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656B1 - 전장상황 묘사 장치 - Google Patents

전장상황 묘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656B1
KR101381656B1 KR1020130136204A KR20130136204A KR101381656B1 KR 101381656 B1 KR101381656 B1 KR 101381656B1 KR 1020130136204 A KR1020130136204 A KR 1020130136204A KR 20130136204 A KR20130136204 A KR 20130136204A KR 101381656 B1 KR101381656 B1 KR 101381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sensor
battlefield
unit
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현
백승석
안우영
Original Assignee
(주)지에프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프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지에프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3013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55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in which the light beam is sent from the weapon to the targ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8Targets having hit-indicating means actuated or moved mechanically when the target has been hit, e.g. discs or f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장상황 묘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훈련자가 실제 전장과 동일한 체험을 하도록 전장 상황을 묘사하도록 한 전장상황 묘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훈련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훈련자의 훈련을 전장상황에 가깝게 묘사하기 위해 다양한 전장상황을 효과음 또는 시각화를 통해 묘사하도록 하는 전장상황 묘사기, 훈련자가 표적을 향해 사격 훈련을 할 수 있도록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표적을 제어하고, 표적의 감적을 수행하는 휴대용 표적기, 및 전장상황 묘사기 및 휴대용 표적기를 제어하는 그룹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상황 묘사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장상황 묘사 장치{Simulation apparatus for battle field}
본 발명은 전장상황 묘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훈련자가 실제 전장과 동일한 체험을 하도록 전장 상황을 묘사하도록 한 전장상황 묘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서바이벌 게임 및 군사 모의훈련에 사용되는 전장상황 묘사 장치는 사실감 있는 표현을 위해 표적이 다양한 입력신호로부터 구동되거나 주변에 다양한 효과 연출 장치들이 설치되어 전장 상황과 동일한 사실감 있는 상황을 표현한다.
그러나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훈련자가 사격한 표적 감적을 휴대용 표적기에서 정확하게 판독하기 어려웠고, 표적기의 구동도 업/다운의 단순한 기능만을 부여함으로써 사격자가 측면에서 휴대용 표적기를 향해 진입하는 경우 표적기의 방향과 맞지 않아 정확한 사격이 어려웠다. 이로 인해 휴대용 표적기가 훈련자의 진입 경로상에 정확하게 놓일 필요가 있어 한두 번의 훈련에 의해 휴대용 표적기의 위치가 훈련자에게 기억되어 훈련의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1170(사격 및 모의훈련용 상황 제어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센서부의 진입경로 감지에 따른 표적부의 회전으로 인해 휴대용 표적기의 위치가 고정된 훈련자 진입 경로상에 배치될 필요가 없이 유동적으로 배치될 수 있어 훈련자의 다양한 진입 경로에 대응하여 표적을 구동시킬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훈련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훈련자의 훈련을 전장상황에 가깝게 묘사하기 위해 다양한 전장상황을 효과음 또는 시각화를 통해 묘사하도록 하는 전장상황 묘사기, 훈련자가 표적을 향해 사격 훈련을 할 수 있도록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표적을 제어하고, 표적의 감적을 수행하는 휴대용 표적기, 및 전장상황 묘사기 및 휴대용 표적기를 제어하는 그룹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상황 묘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표적기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명중 여부를 감적하거나 또는 피에조 센서에 의해 실탄의 명중 여부를 감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이저를 수신하여 명중 여부를 감적하는 경우에는, 훈련자가 표적을 향해 사격시 레이저가 발사되는 발사기, 및 레이저 광을 수신받아 표적의 명중 여부를 감지하도록 휴대용 표적기에 구비되는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에조 센서에 의해 실탄의 명중 여부를 감적하는 경우에는, 표적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 거리에 위치되며, 실탄의 비행중에 발생되는 슈퍼소닉파를 감지하도록 표적의 전면에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1, 제2, 제3 피에조 센서, 및 제1 감지센서와 제2 감지센서의 슈퍼소닉파 도착 시간차와 제2 감지센서와 제3 감지센서의 슈퍼소닉파 도착 시간차를 각각 계산하고, 계산된 도착 시간차의 양 또는 음의 값에 따라 감지센서 쌍의 중간점의 좌 또는 우 중 어느 한쪽에 실탄이 관통한 위치를 산출하고, 표적의 관통 위치는 제1, 제2, 제3 피에조 센서 각각의 위치로부터 표적의 관통 위치까지의 거리 기반에 의해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하는 계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3102374162-pa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13102374162-pat00002
여기서, Z, X 는 총알의 관통 좌표이고, Rc는 제2 피에조 센서와 관통 좌표점과의 거리이고, θ는 제2 피에조 센서와 관통 좌표점이 이루는 각이고,
Figure 112013102374162-pat00003
는 음속이고, D1은 제2 피에조 센서와 제3 피에조 센서 사이의 도착 시간차이고, D2는 제2피에조 센서와 제1 피에조 센서 사이의 도착 시간차이고, A는 피에 조 센서의 이격 거리이다.
