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191B1 -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 Google Patents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191B1
KR101380191B1 KR1020120084055A KR20120084055A KR101380191B1 KR 101380191 B1 KR101380191 B1 KR 101380191B1 KR 1020120084055 A KR1020120084055 A KR 1020120084055A KR 20120084055 A KR20120084055 A KR 20120084055A KR 101380191 B1 KR101380191 B1 KR 101380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display line
main body
delete delete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285A (ko
Inventor
송현
Original Assignee
(주)송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원산업 filed Critical (주)송원산업
Priority to KR1020120084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19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52Inclined platforms for practising drives from sl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전면판(13)과 액체(15)가 수용되는 수용홈(11) 사이에서 그린의 경사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포(14)와 상기 액체(15)보다 비중이 큰 표시구(28)로 이루어진 수준기(16)를 지니는 본체(10); 상기 전면판(13)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다기능 골프 보조구가 놓여 있는 위치에서 홀의 직선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전방 표시선(21)과, 상기 전방 표시선(21)의 양측 각각에 본체(10)의 외측 방향을 향해 전방 표시선(21)과의 이격된 거리가 확대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표시선(22)을 지니는 표시수단(20); 상기 본체(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안내대(32)와, 상기 안내대(32)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커버판(34)을 지니는 안내부재(30); 및 상기 안내대(32) 상에 노브(44)를 개재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포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그린의 경사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외에 다기능을 구현하고, 주머니에 휴대함에 있어서 편리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Muti-functional golf assistant based on level}
본 발명은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로 그린의 경사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준기와, 라인정렬선표시기, 그린보수기 및 볼마크 기능의 다기능을 구현하고, 주머니 등에 휴대함에 있어서 편리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골프에서 퍼팅은 전체 타수의 60%를 차지하기 때문에 퍼팅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그린 위에 공이 안착하면 가장 먼저 살필 것은 그린의 기복(undulation)인 경사도다. 모든 골프장의 그린은 평평하지가 않고 굴곡과 경사를 지니며, 조금 난이도가 있는 골프장일수록 더욱 그러한 경향이 크다. 이때, 간단하게 휴대하면서 그린의 경사도를 파악하는 보조구를 활용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96073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05236호 등의 선행특허가 알려져 있다.
전자의 선행특허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인출가능하게 구성되는 디봇포크와; 상기 본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수평 이동되어 디봇포크를 본체 내외로 인출 및 수납하기 위한 노브와; 상기 본체 하부의 오목한 만곡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볼크리너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반원형으로 만곡 형성되는 볼라이너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부피가 크지 않아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용이하며, 디봇포크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는 수평기의 기능이 미흡하여 경사도 판단의 정확성이 저하되고, 소형화가 곤란하며, 전체적으로 막대형을 이루고 있어 주머니에 넣고 다니기 불편하다.
