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247B1 - 입력장치,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247B1
KR101379247B1 KR1020070082363A KR20070082363A KR101379247B1 KR 101379247 B1 KR101379247 B1 KR 101379247B1 KR 1020070082363 A KR1020070082363 A KR 1020070082363A KR 20070082363 A KR20070082363 A KR 20070082363A KR 101379247 B1 KR101379247 B1 KR 101379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key
assigned
keys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865A (ko
Inventor
인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2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247B1/ko
Priority to US12/191,480 priority patent/US20090046067A1/en
Publication of KR20090017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문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자판 배열을 갖는 입력장치,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복수개의 알파벳을 포함하는 기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된 복수개의 기호키와, 상기 기호키에 두 번째 이상으로 할당된 기호를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기호키 중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첫 번째로 할당된 기호를 표시하고, 이어서 상기 선택키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된 기호를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두 번째 이상에 할당된 기호 중에 하나로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선택키를 구비하기 때문에, 알파벳 입력시 키선택 횟수를 줄여 메시지 입력 시간을 줄이고, 알파벳 입력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영문, 알파벳, 사용빈도, 선택키, 메시지

Description

입력장치,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Input device,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inputting mess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문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자판 배열을 갖는 입력장치,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 시장은 소비자의 구매를 자극하는 새로운 기술 및 기능으로 인하여 짧은 기간에 대단히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설치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음성 정보, 문자 정보, 화상 정보,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게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상관없이 아무 때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를 제공한다. 단문메시지 서비스는 저렴한 비용으로 자신의 의사를 상대방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는 무선 호출 서비스이다. 또한 최근에는 문자 뿐만 아니라 음성, 음악, 정지 영상, 동영상 등 다양한 양식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제공되는 키의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하나의 키에 복수의 문자가 할당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3의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120)의 경우, 하나의 키(121)에 복수의 알파벳이 알파벳 순서에 따라 각각 할당된다. 이때 알파벳은 12개의 키 중에서 1행 내지 3행(R1, R2, R3)의 9개의 키(121)들에 할당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입력장치(120)는 알파벳이 단순히 알파벳 순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장치(120)를 통하여 영문을 효율적으로 입력하는 데 한계가 있다. 즉 동일 키(121)에 할당된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최대 3번을 연속해서 눌러야 한다. 또한 동일 키(121)에 할당된 알파벳을 연속으로 입력할 경우, 연속한 알파벳 중 앞 알파벳을 입력한 후 일정 시간을 기다리거나 방향키를 누른 후 그 다음 알파벳을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메시지를 입력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예컨대 도 1의 경우 9개의 키(121)에 알파벳 전체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키(121)로 하나의 알파벳을 입력한 후 다시 그 특정 키로 하나의 알파벳을 또 입력할 확률이 1/9(약 11%)로 높다. 특히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알파벳 중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알파벳이 뒤에 배치될 경우, 키(121)의 선택 횟수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알파벳 배열을 갖는 입력장치(120)는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해서 여러번의 반복적인 키입력을 수반하기 때문에, 영문의 메시지를 입력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메시지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키에 할당된 기호를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알파벳 입력시 키 선택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각각 복수개의 기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되는 복수개의 기호키와, 상기 기호키들에 두 번째 이상으로 할당된 기호를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키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개의 알파벳을 포함하는 기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된 복수개의 기호키 중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첫 번째로 할당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과정과, 선택키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된 기호를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두 번째 이상에 할당된 기호 중에 하나로 변경하는 기호 변경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입력장치, 표시장치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장치는 복수개의 알파벳을 포함하는 기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된 복수개의 기호키와, 상기 기호키에 두 번째 이상으로 할당된 기호를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키를 갖는다. 상기 입력장치의 선택된 키에 따른 기호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기호키 중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첫 번째로 할당된 기호를 표시하고, 이어서 상기 선택키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된 기호를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두 번째 이상에 할당된 기호 중에 하나로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두 번째 및 세 번째에 배열된 알파벳을 포함한 기호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키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는 모든 알파벳을 최대 2회의 키 선택으로 입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알파벳이 사용 빈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호키에 할당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키선택 횟수를 최소화하면서 알파벳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종래기술에 따른 입력장치에 비해서 약 40% 정도의 문자 입력 효율이 향상됨을 모의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알파벳의 사용 빈도에 따라 알파벳을 할당할 때 알파벳 순으로 배열할 경우, 기존 알파벳 배열의 입력장치에 익숙한 사용자들도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에 거부감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m개의 행과 n개의 열로 배열된 키들을 m×n(m,n은 2이상의 자연수)과 같은 행렬로 표현한다. 그리고 행은 Ri로 표시하고, 열은 Cj로 표시하고, 각각의 키는 i행j렬 또는 aij로 표시한다(i,j는 1 내지 6의 자연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11), 입력장치(13), 저장장치(15), 무선통신장치(17) 및 표시장치(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로서,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이동방송 수신기 등이 있다.
제어장치(11)는 휴대 단말기(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제어장치(11)는 메시지 입력 모드의 수행을 제어한다.
