정 모듈을 통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VI-1 모드로 설정하고,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한다. 이후, 불요발사 VI-1 RB 로딩 모듈로 일부 측정 항목 또는 모든 항목을 선택하여 RB를 로딩하고, 밴드가 하이인지 로우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측정 밴드(Band)의 반송 주파수(Carrier Frequency)가 1GHz 이하이면 로우 밴드, 이상이면 하이 밴드로 판단한다. 또한, 밴드 판단 모듈을 통해 로우 밴드일 경우, LTE 신호 이외의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측정한다. 하지만, 밴드가 하이 밴드 일 경우,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측정을 수행한다. 측정은 불요발사 VI-1 측정 제어 모듈이 콜 시뮬레이터 및 스펙트럼 분석기를 제어하여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zoom scan span)을 10MHz로 확대하고 재 측정하여 불요발사 VI-1 결과 저장 모듈을 통해 결과 데이터 및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때, 불요발사 VI-1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은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통화 연결이 되어 있으면 측정을 종료하고, 통화 연결이 끊어져 있으면 RB 로딩부터 측정을 재 수행한다.
불요발사 VI-2 측정 모듈(469)은 LTE 신호 이외의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불요발사 VI-2 측정 모듈(469)는 불요발사 VI-2 측정 설정 모듈을 통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VI-2 모드로 설정하고,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한다. 이후, 불요발사 VI-2 RB 로딩 모듈이 일부 측정 항목 또는 모든 항목을 선택하여 RB를 로딩하고, 불요발사 VI-2 측정 제어 모듈이 콜 시뮬레이터 및 스펙트럼 분석기를 제어하여 LTE 신호 이외의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측정은 1GHz의 스팬(span)으로 분할하여 측정하며,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zoom scan span)을 10MHz로 확대하고 재 측정하여 불요발사 VI-2 결과 저장 모듈이 결과 데이터 및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때, 불요발사 VI-2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은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통화 연결이 되어 있으면 측정을 종료하고, 통화 연결이 끊어져 있으면 RB 로딩부터 측정을 재 수행한다.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모듈(470)은 점유 주파수 대역폭을 측정하기 위해서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설정 모듈을 통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점유 주파수 대역폭(Occupied BandWidth, OBW) 모드로 설정하고,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한다. 이후, 점유 주파수 대역폭 RB 로딩 모듈을 통해 RB를 로딩 한다. 여기서, RB에서 특정 항목만을 선택하여 로딩하거나, 모든 항목을 로딩 할 수 있다. RB를 로딩한 후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제어 모듈은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제어하여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후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결과 저장 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측정 결과를 이미지로 저장한다. 물론,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통해 측정 후 통화 연결을 확인한 후 통화 연결이 되어 있으면 측정을 종료하고, 통화 연결이 되어 있지 않으면 RB로딩부터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을 재 실시한다.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480)은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은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과,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을 포함한다.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481)은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부차적 전파 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하고, RB를 로딩 한다. 여기서, RB에서 특정 항목만을 선택하여 로딩하거나, 모든 항목을 로딩할 수 있다. RB를 로딩한 후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측정은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zoom scan span)을 10MHz로 확대하고 재 측정하여 결과 데이터 및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결과를 저장한 후 단말기를 통화 재 연결한다.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484)은 주파수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부차적 전파 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모드로 설정한다. 이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하고, RB를 로딩한다. 여기서, RB에서 특정 항목만을 선택하여 로딩하거나, 모든 항목을 로딩할 수 있다. RB를 로딩한 후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이때, 스팬(span)은 1GHz로 분할하여 러프하게 측정한다. 또한, 측정은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스캔 스팬(scan span)을 10MHz로 확대하여 정밀하게 재 측정하여 결과 데이터 및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결과를 저장한 후 단말기를 통화 재 연결한다.
도 5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환경 설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환경 설정 모듈(490)은 테스트를 진행하는 조건을 설정한다. 여기서, 조건, 즉, 환경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범위인 테스트 밴드,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케이블 손실값과 단말기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손실값, 통화 연결을 위한 장비 셋팅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SING CAL FILE' 활성화 시에 미리 저장된 연결 설정에 대한 손실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주파수에 대한 손실을 로딩하여 SA&CMW에 적용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의 온도와 전압값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에서 활성화(밝은 녹색)된 전압값으로 자동으로 장비를 조정하여 자동으로 반복 측정한다. 이때, 설정된 전압값, 즉 측정 전압을 자동으로 가변하여 반복 측정을 수행한다.
