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245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245B1
KR101380245B1 KR1020120076457A KR20120076457A KR101380245B1 KR 101380245 B1 KR101380245 B1 KR 101380245B1 KR 1020120076457 A KR1020120076457 A KR 1020120076457A KR 20120076457 A KR20120076457 A KR 20120076457A KR 101380245 B1 KR101380245 B1 KR 101380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pe
connection
fixed
a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542A (ko
Inventor
김철
강병주
박성국
최민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6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24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4Preventing hull fou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3/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은 하단부가 선체를 관통하여 해수가 유출입되는 배관; 상기 배관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에 연결되는 부식 방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부식 방지 장치는, 상기 배관보다 산화 반응의 반응성이 큰 금속으로 제공되는 양극부재; 및 상기 양극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양극부재보다 산화 반응의 반응성이 작은 금속으로 제공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배관의 부식이 방지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PSO)는 해양 플랜트(Plant)나 드릴쉽(Drillship)에서 뽑아낸 원유를 정제하고 이를 저장해서 셔틀 탱커(Shuttle Tanker)나 기타 이송 장소에 하역을 할 수 있는 특수선박이다.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에는 원유를 정제 또는 기름을 하역하기 위한 다수의 장비가 제공된다.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는 해수를 이용하여 장비를 냉각한다. 또한, 드릴쉽(Drillship)과 같은 리그 선에서도 장비의 냉각에 해수가 사용된다. 장비의 냉각에 사용된 해수는 케이슨과 같은 배관을 통해 바다로 배출된다.
배관은 음극화 보호에 의해 부식이 방지된다. 배관에 부착된 양극(ANODE)은 배관에 전자를 공급하여, 배관 대신 산화된다. 시간이 경과되면, 양극은 산화되어 그 질량이 줄어든다. 따라서, 양극을 배관에 설치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새로운 양극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38534는 케이슨 방청 도장을 위한 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다.
양극은 배관의 내주면에 부착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양극을 교체할 경우, 작업자가 케이슨의 내부로 들어가 양극의 교체 작업을 수행한다. 위 공보에 개시된 구조물은 작업자가 앉는 좌판에 주 밧줄 및 보조 밧줄이 연결된다. 주 밧줄은 권양기에 연결되어, 좌판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케이슨 내부에 들어가, 방청 도장을 수행하거나 양극의 교체를 수행하는 경우 추락위험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빛 또는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38534호
본 발명은 배관의 내부에 간단히 설치되는 부식 방지 장치를 갖는 선박을 제공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극부재의 교체가 간단한 부식 방지 장치를 갖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단부가 선체를 관통하여 해수가 유출입되는 배관; 상기 배관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에 연결되는 부식 방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부식 방지 장치는, 상기 배관보다 산화 반응의 반응성이 큰 금속으로 제공되는 양극부재; 및 상기 양극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양극부재보다 산화 반응의 반응성이 작은 금속으로 제공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에는, 상기 덮개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단락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식 방지 장치는, 상기 단락돌기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식 방지 장치는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단락돌기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식 방지 장치는 복수 개 제공되어, 인접한 상기 부식 방지 장치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양극부재가 관통하는 고정홀을 포함되고, 상기 양극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가 각각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사이에 제공되는 바디부; 및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고,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공되는 고정로드를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부재에는 상기 고정로드가 삽입되는 로드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가 각각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양극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고정로드를 포함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고정로드와 결합되는 결합로드를 포함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부재에는 상기 고정로드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양극부재가 고정된 곳의 상부 및 하부에 고리형상으로 들어가 전선을 감을 수 있는 단락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배관의 내부에 간단히 부식 방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양극을 간단히 교체 할 수 있다.
도 1은 선박의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식 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고정부재에 양극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부식 방지 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배관에서 덮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선박의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체(10)에는 배관(11)이 제공된다. 선체(10)는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PSO), 드릴쉽(DRILLSHIP), 잭업 리그(JACK-up RIG) 또는 반잠수식 시추선(Semi-submersible)과 같은 석유 시추선 일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항능력을 가지는 상선, 여객선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선체(10)에는 원유를 시추, 정제하는 장비 또는 기름을 저장 또는 하역하는 장치가 제공 될 수 있다.
