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703B1 - 전기 목재 온돌 패널 - Google Patents

전기 목재 온돌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703B1
KR101381703B1 KR1020110071829A KR20110071829A KR101381703B1 KR 101381703 B1 KR101381703 B1 KR 101381703B1 KR 1020110071829 A KR1020110071829 A KR 1020110071829A KR 20110071829 A KR20110071829 A KR 20110071829A KR 101381703 B1 KR101381703 B1 KR 101381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heating wire
connector
insertion groov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0983A (ko
Inventor
최성완
Original Assignee
최성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완 filed Critical 최성완
Priority to KR1020110071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7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선을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내에 삽입 설치함과 동시에, 납작한 직사각 형태의 전원 커넥터를 목재 패널의 일측단에 형성된 전원 커넥터 삽입홈에 밀착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전체 패널의 두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전기 배선이 가능해져 전체적인 온돌 패널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는 전기 목재 온돌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한 전기 목재 온돌 패널은, 사각 형상의 목재 패널과; 상기 사각 형상의 목재 패널의 일면 일측단에 형성되는 직사각형상의 전원 커넥터 삽입홈과; 상기 사각 형상의 목재 패널의 일면 전체에 걸쳐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횡과 열을 이루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커넥터 삽입홈에 연결되는 발열선 삽입홈과; 횡과 열을 이루는 상기 발열선 삽입홈을 따라 삽입되어 배선되는 발열선과; 상기 전원 커넥터 삽입홈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발열선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직사각 형태의 전원 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목재 온돌 패널{ELECTRIC WOOD PANEL}
본 발명은 전기 목재 온돌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선을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내에 삽입 설치함과 동시에, 납작한 직사각 형태의 전원 커넥터를 목재 패널의 일측단에 형성된 전원 커넥터 삽입홈에 밀착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전체 패널의 두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전기 배선이 가능해져 전체적인 온돌 패널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는 전기 목재 온돌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전기 온돌 패널은 전도성과 내구성을 위하여 금속제로 사용되어 왔으나, 중량이 무겁고 감전의 위험성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재질이 섬유 목재판인 나무 전기 온돌 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나무 전기 온돌 패널은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패널 내부에 설치된 열선에는 일정한 용량의 전기가 공급되나 가열되기가 쉽고 특히 보온력이 있는 침구류 등의 보온재가 놓여 있을 때는 온도가 낮은 곳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열선이 가열되는데 보온물질이 있는 곳은 과열이 되어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나무 전기 온돌 패널 표면이 열에 의해 변형되고 내부열선의 피복이 녹아서 화재의 위험성이 있는 등 문제가 많았다.
또한, 종래의 나무 전기 온돌 패널의 경우, 발열선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그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해 목재판을 다층으로 하거나 별도의 발열선 설치 공간부를 형성해야 함으로써 나무 전기 온돌 패널을 박형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선을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내에 삽입 설치함과 동시에, 납작한 직사각 형태의 전원 커넥터를 목재 패널의 일측단에 형성된 전원 커넥터 삽입홈에 밀착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전체 패널의 두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전기 배선이 가능해져 전체적인 온돌 패널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는 신개념의 전기 목재 온돌 패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 커넥터 삽입홈,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 및 라인 형태의 전원 연결홈을 따라서는 동박 또는 은박 포일을 부착 형성함으로써, 발열선의 열전달을 높임과 동시에, 국소가열에 의한 화재 위험성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전기 목재 온돌 패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사각형상의 목재 패널에 대응되게 두 개의 전원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전원부, 즉 온도 조절기를 통한 전원이 여러개의 목재 패널에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기 목재 온돌 패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은, 목재 패널과; 상기 목재 패널의 일면 일측단에 형성되는 전원 커넥터 삽입홈과; 상기 목재 패널의 일면 전체에 걸쳐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횡과 열을 이루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전원 커넥터 삽입홈에 연결되는 발열선 삽입홈과; 상기 발열선 삽입홈을 따라 삽입되어 배선되는 발열선과; 상기 전원 커넥터 삽입홈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발열선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연결하며, 상기 발열선의 분리된 + 및 - 전원선이 삽입고정되는 전원선 삽입구와 전원부의 + 및 - 전원 단자가 삽입고정되는 전원 단자 삽입구를 가지는 커넥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발열선의 + 및 - 전원선과 상기 전원부의 + 및 - 전원 단자를 체결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케이스 