더욱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결과 파일을 저장하는 경로와 파일명 및 측정 시료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환경은 지정된 엑셀 파일(Excel file)에 항목별로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와 DC 전원 공급 장치 및 챔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을 하는 단계(S1)와, 케이블 손실을 측정하는 단계(S2)와, 단말기를 측정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환경설정을 하는 단계(S1)는 제어기의 환경설정 모듈로 단말기 측정 환경설정을 수행한다. 이는, 단말기 측정 항목, 예를 들어, 인접채널 누설비, 불요발사 등의 측정에 필요한 환경을 설정하는 것이며, 여기서 환경은 테스트 밴드,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환경은 지정된 엑셀 파일(Excel file)에 항목별로 저장된다.
케이블 손실을 측정하는 단계(S2)는 케이블 손실 측정 모듈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에 케이블 손실 측정한다.
단말기를 측정하는 단계(S3)는 측정 항목 설정 모듈을 통해 측정하고자 하는 항목에 대해서 단말기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서, 단말기를 측정하는 단계(S3)는 최대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S3-1)와, 주파수 오류를 측정하는 단계(S3-2), 인접채널 누설비를 측정하는 단계(S3-3), 불요발사를 측정하는 단계(S3-4), 점유 주파수 대역폭을 측정하는 단계(S3-5),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하는 단계(S3-6)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를 측정하는 단계(S3)의 하위 단계는 측정 항목 설정 모듈에서 선택된 항목만 진행된다. 물론, 측정 항목 설정 모듈에서 모든 측정 항목을 선택하였다면, 단말기를 측정하는 단계(S3) 내의 모든 단계가 수행된다.
최대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S3-1)는 단말기의 최대 출력을 측정하며, 이를 위해서 최대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S3-1)는 우선, 최대 출력 측정 모듈이 콜 시뮬레이터를 최대 출력 측정 모드로 변경한다. 이후, 최대 출력 측정 모듈은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하고, RB를 로딩하고, 최대 출력을 4회 측정한 후 최대 레벨로 저장한다. 또한,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통해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통화가 연결되어 있으면 최대 출력 측정을 종료하고, 통화가 끊어져 있으면 불안정으로 인해 측정이 실패한 것이므로 통화 연결을 시도한 후 RB를 로딩하여 출력 측정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주파수 오류를 측정하는 단계(S3-2)는 최대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S3-1)에서 측정된 최대 출력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주파수 오류 측정 모듈이 주파수 오류를 측정한다. 또한, 주파수 오류 측정 중 통화 연결이 종료되면 최대 출력 측정 모듈을 통해 최대 출력을 재측정하고 이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주파수 오류를 재 측정한다. 하지만, 주파수 오류 측정 동안 통화 연결이 유지되어 있었다면 주파수 오류 측정을 종료한다.
인접채널 누설비를 측정하는 단계(S3-3)는 최대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S3-1)에서 측정된 최대 출력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모듈이 인접채널 누설비를 측정한다. 인접채널 누설비의 측정 역시, 주파수 오류 측정과 같이 측정 중 통화 연결이 종료되면 최대 출력 측정 모듈을 통해 최대 출력을 재측정하고 이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인접채널 누설비를 재 측정한다. 하지만,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동안 통화 연결이 유지되어 있었다면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이므로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을 종료한다.
불요발사를 측정하는 단계(S3-4)는 단말기의 불요발사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불요발사 I을 측정하는 단계(S3-4-1), 불요발사 II를 측정하는 단계(S3-4-2), 불요발사 III을 측정하는 단계(S3-4-3), 불요발사 IV를 측정하는 단계(S3-4-4), 불요발사 V-1을 측정하는 단계(S3-4-5), 불요발사 V-2를 측정하는 단계(S3-4-6), 불요발사 VI-1을 측정하는 단계(S3-4-7) 및 불요발사 VI-2를 측정하는 단계(S3-4-8)를 포함한다.
불요발사 I을 측정하는 단계(S3-4-1)는 불요발사 I 측정 모듈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한다. 이후, RB를 로딩하고 싱글모드(single mode) 측정 후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통해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통화가 연결되어 있으면 최대 출력 측정을 종료하고, 통화가 끊어져 있으면 통화 연결을 시도한 후 RB를 로딩한 후 불요발사 측정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또한, 불요발사 II를 측정하는 단계(S3-4-2)와 불요발사 III을 측정하는 단계(S3-4-3)와 불요발사 IV을 측정하는 단계(S3-4-4) 역시 이와 같다.
