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897B1 - Bracket unit for supporting middle bea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lab for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racket unit for supporting middle bea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lab for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897B1
KR101379897B1 KR1020120041445A KR20120041445A KR101379897B1 KR 101379897 B1 KR101379897 B1 KR 101379897B1 KR 1020120041445 A KR1020120041445 A KR 1020120041445A KR 20120041445 A KR20120041445 A KR 20120041445A KR 101379897 B1 KR101379897 B1 KR 101379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ember
fixing
fixing bracket
middle beam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18515A (en
Inventor
이범호
Original Assignee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897B1/en
Publication of KR20130118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5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8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들빔의 설치 및 철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은 복수의 슬래브폼을 지지하는 미들빔의 단부가 거치되는 장치로서,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고정 브래킷부재와;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미들빔이 거치되는 이동 브래킷부재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의 상하 이동을 단속(斷續)하는 핀부재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핀부재의 수평방향 이동을 단속(斷續)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and a slab form support device using the same, which facilitates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middle beam, the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n end portion of the middle beam for supporting the slab form of the device is mounted, the fixing bracket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slo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oving bracket member which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and in which the middle beam is mounted; A pin member which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intermittently moves up and down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It is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includes a locking means for intermittent horizontal movement of the pin member.

Description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BRACKET UNIT FOR SUPPORTING MIDDLE BEA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LAB FORM USING THE SAME}Bracket unit for middle beam mounting and slab form support device using the same {{BRACKET UNIT FOR SUPPORTING MIDDLE BEA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LAB FOR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들빔의 설치 및 철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and a slab form support devic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and a slab form support using the sam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middle beam.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거푸집"이라 함은, 건축물의 바닥, 천장, 벽체 등을 시공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정해진 형상과 치수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는 해체되는 가설물을 말하는 것이다.In general, the "form" is to be installed to maintain the concrete to be fix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dimensions for the construction of floors, ceilings, walls, etc. of the building, and refers to a construction that is to be dismantled after the concrete is hardened will be.

예를 들어 콘크리트 철근 구조의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벽면을 이루는 벽판과 천장을 이루는 슬래브를 만들어야 하는데, 벽판과 슬래브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벽면을 이루는 거푸집과 천장을 이루는 거푸집을 각종 부자재 및 가설재를 이용하여 세우거나 지지하여 일정한 틀을 형성한 다음,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원하는 구조물을 시공한다.For example, in order to construct a concrete reinforcing structure, a wall slab and a ceiling slab should be made. To make a wall slab and a slab, first, the formwork and wall forming formwork will be constructed using various subsidiary materials and temporary materials. After standing or supporting to form a certain frame, the concrete is placed and cured in it to construct the desired structure.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거푸집은 종래에 "합판 슬래브 공법"에 의해 시공되었지만, 합판 슬래브 공법은 철재의 서포트 위에 목재인 멍에를 설치하고, 상기 목재의 멍에 위에 목재인 장선을 설치하며, 상기 장선 위에 목재인 슬래브용 합판을 설치한 다음 각각의 부재를 못으로 고정한 후 벽체폼과 고정하는 방식이었다.Such concrete formwork has been conventionally constructed by the "plywood slab method", but the plywood slab method installs a wooden yoke on the support of the steel, installs a wooden joist on the yoke of the wood, After installing the slab plywood, each member was fixed with nails and then fixed with wall foam.

이러한 합판 슬래브 공법은 대부분의 자재로 목재가 사용되었는바, 파손율이 높고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하여 건축폐기물이 대량 발생하는 단점, 각각의 부재들마다 높은 곳에서 못 고정은 물론 해체를 하여야 하므로 인건비가 과다하게 투입되는 단점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This plywood slab method is made of wood as most of the materials, the high breakage rate and almost impossible to recycle, so larg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occurs, labor costs are high because each member must be fixed and dismantled at a high place.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a disadvantage of excessive input.

한편, 상기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종래에 철재 판넬과 소위 "런너"를 사용한 방식이 도입되어 사용되었다.(이하, '런너 슬래브 공법'이라 칭함)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 conventional method using a steel panel and a so-called "runner" has been introduced and used.

런너 슬래브 공법은 철제의 서포트 위에 목재인 멍에나 장선을 대신하여 철재의 슬래브폼을 설치하되 슬래브폼과 서포트와의 연결은 미들빔을 매개로 하였고, 이를 벽체폼에 코너빔을 매개로 고정하는 방식이었다.The runner slab method installs steel slab foam instead of wooden yoke or joist on the steel support, b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lab form and the support is made through the middle beam and the corner beam is fixed to the wall form through the corner beam. It was.

이러한 런너 슬래브 공법에서 상기 서포트와 미들빔과의 연결은 미들빔의 상부 양 측면을 슬래브폼 측면과 핀결합하고, 서포트 상부 중심을 관통하도록 십자가형의 연결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기구를 매개로 서포트와 미들빔의 하부 양 측면을 밀착시킨 후 미들빔의 양 측면을 핀삽입에 의해 조여줌으로써 결과적으로 서포트와 미들빔이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이었다.In the runner slab metho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pport and the middle beam is pin-coupled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middle beam with the slab form side, and installs a cross-shaped connecting mechanism to penetrate the upper center of the support, and through the connecting mechanism. The lower sides of the support and the middle beam we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sides of the middle beam were tightened by pin insertion. As a result, the support and the middle beam were connected.

그러나, 런너 슬래브 공법은 미들빔과 슬래브폼의 결합 및 연결기구와 미들빔의 결합 시 각각의 핀홀이 일치하지 않아 이를 정렬하면서 작업하는 것이 굉장히 어려운 단점이 있었고, 콘크리트 양생 후 서포트, 미들빔 및 연결기구를 체결하고 있는 핀을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아 거푸집의 해체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서포트 및 미들빔 등을 해체할 때 슬래브폼이 한꺼번에 바닥으로 낙하되기 때문에 큰 소음이 발생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runner slab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work by aligning the pinholes when the middle beam and the slab form are combined and the coupling mechanism and the middle beam are not matched. It was difficult to dismantle the formwork because it was not easy to remove the pins fastening the mechanism. In addition, when dismantling the support and the middle beam, the slab foam falls to the floor all at once, so that a large noise occurs and the safety of the worker is not guaranteed.

그래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근래에는 슬래브폼이 바닥으로 직접 떨어지지 않고 해체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Thus,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dismantling the slab form without falling directly to the floor has been recently proposed.

종래 슬래브폼이 바닥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슬래브폼을 해체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등록특허 10-1007538; 특허문헌 1)"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Conventionally, a technique for dismantling a slab foam while preventing the slab foam from falling directly to the floor is specifically known in the "slab wall foam fastening device (Patent 10-1007538;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에 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는 미들빔(200)과 벽폼유닛(500)을 연결하는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벽폼유닛(500)은 미들빔(200)과 연결되는 이동 브래킷부재(520)와;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520)를 지지하는 쐐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520)는 상기 벽폼유닛(500)의 고정 브래킷부재(510) 내에서 상하 이동되게 마련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510)에는 슬롯(512)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510)에는 관통공(514)이 마련된다.The slab wall foam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slab wall foam fastening device connecting the middle beam 200 and the wall foam unit 500, and the wall foam unit 500 includes the middle beam 200 and A moving bracket member 520 connected thereto; It comprises a; wedge 530 for supporting the movable bracket member 520. At this time, the movable bracket member 520 is provid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fixing bracket member 510 of the wall foam unit 500, the fixing bracket member 510 is provided with a slot 512, the fixing bracket member The through hole 514 is provided in the 510.

그래서 상기 쐐기(530)가 상기 관통공(514)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그 상부에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520)를 거치하고 있다가 상기 쐐기(530)가 제거되면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520)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미들빔(200)도 이동 브래킷부재(520)가 이동된 거리만큼 하강되는 것이다.Thus, in the state where the wedge 5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14, the moving bracket member 52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when the wedge 530 is removed, the moving bracket member 520 moves downward. The middle beam 200 is also lowered by the distance moved by the moving bracket member 520.

또한, 특허문헌 1에 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는 상기 벽폼유닛(500)이 고정 브래킷부재걸림턱(585)이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걸림턱(585)의 상방에 고정 브래킷부재걸림공(583)이 마련되는 개량고정 브래킷부재(581)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걸림턱(585)에 걸리도록 상단에 이동 브래킷부재걸림턱(587)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걸림턱(587)의 하방에 이동 브래킷부재걸림공(588)이 마련되는 개량이동 브래킷부재(586)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걸림공(583)과 이동 브래킷부재걸림공(588)에 인입되는 체결핀(596);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slab wall foam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wall foam unit 500 is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member engaging jaw 585 at the lower end, and above the fixing bracket member engaging jaw 585. An improved fixing bracket member 581 which is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member catching hole 583 therein; Improved that the movable bracket member engaging jaw (587)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to be caught by the fixing bracket member engaging jaw (585), the movable bracket member engaging hole (588) is provided below the movable bracket member engaging jaw (587). A moving bracket member 586; And a fastening pin 596 introduced into the fixing bracket member catching hole 583 and the movable bracket member catching hole 588.

