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171B1 - Graffiti surveilance system by chemical ingredi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 Google Patents

Graffiti surveilance system by chemical ingredi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171B1
KR101381171B1 KR1020130137450A KR20130137450A KR101381171B1 KR 101381171 B1 KR101381171 B1 KR 101381171B1 KR 1020130137450 A KR1020130137450 A KR 1020130137450A KR 20130137450 A KR20130137450 A KR 20130137450A KR 101381171 B1 KR101381171 B1 KR 10138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ffiti
chemical component
wall
image analysis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이현수
퍼시픽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수, 퍼시픽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현수
Priority to KR102013013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1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1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낙서 감시시스템은 래커(lacquer)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를 벽에 뿌려서 그림을 그리거나 낙서를 하는 행위(이하, '낙서행위'라 함)를 감시하여 그러한 낙서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검출센서에 의하여 래커(lacquer)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에 함유된 화학성분,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검출하고, 또한 카메라로 벽 및 그 주변을 촬영하여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낙서행위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그러한 낙서행위 발생시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경찰서의 신고접수 시스템에 자동으로 알림으로써 낙서행위를 근절할 수 있다. Disclosed is a graffiti monitoring system through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act of painting or graffiti by spraying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on a w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odle') to prevent such graffiti. Detects chemical components, especially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lacquer sprays or paint sprays by detection sensors, and determines whether graffiti is occurring quickly and accurately by photographing the wall and its surroundings with a camera. It is also possible to eliminate graffiti by automatically notifying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the police reception system when such graffiti occurs.

Description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Graffiti Surveilance System By Chemical Ingredi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Graffiti Surveilance System By Chemical Ingredi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본 발명은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래커(lacquer)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를 벽에 뿌려서 그림을 그리거나 낙서를 하는 행위(이하, '낙서행위'라 함)를 감시하여 그러한 낙서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검출센서에 의하여 래커(lacquer)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에 함유된 화학성분,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검출하고, 또한 카메라로 벽 및 그 주변을 촬영하여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낙서행위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그러한 낙서행위 발생시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경찰서의 신고접수 시스템에 자동으로 알림으로써 낙서행위를 근절할 수 있는,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ffiti monitoring system through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and more particularly, to paint or graffiti by spraying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on the w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graffiti'). In order to prevent such graffiti, the chemical detection sensor detects chemical components, especially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lacquer sprays or paint sprays, and photographs walls and surroundings with cameras. By detecting whether graffiti is occurring,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graffiti has occurred, and when such graffiti occurs,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can be eradicated by automatically notifying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the police report receiving system. And it relates to a graffiti surveillance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미국, 유럽, 호주 등에서는 길거리 낙서 및 문화재 낙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낙서행위는 단순한 낙서행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배후에는 온갖 범죄행위가 도사리고 있다. 낙서행위는 주로 갱단이 자신들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2개 이상의 상이한 낙서가 있는 경우는 기존 갱단의 영역에 다른 갱단이 추가로 들어왔다는 표시이며, 이것은 향후 갱단끼리의 폭력사태를 예고하는 것이기도 하다. Street graffiti and cultural property graffiti are emerging as social issues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Australia. Such graffiti is not just a graffiti but there are all kinds of criminal activities behind it. Graffiti is often performed by gangs to mark their territor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different graffiti is an indication that another gang has entered the territory of the existing gang, which also foretells future gang violence.

이러한 낙서가 이루어진 지역은 범죄의 만연으로 인하여 부동산가격이 하락하는 것은 물론이고 주민의 이탈을 가져와서 지방정부의 세입이 감소하여 공공서비스가 악화하고 청소년문제가 심화하는 등 각종 문제점들이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들의 악순환으로 인하여 도시 전체가 황폐화된다. In the area where such graffiti is made, various problems occur such as not only real estate prices drop due to widespread crime, but also people's departure,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revenues of local governments, worsening public services and deepening youth problems. The vicious cycle of problems devastates the whole city.

미국에서만 길거리 낙서에 대응하기 위하여 연 지출예산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미 정부에서 2002년 120억달러를 지출하는 것이 2008년에는 170억달러로 증가하였다. 이것은 전체 절도피해의 2배에 해당하는 금액이고, 차량도난 피해액의 2배 이상, 주택절도 피해액의 3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In the U.S. alone, the annual spending budget is growing exponentially to combat street graffiti. Specifically, the US government spending $ 12 billion in 2002 increased to $ 17 billion in 2008. This is twice the amount of theft, more than twice the amount of theft, and three times the amount of theft.

