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282B1 -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확인방법. - Google Patents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282B1
KR101376282B1 KR1020120063942A KR20120063942A KR101376282B1 KR 101376282 B1 KR101376282 B1 KR 101376282B1 KR 1020120063942 A KR1020120063942 A KR 1020120063942A KR 20120063942 A KR20120063942 A KR 20120063942A KR 101376282 B1 KR101376282 B1 KR 10137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mart device
system information
socke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0494A (ko
Inventor
김재윤
Original Assignee
(주)서원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원인텍 filed Critical (주)서원인텍
Priority to KR1020120063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282B1/ko
Publication of KR20130140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2Remote windowing, e.g. X-Window System, desktop virtu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연결을 서비스하는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외부에 동작상태를 광신호로 표출하여 주는 하나 이상의 LED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관리부(Power Managiment)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중계부(Transmission), 및 상기 중계부를 컨트롤하여 할당된 채널별로 네트워크접속 연결을 서비스하는 링크 제어부(Link Controller)와, 상기 링크 제어부가 동작하면서 확보된 시스템정보를 IP 주소가 할당된 소켓으로 내보내도록 컨트롤하는 제어부(Main Controll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에 대응하여 제조사가 서비스하는 DM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DM어플리케이션 구동시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가 부여한 해당 소켓(Socket)에 접속하여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가 내보낸 시스템정보(System Information)를 수취하도록 하는 한편, 이때 확보된 시스템정보를 파싱(Parsing)한 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토록 되어 있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 내부로의 접근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번거로운 절차 없이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확인방법.{THE SMART DEVICE ABLE TO CHECH A CPE'S STATUS}
본 발명은 네크워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가입자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 로의 접근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번거로운 절차 없이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댁내에서 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외부 통신망에 접속연결을 서비스하는 한편 LAN(Local Access Network)을 통하여 각종 유무선기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현재 근거리무선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에그(Egg)나 모바일 라우터와 같은 형태로 발전해 나아가, 이동 중에 노트북이나 아이폰 혹은 아이패드와 같은 스마트기기의 인터넷 연결을 서비스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사회가 점점 고도로 발전해나가면서, 각각의 개인들이 접할 수 있는 정보가 많아지게 되고, 특히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면서 주변에 다양한 통신기기들이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통신기기들은 인구밀도가 높은 특정 지역에 밀집되어 설치되면서 각종 통신기기들의 주파수 간섭에 의해 가입자 댁내장치의 통신채널이 원활하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게 되었다.
더욱이 이러한 가입자 댁내장치는 무선 접속단말기가 대부분이어서, 현재 자신이 사용하는 채널과 상기 채널이 어떠한 이유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지 바로 확인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그 원인을 찾기 위하여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PC를 통해 별도로 제공된 IP 주소를 웹페이지에 기재하여 접속한 후에야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데, 통상 시스템정보는 가입자 댁내장치를 제조한 제조사가 제공하는 IP기반의 웹페이지를 통하여 서비스받는 것이기 때문에 복잡하고 일반 사용자들이 접근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번거롭고 어려운 점이 많아 전문가가 아닌 한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 내부로의 접근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일반사용자들도 번거로운 절차 없이 가입자 댁내장치의 연결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연결을 서비스하는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외부에 동작상태를 광신호로 표출하여 주는 하나 이상의 LED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관리부(Power Managiment)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중계부(Transmission), 및 상기 중계부를 컨트롤하여 할당된 채널별로 네트워크접속 연결을 서비스하는 링크 제어부(Link Controller)와, 상기 링크 제어부가 동작하면서 확보된 시스템정보를 할당된 소켓으로 내보내도록 컨트롤하는 제어부(Main Controll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에 대응하여 제조사로부터 서비스받은 Diagnostic Monitoring 어플리케이션(이하, DM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DM어플리케이션 구동시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가 부여한 해당 소켓(Socket)에 접속하여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가 내보낸 시스템정보(System Information)를 수취하도록 하는 한편, 이때 확보된 시스템정보를 파싱(Parsing)한 후 화면상에 사용 상태(Status)를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기기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Diagnostic Monitoring 어플리케이션(이하, DM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기기를 통해,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 내부로의 