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176B1 -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176B1
KR101380176B1 KR1020120099280A KR20120099280A KR101380176B1 KR 101380176 B1 KR101380176 B1 KR 101380176B1 KR 1020120099280 A KR1020120099280 A KR 1020120099280A KR 20120099280 A KR20120099280 A KR 20120099280A KR 101380176 B1 KR101380176 B1 KR 101380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served
real
transmission resources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686A (ko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9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176B1/ko
Priority to US14/407,615 priority patent/US9491211B2/en
Priority to CN201380030612.9A priority patent/CN104365166A/zh
Priority to EP13836033.4A priority patent/EP2894921A4/en
Priority to PCT/KR2013/006911 priority patent/WO2014038792A1/ko
Publication of KR20140032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특정 시점에 다수의 사용자장치 각각으로부터 실시간 수신이 요구되는 실시간컨텐츠 또는 사전 예약한 예약컨텐츠 요청과 관련하여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상기 특정 시점에 할당 가능한 전체 전송자원 중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며, 상기 전체 전송자원에서 상기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에 전송자원을 할당함으로써,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DOWNLOAD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동일 시점에 수신되는 실시간컨텐츠 요청 및 예약컨텐츠 요청과 관련하여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고,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를 선정하여 전송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각종 데이터 및 컨텐츠를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 기술들이 서비스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장치에서 디지털 신문, 서적, 음반, 영화, 및 드라마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저장매체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멀티 미디어 서비스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멀티 미디어 서비스는 무선 자원의 제한성으로 인해 동시 접속자수가 제한되며, 이로 인해 동시 접속자 수가 증가할수록 접속 성공률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다운로드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게 되어 제한된 무선 채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트래픽(Traffic)이 적은 시간대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대에 미리 예약된 컨텐츠를 사용자장치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예약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예약 다운로드 서비스의 경우에는 복수의 사용자장치 들이 특정 시간에 일제히 다운로드 요청을 하게 되는 경우, 실 사용자의 다운로드(예약 다운로드가 아닌, 스트리밍이나 컨텐츠 다운로드 등)가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 시점에 수신되는 실시간컨텐츠 요청 및 예약컨텐츠 요청과 관련하여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고,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를 선정하여 전송자원을 할당함으로써,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실시간 수신이 요구되는 실시간컨텐츠 또는 사전 예약한 예약컨텐츠를 서비스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다수의 사용자장치; 및 특정 시점에 다수의 사용자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실시간컨텐츠 또는 상기 예약컨텐츠가 요청되면,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상기 특정 시점에 할당 가능한 전체 전송자원 중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며, 상기 전체 전송자원에서 상기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에 전송자원을 할당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특정 시점에 다수의 사용자장치 각각으로부터 실시간 수신이 요구되는 실시간컨텐츠 또는 사전 예약한 예약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상기 특정 시점에 할당 가능한 전체 전송자원 중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고, 상기 전체 전송자원에서 상기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을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할당하는 자원할당부; 및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에 전송자원을 할당하도록 하는 할당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당제어부는, 상기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일부의 사용자장치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하여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을 할당하도록 하는 할당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당제어부는,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된 사용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장치를 대상으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당제어부는,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상기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하는 사용자장치를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당제어부는,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작은 컨텐츠용량을 갖는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를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당제어부는, 특정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예약컨텐츠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장치로부터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와 동일하되,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의 컨텐츠용량 보다 작은 컨텐츠용량을 갖는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할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당제어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장치를 대상으로 기 전송된 상기 컨텐츠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특정 사용자장치로부터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와 동일한 크기의 컨텐츠용량을 갖게 하기 위한 컨텐츠를 재요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당된 전송자원을 통해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장치 각각이 실시간 수신이 요구되는 실시간컨텐츠 또는 사전 예약한 예약컨텐츠를 서비스장치에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특정 시점에 상기 다수의 사용자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실시간컨텐츠 또는 상기 예약컨텐츠 요청을 확인하는 컨텐츠요청확인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상기 특정 시점에 할당 가능한 전체 전송자원 중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는 전송자원우선할당단계; 및 상기 전체 전송자원에서 상기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에 전송자원을 할당하는 