그래서 상기 체결핀(596)이 상기 개량고정 브래킷부재(581)의 고정 브래킷부재걸림공(583)과 상기 개량이동 브래킷부재(586)의 이동 브래킷부재걸림공(588)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량이동 브래킷부재(586)가 상기 개량고정 브래킷부재(581)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가 상기 체결핀(596)이 제거되면 상기 개량고정 브래킷부재(581)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미들빔(200)도 개량고정 브래킷부재(581)가 이동된 거리만큼 하강되는 것이다.Thus, when the fastening pins 596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member catching holes 583 of the improved fixing bracket member 581 and the moving bracket member catching holes 588 of the improved moving bracket member 586, the improvement is performed. When the moving bracket member 586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improved fixing bracket member 581 and the fastening pins 596 are removed, the improved fixing bracket member 581 is moved downward, and the middle beam 200 Also, the improved fixing bracket member 581 is moved down by the distance moved.

그러나, 특허문헌 1과 더불어 근래에 제안된 슬래브폼이 바닥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슬래브폼을 해체하는 기술들은 모두 쐐기 또는 체결핀의 제거시 망치와 같은 타격기구를 이용하여 쐐기 또는 체결핀을 타격함에 의해 쐐기 또는 체결핀을 미들빔이 거치되는 구성물에서 완전히 제거하게 된다. 이때 쐐기 또는 체결핀의 제거를 위해서는 강한 타격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강한 타격으로 인하여 쐐기 또는 체결핀이 손상되어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더불어 쐐기 또는 체결핀이 미들빔이 거치되는 구성물에서 제거되면서 주변으로 비산되고, 이에 따라 쐐기 또는 체결핀의 분실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쐐기 또는 체결핀이 작업자에게 비산되어 작업자가 다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However, in addition to Patent Literature 1, all the techniques for dismantling the slab form while preventing the slab form from falling directly to the floor all hit the wedge or the fastening pin by using a hammer such as a hammer when the wedge or the fastening pin is removed. By doing so, the wedge or the fastening pin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component to which the middle beam is mounted. At this time, a strong blow must be made to remove the wedge or the fastening pin. The wedge or the fastening pin is damaged due to the strong blow, and the wedge or the fastening pin has to be replaced. In addition, the wedge or the fastening pin is removed from the component where the middle beam is mounted. There was a fear of loss of the wedge or fastening pins.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wedge or fastening pins scattered to the worker injured.

등록특허 10-1007538 (2011. 01. 05)Patent Registration 10-1007538 (2011. 01. 05)

본 발명은 미들빔의 설치 및 철거시에 망치와 같은 타격기구의 강한 타격없이 작업자가 손쉽게 이동 브래킷부재를 상승시켜 고정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게 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and a slab form support device using the same to enable the operator to easily raise or fix the moving bracket member without a strong blow of the impact mechanism such as a hammer during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middle beam It is about.

또한, 본 발명은 미들빔의 설치 및 철거를 위하여 이동 브래킷부재를 상승시켜 고정시키거나 하강시킬 때 이동 브래킷부재를 고정시키는 핀부재를 직접 타격하지 않고 락킹수단에 의해 락킹 또는 해제시킬 수 있어 핀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핀부재가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핀부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ocked or released by the locking means without directly hitting the pin member for fixing the moving bracket member when the moving bracket member is raised and fixed or lowered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middle beam pin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and a slab form support device us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the damage of the pin member and prevent the pin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은 복수의 슬래브폼을 지지하는 미들빔의 단부가 거치되는 장치로서,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고정 브래킷부재와;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미들빔이 거치되는 이동 브래킷부재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의 상하 이동을 단속(斷續)하는 핀부재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핀부재의 수평방향 이동을 단속(斷續)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한다.A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middle beam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slab foam, the fixing bracket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slo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oving bracket member which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and in which the middle beam is mounted; A pin member which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intermittently moves up and down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It is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includes a locking means for intermittent horizontal movement of the pin member.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는 전방에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의 배면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면의 양측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으로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ed bracket member is formed with a sliding surfac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bracket member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guide slo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guide slot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bracket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uid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슬라이드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핀부재가 이동되는 제 1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핀부재가 이동되는 제 2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핀부재가 상기 제 1 슬라이딩홈 및 제 2 슬라이딩홈에 의해 둘러싸여서 형성되는 공간에서 가이드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ding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is formed with a first sliding groove for moving the pin memb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is formed with a second sliding groove for moving the pin member is the pin member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m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상기 핀부재는 바(bar)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으로는 단면 형상이 상기 제 1 슬라이딩홈 및 제 2 슬라이딩홈에 의해 둘러싸여서 형성되는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락킹부가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단면 형상이 상기 제 1 슬라이딩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해제부가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가이드 슬롯 사이에 위치되는 락킹위치와 상기 해제부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가이드 슬롯 사이에 위치되는 해제위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n member is made of a bar type (bar), one side is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pace form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is surrounded by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the other side A release portion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guide slots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the release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guide slots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ed between the releas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핀부재의 락킹부 및 해제부는 각각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슬롯 사이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portion and the release portion of the pi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formed lon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guide slots formed in the movable bracket member.

상기 핀부재는 바(bar)타입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에 스토핑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n member is made of a bar (bar)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ing plate is provided at both ends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상기 핀부재는 상기 해제부 중 상기 락킹부와의 인접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핀부재의 락킹부 일단과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외주면 일측 사이에서 설치되어 상기 핀부재가 락킹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과;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외주면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핀부재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인입되는 잠금체와; 상기 잠금체가 상기 핀부재의 걸림홈에 인입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한다.The pin member has a locking groov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cking portion of the release portion, and the locking means is installed between one end of the locking portion of the pin member and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o lock the pin member. A first spring providing restoring force to move from the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A locking body installed to be rotat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selectively drawn into the locking groove of the pin member; And a second spring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locking member enters the engaging groove of the pin member.

상기 제 1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핀부재의 락킹부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핀부재의 락킹부를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잠금체는 일측에 상기 걸림홈에 인입되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와 누름부의 중간영역이 회동축에 의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 2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누름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외주면 타측에 고정되면서 중간영역이 상기 회동축에 휘감긴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pring is a coil spring,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end of the locking part of the pin member,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the coil spring that surrounds the locking part of the pin member. A hook portion drawn into the groove is formed, and a press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n intermediate region of the hook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is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member by a rotation shaft to rotate about the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spring One end is fixed to the pressing portion,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mediate region is a torsion spring wound around the rotation shaft.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측 하부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sid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는 후방측 하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조절바와; 상기 조절바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돌림 손잡이를 포함한다.The fixing bracket member is formed with a screw hole penetrating up and dow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ide, 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crewed to the screw hole to move up and down; It includes a turning handle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ontrol bar.

상기 돌림 손잡이는 상기 조절바의 하단에서 소정 높이만큼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urning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upper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adjustment bar.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측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를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xing bracket member to the cast concrete.

상기 고정수단은 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에서 전후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로드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측벽에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하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제 1 고정홈과 제 2 고정홈이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배면에서 입출되도록 설치되는 고정 로드와; 상기 고정 로드의 타측에서 상기 절개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 로드의 이동에 의해 일체로 상기 절개홈을 따라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 1 고정홈 및 제 2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손잡이와; 상기 고정 로드의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배면으로 인출된 위치에서 인입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3 스프링을 포함한다.The fixing means is formed in a pipe type i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here is formed a rod moving space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the side wall is formed with a cutting groove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the incision A guide hous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lower portion of the groove to form a first fixing groove and a second fixing groove in a lower direction; A fixed rod which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guide housing so that one end thereof enters and exit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rod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ting groove is mov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integrally along the cutting groove by the movement of the fixed rod, selective to the first fixing groove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A fixed handle fixed with a handle; And a third spring provid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one end of the fixing rod is moved from the position drawn out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o the drawn position.

