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335B1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335B1
KR101378335B1 KR1020080005759A KR20080005759A KR101378335B1 KR 101378335 B1 KR101378335 B1 KR 101378335B1 KR 1020080005759 A KR1020080005759 A KR 1020080005759A KR 20080005759 A KR20080005759 A KR 20080005759A KR 101378335 B1 KR101378335 B1 KR 10137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area
value
data
ar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634A (ko
Inventor
김영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3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영상에서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하여,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기준으로 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입력받는 단계; (b) 각각의 상기 입력 영상에서 포커스 조정을 위한 포커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입력 영상의 이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각각의 포커스 영역으로 하여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d)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하여 상기 포커스 데이터로부터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단계; (e)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의 포커스 값으로부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최종 포커스 값으로부터 포커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영상을 입력받고, 그 중에서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켜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영상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서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이를 압축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그 이미지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를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포커스 렌즈 위치에서의 영상을 입력받고, 그 중에서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켜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력 영상에서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하여,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기준으로 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입력받는 단계; (b) 각각의 상기 입력 영상에서 포커스 조정을 위한 포커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입력 영상의 이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각각의 포커스 영역으로 하여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d)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하여 상기 포커스 데이터로부터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단계; (e)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의 포커스 값으로부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최종 포커스 값으로부터 포커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에, 설정된 구간 내에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각각의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각각의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b) 단계가, 상기 입력 영상에서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휘도 데이터에서 고주파 대역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고주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주파 데이터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포커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을 복수개의 패치로 분할하고, 각각의 패치 단위로 상기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각각의 상기 패치에 대한 포커스 값에 각각의 상기 패치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한 상기 포커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에,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값에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상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에 상기 최종 포커스 값이 최대가 되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상기 포커스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포커스 위치로 이동하여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는 포커스 렌즈 조정부;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및 상기 입력 영상의 이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각각의 포커스 영역으로 하고,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서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각각의 상기 포커스 값으로부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상기 최종 포커스 값으로부터 포커스 조정을 위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입력 영상에서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하여,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기준으로 포커스 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포커스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100)의 뒷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의 뒷면에는 방향 버튼(21), 메뉴-OK 버튼(22),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W), 망원(Telephoto)-줌(Zoom) 버튼(T), 및 디스플레이 패널(2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에는 상향 버튼(21a), 하향 버튼(21b), 좌향 버튼(21c), 우향 버튼(21d)의 총4개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과 메뉴-OK 버튼(22)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키이다.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은 그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진다.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5)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영상 표시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5)은 라이브 뷰 영상, 촬영된 영상, 및 저장된 이미지 파일이 재생되는 재생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표시부(도 6의 65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0)의 앞면 또는 윗면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26), 플래시(미도시), 전원 스위치(28), 렌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앞면과 뒷면에는 뷰 파인더(27)의 대물 렌즈와 접안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 메뉴-OK 버튼(22), 셔터 릴리즈 버튼(26), 및 전원 스위치(28) 등은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조작하고자 하는 사항을 입력하는 사용자 조작부(도 6의 660)에 포함될 수 있다.
셔터 릴리즈 버튼(26)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촬상 소자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힌다. 또한, 셔터 릴리즈 버튼(26)은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촬상 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한편, 셔터 릴리즈 버튼(26)은 2단으로 눌려질 수 있다. 셔터 릴리즈 버튼(26)이 일단으로 눌려지면 제1신호(S1)가 생성되고, 이단으로 눌려지면 제2신호(S2)가 생성될 수 있다. 제1신호(S1)에 의하여 촬영 준비 작동이 수행되고, 제2신호(S2)에 의하여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4/0130650호(명칭: 카메라의 이차함수를 이용한 자동 포커싱 방법,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출원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 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2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212)가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광각-줌 버튼(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줌 버튼(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auto focusing mode)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2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즉, 포커스 모터(MF)를 구동하여 가장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
포커스 모터(MF)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는 포커스 렌즈 조정부(도 6의 670)에 포함될 수 있다.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광전 변환부(OEC)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2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타이밍 회로(2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CDS-ADC 소자(201)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입력부(도 6의 610)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간 클럭(2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CDS-ADC 소자(2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Y 값) 및 색도(R, G, B)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2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및/또는 마이크로 제어기(2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도 6의 62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작부(도 6의 650)의 조작에 의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입력부(INP)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및/또는 마이크로 제어기(212)로 입력되어 처리되고, 그에 따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2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2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될 수 있다.