전송자원추가할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시점에 다수의 사용자장치 각각으로부터 실시간 수신이 요구되는 실시간컨텐츠 또는 사전 예약한 예약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상기 특정 시점에 할당 가능한 전체 전송자원 중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는 전송자원우선할당단계; 및 상기 전체 전송자원에서 상기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에 전송자원을 할당하는 전송자원추가할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자원추가할당단계는, 상기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일부의 사용자장치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하여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된 사용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장치를 대상으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하도록 하는 재요청유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자원추가할당단계는,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상기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하는 사용자장치를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자원추가할당단계는,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작은 컨텐츠용량을 갖는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를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자원추가할당단계는, 특정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예약컨텐츠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장치로부터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와 동일하되,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의 컨텐츠용량 보다 작은 컨텐츠용량을 갖는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사용자장치를 대상으로 기 전송된 상기 컨텐츠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특정 사용자장치로부터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와 동일한 크기의 컨텐츠용량을 갖게 하기 위한 컨텐츠를 재요청하도록 하는 재요청유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당된 전송자원을 통해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동일 시점에 수신되는 실시간컨텐츠 요청 및 예약컨텐츠 요청과 관련하여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고,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를 선정하여 전송자원을 할당함으로써,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장치(100), 상기 사용자장치(100)가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하는 서비스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서비스장치(200)와 연계하여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제공장치(도시안됨)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장치(100)는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스마트폰, 개인용컴퓨터(PC), 노트북,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컨텐츠 다운로드가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컨텐츠는 사용자장치(100)에서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실시간 수신이 요구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영화, TV 프로그램, 뮤직비디오, 음악 등이 해당된다.
또한, 예약컨텐츠는, 서비스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사전에 예약한 전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지칭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장치(100)는 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수신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예약컨텐츠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예약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예약시간을 설정하게 되며, 설정한 예약시간이 도래하는 경우에 서비스장치(200)에 예약한 예약컨텐츠를 요청하게 된다.
서비스장치(200)는 사용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전술한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서버를 지칭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장치(200)는 동일한 실시간컨텐츠 및 예약컨텐츠를 화질(예: 저화질, 고화질)에 따른 상이한 크기의 컨텐츠용량을 갖는 복수의 파일 형태로 인코딩하여 저장한다.
이에, 서비스장치(200)는 사용자의 화질 지정이나, 또는 접속 네트워크의 종류, 예약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량,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는 배터리 잔량 등 사용자장치(100)의 가변적인 현재상태를 고려하여 적합한 컨텐츠용량을 갖는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비스장치(200)는 사용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제공하도록 동작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정 시점에 다수의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일제히 예약컨텐츠가 요청되는 경우, 요청된 예약컨텐츠의 전체 컨텐츠용량이 상기 특정 시점에 서비스장치(200)에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자원의 가용량에 임박하거나, 또는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비스장치(200)에서는 해당 시점에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실시간컨텐츠 요청이 수신됨에도 불구하고,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에 전송자원을 모두 할당하여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에 전송자원을 할당할 수가 없게 된다.
더욱이, 실시간컨텐츠 요청 및 예약컨텐츠 요청에 따른 트래픽 집중 현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서비스장치(200)에서의 과부하 발생으로 인해 실시간컨텐츠뿐만아니라 예약컨텐츠 또한 정상적으로 서비스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듯, 서비스장치(200)에서 예약컨텐츠를 제공함과 아울러, 동일 시간대에 요청되는 실시간컨텐츠를 정상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동일 시점에 수신되는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 요청에 대한 스케줄링 방안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일 시점에 수신되는 실시간컨텐츠 요청 및 예약컨텐츠 요청과 관련하여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고,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를 선정하여 전송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장치(100)는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서비스장치(200)에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장치(1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하여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하거나, 사전이 설정된 예약시간이 도래된 경우에는, 사용자 요청과 상관없이 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하여 예약컨텐츠를 요청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장치(100)는 서비스장치(200)에 전달되는 요청메시지에 실시간컨텐츠 요청과 예약컨텐츠 요청을 구분하기 위한 플래그를 삽입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장치(200)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을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특정 시점에 다수의 사용자장치(100) 각각으로부터 동시에 수신되는 실시간컨텐츠 요청 및 예약컨텐츠 요청을 확인한다.