본체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전원 커넥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열선 삽입홈의 일단과 상기 전원 커넥터 삽입홈 사이에는 분기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분기홈은 다시 상기 전원 커넥터 삽입홈이 형성된 일면 타측단에 형성된 다른 전원 커넥터 삽입홈으로 연결되는 라인 형태의 전원선 연결홈으로 연장되어 짐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분기홈에는 상기 전원 커넥터의 전원선 삽입구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전원부의 + 및 - 전원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열선의 + 및 - 전원선이 분기(分岐)되어 하나는 상기 발열선 삽입홈을 따라 삽입되어 배선되는 발열선으로 연장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전원 연결홈을 따라 삽입되는 발열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른 전원 커넥터로 배선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른 전원 커넥터는, 상기 다른 전원 커넥터는, 상기 다른 전원 커넥터 삽입홈에 밀착고정되며, 상기 발열선의 분리된 + 및 - 전원선이 삽입고정되는 전원선 삽입구와 전원부의 + 및 - 전원 단자가 삽입고정되는 전원단자 삽입구를 가지는 커넥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발열선의 + 및 - 전원선과 상기 전원부의 + 및 - 전원 단자를 체결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케이스 본체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 커넥터 삽입홈, 발열선 삽입홈 및, 전원 연결홈을 따라 동박 또는 은박 포일 절연 상에 상기 발열선 및 두 개의 전원 커넥터가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선 및 두 개의 전원 커넥터가 절연 테이프로 봉해지고, 상기 절연 테이프로 봉해진 상기 목재 패널의 일면 전체에 테플론이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개념의 전기 목재 온돌 패널에 의하면, 발열선을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내에 삽입 설치함과 동시에, 납작한 직사각 형태의 전원 커넥터를 목재 패널의 일측단에 형성된 전원 커넥터 삽입홈에 밀착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전체 패널의 두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전기 배선이 가능해져 전체적인 온돌 패널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고, 전원 커넥터 삽입홈,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 및 라인 형태의 전원 연결홈을 따라서는 동박 또는 은박 포일을 부착형성함으로써, 발열선의 열전달을 높임과 동시에, 국소가열에 의한 화재 위험성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사각형상의 목재 패널에 대응되게 두 개의 전원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전원부, 즉 온도 조절기를 통한 전원이 여러 개의 목재 패널에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의 분해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의 전원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의 전원 커넥터의 커버 개방 상태의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의 분해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의 전원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의 전원 커넥터의 커버 개방 상태의 조립 사시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100)은, 대략 사각 형상의 목재 패널(10)과; 상기 사각 형상의 목재 패널(10)의 일면 일측단에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전원 커넥터 삽입홈(11)과; 상기 사각 형상의 목재 패널(10)의 일면 전체에 걸쳐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횡과 열을 이루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커넥터 삽입홈(11)에 연결되는 발열선 삽입홈(12)과; 횡과 열을 이루는 상기 발열선 삽입홈(12)을 따라 삽입되어 배선되는 발열선(20)과;상기 전원 커넥터 삽입홈(11)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발열선(20)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납작한 직사각 형태의 전원 커넥터(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발열선(20)을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12)내에 삽입 설치함과 동시에, 납작한 직사각 형태의 전원 커넥터(30)를 전원 커넥터 삽입홈(11)에 밀착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음으로, 전체 패널의 두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전기 배선이 가능해져 전체적인 온돌 패널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대략 사각형상의 목재 패널(10)은 세로 및 가로 1,140mm × 400mm, 1,200mm × 1,140mm, 1,200mm × 570mm, 및 600mm × 1,140mm 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있어 그 사이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목재 패널(10)의 재질로서는 통상적으로 방이나 거실 등의 마루판으로 사용되는 강화 마루 재질이 바람직하며, 중밀도 섬유 목재판인 MDF (Medium Density Fiberboard)도 가능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섬유 목재판인 HDF (Hard Density Fiberboard) 등을 사용하여 온돌 판넬 표면온도의 이상 과열로 인한 화상이나 열선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 그 강화 마루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발열선 삽입홈(12)은 횡과 열을 이루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사각 형상의 목재 패널(10)의 일면(마루의 설치시 하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한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전원 커넥터 삽입홈(11)은 상기 사각 형상의 목재 패널(10)의 일면(마루의 설치시 하면) 일측단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지되, 상기한 발열선 삽입홈(12)의 일단과 상기한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전원 커넥터 삽입홈(11) 사이에는 분기홈(13)이 일정 깊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분기홈(13)은 다시 상기 전원 커넥터 삽입홈(11)이 형성된 일면 타측단에 형성된 다른 전원 커넥터 삽입홈(14)으로 연결되는 라인 형태의 전원선 연결홈(15)으로 연장되어진다.