이러한 길거리 낙서를 방지하기 위한 미 정부의 노력이 있었으나, 지금까지 충분한 효과를 보지는 못하였으며, 길거리 낙서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이 제안되지도 못하였다. The US government's efforts to prevent such street graffiti have been made, but until now,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effective, and no effective system for preventing street graffiti has been proposed.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11-0025886호(2011. 03. 14. 공개)는 오디오 및 비디오 감시가 결합된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시스템은 모니터링되는 지역에서 주변환경 소리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변환기와 연결된 오디어 입력단자를 갖는 오디오 모듈과 모니터링되는 지역에서 비주얼 이벤트를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와 연결된 비디오 입력단자를 갖는 비디오 모듈을 가지며, 오디오 모듈과 비디오 모듈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이 동시에 검출되면 중앙처리부는 알람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특정 이벤트는 길거리 낙서행위를 포함한다.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1-0025886 (published on March 14, 2011) discloses a method and system in which audio and video surveillance are combined. The system has an audio module with audio inputs connected to an acoustic transducer receiving ambient sound signals in the monitored area and a video module with video inputs connected with an image sensor receiving visual events in the monitored area. If a specific event is detected at the same time in the audio module and the video module, the central processor generates an alarm signal. At this time, the specific event includes street graffiti.

상기한 종래기술의 시스템을 길거리 낙서행위를 감시하고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 영상분석에 의하여 길거리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검출하고자 하는 특정 이벤트가 차량 충돌, 총기 발사, 폭행, 강도 등인 경우에는 그러한 행위 중에 특이한 소리가 생성되므로 그러한 소리를 검출함에 의하여 해당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모니터링되는 지역에서 주변환경 소리분석에 의하여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다소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길거리 낙서행위시에 발생하는 소리는 래커 스프레이를 뿌리는 소리일 것인데, 이러한 소리는 다른 소리와 혼동될 수 있어 특이하다거나 특징적인 소리라고 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Whe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system is used to monitor and prevent street graffiti, it may be appropriate to determine whether street graffiti is occurring by image analysis. However, if a specific event to be detected is a vehicle crash, firearm, assault, robbery, etc., since a specific sound is generated during such an action,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specific event has occurred by detecting such a sound, but in a monitored area Judging whether graffiti is taking place by sound analysis of the environment seems somewhat inappropriate. Because the sound that occurs during street graffiti may be the sound of spraying the lacquer spray, which can be confused with other sounds, making it difficult to say that it is unusual or characteristic.

이에, 본 발명자는 길거리 낙서행위의 발생을 특정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he elements that can specify the occurrence of the street graffiti behavior, and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ach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낙서행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정확하고 빠르게 판단할 수 있고 또한 그러한 낙서행위 발생시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경찰서의 신고접수 시스템에 자동으로 알림으로써 낙서행위를 근절할 수 있는,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graffiti has occurred accurately and quickly, and also to eliminate the graffiti by automatically notifying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the police report receiving system when such graffiti occurs. It is to provide a graffiti monitoring system through compon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은 벽에 뿌려서 그림을 그리거나 낙서를 하는 래커(lacquer)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에 함유된 화학성분을 검출하는 화학성분 검출센서; 상기 화학성분 검출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화학성분의 검출 정도를 분석하는 화학성분 분석모듈; 모니터링하는 벽 및 그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벽에 래커(lacquer)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로 그림 또는 낙서를 하는 행위가 일어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분석모듈; 상기 화학성분 분석모듈 및 상기 영상 분석모듈이 분석한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분석결과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의 처리에 의한 결과 데이터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의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의 상기 처리결과를 인터넷, 인터라넷 또는 전화망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Graffiti monitoring system through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hemical to detect the chemical component contained in the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sprayed on the wall to draw or graffiti Component detection sensor; A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and analyze a detection degree of the chemical component;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wall to be monitored and its surroundings; An image analysis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camera and determine whether an act of painting or graffiti is applied to the wall by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A central processing unit which receives a result analyzed by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and performs processing according to the received analysis result; A memory unit for storing result data by processin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data used for processin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the outside via the Internet, an Internet, or a telephone network.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화학성분 검출모듈에 의하여 화학성분이 기준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영상 분석모듈에 의하여 상기 벽에 래커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로 그림 또는 낙서를 하는 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행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촬영된 동영상과 함께 또는 상기 촬영된 동영상 없이 상기 벽에서 낙서 행위가 일어나고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행위 중 최소한 하나의 행위를 수행하는 것이다.When the central processor detects that the chemical component is detected by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module or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or the act of painting or graffiti on the wall by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At least one of storing a video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the memory unit and notifying the outside that graffiti is occurring on the wall with or without the photographed video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do.