DRAM(204) 또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를 통하여 인식되는 메모리 카드는 포커스 데이터, 최종 포커스 값, 및 촬영 영상 등이 일시적으로 또는 비휘발성으로 저장되는 것으로 도 6의 제1 저장부(630) 및/또는 제2 저장부(640)에 포함될 수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제1 저장부(630)는 포커스 데이터, 제1 포커스 값, 제2 포커스 값, 및 최종 포커스 값 등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DRAM(204) 또는 캐시 메모리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 저장부(640)에는 촬영 영상 및/또는 재생 영상이 비휘발성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제2 저장부(640)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 등이 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15)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의 제어를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5) 및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는 본 발명에 따라 촬영 영상 및/또는 재생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표시부(도 6의 65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208)와 그 접속부(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209) 및 비디오 출력부(3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2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은 도 2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 및/또는 도 6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이 도 2의 저장 수단에 저장되거나 펌웨어(Firmware) 등의 반도체 칩의 형태로 구현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은 입력 영상에서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하고,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값을 산출하여, 각각의 포커스 값으로부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최종 포커스 값을 기준으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포커스 영역에서 포커스 값을 구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정확한 포커스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은 입력영상 입력단계(S310); 포커스 데이터 생성단계(S320 내지 S340); 포커스 영역 선정단계(S350a, S350b); 포커스 값 산출단계(S360a, S360b, S370a, S370b); 최종 포커스 값 산출단계(S380); 및 포커스 조정단계(S39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은 포커스 조정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S305), 포커스 조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입력영상 입력단계(S310)에는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입력받는다. 포커스 데이터 생성단계(S320 내지 S340)에는 각각의 입력 영상에서 포커스 조정을 위한 포커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포커스 영역 선정단계(S350a, S350b)에는 입력 영상의 이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각각의 포커스 영역으로 하여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한다. 포커스 값 산출단계(S360a, S360b, S370a, S370b)에는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하여 포커스 데이터로부터 포커스 값을 산출한다.
최종 포커스 값 산출단계(S380)에는 각각의 포커스 영역의 포커스 값으로부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한다. 포커스 조정단계(S390)에는 최종 포커스 값으로부터 포커스를 조정한다.
입력영상 입력단계(S310)에는 설정된 구간 내에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각각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각각의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입력 영상이 각각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입력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의 최종 포커스 값을 구할 수 있으며, 최종 포커스 값이 최대가 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 포커스 값이 최대가 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포커스 위치로 결정하고,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포커스 위치에서 가장 선명한 영상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포커스 데이터 생성단계(S320 내지 S340)에는 각각의 입력 영상에서 포커스 조정을 위한 포커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포커스 데이터 생성단계(S320 내지 S340)에는 입력 영상에서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고, 휘도 데이터에서 고주파 대역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고주파 데이터를 생성하고, 고주파 데이터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포커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포커스 데이터 생성단계(S320 내지 S340)는 휘도 데이터 추출단계(S320), 고주파 대역 추출단계(S330), 및 노이즈 제거단계(S340)를 구비할 수 있다.
휘도 데이터 추출단계(S320)에는 입력 영상에서 휘도 데이터를 추출한다. 고주파 대역 추출단계(S330)에는 휘도 데이터에서 고주파 대역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고주파 데이터를 생성한다. 노이즈 제거단계(S340)에는 고주파 데이터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포커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촬상 소자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들어오는 입력 영상은 수직 신호(Vertical signal, VD)와 수평 신호(Horizontal signal, HD)에 맞추어, RGB(Red, Green, Blue) 타입으로 들어올 수 있다. 이때, 휘도 데이터 추출단계(S320)에는 RGB 타입의 이미지 데이터를 휘도 성분인 Y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G(Green)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포커스 값 산출에 필요한 휘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고주파 대역 추출단계(S330)에는 휘도 데이터를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 HPF)를 통과시켜 고주파 성분만 통과되도록 하여 고주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수직 신호(VD)와 수평 신호(HD)도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HPF)의 시간 지연(delay)에 맞추어 시간 지연(delay) 후에 통과하게 된다.