또한, 제1, 제2, 제3 피에조 센서는 표적의 전면에 서로 다른 이격거리로 평행하게 위치되 며, 제4 피에조 센서는 제1, 제2, 제3 피에조 센서 중 중앙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전 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용 표적기는, 센서부에서 생성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표적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부는, 포토센서, 소리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카메라로부터 추출된 훈련자의 이미지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하여 이미지가 진행하는 방향과 표적이 서로 마주보도록 표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장상황 묘사기는, 다양한 전장음을 전장상황에 맞게 출력하거나, 연막탄 또는 냄새를 생성함 으로써 전장상황에 맞는 분위기를 묘사하거나, 주위 전장배경을 전장상황에 맞게 홀로그램을 통해 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훈련자의 다양한 진입 경로에 대응하여 표적을 구동시킬 수 있어 훈련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전장상황과 동일한 상황을 체험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표적기를 사용함에 의해서도 피에조 센서를 활용하여 표적 감적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장상황 묘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표적기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전장상황 묘사 장치의 구성 및 기능>
본 발명에 따른 전장상황 묘사 장치는 훈련자가 실제 전장상황과 동일하게 느끼고 체험하도록 전장상황을 실제와 유사하게 묘사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상황 묘사 장치는 센서부(100), 휴대용 표적기(200), 전장상황 묘사기(300), 및 그룹 제어기(400)로 대략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장상황 묘사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부(100), 휴대용 표적기(200) 및 전장상황 묘사기(300)는 훈련자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인식하지 못하는 훈련 환경의 특정 영역에 서로 떨어져 존재한다. 센서부(100)는 훈련자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센서부는 포토센서(110), 소리센서(120), 또는 카메라(130)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포토센서(110) 및 소리센서(120)는 훈련자의 움직임 감지 및 소리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며, 카메라(130)는 훈련자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포토센서(110) 및 소리센서(120)는 훈련자 이외의 동물에 의한 감지 오류를 서로 보완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훈련자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통신부(140)를 통해 후술하는 휴대용 표적기(2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일예로 포토센서(110)는 훈련자의 이동 방향을 추출하기 위해 훈련자가 휴대용 표적기(200)로 접근할 수 있는 접근 경로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접근 경로는 다양하며 인위적으로 훈련자가 따라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자연 환경에 의해 자연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접근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경우에는 훈련자가 표적을 향해 어떤 방향으로 접근하는지 알 수 있으며, 후술하는 휴대용 표적기는 이러한 접근 방향을 알 수 있는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표적을 제어함으로써 훈련자가 표적을 마주보며 사격하도록 할 수 있어 훈련을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훈련자의 접근 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포토센서외에 접근 경로상에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카메라는 훈련자의 접근 경로상에 훈련자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구비되며, 접근하는 훈련자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진행 방향을 분석하여 표적에 대한 접근 방향을 휴대용 표적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추출 및 분석은 센서부(110) 자체에서 수행하거나 후술하는 그룹 제어기(400) 또는 휴대용 표적기(200)가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포토센서(110)와 소리센서(120)는 훈련자 이외의 동물 등을 감지하는 오류를 서로 보완할 수 있다. 즉, 훈련자가 포토센서(110)에 의해 감지될 때 훈련자가 내는 발자국 소리 또는 음성을 감지하여 포토센서와 소리센서의 조건이 서로 충족하는 경우 훈련자 감지신호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포토센서(110)만에 의한 감지신호를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표적기(200)는 센서부(10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훈련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주변 환경에 맞추어 배치하도록 한다. 휴대용 표적기(200)는 센서부(100)로부터 훈련자 감지신호가 전송된 경우 훈련자가 접근하는 접근 방향을 향해 표적을 구동하도록 하고, 훈련자가 표적을 향해 사격한 표적 감적을 수행한다.