아울러, 서비스장치(200)는 실시간컨텐츠 전송을 위한 전송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상기 특정 시점에 할당 가능한 전체 전송자원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체 전송자원 중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해당 사용자장치(100)에게 우선적으로 할당한다.
또한, 서비스장치(200)는 예약컨텐츠 전송을 위한 전송자원을 추가로 할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전체 전송자원에서 실시간컨텐츠 전송을 위해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중 일부의 사용자장치(100)만을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하여 나머지 전송자원을 할당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전술한 자원할당대상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상기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하는 사용자장치(100)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하거나, 또는 작은 컨텐츠용량을 갖는 예약컨텐츠를 요청하는 사용자장치(100)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한다.
또한, 서비스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중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된 사용자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장치(100)에게는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할 수 있도록 재접속을 유도한다.
한편, 서비스장치(200)는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모두에게 전송자원을 할당하게 된다.
나아가, 서비스장치(200)는 실시간컨텐츠 및 예약컨텐츠를 사용자장치(100)에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상기 특정 시점에 수신된 실시간컨텐츠 요청 및 예약컨텐츠 요청에 대한 전송자원이 할당되면, 할당된 전송자원을 통해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장치(100)에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서비스장치(200)는 실시간컨텐츠 또는 사전 예약한 예약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210), 실시간컨텐츠 및 예약컨텐츠 전송을 위한 전송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부(220), 및 예약컨텐츠 전송을 위한 전송자원 할당을 제어하는 할당제어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서비스장치(2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할당된 전송자원을 통해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장치(100)에 전송하는 컨텐츠제공부(2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요청수신부(210), 자원할당부(220) 및 할당제어부(230), 그리고 컨텐츠제공부(240)를 포함하는 서비스장치(200)의 각각의 구성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요청수신부(210)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을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요청수신부(210)는 특정 시점에 다수의 사용자장치(100) 각각으로부터 동시에 수신되는 요청메시지 상에 삽입된 플래그를 통해 해당 요청이 실시간컨텐츠 요청인지 또는 예약컨텐츠 요청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자원할당부(220)는 실시간컨텐츠 전송을 위한 전송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원할당부(220)는 상기 특정 시점에 할당 가능한 전체 전송자원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체 전송자원 중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해당 사용자장치(100)에게 우선적으로 할당한다.
또한, 자원할당부(220)는 예약컨텐츠 전송을 위한 전송자원을 추가로 할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할당제어부(230)는 전체 전송자원에서 실시간컨텐츠 전송을 위해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을 확인하고, 아울러, 상기 특정 시점에 요청된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을 확인한다.
이와 관련하여, 할당제어부(230)는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중 일부의 사용자장치(100)만을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하여 자원할당부(220)로 하여금 선정된 자원할당대상에게만 나머지 전송자원을 할당하도록 한다.
여기서, 할당제어부(230)는 전술한 자원할당대상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상기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하는 사용자장치(100)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할 수 있다.
또한, 할당제어부(230)는 작은 컨텐츠용량을 갖는 예약컨텐츠를 요청하는 사용자장치(100)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시점에 확인된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 한도 내에서, 가장 많은 수의 사용자장치(100)에게 전송자원을 할당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아울러, 할당제어부(230)는 상기 특정 시점에 확인된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 한도 내에서, 가장 많은 수의 사용자장치(100)에 전송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또 다른 방안으로서,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요청된 예약컨텐츠와 동일하나, 저화질로 인코딩된 작은 컨텐츠용량의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해당 사용자장치(100)에 우선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할당제어부(230)는 상기 저화질의 컨텐츠와의 결합 가능한 컨텐츠를 사용자장치(100)에서 재요청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장치(100)로 하여금, 초기 요청에 의해 수신된 컨텐츠와 재요청에 의해 수신된 컨텐츠 간 결합을 통해 최초 요청한 예약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할당제어부(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중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된 사용자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장치(100)에게는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할 수 있도록 재접속을 유도한다.
