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520B1 - 파이프 마킹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마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520B1
KR101379520B1 KR1020120066216A KR20120066216A KR101379520B1 KR 101379520 B1 KR101379520 B1 KR 101379520B1 KR 1020120066216 A KR1020120066216 A KR 1020120066216A KR 20120066216 A KR20120066216 A KR 20120066216A KR 101379520 B1 KR101379520 B1 KR 101379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rking
guide
guide ba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730A (ko
Inventor
홍락 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나스텐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나스텐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나스텐레스
Priority to KR1020120066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520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41J3/40733Printing on cylindrical or rotationally symmetrical objects, e. g. on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525Arrangement for multi-colour printing, not covered by group B41J2/21, e.g.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1/00Column, tabular or like printing arrangements; Means for centralising short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마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강종(鋼種)에 따라 파이프 표면에 강종 식별을 위한 컬러 라인을 길이방향으로 마킹하여 파이프 절단 후에도 별도의 확인작업 없이 파이프의 강종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파이프 마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마킹장치{MARKING APPARATUS OFPIPE}
본 발명은 파이프 마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강종(鋼種)에 따라 파이프 표면에 강종 식별을 위한 컬러 라인을 길이방향으로 마킹하여 파이프 절단 후에도 별도의 확인작업 없이 파이프의 강종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파이프 마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물이나 공기, 가스 등을 수송하는데 사용되는 관으로, 강종이 다양하여 규격에 따른 강종 식별표시가 기재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이프는 그 식별표시에 따라 사용 용도, 목적 등을 고려하여 선택 사용되고는 있으나, 건물 등의 구조물 공사현장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절단되어 사용되므로 인해 절단된 파이프의 강종을 쉽게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공사현장 등에서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마킹홈이 형성되는 지그를 두명의 작업자가 파이프 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또 다른 작업자가 스프레이잉크(페이트)를 마킹홈으로 분사하여 사용하고는 있다.
그러나, 잉크가 분사되면서 대기중으로 유출되는 양이 많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작업인원을 많이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8026호에 따르면, 제작될 관의 재질, 치수, 제조업체명 등의 물품정보를 음각으로 새길 수 있는 관 마킹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관 마캉장치의 경우에는 조관작업 전에 마킹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관의 일측면에 음각으로 새겨지므로 인해 절단하여 사용시 일측면을 제외한 관의 강종을 쉽게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8026호(2010. 08. 1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의 강종(鋼種)에 따라 표면에 강종 식별을 위한 컬러 라인을 마킹하여 별도의 확인작업 없이 파이프의 강종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파이프 마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면서 강종 식별을 위한 컬러 라인을 파이프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간편하게 마킹될 수 있도록 하여 페인트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한편, 작업자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이프 마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이프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컬러 라인을 마킹하기 위한 장치로서,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의 이동에 따라 파이프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컬러 라인을 마킹하는 마킹부를 포함하되, 파이프는,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서로 접하거나, 인접하는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마킹부는, 가이드부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것에 연동하여 단수 또는 복수의 파이프에 컬러 라인을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킹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는,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하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바;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며, 가이드바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가이드편을 포함하되, 가이드편은 가이드바에 탈착 및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와 마킹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킹부는 가이드바를 중심으로 그 가이드바의 일측 또는 양측에 단수 또는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편은 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는 상,하부가 개구되어 내측으로 단수 또는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가이드바를 중심으로 그 가이드바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고, 마킹부는 결합공에 인입되어 끼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공은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결부는 전면 또는 전,후면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저장통은 외주면에 가이드공과 대응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킹부는, 색채물질이 수용되는 저장통; 저장통에 수용되는 색채물질이 배출되는 노즐; 및 노즐에 설치되며, 파이프와 접촉되어 컬러 라인을 마킹하는 마킹심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병렬로 배열된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를 따라 이동되면서 파이프의 표면에 강종 식별을 위한 컬러 라인을 길이방향으로 간편하게 마킹할 수 있음으로써 잉크의 소모는 물론, 작업자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프의 강종(鋼種)에 따라 파이프 표면에 강종 식별을 위한 컬러 라인이 길이방향으로 마킹됨으로써 파이프 절단 후에도 별도의 확인작업 없이 파이프의 강종 식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마킹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 4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연결바에 연결되는 마킹부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연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킹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가이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가이드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가이드편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마킹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1)는 파이프(100)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라인(110)을 마킹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파이프(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부(10) 및 상기 가이드부(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파이프(100)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라인을 마킹하는 마킹부(20)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100)는 전,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파이프(100)가 병렬로 배치되는 배열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파이프(100)는 작업자가 별도의 강종 식별작업을 통해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를 사용하여 상기 파이프(100)의 강종에 따른 컬러 라인(110)을 마킹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파이프(100)는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되, 서로 인접하거나, 접하는 파이프(100)와 파이프(100) 사이로 'V'자 형태의 