선체(10)에는 케이슨(11)(이하, 배관이라 한다)이 제공된다. 선체(10)에 제공된 장치는 해수를 이용하여 냉각된다. 각각의 장치는 연결관(12)을 통해 배관(11)에 연결될 수 있다. 장치에서 냉각에 사용된 해수는 연결관(12)을 통해 배관(11)으로 유입된다. 배관(11)의 하단은 선체(10)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선체(10)를 관통하여 해수가 유출입 가능하게 제공된다. 배관(11)으로 유입된 해수는 배관(11)을 통해 바다로 배출된다. 해수는 무기염류를 포함하고 있다. 배관(11)은 바다와 연결되도록 제공되어, 해수와의 접촉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배관(11)은 배관(11) 하단의 해수 또는 연결관(12)을 통해 유입된 후 바다로 배출되는 해수와 접촉을 통해 부식된다. 따라서, 배관(11)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음극화 보호가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식 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부식 방지 장치(100)는 고정부재(110), 양극부재(200) 및 연결부재(30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10)는 막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부재(110)의 양단에는 제 1 연결부(111) 및 제 2 연결부(112)가 형성된다. 연결부(111,112)의 길이방향은 고정부재(1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연결부(111, 112)는 로드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111, 112)에는 연결홀(117)이 형성된다. 연결홀(117)은 연결부(111, 112)의 길이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 연결홀(117)은 연결부(111, 112)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11, 112) 사이에는 바디부(113)가 형성된다. 바디부(113)의 길이방향은 연결부(111, 112)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제공된다. 길이방향에 수직한 바디부(113)의 단면적은, 길이방향에 수직한 연결부(111, 112)의 단면적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바디부(113)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디부(113)에는 양극부재(200)가 고정되는 고정부(114)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14)는 고정홀(114)로 제공된다. 고정홀(114)은 바디부(113)를 관통하는 홀로 제공된다. 고정홀(114)은 바디부(113)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다. 일 예로, 고정홀(114)은 직사각 또는 타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3)에는 단락홈(115)이 형성된다. 단락홈(115)은 바디부(113)의 단부와 고정홀(114) 사이에 형성된다. 단락홈(115)은 양극부재(200)가 고정된 곳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단락홈(115)은 바디부(113)의 외주면이 고리형상으로 들어간 홈으로 형성된다. 단락홈(115)에는 전선(116)이 감긴다. 단락홈(115)은 전선(116)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재(110)는 배관(11)과 동일한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배관(11)과 고정부재(110)는 철 또는 구리로 제공된다. 또한, 고정부재(110)는 배관(11)보다 산화 반응의 반응성(이하, 반응성)이 작은 금속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110)가 배관(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도, 고정부재(110)가 배관(11)대신 산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연결부재(300)는 고정부재(11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연결부재(300)는 제 1 연결부(111) 및 제 2 연결부(112)에 각각 연결된다. 연결부재(300)는 호(arc)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연결부재(300)는 다각형 고리에서 일부가 절단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재(300)의 양단은 연결부(111, 112)의 두께에 대응하여 이격되어 제공된다. 연결부재(300)의 양단 사이에는 연결부(111, 112)가 위치된다. 연결부재(300)의 양단에는 연결홀(117)에 대응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연결부재(300) 및 연결부(111, 112)는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일 예로, 축(118)은 홀 및 연결홀(117)에 삽입되는 볼트(118)일 수 있다. 볼트(118)의 단부에는 너트(119)가 결합된다.
도 3은 고정부재에 양극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양극부재(200)는 일정한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된다. 양극부재(200)의 일 방향 폭은 고정홀(114)의 길이에 대응하게 제공된다. 양극부재(200)의 일 측면의 형상은 고정홀(114)의 형상에 대응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양극부재(200)는 고정홀(114)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양극부재(200)는 배관(11) 및 고정부재(110)보다 반응성이 큰 금속으로 제공된다. 일 예로, 배관(11)과 고정부재(110)는 철 또는 구리이고, 양극부재(200)는 마그네슘 또는 아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부식 방지 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배관에서 덮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부식 방지 장치는 서로 연결되어 부식 방지 어셈블리(20)를 제공한다.