이때, 할당제어부(230)는 예약컨텐츠의 재요청 시점을 결정하여 사용자장치(100)의 재접속을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재요청 시점의 경우, 서비스장치(200)에서의 예약컨텐츠의 예약 상태를 고려하여 예약컨텐츠의 요청이 예상되지 않는 최한 시로 결정되거나, 또는 단위 시간 이후의 시점으로 결정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장치(100)에서는 상기 서비스장치(200)의 접속 유도에 따른 재요청 시점이 도래한 것이 확인되면, 서비스장치(200)에 전달되는 요청메시지에 예약컨텐츠의 재요청을 구분하기 위한 플래그를 삽입하여 예약컨텐츠를 요청하게 된다.
한편, 할당제어부(230)는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자원할당부(220)로 하여금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모두에게 전송자원을 할당하도록 한다.
컨텐츠제공부(240)는 실시간컨텐츠 및 예약컨텐츠를 사용자장치(100)에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제공부(240)는 상기 특정 시점에 수신된 실시간컨텐츠 요청 및 예약컨텐츠 요청에 대한 전송자원이 할당되면, 할당된 전송자원을 통해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장치(100)에 전송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동일 시점에 수신되는 실시간컨텐츠 요청 및 예약컨텐츠 요청과 관련하여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에 한해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고,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100)를 선별하여 전송자원을 할당함과 아울러, 전송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사용자장치(100)의 경우 재접속을 유도함으로써,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다수의 사용자장치(1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하여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하거나, 사전이 설정된 예약시간이 도래된 경우에는, 사용자 요청과 상관없이 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하여 예약컨텐츠를 요청한다(S110).
이에, 서비스장치(200)는 특정 시점에 다수의 사용자장치(100)로부터 동시에 수신되는 요청메시지 상에 삽입된 플래그를 확인하여 해당 요청이 실시간컨텐츠 요청인지 또는 예약컨텐츠 요청인지를 확인한다(S120).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상기 특정 시점에 할당 가능한 전체 전송자원을 확인하고, 상기 요청메시지가 실시간컨텐츠 요청인 경우에는 확인된 전체 전송자원 중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에서 요구되는 전송속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한다(S130-S140).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200)는 상기 실시간컨텐츠 요청과 동시에 수신된 예약컨텐츠 요청에 대한 전송자원 할당과 관련하여, 전체 전송자원에서 실시간컨텐츠 전송을 위해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을 확인하고, 아울러, 상기 특정 시점에 요청된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을 확인한다(S150).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상기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전체 전송자원에서 실시간컨텐츠 전송을 위해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모두에게 전송자원을 할당한다(S160-S170).
반면, 서비스장치(200)는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전체 전송자원에서 실시간컨텐츠 전송을 위해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중 일부의 사용자장치(100)만을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한다(S160, S180)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전술한 자원할당대상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상기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하는 사용자장치(100)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하거나, 또는 작은 컨텐츠용량을 갖는 예약컨텐츠를 요청하는 사용자장치(100)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200)는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된 사용자장치(100)에서 요구하는 예약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을 해당 사용자장치(100)에 할당한다(S190, S210).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중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된 사용자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장치(100)에게는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할 수 있도록 재접속을 유도한다(S190, S200).
나아가, 서비스장치(200)는 전술한 특정 시점에 수신된 실시간컨텐츠 요청 및 예약컨텐츠 요청에 대한 전송자원이 할당되면, 할당된 전송자원을 통해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장치(100)에 전송한다(S22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요청수신부(210)가 특정 시점에 다수의 사용자장치(100) 각각으로부터 동시에 수신되는 요청메시지 상에 삽입된 플래그를 통해 해당 요청이 실시간컨텐츠 요청인지 또는 예약컨텐츠 요청인지를 확인하게 된다(S310).
그리고 나서, 자원할당부(220)는 상기 특정 시점에 할당 가능한 전체 전송자원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체 전송자원 중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해당 사용자장치(100)에게 우선적으로 할당한다(S320-S330).