입력장치(13)는 휴대 단말기(1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12, 14)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장치(11)에 전달한다. 입력장치(13)는 m×n(m,n은 2이상의 자연수)으로 배열된 기호키(12)와 선택키(14)를 구비한다. 그 외 입력장치(13)는 방향키, 볼륨키 등과 같은 기능키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입력장치(13)로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호키(12)는 알파벳과 특수문자와 같은 기호가 할당되는 키로서, 복수의 기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알파벳은 "A 내지 Z"이며, 특수문자는 ".", ",", "?"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호키(12)에 두 개 또는 세 개의 기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된 예를 개시하였다. 한편 기호키(12)에는 기호로서 알파벳 및 특수문자가 할당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그 외 숫자, 국문자 또는 다른 문자도 할당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기호의 선택을 통하여 알파벳을 포함하는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키(14)는 기호키(12)에 두 번째 이상으로 할당된 기호를 선택할 때 사용되는 키이다. 선택키(14)는 기호키(12)에 두 번째로 할당된 기호를 선택하는 제 1 선택키(16)와, 기호키(12)에 세 번째로 할당된 기호를 선택하는 제 2 선택키(18)를 포함한다.
저장장치(15)는 휴대 단말기(1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특히 저장장치(15)는 메시지 입력 모드의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무선통신장치(17)는 단말기 간의 소통을 통하여 무선통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장치(17)는 제어장치(11)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 신호를 변조하고 주파수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에서 메시지 신호를 분리하여 주파수 변환하고 제어장치(11)로 전송한다.
그리고 표시장치(19)는 휴대 단말기(1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저장 장치(15)에 저장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표시장치(19)는 메시지 입력 모드의 실행에 필요한 메시지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장치(19)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표시수단과 입력수단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특히 메시지 입력 모드에서 기호키(12) 중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장치(11)는 선택된 기호키(12)에 첫 번째로 할당된 기호를 표시장치(19)에 표시한다. 이어서 선택키(14)가 선택되면, 제어장치(11)는 표시된 기호를 선택된 기호키(12)에 두 번째 이상으로 할당된 기호 중에 하나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 1 선택키(16)가 선택되면, 제어장치(11)는 표시된 기호를 선택된 기호키(12)에 두 번째로 할당된 기호로 변경한다. 제 2 선택키(18)가 선택되면, 제어장치(11)는 표시된 기호를 선택된 기호키(12)에 세 번째로 할당된 기호로 변경한다.
한편 입력장치(12)가 10개의 기호키(12)와 2개의 선택키(14)를 포함하는 경우 m×n으로 배열할 수 있는 경우는 4×3(도 3), 3×4(도 4), 2×6(도 5) 및 6×2(도 6)이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6에 있어서, 제 1 선택키(25, 35, 45, 55)에는 "<2nd>"가 표시되고, 제 2 선택키(27, 37, 47, 57)는 "<3rd>"가 표시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다른 문양이 표시될 수도 있고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4×3의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1 내지 a33 및 a42"를 기호키(21)로 사용하고, "a41 및 a43"을 선택키(23)로 사용한다. 이때 기호키(21)에는 각각 복수개의 기호(29)가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또한 "a11 내지 a33 및 a42"에는 각각 "1 내지 9 및 0"의 숫자가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a41을 제 1 선택키(25)로 사용하고, a43을 제 2 선택키(27)로 사용한다. 제 1 선택키(25)는 "*"와 "<2nd>"가 표시되고, 제 2 선택키(27)에는 "#"와 "<3rd>"가 표시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입력장치(20)는 a41을 제 1 선택키(25)로 사용하고, a43을 제 2 선택키(27)로 사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반대로 a41을 제 2 선택키로 사용하고, a43을 제 1 선택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키(23)의 위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3×4의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4 및 a34"를 선택키(33)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기호키(31)로 사용한다. 이때 기호키(31)에는 복수개의 기호(39)가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a11 내지 a33 및 a24"에는 각각 "1 내지 9 및 0"의 숫자가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a14를 제 2 선택키(37)로 사용하고, a34를 제 1 선택키(35)로 사용한다. 제 1 선택키(35)는 "*"와 "<2nd>"가 표시되고, 제 2 선택키(37)에는 "#"와 "<3rd>"가 표시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입력장치(30)는 a14를 제 2 선택키(37)로 사용하고, a34를 제 1 선택키(35)로 사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반대로 a14를 제 1 선택키로 사 용하고, a34를 제 2 선택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키(33)의 위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31을 제 1 선택키(35)로 사용하고, a34를 제 2 선택키(37)로 사용할 수 있다.