불요발사 V-1을 측정하는 단계(S3-4-5)는 불요발사 V-1 측정 모듈이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한다. 이때, 해당 신호가 이전에 측정한 주파수 범위에 포함된다면 중복 측정이므로 불요발사 V-1 측정을 종료한다. 하지만, 해당 신호가 이전에 측정한 주파수 범위가 아니라면, RB를 로딩한다. 여기서, RB에서 특정 항목만을 선택하여 로딩하거나, 모든 항목을 로딩할 수 있다. RB를 로딩한 후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모드로 측정한다. 또한, 측정된 결과 데이터와 결과 이미지를 저장한다.
불요발사 V-2를 측정하는 단계(S3-4-6)는 불요발사 V-2 측정 모듈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V-2 모드로 설정하고,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한다. 이후, RB를 로딩하여 950MHz ~ 960M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를 측정한다. 이때,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모드로 측정한다. 여기서, 밴드 8과 밴드 20일 경우, LTE 신호 이외의 869 ~ 894MHz 대역을 측정하며, 밴드 8과 밴드 20 이외의 밴드일 경우, 869MHz ~ 894MHz 대역을 측정한다. 두 경우 모두 측정 후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결과를 이미지로 저장한다. 또한, 통화 연결이 종료되어 있을 경우에는 RB 로딩부터 불요발사 V-2 측정을 재수행하며, 통화 연결이 되어 있을 경우 측정을 종료한다.
불요발사 VI-1을 측정하는 단계(S3-4-7)는 불요발사 VI-1 측정 모듈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VI-1 모드로 설정하고,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한다. 이후, 일부 측정 항목 또는 모든 항목을 선택하여 RB를 로딩하고, 밴드가 하이인지 로우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로우 밴드일 경우, LTE 신호 이외의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측정한다. 하지만, 밴드가 하이 밴드 일 경우,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측정을 수행한다. 측정은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zoom scan span)을 10MHz로 확대하고 재 측정하여 결과 데이터 및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때,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통화 연결이 되어 있으면 측정을 종료하고, 통화 연결이 끊어져 있으면 RB 로딩부터 측정을 재 수행한다.
불요발사 VI-2를 측정하는 단계(S3-4-8)는 불요발사 VI-2 측정 모듈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VI-2 모드로 설정하고,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한다. 이후, 일부 측정 항목 또는 모든 항목을 선택하여 RB를 로딩하고, LTE 신호 이외의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측정은 1GHz의 스팬(span)으로 분할하여 측정하며,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zoom scan span)을 10MHz로 확대하고 재 측정하여 결과 데이터 및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때,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통화 연결이 되어 있으면 측정을 종료하고, 통화 연결이 끊어져 있으면 RB 로딩부터 측정을 재 수행한다.
점유 주파수 대역폭을 측정하는 단계(S3-5)는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모듈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점유 주파수 대역폭(Occupied BandWidth, OBW) 모드로 설정한다. 이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하고, RB를 로딩 한다. 여기서, RB에서 특정 항목만을 선택하여 로딩하거나, 모든 항목을 로딩할 수 있다. RB를 로딩한 후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후 데이터를 저장하고, 측정 결과를 이미지로 저장한다. 물론, 측정 후 통화 연결을 확인한 후 통화 연결이 되어 있으면 측정을 종료하고, 통화 연결이 되어 있지 않으면 RB 로딩부터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을 재 실시한다.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하는 단계(S3-6)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하는 단계(S3-6-1)와 제 2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하는 단계(S3-6-2)를 포함한다.
제 1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하는 단계(S3-6-1)는 주파수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부차적 전파 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모드로 설정한다. 이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하고, RB를 로딩한다. 여기서, RB에서 특정 항목만을 선택하여 로딩하거나, 모든 항목을 로딩할 수 있다. RB를 로딩한 후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측정은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zoom scan span)을 10MHz로 확대하고 재측정하여 결과 데이터 및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결과를 저장한 후 단말기를 통화 재 연결한다.