상기 제 3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배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로드에 지지되면서 상기 고정 로드를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spring may be a coil spring having one end suppor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the other end being supported by the fixing rod to surround the fixing ro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래브폼 지지장치는 복수의 슬래브폼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슬래브폼이 거치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들빔과; 상기 미들빔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벽체폼과; 상기 벽체폼의 상단에 배치되는 코너빔과; 상기 코너빔의 내부에 내설되어 상기 미들빔의 단부가 거치되는 브래킷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유닛은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고정 브래킷부재와;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미들빔이 거치되는 이동 브래킷부재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의 상하 이동을 단속(斷續)하는 핀부재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핀부재의 수평방향 이동을 단속(斷續)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lab foam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slab foam, at least one or more middle beam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slab foam is mounted; A wall foam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an end of the middle beam; A corner beam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wall foam; A bracket unit installed inside the corner beam, the bracket unit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middle beam mounted thereon, the bracket unit having a guide slot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moving bracket member which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and in which the middle beam is mounted; A pin member which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intermittently moves up and down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It is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includes a locking means for intermittent horizontal movement of the pin member.

상기 코너빔은 상기 벽체폼의 상단에 안착되는 저면 플레이트와,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입설되는 배면 플레이트와, 상기 배면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저면 플레이트와는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상기 미들빔의 거치되는 거치후크가 구비되어, 상기 거치후크가 상기 코너빔의 이격공간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rner beam may include a bottom plate seated on an upper end of the wall foam, a back plate placed in an upward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bottom plate, an upper plate projecting for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back plate, and an end of the top plate. And a front plate that is bent downwar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forms a spaced space from the bottom plate, and a lower hook of the middle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is provided to mount the middle beam forward, and the hook is the corner beam. It protrudes forward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of the.

상기 코너빔은 상기 배면 플레이트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다수개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코너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벽체폼의 상부에 배치되며, 선택되는 상기 코너빔의 배면 플레이트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상단을 상기 상면 플레이트의 하면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측 하부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rner beam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heights of the rear plate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wall form by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rner beams, the fixing bracke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rear plate of the corner beam is selected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is provid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so as to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membe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측 하면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절바와, 상기 조절바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돌림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바의 하단부는 상기 코너빔의 저면 플레이트에 관통되고, 상기 돌림 손잡이는 상기 코너빔의 저면 플레이트 상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adjusting means includes a control bar screwed to move up and down on the rear sid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a turning handle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ontrol bar, the lower end of the adjustment bar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rner beam Penetrating through the plate, the turning kno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of the corner beam.

상기 벽체폼 및 코너빔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측에는 상기 코너빔의 배면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입출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is provided with fixing means penetrating through the rear plate of the corner beam to fix the fixing bracket member to the concrete poured on the wall foam and the corner beam.

상기 고정수단은 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에서 전후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로드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측벽에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하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제 1 고정홈과 제 2 고정홈이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배면 및 상기 코너빔의 배면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입출되도록 설치되는 고정 로드와; 상기 고정 로드의 타측에서 상기 절개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 로드의 이동에 의해 일체로 상기 절개홈을 따라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 1 고정홈 및 제 2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손잡이와; 상기 고정 로드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단부로 인출된 위치에서 인입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3 스프링을 포함한다.
The fixing means is formed in a pipe type i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here is formed a rod moving space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the side wall is formed with a cutting groove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the incision A guide hous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lower portion of the groove to form a first fixing groove and a second fixing groove in a lower direction; A fixed rod which is mov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s in the guide housing so that one end of the guide housing penetrates through the rear plat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the rear plate of the corner beam;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rod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ting groove is mov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integrally along the cutting groove by the movement of the fixed rod, selective to the first fixing groove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A fixed handle fixed with a handle; And a third spring provid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one end of the stationary rod is moved from the position drawn out to the end of the guide housing to the drawn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브래킷부재의 상하방향 이동을 단속하는 핀부재를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핀부재의 수평방향 이동을 단속하는 락킹수단을 구비하여 망치와 같은 별도의 타격기구를 사용하여 핀부재를 강하게 타격하지 않고 작업자가 락킹수단을 가볍게 누르거나 타격하는 동작만으로도 손쉽게 핀부재의 수평방향 이동을 단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mmer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for horizontally moving the pin member for intermittent movement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in the fixed bracket member, and for lock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in member. By using a separate blow mechanism, such as the impact of the pin member without the strong hitting the pin member, the operator can easily control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in member simply by pressing or hitting the locking means.

또한, 핀부재를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이탈되지 않게 구비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핀부재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들빔의 해체시 핀부재가 비산하면서 작업자가 튀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in member is provid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in member from being lost as in the prior art, and to prevent the worker from being injured by splashing while the pin member is scattered when the middle beam is disassembled.

그리고, 브래킷 유닛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수단을 고정 브래킷부재에 구비함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코너빔에도 그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대응되는 코너빔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by providing a height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racket unit in the fixed bracket memb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corresponding corner beam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in the corner beam having a different height.

또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브래킷 유닛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 후 벽체폼을 해체하여도 미들빔을 거치하고 있는 브래킷 유닛을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미들빔을 해체를 보다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bracket unit to the concrete to be poured, even after dismantling the wall foam after curing the concrete can maintain the bracket unit holding the middle beam fixed to the cured concrete wal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eam can be dismantled more saf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브폼 지지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래킷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래킷 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래킷 유닛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설치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래킷 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해체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래킷 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a 및 도 7b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코너빔에 브래킷 유닛을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브폼 지지장치의 해체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lab form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rack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brack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ack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installation,
6a and 6b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rack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ismantling,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unit is mounted on the corner beam having a different height,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dismantling the slab form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브폼 지지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래킷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래킷 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래킷 유닛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slab form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bracket unit according to,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brack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브폼 지지장치는 복수의 슬래브폼(10)이 거치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들빔(20)과; 상기 미들빔(20)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벽체폼(30)과; 상기 벽체폼(30)의 상단에 배치되는 코너빔(40)과; 상기 코너빔(40)의 내부에 내설되어 상기 미들빔(20)의 단부가 거치되는 브래킷 유닛(1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벽체폼(30)이 구비되는 않는 영역에서 상기 미들빔(20)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서포트(50)와; 상기 서포트(50)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미들빔(20)의 단부가 거치되는 드롭 헤드(6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for supporting slab fo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middle beam 20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uch that a plurality of slab foams 10 are mounted thereon; Wall foam 3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end of the middle beam (20); A corner beam 40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wall foam 30; It includes a bracket unit 100 is installed inside the corner beam 40, the end of the middle beam 20 is mounted. And a support 50 installed to support the middle beam 20 in an area where the wall foam 30 is not provided. It further includes a drop head 60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50, the end of the middle beam 20 is mounted.

상기 미들빔(20)은 건축물의 천장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을 구성하는 슬래브폼(10)을 다수개 지지하기 위하여 슬래브폼(10)의 개수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빔으로서, 그 양측 단부에는 상기 브래킷 유닛(100) 또는 드롭 헤드(60)에 거치되기 위한 걸림부(2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부(21)는 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걸림부(21)는 핀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브래킷 유닛(100) 또는 드롭 헤드(60)에 거치될 수 있는 걸림홈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The middle beam 20 is a beam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lab forms 10 to support a plurality of slab forms 10 constituting the formwork for the ceiling of the building, both ends of the A locking portion 21 for mounting on the bracket unit 100 or the drop head 60 is formed. For example, the locking portion 21 may be implemented as a pin. Of course, the locking portion 21 is not limited to being implemented by a pin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locking groove that may be mounted on the bracket unit 100 or the drop head 60.

상기 벽체폼(30)은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일정한 규격을 갖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현된다. 상기 벽체폼(30)은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벽체폼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wall foam 30 is an element constituting the formwork for constructing the wall of the building, it is implemented in a plate type having a certain standard. The wall foam 3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and various wall foams that are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상기 서포트(50)는 상기 미들빔(20)을 지지하는 기둥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support 50 serves as a pillar for supporting the middle beam 20, and is provid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상기 드롭 헤드(60)는 상기 서포트(50)의 상단에 마련되어 거푸집의 설치시 상기 미들빔(20)의 단부를 거치하도록 상승된 상태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슬래브폼(10) 및 미들빔(20)의 해체시 상기 미들빔(20)을 하강시키도록 드롭(drop)된다.The drop head 60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50 and fixed in an elevated state to mount the end of the middle beam 20 when the formwork is installed, while the slab form 10 and the middle beam 20 are fixed. ) Is dropped to lower the middle beam (20) when dismantling.

상기 벽체폼(30), 서포트(50) 및 드롭 헤드(60)는 다양한 모델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그 구성, 작동 및 사용 등이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고, 본 발명의 요부가 아닌바 벽체폼(30), 서포트(50) 및 드롭 헤드(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wall form 30, the support 50 and the drop head 60 is a technique tha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the various models have been proposed and used, the construction, operation and use, etc. The wall is not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rm 30, the support 50 and the drop head 60 will be omitted.