2×6의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21 및 a26"을 선택키(43)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기호키(41)로 사용한다. 이때 기호키(41)에는 각각 복수개의 기호(49)가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a11 내지 a16"에는 각각 "1 내지 6"이 순차적으로 할당되고, "a22 내지 a25"에는 각각 "7 내지 9 및 0"이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a21을 제 1 선택키(45)로 사용하고, a26을 제 2 선택키(47)로 사용한다. 제 1 선택키(45)는 "*"와 "<2nd>"가 표시되고, 제 2 선택키(47)에는 "#"와 "<3rd>"가 표시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입력장치(40)는 a21을 제 1 선택키(45)로 사용하고, a26을 제 2 선택키(47)로 사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반대로 a21을 제 2 선택키로 사용하고, a26을 제 1 선택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키(43)의 위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6×2의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61 및 a62"를 선택키(53)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기호키(51)로 사용한다. 이때 기호 키(51)에는 각각 복수개의 기호(59)가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a11 내지 a52"에는 각각 "1 내지 9 및 0"이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a61을 제 1 선택키(55)로 사용하고, a62를 제 2 선택키(57)로 사용한다. 제 1 선택키(55)는 "*"와 "<2nd>"가 표시되고, 제 2 선택키(57)에는 "#"와 "<3rd>"가 표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a61을 제 1 선택키(55)로 사용하고, a62를 제 2 선택키(57)로 사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반대로 a61을 제 2 선택키로 사용하고, a62를 제 1 선택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키(53)의 위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2개의 키를 갖는 입력장치(10, 30, 40, 50)에 있어서, 10개의 키를 기호키(21, 31, 41, 51)로 사용하고 각각의 기호키(21, 31, 41, 51)에 최대 3개의 기호(29, 39, 49, 59)를 순차적으로 할당하는 경우, 30개의 기호(29, 39, 49, 59)를 할당할 수 있다. 기호키(21, 31, 41, 51)에 할당되는 기호(29, 39, 49, 59)는 알파벳 26개와, 특수문자를 최대 4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10개의 기호키(21, 31, 41, 51)에 복수개의 알파벳을 할당할 때 다음과 같은 요소를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할당할 수 있다. 이때 반영 요소로는 랜덤, 알파벳 순, 알파벳 사용빈도, 손의 입력성 등을 포함한다. 즉 "랜덤"은 기호키(21, 31, 41, 51)에 복수개의 알파벳을 랜덤하게 할당하는 방법이다. "알파벳 순"은 기호키(21, 31, 41, 51)에 복수개의 알파벳을 알파벳 순으로 할당하는 방법이다. "알 파벳 사용빈도"는 기호키(21, 31, 41, 51)에 복수개의 알파벳을 알파벳의 사용빈도에 따라 할당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손의 입력성"은 한 손 또는 양 손으로 쉽게 기호키(21, 31, 41, 51)와 선택키(23, 33, 43, 53)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호를 할당하는 방법이다. 예컨대 손의 입력성은 한 손으로 기호키(21, 31, 41, 51)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호키(21, 31, 41, 51)의 2번째 이상의 기호를 선택하는 선택키(23, 33, 43, 53)를 다른 손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알파벳을 할당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먼저 종래와 같이 선택키를 갖지 않고 랜덤하게 알파벳이 할당된 입력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선택키를 갖고 있으며 알파벳이 랜덤하게 할당된 입력장치의 영문 입력시의 키의 선택횟수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특정키에 3개의 기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된 경우,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할당된 기호를 선택할 확률은 각각
Figure 112007059207330-pat00001
이다.
이때 종래의 경우, 첫 번째 할당된 기호를 입력하는 경우 1번의 키선택, 두 번째 할당된 기호를 입력하는 경우 2번의 키선택, 세 번째 할당된 기호를 입력하는 경우 3번의 키선택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입력장치의 경우, 수학식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산술적으로 2번의 키선택이 필요하다.
Figure 112007059207330-pat00002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 첫 번째 할당된 기호를 입력하는 경우 1번의 키선택, 두 번째 및 세 번째에 할당된 기호를 입력하는 경우 각각 2번의 키선택이 필요 하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두 번째 및 세 번째 할당된 기호의 입력은 기호키와 선택키의 선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력장치의 경우, 수학식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산술적으로 1.67번의 키선택이 필요하다.
Figure 112007059207330-pat00003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랜덤하게 알파벳을 기호키에 할당하더라도 기존에 비해서 키선택 횟수가 줄어드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가 선택키의 채택에 기인한다.
또한 10개의 기호키에 복수개의 알파벳을 할당할 때 알파벳 사용빈도 및 손의 입력성을 고려하면, 종래에 비해서 키선택 횟수가 더욱 줄어들 수 있음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특히 알파벳 사용빈도에 따라 알파벳을 할당할 때,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10개의 알파벳을 하나씩 기호키에 첫 번째로 할당한다. 그리고 나머지 알파벳들은 기호키에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로 할당한다.
여기서 알파벳의 사용빈도는 문학, 종교, 정치, 사회, 과학 등과 같은 사용 분야에 따라 조금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the English Language- David Crystal(1995)"에 따르면, 누적글자수에 따른 알파벳의 사용빈도를 1순위부터 나열하면, "E, A, T, I, N, O, R, S, L, H, D, C, M, U, F, P, G, B, Y, W, V, K, X, J, Z, Q"이다. 하지만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 분야 에 따라 조금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문학 분야의 경우 1순위 내지 5순위는 "e, a, i, t, n"이고, 종교 분야의 경우 1순위 내지 5순위는 "e, t, i, a, n"이고, 정치분야의 경우 1순위 내지 5순위는 "e, t, i, a, n"이다. 또한 "Concise Oxford Dictionary (9th edition, 1995), http://www.askoxford.com/asktheexperts/faq/aboutwords/frequency"에 따르면, 알파벳의 사용빈도는 "E, A, R, I, O, T, N, S, L, C, U, D, P, M, H, G, B, F, Y, W, K, V, X, Z, J, Q" 순이다.