후자의 선행특허는 골프용 볼의 위치를 표시하는 골프용 볼 마커에 있어서, 경사를 측정하는 경사측정부와, 경사측정부를 둘러싼 원판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사측정부는 투명덮개와; 투명덮개와 결합되며 요입부가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요입부에 구비되는 액체와; 액체 내부에 구비되어 경사를 표시하는 경사표시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자신의 골프 볼의 위치와 홀의 위치와의 경사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퍼팅의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는 설정된 직선 방향의 경사도 측정만 가능하므로 여러번 시도하여 하는 불편과 함께, 마커 외에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지 않아서 결국 주머니에 다른 용구를 함께 넣어 다니는 불편도 초래된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96073호 "휴대용 다기능 골프 보조 용구"(공개일자 : 2010. 11. 22.)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05236호 "경사측정이 가능한 골프용 볼 마커"(공개일자 : 2008. 11. 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로 그린의 경사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준기와, 라인정렬선표시기, 그린보수기 및 볼마크 기능의 다기능을 구현하고, 주머니 등에 휴대함에 있어서 편리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전면판과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홈 사이에서 그린의 경사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포와 상기 액체보다 비중이 큰 표시구로 이루어진 수준기를 지니는 본체; 상기 전면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다기능 골프 보조구가 놓여 있는 위치에서 홀의 직선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전방 표시선과, 상기 전방 표시선의 양측 각각에 본체의 외측 방향을 향해 전방 표시선과의 이격된 거리가 확대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표시선을 지니는 표시수단;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안내대와, 상기 안내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커버판을 지니는 안내부재; 및 상기 안내대 상에 노브를 개재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포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전면판과 함께 원형 몸체 상의 일측에 돌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판은 복수의 발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구는 액체보다 비중이 큰 구형태의 표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로서 본체와 커버판 사이에는 필요시 별도로 구비하고자 하는 작은 크기의 보조 마커를 수용하는 보조 마커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복수의 발판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별도의 마커 부착을 위한 자기력을 발생하는 발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로 그린의 경사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수준기의 기능과, 라인정렬선표시기, 그린보수기 및 마커의 기능을 함께 갖는 다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주머니 등에 휴대함에 있어서 편리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골프 보조구의 전면과 후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골프 보조구의 평면과 상하측 및 측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골프 보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전면판(13)과 수용홈(11) 사이에 액체(15)와 기포(14), 표시구(28), 액체(15)와 표시구(28), 액체(15)와 기포(14) 및 표시구(28)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지니는 수준기(16)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본체(10)는 제조원가나 휴대의 용이성 측면에서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며, 내부에 수용홈(11)을 지니는 구조상 적어도 2분할로 형성되어 접합된다. 액체(15)는 수준기(16)의 액체(15)상에서 기포(14)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성수지에 대한 열화를 초래하지 않고 인체에도 무해한 종류를 택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전면판(13)과 함께 원형 몸체 상의 일측에 돌편(17)을 구비한다. 본체(10)가 원형으로 형성되면 주머니에 넣고 다니기 편리하고 인출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을 다치지 않는다. 본체(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편(17)은 그린보수 작업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면서 파지력을 높인다. 돌편(17)의 일예로, 도시처럼 마치 물고기의 꼬리와 같은 형태로 하는 것이 기능상이나 미관상으로 좋다. 본체(10)의 전면판(13)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는 것은 본체(10)의 액체(15) 상에 생성되는 기포(14)를 용이하게 인식하기 위함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수단(20)이 상기 본체(10) 상의 전면판(13) 상부면에 표시선(21)(22)(23)을 지니는 구조이다. 후술하는 포크(40)의 인출 방향으로 하나의 전방 표시선(21)이 형성되고, 이 전방 표시선(21)의 양측으로 각각 하나의 경사 표시선(22)이 본체(10)의 외측 방향을 향해 전방 표시선(21)과의 이격된 거리가 확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방 표시선(21)과 직교하도록 하나의 측방 표시선(23)이 형성된다. 