제 2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하는 단계(S3-6-2)는 주파수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모드로 설정한다. 이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하고, RB를 로딩한다. 여기서, RB에서 특정 항목만을 선택하여 로딩하거나, 모든 항목을 로딩할 수 있다. RB를 로딩한 후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이때, 스팬(span)은 1GHz로 분할하여 러프하게 측정한다. 또한, 측정은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후 피크(peak) 지점에서 스캔 스팬(scan span)을 10MHz로 확대하여 정밀하게 재 측정하여 결과 데이터 및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결과를 저장한 후 단말기를 통화 재 연결한다.
다음은 WCDMA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11은 콜 시뮬레이터로 CMU200을 사용했을 경우이며, 도 12는 콜 시뮬레이터로 8960을 사용한 경우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은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0)와, 챔버(100)와 접속된 스펙트럼 분석기(200), 단말기에 기지국을 대신하여 보낸 신호에 따른 측정값을 수신하는 콜 시뮬레이터(300), 및 챔버(100)와 콜 시뮬레이터(300) 및 스펙트럼 분석기(200)를 제어하는 제어기(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챔버(100)와 스펙트럼 분석기(200) 및 콜 시뮬레이터(300)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제어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제어기(400)는 콜 시뮬레이터 및 챔버와 접속되어 콜 시뮬레이터 및 챔버를 제어하여 단말기 측정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항목 선택 모듈(410), 케이블 손실 측정 모듈(420)과,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 최소 출력 측정 모듈, 불요 발사 측정 모듈,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모듈, 인접채널 선택도 측정 모듈, 수신기 차단 특성 측정 모듈, 수신기 상호변조 특성 측정 모듈, 수신기 불요 발사 측정 모듈 및 환경설정 모듈을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측정 항목 선택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측정 항목 선택 모듈(41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어떠한 항목을 측정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대한 최대 출력, 주파수 오류, 인접채널 누설비, 불요발사, 점유 주파수 대역폭,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항목 선택 모듈(410)은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측정 항목 선택 모듈(410)에서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모듈만이 활성화된다. 한편, 도 14에서 SEM 측정에 대한 항목은 불요발사 I, II, III, IV에 대한 측정 항목이다. 'Test Items' 항목에서 측정값과 limit&margin 설정값과 비교하여 fail 또는 margin 부족 시 summary file에 작성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케이블 손실 측정 개념도이다.
케이블 손실 측정 모듈(420)은 항목 측정을 수행하기 전 케이블 손실을 측정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케이블은 스펙트럼 분석기와 콜 시뮬레이터 및 챔버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을 의미하며,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해당 케이블의 손실을 측정한다. 물론, 실질적인 케이블 손실 측정은 스펙트럼 분석기와 시그널 제너레이터(Signal Generator)를 통해 진행되며, 측정된 케이블 손실은 케이블 손실 측정 이후로 진행될 다양한 측정의 기본 보정값으로 사용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SAR 측정을 위한 최대 출력 측정 모듈의 선택 및 환경 설정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WCDMA/HSDPA POWER를 측정하고 추가 측정 밴드를 반복 측정할지를 설정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은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최대 출력(max power)을 측정하며, 이를 위해서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은 단말기의 최대 출력을 측정하도록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는 최대 출력 측정 제어 모듈, 및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은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하고, 최대 출력을 4회 측정한 후 최대 레벨로 저장하며 8960 스크린 캡처 또는 CMU200 테스트 로그를 저장한다. 이후,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통해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통화가 연결되어 있으면 최대 출력 측정을 종료하고, 통화가 끊어져 있으면 불안정으로 인해 측정이 실패한 것이므로 통화 연결을 시도한 후 출력 측정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주파수 오류 측정 모듈(440)은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에서 측정된 최대 출력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주파수 오류를 측정한다. 또한, 주파수 오류 측정 중 통화 연결이 종료되면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을 통해 최대 출력을 재측정하고 이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주파수 오류를 재 측정한다. 하지만, 주파수 오류 측정 동안 통화 연결이 유지되어 있었다면 주파수 오류 측정을 종료한다. 이를 위해서, 주파수 오류 측정 모듈(440)은 최대 출력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단말기의 주파수 오류를 측정하도록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는 주파수 오류 측정 제어 모듈과,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주파수 오류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주파수 오류 측정 제어 모듈이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단말기의 주파수 오류 측정을 재 측정하도록 하는 주파수 오류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모듈(450)은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에서 측정된 최대 출력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인접채널 누설비를 측정한다. 인접채널 누설비의 측정 역시, 주파수 오류 측정과 같이 측정 중 통화 연결이 종료되면 최대 출력 측정 모듈(430)을 통해 최대 출력을 재측정하고 이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인접채널 누설비를 재 측정한다. 하지만,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동안 통화 연결이 유지되어 있었다면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이므로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을 종료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모듈(450)은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는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제어 모듈과,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불요발사 측정 모듈(460)은 단말기의 불요발사를 측정하며, 불요발사 I 측정 모듈(462), 불요발사 II 측정 모듈(463), 불요발사 III 측정 모듈(464), 불요발사 IV 측정 모듈(465), 불요발사 V-1 측정 모듈(466), 불요발사 V-2 측정 모듈(467), 불요발사 V-3 측정 모듈(468a) 및 불요발사 V-4 측정 모듈(469b)을 포함한다.