이와 같이 알파벳의 사용빈도는 이를 발표한 기관이나 사용 분야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the English Language- David Crystal(1995)"에 개시된 알파벳의 사용빈도를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a, 20b, 30a, 30b, 40, 50)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4×3의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20a, 20b)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입력장치(20a)는 알파벳이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21)에 할당된다. 즉, a11에는 ".", "Q", "Z"이 순차적으로 할당되고, a12 내지 a33에는 나머지 알파벳이 알파벳 순으로 3개씩 할당된다. 이때 제 1 선택키(25)는 a41에 배치되고, 제 2 선택키(27)는 a43에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장치(20b)는 알파벳 사용빈도, 손의 입력성 및 알파벳 순을 모두 고려해서 기호키(21)에 알파벳이 할당된 예를 개시하고 있다.
알파벳 중 제 1 사용빈도 알파벳 10개(E, A, T, I, N, O, R, S, L, H)는 기호키(21)에 하나씩 첫 번째에 할당된다. 제 1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21)에 할당될 수 있다. 즉 기호키(21)에 할당된 숫자에 대응되는 순번에 대응되게 제 1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21)에 할당된다. 예컨대, 제 1 사용빈도 알파벳 10개는 "a11 내지 a33 및 a42"에 각각 "A, E, H, I, L, N, O, R, S, T"순으로 할당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사용빈도 알파벳 10개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21)에 할당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랜덤하게 할당할 수도 있고, 사용빈도 순위에 따라 할당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머지 알파벳은 기호키(21)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에 할당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알파벳 중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6개(D, C, M, U, F, P)는 1렬(C1)의 기호키(21)와 3렬(C3)의 기호키(21)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중에 하나에 각각 3개씩 할당된다. 이때 제 1 선택키(25)가 a41에 배치되고, 제 2 선택키(27)가 a43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중 3개는 1렬(C1)의 기호키(21)의 세 번째에 할당되고,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중 나머지 3개는 3렬(C3)의 기호키(21)의 두 번째에 할당 될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21)에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C, F, P"순으로 1렬(C1)의 기호키(21)의 세 번째에 할당되고, "D, M, U"순으로 3렬(C3)의 기호키(21)의 두 번째에 할당된다.
한편으로 제 1 선택키가 a43에 위치하고, 제 2 선택키가 a41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중 3개는 1렬의 기호키의 두 번째에 할당되고,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중 나머지 3개는 3렬의 기호키의 세 번째에 할당될 수 있다.
알파벳 중 제 3 사용빈도 알파벳 6개(G, B, Y, W, V, K)는 2렬(C2)의 기호키(21)의 두 번째 및 세 번째에 할당된다. 이때 제 3 사용빈도 알파벳은 3개씩 2렬(C2)의 기호키(21)의 두 번째 및 세 번째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 3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2렬(C2)의 기호키(21)에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B, K, W"순으로 "a12, a22, a32"에 할당되고, "G, V, Y"순으로 "a12, a22, a32"에 할당된다.
알파벳 중 나머지 제 4 사용빈도 알파벳 4개는 제 2 사용빈도 알파벳이 할당된 1렬(C2) 및 3렬(C2)의 기호키(21)의 남아 있는 순번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 4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21)에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J, X"순으로 a11, a21의 두 번째에 할당되고, "Q, Z"순으로 a13, a23의 세 번째에 할당된다.
그리고 특수문자는 알파벳이 할당되고 남은 기호키(21)의 순번에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은 a13의 두 번째에 할당되고, "?"는 a42의 두 번째에 할당되고, ","는 a33의 세 번째에 할당된다.
여기서 알파벳에서 제 1 내지 제 4 사용빈도 알파벳의 구분은 알파벳 사용빈도의 순위에서 필요한 알파벳 수만큼 나눈 것으로, 입력장치의 키배열에 따라 다르게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8의 알파벳 배열을 갖는 입력장치(20b)와 도 1의 입력장치(120)의 영문 입력시의 키의 선택횟수를 모의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면, 도 9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본 모의 실험에서는 자료1 내지 자료7로 영문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모의 실험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따른 입력장치(120)의 경우, 임의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약 2번의 키선택이 필요했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b)의 경우, 임의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1.2번의 키선택이 필요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b)가 종래기술에 따른 입력장치(120)에 비해서 약 40% 정도의 입력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자료1 내지 자료7은 미국의 시트콤에서부터 뉴스 기사, 의학, 역사, 문학, 유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임의로 선택한 자료들로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을 자료의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① 자료1: Friends Season 1 전체 대본 (257,089 문자)
② 자료2: CNN news articles 무작위 발췌 (129,731 문자)
③ 자료3: Manual of Surgery by Alexander Miles and Alexis Thomson (977,114 문자)
④ 자료4: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by Charles A. Beard and Mary R. Beard (1,025,076 문자)
⑤ 자료5: Fifteen Thousand Useful Phrases by Greenville Kleiser (438,257 문자)
⑥ 자료6: Jokes for All Occasions Selected and Edited by One of America's Foremost Public Speakers(316,603 문자)
⑦ 자료7: Pride and Prejudice by Jane Austen (547,495 문자)
구체적으로, 도 8의 입력장치(20b)와 도 1의 입력장치(120)의 영문 입력시의 키의 선택횟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입력할 영문은 "access"이다. 아래에서 "숫자"는 기호키에 표시된 숫자를 나타내고, ">"는 오른쪽 방향키를 나타낸다.