한편, 휘도 데이터가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HPF)를 통과하여 고주파 데이터가 생성될 때, 원하지 아니하는 고주파 대역의 노이즈도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HPF)에 의하여 걸러지지 아니하고 통과될 수 있으므로, 고주파 데이터에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제거단계(S340)에는 고주파 데이터를 노이즈 저감 필터(Noise reduction Filter)를 통과시켜 노이즈를 걸러낼 수 있다. 이때, 고주파 데이터에 노이즈가 항상 포함되는 것이 아니므로, 노이즈 제거단계(S340)는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수직 신호(VD)와 수평 신호(HD)도 노이즈 저감 필터의 시간 지연(delay)에 맞추어 시간 지연(delay) 후에 통과하게 된다.
현재까지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포커스 데이터를 구할 때, 수직 신호(VD)와 수평 신호(HD), 및 전체적으로 동작하는 클럭(clock)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출력되는 데이터의 출력값의 위치를 계산하여, 각각의 영역으로 합산하게 된다.
이때, 기본적으로 수직 신호(VD)가 1인 상태에서 수평 신호(HD)가 1인 상태에서 한 라인을 인식하고, 클럭 신호가 바뀔 때마다 하나의 픽셀(pixel)에 대한 데이터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수평 신호(HD)가 0이 되었다가 1이 되는 순간, 다음 라인으로 계산하고, 수직 신호(VD)가 0이 되는 순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연산 처리가 완료되게 된다.
포커스 영역 선정단계(S350a, S350b)에는 입력 영상의 이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각각의 포커스 영역으로 하여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한다. 즉,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하고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하여 포커스 값을 구한 후에 이들을 기준으로 포커스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선정된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 중의 하나의 포커스 영역은 전체 포커스 영역이 되고, 다른 하나의 포커스 영역은 전체 포커스 영역 중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포커스 영역이 될 수 있다.
즉, 큰 영역의 전체 포커스 영역에서 완만한 포커스 곡선을 구하고, 부분 포커스 영역에서 더욱 급한 포커스 곡선을 구하고, 전체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곡선과 부분 포커스 곡선에 대한 포커스 값들로부터 최종 포커스 값을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곡선과 부분 포커스 곡선 각각에 대응되는 가중치 반영하여 최종 포커스 값에 의한 포커스 곡선을 구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포커스 조정이 가능하다. 이때, 포커스 곡선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 값을 도시한 곡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영역 선정 방법과 얼굴 인식 알고리즘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얼굴 인식에 의하여 사람의 얼굴을 전체 포커스 영역으로 선정한 후에, 눈 인식에 의하여 눈만을 검출하여 부분 포커스 영역으로 선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방치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포커스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하는 일 실시예로서, 이미지 영역에서 제1 포커스 영역과 제2 포커스 영역을 선정하는 방법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체 이미지 영역(40)은 제1 포커스 영역(41) 및 제2 포커스 영역(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포커스 영역(41)은 전체 이미지 영역(40)에서 일부 영역이 전체 포커스 영역으로 선정될 수 있다.
제2 포커스 영역(42)은 전체 포커스 영역에 포함되는 부분 포커스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때, 제2 포커스 영역(42)이 제1 포커스 영역(41)에 포함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포커스 영역과 제2 포커스 영역이 서로 포함 관계에 있지 아니하고, 제1 포커스 영역과 제2 포커스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겹치도록 선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이 겹치지 아니하는 경우에, 피사체가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에 겹쳐지면 여러 개의 영역의 데이터가 함께 참조됨으로써, 원하지 아니하는 화상 정보도 피사체 안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되는 포커스 값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포커스 영역을 너무 작게 잡는 경우에는 포커스 곡선으로 완만한 곡선이 생성되지 아니하여, 노이즈인지 정확한 데이터인지 판별하기 어렵게 되어, 정확한 포커스 값 산출이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이 겹치도록 선정되는 경우, 피사체가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에 겹쳐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영역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법 에 의하여 포커스 영역이 선정될 수 있다. 그 일 실시예로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이 서로 겹쳐지지 아니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이 제1 포커스 영역(41)과 제2 포커스 영역(42)을 포함하는 경우에, 포커스 영역 선정단계(S350a, S350b)는 제1 포커스 영역 선정단계(S350a)와 제2 포커스 영역 선정단계(S35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포커스 영역 선정단계(S350a)에는 전체 이미지 영역(40) 중에서 제1 포커스 영역(41)을 선정한다. 제2 포커스 영역 선정단계(S350b)에는 전체 이미지 영역(40) 중에서 제2 포커스 영역(42)을 선정한다.