그런 다음, 할당제어부(230)는 전체 전송자원에서 실시간컨텐츠 전송을 위해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을 확인하고, 아울러, 상기 특정 시점에 요청된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을 확인한다(S340).
이때, 할당제어부(230)는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중 일부의 사용자장치(100)만을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하여 자원할당부(220)로 하여금 선정된 자원할당대상에게만 나머지 전송자원을 할당하도록 한다(S350-S360).
이와 관련하여, 할당제어부(230)는 전술한 자원할당대상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상기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하는 사용자장치(100)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할 수 있다.
또한, 할당제어부(230)는 작은 컨텐츠용량을 갖는 예약컨텐츠를 요청하는 사용자장치(100)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시점에 확인된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 한도 내에서, 가장 많은 수의 사용자장치(100)에게 전송자원을 할당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아울러, 할당제어부(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중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된 사용자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장치(100)에게는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할 수 있도록 재접속을 유도한다(S370).
한편, 할당제어부(230)는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자원할당부(220)로 하여금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모두에게 전송자원을 할당하도록 한다(S380).
이후, 컨텐츠제공부(240)는 상기 특정 시점에 수신된 실시간컨텐츠 요청 및 예약컨텐츠 요청에 대한 전송자원이 할당되면, 할당된 전송자원을 통해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장치(100)에 전송한다(S39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동일 시점에 수신되는 실시간컨텐츠 요청 및 예약컨텐츠 요청과 관련하여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에 한해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고,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100)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100)를 선별하여 전송자원을 할당함과 아울러, 전송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사용자장치(100)의 경우 재접속을 유도함으로써,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동일 시점에 수신되는 실시간컨텐츠 요청 및 예약컨텐츠 요청과 관련하여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고,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를 선정하여 전송자원을 할당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사용자장치
200: 서비스장치
210: 요청수신부   220: 자원할당부
230: 할당제어부 240: 컨텐츠제공부

Claims (18)

  1. 실시간 수신이 요구되는 실시간컨텐츠 또는 사전 예약한 예약컨텐츠를 서비스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다수의 사용자장치; 및
    특정 시점에 상기 다수의 사용자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실시간컨텐츠 또는 상기 예약컨텐츠가 요청되면,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상기 특정 시점에 할당 가능한 전체 전송자원 중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며, 상기 전체 전송자원에서 상기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에 전송자원을 할당하며, 상기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일부의 사용자장치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하여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을 할당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2. 특정 시점에 다수의 사용자장치 각각으로부터 실시간 수신이 요구되는 실시간컨텐츠 또는 사전 예약한 예약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상기 특정 시점에 할당 가능한 전체 전송자원 중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고, 상기 전체 전송자원에서 상기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을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할당하는 자원할당부; 및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에 전송자원을 할당하도록 하며, 상기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일부의 사용자장치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하여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을 할당하도록 하는 할당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제어부는,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된 사용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장치를 대상으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제어부는,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상기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하는 사용자장치를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제어부는,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작은 컨텐츠용량을 갖는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를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제어부는,
    특정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예약컨텐츠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장치로부터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와 동일하되,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의 컨텐츠용량 보다 작은 컨텐츠용량을 갖는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할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제어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장치를 대상으로 기 전송된 상기 컨텐츠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특정 사용자장치로부터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와 동일한 크기의 컨텐츠용량을 갖게 하기 위한 컨텐츠를 재요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전송자원을 통해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10. 다수의 사용자장치 각각이 실시간 수신이 요구되는 실시간컨텐츠 또는 사전 예약한 예약컨텐츠를 서비스장치에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특정 시점에 상기 다수의 사용자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실시간컨텐츠 또는 상기 예약컨텐츠 요청을 확인하는 컨텐츠요청확인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상기 특정 시점에 할당 가능한 전체 전송자원 중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는 전송자원우선할당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전체 전송자원에서 상기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에 전송자원을 할당하며, 상기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일부의 사용자장치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하여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을 할당하는 전송자원추가할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11. 특정 시점에 다수의 사용자장치 각각으로부터 실시간 수신이 요구되는 실시간컨텐츠 또는 사전 예약한 예약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에 한해 상기 특정 시점에 할당 가능한 전체 전송자원 중 상기 실시간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우선 할당하는 전송자원우선할당단계; 및