도 1의 입력장치(120)의 경우, "2>222>22233777>777"로 총 18회의 키입력이 필요하다. 반면에 도 8의 입력장치(20b)의 경우, "11#1#299"로 총 8회의 키입력이 필요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b)가 기존의 입력장치(120)에 비해서 키선택 횟수가 줄어드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3×4의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30a, 30b)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입력장치(30a)는 알파벳 사용빈도, 손의 입력성 및 알파벳 순을 모두 고려해서 알파벳이 기호키(31)에 할당된 예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입력장치(30a)에 할당된 기호를 살펴보면, 4렬(C4)의 키(31, 33)에 도 8의 입력장치(20b)의 4행(R4)의 키(21, 23)가 이동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1렬 내지 3렬(C1, C2, C3)의 기호키(31)는 도 8의 입력장치(20b)의 1렬 내지 3렬(C1, C2, C3)의 기호키(21)와 동일하게 기호가 할당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30a)는 오른쪽에 제 1 및 제 2 선택키(35, 37)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오른손으로 제 1 및 제 2 선택키(35, 37)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4렬(C4)에 선택키(33)가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행(R3)의 양쪽 끝에 선택키(33)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입력장치(30b)는 a31 및 a34를 선택키(33)로 사용하고, 나머지 키를 기호키(31)로 사용한다. 이때 기호키(31)에는 복수개의 기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a11 내지 a24, a32 및 a33"에는 각각 "1 내지 9 및 0"의 숫자가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a31을 제 1 선택키(35)로 사용하고, a34를 제 2 선택키(37)로 사용한다.
특히 기호키(31)에는 알파벳 사용빈도, 손의 입력성 및 알파벳 순을 모두 고려해서 복수의 기호가 순차적으로 다음과 같이 할당될 수 있다.
알파벳 중 제 1 사용빈도 알파벳 10개(E, A, T, I, N, O, R, S, L, H)는 기 호키들(31)에 하나씩 첫 번째에 할당된다. 제 1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31)에 할당될 수 있다. 즉 기호키(31)에 할당된 숫자에 대응되는 순번에 대응되게 제 1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31)에 할당된다. 예컨대, "A, E, H, I, L, N, O, R, S, T"순으로 "a11 내지 a24, a32 및 a33"에 각각 하나씩 할당된다.
알파벳 중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10개(D, C, M, U, F, P, G, B, Y, W)는 1렬(C1)과 2렬(C2)의 기호키(31)에 5개, 3렬(C3)과 4렬(C4)의 기호키(31)에 5개씩 할당된다. 이때 제 1 선택키(35)가 a31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5개는 3렬(C3)과 4렬(C4)의 기호키(31)의 두 번째에 할당된다. 제 2 선택키(37)가 a34에 위치하기 때문에, 나머지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5개는 1렬(C1)과 2렬(C2)의 기호키(31)의 세 번째에 할당된다. 또한 제 2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31)에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B, G"는 1렬(C1)의 기호키(31)의 세 번째에 순차적으로 할당되고, "C, M, W"는 2렬(C2)의 기호키(31)의 세 번째에 순차적으로 할당되고, "D, P, Y"는 3렬(C3)의 기호키(31)의 두 번째에 순차적으로 할당되고, "F, U"는 4렬(C4)의 기호키(31)의 두 번째에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한편으로 제 1 선택키가 a34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5개는 1렬과 2렬의 기호키의 두 번째에 할당될 수 있다. 제 2 선택키가 a31에 위치하는 경 우, 나머지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5개는 3렬 및 4렬의 기호키의 세 번째에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남은 제 3 사용빈도 알파벳 6개(V, K, X, J, Z, Q)는 기호키(31)의 비어 있는 순번에 할당된다. 이때 제 3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31)에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J, K"는 a11 및 a12에 비어있는 두 번째에 할당되고, ""Q, V"는 a13 및 a14에 비어있는 세 번째에 할당되고, "X, Z"는 a21 및 a22에 비어있는 두 번째에 할당된다.
그리고 특수문자는 알파벳이 할당되고 남은 기호키(31)의 순번에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은 a32의 두 번째에 할당되고, "?"는 a33의 세 번째에 할당되고, ","는 a23의 두 번째에 할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2×6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4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이 알파벳 사용빈도, 손의 입력성 및 알파벳 순을 고려하여 기호키(41)에 할당되어 있다.
