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403B1 -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제공 방법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제공 방법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403B1
KR101378403B1 KR1020080126346A KR20080126346A KR101378403B1 KR 101378403 B1 KR101378403 B1 KR 101378403B1 KR 1020080126346 A KR1020080126346 A KR 1020080126346A KR 20080126346 A KR20080126346 A KR 20080126346A KR 101378403 B1 KR101378403 B1 KR 101378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ntent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798A (ko
Inventor
이정훈
류정민
김인환
김후종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4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제공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종단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종단 단말기에서 재생 가능한 품질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송 가능한 규격으로 컨텐츠를 변환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관리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며,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종단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종단 단말기 관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종단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관리하는 근거리 통신망 관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종단 단말기 정보 및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종단 단말기에 의해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종단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의 품질을 조절하여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통신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변환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CPNS, 컨텐츠, 변환, 서비스 서버

Description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제공 방법 및 저장 매체{A service server, a method and a storage means for trans-coded contents supply}
본 발명은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제공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종단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종단 단말기에서 재생 가능한 품질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송 가능한 규격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문서,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문서,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은 간략히 '컨텐츠'라 한다)을 재생할 수 있는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와 같은 다양한 종단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단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PC(Personal Computer)로부터 다운받아 재생하는데, 사용자가 이동 중이거나 PC와 연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원하는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단 단말기에 블루투스, UWB(UltraWideBand)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 가능한 통신 수단을 부가하고, 종단 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한편, 종단 단말기는 휴대성 등을 고려하여 컨텐츠 처리 속도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가 컨텐츠를 수신한 뒤, 종단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변환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에 의해, 종단 단말기는 실행 가능하게 변환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게 되지만,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 점유율이 높아 부하가 많이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경량화, 소형화에 따라 컨텐츠의 변환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한다. 더불어, 변환된 컨텐츠의 용량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된 컨텐츠의 용량에 비해 작은 것이 일반적인데, 이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는 불필요한 통신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종단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 등에 맞게 변환된 컨텐츠를 종단 단말기로 제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부하를 줄이고 통신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서비스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와 같은 서비스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변환된 컨텐츠를 종단 단말기에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관리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며,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종단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종단 단말기 관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종단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관리하는 근거리 통신망 관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종단 단말기 정보 및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종단 단말기에 의해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종단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의 품질을 조절하여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통신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변환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텐츠 변환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의 규격을 조절하여 변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와 종단 단말기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변환된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종단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은 종단 단말기에 설치된 표시장치의 해상도, 제어장치의 처리가능 코덱 정보 및 저장장치의 용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메모리 크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속도 및 근거리 통신망과의 통신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 의한 변환 컨텐츠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연결된 종단 단말기의 연결을 승인하고, 종단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및 종단 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망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종단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변환할 것인지 조사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변환 여부의 조사에서, 컨텐츠를 변환할 경우 종단 단말기의 정보에 포함된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의 품질을 조절하여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종단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텐츠를 변환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종단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은 종단 단말기에 설치된 표시장치의 해상도, 제어장치의 처리가능 코덱 정보 및 저장장치의 용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텐츠를 변환하는 단계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의 규격을 조절하여 변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텐츠를 변환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메모리 크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속도 및 근거리 통신망과의 통신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텐츠 변환 여부의 조사에서, 컨텐츠를 변환하지 않을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종단 단말기의 정보에 포함된 하드웨어 사양을 전송하고 변환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변환된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종단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변환을 요청하는 단계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을 더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저장 매체는, 전술한 서비스 서버에 의한 변환 컨텐츠 제공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기록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가 종단 단말기의 실행 가능 품질과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 가능 규격으로 컨텐츠를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단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없거나 통신 속도의 한계로 인해 컨텐츠가 끊어지면서 실행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변환에 의해 컨텐츠의 크기가 감소되어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발명을 실시하는 실시자의 의도 또는 동 기술분야의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1, 도2 및 도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블럭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을 위한 초기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10,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는 간략히 '서비스 서버'라 한다)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된다.