이에 따라, 포커스 값 산출단계(S360a, S360b, S370a, S370b)가 제1 포커스 영역(41)과 제2 포커스 영역(42) 각각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포커스 값 산출단계(S360a, S360b, S370a, S370b)에는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하여 포커스 데이터로부터 포커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포커스 영역을 복수개의 패치로 분할하고, 각각의 패치 단위로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각각의 패치에 대한 포커스 값에 각각의 패치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포커스 값 산출단계(S360a, S360b, S370a, S370b)는 포커스 영역 분할단계(S360a, S360b) 및 포커스 값 산출단계(S370a, S370b)를 구비할 수 있다.
포커스 영역 분할단계(S360a, S360b)에는 각각의 포커스 영역을 복수개의 패 치로 분할한다. 포커스 값 산출단계(S370a, S370b)는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하여 포커스 값을 구한다.
포커스 영역 분할단계(S360a, S360b)에는 각각의 포커스 영역을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패치(41a, 42a)로 분할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포커스 영역 분할단계(S360a, S360b)는 제1 포커스 영역 분할단계(S360a) 및 제2 포커스 영역 분할단계(S36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포커스 영역 분할단계(S360a)에는 제1 포커스 영역(41)을 복수개의 패치(41a)로 분할할 수 있다. 제2 포커스 영역 분할단계(S360b)에는 제2 포커스 영역(42)을 복수개의 패치(42a)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패치(41a, 42a)는 각각의 포커스 영역을 작은 영역으로 분할한 각각의 조각이 될 수 있다.
포커스 값 산출단계(S370a, S370b)는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하여 포커스 값을 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포커스 영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패치 단위로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각각의 패치에 대한 포커스 값을 합산하여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패치에는 가중치가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패치에 대한 포커스 값에 각각의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포커스 값 산출단계(S370a, S370b)는 제1 포커스 값 산출단계(S370a) 및 제2 포커스 값 산출단계(S37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포커스 값 산출단계(S370a)에는 제1 포커스 영역(41)에 대한 포커스 값을 산출한 다. 제2 포커스 값 산출단계(S370b)에는 제2 포커스 영역(42)에 대한 포커스 값을 산출한다.
최종 포커스 값 산출단계(S380)에는 각각의 포커스 영역의 포커스 값으로부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값에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 포커스 값과 제2 포커스 값에 각각의 대응되는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렌즈 위치에 따른 제1 포커스 영역과 제2 포커스 영역 각각에 대한 포커스 값과 최종 포커스 값의 그래프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포커스 곡선(50)은 제1 포커스 곡선(51), 제2 포커스 곡선(52), 및 최종 포커스 곡선(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커스 곡선(51)은 포커스 렌즈 위치에 따른 제1 포커스 값의 그래프이다.
제2 포커스 곡선(52)은 포커스 렌즈 위치에 따른 제2 포커스 값의 그래프이다. 최종 포커스 곡선(53)은 포커스 렌즈 위치에 따른 최종 포커스 값의 그래프이다.
이때, 제1 포커스 영역(41)과 제2 포커스 영역(42)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포커스 영역이 좀 더 세밀한 영역이 되므로, 제2 포커스 값에 대한 가중치가 제1 포커스 값에 대한 가중치보다 큰 경우의 실시예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성분이 많은 피사체의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맞추고자 하는 부분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포커스 영역(42)과 전체 포커스 영역에 해당하는 제1 포커스 영역(41)의 포커스 곡선의 피크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실질적으로 맞추고자 하는 부분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포커스 영역(42)의 제2 포커스 값에 더 큰 가중치를 주어 넓은 영역과 좁은 영역 사이의 포커스 값의 차이를 보정해 줄 수 있다. 도 5의 최종 포커스 값의 피크값에 해당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포커스 위치가 될 수 있다.
좁은 영역만 가지고 포커스 값을 산출할 경우에는 적당한 밝기 이상의 환경에서는 원하는 데이터를 바로 취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저조도 상황에서는 노이즈 성분과 에지(edge) 성분의 구분이 모호하여, 제대로 된 포커스 곡선을 취득하기 어려워 질 수 있다.