상기 코너빔(40)은 상기 벽체폼(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벽체폼(30)과 상기 슬래브폼(10)이 접하는 코너부위에 배치되는 요소로서, 상기 코너빔(40)은 단면의 형상이 대략 내부가 중공되고 전면의 하부가 연결되지 않은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길게 형성되는 빔(beam)이다. 부연하자면 상기 코너빔(40)은 상기 벽체폼(30)의 상단에 안착되는 저면 플레이트(41)와, 상기 저면 플레이트(41)의 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입설되는 배면 플레이트(42)와, 상기 배면 플레이트(42)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면 플레이트(43)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43)의 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저면 플레이트(41)와는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44)를 포함한다.The corner beam 40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ll foam 30 and disposed at a corner portion where the wall foam 30 and the slab foam 1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hape is a beam that is formed to have a shape of a quadrangular shape of which the inside is substantially hollow and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is not connected. In other words, the corner beam 40 may include a bottom plate 41 seated on an upper end of the wall form 30, a back plate 42 placed in an upper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bottom plate 41, and the back surface. The upper plate 43 protruding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plate 42 and the front plate 44 which is bent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upper plate 43 bu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41. Include.

이때 상기 코너빔(40)은 상기 배면 플레이트(42)의 높이가 서로 다른 다수개가 구비되어 시공되는 건축물의 천장 높이에 대응하여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벽체폼(30)의 상부에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corner beam 40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wall form 30 by selecting one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height of the build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height of the back plate 42 is constructed.

상기 브래킷 유닛(100)은 거푸집의 설치시 상기 미들빔(20)의 단부를 거치하고, 거푸집의 해체시 상기 미들빔(20)을 드롭시키는 유닛으로서, 도 2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 유닛(100)은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슬롯(112)이 형성되는 고정 브래킷부재(110)와, 상기 가이드 슬롯(11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미들빔(20)이 거치되는 이동 브래킷부재(120)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에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120)의 상하 이동을 단속(斷續)하는 핀부재(130)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에 설치되어 상기 핀부재(130)의 수평방향 이동을 단속(斷續)하는 락킹수단(140)을 포함한다.The bracket unit 100 mounts the end of the middle beam 20 when installing the formwork and drops the middle beam 20 when disassembling the formwork, as shown in FIGS. 2A to 4. The bracket unit 100 includes a fixed bracket member 110 in which a guide slot 112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movable bracket member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112 and on which the middle beam 20 is mounted. 120 and moved horizontally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but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and intermittent vertical movement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The pin member 130 and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140 for intermittent horizontal movement of the pin member (130).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는 브래킷 유닛(100)을 벽체폼(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120), 핀부재(130) 및 락킹수단(140)이 구비되는 요소로서, 6개의 면이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면서 구비된다.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s a bracket unit 100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wall foam 30, the movable bracket member 120, the pin member 130 and the locking means 140 is provided as an element, 6 Dog face is provided while form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cube.

부연하자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전면(x방향)에는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120)의 배면이 수직방향(z방향 및 -z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면(1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전면 양측에는 서로 대향되는 측면(y방향 및 -y방향)이 구성되되 상기 측면의 전방부는 상기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되는 부분에 상기 가이드 슬롯(112)이 서로 대향되면서 수직방향(z방향 및 -z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슬롯(112)은 상기 슬라이딩면(111)과 동일면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front surface (x direction)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is formed with a sliding surface 111 o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bracket member 120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z direction and -z direction), and the fixing bracket member Sides (y direction and -y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re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110,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side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than the front surface, and the guide slot 112 at the protruding portion. They face each other and ar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z direction and -z direction). In this case, the guide slot 112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sliding surface (111).

한편,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전면 및 측면에는 수평방향(y방향 및 -y방향)으로 상기 핀부재(130)가 이동되는 제 1 슬라이딩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슬라이딩홈(113)은 상기 슬라이딩면(111)과 상기 가이드 슬롯(112)으로 이루어지는 면상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and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s formed with a first sliding groove 113 to move the pin member 1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direction and -y direction). The first sliding groove 113 is formed on a surface consisting of the sliding surface 111 and the guide slot 112.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120)는 미들빔(20)을 직접 거치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에 형성된 슬라이딩면(111)을 따라 수직방향(z방향 및 -z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전방(x방향)으로는 상기 미들빔(20)이 거치되는 거치후크(122)가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브래킷 유닛(100)이 상기 코너빔(40)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거치후크(122)가 상기 코너빔(40)의 이격공간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다.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is a means for directly mounting the middle beam 20, provid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z direction and -z direction) along the sliding surface 111 formed on the fixed bracket member 110. The front (x direction)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ok 122 to the middle beam 20 is mounted. Thus, when the bracket unit 100 is installed in the corner beam 40, the mounting hook 122 protrudes forward through the spaced space of the corner beam 40.

또한,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120)의 상단 양측(y방향 및 -y방향)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112)으로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112)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돌기(121)가 각각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가이드 돌기(121)가 상기 가이드 슬롯(112)에 인입된 상태로 상하 이동되는데,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120)의 하강시 상기 가이드 돌기(121)가 상기 가이드 슬롯(112)의 하단에 거치되면서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120)의 하강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guide protrusions 121 which are inserted into the guide slots 112 and slid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s 112 are formed on both sides (y and −y directions) of the upper end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respectively. do. Thus, the guide protrusion 121 is moved up and dow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112. When 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descends, the guide protrusion 121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slot 112. While the falling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is to be stopped.

한편,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120)의 배면에는 상기 핀부재(130)가 이동되는 제 2 슬라이딩홈(123)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에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홈(113)과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120)에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딩홈(123)에 의해 둘러싸여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핀부재(130)가 가이드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a second sliding groove 123 through which the pin member 130 is move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bracket member 120. Thus, the pin member 130 is a space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first sliding groove 113 formed in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123 formed in 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Is moved horizontally while guiding.

상기 핀부재(130)는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120)를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에서 상승시킨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하강되도록 단속하는 수단으로서, 바(bar)타입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핀부재(130)의 일측으로는 단면 형상이 상기 제 1 슬라이딩홈(113) 및 제 2 슬라이딩홈(123)에 의해 둘러싸여서 형성되는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락킹부(130a)가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단면 형상이 상기 제 1 슬라이딩홈(113)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해제부(130b)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핀부재(130)의 락킹부(130a) 및 해제부(130b)는 각각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12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슬롯(112) 사이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n member 130 is a means for intermittently fixing or lowering the movable bracket member 120 in a raised state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and has a bar type. Particularly, at one side of the pin member 130, a locking part 130a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a space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first sliding groove 113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123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 release portion 130b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groove 113 is formed. In particular, the locking portion 130a and the release portion 130b of the pin member 130 are preferably formed lon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guide slots 112 formed in 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respectively.

이하에서 상기 핀부재(130)의 위치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핀부재(130)의 락킹부(130a)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가이드 슬롯(112) 사이에 위치되었을 때는 "락킹위치"라 정의하고, 상기 해제부(130b)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가이드 슬롯(112) 사이에 위치되었을 때는 "해제위치"라 정의한다. 상기 핀부재(130)는 락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Hereinafter, when the locking part 130a of the pin member 130 is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slots 112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scription of the position of the pin member 130, "Locking position", and when the release portion 130b is located between the guide slot 112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s defined as "release position". The pin member 13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한편, 상기 핀부재(130)는 락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단에 스토핑 플레이트(131)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핑 플레이트(131)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스토핑 플레이트(131)가 가이드 슬롯(112)을 빠져나와서 이탈되지 않는다면 특정 형상 및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슬롯(112)의 너비보다는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 플레이트로 구현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pin member 130 is provided with a stopping plate 131 at both ends to prevent the pin member 1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when moving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The shape and size of the stopping plate 131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and size unless the stopping plate 131 is separated from the guide slot 112. In this embodiment, a flat plate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width of the guide slot 112 is implemented.

그리고, 상기 핀부재(130)는 상기 해제부(130b) 중 상기 락킹부(130a)와의 인접위치에 후술되는 락킹수단(140)에 의해 상기 핀부재(130)를 단속하기 위한 걸림홈(132)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in member 130 is a locking groove 132 for controlling the pin member 130 by the locking means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adjacen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cking portion 130a of the release portion (130b). Is formed.

상기 걸림홈(132)은 상기 핀부재(130)의 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핀부재(130)의 전방측 하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groove 132 is preferably formed at the lower front edge of the pin member 130 to open to the front and lower of the pin member 130.