접근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특히 일반 사용자들도 복잡한 절차 없이 간단하게 사용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본 발명은 DM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기기를 통해, 상태 이상시 가입자 댁내장치의 시스템정보(Systen information)를 실시간으로 바로 확인하고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댁내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구동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구동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기기기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예를 들어 보여주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구가 밀집되면서 그리고 사회가 고도로 발전해나가면서, 각각의 개인들이 접할 수 있는 정보가 많아 지게 되고, 특히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면서 주변에 다양한 통신기기과 스미트기기들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통신기기들과 스마트기기(Smart Device)들이 인터넷망(Internet)에 접속 지원하기 위해서는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가 요구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때의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무선 접속단말기가 대부분이며, 기본적으로 필요한 시스템정보(System 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는 1개의 소켓(Socket)을 LAN 측에 부여하고, 해당 소켓(Socket)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정보를 내보내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ervice 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스마트기기(Smart Deivce)와 소켓(Socket)통신을 위한 Prosess가 Background로 항시 실시되고 있고, 접속한 스마트기기(Smart Device)의 유효성을 판단한 후 사전에 협의된 프로토콜(Protocol) 규약에 따라 시스템 정보(System Infomation)를 외부로 내보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를 서비스하는 제조사에서는 특정 웹사이트(Website)에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에 대응하여 외부로 내보내어 진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수취할 수 있는 Diagnostic Monitoring 어플리케이션(이하, DM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이 업로드 되어 있고, 상기 스마트기기들이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업로드 되어 있는 DM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DM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스마트기기는, DM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게 되면서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가부여한 해당 소켓(Socket)에 접속하여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의 시스템정보(System Information)를 수취할 수 있게 되고, 이때 확보된 시스템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Display)하여 주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DM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기기를 통해,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번거로운 절차 없이 간단하게 시스템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Smart Device)는 관리 웹페이지와 링크 연결되어 있어, 화면상에 출력된 상태(Status)를 보고 즉각적으로 파악한 후, 할당된 IP정보나 채널정보를 변경하여 새로운 연결관계를 형성하여 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는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는 통신사의 서버로 서비스 품질을 변경토록 요청하는 알람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받아 송수신되는 데이터량 혹은 패킷 량을 재설정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컨트롤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일반적으로 외부에는 동작상태를 광신호로 표출하여 주는 하나 이상의 LED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내장된 배터리(Battery) 혹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관리부(Power Managiment)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중계부(Transmission), 그리고 상기 중계부를 컨트롤하여 할당된 채널별로 인터넷 연결을 서비스하는 링크 제어부(Link Controller)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링크 제어부가 동작하면서 확보된 시스템정보를 할당된 소켓으로 내보내도록 컨트롤하는 제어부(Main Controller)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중계부(Transmission)는 주변에 있는 스마트기기(Smart Device)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외부 통신망의 접속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둘 이상의 통신모듈(Terminal Module)을 내장하고 있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은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스마트기기와 채널을 형성하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b/g/n 또는 IEEE 802.16e 표준을 기반으로 하여 복수 개의 채널을 형성하는 WiFi모듈이거나 WiMAX모듈이고, 다른 하나는 통신모듈은 상기 이동통신망(3G/4G)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이동통신모듈로 직교주파수분할(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방식과 다중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방식을 이용하여 고속의 패킷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이 가능한 LTE(long term evolution)모듈이다. 참고로 통신모듈은 WiFi모듈이나 LTE모듈에 한정되지 않고 접속하는 망에 따라 다양한 통신모듈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중계부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부와 LQI부(Link Quality Indica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스마트기기 혹은 노트북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세기와 통신상태를 측정하고, 링크제어부로 보고한다. 이때의 스마트기기는 휴대할 수 있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스마트폰, 테블릿PC, 노트북 등이다.