이때에는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노이즈 성분의 영향이 적은 넓은 영역의 포커스 곡선의 정확도는 높을 수 있지만, 노이즈 성분의 영향이 큰 좁은 영역의 포커스 곡선을 함께 참조할 경우 보다 정확한 포커스 곡선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포커스 조정단계(S390)에는 최종 포커스 값으로부터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최종 포커스 값이 최대가 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포커스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위치로 이동하여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영상에서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하고,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값을 산출하여, 각각의 포커스 값으로부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최종 포커스 값을 기준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포커스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하기 전의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서의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모듈을 복수로 두고, 포커스 영역을 서로 겹치도록 선정하는 경우, 동일한 포커스 데이터 출력을 가지고 각각의 포커스 영역을 다르게 설정하여 포커스 영역이 중첩된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는 영상 입력부(610); 제어부(620); 저장부(630, 640); 표시부(650); 사용자 조작부(660); 및 포커스 렌즈 조정부(670)를 구비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에 의하여 제어되므로 도 3에 관한 설명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는 입력 영상에서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하고,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값을 산출하여, 각각의 포커스 값으로부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최종 포커스 값을 기준으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포커스 영역에서 포커스 값을 구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정확한 포커스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610)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입력받는다. 제어부(620)는 입력 영상의 이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각각의 포커스 영역으로 하고,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서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각각의 포커스 값으로부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최종 포커스 값으로부터 포커스 조정을 위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결정한다.
저장부(630, 640)에는 입력 영상, 각각의 포커스 영역의 포커스 값, 및 최종 포커스 값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표시부(650)에는 입력 영상과 포커스 영역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660)는 외부로부터 원하는 지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작한다. 포커스 렌즈 조정부(670)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정한다.
입력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610)는 도 2의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CDS-ADC 소자(20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각각의 입력 영상에서 포커스 조정을 위한 포커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하여 포커스 데이터로부터 포커스 값을 산출한다. 이때, 입력 영상에서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고, 휘도 데이터에서 고주파 대역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고주파 데이터를 생성하고, 고주파 데이터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포커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포커스 영역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포커스 영역(41) 및 제2 포커스 영역(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포커스 영역(41)이 이미지 영역 중에 선정된 전체 포커스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제2 포커스 영역(42) 이 제1 포커스 영역(41)에 포함되는 부분 포커스 영역이 될 수 있다.
포커스 영역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 포커스 영역과 제2 포커스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겹치도록 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의 포커스 영역이 선정될 수 있다.
각각의 포커스 영역을 복수개의 패치로 분할하고, 각각의 패치 단위로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각각의 패치에 대한 포커스 값에 각각의 패치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값에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 포커스 값이 최대가 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포커스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포커스 렌즈 조정부(670)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포커스 모터(도 2의 MF)가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는 포커스 렌즈 조정부(도 6의 670)에 포함될 수 있다.
포커스 렌즈 조정부(670)는 포커스 조정을 위한 입력 영상 입력 시에, 포커스 렌즈가 정해진 구간을 움직일 수 있도록 조정하여, 정해진 구간 내의 각각의 포커스 렌즈 위치에서 입력 영상이 입력될 수 있도록,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정한다.
또한, 포커스 렌즈 조정부(670)는 포커스 조정에 의하여 최종 포커스 값으로부터 결정된 가장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포커스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저장부(630, 640)에는 포커스 데이터, 각각의 포커스 영역에서의 포커스 값, 최종 포커스 값, 및 촬영 영상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630, 640)는 제1 저장부(630) 및 제2 저장부(6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저장부(630)에는 포커스 데이터, 제1 포커스 값, 제2 포커스 값, 및 최종 포커스 값 등이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제2 저장부(640)에는 촬영 영상 및/또는 재생 영상이 비휘발성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제1 저장부(630)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DRAM(도 2의 204) 또는 캐시 메모리 등이 될 수 있다. 제2 저장부(640)는 데이터가 비휘발성으로 저장되는 것으로, 플래시 메모리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이 될 수 있다.