휴대용 표적기(200)의 모터부는 표적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적기(230)를 90도 각도로 업/다운시키기 위해 휴대용 표적기(200) 내부에 구비되며, 또한 표적부(232) 자체를 360도 회전시키기 위해 표적부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표적부(232)는 앞서 설명한 센서부의 훈련자 접근 방향 신호에 따라 훈련자와 표적부가 정면으로 마주보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한편, 모터부(220)는 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모터를 구동하는 드라이브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적기 및 표적부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는 표적부의 무게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AC 모터, DC 모터 등을 활용할 수 있다.
휴대용 표적기(200)의 제어부(210)는 센서부(100)로부터 출력된 훈련자 감지신호를 통신부(25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터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훈련자가 접근하는 경우 표적기(230)를 업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모터부(220)로 출력하며, 또한 훈련자 접근 방향에 대한 신호를 센서부(100)로부터 입력받아 표적부(232)를 훈련자와 마주보도록 회전시키는 신호를 모터부(220)로 출력한다.
표적기(230,232)는 훈련자가 접근시 모터의 구동신호에 따라 업되거나 또는 훈련자가 사격을 마치고 나면 다시 원위치(다운)된다. 또한, 표적의 업과 동시에 표적부(232)는 제어부(210)의 구동신호에 따라 훈련자가 접근하는 접근 방향으로 표적을 회전시킨다.
표적기(230,232)는 훈련자의 접근시에 구동되어 표적이 업되면서 회전하며, 이때, 표적이 구동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표적 감적부(231)에 의해 명중하지 못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표적기 근처에 구비되는 소총(일예로 페이트 건, 마일즈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전송기)에 의해 훈련자를 향하여 대응사격을 할 수 있다. 표적 구동후 일정 시간은 훈련장의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가능하다. 또한, 소총(페이트 건 또는 마일즈 장비)에 의한 발사 이외에 음향 장비(320)를 이용하여 실제 사격과 동일한 음향을 훈련자에게 송출함으로써 실제 전장과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어서 복합적인 사격 훈련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소총(도면 미도시) 또는 음향 장비(320)는 표적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어 표적기의 구동에 따라 상술한 특정조건이 성립되는 경우 대응 사격을 하거나 또는 그룹 제어기(4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되어 통제실의 대응 사격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상술한 표적기(230) 및 표적부(232)는 센서부(100)로부터의 감지신호 외에도 후술하는 그룹 제어기(400)에 의해서도 구동될 수 있다. 즉, 표적기(230)는 그룹 제어기(4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업/다운 될 수 있으며, 또한 표적부(232)는 그룹 제어기(4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특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그룹 제어기(400)에 의한 표적부(232)의 동작은 전방을 기준으로 좌측 45도 및 우측 45도로 연속하여 일정 시간을 두고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훈련자가 좌측 45도의 표적을 향하여 사격하고 다시 우측 45도를 향하여 사격하도록 하여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사격 훈련을 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표적부(232) 자체가 회전함으로 인해 휴대용 표적기(200)의 배치 위치가 고정될 필요없이 상황에 따라 배치 위치를 바꿀 수도 있어 훈련자의 다양한 접근 경로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표적 감적부(231)는 훈련용인 마일즈 장비에 의한 레이저 광을 수신받아 표적을 감적할 수도 있고, 실탄 사격시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여 표적 감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먼저, 마일즈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표적부(232) 주위에 레이저 광을 수신 받아 표적 감적을 수행할 수 있는 감지기가 구비된다.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기 출원한 원출원번호 10-2012-0106645(표적감적장치) 또는 상기 원출원의 분할출원인 출원번호 10-2013-0103946(표적감적장치)에 기재된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표적 감적 방법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센서를 활용한 표적 감적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발명에 갈음하기로 하며 상술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마일즈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훈련자의 소총 격발시(공포탄 등) 기계적 진동을 피에조 센서로 감지하여 레이저 발사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의 신호를 레이저 펄스로 변환하여 레이저 광을 방출하는 레이저 전송기가 각각 훈련자가 소지한 소총에 부가될 수 있다.
표적 감적부(231)는 표적 감적에 대한 값을 후술하는 그룹 제어기(400)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종합 상황실에서 훈련에 대한 감독을 수행하도록 한다.
배터리부(240)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상술한 휴대용 표적기의 각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부(240)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발전기(도면 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재충전하거나, 또는 배터리부 자체를 휴대용 표적기에서 착탈 가능하게 제작하여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장상황 묘사기(300)는 센서부(100) 및 휴대용 표적기(20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훈련자가 실제 전장상황과 동일하게 체험하도록 다양한 효과음 및 시각화를 활용해 전장상황을 묘사한다. 스피커부(320)는 다양한 전장음을 출력한다. 이때, 전장음을 저장하기 위해 전장상황 묘사기(300)에는 메모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그룹 제어기(400)의 제어신호 또는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310)가 메모리부로부터 기 설정된 전장음을 읽어 스피커를 통해 해당 전장음을 출력한다.