알파벳 중 제 1 사용빈도 알파벳 10개(E, A, T, I, N, O, R, S, L, H)는 기호키들(41)에 하나씩 첫 번째에 할당된다. 제 1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41)에 할당된다. 즉 기호키(41)에 할당된 숫자에 대응되는 순번에 대응되게 제 1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41)에 할당된다. 예컨대, "A, E, H, I, L, N, O, R, S, T"순으로 "a11 내지 a16, a22 내지 a25"에 하나씩 할당 된다.
알파벳 중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10개(D, C, M, U, F, P, G, B, Y, W)는 1렬 내지 3렬(C1, C2, C3)의 기호키(41)와, 4렬 내지 6렬(C4, C5, C6)의 기호키(41)에 5개씩 할당된다. 이때 제 1 선택키(45)가 a21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5개는 4렬 내지 6렬(C4, C5, C6)의 기호키(41)의 두 번째에 할당된다. 제 2 선택키(47)는 a26에 위치하기 때문에, 1렬 내지 3렬(C1, C2, C3)의 기호키(41)의 세 번째에 할당된다. 또한 제 2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41)에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B, C, D, P, U" 순으로 "a11, a12, a13, a22, a23"에 하나씩 할당된다. "F, G, M, W, Y" 순으로 "a14, a15, a16, a24, a25"에 하나씩 할당된다.
한편으로 제 1 선택키가 a26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5개는 1렬 내지 3렬의 기호키의 두 번째에 할당될 수 있다. 제 2 선택키가 a21에 위치하는 경우, 나머지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5개는 4렬 내지 6렬의 기호키의 세 번째에 할당될 수 있다.
남은 제 3 사용빈도 알파벳 6개(V, K, X, J, Z, Q)는 기호키(41)의 비어 있는 순번에 할당된다. 이때 제 3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41)에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J, K, Q, V, X, Z"순으로 "a11 내지 a16"에 하나씩 할당된다.
그리고 특수문자는 알파벳이 할당되고 남은 기호키(41)의 순번에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은 a22의 두 번째에 할당되고, ","는 a23의 두 번째에 할당되고, "?"는 a25의 두 번째에 할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6×2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이 알파벳 사용빈도, 손의 입력성 및 알파벳 순을 고려하여 기호키(51)에 할당되어 있다.
알파벳 중 제 1 사용빈도 알파벳 10개(E, A, T, I, N, O, R, S, L, H)는 기호키들(51)에 하나씩 첫 번째에 할당되며, 도 12의 할당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할당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알파벳 중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10개(D, C, M, U, F, P, G, B, Y, W)는 1렬(C1)과 2렬(C2)의 기호키(51)에 5개씩 할당된다. 이때 제 1 선택키(55)가 a61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5개는 2렬(C2)의 기호키(51)의 두 번째에 할당된다. 제 2 선택키(57)는 a62에 위치하기 때문에, 1렬(C1)의 기호키(51)의 세 번째에 할당된다. 또한 제 2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51)에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B, D, G, P, W" 순으로 "a11, a21, a31, a41, a51"에 하나씩 할당된다. "C, F, M, U, Y" 순으로 "a12, a22, a32, a42, a52"에 하나씩 할당된다.
한편으로 제 1 선택키가 a62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5개는 1렬의 기호키의 두 번째에 할당될 수 있다. 제 2 선택키가 a61에 위치하는 경우, 나머지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5개는 2렬의 기호키의 세 번째에 할당될 수 있다.
남은 제 3 사용빈도 알파벳 6개(V, K, X, J, Z, Q)는 기호키(51)의 비어 있는 순번에 할당된다. 이때 제 3 사용빈도 알파벳은 알파벳 순으로 기호키(51)에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J, K, Q, V, X, Z"순으로 "a11 내지 a32"에 하나씩 할당된다.
그리고 특수문자는 알파벳이 할당되고 남은 기호키(51)의 순번에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은 a41의 두 번째에 할당되고, ","는 a42의 세 번째에 할당되고, 특수문자 "?"는 a51의 두 번째에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입력장치(13)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에 대해서 도 1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라 메시지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S71), 제어장치(11)는 메시지 입력 모드를 실행하여 표시장치(19)에 메시지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S73). 그리고 사용자는 키선택을 통하여 메시지 입력에 필요한 입력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S75). 여기서 선택할 수 있는 입력 기호는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문을 입력하기 위해서 입력 기호로 알파벳이 선택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키입력을 통하여, 입력장치(13)의 복수의 기호키(12)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S77), 선택된 기호키(12)에 첫 번째에 할당된 알파벳이 표시된다(S79).
이어서 제어장치(11)는 기호키(12) 또는 선택키(14)의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S81). S81과정의 판단 결과 키선택이 발생되면, 제어장치(11)는 선택된 키의 종류를 판단한다(S83). 이때 선택된 키는 기호키(12), 제 1 선택키(16) 또는 제 2 선택키(18) 중에 어느 하나이다.
먼저 S83과정의 판단 결과 제 1 선택키(16)가 선택된 경우, 제어장치(11)는 S79과정에서 표시된 알파벳을 S77과정에서 선택된 기호키(12)의 두 번째 알파벳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S85).