또한, 상기 링크제어부(Link Controller)는 상기 중계부의 통신모듈을 컨트롤하여 통신채널을 형성토록 하고, 각각의 설정된 채널로 데이터를 송수신토록 한다. 여기서 링크제어부는 물리적 어드레싱(Physical Address),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 회선 사용 규칙, 오류 검출(Error Detecting), 프레임 전달(Frame Transmission) 그리고 흐름 제어(Flow control) 등에 관여하며, 각각의 채널로 요청받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링크제어부(Link Controller)는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반송파 감지 다중접속(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방식을 이용하는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방식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Main Controller)는 상기 링크제어부(Link Controller)가 통신모듈을 컨트롤하면서 발생된 시스템정보를 확보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할당된 채널로 확보한 시스템정보(System information)를 내보내도록 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Main Controller)는 접속모듈과 전송모듈, 제어모듈, 할당모듈, 상태정보호출모듈, 알람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게 되며. 이때의 각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할당모듈은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스마트기기가 지정된 채널로 접근할 수 있도록 소켓(Socket)을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소켓(Socket)에 IP주소(IP Address)를 할당하여, 외부에서 상기 소켓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접속모듈은 상기 할당모듈을 통해 할당된 소켓에 상기 스마트기기가 접속 연결이 가능한 상태(Listen)로 만들어 준다.
또한, 전송모듈은 상기 접속모듈을 통해 할당된 소켓으로 스마트기기의 연결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수락(accept)하여 채널을 형성하고, 그 결과를 제어모듈에 보고한다.
더불어, 호출모듈은 상기 전송모듈을 통해 소켓연결이 이루어졌을 경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제어부가 링크제어부를 통해 확보한 시스템 정보를 호출한다.
그리고 이때 제어모듈은, 상기 전송모듈을 통해 보고받은 사실을 바탕으로 호출모듈을 구동시켜 시스템정보를 확보하고, 이때 확보된 시스템정보를 소켓에 접속한 해당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알람모듈은 시스템정보 중에서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RSSI를 통해 확보된 수신감도가 설정치 이하로 내려갈 때 알람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모듈로 보고한다.
그리고 이때의 제어모듈은 보고받은 알람정보를 해당 스마트기기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시스템정보를 확인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알람정보를 바탕으로 통신사의 서비스서버로 데이터의 품질 변경을 요청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받게 되면 이를 확인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량 혹은 패킷 량을 재설정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컨트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스마트기기(Smart Deivce)와 소켓(Socket)통신을 위한 Prosess가 Background로 항시 실시되고 있고, 접속한 스마트기기(Smart Device)의 유효성을 판단한 후 사전에 협의된 프로토콜(Protocol) 규약에 따라 시스템 정보(System Infomation)를 할당된 소켓에 접속한 스마트기기로 내보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스마트기기는, 제작사가 제공하는 DM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DM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된 시스템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가입자 댁내장치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번거로운 절차 없이 간단하게 시스템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의 스마트기기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가입자 댁내장치가 할당한 소켓에 접속을 시도하고 화면상에는 가입자 댁내장치를 만든 제조사의 서비스창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기기가 송출된 시스템정보를 수취하게 되면, 파싱(Parsing)한 후 새로운 출력창에 가입자 댁내장치의 시스템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이때, 출력창의 상단에는 시그널의 품질과 신호강도를 표시하는 서비스 바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가입자 댁내장치의 IP주소와 포트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참고로, 출력창에 표출되는 시스템정보는, 접속한 가입자 댁내장치(CPE:Customer Premise Equipment)의 Commercial Firmware Version 정보와, 모니터링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의 IP Address정보와, 가입자 댁내장치가 Sync된 Connecting Frequency 정보와, 가입자 댁내장치와 기지국(BS: Base Station)과의 신호 강도 및 품질을 나태내는 RSSI 및 CINR정보가 표출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출력창에는 가입자 댁내장치에서 송출되고 있는 신호의 Power를 나타내는 Tx PWR정보와, 다운로드 및 업로드시 전송량을 나타내는 DL/UL MCS정보와, 가입자 댁내장치와 기지국(BS: Base Station)간의 데어터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Rx/Tx Rate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물리적인 요인이나 Device간의 내부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Network 연결이 실패하였을 때에는 재연결을 시도할 수 있는 접속창이 오픈되게 되고, 이때 접속창에 새로운 접속 IP address와 Port를 입력하여 변경된 채널로 새로운 연결을 수립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스마트기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듈, 설정모듈, 제어모듈, 수신모듈, 서비스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의 각의 모듈은 DM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기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 스마트기기는 DM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화면상에 구동 아이콘에 생성되어 있는다. 그리고 이때 구동모듈은 상기 아이콘이 터치되었을 때 터치된 사실을 제어모듈에 보고하면서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모듈은 구동모듈을 통해 보고받은 사실을 바탕으로 가입자 댁내장치가 할당한 소켓에 접속하여 연결을 요청하고 채널을 형성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은 가입자 댁내장치와 채널을 형성하는 동안 서비스모듈을 통해 화면상에 제조사가 제공한 서비스창이 오픈되도록 하여 대기 중임을 표출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기기와 가입자 댁내장치와의 소켓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면, 수신모듈은 가입자 댁내장치가 전송한 시스템정보를 수취하여 확인하고 제어모듈에 보고한다.