가이드홈(120)이 형성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컬러 라인(110)은 빨강, 파랑, 녹색, 검정 등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0)는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하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바(11) 및 상기 가이드바(11)의 하부에 위치되는 가이드편(12)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바(11) 및 상기 가이드편(12)은 별도 제작된 후 접착제 등에 의해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11)는 상기 파이프(100)의 표면에 마킹작업을 위해 작업자의 손 등에 파지되며, 원형이나, 삼각형, 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편(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20)으로 인입되며, 상기 가이드바(11)의 전,후 이동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홈(120)를 따라 상기 파이프(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마킹부(20)는 상기 가이드바(12)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파이프(100)의 표면에 컬러 라인(110)을 마킹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킹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감, 잉크, 페인트 등을 포함하는 색채물질(23)이 수용되는 저장통(21), 상기 저장통(21)으로부터 색채물질이 배출되는 노즐(22)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통(21)은 상부에 색채물질유입구(24)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구되어 상기 노즐(22)과 연통된다.
상기 저장통(21)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색채물질유입구(24)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22)은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저장통(21)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하부에는 상기 색채물질유입구(24)와 연통되는 색채물질배출구(26)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22)은 상기 저장통(21)에 수용되는 상기 색채물질(23)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 형태를 이루며, 상기 색채물질배출구(26)에는 마킹심지(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킹심지(27)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통(21)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색채물질(23)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킹심지(2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파이프(100)의 표면과 접하는 상태로 이동되며 상기 파이프(100)의 표면에 컬러 라인(110)을 마킹한다.
도 4a 및 도 4b, 4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연결바에 연결되는 마킹부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연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킹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상기 마킹부(20)가 상기 가이드바(11)를 중심으로 그 가이드바(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단수 또는 복수 설치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킹부(20)가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단수 위치되는 경우, 상기 마킹부(20)는 상기 마킹심지(23)가 상기 가이드바(11)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파이프(100)의 반경 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킹부(20)가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복수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바(11)와 인접하는 마킹부(20)는, 상기 마킹심지(23)가 상기 파이프(100)의 반경 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마킹부(20)와 마킹부(20) 사이는, 각각 구비되는 마킹심지(23)와 마킹심지(23)와의 사이가 상기 파이프(100)의 직경 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마킹부(20)는 상기 마킹심지(23)가 상기 파이프(100)의 정 중앙부와 대략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11)와 상기 마킹부(20) 사이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마킹부(20)와 마킹부(20) 사이에 상기 이격 길이를 갖는 연결바(3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0)에 상기 마킹부(20)를 단수 또는 복수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0)는 상,하부가 개구되어 내측으로 단수 또는 복수의 결합공(4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바(11)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는 리벳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11)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11)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단수의 상기 결합공(41)을 갖는 상기 연결부(4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단수의 상기 마킹부(20)가 연결된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11)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복수의 상기 결합공(41)을 갖는 상기 연결부(4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복수의 상기 마킹부(20)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40)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바(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마킹부(20)는 상기 저장통(21)이 상기 결합공(41)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끼움 결합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결합공(41)은 상기 마킹부(20)가 상기 파이프(1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위치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통(21)의 직경이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또는 전,후면에 가이드공(42)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통(21)은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공(42)과 대응되는 가이드돌기(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42)은 상기 파이프(1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마킹부(20)는 상기 가이드돌기(28)가 상기 가이드공(42)을 따라 이동되며 위치조정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결합공(41)에 끼워지는 상기 저장통(21)이 상기 파이프(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마킹심지(23)가 상기 파이프(100)의 정 중앙부와 수직이 될 수 있도록 조정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상기 저장통(21)을 상기 연결부(40)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저장통(21)을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돌기(28)가 상기 연결부(40)와 동일방향이 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공(41)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상기 저장통(21)이 상기 결합공(41)에 인입되어 끼워지면 상기 저장통(21)을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돌기(28)가 상기 가이드공(42)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28)가 상기 가이드공(42)에 결합되면, 상기 저장통(21)을 상기 파이프(10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조금씩 이동시켜 상기 파이프(100)의 정 중앙부와 상기 마킹심지(23)가 대략 수직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상기 파이프(100)의 상부면에 컬러 라인을 안정적으로 마킹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가이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가이드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에서 가이드편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상기 가이드편(12)이 상기 가이드바(11)에 탈착 및 길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바(11)는 하부에 삽입홈(1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12)은 상단부가 상기 삽입홈(13)에 인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바(11)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홈(13)과 연통되는 중공(14)이 일측에 형성되며, 그 가이드바(11)의 일측에는 상기 중공(14)과 연통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의 체결부재(15)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재(15)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 등의 가압부재(16)가 결합되며, 그 가압부재(16)는 회전에 따라 풀림, 조임되며 상기 가이드편(12)을 가압 또는 가압 해지한다.