S83과정의 판단 결과 제 2 선택키(18)가 선택된 경우, 제어장치(11)는 S79과정에서 표시된 알파벳을 S77과정에서 선택된 기호키(12)의 세 번째 알파벳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S87).
그리고 S83과정의 판단 결과 기호키(12)가 선택된 경우, 제어장치(11)는 S79과정에서 표시된 알파벳 옆에 선택된 기호키(12)의 첫 번째 알파벳을 다시 표시한다.
S85과정, S87과정을 수행한 이후에 다시 제어장치(11)는 S81과정을 수행한다. S81과정의 판단 결과 기호키(12) 또는 선택키(14)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장치(11)는 메시지 입력 모드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S89). 제어장치(11)는 메시지 입력 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S79과정 내지 S87과정을 반복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 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10개의 기호키와 2개의 선택키를 포함하는 입력장치를 예시하였지만, 기호키의 수는 10개보다 많을 수도 있고 적을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에 채택될 수 있는 다양한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 도 3의 4×3의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4×3의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8의 입력장치 사이의 문자 입력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4의 3×4의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4의 3×4의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2×6의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6의 6×2의 키배열을 갖는 입력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Claims (32)

  1. 복수의 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각각 복수개의 기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되는 복수개의 기호키들과;
    상기 기호키들에 두 번째 이상으로 할당된 기호를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키를 포함하고,
    상기 기호는 알파벳을 포함하고,
    상기 기호키들에 할당된 복수개의 알파벳은 사용빈도에 따라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문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키들은,
    상기 기호키에 할당된 두 번째 기호를 선택하는 제 1 선택키와,
    상기 기호키에 할당된 세 번째 기호를 선택하는 제 2 선택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키들과 상기 선택키들은 12개의 키를 포함하며 m×n(m,n은 2이상의 자연수)의 키배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 력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알파벳 중 제 1 사용빈도 알파벳 10개는 상기 기호키들에 하나씩 첫 번째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빈도 알파벳은 랜덤, 사용빈도 순서 또는 알파벳 순서 중 하나로 상기 기호키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키들과 상기 선택키들이 4×3의 키배열을 가지며, 상기 선택키들은 4행1렬의 키와 4행3렬의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키들과 상기 선택키들은 3×4의 키배열을 가지며, 상기 선택키들은 1행4렬의 키와 3행4렬의 키이거나, 3행1렬의 키와 3행4렬의 키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키들과 상기 선택키들은 2×6의 키배열을 가지며, 상기 선택키들은 2행1렬의 키와 2행 6렬의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키들과 상기 선택키들은 6×2의 키배열을 가지며, 상기 선택키들은 6행1렬의 키와 6행2렬의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알파벳 중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6개는 1렬의 키 및 3렬의 키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중에 하나에 각각 3개씩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키가 4행1렬의 키이고, 상기 제 2 선택키가 4행3렬의 키인 경우,
    상기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중 3개는 상기 1렬의 키의 세 번째에 할당되고, 상기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중 나머지 3개는 상기 3 렬 키의 두 번째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키가 4행3렬의 키이고, 상기 제 2 선택키가 4행1렬의 키인 경우,
    상기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중 3개는 상기 1렬 키의 두 번째에 할당되고, 상기 제 2 사용빈도 알파벳 중 나머지 3개는 상기 3 렬 키의 세 번째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알파벳 중 제 3 사용빈도 알파벳 6개는 2렬의 키들의 두 번째 및 세 번째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알파벳 중 제 4 사용빈도 알파벳 4개는 상기 제 2 사용빈도 알파벳이 할당된 1렬 및 3렬의 키의 남아 있는 순서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빈도 알파벳은 A,E,H,I,L,N,O,R,S,T이고,
    상기 제 2 사용빈도 알파벳은 C,D,F,M,P,U이고,
    상기 제 3 사용빈도 알파벳은 B,G,K,V,W,Y이고,
    상기 제 4 사용빈도 알파벳은 J,Q,X,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문자를 포함하고,
    상기 특수문자는 ".", ",", "?"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20.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5항 및 제 7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21. 제 16항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알파벳 중 제 4 사용빈도 알파벳 4개는 상기 제 2 사용빈도 알파벳이 할당된 1렬 및 3렬의 키의 남아 있는 순서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빈도 알파벳은 A,E,H,I,L,N,O,R,S,T이고,
    상기 제 2 사용빈도 알파벳은 C,D,F,M,P,U이고,
    상기 제 3 사용빈도 알파벳은 B,G,K,V,W,Y이고,
    상기 제 4 사용빈도 알파벳은 J,Q,X,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문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수문자는 ".", ",", "?"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25. 복수개의 알파벳을 포함하는 기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된 복수개의 기호키들 중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첫 번째로 할당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과정과;
    선택키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된 기호를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두 번째 이상에 할당된 기호 중에 하나로 변경하는 기호 변경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호키들에 할당된 복수개의 알파벳은 사용빈도에 따라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키는,
    상기 기호키에 할당된 두 번째 기호를 선택하는 제 1 선택키와,
    상기 기호키에 할당된 세 번째 기호를 선택하는 제 2 선택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변경 과정은,
    상기 제 1 선택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두 번째로 할당된 기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
  28.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변경 과정은,
    상기 제 2 선택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세 번째로 할당된 기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 법.