여기서 본 시스템(100)은 효율적 연결 경로 추천을 위해 도4에 도시된 초기 설정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제1단계, 종단 단말기(150)는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비스 서버(110)에 연결된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할 이동통신단말기를 검색한다(S10).
제2단계, 종단 단말기(150)는 제1단계에서 검색된 이동통신단말기(140)로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때, 종단 단말기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계정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한다(S20).
제3단계, 이동통신단말기(140)는 종단 단말기를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종단 단말기(150)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체크한다(S30).
제4단계, 제3단계의 체크 결과, 종단 단말기(150)의 서비스가 가능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40)는 종단 단말기(150)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S40). 한편, 제3단계의 체크 결과, 서비스가 불가능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종단 단말기로 서비스 불가 메시지를 보내고 종료하게 된다.
제5단계, 종단 단말기(150)는 자신의 계정 정보(ID)를 전송한다(S50).
제6단계, 이동통신단말기(140)는 종단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계정 정보의 포맷이 서비스 서버에서 발급한 것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일치하는 경우 종단 단말기(150)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S60, S70).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서비스 불가 메시지를 종단 단말기로 보내고 종료하게 된다.
제7단계, 이동통신단말기(140)는 서비스 서버(110)로 자신과 종단 단말기(150)의 인증 정보 및 계정 정보를 전송한다(S80).
제8단계, 서비스 서버(110)는 계정 정보를 체크하여 서비스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90).
제9단계, 이동통신단말기(140)와 종단 단말기(150) 모두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이를 종단 단말기로 알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S95).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유선 통신망(101) 및/또는 이동통신망(102)을 통해 서비스 서버(110), 어플리케이션 서버(120) 및 과금 서버(130)가 연결된다. 또한 이동통신망(102)을 통해 서비스 서버(110)와 이동통신단말기(140)가 연결된다. 더불어, 근거리 통신망(103)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40)와 종단 단말기(150)가 연결된다. 이때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망(103)은 무선랜, 블루투스, UWB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20) 및/또는 과금 서버(130)는 서비스 서버(110)의 일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는 종단 단말기(150)가 이용하는 서비스, 컨텐츠 등을 저장한다. 경우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는 서비스 서버(11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를 서비스 서버(110)로 전송하거나 컨텐츠를 변환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에서 컨텐츠를 변환할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는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 정보와 종단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원활한 전송과 재생이 가능한 컨텐츠로 변환하게 된다.
과금 서버(130)는 종단 단말기(150)로 컨텐츠가 제공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40)에 대해 과금을 수행한다.
종단 단말기(150)는 이동통신단말기(140)를 통해 서비스 서버(110)에 연결되되 컨텐츠나 서비스의 이용을 서비스 서버(110)에 요청한다. 종단 단말기(150)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컨텐츠를 실행하는 재생부, 컨텐츠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40)는 종단 단말기(150)와 서비스 서버(110)의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통신단말기(140)는 이동통신망(102)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 근거리 통신망(103)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부, 종단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종단 단말기 관리부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10)에서 통신부(111)는 이동통신망(102)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동통신단말기 관리부(112)는 통신부(111)를 통해 수신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를 관리한다.
종단 단말기 관리부(113)는 통신부(111)를 통해 수신되며, 근거리 통신망(103)에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140)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110)에 연결된 종단 단말기 정보를 관리한다.
통신망 관리부(114)는 이동통신단말기(140)와 종단 단말기(15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관리한다.
저장부(116)는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종단 단말기 정보 및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저장한다.