상기 가이드편(12)은 상기 가압부재(16)의 조절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11)에 탈착되거나, 상기 삽입홈(13)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상기 가이드편(12)이 상기 가압부재(16)의 조절에 따라 가압되거나, 가압이 해지되면서 상기 가이드바(11)에 간편하게 탈착되는 한편, 상기 삽입홈(13)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간편하게 조절된다.
이는 상기 가이드편(12)이 상기 가이드홈(120)을 이루는 파이프(100)와의 접촉에 의해 마모되는 상기 가이드편(12)을 빠르고 간편하게 분리, 교체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편(12)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파이프(100)와 상기 마킹심지(23)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마킹작업시 작업자가 상기 가이드부(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바(11)를 파지한 자세로 복수로 배열된 파이프(100)의 상부를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부(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상기 파이프(100)와 상기 마킹심지(23)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면 상기 가이드부(10)의 기울어지는 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작업자의 편하고, 안정된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편(1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하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넓어지는 'V'자 형태를 이루며,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은 곡면(12a)을 이루고, 그 곡면(12a)으로부터 반대되는 면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면(12a)은 마킹작업시 상기 가이드부(10)가 작업자의 진행방향 등으로 기울어지면서 대략 하측 방향을 향하며, 상기 가이드홈(120)으로 인입되어 그 가이드홈(120)을 따라 이동된다.
또는, 상기 가이드편(1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바퀴(1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퀴(12-1)는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홈(120)을 따라 회전되며 이동되고, 별도의 지지대(12-2)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11)에 연결된다.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1)는 상기 지지대(12-2)가 상기 가이드바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면 그 지지대(12-2)의 길이조절로 인해 상기 가이드바(1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바퀴(12-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상기 가이드홈(120)을 이루는 파이프(100)와 상기 가이드편(12)과 접촉되는 면적을 줄여 마찰이 최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편(12)이 상기 가이드홈(120)을 따라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복수의 상기 파이프(100)가 병렬로 배치되어 서로 접하는 파이프(100)와 파이프(100) 사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20)으로 상기 가이드편(12)이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가이드바(1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편(12)이 상기 가이드홈(120)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부(10)가 작업자의 이동과 함께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편(12)이 상기 가이드홈(120)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마킹부(20)는 상기 가이드바(11)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파이프(100)의 표면에 컬러 라인(110)을 마킹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병렬로 배열된 파이프(100)와 파이프(100) 사이의 가이드홈(120)을 따라 이동되면서 파이프의 표면에 강종 식별을 위한 컬러 라인(110)을 길이방향으로 간편하게 마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마킹장치(1)는 상기 파이프(100)의 강종에 따라 강종 식별을 위한 컬러 라인(11)을 길이방향으로 마킹함으로써 상기 파이프(100)의 절단 후에도 별도의 확인작업 없이 상기 파이프(100)의 강종을 식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마킹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마킹장치 10 : 가이드부
11 : 가이드바 12 : 가이드편
13 : 삽입홈 14 : 중공
15 : 체결부재 16 : 가압부재
20 : 마킹부 21 : 저장통
22 : 노즐 23 : 색채물질
27 : 마킹심지 28 : 가이드돌기
30 : 연결바 40 : 연결부
41 : 결합공 42 : 가이드공
100 : 파이프 110 : 컬러 라인
120 : 가이드홈

Claims (8)

  1. 파이프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컬러 라인을 마킹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컬러 라인을 마킹하는 마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는,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서로 접하거나, 인접하는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킹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것에 연동하여 단수 또는 복수의 상기 파이프에 컬러 라인을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하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가이드편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가이드바에 탈착 및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킹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마킹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킹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가이드바를 중심으로 그 가이드바의 일측 또는 양측에 단수 또는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킹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은 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킹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하부가 개구되어 내측으로 단수 또는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바를 중심으로 그 가이드바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고,
    상기 마킹부는 상기 결합공에 인입되어 끼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킹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색채물질이 수용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에 수용되는 색채물질이 배출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와 접촉되어 컬러 라인을 마킹하는 마킹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킹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색채물질이 수용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에 수용되는 색채물질이 배출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와 접촉되어 컬러 라인을 마킹하는 마킹심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공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전면 또는 전,후면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통은,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공과 대응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킹장치.