  29. 복수개의 알파벳을 포함하는 기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된 복수개의 기호키들과, 상기 기호키들에 두 번째 이상으로 할당된 기호를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키를 갖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의 선택된 키에 따른 기호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복수개의 기호키들 중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첫 번째로 할당된 기호를 표시하고,
    이어서 상기 선택키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된 기호를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두 번째 이상에 할당된 기호 중에 하나로 변경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호키들에 할당된 복수개의 알파벳은 사용빈도에 따라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키는,
    상기 기호키에 할당된 두 번째 기호를 선택하는 제 1 선택키와,
    상기 기호키에 할당된 세 번째 기호를 선택하는 제 2 선택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선택키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된 기호를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두 번째로 할당된 기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2. 제 30항 또는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2 선택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호키에 세 번째로 할당된 기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082363A 2007-08-16 2007-08-16 입력장치,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입력 방법 KR101379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363A KR101379247B1 (ko) 2007-08-16 2007-08-16 입력장치,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입력 방법
US12/191,480 US20090046067A1 (en) 2007-08-16 2008-08-14 Input unit,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inputting messag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363A KR101379247B1 (ko) 2007-08-16 2007-08-16 입력장치,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865A KR20090017865A (ko) 2009-02-19
KR101379247B1 true KR101379247B1 (ko) 2014-04-10

Family

ID=4036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363A KR101379247B1 (ko) 2007-08-16 2007-08-16 입력장치,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입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46067A1 (ko)
KR (1) KR101379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139B1 (ko) * 2009-07-23 2011-08-25 윤기섭 이동통신단말기의 영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37297A (ko) * 2009-10-06 2011-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066A (ko) * 2000-05-25 2001-12-07 김연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KR20040086905A (ko) * 2003-04-03 2004-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키입력 장치에서 알파벳을 배열하는 방법
KR20060100553A (ko) * 2005-03-17 2006-09-21 주식회사 팬택 양손 입력용 키패드
JP2007133884A (ja) 1997-01-24 2007-05-31 Tegic Commun Inc 減少型キーボード曖昧さ除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008A (en) * 1988-12-15 1991-04-09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key action
US5128672A (en) * 1990-10-30 1992-07-07 Apple Computer, Inc. Dynamic predictive keyboard
US6016142A (en) * 1998-02-09 2000-01-18 Trimble Navigation Limited Rich character set entry from a small numeric keypad
US6731227B2 (en) * 2000-06-06 2004-05-04 Kenichi Horie Qwerty type ten-key board based character input device
US7081837B2 (en) * 2003-04-24 2006-07-25 Taylor Bollman Compressed standardized keyboard
KR100557139B1 (ko) * 2004-06-19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키보드의 키 배열
US7454237B1 (en) * 2004-10-25 2008-11-18 Sprint Spectrum L.P. Pressure sensitive alphanumeric telephone keys
US20070281675A1 (en) * 2006-05-31 2007-12-06 Velimir Pletikosa Pivoting, Multi-Configuration Mobile Device
US7737999B2 (en) * 2005-08-26 2010-06-15 Veveo, Inc. User interface for visual cooperation between text input and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3884A (ja) 1997-01-24 2007-05-31 Tegic Commun Inc 減少型キーボード曖昧さ除去システム
KR20010107066A (ko) * 2000-05-25 2001-12-07 김연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KR20040086905A (ko) * 2003-04-03 2004-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키입력 장치에서 알파벳을 배열하는 방법
KR20060100553A (ko) * 2005-03-17 2006-09-21 주식회사 팬택 양손 입력용 키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46067A1 (en) 2009-02-19
KR20090017865A (ko)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8249B2 (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navigation key-based predictive text entry
US20110035696A1 (en) Character input system for limited keyboards
US91105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input
US20110296347A1 (en) Text entry techniques
EP1637978A2 (en) Method and device for key input in mobile terminal
CN101542418A (zh) 输入装置
KR101379247B1 (ko) 입력장치,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입력 방법
US20050251745A1 (en) Input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06055251A (zh) 一种虚拟键盘及终端
WO2011063555A1 (zh) 通过方向键进行字符输入的方法和装置
KR101077926B1 (ko) 휴대단말기의 아랍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US200902012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ing a keypad
US7119719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text entry on an alphanumeric keypad
KR100580146B1 (ko)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0906777B1 (ko) 영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CN101297492A (zh) 用于在具有输入词语的按钮的电子设备中输入词语的方法
CN1795661A (zh) 利用小型键盘输入字母的设备和方法
CN101387918A (zh) 连字键盘
CN101388976A (zh) 实现在电视机上输入文字的方法
KR20090056363A (ko) 단축키가 구비된 휴대폰 키패드와 이를 이용한 영문자 입력방법
CN101625600A (zh) 小键盘上文字输入的方法
KR100456617B1 (ko)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 시스템및 입력 방법
US20070222646A1 (en) Input method of electronic devices with a compact keypad
KR20030058884A (ko)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 시스템
KR100714067B1 (ko) 모바일기기의 한글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