불요발사 측정 모듈(460) 중 불요발사 I 측정 모듈(462)과 불요발사 II 측정 모듈(463), 불요발사 III 측정 모듈(464) 및 불요발사 IV 측정 모듈(465)은 불요발사 측정 설정 모듈을 통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한다. 이후, 불요발사 측정 제어 모듈을 통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제어하여 싱글모드(single mode) 측정 후 결과 저장 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한다. 측정 결과는 수치 및 이미지로 저장된다. 이후, 불요발사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통해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통화가 연결되어 있으면 최대 출력 측정을 종료하고, 통화가 끊어져 있으면 통화 연결을 시도한 후 불요발사 측정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불요발사 측정 모듈(460) 중 불요발사 V-1 측정 모듈(466)과 불요발사 V-2 측정 모듈(467) 및 불요발사 V-3 측정 모듈(468a)은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하며 각 측정 항목 별 sweep time, point, Ref Level, RBW, Start/Stop 주파수를 설정하는 불요발사 V-1,2,3 측정 설정 모듈과, 불요발사 V-1,2,3 측정을 제어하는 불요발사 V-1,2,3 측정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불요발사 V-1,2,3 측정 제어 모듈은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제어하여 RMS Deteck Mode로 측정하도록 한다. 또한, 측정된 결과 데이터와 결과 이미지를 불요발사 V-1,2,3 결과 저장 모듈을 통해 저장한다. 여기서, 불요발사 V-1,2,3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통해 통화 연결이 종료되어 있을 경우에는 불요발사 V-1,2,3 측정을 재수행하며, 통화 연결이 되어 있을 경우 측정을 종료한다.
불요발사 V-4 측정 모듈(468b)은 WCDMA 신호 이외의 1GHz ~ 12.75GHz 대역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불요발사 V-4 측정 모듈(468b)은 불요발사 V-4 측정 설정 모듈을 통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V-4 모드로 설정하고,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한다. 이후, WCDMA 신호 이외의 1GHz ~ 12.75GHz 대역폭에 대해서 불요발사를 측정한다. 이때, 이때, 스팬(span)은 1GHz로 분할하여 러프하게 측정한다. 또한, 측정은 맥스 홀드 모드(Max Hold Mode) 측정 후 피크 지점에서 줌 스캔(Zoom Scan) 및 스윕 타임(Sweep Time)을 1s로 변경한 후 재 측정하여 결과 데이터 및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결과를 저장한 후 불요발사 V-4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통해 통화 연결이 종료되어 있을 경우에는 불요발사 V-4 측정을 재수행하며, 통화 연결이 되어 있을 경우 측정을 종료한다.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모듈(470)은 점유 주파수 대역폭을 측정하기 위해서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설정 모듈을 통해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점유 주파수 대역폭(Occupied BandWidth, OBW) 모드로 설정하고,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한다. 이후,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제어 모듈은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점유 주파수 대역폭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 저장 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측정 결과를 이미지로 저장한다. 이는 8960 스크린 캡처 또는 CMU200 테스트 로그 저장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통해 측정 후 통화 연결을 확인한 후 통화 연결이 되어 있으면 측정을 종료하고, 통화 연결이 되어 있지 않으면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을 재 실시한다.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480)은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은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과, 제 4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을 포함한다.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481)은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모드로 설정한다. 이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하고, 통화 연결을 종료한 후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481)은 각 측정 항목 별 sweep time, point, Ref Level, RBW, Start/Stop 주파수를 설정하는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설정 모듈과,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을 제어하는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측정된 결과 데이터와 결과 이미지를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결과 저장 모듈을 통해 저장한다. 또한,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이 완료된 후 통화를 재 연결한다.