상기 화학성분 검출모듈에 의하여 화학성분이 기준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및 상기 영상 분석모듈에 의하여 상기 벽에 래커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로 그림 또는 낙서를 하는 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만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행위만을 수행하고, 상기 화학성분 검출모듈에 의하여 화학성분이 기준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및 상기 영상 분석모듈에 의하여 상기 벽에 래커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로 그림 또는 낙서를 하는 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모두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행위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촬영된 동영상과 함께 또는 상기 촬영된 동영상 없이 상기 벽에서 낙서 행위가 일어나고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행위 모두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ly when the chemical component is detected above the reference value by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module or when the act of painting or graffitiing the wall with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is occurring. When the occurrence occur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performs only an operation of storing the moving picture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the memory unit, and when the chemical component is detected by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module above the reference value an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When it is judged that painting or graffiti is performed by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on the wall, when all of the occurrence occur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tores the video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the memory unit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remind That is happening in the act of graffiti wall with youngdoen without a video or a movie clip is preferable to perform both actions to inform the outside.

상기 중앙처리부가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음을 알리는 상기 외부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경찰서의 신고 접수 시스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side wher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notifies that graffiti is occurring is preferably one or both of a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a report reception system of a police station.

상기 화학성분 검출센서는 래커(lacquer)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preferably detects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lacquer sprays or paint sprays.

상기 영상 분석모듈은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을 벽에 래커(lacquer)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로 그림 또는 낙서를 하는 행위에 관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참조 영상들과 비교하여 유사성이 소정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벽에 래커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로 그림 또는 낙서를 하는 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e analysis module compares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with a lacquer spray or a paint spray on a wall with referenc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unit when the similarity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at the act of painting or graffitiing the wall with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is taking place.

또한, 상기 낙서 감시시스템은 해당 벽면의 맞은 편에서 해당 벽면을 촬영하는 고배율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화학성분 검출모듈 및 상기 영상 분석모듈 모두가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고배율 카메라에게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고배율 카메라가 해당 벽면을 촬영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high magnification camera that photographs the wall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wall,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at the graffiti action is occurring by both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module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The high magnification camera may transmit a signal so that the high magnification camera photographs the corresponding wall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은 화학성분 검출센서에 의하여 래커(lacquer)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에 함유된 화학성분,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검출하고, 또한 카메라로 벽 및 그 주변을 촬영하여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낙서행위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그러한 낙서행위 발생시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경찰서의 신고접수 시스템에 자동으로 알림으로써 낙서행위를 근절할 수 있다.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through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chemical components, particularly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lacquer sprays or paint sprays by chemical detection sensors, and also the wall and its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graffiti is occurring by taking a picture of the surrounding area, and also to exterminate graffiti by automatically notifying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the police report receiving system when such graffiti occur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카메라와 화학성분 검출센서를 벽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화학성분 분석모듈의 작동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영상 분석모듈의 작동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중앙처리부의 작동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낙서 감시시스템의 구체적인 한 예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낙서 감시시스템을 해당 벽면에 설치한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낙서 감시스템을 여러 벽면에 각각 설치하고, 해당 벽면의 맞은 편에 고배율 카메라를 설치한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6의 낙서 감시스템을 여러 벽면에 각각 설치하고, 해당 벽면의 맞은 편에 고배율 카메라를 설치한 상태에서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벽면에 대하여 맞은 편에 설치된 고배율 카메라가 촬영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raffiti monitoring system through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and a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a wall.
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image analysis module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pecific example of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of FIG. 6 is installed on a corresponding wall surface.
FIG. 8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graffiti perception system of FIG. 6 is installed on various walls, respectively, and a high magnification camera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all.
9 is an example in which the graffiti perception system of FIG. 6 i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walls, respectively, and a high magnification camera installed opposite to a wall where graffiti is occurring in a state where a high magnification camera is installed opposite the wall. Figure is a diagram.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10)은 화학성분 검출센서(100) 및 카메라(2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10 through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100 and a camera 200.

화학성분 검출센서(100)는 벽에 뿌려서 그림을 그리거나 낙서를 하는 (이하, '낙서행위'라 함) 래커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에 함유된 화학성분,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학성분 검출센서(100)는 가스누출 경보장치 등에 사용되는 가스검출센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카메라(200)는 모니터링하는 벽 및 그 주변을 촬영하는 것이다.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100 detects chemical components, particularly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a lacquer spray or a paint spray, which are sprayed on a wall and painted or scrib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odle').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100 is basically the same function as the gas detection sensor used in the gas leak alarm device. The camera 200 photographs a wall to be monitored and its surroundings.

도 2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카메라와 화학성분 검출센서를 벽에 설치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두 대의 카메라(200)가 모니터링되는 벽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200)는 반드시 모니터링되는 벽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모니터링되는 벽 및 그 주변을 촬영하여 낙서행위를 검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면, 이웃하는 벽 또는 맞은 편 건물의 벽에 설치되더라도 무방하다. 카메라(200)는 한 대만이 설치될 수도 있으나, 낙서행위 검출을 위해서는 2대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 2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and a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applied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a wall, and two cameras 200 are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 wall to be monitored. The camera 200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on the wall to be monitored. If the camera 200 can contribute to detecting graffiti by photographing the monitored wall and its surroundings, the camera 200 may be installed on the neighboring wall or the wall of the opposite building. One Taiwan may be installed, but two or more cameras may be installed to detect graffiti.