컨텐츠 변환부(117)는 종단 단말기(150)에 의해 요청된 컨텐츠를 종단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의 품질을 조절하여 변환한다. 이에 의해 종단 단말기에서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변환 컨텐츠가 생성된다. 컨텐츠 변환부(117)에서 사용되는 종단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은 종단 단말기에 설치된 표시 장치의 해상도, 제어장치의 처리가능 코덱 정보 및 저장장치의 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텐츠 변환부(117)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의 규격(여기서 '컨텐츠의 규격'은 데이터의 크기, 화면의 크기, 해상도, 품질, 포맷 등의 내용을 포함함에 유의한다)을 조절하여 변환한다. 이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종단 단말기로 끊김없이 전송될 수 있는 변환 컨텐츠가 생성된다. 컨텐츠 변환부(117)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메모리 크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속도 및 근거리 통신망과의 통신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15)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통신부(111)가 이동통신단말기(140)로 변환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15)는 유선 통신망(101)을 통해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와 종단 단말기 정보를 전달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120)가 변환된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140)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3을 참조로 서비스 서버에 의한 변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 의한 변환 컨텐츠 제공 방법(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서비스 서버에 의한 변환 컨텐츠 제공 방법'은 간략히 '컨텐츠 제공 방법'이라 한다)은 제1단계,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연결된 종단 단말기의 연결을 승인하고, 종단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및 종단 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망의 정보를 수신한다(S100).
제2단계, 종단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S110). 요청된 컨텐츠는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일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일 수도 있다. 만약 컨텐츠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저장된 것이라면, 서비스 서버가 필요에 따라 컨텐츠를 다운받을 수도 있다.
제3단계, 컨텐츠를 변환할 것인지 조사한다(S120).
제4단계, 제3단계의 조사에서, 컨텐츠를 변환할 경우 종단 단말기의 정보에 포함된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의 품질을 조절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의 규격을 조절하여 변환한다(S130). 이때 사용되는 종단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은 종단 단말기에 설치된 표시장치의 해상도, 제어장치의 처리가능 코덱 정보 및 저장장치의 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메모리 크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속도 및 근거리 통신망과의 통신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 변환된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종단 단말기로 전송한다(S130).
제6단계, 제3단계의 조사에서, 서비스 서버에서 컨텐츠를 변환하지 않을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종단 단말기의 정보에 포함된 하드웨어 사양과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에 포함된 하드웨어 사양을 전송하고 변환을 요청한다(S122).
제7단계,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변환된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종단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요청한다(S124).
한편 이와 같은 서비스 서버에 의한 변환 컨텐츠 제공 방법은 저장 매체에 의해 프로그램으로 저장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제1단계, 사용자가 종단 단말기를 조작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에 종단 단말기를 연결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는 종단 단말기의 연결을 승인하고, 종단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및 근거리 통신망의 정보를 수신한다.
제2단계, 사용자가 영화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
제3단계, 서비스 서버는 영화 컨텐츠의 변환이 필요한지 조사한다. 본 적용 예에서 영화 컨텐츠의 해상도는 640*480 픽셀이고 비트 전송율은 1MB이고 파일의 전체 크기는 700MB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은 영화 컨텐츠는 종단 단말기에서 실행되기에 너무 품질이 높고,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종단 단말기로 전송하기에 너무 크기가 크다.
제4단계, 서비스 서버는 종단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을 고려하여 영화 컨텐츠의 해상도를 320*240 픽셀로 낮추고 비트 전송율은 150KB로 낮춘다. 더불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파일의 크기를 150MB로 낮춘다.
제5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변환된 영화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제6단계, 이동통신단말기는 수신중인 영화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종단 단말기 로 전송한다. 영화 컨텐츠의 규격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변환되었기 때문에 끊김 없는 전송이 가능하다.
제7단계, 종단 단말기가 수신중인 영화 컨텐츠를 실행한다. 영화 컨텐츠의 규격이 종단 단말기의 사양을 고려하여 변환되었기 때문에 끊김 없는 실행이 가능하다.
한편, 서비스 서버에서 영화 컨텐츠를 변환하지 않을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영화 컨텐츠의 변환을 어플리케이션에 요청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제8단계,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영화 컨텐츠의 변환을 요청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종단 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을 함께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에 영화 컨텐츠가 저장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변환 대상인 영화 컨텐츠도 전송하게 된다.