표시부(650)에는 입력 영상과 포커스 영역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이 입력 영상 위에 표시될 수 있다. 포커스 영역은 포커스 조정 신호의 입력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650)는 디스플레이 패널(도 2의 215) 및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도 2의 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660)는 외부로부터 원하는 지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방향 버튼(도 1의 21), 메뉴-OK 버튼(도 1의 22), 셔터 릴리즈 버튼(도 1의 26), 및 전원 스위치(도 1의 28) 등은 사용자 조작부(6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셔터 릴리즈 버튼(26)은 2단으로 눌려질 수 있다. 셔터 릴리즈 버 튼(26)이 일단으로 눌려지면 제1신호(S1)가 생성되고, 이단으로 눌려지면 제2신호(S2)가 생성될 수 있다. 제1신호(S1)에 의하여 촬영 준비 작동이 수행되고, 제2신호(S2)에 의하여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이 제1신호(S1)의 입력 신호를 포커스 조정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영상에서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하여,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기준으로 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포커스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미지 영역에서 구획되는 제1 포커스 영역과 제2 포커스 영역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렌즈 위치에 따른 제1 포커스 영역과 제2 포커스 영역 각각에 대한 포커스 값과 최종 포커스 값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19)

  1. (a)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입력받는 단계;
    (b) 각각의 상기 입력 영상에서 포커스 조정을 위한 포커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입력 영상의 이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각각의 포커스 영역으로 하여 복수개의 포커스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d)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하여 상기 포커스 데이터로부터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단계;
    (e)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의 포커스 값으로부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최종 포커스 값으로부터 포커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설정된 구간 내에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각각의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각각의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입력받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가,
    상기 입력 영상에서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휘도 데이터에서 고주파 대역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고주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주파 데이터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포커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영역이 제1 포커스 영역 및 제2 포커스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커스 영역이 상기 이미지 영역 중에 선정된 전체 포커스 영역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커스 영역이 상기 제1 포커스 영역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1 포커스 영역과 상기 제2 포커스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겹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을 복수개의 패치로 분할하고, 각각의 패치 단위로 상기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각각의 상기 패치에 대한 포커스 값에 각각의 상기 패치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한 상기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값에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상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 상기 최종 포커스 값이 최대가 되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상기 포커스 위치로 결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포커스 위치로 이동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는 포커스 렌즈 조정부;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및
    상기 입력 영상의 이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각각의 포커스 영역으로 하고,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서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각각의 상기 포커스 값으로부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상기 최종 포커스 값으로부터 포커스 조정을 위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입력 영상에서 포커스 조정을 위한 포커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하여 상기 포커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에서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휘도 데이터에서 고주파 대역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고주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고주파 데이터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포커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영역이 제1 포커스 영역 및 제2 포커스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커스 영역이 상기 이미지 영역 중에 선정된 전체 포커스 영역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커스 영역이 상기 제1 포커스 영역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1 포커스 영역과 상기 제2 포커스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겹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을 복수개의 패치로 분할하고, 각각의 패치 단위로 상기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각각의 상기 패치에 대한 포커스 값에 각각의 상기 패치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한 상기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한 포커스 값에 각각의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하여, 상기 최종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포커스 값이 최대가 되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상기 포커스 위치로 결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20080005759A 2008-01-18 2008-01-18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78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59A KR101378335B1 (ko) 2008-01-18 2008-01-18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59A KR101378335B1 (ko) 2008-01-18 2008-01-18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34A KR20090079634A (ko) 2009-07-22
KR101378335B1 true KR101378335B1 (ko) 2014-03-27

Family

ID=4129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759A KR101378335B1 (ko) 2008-01-18 2008-01-18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3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83B1 (ko) * 2009-10-14 2014-06-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조도 잡음 및 스팟 하이라이트에 강인한 초점 검출 장치
KR101271101B1 (ko) * 2011-12-13 2013-06-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자동 포커싱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1945A (ja) 2000-02-08 2001-08-17 Ricoh Co Ltd 自動合焦装置
JP2006025311A (ja) 2004-07-09 2006-01-26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及び画像取得方法
JP2006039343A (ja) 2004-07-29 2006-02-09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システムの自動合焦/露光量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3798544B2 (ja) 1998-02-20 2006-07-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および撮像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8544B2 (ja) 1998-02-20 2006-07-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および撮像制御方法
JP2001221945A (ja) 2000-02-08 2001-08-17 Ricoh Co Ltd 自動合焦装置
JP2006025311A (ja) 2004-07-09 2006-01-26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及び画像取得方法
JP2006039343A (ja) 2004-07-29 2006-02-09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システムの自動合焦/露光量制御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34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47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6280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010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7833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97005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1191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9634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5741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77719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6441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9633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6453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43632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3692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1780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44410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010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6279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8740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58208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8403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7486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70053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60660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61968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