    상기 전체 전송자원에서 상기 우선 할당된 전송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기초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장치에 전송자원을 할당하며, 상기 특정 시점에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 모두의 컨텐츠용량이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일부의 사용자장치를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하여 상기 나머지 전송자원을 할당하는 전송자원추가할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선정된 사용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장치를 대상으로 상기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하도록 하는 재요청유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자원추가할당단계는,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상기 예약컨텐츠를 재요청하는 사용자장치를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자원추가할당단계는,
    상기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 중 작은 컨텐츠용량을 갖는 예약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장치를 상기 자원할당대상으로 우선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자원추가할당단계는,
    특정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예약컨텐츠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장치로부터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와 동일하되,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의 컨텐츠용량 보다 작은 컨텐츠용량을 갖는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용자장치를 대상으로 기 전송된 상기 컨텐츠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특정 사용자장치로부터 요청된 상기 예약컨텐츠와 동일한 크기의 컨텐츠용량을 갖게 하기 위한 컨텐츠를 재요청하도록 하는 재요청유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전송자원을 통해 실시간컨텐츠 또는 예약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20099280A 2012-09-05 2012-09-07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80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280A KR101380176B1 (ko) 2012-09-07 2012-09-07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14/407,615 US9491211B2 (en) 2012-09-05 2013-07-31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providing service and device applied to same
CN201380030612.9A CN104365166A (zh) 2012-09-05 2013-07-31 用于内容提供服务的系统和方法及应用其的装置
EP13836033.4A EP2894921A4 (en) 2012-09-05 2013-07-31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PROVIDER SERVICE AND SERVICE APPLIED DEVICE
PCT/KR2013/006911 WO2014038792A1 (ko) 2012-09-05 2013-07-31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280A KR101380176B1 (ko) 2012-09-07 2012-09-07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686A KR20140032686A (ko) 2014-03-17
KR101380176B1 true KR101380176B1 (ko) 2014-04-01

Family

ID=50644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280A KR101380176B1 (ko) 2012-09-05 2012-09-07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5214B (zh) * 2018-07-03 2021-06-29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842B1 (ko) * 2002-10-29 2004-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SCSI를 이용한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
KR20080035130A (ko) * 2006-10-18 200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842B1 (ko) * 2002-10-29 2004-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SCSI를 이용한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
KR20080035130A (ko) * 2006-10-18 200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686A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9885B2 (en) Bandwidth management for over-the-top adaptive streaming
KR102059867B1 (ko) 가상 파이프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의해 사용되는 망자원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897784B2 (ja) デクリメント割当ての使用
US9609370B2 (en) Video delivery modification based on network availability
US10339182B2 (en) Method for storing data by using cloud services and apparatus thereof
JP6699918B2 (ja) エアインタフェース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JP7106639B2 (ja) アップリンクデータパケット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およびユーザ端末
CN109413747B (zh) 传输资源分配方法、装置、传输资源请求方法及装置
RU2744790C1 (ru) Способ назначения ресурсов,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2377662A (zh) 一种视频监控中面向带宽适应的路由缓存协商方法和系统
CN112491566B (zh) 资源管理方法、资源管理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380176B1 (ko)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13596166A (zh) 数据获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0299138B2 (en) Controller and base station
KR101380175B1 (ko)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000184B1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구비한 시스템
US9055562B2 (en) Real time traffic adaptive data channel bandwidth control among agency access groups
CN112020142A (zh) 数据复用传输方法、基站、终端以及存储介质
EP3407558B1 (en) Data packet transmission method, network side device, and user equipment
KR101457609B1 (ko)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13949740A (zh) Cdn调度方法、接入设备、cdn调度器及存储介质
KR20150050276A (ko) 비디오제공방법 및 비디오제공시스템
JP2005109744A (ja) 通信回線接続装置及びこの通信回線接続装置の制御方法
KR102016611B1 (ko) 주파수 할당 장치 및 주파수 할당 방법
KR101385561B1 (ko)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