도 2에는 화학성분 검출센서(100)가 복수개로 모니터링되는 벽에 설치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화학성분 검출센서(100)는 하나만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래커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검출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모니터링되는 벽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100 i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monitored walls, but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100 may be installed by only one, but volatile contained in a lacquer spray or a paint spray. In order to effectively detect an organic compoun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in multiple numbers. More preferably, it is evenly arranged on the wall to be monitored.

본 발명의 낙서 감시시스템(10)은 화학성분 검출센서(100) 및 카메라(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본체(300)를 포함한다. 본체(300)는 화학성분 분석모듈(310), 영상 분석모듈(320), 중앙처리부(330), 메모리부(340), LAN 포트(350) 및 I/O 포트(36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화학성분 분석모듈(310) 및 영상 분석모듈(320)은 본체(3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그것들이 각각 화학성분 검출센서(100)가 설치되는 센서박스 그리고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카메라박스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doodle monitoring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300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signal from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100 and the camera 200. The main body 300 includes a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an image analysis module 320, a central processing unit 330, a memory unit 340, a LAN port 350, and an I / O port 360. Here, although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 the main body 300, in some cases, they are each a sensor box and a camera in which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100 is installed It is also possible to be installed in the camera box 200 is installed.

화학성분 분석모듈(310)은 화학성분 검출센서(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화학성분의 검출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화학성분 분석모듈(310)은 메모리부(340)에 저장된 기준값을 참조하여 화학성분 검출센서(100)로부터 수신한 화학성분의 검출 정도, 즉 농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보다 높으면, 낙서행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러한 결과를 중앙처리부(330)에 전달한다.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receives a signal from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100 and analyzes the degree of detection of the chemical component.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compares the detection level of the chemical component received from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100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340, that is, when th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graffiti behavior occurs. And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PU 330.

영상 분석모듈(320)은 카메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벽에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메모리부(340)에는 낙서행위에 관한 참조 영상들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낙서행위에 관한 참조 영상들이라 함은 낙서행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영상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람이 래커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를 뿌리고 있는 영상이 이러한 참조 영상이 될 수 있다. 영상 분석모듈(320)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한 영상들을 상기한 참조 영상들과 비교하여 유사성이 소정수준 이상인 경우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다고 판단한다.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receives a signal from the camera and determines whether graffiti is occurring on the wall for monitoring. To this end, the memory unit 340 stores reference images about graffiti. Here, the reference images related to the graffiti acts refer to the images recognized as performing the graffiti act. For example, an image of a person spraying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may be such a reference image.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compares the images taken by the camera with the reference images and determines that graffiti is occurring when the similarity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중앙처리부(330)는 화학성분 분석모듈(310) 및 영상 분석모듈(320)이 분석한 결과를 수신하고 그 분석결과에 따라 처리를 수행한다. 중앙처리부(330)는 화학성분 검출모듈(310)에 의하여 화학성분이 기준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또는 영상 분석모듈에 의하여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카메라(100)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을 메모리부(340)에 저장하는 행위 및 LAN 포트(350) 또는 I/O 포트(360)를 통하여 촬영된 동영상과 함께 또는 촬영된 동영상 없이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행위 중 최소한 하나의 행위를 수행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330 receives the results analyzed by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and performs process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When the chemical component is detected by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module 310 or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or when the graffiti action is determine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30 displays the video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0. At least one of storing in the memory unit 340 and informing the outside that graffiti is occurring with or without the recorded video through the LAN port 350 or the I / O port 360. Perform

메모리부(340)는 화학성분 분석모듈(310), 영상 분석모듈(320) 및 중앙처리부(330)가 처리한 결과를 저장하고 또한 그러한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물론 메모리부(340)는 본 발명에 따라 화학성분 분석모듈(310), 영상 분석모듈(320) 및 중앙처리부(330)의 처리를 정의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도 한다. The memory unit 340 stores the results processed by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30, and also stores data used for such processing. Of course, the memory unit 340 also stores a program that defines the processing of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N 포트(350)는 본체(300)가 인터넷망(400) 또는 인터라넷망을 통하여 외부와 통신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외부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일 수 있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본체(3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및 낙서행위 발생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통제하는 중앙관제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중앙관제시스템은 여러 지역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낙서감시시스템들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한 모니터 또는 여러 대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여 감시요원이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중앙관제시스템은 수신된 영상을 하드디스크 등의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여 추후 증거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영상을 관계자들에게 동시에 실시간으로 또는 비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제시스템은 본 발명의 낙서감시스템에 또는 그것과 별도로 스피커를 설치한 경우에는 낙서행위가 발생한 해당 지역의 스피커를 작동하여 낙서행위 중지에 관한 경고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고 방송은 중앙관제시스템을 관리하는 감시요원이 수행하게 될 것이다. The LAN port 350 allows the main body 30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400 or the Internet network. At this time, the outside may be a remote monitoring system.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may be a central control system that receives and controls the image and graffiti behavior occurrence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300. This central control system is to display the image received from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various areas on one monitor or multiple monitors so that the monitoring personnel can take appropriate action. The central control system may store the received image in an external memory such as a hard disk and use it as evidence for later use, and transmit such image to a person in real time or in real tim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ystem when the speaker is installed in or separate from the graffiti fee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speaker of the region where the graffiti act occurred, can perform a warning broadcast about stopping the graffiti act. Of course, such warning broadcasts will be carried out by surveillance personnel managing the central control system.