상기 락킹수단(140)은 상기 핀부재(130)의 수평이동을 단속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락킹수단(140)은 상기 핀부재(130)의 락킹부(130a) 일단과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외주면 일측(-y방향) 사이에서 설치되는 제 1 스프링(141)과;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외주면 타측(y방향)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핀부재(130)의 걸림홈(132)에 선택적으로 인입되는 잠금체(142)와; 상기 잠금체(142)가 상기 핀부재(130)의 걸림홈(132)에 인입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143)을 포함한다.The locking means 140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in member 130, the locking means 140 is one end of the locking portion 130a of the pin member 130 and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A first spring 141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y direction); A locking member 142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n a rotatable direction (y direction)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32 of the pin member 130; The locking body 142 includes a second spring 143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be drawn into the engaging groove 132 of the pin member 130.

상기 제 1 스프링(141)은 상기 핀부재(130)가 락킹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일단이 상기 핀부재(130)의 락킹부(130a) 일단, 즉 핀부재(130) 중 락킹부(130a)측에 구비되는 스토핑 플레이트(13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핀부재(130)의 락킹부(130a)를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현된다.The first spring 141 is a means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pin member 130 is moved from the locking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one end of which is one end of the locking part 130a of the pin member 130, that is, the pin member ( The locking part 130a of the pin member 130 is fixed to the stopper plate 131 provided on the locking part 130a side of the 13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t is implemented with a surrounding coil spring.

상기 잠금체(142)는 상기 핀부재(130)가 락킹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단속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잠금체(142)는 일측에 상기 걸림홈(132)에 인입되는 후크부(142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후크부(142a)에서 일체로 연장되면서 작업자가 직접 누르거나 타격하기 위한 누름부(142b)가 형성된다. 이때 후크부(142a)의 단부는 상기 걸림홈(132)에 인입되도록 상기 걸림홈(132)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고, 상기 누름부(142b)는 작업자가 직접 누르거나 타격하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상기 후크부(142a)의 폭보다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142a)와 누름부(142b)의 중간영역은 회동축(144)에 의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축(144)을 중심으로 회동된다.The locking body 142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pin member 130 to be kept in a locked position in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locking body 142 is hook portion 142a introduced into the locking groove 132 on one side thereof. )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is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hook portion 142a, and a pressing portion 142b for directly pressing or hitting an operator is formed. At this time, the end of the hook portion 142a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locking groove 132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32, the pressing portion 142b is predetermin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ress or hit directly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hook portion 142a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hook portion 142a.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region between the hook portion 142a and the pressing portion 142b is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by the rotation shaft 144 and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144.

상기 제 2 스프링(143)은 상기 잠금체(142)가 회동하여 상기 후크부(142a)가 상기 걸림홈(132)에 인입되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일단이 상기 누름부(142b)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외주면 타측에 고정되면서 중간영역이 상기 회동축(144)에 휘감긴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현된다.The second spring 143 is a means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locking body 142 is rotated so that the hook portion 142a is drawn into the engaging groove 132, one end of the second spring 143 to the pressing portion 142b. It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the intermediate region is implemented as a torsion spring (torsion spring) wound around the rotation shaft (144).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브래킷 유닛(100)도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의 코너빔(40)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150)이 구비된다. 그래서 선택되는 코너빔(40)의 배면 플레이트(42)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상단을 상기 코너빔(40)의 상면 플레이트(43) 저부에 밀착시킨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adjustment means 150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s used so that one bracket unit 100 can be used in all of the plurality of corner beams 40 having different heights. It is provided. Thus,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43 of the corner beam 40 in correspondence with the height of the rear plate 42 of the corner beam 40 is selected.

상기 높이 조절수단(150)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후방측 하면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절바(151)와, 상기 조절바(151)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돌림 손잡이(152)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바(151)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후방측(-x방향) 하면에는 상기 조절바(151)가 관통되어 나사결합되는 나사공(11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사공(114)을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후방측 하면에 형성하는 동시에 나사공(114)과 연통되는 너트를 부착하여 상기 나사공(114)의 길이를 연장시켰다.The height adjusting means 150 is a control bar 151 is screwed to move up and down on the rear sid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and a turning handle 152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ontrol bar 151. ). In order to engage the control bar 151, the rear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x direction) is formed with a screw hole 114 through which the adjustment bar 151 is screwed through.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crew hole 11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and a nut communicating with the screw hole 114 is attache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screw hole 114.

상기 조절바(151)의 하단부는 상기 코너빔(40)의 저면 플레이트(41)를 관통하여 상기 저면 플레이트(41)를 통과하고, 상기 돌림 손잡이(152)는 상기 조절바(151)의 하단에서 소정 높이만큼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림 손잡이(152)의 저면이 상기 코너빔(40)의 저면 플레이트(41)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브래킷 유닛(100)이 상기 코너빔(40)의 내부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The lower end of the adjustment bar 151 passes through the bottom plate 41 of the corner beam 40 and passes through the bottom plate 41, and the turning knob 152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djustment bar 151.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ing handle 152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 of the corner beam 40 so that the bracket unit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orner beam 40. It is fix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를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후방측에는 고정수단(160)이 구비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means 16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to fix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to the concrete to be poured.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기 벽체폼(30) 및 코너빔(4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가이드 하우징(161)과, 상기 가이드 하우징(161)의 내부에서 단부로 입출되도록 설치되는 고정 로드(162)와, 상기 고정 로드(162)와 함께 일체로 이동되는 고정 손잡이(163)와, 상기 고정 로드(162)의 이동을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3 스프링(164)을 포함한다.The fixing means 160 is a means for fixing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to the concrete placed on the wall foam 30 and the corner beam 40, the guide housing 161, the guide housing 161 A fixed rod 162 installed to enter and exit from the inside of the rod, a fixed handle 163 integrally moved together with the fixed rod 162, and a restoring force for the movement of the fixed rod 162. Three springs 164.

상기 가이드 하우징(161)은 상기 고정 로드(162)가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후방에서 전후 수평방향(x방향 및 -x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로드 이동공간(161a)이 형성되고, 측벽에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절개홈(16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하우징(161)의 측벽에는 상기 절개홈(165)에서 연장되면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고정홈(166)과 제 2 고정홈(167)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고정홈(166)은 상기 고정 로드(162)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 하우징(161)의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고정 손잡이(163)가 위치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홈(167)은 상기 고정 로드(162)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 하우징(161)의 단부를 관통하여 인출되었을 때 상기 고정 손잡이(163)가 위치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고정홈(166)과 제 2 고정홈(167)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guide housing 161 is a means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fixing rod 162 is moved, is formed in a pipe type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s (x direction and -x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s installed. In addition, a rod moving space 161a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therein, and a cut groove 165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ide wall. In addition, the sidewalls of the guide housing 161 are form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166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67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utting groove 165 and 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fixing groove 166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fixing handle 163 is positioned when the end of the fixing rod 162 is introduced into the guide housing 161,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is formed. 167 is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fixing handle 163 is positioned when the end of the fixing rod 162 is drawn out through the end of the guide housing 161. Accordingly, the first fixing groove 166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67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고정 로드(162)는 그 일측(-x방향) 단부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배면 및 상기 코너빔(40)의 배면 플레이트(42)를 관통하여 상기 코너빔(40)의 후방(-x방향)으로 입출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고정 및 분리되는 수단으로서, 봉 타입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하우징(161)의 내부에서 전후방향(x방향 및 -x방향)으로 이동된다.The fixing rod 162 has one end (-x direction) end thereof penetrating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and the rear plate 42 of the corner beam 40 so as to be rearward of the corner beam 40. As a means for being fixed and separated from the concrete to be poured into and poured in the -x direction, it is provided in a rod type and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direction and -x direction) inside the guide housing 161.

이때 상기 고정 로드(162)의 타측(x방향)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161)의 로드 이동공간(161a)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162a)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 로드(162)가 상기 가이드 하우징(161)의 내부에서 비틀림 없이 이동되도록 한다.In this case, a guide plate 162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od moving space 161a of the guide housing 161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x direction) end of the fixed rod 162 to the fixed rod 162. Is moved without twisting inside the guide housing 161.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62a)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 3 스프링(164)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62b)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지지 플레이트(162b)의 형상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62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62a)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 로드(162)가 올바르게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162b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late 162a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support the third spring 164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support plate 162b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plate 162a and serves to guide the fixing rod 162 to move correctly, similarly to the guide plate 162a.