제 4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484)은 주파수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부차적 전파 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모드로 설정한다. 이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하고, 통화 연결을 종료한 후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한다. 이때, 스팬(span)은 1GHz로 분할하여 러프하게 측정한다. 또한, 측정은 맥스 홀드 모드(Max Hold Mode) 측정 후 피크 지점에서 줌 스캔(Zoom Scan) 스팬을 10MHz로 변경한 후 재 측정하여 결과 데이터 및 이미지를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통화를 재 연결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전술된 실시예와 같이, 환경 설정 모듈(49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의 환경 설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환경 설정 모듈(490)은 테스트를 진행하는 조건을 설정한다. 여기서, 조건, 즉, 환경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범위인 테스트 밴드,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케이블 손실값과 단말기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손실값, 통화 연결을 위한 장비 셋팅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U200와 8960에 대한 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의 온도와 전압값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결과 파일을 저장하는 경로와 파일명 및 측정 시료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환경은 지정된 엑셀 파일(Excel file)에 항목별로 저장된다.
더욱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결과 파일을 저장하는 경로와 파일명 및 측정 시료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환경은 지정된 엑셀 파일(Excel file)에 항목별로 저장된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 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온도 챔버 200: 스펙트럼 분석기
300: 콜 시뮬레이터 400: 제어기
500: 전원공급기 600: 분배기

Claims (20)

  1. 내부에 단말기가 구비되는 챔버,
    상기 챔버와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에 기지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콜 시뮬레이터,
    상기 챔버 및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스펙트럼 분석기,
    상기 단말기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고, 공급 전원 레벨을 가변하며 테스트를 진행하는 DC-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챔버와 상기 콜 시뮬레이터, 상기 DC-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챔버와 콜 시뮬레이터, 스펙트럼 분석기 및 챔버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손실을 측정하는 케이블 손실 측정 모듈과, 상기 테스트를 제어하는 단말기 측정 모듈, 상기 테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측정 항목 선택 모듈, 및 상기 테스트를 진행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측정 모듈은 최대 출력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최대 출력 측정 모듈은, 상기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RB(리소스 블록) 로딩 모듈과, 상기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최대 출력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최대 출력 측정 제어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최대 출력 측정 모듈이 상기 단말기의 최대 출력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단말기의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RB 로딩 모듈과 상기 최대 출력 측정 모듈이 상기 단말기의 최대 출력을 재 측정하도록 하는 최대 출력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측정 모듈은 주파수 오류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오류 측정 모듈은,
    상기 최대 출력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상기 단말기의 주파수 오류를 측정하도록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는 주파수 오류 측정 제어 모듈과,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주파수 오류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주파수 오류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의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주파수 오류 측정을 재 측정하도록 하는 주파수 오류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측정 모듈은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모듈은,
    상기 최대 출력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상기 단말기의 인접채널 누설비를 측정하도록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는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제어 모듈과,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의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을 재 측정하도록 하는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측정 모듈은 불요발사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불요발사 측정 모듈은,
    Nominal 채널의 바로 바깥쪽에 생기는 원하지 않는 방사 신호에 대해서 불요발사를 측정하는 불요발사 I,II,III,IV 측정 모듈,
    864MHz ~ 869MHz의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하는 불요발사 V-1 측정 모듈,
    869MHz ~ 894MHz, 950MHz ~ 960MHz의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하는 불요발사 V-2 측정 모듈,
    LTE Fundamental Signal 이외의 30MHz ~ 1GHz 대역에서 불요발사 측정을 행하는 불요발사 VI-1 측정 모듈, 및
    LTE 신호 이외의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하는 불요발사 VI-2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불요발사 I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불요발사 I,II,III,IV 측정 설정 모듈과,
    상기 불요발사 I,II,III,IV 에 대한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불요발사 I,II,III,IV RB 로딩 모듈,
    상기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불요발사 I,II,III,IV 측정을 싱글모드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불요발사 I,II,III,IV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불요발사 I,II,III,IV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I,II,III,IV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불요발사 I,II,III,IV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I,II,III,IV 측정을 재 측정하도록 하는 불요발사 I,II,III,IV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불요발사 V-1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불요발사 V-1 측정 설정 모듈과,
    불요발사 V-1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불요발사 V-1 RB 로딩 모듈,
    상기 불요발사 V-1 테스트 조건 중 주파수 범위가 상기 불요발사 I, 불요발사 II, 불요발사 III, 불요발사 IV의 측정 주파수 범위와 중복된다면 불요발사 V-1 측정을 종료하는 주파수 매칭 모듈,