또한 경찰서에서 외부와 통신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자동 신고 접수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에는, 그러한 외부는 경찰서의 자동 신고 접수 시스템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lice station has built an automatic report reception system with a computer system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such an outside may be an automatic report reception system of the police station.

I/O 포트(360)는 본체(300)를 외부기기에 연결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체(300)가 전화망(500)을 통하여 경찰서의 신고 접수 시스템에 전화를 하여 낙서행위가 발생하고 있음을 신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I/O 포트(360)는 경찰서에 컴퓨터 시스템으로 된 자동 신고 접수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도 본체는 I/O 포트(360)를 통하여 자동으로 경찰서에 전화를 걸어 메모리부(340)에 미리 저장된 내용을 음성출력하여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음을 경찰서에 신고하는 것일 수 있다. The I / O port 360 connects the main body 300 to an external device. In particular, the main body 300 calls the report reception system of the police station through the telephone network 500 to report that graffiti is occurring. To be able. Such an I / O port 360 is a computer system in the police station, even if the automatic report reception system is not built, the body automatically calls the police station through the I / O port 360 to the memory unit 340 in advance It may be to report to the police station that the graffiti is occurring by voice outputting the stored contents.

이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낙서 감시시스템의 작용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3 to 5, an operation example of the doodl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화학성분 분석모듈(310)의 작동예를 살펴보면, 화학성분 분석모듈(310)은 화학성분 검출센서(100)로부터 화학성분 검출농도에 관한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100). 그런 후 화학성분 분석모듈(310)은 메모리부(340)에 저장된 기준값을 참조하여 화학성분 검출농도를 기준값과 비교한다(단계 S110). 화학성분 검출농도가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화학성분 분석모듈(310)은 낙서행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를 중앙처리부(330)에 전송한다(단계 S120). 그런 후 단계 S100으로 돌아와 동일한 절차를 반복한다. 반면에 화학성분 검출농도가 기준값보다 작다면 화학성분 분석모듈(310)은 낙서행위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를 중앙처리부(330)에 전송한다(단계 S 120). 그런 후 단계 S100으로 돌아와 돌일한 절차를 반복한다. Firs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receives a signal regarding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concentration from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100 (step S100). Then,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compares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concentration with the reference value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340 (step S110). If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determines that graffiti has occurred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30 (step S120). Then return to step S100 to repeat the same procedure. On the other hand, if the chemical component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determines that graffiti has not occurred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30 (step S 120). After tha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00 and the repeated procedure is repeated.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영상 분석모듈(320)의 작동예를 살펴보면, 영상 분석모듈(320)은 카메라(200)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신한다(단계 S200). 그런 후 영상 분석모듈(320)은 메모리부(340)에 저장된 참조영상들을 참조하여 촬영 영상이 참조영상들과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0). 이때 촬영 영상이 참조 영상들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참조 영상들에 대하여 소정치 이상, 예를 들어 80% 이상 유사성을 가진다면 촬영 영상이 참조 영상들에 유사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촬영 영상이 참조 영상과 유사하다면 영상 분석모듈(320)은 낙서행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를 중앙처리부(330)에 전송한다(단계 S220). 그런 후 단계 S100으로 돌아와 동일한 절차를 반복한다. 반면에 촬영 영상이 참조 영상들과 유사하지 않다면 영상 분석모듈(320)은 낙서행위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를 중앙처리부(330)에 전송한다(단계 S 120). 그런 후 단계 S100으로 돌아와 돌일한 절차를 반복한다. Nex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receives a captured image from the camera 200 (step S200). Thereafter,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determines whether the captured image is similar to the reference images by referring to the referenc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unit 340 (step S210). In this case, even if the captured image does not completely match the reference images, the captured image may be set to be similar to the reference images if the reference images have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or example, 80% or more. If the captured image is similar to the reference image,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determines that graffiti has occurred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30 (step S220). Then return to step S100 to repeat the same procedure. On the other hand, if the captured images are not similar to the reference images,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determines that graffiti has not occurred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30 (step S 120). After tha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00 and the repeated procedure is repeated.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중앙처리부(330)의 작동예를 살펴보면, 중앙처리부(330)는 화학성분 분석모듈(310) 및 영상 분석모듈(320)로부터 그 분석결과를 수신한다(단계 S300). 그런 후 중앙처리부(330)는 화학성분 분석모듈(310)과 영상 분석모듈(320) 모두가 낙서행위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S310)에는 아무런 처리도 수행하지 않고 단계 S300으로 돌아가 절차를 계속한다. 한편, 중앙처리부(330)는 화학성분 분석모듈(310)과 영상 분석모듈(320) 중 어느 하나만이 낙서행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다른 하나는 낙서행위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S320 및 단계 S330)에는 촬영 영상을 메모리부(340)에 저장하는 행위만을 수행한다(단계 S350). 그런 후 단계 S300으로 돌아가 절차를 계속한다. 반면에 중앙처리부는 화학성분 분석모듈(310)과 영상 분석모듈(320) 모두가 낙서행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S340)에는 촬영 영상을 메모리부(340)에 저장함과 동시에 낙서행위가 발생하였음을 외부에 알리는 행위를 수행한다(단계 S360). 그런 후 단계 S300으로 돌아가 절차를 계속한다. 도 5에서 X는 화학성분 분석모듈 및 영상 분석모듈이 낙서행위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것을 의미하고, ㅇ는 낙서행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것을 의미한다. Next, referring to FIG. 5,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30 is receiv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30 receives the analysis result from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step S300). . T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30 returns to step S300 without performing any processing in the case where both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determine that the graffiti act does not occur (step S310). Continue.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30 determines that only one of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has graffiti occurred, and the other determines that the graffiti has not occurred (step S320 and step S320). In operation S330, only an operation of storing the captured image in the memory unit 340 is performed (step S350). Then return to step S300 to continue the procedu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at both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310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320 have graffiti action occurred (step S340), the graffiti action occurred while storing the captured image in the memory unit 340. The act of notifying the outside is performed (step S360). Then return to step S300 to continue the procedure. In FIG. 5, X means that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have determined that no graffiti has occurred, and o means that the graffiti has occurred.