한편, 상기 고정 손잡이(163)는 상기 고정 로드(162)를 작업자가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로서, 상기 고정 로드(162)에 마련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62a)와 지지 플레이트(162b) 사이에 상기 가이드 하우징(161)의 절개홈(165)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고정 손잡이(163)를 작업자가 상기 가이드 하우징(161)의 제 1 고정홈(166)에서 제 2 고정홈(167)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 로드(162)가 상기 가이드 하우징(161),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배면 및 코너빔(40)의 배면 플레이트(4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xed handle 163 is a handle for moving the fixed rod 162 by the operator, the guide housing (162a) and the support plate (162b) provided in the fixed rod 162 ( It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ting groove 165 of the 161. Thus, as the operator moves the fixing knob 163 from the first fixing groove 166 of the guide housing 161 to the second fixing groove 167, the fixing rod 162 is the guide housing 161.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and the rear plate 42 of the corner beam 40 ar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and drawn out.

상기 제 3 스프링(164)은 상기 고정 로드(162)가 상기 제 2 고정홈(167)에서 제 1 고정홈(166)으로 이동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 3 스프링(164)은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배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로드(162)에 마련된 지지 플레이트(162b)에 지지되면서 상기 고정 로드(162)를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된다.
The third spring 164 is a means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move the fixing rod 162 from the second fixing groove 167 to the first fixing groove 166, the third spring 164 is one end The coil is suppor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162b provided on the fixing rod 162 and surrounds the fixing rod 162.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래킷 유닛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 operating state of the brack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a 및 도 5b는 설치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래킷 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해체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래킷 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s 5a and 5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ack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installation, Figures 6a and 6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ack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disassembly to be.

먼저, 브래킷 유닛에 미들빔을 설치하기 위한 작동관계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유닛(100)은 이동 브래킷부재(120)가 하강된 상태와 핀부재(130)가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이동 브래킷부재(120)를 상승시켜 제 1 슬라이딩홈(113)과 제 2 슬라이딩홈(123)이 서로 대면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핀부재(13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x방향에서 x방향으로)First, to describe the operation relationship for installing the middle beam to the bracket unit, as shown in Figure 5a, the bracket unit 100, the movable bracket member 120 is lowered and the pin member 130 in the release position The operator raises the movable bracket member 120 in a state where the first sliding groove 113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123 face each other. And the worker moves the pin member 1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direction to x direction)

그러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부재(130)가 해제위치에서 락킹위치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핀부재(130)의 걸림홈(132)이 잠금체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된다. 그러면 제 2 스프링(143)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체(142)가 회동되면서 잠금체(142)의 후크부(142a)가 걸림홈(132)에 인입되면서 핀부재(130)가 락킹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제 1 스프링(141)은 압축된 상태로 고정된다.Then, as shown in FIG. 5B, the pin member 130 is moved from the release position to the locking position, whereby the locking groove 132 of the pin member 130 reaches the position where the locking body is installed. Then, as the locking member 142 is rot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spring 143, the hook member 142a of the locking member 142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32, so that the pin member 130 is fixed at the locking position. will be. At this time, the first spring 141 is fixed in a compressed state.

이렇게 핀부재(130)가 락킹위치에 고정되게 되면서 핀부재(130)에 의해 제 2 슬라이딩홈(123)이 거치된 이동 브래킷부재(120)는 상승된 상태로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이동 브래킷부재(120)의 거치후크(122)에 미들빔(20)의 단부를 거치하는 것이다.As the pin member 130 is fixed to the locking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bracket member 120 on which the second sliding groove 123 is mounted by the pin member 130 is fixed in an elevated state, and in this state, the movable bracket member is fixed. The end of the middle beam 20 is mounted on the mounting hook 122 of the 120.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이후 미들빔(20)의 해체하고자 할 때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체(142)에 누름부(142b)를 작업자가 직접 누르거나 망치와 같은 타격기구를 이용하여 가볍게 타격하게 된다. 그러면 잠금체(142)가 회동되면서 후크부(142a)가 핀부재(130)의 걸림홈(132)에서 이탈된다. 그러면 제 1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원되는 힘에 의해 핀부재(130)는 수평이동된다.(x방향에서 -x방향으로) When the middle beam 20 is to be dismantled after curing of concrete is completed, a worker presses the pressing part 142b directly on the locking body 142 as shown in FIG. 6A or strikes lightly using a hammering mechanism such as a hammer. Done. Then, as the locking body 142 is rotated, the hook portion 142a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32 of the pin member 130. Then, the pin member 130 is horizontally moved by the force of restoring the original state from the compressed state of the first spring. (From the x direction to the -x direction)

그러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부재(130)가 락킹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되고, 이때 이동되는 핀부재(130)는 단부에 마련된 스토핑 플레이트(131)가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측면에 지지되면서 이동이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핀부재(130)가 고정 브래킷부재(1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Then, as shown in Figure 6b the pin member 130 is moved from the locking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the pin member 130 is moved at this time is a stop plate 131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Supported on the side stops moving. Accordingly, the pin member 13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또한, 핀부재(130)가 락킹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 2 슬라이딩홈(123)에 의해 핀부재(130)에 지지되어 있던 이동 브래킷부재(120)가 지지되는 영역이 제거되면서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 되어 하강된다. 이때 이동 브래킷부재(120)는 상단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121)가 고정 브래킷부재(110)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112)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하강된다. 그리고 이동 브래킷부재(120)의 하강은 가이드 돌기(121)가 가이드 슬롯(112)의 하단에 접촉하면서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동 브래킷부재(120)의 하강에 따라 거치후크(122)에 거치된 미들빔(20)도 함께 하강되고, 이에 따라 미들빔(20)의 상단에 위치된 슬래브폼(10)도 함께 하강되면서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와 이격되어 해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s the pin member 130 is moved from the locking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an area in which 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supported by the pin member 130 is supported by the second sliding groove 123 is removed, and thus the weight thereof is removed. It falls freely and descends. At this time, 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is lowered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guide slot 112 formed in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the guide protrusion 12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op. And the lowering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is to stop while the guide protrusion 121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guide slot (112). As 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descends, the middle beam 20 mounted on the mounting hook 122 is also lowered, and the slab form 10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middle beam 20 is also lowered and cured. The dismantled from the finished concrete can be easily carried out.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브래킷 유닛으로도 다양한 높이를 갖는 코너빔에 모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정 브래킷부재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o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o be compatible with all of the corner beams having a variety of heights in one bracket uni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7a and 7b.

도 7a 및 도 7b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코너빔에 브래킷 유닛을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A and 7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unit is mounted on corner beams having different heights.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후방에 구비된 높이 조절수단(150)을 조정함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코너빔(40)일지라도 고정 브래킷부재(110)가 코너빔(40)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s inside the corner beam 40 even though the corner beam 40 having different heights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adjusting means 15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Make sure you are in close contact with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코너빔(40)을 사용하는 경우에, 돌림 손잡이(152)를 회전시켜 조절바(151)가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후방 하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짧게 한 다음, 고정 브래킷부재(110)를 코너빔(40)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돌림 손잡이(152)를 역회전시켜 돌림 손잡이(152)가 코너빔(40)의 저면 플레이트(41) 상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상면이 코너빔(40)의 상면 플레이트(43)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In the case of using the corner beam 40 having a relatively low height as shown in Figure 7a, by rotating the turning knob 152, the adjustment bar 151 is projected to the rear low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After shortening the length,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s positioned inside the corner beam 40. In addition, the turning knob 152 is rotated in reverse so that the turning knob 15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 of the corner beam 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s the upper plate of the corner beam 40 ( 43) Make sure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갖는 코너빔(40)을 사용하는 경우에, 도 7a에서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돌림 손잡이(152)를 회전시켜 조절바(151)가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후방 하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짧게 한 다음, 고정 브래킷부재(110)를 코너빔(40)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돌림 손잡이(152)를 역회전시켜 돌림 손잡이(152)가 코너빔의 저면 플레이트(41) 상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상면이 코너빔(40)의 상면 플레이트(43)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도 7a와 도 7b는 코너빔(40)의 높이 차이만큼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후방 하측으로 돌출되는 조절바(151)의 길이가 다르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corner beam 40 having a relatively high height as shown in Figure 7b, as shown in Figure 7a by rotating the turning knob 152, the adjustment bar 151 is fixed bracket member After shortening the protruding length toward the rear lower side of the 110,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s positioned inside the corner beam 40. In addition, the turning knob 152 is rotated in reverse so that the turning knob 15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 of the corner beam, and the top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43 of the corner beam 40. Make sure you are in close contact with 7A and 7B have different lengths of the adjustment bar 151 protruding to the rear low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by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corner beam 40.