연막탄 발생부(330) 및 냄새 발생부(340)는 그룹 제어기(400)의 제어신호 또는 센서부(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연막탄 또는 냄새를 발사하도록 한다. 냄새는 다양한 전장환경에 맞도록 다양한 냄새를 재연할 수도 있다. 즉, 시가지 전투와 야산에서 벌어지는 전투 환경에 맞는 냄새를 재연할 수도 있으며, 탱크 또는 야포 등의 포탄 냄새를 재연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생성부(350)는 센서부(100) 주위 또는 휴대용 표적기(200) 주위에 묘사하고자 하는 전장배경과 동일한 배경을 묘사하도록 설치되어 훈련자의 훈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일예로서 휴대용 표적기(200) 주위 배경을 시가지 환경으로 홀로그램화하거나 또는 사막을 배경으로 홀로그램화할 수 있다.
상술한 스피커부(320), 연막탄 발생부(330), 냄새 발생부(340), 및 홀로그램 생성부(350)는 전장상황 묘사기(30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서 각 부가 서로 독립되어 따로 떨어져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제어기(400)는 훈련장에 따로 떨어져 있는 각각의 전장상황 묘사 장치로부터 훈련상황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거나 전장상황 묘사 장치로 명령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그룹 제어기(400)는 일예로서 일반적인 컴퓨터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상술한 통신부(140, 250, 360)는 지그비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그 밖의 무선 및 유선 통신모듈을 전장상황에 맞는 환경에 따라 구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무선 구현의 일예로서 와이 파이 모듈, 상용 통신 모듈(3G,4G), 블루투스 모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선 구현의 일예로서 이더넷 네트워크를 사용하거나 비동기 통신인 RS232C, RS485, RS422 통신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센서부
110 : 포토센서
120 : 소리센서
130 : 카메라
140 : 통신부
200 : 휴대용 표적기
210 : 제어부
220 : 모터부
230 : 표적기
231 : 표적 감적부
232 : 표적부
240 : 배터리부
250 : 통신부
300 : 전장상황 묘사기
310 : 제어부
320 : 스피커부
330 : 연막탄 발생부
340 : 냄새 발생부
350 : 홀로그램 생성부
360 : 통신부
400 : 그룹 제어기

Claims (9)

  1. 훈련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훈련자의 훈련을 전장상황에 가깝게 묘사하기 위해 다양한 전장상황을 효과음 또는 시각화를 통해 묘사하도록 하는 전장상황 묘사기,
    상기 훈련자가 표적을 향해 사격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과 표적의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표적의 감적을 수행하는 휴대용 표적기, 및
    상기 전장상황 묘사기 및 상기 휴대용 표적기를 제어하는 그룹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상황 묘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표적기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명중 여부를 감적하거나 또는 피에조 센서에 의해 실탄의 명중 여부를 감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상황 묘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를 수신하여 명중 여부를 감적하는 경우에는,
    상기 훈련자가 표적을 향해 사격시 레이저가 발사되는 발사기, 및
    상기 레이저 광을 수신받아 표적의 명중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휴대용 표적기에 구비되는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상황 묘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센서에 의해 실탄의 명중 여부를 감적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적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거리에 위치되며, 실탄의 비행중에 발생되는 슈퍼소닉파를 감지하도록 상기 표적의 전면에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1, 제2, 제3 피에조 센서, 및
    상기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제2 감지센서의 슈퍼소닉파 도착 시간차와 상기 제2 감지센서와 상기 제3 감지센서의 슈퍼소닉파 도착 시간차를 각각 계산하고, 계산된 도착 시간차의 양 또는 음의 값에 따라 감지센서 쌍의 중간점의 좌 또는 우 중 어느 한쪽에 실탄이 관통한 위치를 산출하고, 표적의 관통 위치는 상기 제1, 제2, 제3 피에조 센서 각각의 위치로부터 표적의 관통 위치까지의 거리 기반에 의해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하는 계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상황 묘사 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13102374162-pat00004


    [수학식 2]
    Figure 112013102374162-pat00005


    여기서, Z, X는 총알의 관통 좌표이고, Rc는 제2 피에조 센서와 관통 좌표점과의 거리이고, θ는 제2 피에조 센서와 관통 좌표점이 이루는 각이고,
    Figure 112013102374162-pat00006
    는 음속이고, D1은 제2 피에조 센서와 제3 피에조 센서 사이의 도착 시간차이고, D2는 제2피에조 센서와 제1 피에조 센서 사이의 도착 시간차이고, A는 피에조 센서의 이격 거리이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피에조 센서는 상기 표적의 전면에 서로 다른 이격거리로 평행하게 위치되며, 제4 피에조 센서는 상기 제1, 제2, 제3 피에조 센서 중 중앙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전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상황 묘사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포토센서, 소리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상황 묘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추출된 상기 훈련자의 이미지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가 진행하는 방향과 상기 표적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표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상황 묘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상황 묘사기는,
    다양한 전장음을 전장상황에 맞게 출력하거나,
    연막탄 또는 냄새를 생성함으로써 전장상황에 맞는 분위기를 묘사하거나,
    주위 전장배경을 전장상황에 맞게 홀로그램을 통해 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상황 묘사 장치.