본 발명에 따른 낙서 감시시스템(10)은 화학성분 분석모듈 및 영상 분석모듈이 동시에 낙서행위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에만 외부로 낙서행위 발생을 알리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그러한 높은 신뢰성에 의하여 낙서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 reliability because it notifies the graffiti occurrence to the outside only when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determine that the graffiti behavior is occurring at the same time. Such high reliability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graffiti.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도 6은 본 발명의 낙서 감시시스템의 구체적인 한 예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도 7은 도 6의 낙서 감시시스템을 해당 벽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As a more specific example, FIG. 6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pecific example of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hows a state where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of FIG. 6 is installed on the wall.

본체에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고, 화학성분 검출센서는 센서박스에 설치된다. 센서박스는 케이블에 의하여 본체에 연결된다. 센서박스에는 하단에 센서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며, 센서박스는 좌우 측면과 상부로 나사선을 가진 구멍을 가지고 있어 홈디포와 같은 미국의 건축자재 백화점에서 일반적으로 판매하는 쇠 파이프를 그대로 연결하여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센서박스의 형태는 홈디포에서 흔하게 구매할 수 있는 전선용 금속상자와 흡사하게 디자인하여 행인의 눈에 잘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한 세트의 낙서 감시시스템을 설치하면 벽면 10미터 정도를 커버할 수 있는데, 본체의 카메라는 지정된 구역에서 배회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본체의 중앙처리부는 화학성분 검출센서에 의한 낙서행위 발생 신호와 카메라에 의한 낙서행위 발생 신호가 감지되면 낙서행위 발생을 외부로 알리게 된다. The camera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the chemical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in the sensor box. The sensor box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by a cable. The sensor box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nsor without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the sensor box has a threaded hole at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part, so that the steel pipes commonly sold in US building materials departments such as Home Depot remain intact. Can be installed on the wall by connecting. 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sensor box is designed to be similar to the wire metal box commonly available at Home Depot so that it can be hidden from passers-by. By installing a set of graffiti monitoring system shown in Figure 7 can cover a wall about 10 meters, the camera of the main body monitors whether roaming occurs in the designated area.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main body notifies the occurrence of the graffiti behavior when the graffiti behavior occurrence signal by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and the camera is detected.