즉,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두 개의 전원 커넥터 삽입홈(11)(14)을 분기홈(13) 및 라인 형태의 전원 연결홈(15)을 따라 분기하여 연결함과 동시에, 분기홈(13)을 통해 하나의 전원 커넥터 삽입홈(11)이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12)으로 역시 분기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원 커넥터(30)에 의한 전원 연결이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12)에 매립되는 발열선(20)으로도 전달됨과 동시에, 분기홈(13)에서 분기된 발열선(20)이 라인 형태의 전원 연결홈(15)과 다른 전원 커넥터 삽입홈의 전원 커넥터(40)에도 전달되어 다른 목재 패널에도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구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전원 커넥터(30)(40)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목재 패널(10)의 타면은 최종 설치시에 방이나 거실 등의 바닥면으로 제공되어 전기 발열에 의한 온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강화 마루인 목재 패널(10)을 식각 또는 에칭 공정에 의해 전원 커넥터 삽입홈(11)(14),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12), 및 라인 형태의 전원 연결홈(15)을 형성하는 경우, 그 홈 부위가 강화 마루의 자체적인 방습 및 절연 기능을 저감(低減) 시키므로 공지된 에나멜 코팅에 의해 방습 및 절연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여 발열선(20)을 배선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발열선(20)은 통상의 + 전원선(21)과 - 전원선(22)으로 이루어져 열원의 역할을 수행하며 실리콘으로 피복되고 PVC 방염 코팅을 하여 패널 내부에서 과열에 의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발열선(20)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상기 실리콘 피복의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도전선(導電線)을 더 형성하여 발열선(20)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도전선의 재질은 구리의 표면에 주석을 도금 또는 코팅한 것이 바람직하나,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목재 패널(10)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실제로 방이나 거실에 설치하는 경우 여러 개의 목재 패널(10)(대략 1평 정도)이 상호 이웃하게 배치되므로, 각 목재 패널(10)의 발열선(2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커넥터(30)(40)는 하나의 목재 패널(10)에서 두 개로 분기되어 여러 개의 목재 패널(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하나의 전원 커넥터(30)를 통해 배출된 전선은 외부로 노출된 소정 위치에 설치된 온도 조절기(70)에 연결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발열선(20)의 소정 위치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별도로 설치되어 난방시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100)의 온도를 상기 온도 조절기(70)(외부 전원부)에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직사각 형태의 전원 커넥터(30)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전원 커넥터 삽입홈(11)에 밀착고정되며, 일측에는 상기 발열선(20)의 분리된 + 전원선(21)과 - 전원선(22)이 삽입고정되는 두 개의 나란한 전원선 삽입구(3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전원부(온도 조절기쪽)의 + 전원 단자(71)와 - 전원단자(72)가 삽입고정되는 두 개의 나란한 전원단자 삽입구(31-2)가 형성되는 커넥터 케이스 본체(31)와; 상기 삽입고정된 발열선(20)의 + 전원선(21)과 - 전원선(22)과 전원부의 + 전원 단자(71)와 - 전원단자(72)를 양단에 체결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단자 커넥터(32)와; 상기 커넥터 케이스 본체(31)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직사각형태의 전원 커넥터(30)의 재질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 수지재가 바람직하며, 단자 커넥터(32)는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성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발열선(20)의 + 전원선(21)과 - 전원선(22)과 전원부의 + 전원 단자(71)와 - 전원단자(7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납작한 직사각 형상의 플라스틱 재질의 전원 커넥터(30)에 의해 외부와 완전 절연시킨 상태로 함과 동시에, 전원 커넥터 삽입홈(11)에 밀착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음으로, 전체 패널의 두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전기 배선이 가능해져 전체적인 온돌 패널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밀폐된 전원 커넥터(30)에 의해 외부의 습기나 습윤으로부터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분기홈(13)에서는 전원 커넥터(30)의 전원선 삽입구(31-1)에 삽입고정되어 전원부의 + 전원 단자(71)와 - 전원단자(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열선(20)의 + 전원선(21)과 - 전원선(22)이 분기되어 하나는 횡과 열을 이루는 상기 발열선 삽입홈(12)을 따라 삽입되어 배선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20)으로 연장되고, 다른 하나는 라인 형태의 전원 연결홈(15)을 따라 삽입되는 라인형태의 발열선(20)으로 연장되어 다른 전원 커넥터(40)로 배선된다.