    상기 불요발사 V-1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불요발사 V-1 측정을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모드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불요발사 V-1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불요발사 V-1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I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불요발사 V-I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I 측정을 재측정하도록 하는 불요발사 V-I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불요발사 V-2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불요발사 V-2 측정 설정 모듈과,
    불요발사 V-2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불요발사 V-2 RB(리소스 블록) 로딩 모듈,
    상기 불요발사 V-2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불요발사 V-2 측정을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모드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불요발사 V-2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불요발사 V-2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2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불요발사 V-2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2 측정을 재 측정하도록 하는 불요발사 V-2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불요발사 VI-1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불요발사 VI-1 측정 설정 모듈과,
    불요발사 VI-1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불요발사 VI-1 RB(리소스 블록) 로딩 모듈,
    상기 불요발사 VI-1 테스트 조건 중 밴드가 하이 밴드인지 로우 밴드인지 판단하는 밴드 판단 모듈,
    상기 밴드 판단 모듈에서 판단된 밴드가 로우 밴드일 경우, LTE 신호 이외의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불요발사 VI-1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밴드 판단 모듈에서 판단된 밴드가 하이 밴드일 경우,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불요발사 VI-1 측정을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을 10MHz로 확대하고 재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불요발사 VI-1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불요발사 VI-1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불요발사 VI-1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I-1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불요발사 VI-1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I-1 측정을 재 측정하도록 하는 불요발사 VI-1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불요발사 VI-2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불요발사 VI-2 측정 설정 모듈과,
    불요발사 VI-2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불요발사 VI-2 RB 로딩 모듈,
    상기 불요발사 VI-2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불요발사 VI-2 측정을 1GHz의 스팬으로 분할하여 측정하도록 하며,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을 10MHz로 확대하고 재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불요발사 VI-2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불요발사 VI-2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불요발사 VI-2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I-2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불요발사 VI-2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불요발사 VI-2 측정을 재 측정하도록 하는 불요발사 VI-2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측정 모듈은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설정 모듈과,
    상기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에 대한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점유 주파수 대역폭 RB 로딩 모듈,
    상기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을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을 재 측정하도록 하는 점유 주파수 대역폭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측정 모듈은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은,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하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 및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불요발사 측정을 수행하는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설정 모듈과,
    상기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에 대한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RB(리소스 블록) 로딩 모듈,
    상기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을 30MHz ~ 1GHz 대역에 대해서 수행하고,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zoom scan span)을 10MHz로 확대하고 재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제어 모듈이 제 1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하기 전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을 종료하는 제 1 부차적 전파발사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설정 모듈과,
    상기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에 대한 테스트 조건을 로딩하는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RB(리소스 블록) 로딩 모듈,
    상기 테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을 1GHz의 스팬으로 측정한 후, RMS Deteck Mode로 평균 100회 측정 및 스윕(sweep) 0.1s 후 피크(peak) 지점에서 줌 스캔 스팬(zoom scan span)을 10MHz로 확대하고 재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제어 모듈이 제 2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하기 전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을 종료하는 제 2 부차적 전파발사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측정 모듈은 불요발사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불요발사 측정 모듈은 불요발사 V-1 측정 모듈과 불요발사 V-2 측정 모듈 및 불요발사 V-3 측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불요 발사 V-1 측정 모듈과 불요발사 V-2 측정 모듈 및 불요발사 V-3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 채널로 통화 채널을 전환(hand-off)하며 각 측정 항목 별 sweep time, point, Ref Level, RBW, Start/Stop 주파수를 설정하는 불요발사 V-1,2,3 측정 설정 모듈과, 불요발사 V-1,2,3 측정을 제어하는 불요발사 V-1,2,3 측정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측정 모듈은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모듈은,