배관(11)의 상부는 선체(10)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제공된다. 배관(11)의 상단은 덮개(12)가 제공된다. 덮개(12)는 배관(11)의 상단에 탈착 가능 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배관(11)의 상단에는 플랜지(13)가 제공될 수 있다. 덮개(12)는 플랜지(13)에 대응하여 제공된다. 덮개(12) 및 플랜지(13)에는 각각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될 수 있다.
덮개(12)에는 단락유닛(14)이 제공된다. 단락유닛(14)은 단락돌기(15), 단락부재(16) 및 전선연결부(17)를 포함한다. 단락돌기(15)는 연결부(111, 1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단락돌기(15)는 덮개(1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단락돌기(15)의 하단에는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홀은 연결홀(117)에 대응한 형상으로 제공된다. 단락부재(16)는 단락돌기(15)에 회전가능 하게 축으로 연결된다. 단락부재(16)는 연결부재(3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단락부재(16)는 호(arc)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단락부재(16)는 다각형 고리에서 일부가 절단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단락부재(16)의 양단은 단락돌기(15)의 두께에 대응하여 이격되어 제공된다. 단락부재(16)의 양단 사이에는 단락돌기(15)가 위치된다. 단락부재(16) 및 단락돌기(15)는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일 예로, 축은 볼트일 수 있다. 볼트의 단부에는 너트가 결합된다. 단락부재(16)에는 연결부재(300)가 연결된다. 일 예로, 연결부재(300)는 체인(18)으로 단락부재(16)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00)는 단락부재(16)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부식 방지 장치(100) 하단에는 다른 부식 방지 장치(100)가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재(300)에 체인(18)이 연결될 수 있다. 체인(18)은 다른 하나의 부식 방지 장치(100)에 포함된 연결부재(300)에 연결된다. 또한, 연결부재(300)에 다른 부식 방지 장치(100)의 연결부재(300)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전선연결부(17)는 단락돌기(15)의 옆에 형성된다. 전선연결부(17)에는 전선(116)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선(116)의 타단은 가장 상단에 위치된 부식 방지 장치(100)의 단락홈(115)에 연결된다. 또한, 가장 상단에 위치된 부식 방지 장치(100)의 다른 단락홈(115)은 그 하부에 위치된 부식 방지 장치(100)의 단락홈(115)과 전선(116)으로 연결된다.
양극부재(200)는 배관(11)보다 반응성이 큰 금속으로 제공되므로, 전자는 양극부재(200)에서 체인(18), 덮개(12)를 거쳐서 배관(11)으로 이동된다. 전자를 제공하는 양극부재(200)는 배관(11)대신 산화된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양극부재(200)는 산화되어 부피가 감소된다. 작업자는 덮개(12)를 개방한다. 덮개(12)를 배관(11)의 상부로 들어 올리면, 배관(11)에 연결된 부식 방지 어셈블리(20)가 배관(11) 밖으로 빠져 나온다. 작업자는 배관(11) 밖으로 나온 각각의 부식 방지 장치(100)에서 양극부재(200)를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11)에 양극부재(200)의 부착 또는 양극부재(200)의 교체가 간단해 진다.
또한, 부식 방지 장치(100)와 덮개(12) 그리고 이웃한 부식 방지 장치(100)들은 전선(116)으로 연결된다. 전선(116)은 부식 방지 장치(100) 사이 및 부식 방지 어셈블리(20)와 배관(11) 사이에 전자의 이동을 돕는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재(120)의 외면에는 고정로드(122)가 제공된다. 바디부(123)는 바 형상으로 제공된다. 바디부(123)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각각 제 1 연결부(124) 및 제 2 연결부(125)가 제공된다. 고정로드(122)의 일단은 바디부(123)에 고정된다. 고정로드(122)는 고정부재(120)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제공된다. 일 예로, 고정로드(122)는 고정부재(1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제공될 수 있다. 고정로드(122)는 바디부(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로드(122)는 바디부(1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바디부(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제공되는 고정로드(122)들은 하나의 고정부(121)를 이룬다. 고정부재(120)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121)가 제공될 수 있다. 상이한 고정부(121)를 이루는 고정로드(122)들은 그 연장 방향이 상이하게 제공된다.