KR1020120066216A 2012-06-20 2012-06-20 파이프 마킹장치 KR101379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16A KR101379520B1 (ko) 2012-06-20 2012-06-20 파이프 마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16A KR101379520B1 (ko) 2012-06-20 2012-06-20 파이프 마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730A KR20130142730A (ko) 2013-12-30
KR101379520B1 true KR101379520B1 (ko) 2014-03-28

Family

ID=4998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216A KR101379520B1 (ko) 2012-06-20 2012-06-20 파이프 마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7403A (zh) * 2016-12-26 2017-05-24 天津市力拓钢制品有限公司 一种镀锌钢管蓝带标识打包机
CN109940281A (zh) * 2019-04-30 2019-06-28 南京德阳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钢筋标距的激光打标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5224A (en) 1995-08-18 1997-11-11 Binney & Smith Inc. Coloring device
JP2008178936A (ja) 2007-01-24 2008-08-07 San-Ei Faucet Mfg Co Ltd パイプ差し込み長さマーキング用治具
KR20100008026U (ko) * 2009-02-04 2010-08-12 (주)우성기계공업 관 마킹장치
KR100978351B1 (ko) 2009-09-24 2010-08-30 주식회사 충남도시가스 배관표시기호 인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5224A (en) 1995-08-18 1997-11-11 Binney & Smith Inc. Coloring device
JP2008178936A (ja) 2007-01-24 2008-08-07 San-Ei Faucet Mfg Co Ltd パイプ差し込み長さマーキング用治具
KR20100008026U (ko) * 2009-02-04 2010-08-12 (주)우성기계공업 관 마킹장치
KR100978351B1 (ko) 2009-09-24 2010-08-30 주식회사 충남도시가스 배관표시기호 인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730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04394S1 (en) Paint spray gun
US20110311297A1 (en) Tool for marking decorative lines or strips
US8192108B1 (en) Line marking apparatus
KR101379520B1 (ko) 파이프 마킹장치
USD600778S1 (en) Hand-operated spray gun for high pressure washer
US6769182B1 (en) Chisel device
CN205970009U (zh) 一种3d打印机喷嘴快拆装置
USD568153S1 (en) Sprayer head for attachment to a bottle
CA2502950A1 (en) Cutting structure based hydraulics
CN103406241A (zh) 一种打胶枪
USD582226S1 (en) Hand tool with multiple grips
US7770819B2 (en) Line maker
US20150147473A1 (en) Airbrush effect system
JP5214937B2 (ja) エアゾール式ボルトマーキング用具
US20210178416A1 (en) Paint Stream Director for Paint Sprayer
KR20150007776A (ko) 휴대용 페인트 도장용구
USD572760S1 (en) Marker
US9427769B2 (en) Modular wall painting and printing systems and devices
CN209776963U (zh) 一种胶印袋生产用喷码装置
CN209798502U (zh) 一种手推式马路标线机
USD590472S1 (en) Hand-held tool for repairing golf pitch marks
ATE423627T1 (de) Anordnung zum axialen antrieb eines zufuhrschlauchs
CN216500314U (zh) 一种钢管刷色带的装置
USD559313S1 (en) Pen
CN205378740U (zh) 前后两轮行走喷雾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