상기와 같이 돌림 손잡이(152)의 회전에 의해 조절바(151)가 고정 브래킷부재(11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하여 다양한 높이의 코너빔(40)에 그 설치 높이를 맞추는 것이다.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bar 151 protrudes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110 by the rotation of the turning knob 152 as described above to match the installation height to the corner beam 40 of various heights.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브폼 지지장치의 해체시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mantling state of the slab form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래브폼 지지장치의 해체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dismantling the slab form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거푸집을 해체하는 경우에는 먼저, 벽체를 이루고 있던 벽체폼(30)을 제거한다. 이때 벽체폼(30)의 상단에 위치되었던 코너빔(40)은 벽체폼(30)의 해체에서 낙하되지 않고, 고정 로드(162)가 콘크리트의 외벽에 인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양생된 콘크리트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and the formwork is dismantled, first, the wall foam 30 forming the wall is removed. At this time, the corner beam 40, which was located at the top of the wall foam 30, does not fall from the dismantlement of the wall foam 30, and is fixed to the cured concrete because the fixed rod 162 is inserted into the outer wall of the concrete. State is maintained.

벽체폼(30)이 해체된 상태에서 브래킷 유닛(100)의 이동 브래킷부재(120)를 하강시킨다. 그러면 이동 브래킷부재(120)에 거치되어 있던 미들빔(20)의 단부가 하강되는데, 이동 브래킷부재(120)의 하강이 멈추면서 미들빔(20)의 하강도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미들빔(20) 및 슬래브폼(10)이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of the bracket unit 100 is lowered while the wall foam 30 is disassembled. Then, the end of the middle beam 20 mounted on 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is lowered, and the lowering of the middle beam 20 is also stopped while the lowering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120 is stopped. ) And the slab foam 10 is prevented from falling to the floor.

이 상태에서 드롭 헤드(60)를 하강시킨다. 그러면 드롭 헤드(60)에 거치되어 있던 미들빔(20)의 단부가 하강되는데, 브래킷 유닛(100)과 마찬가지로 드롭 헤드(60)의 하강이 멈추면서 미들빔(20)의 하강도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미들빔(20) 및 슬래브폼(10)이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In this state, the drop head 60 is lowered. Then, the end of the middle beam 20 mounted on the drop head 60 is lowered. Like the bracket unit 100, the lowering of the drop head 60 is stopped while the lowering of the middle beam 20 is also stopped. Accordingly, the middle beam 20 and the slab foam 10 are prevented from falling to the floor.

이렇게 모든 브래킷 유닛(100)과 드롭 헤드(60)의 하강이 완료되면, 모든 미들빔(20)의 하강이 완료된다. 그러면 미들빔(20)과 함께 하강되어 콘크리트에서 이격된 슬래브폼(10)을 해체한다. 슬래브폼(10)의 해체가 완료되면 이어서 미들빔(20)을 브래킷 유닛(100) 및 드롭 헤드(60)에서 해체한다. 그런 다음, 서포트(50) 및 드롭 헤드(60)를 해체한다.When the lowering of all the bracket unit 100 and the drop head 60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lowering of all the middle beam 20 is completed. Then descended with the middle beam 20 to dismantle the slab foam 10 spaced from the concrete. When dismantling of the slab foam 10 is completed, the middle beam 20 is then dismantled from the bracket unit 100 and the drop head 60. Then, the support 50 and the drop head 60 are dismantled.

이어서 코너빔(40) 및 브래킷 유닛(100)을 해체하는데, 이때 브래킷 유닛(100)의 고정 로드(162)가 콘크리트에 인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작업자는 고정 손잡이(163)를 제 2 고정홈(167)에서 이탈시켜 제 3 스프링(164)에 의해 고정 로드(162)가 제 1 고정홈(166)으로 복귀되도록 한다. 그러면 고정 로드(162)가 콘크리트에서 인출되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와 브래킷 유닛(10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서 코너빔(40) 및 브래킷 유닛(100)의 해체가 완료된다.
Subsequently, the corner beam 40 and the bracket unit 100 are dismantled. In this case, since the fixing rod 162 of the bracket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concrete, the worker moves the fixing handle 163 to the second fixing groove 167. ) So that the fixing rod 162 is returned to the first fixing groove 166 by the third spring 164. Then, the fixed rod 162 is drawn out from the concrete, and thus the fixing state of the concrete and the bracket unit 100 is released while the dismantling of the corner beam 40 and the bracket unit 100 is completed.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 슬래브폼 20: 미들빔
30: 벽체폼 40: 코너빔
50: 서포트 60: 드롭 헤드
100: 브래킷 유닛 110: 고정 브래킷부재
112: 가이드 슬롯 113: 제 1 슬라이딩홈
120: 이동 브래킷부재 121: 가이드 돌기
123: 제 2 슬라이딩홈 130: 핀부재
131: 스토핑 플레이트 132: 걸림홈
140: 락킹수단 141: 제 1 스프링
142: 잠금체 143: 제 2 스프링
150: 높이 조절수단 151: 조절바
152: 돌림 손잡이 160: 고정수단
161: 가이드 하우징 162: 고정 로드
163: 고정 손잡이 164: 제 3 스프링
10: slab form 20: middle beam
30: wall foam 40: corner beam
50: support 60: drop head
100: bracket unit 110: fixing bracket member
112: guide slot 113: first sliding groove
120: moving bracket member 121: guide projection
123: second sliding groove 130: pin member
131: stopping plate 132: locking groove
140: locking means 141: first spring
142: locking body 143: second spring
150: height adjustment means 151: adjustment bar
152: turning handle 160: fixing means
161: guide housing 162: fixed rod
163: fixed handle 164: third spring

Claims (20)