양극부재(210)에는 고정로드(122)에 대응하는 로드 고정홀(211)들이 형성된다. 일 예로, 하나의 고정부(121)가 2개의 고정로드(122)로 제공되는 경우 양극부재(210)에는 2개의 고정홀(211)이 형성된다. 로드 고정홀(211)들에 고정부(121)가 삽입되면, 양극부재(210)는 고정부재(120)에 고정된다. 고정부재(120)에 수개의 고정부(121)가 제공되면, 하나 이상의 양극부재(210)가 고정부재(120)에 고정될 수 있다. 양극부재(210)가 고정되는 곳의 상부 및 하부에는 단락홈(126)이 형성된다. 단락홈(126)의 형상 및 기능은 도 2의 단락홈(115)와 동일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재(120)에 수개의 양극부재(21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바디부(13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된다. 바디부(133)의 면적은 양극부재(220)보다 크게 제공된다. 고정부(134)는 바디부(133)에 형성되는 고정홈(134)으로 제공된다. 고정홈(134)은 양극부재(220)에 대응하는 홈으로 제공된다. 양극부재(220)는 고정홈(134)에 안착될 수 있다. 고정홈(134) 및 양극부재(220)에는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각각 제공되어, 양극부재(220)를 고정홈(134)에 나사로 고정할 수 있다. 바디부(133)의 측면에는 제 1 연결부(135) 및 제 2 연결부(136)가 제공된다. 제 1 연결부(135) 및 제 2 연결부(136)는 바디부(133)의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양극부재(220)가 고정되는 곳의 상부 및 하부에는 단락홈(137)이 형성된다. 단락홈(137)의 형상 및 기능은 도 2의 단락홈(115)와 동일하다.
양극부재(220)가 산화되면, 양극부재(220)의 면적 또는 두께가 작아진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양극부재(220)의 면적 또는 두께가 작아지는 경우에도, 양극부재(220)가 고정부재(130)에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재(140)는 삽입부재(141) 및 결합부재(151)를 포함한다.
삽입부재(141)는 일측에 제 1 연결부(142)가 형성되고, 타측에 고정로드(143)가 형성된다. 고정로드(143)는 제 1 연결부(142)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고정로드(143)는 서로 나란하게 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고정로드(143)의 단부에는 나사산(144)이 형성된다. 결합부재(151)는 일측에 제 2 연결부(152)가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로드(154)가 제공된다. 결합로드(154)는 고정로드(143)의 수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결합로드(154)는 제 2 연결부(152)에서 연장된다. 결합로드(154)는 고정로드(143)에 대응하게 위치된다. 결합로드(154)의 단부에는 너트(153)가 제공된다. 결합로드(154)에는 원형의 홈(155)이 형성된다. 너트(153)의 일단에는 그 내주면에 홈(155)이 대응하는 돌출부(156)가 형성된다. 돌출부(156)는 홈(155)에 위치된다. 따라서, 너트(153)는 결합로드(154)에 대해 회전된다. 나사산(144)을 너트(153)에 정렬시킨 후 너트(153)를 회전시키면, 고정로드(143)는 결합로드(154)에 결합된다. 양극부재(230)에는 고정로드(143)에 대응하는 삽입홀(231)이 형성된다. 삽입홀(231)에 고정로드(143)가 삽입되면, 양극부재(230)는 삽입부재(141)에 고정된다. 양극부재(230)가 고정되는 곳의 상부 및 하부에는 단락홈(145)이 형성된다. 단락홈(145)의 형상 및 기능은 도 2의 단락홈(115)와 동일하다.