물론 경사 표시선(22)은 보다 많은 수량과 다양한 간격으로 증설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경사 표시선(22)의 일측에 각각의 방향을 숫자로 표시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표시선(21)(22)(23)은 표시선(21)(22)(23)이 홀을 향한 방향과 액체(15)의 기포(14) 또는 후술하는 표시구(28)가 위치하는 방향에 따라 다기능의 골프 보조구가 놓여있는 위치에서 사용자가 홀의 방향 및 그린의 경사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하는데 유용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경사 표시선(22)이 본체(10)의 외측 방향을 향해 전방 표시선(21)과의 이격된 거리가 확대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다기능의 골프 보조구가 놓여있는 위치에서 전방 표시선(21)을 홀까지 가상으로 연장하면 다기능의 골프 보조구와 홀까지의 직선거리가 어느 정도인가를 알 수 있고, 전방 표시선(21)과 경사 표시선(22)이 갖는 경사각도(α)가 특정의 각도로 형성되면, 다기능의 골프 보조구가 놓여있는 위치에서 경사 표시선(22)을 홀까지 가상으로 연장하면 홀의 위치에서 홀과 가상으로 연장된 경사 표시선(22)과의 이격 거리를 쉽게 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다기능의 골프 보조구가 놓여있는 위치에서 전방 표시선(21)을 홀까지 가상으로 연장한 직선거리가 1미터이고 상기 전방 표시선(21)과 경사 표시선(22)이 갖는 경사각도(α)를 5.78도의 각도로 형성한 것을 가정하면 홀의 위치에서 홀과 가상의 경사 표시선(22)간의 거리가 10센티미터의 이격 거리가 발생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경사면을 갖는 그린에서 퍼팅할 경우 경사각도(α)를 갖는 경사 표시선(22)을 이용하여 공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예측하면서 퍼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표시선(21)(22)(23)은 본체(10)의 전면판(13) 상부면에 인쇄할 수도 있으나 내마모성을 높이려면 전면판(13) 상부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각인하는 것이 좋다. 표시선(21)(22)(23)의 양각 또는 음각 상에 형광 물질을 더 인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에서 수준기(16)가 점유하는 영역이 매우 넓어서 다방향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경사도 측정이 가능하다. 즉, 반드시 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본체(10)를 맞추어 놓지 않더라도 경사도의 판단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수준기(16)는 액체(15)보다 비중이 큰 구형태의 표시구(2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구(28)는 수용홈(11)에 액체(15)를 채우지 아니하고 표시구(28) 만을 넣어 수준기(16)로 사용하게 할 수 있고, 수용홈(11)에 액체(15)를 채운 상태에서 기포(14)와 표시구(28)가 함께 그린의 경사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표시구(28)는 만일 장기간 사용이나 손상으로 본체(10) 상의 액체(15)가 누수된다면 구형태의 표시구(28)가 기포(14)의 역할을 지속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구(28)는 액체(15)보다 비중이 큰 금속재 등을 사용하여 액체(15) 속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기포(14)와 표시구(28)를 동시에 사용하면 그린의 경사면을 기준으로 기포(14)는 경사면의 높은 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액체(15)보다 비중이 높은 표시구(28)는 경사면의 낮은 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그린의 경사면 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기포(14)와 표시구(28)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야간에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표시구(28)의 표면에 는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부재(30)가 상기 본체(10)의 일면에는 안내대(32)를 구비한다. 상기 안내대(32)는 후술하는 포크(40)를 지지하는 부분이므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강도와 내마모성을 고려하여 금속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안내대(32)는 포크(40)가 안내대(32)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ㄷ"자나 "ㄴ" 단면 등의 다양한 구조의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안내대(32)는 "ㄷ"자나 "ㄴ" 단면 등으로 형성한 후에 본체(10)의 사출성형시에 인서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안내대(32) 주위의 개방된 상부면은 합성수지재의 커버판(34)으로 마무리한다.
이에 더하여 본원발명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는 그 자체로 마커의 기능을 함께 구비하나, 다수의 공이 서로 근거리에 위치하여 본원발명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에 비해 보다 작은 크기의 마커로 표시하고자 할 경우를 위해 본체(10)와 커버판(34) 사이에 보조 마커(25)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하는 보조 마커(25)를 수용하는 보조 마커 수용공간(26)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안내대(32)의 상부 일면을 이루는 커버판(34)은 후술하는 노브(44)가 지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다수의 발판(36)을 일체로 구비하게 하거나 별도로 형성된 발판(36)을 커버판(34) 상에 결합시켜 형성한다. 발판(36)은 커버판(34)과 동일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지만 자석(37, 자석의 구체적 구성에 대한 도시는 생략)을 발판(36)에 인서트 몰드로 일체화하여 다수의 공이 서로 근거리에 위치하여 본원발명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에 비해 작은 크기의 필요시 자성체로 이루어진 보조 마커(25)를 발판(36)에 부착하여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별도로 더 구비하는 보조 마커(25)의 휴대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게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포크(40)는 상기 안내대(32) 상에 노브(44)를 개재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구조이다. 포크(40)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42)을 지니는 구조로서 그린 등을 보수하는 외에 골프공에 마킹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금속재로 형성되는 포크(40)는 안내대(32) 상에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포크(40)의 일면에 형성되는 노브(44)는 커버판(34)에서 노출된 상태로 커버판(34)에 형성된 홈(38)을 따라 이동하면서 행정단이 제한된다.