이때의 제어모듈은 수신모듈을 통해 수취한 시스템정보를 파싱한 후 서비스모듈이 제공한 출력창에 파싱한 시스템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의 서비스모듈은,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서비스창, 혹은 출력창 혹은 접속창을 호출하여 오픈하여 주고, 오픈된 각각의 창에 파싱한 시스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것이다.
더불어 설정모듈은 접속연결이 끊어졌을 경우,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서비스모듈이 접속창을 오픈하여 주고, 이때 오픈된 접속창에 새로운 접속 IP address와 Port정보가 입력토록 요청하고, 이의 입력이 있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이 변경된 채널로 새로운 연결을 수립하도록 설정하여 주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DM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기기를 통해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가입자 댁내장치 내부로의 접근이 용이하고, 특히 일반 사용자들도 복잡한 절차 없이 가입자 댁내장치의 연결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와 가입자 댁내장치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가 제조사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DM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상기 DM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터치하여 구동모듈을 동작시켜 주도록 한다.(S101)
이때 구동모듈은 터치된 사실을 제어모듈에 보고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보고받은 사실을 바탕으로 가입자 댁내장치로의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S102)
그리고,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는 접속을 시도한 스마트기기의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ID정보 입력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는 ID정보를 요청하면서 할당모듈과 접속모듈을 통해 소켓(Socket)을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소켓(Socket)에 IP주소(IP Address)를 부여하여 스마트기기의 소켓연결이 가능한 상태(Listen)로 만들어준다.(S103)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스마트기기가 서비스모듈을 통해 출력된 입력창(미도시)에 사용자의 ID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기기의 제어모듈은 가입자 댁내장치로 연결요청을 하면서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토록 요청한다.(S104)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가입자 댁내장치는,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기기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고, 전송모듈을 통해 스마트기기의 연결요청을 수락(accept)하고 소켓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한다.(S105)
이때,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의 제어모듈은 전송모듈을 통해 소켓연결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보고받고, 호출모듈을 통해 제어부가 확보한 시스템정보를 로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의 제어모듈은 확보한 시스템정보를 소켓연결된 스마트기기로 전송하여 주도록 한다.(S106)
그리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수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시스템정보를 수취하게 되고,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서비스모듈이 오픈한 출력창에 파싱된 시스템정보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토록 하는 것이다.(S107)
그리고 가입자 댁내장치(CPE:Customer Premise Equipment)의 알람모듈이 시스템정보를 토대로 상태 이상이 발견되게 되면 알람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이때 생성된 알람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서비스모듈이 새로운 접속창을 오픈토록하고, 이때 오픈된 접속창에 새로운 IP 어드레스와 포트의 정보를 입력토록 하여 새로운 채널을 형성토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는, 제어모듈이 알람정보를 통신사의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품질 변경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받게 되면 송수신되는 데이터량 혹은 패킷 량을 재설정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컨트롤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가입자 댁내장치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절차 없이 간단하게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가입자 댁내장치 11:접속모듈
12:제어모듈 13:할당모듈
14:호출모듈 15:전송모듈
16:알람모듈 20:스마트기기
21:구동모듈 22:설정모듈
23:수신모듈 24:제어모듈
25:서비스모듈 25a:DM어플리케이션 아이콘
25b:서비스창 25c:서비스바
25d:출력창 25e:접속창

Claims (10)

  1. 일측으로는 사설망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외부 네트워크로의 접속 연결을 서비스하는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외부에 동작상태를 광신호로 표출하여 주는 하나 이상의 LED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관리부(Power Managiment)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중계부(Transmission), 및 상기 중계부를 컨트롤하여 할당된 채널별로 네트워크접속 연결을 서비스하는 링크 제어부(Link Controller)와, 상기 링크 제어부가 동작하면서 확보된 시스템정보를 IP 주소가 할당된 소켓으로 내보내도록 컨트롤하는 제어부(Main Controll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에 대응하여 제조사가 서비스하는 DM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DM어플리케이션 구동시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가 부여한 소켓(Socket)을 통해 내부로 접근하여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가 내보낸 시스템정보(System Information)를 수취하는 한편, 이때 확보된 시스템정보를 파싱(Parsing)한 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토록 되어 있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스마트기기가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 내부로 접근하여 복잡한 절차 없이 간단하게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소켓(Socket)을 생성하고, 상기 소켓 (Socket)에 IP주소(IP Address)를 할당하여, 스마트기기가 상기 소켓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할당모듈과,