KR1020130136204A 2013-11-11 2013-11-11 전장상황 묘사 장치 KR101381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204A KR101381656B1 (ko) 2013-11-11 2013-11-11 전장상황 묘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204A KR101381656B1 (ko) 2013-11-11 2013-11-11 전장상황 묘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656B1 true KR101381656B1 (ko) 2014-04-04

Family

ID=5065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204A KR101381656B1 (ko) 2013-11-11 2013-11-11 전장상황 묘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292B1 (ko) * 2016-07-12 2017-08-18 (주)지에프테크놀로지 피탄벽을 구비한 모의 훈련 장치
WO2020036948A1 (en) * 2018-08-14 2020-02-20 Starport Inc. Holographic projec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1579A (en) * 1978-05-30 1981-04-14 Australasian Training Aids (Pty.), Ltd. Shock wave triggered target indicating system
JP2004069296A (ja) * 1997-08-25 2004-03-04 Beamhit Llc 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レーザ標的式の火器訓練システム
KR100981170B1 (ko) * 2010-06-04 2010-09-10 (주)지에프테크롤로지 사격 및 모의훈련용 상황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1579A (en) * 1978-05-30 1981-04-14 Australasian Training Aids (Pty.), Ltd. Shock wave triggered target indicating system
JP2004069296A (ja) * 1997-08-25 2004-03-04 Beamhit Llc 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レーザ標的式の火器訓練システム
KR100981170B1 (ko) * 2010-06-04 2010-09-10 (주)지에프테크롤로지 사격 및 모의훈련용 상황 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292B1 (ko) * 2016-07-12 2017-08-18 (주)지에프테크놀로지 피탄벽을 구비한 모의 훈련 장치
WO2020036948A1 (en) * 2018-08-14 2020-02-20 Starport Inc. Holographic projection system
US11175744B2 (en) 2018-08-14 2021-11-16 Starport Inc. Holographic proje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25556B (zh) 一种基于精确位置跟踪的多人射击仿真训练系统
US102342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US9335125B2 (en) Universal firearm marksmanship system
US201903534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KR101153231B1 (ko) 소부대 전투기술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US201703073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US11002512B2 (en) Firearm marksmanship system with chamber insert
WO2017043147A1 (ja) 射撃シミュレートシステム
KR101381656B1 (ko) 전장상황 묘사 장치
KR101470805B1 (ko) 실내 훈련용 곡사화기 사격술 모의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14320B1 (ko) 곡사화기 모의 훈련 장치 및 방법
JP2014145531A (ja) 射撃訓練システム
CN111664741B (zh) 一种用于射击训练的智能靶标系统的交互方法
KR20140062408A (ko) 실내 훈련용 곡사화기 사격술 모의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30131378A (ko) 탄두회수 기능을 겸비한 드론타겟 엄폐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사격 훈련 시스템
CN111486746B (zh) 一种榴弹发射虚拟训练平台及训练方法
US11359887B1 (en) System and method of marksmanship training utilizing an optical system
KR20140112117A (ko) 무선 실내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RU2583018C1 (ru) Стрелковый видео тренажёр
KR101179074B1 (ko) 공중폭발 모의시스템 및 공중폭발 모의방법
JPH11142098A (ja) 投下爆弾の着弾位置検出方法及び装置
CN205279862U (zh) 用于射击辅助训练系统的同步信号触发器
KR20150138459A (ko) 모의 곡사 발사기의 시뮬레이터 운용방법 및 그 시스템.
US11662178B1 (en) System and method of marksmanship training utilizing a drone and an optical system
JP2013124782A (ja) 曲射火器模擬訓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