물론, 다른 전원 커넥터(40)도, 전술한 전원 커넥터(30)와 동일 구성으로서, 대략 직사각 형상의 다른 전원 커넥터 삽입홈(14)에 밀착고정되며, 일측에는 상기 라인 형태의 발열선(20)의 분리된 + 전원선(21)과 - 전원선(22)이 삽입고정되는 두 개의 나란한 전원선 삽입구(4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른 목재 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전원 단자(71)와 - 전원단자(72)가 삽입고정되는 두 개의 나란한 전원단자 삽입구(42-1)가 형성되는 커넥터 케이스 본체(41)와; 상기 삽입고정된 발열선(20)의 + 전원선(21)과 - 전원선(22)과 상기 다른 목재 패널에 연결되는 + 전원 단자(71)와 - 전원단자(72)를 양단에 체결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단자 커넥터(42)와; 상기 커넥터 케이스 본체(41)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4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나의 사각형상의 목재 패널(10)에 대응되게 두 개의 전원 커넥터(30)(40)의 형성에 의해 하나의 전원부, 즉 온도 조절기(70)를 통한 전원이 여러 개의 목재 패널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원 커넥터 삽입홈(11)(14),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12), 및 라인 형태의 전원 연결홈(15)을 따라서는 동박 또는 은박 포일(50)을 부착하여 절연한 다음에 발열선(20) 및 두 개의 전원 커넥터(30)(40)를 배선하도록 한다.
이러한 동박 또는 은박 포일(50)의 부착 형성에 의해 발열선의 열전달을 높임과 동시에, 국소가열에 의한 화재 위험성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동박 또는 은박 포일(50)이 부착된 전원 커넥터 삽입홈(11)(14),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12), 및 라인 형태의 전원 연결홈(15)내로 삽입되어 배선되는 발열선(20) 및 두 개의 전원 커넥터(30)(40)의 노출되는 부분은, 절연 테이프, PT 테이프 또는 알루미늄 테이프 등과 접착 테이프(60)로 완전히 폐쇄하여 이중적으로 절연시키도록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한 접착 테이프(60)로 발열선(20) 및 두 개의 전원 커넥터(30)(40)의 노출 부분을 폐쇄하여 절연시킨 상기 목재 패널(10)의 일면 전체는 난연 섬유 재질의 테플론(미도시)이 접착 및 부착되어 온돌 판넬 표면온도의 이상 과열 및 열선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삭제
또한, 상기한 난연 섬유 재질의 테플론에는 공지된 저밀도 또는 고밀도 소재로 된 흡음재 및 차음재를 접합하여 바닥 소음을 흡수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발열선(20)의 타단부에는 바이메탈(8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일정 온도 이상(대략 섭씨 65도∼75도 정도)으로 과온되는 경우에 팽창계수가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바이메탈(80)에 의해 전원 공급을 끊어 주어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바이메탈(80)도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12)내에 삽입 설치할 수 있어 바이메탈의 설치에 의한 전체적인 온도 패널 두께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요지 및 스코프를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목재 온돌 패널
10: (사각 형상의) 목재 패널 11, 14: 전원 커넥터 삽입홈
12: (지그재그 형태의) 발열선 삽입홈
13: 분기홈 15: (라인 형태의) 전원 연결홈
20: 발열선
21: + 전원선 22: - 전원선
30, 40: (직사각형태의) 전원 커넥터
31, 41: 커넥터 케이스 본체 31-1, 41-1: 전원선 삽입구
32-1, 42-1: 전원 단자 삽입구 32, 42: 단자 커넥터
33, 43: 커버 50: 동박 또는 은박 포일
60: 접착 테이프 70: 온도 조절기
71: 전원부의 + 전원 단자 72: 전원부의 - 전원단자
80: 바이메탈

Claims (7)

  1. 목재 패널과;
    상기 목재 패널의 일면 일측단에 형성되는 전원 커넥터 삽입홈과;
    상기 목재 패널의 일면 전체에 걸쳐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횡과 열을 이루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전원 커넥터 삽입홈에 연결되는 발열선 삽입홈과;
    상기 발열선 삽입홈을 따라 삽입되어 배선되는 발열선과;
    상기 전원 커넥터 삽입홈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발열선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연결하며, 상기 발열선의 분리된 + 및 - 전원선이 삽입고정되는 전원선 삽입구와 전원부의 + 및 - 전원 단자가 삽입고정되는 전원 단자 삽입구를 가지는 커넥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발열선의 + 및 - 전원선과 상기 전원부의 + 및 - 전원 단자를 체결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케이스 본체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전원 커넥터로 구성되는