복수의 슬래브폼을 지지하는 미들빔의 단부가 거치되는 장치로서,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고정 브래킷부재와;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미들빔이 거치되는 이동 브래킷부재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의 상하 이동을 단속(斷續)하는 핀부재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핀부재의 수평방향 이동을 단속(斷續)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핀부재는 바(bar)타입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에 스토핑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A device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middle beam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slab forms,
A fixing bracket member having a guide slot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moving bracket member which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and in which the middle beam is mounted;
A pin member which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intermittently moves up and down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A locking means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member to intermittently move the pin member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pin member is a bar (bar) type, the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plate is provided at both ends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는 전방에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의 배면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면의 양측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으로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bracket member has a sliding surfac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bracket member is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ront, the guide slo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surface, respectively,
The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characterized in that guide projections are inserted into the guide slots on both sides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to slid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슬라이드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핀부재가 이동되는 제 1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핀부재가 이동되는 제 2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핀부재가 상기 제 1 슬라이딩홈 및 제 2 슬라이딩홈에 의해 둘러싸여서 형성되는 공간에서 가이드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The method of claim 2,
The sliding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is formed with a first sliding groove for moving the pin memb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is formed with a second sliding groove for moving the pin member is the pin member is The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is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orm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바(bar)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으로는 단면 형상이 상기 제 1 슬라이딩홈 및 제 2 슬라이딩홈에 의해 둘러싸여서 형성되는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락킹부가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단면 형상이 상기 제 1 슬라이딩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해제부가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가이드 슬롯 사이에 위치되는 락킹위치와 상기 해제부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가이드 슬롯 사이에 위치되는 해제위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The pin member is made of a bar type (bar), one side is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pace form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is surrounded by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the other side A release portion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guide slots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the release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guide slots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characterized in that moved between the releas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의 락킹부 및 해제부는 각각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슬롯 사이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The method of claim 4,
And a locking unit and a release unit of the pin member, each of which is formed longer than an interval between a pair of guide slots formed in the movable bracket member.
삭제delet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해제부 중 상기 락킹부와의 인접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핀부재의 락킹부 일단과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외주면 일측 사이에서 설치되어 상기 핀부재가 락킹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과;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외주면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핀부재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인입되는 잠금체와;
상기 잠금체가 상기 핀부재의 걸림홈에 인입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The method of claim 4,
The pin member has a locking groove is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cking portion of the release portion,
The locking means
A first spring installed between one end of the locking part of the pin member and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move the pin member from the locking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A locking body installed to be rotat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selectively drawn into the locking groove of the pin member;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including a second spring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locking body is drawn into the engaging groove of the pin memb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핀부재의 락킹부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핀부재의 락킹부를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잠금체는 일측에 상기 걸림홈에 인입되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와 누름부의 중간영역이 회동축에 의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 2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누름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외주면 타측에 고정되면서 중간영역이 상기 회동축에 휘감긴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spring is one end is fixed to one end of the locking portion of the pin member, the other end is a coil spring surrounding the locking portion of the pin member while being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he locking body has a hook portion to be drawn into the engaging groove on one side,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intermediate region of the hook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is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member by a rotation shaft to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Rotated,
The second spring is a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fixed to the pressing portion,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while the middle region is a torsion spring wrapped around the pivot sha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측 하부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iddle unit mounting bracke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in the lower rear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는 후방측 하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조절바와;
상기 조절바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돌림 손잡이를 포함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The method of claim 9,
The fixing bracket member is formed with a screw hole penetrating up and down on the rear lower surface,
The height adjusting means
Adjusting bar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screwed to the screw hole and moved up and down;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comprising a turning handle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adjustment ba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돌림 손잡이는 상기 조절바의 하단에서 소정 높이만큼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The method of claim 10,
The turning handle is a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upper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adjustment b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측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를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is a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xing bracket member to the cast concret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에서 전후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로드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측벽에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하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제 1 고정홈과 제 2 고정홈이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배면에서 입출되도록 설치되는 고정 로드와;
상기 고정 로드의 타측에서 상기 절개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 로드의 이동에 의해 일체로 상기 절개홈을 따라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 1 고정홈 및 제 2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손잡이와;
상기 고정 로드의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배면으로 인출된 위치에서 인입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3 스프링을 포함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xing means
Is formed in a pipe type i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he rod moving space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side wall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cision groove A guide hous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fixing groove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ar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A fixed rod which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guide housing so that one end thereof enters and exit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rod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ting groove is mov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integrally along the cutting groove by the movement of the fixed rod, selective to the first fixing groove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A fixed handle fixed with a handle;
And a third spring provid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one end of the fixing rod is moved from the position drawn out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o the drawn positio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배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로드에 지지되면서 상기 고정 로드를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third spring is a middle beam mounting bracke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supported on the back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he other end is a coil spring surrounding the fixing ro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ixing rod.
복수의 슬래브폼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슬래브폼이 거치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들빔과;
상기 미들빔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벽체폼과;
상기 벽체폼의 상단에 배치되는 코너빔과;
상기 코너빔의 내부에 내설되어 상기 미들빔의 단부가 거치되는 브래킷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유닛은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고정 브래킷부재와;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미들빔이 거치되는 이동 브래킷부재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의 상하 이동을 단속(斷續)하는 핀부재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핀부재의 수평방향 이동을 단속(斷續)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핀부재는 바(bar)타입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에 스토핑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폼 지지장치.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slab forms,
At least one middle beam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slab forms are mounted;
A wall foam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an end of the middle beam;
A corner beam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wall foam;
A bracket unit installed inside the corner beam and mounted with an end of the middle beam,
The bracket unit
A fixing bracket member having a guide slot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moving bracket member which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and in which the middle beam is mounted;
A pin member which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intermittently moves up and down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A locking means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member to intermittently move the pin member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pin member is made of a bar (bar) type, the slab form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plate is provided at both ends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member.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코너빔은 상기 벽체폼의 상단에 안착되는 저면 플레이트와,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입설되는 배면 플레이트와, 상기 배면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저면 플레이트와는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브래킷부재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상기 미들빔의 거치되는 거치후크가 구비되어,
상기 거치후크가 상기 코너빔의 이격공간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폼 지지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rner beam may include a bottom plate seated on an upper end of the wall foam, a back plate placed in an upward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bottom plate, an upper plate projecting for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back plate, and an end of the top plate. And a front plate which is bent in a downward direction to form a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racket member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ok that is mounted to the middle beam forward,
Slabform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hook protrudes forward through the spaced space of the corner beam.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코너빔은 상기 배면 플레이트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다수개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코너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벽체폼의 상부에 배치되며,
선택되는 상기 코너빔의 배면 플레이트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상단을 상기 상면 플레이트의 하면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측 하부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폼 지지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rner beam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heights of the rear plate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wall form by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rner beams,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so as to closely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the rear plate of the corner beam being selected. Slab form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vided.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측 하면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절바와, 상기 조절바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돌림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바의 하단부는 상기 코너빔의 저면 플레이트에 관통되고,
상기 돌림 손잡이는 상기 코너빔의 저면 플레이트 상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폼 지지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height adjusting means includes a control bar which is screwed to move up and down on the rear sid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a turning handle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ontrol bar,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bar penetrates the bottom plate of the corner beam,
The turning handle is a slab form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of the corner beam.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벽체폼 및 코너빔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측에는 상기 코너빔의 배면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입출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폼 지지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6,
Slabform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ans for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back plate of the corner beam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o fix the fixing bracket member to the concrete poured on the wall foam and the corner beam.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후방에서 전후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로드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측벽에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하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제 1 고정홈과 제 2 고정홈이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부재의 배면 및 상기 코너빔의 배면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입출되도록 설치되는 고정 로드와;
상기 고정 로드의 타측에서 상기 절개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 로드의 이동에 의해 일체로 상기 절개홈을 따라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 1 고정홈 및 제 2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손잡이와;
상기 고정 로드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단부로 인출된 위치에서 인입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3 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래브폼 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fixing means
Is formed in a pipe type i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the rod moving space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side wall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cision groove A guide hous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fixing groove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ar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A fixed rod which is mov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s in the guide housing so that one end of the guide housing penetrates through the rear plate of the fixing bracket member and the rear plate of the corner beam;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rod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ting groove is move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integrally along the cutting groove by the movement of the fixed rod, selective to the first fixing groove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A fixed handle fixed with a handle;
And a third spring provid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one end of the fixed rod is moved from the position drawn out to the end of the guide housing to the drawn position.
KR1020120041445A 2012-04-20 2012-04-20 Bracket unit for supporting middle bea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lab form using the same KR1013798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445A KR101379897B1 (en) 2012-04-20 2012-04-20 Bracket unit for supporting middle bea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lab for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445A KR101379897B1 (en) 2012-04-20 2012-04-20 Bracket unit for supporting middle bea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lab for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515A KR20130118515A (en) 2013-10-30
KR101379897B1 true KR101379897B1 (en) 2014-04-01

Family

ID=4963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445A KR101379897B1 (en) 2012-04-20 2012-04-20 Bracket unit for supporting middle bea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lab for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8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238B1 (en) * 2014-08-21 2016-01-27 주식회사 케이비테크 Connecting device for slab wall fo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875708T3 (en) * 2020-03-06 2023-01-16 Sistemas Técnicos De Encofrados, S.A. Anchoring head for formwork struts and formwork strut for the implementation of inclined floor slab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828A (en) * 2002-12-09 2004-06-17 서동택 Leg adjustment apparatus
KR100818609B1 (en) 2006-11-14 2008-04-02 (주)거혁건설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slab form being dismantled easily
KR20090106971A (en) * 2008-04-07 2009-10-12 삼목정공주식회사 Connecting Device For Slab Wall Form
KR101127008B1 (en) 2010-05-24 2012-03-26 금강공업 주식회사 Method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lab pa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828A (en) * 2002-12-09 2004-06-17 서동택 Leg adjustment apparatus
KR100818609B1 (en) 2006-11-14 2008-04-02 (주)거혁건설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slab form being dismantled easily
KR20090106971A (en) * 2008-04-07 2009-10-12 삼목정공주식회사 Connecting Device For Slab Wall Form
KR101127008B1 (en) 2010-05-24 2012-03-26 금강공업 주식회사 Method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lab 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238B1 (en) * 2014-08-21 2016-01-27 주식회사 케이비테크 Connecting device for slab wall 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515A (en)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41519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 slab of building
CN111719846B (en) Holder for holding an object on a formwork panel
KR101379897B1 (en) Bracket unit for supporting middle bea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lab form using the same
KR20130095987A (en) Gang form
KR101618703B1 (en) Slab concrete mold for building
JP5090220B2 (en) Concrete construction equipment
KR100653229B1 (en) Device for supporting temporary beam of slab form
KR20080074387A (en) Mold supporting device of slab
KR101024888B1 (en) A truss moun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forms
KR101962321B1 (en) Varialbe length type suspension shoe for construction
KR20180058397A (en) Fixing device for construction mold
KR101848560B1 (en) Fixing structure of form
KR100655243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concreat mold on ceiling
KR101653940B1 (en) Yoke beam of drop type having forms system
KR101341864B1 (en) Slab Form Girder Beam Coupling Device
KR102137171B1 (en) Side tie for use of interval maintenance device of mold
KR101795777B1 (en) Supporting Device for Form
KR20180001113U (en) Upper rebar fixing unit with arragement of concrete slab
JP3242273U (en) support
JP2014205551A (en) Temporary enclosure for elevator landing
KR102198600B1 (en) Slab mold support device
KR102330671B1 (en) Construction support structure with yoke with magnetic
KR100916807B1 (en) Locker fixing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a mold
KR20230150598A (en) System for tableform with capable of installation and dismantlement
KR20110006970U (en) Mould comprising wood plate and steel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