    상기 할당모듈을 통해 할당된 소켓에 스마트기기의 접속 연결이 가능한 상태(Listen)로 만들어 주는 접속모듈과,
    상기 접속모듈을 통해 할당된 소켓으로 상기 스마트기기의 연결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수락(accept)하여 채널을 형성하고, 그 결과를 제어모듈에 보고하는 전송모듈과,
    상기 전송모듈을 통해 스마트기기와의 소켓연결이 이루어졌을 경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제어부가 링크제어부를 통해 확보한 시스템 정보를 로드하는 호출모듈과,
    상기 전송모듈을 통해 보고받은 사실을 바탕으로 호출모듈을 구동시켜 시스템정보를 확보토록 지시하고, 이때 확보된 시스템정보를 소켓에 접속한 해당 스마트기기로 전송토록 컨트롤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상기 제어모듈이 호출모듈을 통해 확보한 시스템정보를 토대로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RSSI를 통해 확보된 수신감도가 설정치 이하일 경우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알람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어모듈이 알람정보를 통신사의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품질을 변경토록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받게 되면 이를 확인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량 혹은 패킷 량을 재설정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DM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아이콘이 터치된 사실을 제어모듈에 보고하는 구동모듈과,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가입자 댁내장치와의 소켓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면, 가입자 댁내장치가 전송한 시스템정보를 수취하는 수신모듈과,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보고받은 사실을 바탕으로 가입자 댁내장치가 할당한 소켓에 접속하여 연결을 요청하고, 수신모듈을 통해 확보된 시스템정보를 파싱(Parsing)한 후 서비스모듈을 통해 오픈된 각각의 창에 파싱된 시스템정보를 출력토록 컨트롤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서비스창, 혹은 출력창 혹은 접속창을 호출하여 오픈하여 주고, 오픈된 각각의 창에 파싱한 시스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서비스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알람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서비스모듈이 접속창을 오픈하여 주고, 이때 오픈된 접속창에 새로운 접속 IP address와 Port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고, 이의 입력이 있게 되면 변경된 채널로 새로운 연결을 수립토록 하는 설정모듈을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모듈이 오픈한 출력창에는 접속한 가입자 댁내장치(CPE:Customer Premise Equipment)의 Commercial Firmware Version 정보와, 모니터링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의 IP Address정보와, 가입자 댁내장치가 Sync된 Connecting Frequency 정보와, 가입자 댁내장치와 기지국(BS: Base Station)과의 신호 강도 및 품질을 나태내는 RSSI 및 CINR정보와, 가입자 댁내장치에서 송출되고 있는 신호의 Power를 나타내는 Tx PWR정보와, 다운로드 및 업로드시 전송량을 나타내는 DL/UL MCS정보와, 가입자 댁내장치와 기지국(BS: Base Station)간의 데어터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Rx/Tx Rate정보가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8. 스마트기기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DM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터치하여 구동모듈을 동작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 구동모듈이 터치된 사실을 제어모듈에 보고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보고받은 사실을 바탕으로 가입자 댁내장치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는 접속을 시도한 스마트기기의 사용자의 ID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의 할당모듈과 접속모듈을 통해 소켓(Socket)을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소켓(Socket)에 IP주소(IP Address)를 부여하여 스마트기기와의 소켓연결이 가능한 상태(Listen)로 만들어주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가 서비스모듈을 통해 출력된 입력창에 사용자의 ID가 입력되게 되면, 상기 스마트기기의 제어모듈은 가입자 댁내장치로 연결요청을 하면서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토록 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가 접속을 요청한 스마트기기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고, 전송모듈을 통해 스마트기기와의 연결요청을 수락(accept)하여 소켓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의 제어모듈이 전송모듈을 통해 소켓연결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보고받게 되면, 호출모듈을 통해 제어부가 확보한 시스템정보를 로딩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의 제어모듈은 확보한 시스템정보를 소켓연결된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가 수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시스템정보를 