양극부재(230)가 산화되면, 양극부재(230)의 면적 또는 두께가 작아진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양극부재(230)의 면적 또는 두께가 작아지는 경우에도, 양극부재(230)가 고정부재(140)에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선체 11: 배관
12: 연결관 100: 부식 방지 장치
110: 고정부재 111: 제 1 연결부
112: 제 2 연결부 114: 고정홀
115: 단락홈 116: 전선
200: 양극부재 300: 연결부재

Claims (9)

  1. 하단부가 선체를 관통하여 해수가 유출입되는 배관;
    상기 배관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에 연결되고, 인접한 것들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배관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식 방지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부식 방지 장치들은 각각,
    상기 배관보다 산화 반응의 반응성이 큰 금속으로 제공되는 양극부재; 및
    상기 양극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양극부재보다 산화 반응의 반응성이 작은 금속으로 제공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단락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식 방지 장치들 가운데 하나는, 상기 단락돌기에 연결되는 선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 방지 장치들은 각각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 가운데 하나는 상기 단락돌기에 연결되는 선박.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양극부재가 관통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 선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가 각각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사이에 제공되는 바디부; 및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고,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공되는 고정로드를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부재에는 상기 고정로드가 삽입되는 로드 고정홀이 형성되는 선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가 각각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양극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선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고정로드를 포함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고정로드와 결합되는 결합로드를 포함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부재에는 상기 고정로드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선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양극부재가 고정된 곳의 상부 및 하부에 고리형상으로 들어가 전선을 감을 수 있는 단락홈이 형성되는 선박.
KR1020120076457A 2012-07-13 2012-07-13 선박 KR101380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457A KR101380245B1 (ko) 2012-07-13 2012-07-13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457A KR101380245B1 (ko) 2012-07-13 2012-07-13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542A KR20140010542A (ko) 2014-01-27
KR101380245B1 true KR101380245B1 (ko) 2014-04-10

Family

ID=5014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457A KR101380245B1 (ko) 2012-07-13 2012-07-13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2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167Y1 (ko) * 2005-05-26 2005-08-31 김동기 선박건조용 철판부재의 클램프
KR20120000351A (ko) * 2010-06-25 2012-0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배관 부식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167Y1 (ko) * 2005-05-26 2005-08-31 김동기 선박건조용 철판부재의 클램프
KR20120000351A (ko) * 2010-06-25 2012-0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배관 부식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542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7922A (en) Copper protected fairings
JP2019502843A (ja) Scrのテーパ状ストレスジョイントまたはフレックスジョイントを水面の上方に持ち上げる方法および装置
RU2517634C2 (ru) Якорная система
KR101380245B1 (ko) 선박
KR100572354B1 (ko)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전극봉 고정부를 구비한 방오 또는방식 장치
KR102400054B1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KR101259627B1 (ko) 선박용 케이슨의 부식 방지장치
KR101349860B1 (ko) 오일 언로딩 장치
KR101849178B1 (ko) 추진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35330B1 (ko) 해양 구조물의 페어리드 씨패스트닝 장치
KR102156952B1 (ko)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U2011306865B2 (en) Retractable chain connector
KR200481699Y1 (ko) 라이저 파이프와 라이저 풀 헤드의 간편 탈착식 체결 장치
KR20110120608A (ko) 해양 플랫폼용 심해 냉각수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해양 플랫폼
KR102125104B1 (ko) 해치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드릴십
JP2006158160A (ja) 海上浮遊体用長尺体及びその布設方法
KR101531582B1 (ko) 비접촉식 전력 스위블
KR101475204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644486B1 (ko) 터렛용 수밀장치
AU2015213388B2 (en) Rectractable chain connector
KR102235449B1 (ko) 유조선의 오일 탱크 출입홀의 빗물 유입 방지구
KR101722075B1 (ko) 반잠수 구조물의 프로텍션 장치
KR101374172B1 (ko) 해양 구조물의 해수 배출 장치
KR20140112215A (ko) 해양 구조물 설치용 러그의 부착 방법
KR200475923Y1 (ko) 드릴쉽 갠트리 크레인용 랙 기어 운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