사용에 있어서, 그린에서 퍼팅시 본원 발명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를 직접 공의 위치에 놓고 공을 회수하여 마커로 사용하거나, 필요시 다기능 골프 보조구에 함께 휴대된 보조 마커(25)를 분리하여 공의 위치에 놓고 공을 회수하며, 자신의 차례가 오면 공의 위치에 놓여 있는 다기능 골프 보조구[본원 발명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대신 공의 위치에 보조 마커(25)를 위치시킨 경우에는 보조 마커(25)의 위치에 본원 발명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를 위치하게 함]의 본체(10)의 수용홈(11)에 구비한 액체(15) 상에서 그린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기포(14)와 표시구(28)의 이동방향을 함께 확인하여 그린의 경사도를 판단하거나, 상기 수용홈(11)에 액체(15) 없이 표시구(28) 만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그린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표시구(28)의 이동방향을 이용하여 그린의 경사도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그린에서 퍼팅하는 과정에서 타인에 방해를 주지 않고 표시선(21)(22)(23)에 의한 홀의 방향, 기포(14) 및 표시구(28)에 의한 그린의 경사도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고 수집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다기능 골프 보조구를 공의 위치에 놓아 마커의 기능을 하되 경우에 따라 원거리에서 마커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체(10)의 전방으로 포크(40)를 인출한 후에 지면에 꽂으면 원거리에서 본체(10)를 인식하기 용이한 또 다른 마커의 기능도 기대될 수 있다.
만일, 그린의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본체(10)를 꺼내어 노브(44)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포크(40)를 인출하고, 본체(10)와 돌편(17)을 동시에 손으로 파지하고 지면을 고를 수 있다. 또한 필요시 보조 마커(25)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체(10)와 커버판(34) 사이의 보조 마커 수용공간(26)에 수용된 보조 마커(25)를 인출하여 사용하거나, 발판(36)에 고정된 자석에 의하여 결합된 보조 마커(25)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보조 마커(25)를 다기능 골프 보조구와 일체로 주머니에 넣고 다닐 수 있으면서도 그린의 보수 시 보조 마커(25)가 그린의 보수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휴대도 편리하게 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수용홈
13: 전면판 15: 액체
20: 표시수단 21, 22, 23: 표시선
25: 보조 마커 28: 표시구
30: 안내부재 32: 안내대
34: 커버판 36: 발판
40: 포크 42: 절개홈
44: 노브 50: 풍속계
52: 지지판 54: 환형틀
56: 날개

Claims (22)

  1.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전면판(13)과 액체(15)가 수용되는 수용홈(11) 사이에서 그린의 경사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포(14)와 상기 액체(15)보다 비중이 큰 표시구(28)로 이루어진 수준기(16)를 지니는 본체(10);
    상기 전면판(13)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다기능 골프 보조구가 놓여 있는 위치에서 홀의 직선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전방 표시선(21)과, 상기 전방 표시선(21)의 양측 각각에 본체(10)의 외측 방향을 향해 전방 표시선(21)과의 이격된 거리가 확대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표시선(22)을 지니는 표시수단(20);
    상기 본체(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안내대(32)와, 상기 안내대(32)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커버판(34)을 지니는 안내부재(30); 및
    상기 안내대(32) 상에 노브(44)를 개재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포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본체(10)의 일측에 돌편(1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구(28)의 형태는 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시구(28)는 야간에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표시구(28)의 표면에 형광물질이 더 도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20)은 상기 전방 표지선(21)과 직교하는 측방 표시선(2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방 