수취하게 되고,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서비스모듈이 오픈한 출력창에 파싱된 시스템정보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토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CPE: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제어모듈이 생성된 알람정보를 통신사의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품질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가 서비스서버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을 받게 되면, 이를 확인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량 혹은 패킷 량을 재설정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컨트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확인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CPE:Customer Premise Equipment)는 알람모듈이 시스템정보를 토대로 상태 이상이 발견되게 되면, 알람정보를 생성토록 하고, 이때 생성된 알람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전송토록 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가 알람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서비스모듈이 새로운 접속창을 오픈토록하고, 이때 오픈된 접속창에 새로운 IP 어드레스와 포트의 정보를 입력토록 요청하여 새로운 채널을 형성토록 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확인방법.
  10. 삭제
KR1020120063942A 2012-06-14 2012-06-14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확인방법. KR101376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942A KR101376282B1 (ko) 2012-06-14 2012-06-14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확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942A KR101376282B1 (ko) 2012-06-14 2012-06-14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확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494A KR20130140494A (ko) 2013-12-24
KR101376282B1 true KR101376282B1 (ko) 2014-04-17

Family

ID=4998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942A KR101376282B1 (ko) 2012-06-14 2012-06-14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확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2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134A (ko) * 2004-03-22 2005-09-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중계기 제어 단말 및 그 제어 방법과, 중계기 통합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47764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134A (ko) * 2004-03-22 2005-09-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중계기 제어 단말 및 그 제어 방법과, 중계기 통합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47764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494A (ko) 201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52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multiple band service discovery
CN110771188B (zh) 用于提供运营商专用服务的设备和方法
US9204470B2 (en) Method for a wireless target device to automatically connect to a target network, wireless network system with automatic network setting ability, and wireless target device thereof
WO20160031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rofile of terminal in mobile network
KR102025754B1 (ko)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
CN102123021B (zh) 半持续性传输资源处理方法与通讯装置
CN111819893A (zh) 下行定位参考信号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2477358B1 (en) Generating a network map
CN103941651A (zh) 一种基于互联网的智能家居系统和控制方法
EP3813412B1 (en) Method for measuring beams, network side device,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EP3866536A1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9644491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163144B (zh) 物联网模块、物联控制方法及智能设备
TWI738161B (zh) 資料傳輸方法、網路側設備及使用者設備
CN104967560A (zh) 实现与网关管理的设备的联动方法和装置
JP7392175B2 (ja) リンク状態の変換方法及び通信機器
US116118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wireless base station antennas to support macro base station MIMO communications with user equipment devices
KR101376282B1 (ko) 용이하게 가입자 댁내장치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확인방법.
KR102449523B1 (ko) 정보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CN110972280B (zh) 一种资源配置方法、信息发送方法及装置
CN105165036B (zh) Csi测量资源的配置方法、csi上报方法、基站及用户设备
KR101183885B1 (ko) 다양한 서비스 모듈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홈 게이트웨이
KR20130057638A (ko) 통신망 관리 시스템 및 통신망 관리 방법
KR102085584B1 (ko) 무선랜 트래픽 분산 시스템 및 방법
WO2022153418A1 (ja) 端末、基地局、及び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