    전기 목재 온돌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 삽입홈의 일단과 상기 전원 커넥터 삽입홈 사이에 분기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분기홈은 다시 상기 전원 커넥터 삽입홈이 형성된 일면 타측단에 형성된 다른 전원 커넥터 삽입홈으로 연결되는 라인 형태의 전원선 연결홈으로 연장되어 있는 전기 목재 온돌 패널.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홈에는 상기 전원 커넥터의 전원선 삽입구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전원부의 + 및 - 전원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열선의 + 및 - 전원선이 분기(分岐)되어 하나는 상기 발열선 삽입홈을 따라 삽입되어 배선되는 발열선으로 연장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전원 연결홈을 따라 삽입되는 발열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른 전원 커넥터로 배선되어 있는 전기 목재 온돌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원 커넥터는, 상기 다른 전원 커넥터 삽입홈에 밀착고정되며, 상기 발열선의 분리된 + 및 - 전원선이 삽입고정되는 전원선 삽입구와 전원부의 + 및 - 전원 단자가 삽입고정되는 전원단자 삽입구를 가지는 커넥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발열선의 + 및 - 전원선과 상기 전원부의 + 및 - 전원 단자를 체결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케이스 본체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전원 커넥터로 구성되는 전기 목재 온돌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넥터 삽입홈, 발열선 삽입홈 및, 전원 연결홈을 따라 동박 또는 은박 포일 절연 상에 상기 발열선 및 두 개의 전원 커넥터가 위치하는 전기 목재 온돌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 및 두 개의 전원 커넥터가 절연 테이프로 봉해지고, 상기 절연 테이프로 봉해진 상기 목재 패널의 일면 전체에 테플론이 부착되어 있는 전기 목재 온돌 패널.
KR1020110071829A 2011-07-20 2011-07-20 전기 목재 온돌 패널 KR101381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29A KR101381703B1 (ko) 2011-07-20 2011-07-20 전기 목재 온돌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29A KR101381703B1 (ko) 2011-07-20 2011-07-20 전기 목재 온돌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983A KR20130010983A (ko) 2013-01-30
KR101381703B1 true KR101381703B1 (ko) 2014-04-04

Family

ID=4784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829A KR101381703B1 (ko) 2011-07-20 2011-07-20 전기 목재 온돌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249A (ko) 2018-06-04 2019-12-12 김도경 온열기능을 갖는 조립식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8398B (zh) * 2018-05-10 2024-02-09 无锡中暖科技有限公司 一种自发热地板系统
CN113339876B (zh) * 2021-05-17 2022-08-12 东莞市唯美陶瓷工业园有限公司 一种发热瓷砖的铺贴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7280A (ja) * 2006-09-01 2008-03-13 Eidai Co Ltd 電気式床暖房パネルおよび床暖房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7280A (ja) * 2006-09-01 2008-03-13 Eidai Co Ltd 電気式床暖房パネルおよび床暖房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249A (ko) 2018-06-04 2019-12-12 김도경 온열기능을 갖는 조립식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983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3645C2 (ru) Нагреваемая панель для пола
IL186203A0 (en) Low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for subsurface barriers
KR101381703B1 (ko) 전기 목재 온돌 패널
US20140021193A1 (en) Heating module
US11530820B2 (en) Heat panel, a heating system and a method for installing such a heating system
KR100851324B1 (ko) 전기 목재 온돌 패널
CN102714891A (zh) 用于具有高电压电气系统的车辆的电加热装置
CN106973445B (zh) 一种集成恒温发热板
US20100012642A1 (en) Heatable element
JP3178817U (ja) 暖房モジュール
CA3057424C (en) Power connector dedicated to heating film
KR200416322Y1 (ko) 전자파 쉴드이불의 접지장치
KR20110039957A (ko) 난방필름
US9686823B2 (en) Electric heater
CA2899422C (en) Printed shield with grounded matrix and pass through solder point systems and methods
KR200326917Y1 (ko) 나무전기온돌판넬
KR101174671B1 (ko) 세라믹 종이 발열판을 갖는 전열 보드
DK1899655T3 (en) Surface heating system for floor panels
JP2007280695A (ja) 面状発熱体及び床暖房パネル
KR200420805Y1 (ko) 전기온돌판넬
KR100807261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판상형 난방기구
US10278892B2 (en) Printed shield with grounded matrix and pass through solder point systems and methods
WO2011046473A3 (ru)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9299989A (ja) 床暖房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61880Y1 (ko) 난방용 카본 발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