제9단계,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종단 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를 변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발명의 기술사상의 토대 위에서 그 기술적 요지를 유지하면서 당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을 위한 초기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1: 유선 통신망
102: 이동통신망 103: 근거리 통신망
110: 서비스 서버 120: 어플리케이션 서버
130: 과금 서버 140: 이동통신단말기
150: 종단 단말기

Claims (12)

  1. 서비스서버와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단말기와 종단단말기는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종단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스서버로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관리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며,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종단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종단 단말기 관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종단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관리하는 근거리 통신망 관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종단 단말기 정보 및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종단 단말기에 의해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종단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의 품질을 조절하여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통신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변환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변환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의 규격을 조절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와 종단 단말기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변환된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은 종단 단말기에 설치된 표시장치의 해상도, 제어장치의 처리가능 코덱 정보 및 저장장치의 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메모리 크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속도 및 근거리 통신망과의 통신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6. 서비스서버와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단말기와 종단단말기는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서버가 종단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연결된 종단 단말기의 연결을 승인하고, 종단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및 종단 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망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종단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변환할 것인지 조사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변환 여부의 조사에서, 컨텐츠를 변환할 경우 종단 단말기의 정보에 포함된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의 품질을 조절하여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종단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를 변환하는 단계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컨텐츠의 규격을 조절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한 변환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변환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종단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은 종단 단말기에 설치된 표시장치의 해상도, 제어장치의 처리가능 코덱 정보 및 저장장치의 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한 변환 컨텐츠 제공 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변환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메모리 크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속도 및 근거리 통신망과의 통신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한 변환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변환 여부의 조사에서, 컨텐츠를 변환하지 않을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종단 단말기의 정보에 포함된 하드웨어 사양을 전송하고 변환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변환된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종단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한 변환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변환을 요청하는 단계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을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한 변환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 6 항, 제 7 항, 제 9 항, 제 10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 의한 변환 컨텐츠 제공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저장한 저장 매체.
KR1020080126346A 2008-12-12 2008-12-12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제공 방법 및 저장매체 KR101378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346A KR101378403B1 (ko) 2008-12-12 2008-12-12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제공 방법 및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346A KR101378403B1 (ko) 2008-12-12 2008-12-12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제공 방법 및 저장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798A KR20100067798A (ko) 2010-06-22
KR101378403B1 true KR101378403B1 (ko) 2014-03-28

Family

ID=4236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346A KR101378403B1 (ko) 2008-12-12 2008-12-12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제공 방법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8960B2 (en) 2014-02-24 2018-0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d reproducing contents in storage medium
KR101952492B1 (ko) 2017-01-20 2019-02-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이퍼 본딩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삼차원 구조의 반도체 반도체 소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3877A (ja) * 2004-11-02 2006-05-25 Canon Inc ファイル変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3877A (ja) * 2004-11-02 2006-05-25 Canon Inc ファイル変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798A (ko)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16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receiving contents via network,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ing up data via network, backup data providing device, and backup system
KR101285113B1 (ko) 컨텐츠 전달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이동통신단말기 및 저장 매체
US8260933B2 (en) Multimedia content redirection method
JP2009524975A (ja) 通信網での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伝送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6323448A (ja) データ共有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8868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o end-point terminal in CPNS environment, and CPNS ser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nd-point terminal for the same
US94323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to end terminal that us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ice ser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1285119B1 (ko) 관련 컨텐츠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종단 단말기 및 저장 매체
AU20102847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via network,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ntents via networ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ing up data via network, backup data providing device, and backup system
KR101378403B1 (ko)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제공 방법 및 저장매체
KR20100058690A (ko) 복수의 종단 단말기에 대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컨텐츠 중계 방법, 저장 매체, 어플리케이션 서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US8774599B2 (en) Method for transcoding and playing back video files based on grid technology in devices having limited computing power
KR20060006532A (ko) 요청된 미디어파일의 재생 가능여부를 알리는 미디어파일저장장치 및 전송방법
US9225541B2 (en) Media shadow files and system
US8805440B2 (en) System, method, service server, and end-point terminal for providing relevant sound content
KR101283491B1 (ko) 과금 시스템, 과금 방법, 서비스 서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100051899A (ko) 효율적 연결을 위한 추천 시스템, 추천 방법, 서비스 서버,종단 단말기, 연결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1253550B1 (ko) 다중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저장 매체 및 종단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