    상기 최대 출력에 따른 최대 레벨에서 상기 단말기의 인접채널 누설비를 측정하도록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는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제어 모듈과,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콜 시뮬레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제어 모듈이 상기 콜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의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의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을 재 측정하도록 하는 인접채널 누설비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측정 모듈은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은,
    제 1, 2, 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과,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제 4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고 각 측정 항목별 sweep time, point, Ref Level, RBW, Start/Stop 주파수를 설정하는 제 1, 2, 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설정 모듈과,
    상기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을 제어하는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제어 모듈, 및
    상기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이 완료된 후 통화를 재 연결하는 제 1,2,3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 4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모듈은,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불요발사 측정 모드로 설정한 후 콜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테스트 채널로 전환(hand-off)하는 제 4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설정 모듈과,
    상기 콜 시뮬레이터 및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가 1GHz ~ 12.75GHz 대역에 대해서 제 4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을 1GHz의 스팬으로 맥스 홀드 모드(Max Hold Mode) 측정 후, 피크 지점에서 줌 스캔(Zoom Scan) 스팬을 10MHz로 변경한 후 재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 4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제어 모듈,
    상기 콜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의 제 4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결과를 수치와 이미지로 저장하는 제 4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결과 저장 모듈, 및
    상기 제 4 부차적 전파발사 측정 제어 모듈이 제 4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하기 전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제 4 부차적 전파발사를 측정한 후 통화를 재 연결하는 제 4 부차적 전파발사 통화 연결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KR1020130135544A 2013-11-08 2013-11-08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KR10138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544A KR101381943B1 (ko) 2013-11-08 2013-11-08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544A KR101381943B1 (ko) 2013-11-08 2013-11-08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943B1 true KR101381943B1 (ko) 2014-04-07

Family

ID=5065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544A KR101381943B1 (ko) 2013-11-08 2013-11-08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8034A (zh) * 2014-09-05 2015-05-13 深圳电信研究院 一种移动终端射频一致性自动测试系统、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403A (ko) * 2002-12-18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시험 장치
KR20070016830A (ko) * 2005-08-05 2007-02-08 주식회사 유프레스토 이동 통신망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67464B1 (ko) * 2006-08-08 2007-10-17 김정직 이동통신단말기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장치
JP2013098857A (ja) 2011-11-02 2013-05-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特性評価システム、及び無線特性評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403A (ko) * 2002-12-18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시험 장치
KR20070016830A (ko) * 2005-08-05 2007-02-08 주식회사 유프레스토 이동 통신망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67464B1 (ko) * 2006-08-08 2007-10-17 김정직 이동통신단말기 안테나 방사특성 측정장치
JP2013098857A (ja) 2011-11-02 2013-05-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特性評価システム、及び無線特性評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8034A (zh) * 2014-09-05 2015-05-13 深圳电信研究院 一种移动终端射频一致性自动测试系统、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523B2 (en) Reducing radio frequency band scan time by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4584624B (zh) 用于测试能够使用多个无线接入技术来通信的射频待测装置的方法
RU2583860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стирования радиочастотных параметров активной антенной системы
CN108966242B (zh) 窄带物联网的覆盖估计方法和装置
CN110311739B (zh) 多通道rru的定标测试系统、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10393786B2 (en) Test system and method for over the air (OTA) measurements based on randomly adjusted measurement points
CN106162722B (zh) 一种互干扰快速测试方法与系统
CN113608035A (zh) 辐射杂散测试设备、测试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138194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시스템
Hubrechsen et al. Pushing the boundaries of antenna-efficiency measurements towards 6g in a mm-wave reverberation chamber
US71067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signal spectrum
CN111787561B (zh) 一种基于EasyMesh组网测试验证的系统及方法
US9991977B2 (en) Smart testing management
CN106160895B (zh) 一种适用于混响室的互干扰测试方法与系统
CN112526514A (zh) 对于组合式5g和lte rf设备的sar测量
CN103874089A (zh) 无线电通信装置和用于控制无线电通信装置的方法
CN109257124A (zh) WiFi非信令测试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5712097A (zh) 雷达有源模块测试系统及测试方法
Lötbäck Extending the frequency range of reverberation chamber to millimeter waves for 5g over-the-air testing
CN116298555B (zh) 一种宽频段天线测试系统及其使用方法
US20230224733A1 (en) Over-the-air testing of multiple mobile radio devices under test
Figueiredo et al. Issues of Multi-Notch NPR Characterization Procedures
CN219554977U (zh) Endc测试装置和测试系统
Schiffarth et al. Characterization of Typical Instantaneous Exposure and Usage Scenarios in the Vicinity of 5G Massive-MIMO Base Stations
Uribe et al.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IoT Nodes Using OpenBTS and Software Defined Rad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