표지선(21)과 측방 표시선(23) 및 경사표시선(22)은 양각 또는 음각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각인되고, 상기 양각 또는 음각 상에는 형광물질이 더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34)은 상기 노브(44)가 지면과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다수의 발판(3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발판(36)의 어느 하나 이상에는 보조 마커(25)가 결합되는 자석(3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커버판(34)의 사이에는 보조 마커(25)를 수용하는 보조 마커 수용공간(2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크(40)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42)를 구비하고 금속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20084055A 2012-07-31 2012-07-31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KR101380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055A KR101380191B1 (ko) 2012-07-31 2012-07-31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055A KR101380191B1 (ko) 2012-07-31 2012-07-31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285A KR20140017285A (ko) 2014-02-11
KR101380191B1 true KR101380191B1 (ko) 2014-04-01

Family

ID=5026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055A KR101380191B1 (ko) 2012-07-31 2012-07-31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254B1 (ko) * 2014-10-22 2015-12-09 이창훈 골프 스마트 마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972B1 (ko) * 2021-07-20 2022-03-10 이종철 퍼팅용 홀컵 안내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07Y1 (ko) 2001-03-13 2001-10-08 차민지 골프 보조용품
KR20050037099A (ko) * 2003-10-17 2005-04-21 이병훈 그린용 측정기
KR200412073Y1 (ko) 2006-01-05 2006-03-22 조광섭 골프공 마커
KR20080005443U (ko) * 2007-05-14 2008-11-19 장재필 수평계가 부착된 골프용 볼마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07Y1 (ko) 2001-03-13 2001-10-08 차민지 골프 보조용품
KR20050037099A (ko) * 2003-10-17 2005-04-21 이병훈 그린용 측정기
KR200412073Y1 (ko) 2006-01-05 2006-03-22 조광섭 골프공 마커
KR20080005443U (ko) * 2007-05-14 2008-11-19 장재필 수평계가 부착된 골프용 볼마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254B1 (ko) * 2014-10-22 2015-12-09 이창훈 골프 스마트 마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285A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3337B (zh) 用于轻击高尔夫的方向指示装置
US7841096B1 (en) Golf tee marking device
CN201637368U (zh) 侵蚀沟测量尺
KR101380191B1 (ko) 수준기 기반의 다기능 골프 보조구
KR101395845B1 (ko) 수준 측량용 디지털 스타프의 지면 고정 장치
KR200412073Y1 (ko) 골프공 마커
KR101470697B1 (ko) 퍼팅 거리와 퍼팅 방향을 알려주는 볼 마커
CN204479061U (zh) 一种水准尺迁站移动支撑底座装置
JP6768950B2 (ja) クリップ部を有するゴルフボールマーカー
KR200487839Y1 (ko) 그린의 경사측정 기능이 구비된 볼마커
KR200334251Y1 (ko) 골프장의 그린 경사 측정기
CN210346685U (zh) 一种建筑装饰装修工程设计用测量装置
KR20110042041A (ko) 골프장 그린 경사 측정기
CN210234489U (zh) 一种多功能三角板
CN207976154U (zh) 一种多功能土地整理测绘设备
KR100844345B1 (ko) 골프채에 구비되어지는 거리측정용 끼움링
KR102371972B1 (ko) 퍼팅용 홀컵 안내기구
CN214952794U (zh) 一种回弹仪
CN216083105U (zh) 一种新型道路设计用红外线测距仪
CN210774029U (zh) 一种工程监理用道路坡度尺
KR101349957B1 (ko) 지형 사이 거리를 측량하는 지표면 수준측량용 디지털 스타프 높낮이 조절장치
CN208536845U (zh) 一种多功能建筑检测盒
KR200412072Y1 (ko) 골프공 마커
CN211740227U (zh) 一种易于固定的道路桥梁施工测量用的标杆
CN213631886U (zh) 一种钢材长度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