도 8은 도 6의 낙서 감시스템을 여러 벽면에 각각 설치하고, 해당 벽면의 맞은 편에 고배율 카메라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9는 도 6의 낙서 감시스템을 여러 벽면에 각각 설치하고, 해당 벽면의 맞은 편에 고배율 카메라를 설치한 상태에서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벽면에 대하여 맞은 편에 설치된 고배율 카메라가 촬영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8 shows the state of the graffiti sensing system of FIG. 6 installed on each of several walls, and a high magnification camera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all, FIG. 9 shows the state of graffiti sensing system of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which the high magnification camera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where graffiti activity takes place in the state which installed the high magnification camera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aid wall surface.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낙서 감시시스템은 해당 벽면의 맞은 편에서 해당 벽면을 촬영하는 고배율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배율 카메라라 함은 본체에 설치되는 또는 기본구성으로 설치되는 카메라보다 고배율로 촬영을 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사용되는 고배율 카메라는 고배율 PTZ 카메라일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낙서 감시시스템의 중앙처리부는 화학성분 검출모듈 및 영상 분석모듈 모두가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고배율 카메라에게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고배율 카메라가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해당 벽면을 촬영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고배율 카메라에 의하여 낙서행위를 더욱 선명하게 촬영하여 추후 증거자료로 삼을 수 있게 된다. 하나의 고배율 카메라는 한 세트의 낙서 감시시스템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세트의 낙서 감시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고배율 카메라가 적용되는 낙서 감시시스템의 갯수는 고배율 카메라의 성능 및 벽의 배치현황과 같은 지형 구조에 달려있다. As shown in Figure 8 and 9,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igh magnification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wall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all. Here, the high magnification camera means a camera that can shoot at a higher magnification than a camera installed in a main body or installed in a basic configuration. The high magnification camera used may be a high magnification PTZ camera. T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both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module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determines that the graffiti action is occurring, the high magnification camera is a signal that the graffiti action occurs by sending a signal to the high magnification camera. It may be to photograph the wall. This high magnification camera makes it possible to capture graffiti more clearly and use it as evidence later. One high magnification camera is not only applied to one set of graffiti surveillance systems, but may be applied to several sets of graffiti surveillance systems, as shown in FIG. The number of graffiti surveillance systems to which high magnification cameras are applied depends on the terrain structure, such as the performance of the high magnification cameras and the layout of the walls.

10: 낙서 감시시스템 20: 벽
100: 화학성분 검출센서 200: 카메라
300: 본체 310: 화학성분 분석모듈
320: 영상 분석모듈 330: 중앙처리부
340: 메모리부 350: LAN 포트
360: I/O 포트 400: 인터넷망
500: 전화망
10: Graffiti Surveillance System 20: Wall
100: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200: camera
300: main body 310: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module
320: image analysis module 330: central processing unit
340: memory unit 350: LAN port
360: I / O port 400: Internet network
500: telephone network

Claims (6)

벽에 뿌려서 그림을 그리거나 낙서를 하는 래커(lacquer)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에 함유된 화학성분을 검출하는 화학성분 검출센서;
상기 화학성분 검출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화학성분의 검출 정도를 분석하는 화학성분 분석모듈;
모니터링하는 벽 및 그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벽에 래커(lacquer)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로 그림 또는 낙서를 하는 행위가 일어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분석모듈;
상기 화학성분 분석모듈 및 상기 영상 분석모듈이 분석한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분석결과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의 처리에 의한 결과 데이터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의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의 상기 처리결과를 인터넷, 인터라넷 또는 전화망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화학성분 검출모듈에 의하여 화학성분이 기준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영상 분석모듈에 의하여 상기 벽에 래커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로 그림 또는 낙서를 하는 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행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촬영된 동영상과 함께 또는 상기 촬영된 동영상 없이 상기 벽에서 낙서 행위가 일어나고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행위 중 최소한 하나의 행위를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
A chemical component sensor for detecting chemical substances contained in lacquer sprays or paint sprays sprayed on walls and drawing or graffitiing;
A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and analyze a detection degree of the chemical component;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wall to be monitored and its surroundings;
An image analysis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camera and determine whether an act of painting or graffiti is applied to the wall by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A central processing unit which receives a result analyzed by the chemical component analysis module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and performs processing according to the received analysis result;
A memory unit for storing result data by processin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data used for processin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the outside via the Internet, Internet or telephone network,
When the central processor detects that the chemical component is detected by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module or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or the act of painting or graffiti on the wall by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At least one of storing a video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the memory unit and notifying the outside that graffiti is occurring on the wall with or without the photographed video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Doodle monitoring system through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to carry o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성분 검출모듈에 의하여 화학성분이 기준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및 상기 영상 분석모듈에 의하여 상기 벽에 래커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로 그림 또는 낙서를 하는 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만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행위만을 수행하고, 상기 화학성분 검출모듈에 의하여 화학성분이 기준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및 상기 영상 분석모듈에 의하여 상기 벽에 래커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로 그림 또는 낙서를 하는 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모두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행위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촬영된 동영상과 함께 또는 상기 촬영된 동영상 없이 상기 벽에서 낙서 행위가 일어나고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행위 모두를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Only when the chemical component is detected above the reference value by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module or when the act of painting or graffitiing the wall with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is occurring. When the occurrence occur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performs only an operation of storing the moving picture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the memory unit, and when the chemical component is detected by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module above the reference value an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When it is judged that painting or graffiti is performed by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on the wall, when all of the occurrence occur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tores the video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the memory unit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remind The happening that graffiti surveillance system with video detection and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of that feature to perform all actions in informing the external graffiti acts youngdoen the wall with no video or the video shoo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가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음을 알리는 상기 외부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경찰서의 신고 접수 시스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side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inform that the graffiti action is occurring,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through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both of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the police report receiving syste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성분 검출센서는 래커(lacquer)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검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sensor is a graffiti monitoring system through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모듈은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을 벽에 래커(lacquer)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로 그림 또는 낙서를 하는 행위에 관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참조 영상들과 비교하여 유사성이 소정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벽에 래커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스프레이로 그림 또는 낙서를 하는 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image analysis module compares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with a lacquer spray or a paint spray on a wall with referenc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unit when the similarity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Graffiti monitoring system through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 of painting or graffiti by lacquer spray or paint spray on the wa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낙서 감시시스템은 해당 벽면의 맞은 편에서 해당 벽면을 촬영하는 고배율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화학성분 검출모듈 및 상기 영상 분석모듈 모두가 낙서행위가 일어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고배율 카메라에게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고배율 카메라가 해당 벽면을 촬영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성분 검출 및 영상분석을 통한 낙서 감시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high magnification camera that photographs the wall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wall,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at the graffiti action is occurring when both the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module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determine that the graffiti is occurring. The graffiti monitoring system through chemical compon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 magnification camera to shoot the wall b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camera.
KR1020130137450A 2013-11-13 2013-11-13 Graffiti surveilance system by chemical ingredi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KR1013811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450A KR101381171B1 (en) 2013-11-13 2013-11-13 Graffiti surveilance system by chemical ingredi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450A KR101381171B1 (en) 2013-11-13 2013-11-13 Graffiti surveilance system by chemical ingredi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171B1 true KR101381171B1 (en) 2014-04-04

Family

ID=5065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450A KR101381171B1 (en) 2013-11-13 2013-11-13 Graffiti surveilance system by chemical ingredi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17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6235A (en) * 2002-12-24 2004-07-22 Zappallas:Kk Scribble prevent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JP2005011006A (en) * 2003-06-18 2005-01-13 Yazaki Corp Scribble report device and scribble monitoring system
KR20100116465A (en) * 2009-04-22 2010-11-01 주식회사 유네트 Remote supervision and management system of non smoking area, and managing method thereof
KR20100124877A (en) * 2009-05-20 2010-11-3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6235A (en) * 2002-12-24 2004-07-22 Zappallas:Kk Scribble prevent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JP2005011006A (en) * 2003-06-18 2005-01-13 Yazaki Corp Scribble report device and scribble monitoring system
KR20100116465A (en) * 2009-04-22 2010-11-01 주식회사 유네트 Remote supervision and management system of non smoking area, and managing method thereof
KR20100124877A (en) * 2009-05-20 2010-11-3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90693B2 (en) Video analytics system for identifying events
US10043360B1 (en) Behavioral theft detection and notification system
JP4617269B2 (en) Monitoring system
US9053621B2 (en) Image surveillance system and image surveillance method
US9870697B2 (en)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llaborative standalone area monitor
US8368754B2 (en) Video pattern recognition for automating emergency service incident awareness and response
US201403548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ve surveillance property monitoring
US20080136934A1 (en) Flame Detecting Method And Device
US9251692B2 (en) GPS directed intrusion system with data acquisition
CN106205022B (en) A kind of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home security
US20160148016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extual Adjustment of Video Fidelity to Protect Privacy
KR101467352B1 (en) location based integrated control system
CN103325209A (en) Intelligent security alarm system based on wireless
KR1013819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ecurity using camera monitoring apparatus
KR20120140518A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smart phone base
KR20060112207A (en) Security system
KR101046819B1 (en) Intrusion monitoring method and intrusion monitoring system by software fence
JP2009015536A (en) Suspicious person report device, suspicious person monitoring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40108789A (en) A method of monitoring and a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81171B1 (en) Graffiti surveilance system by chemical ingredient detection and image analysis
US10325466B2 (en) Security marking system
KR102153465B1 (en) Smart system for detecting fire and device for the same
KR1011531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crime in parking lot using sound recognition
KR101331195B1 (en) Privacy protecting monitoring system
JP2005346545A (en)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8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3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