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051B1 -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051B1
KR101376051B1 KR1020130120441A KR20130120441A KR101376051B1 KR 101376051 B1 KR101376051 B1 KR 101376051B1 KR 1020130120441 A KR1020130120441 A KR 1020130120441A KR 20130120441 A KR20130120441 A KR 20130120441A KR 101376051 B1 KR101376051 B1 KR 101376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scon
oil
resi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응
서민기
Original Assignee
서울아스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아스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아스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7Recycled materials, i.e. waste materials re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am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아스콘의 재생과정에 있어서 폐아스콘의 가열 직후, 오일과 폐비닐수지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열분해시켜 수득되는 오일수지 열분해물 및 비닐단량체를 포함하는 보강제를 혼합하고, 그로부터 수득되는 생성물을 신재(new material)와 혼합함으로써 보강제의 구재 아스콘에의 코팅비를 높임과 동시에 그에 따라 수득되는 재생 아스콘의 물성, 특히 강도를 개선시키며, 특히 폐비닐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수지기반 오일첨가제의 사용으로 자원의 재활용 및 수득되는 재생 아스콘의 점착성, 탄성 및 강도 등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Resin-reinforced recycled asc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road paving method}
본 발명은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과정에 있어서 폐아스콘의 가열 직후, 오일과 폐비닐수지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열분해시켜 수득되는 오일수지 열분해물 및 비닐단량체를 포함하는 보강제를 혼합하고, 그로부터 수득되는 생성물을 신재(new material)와 혼합함으로써 보강제의 구재 아스콘에의 코팅비를 높임과 동시에 그에 따라 수득되는 재생 아스콘의 물성, 특히 강도를 개선시키며, 특히 폐비닐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수지기반 오일첨가제의 사용으로 자원의 재활용 및 수득되는 재생 아스콘의 점착성, 탄성 및 강도 등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스콘(아스팔트콘크리트)은 아스팔트와 콘크리트가 결합된 것으로서 도로 등의 건설에 선호되고 있는 재료이다. 그러나 이러한 아스콘은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기에 일정기간이 지나면 교체를 해야 하고, 또한 지하 매설물 공사 등으로 인해 도로 포장을 걷어내야 하기에 그로 인해 다량 배출되는 폐아스콘의 처리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이다. 따라서 이러한 폐아스콘의 재활용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아스콘에서 사용되는 아스팔트는 크게 아스팔텐, 레진, 방향족 탄화수소 및 포화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원유를 분류할 때 최종적으로 남는 찌꺼기이기에 일종의 공해물질이다. 그러므로 폐아스콘을 지상 또는 지중에 폐기하면 이에 포함된 아스팔트에 의해 지하수 및 하천, 강 등을 오염시켜 심각한 공해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폐아스콘은 공해를 일으키는 산업폐기물로서 분류되고 있다. 따라서 폐아스콘으로 인한 공해 발생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이를 재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폐아스콘 재활용 기술로서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기술은 고온 혼합(Hot Mix) 방식이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재포장 현장에서 직접 가열하여 폐아스콘을 회수한 후에 폐아스콘(구재 아스콘)과 신재 아스콘, 그리고 재생첨가제(rejuvenator)를 적정 배합하여 현장에서 바로 재포장하는 가열현장재활용(Hot-In-Place Recycling) 공법과 폐아스콘을 아스콘 플랜트로 회수하여 재분쇄 및 분리과정을 거친 후에 신재 아스콘 및 재생첨가제와 함께 플랜트 믹서 내에서 적정 혼합하여 재포장용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는 가열플랜트재활용(Hot-In-Plant Recyclimg) 공법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공법에 사용되는 재생첨가제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미국특허 제4,373,961호에서는 특수한 유화아스팔트를 사용하여 노후한 폐아스콘을 잘게 부수어서 상온에서 배합하여 재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면서 재생용 첨가제로서 물과 유화제를 사용한 유화아스팔트를 사용하고 재포장 방법 또한 상온 포장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특히 상온 포장을 위해서는 폐아스콘을 플랜트로 수거해서 크러셔(Crusher)로 잘게 부순 상태에서 특별히 제조된 유화아스팔트를 상온에서 배합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3,793,189호에서는 노후된 아스팔트의 성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초임계 유체 분리방법인 프로판을 용매로 한 탈력유(Deasphaltde Oil)와 중질경유(Heavy Distillate) 그리고 석유 잔사유(Residual Oil)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3,221,615호에서는 콜타르(Coal tar)유도체를 이용하여 노화 아스팔트의 성상을 회복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 때 사용된 재생용 첨가제는 콜타르에서 추출한 것으로 방향족 벤젠 고리가 2 내지 4개이면서 페놀릭(Phenolic)과 히드록시(hydroxy) 유도체를 가지고 있는 알킬 화합물의 기능 그룹을 가지는 화합물로 한정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278,469호에서는 도로 보수 및 표면 처리용 재생첨가제로서 아스팔트에서 추출한 일부 유분과 특정 고분자 그리고 중질 방향족 용제를 혼합한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325,738호에서는 쉘오일(shale oil)에서 추출한 피리딘(pyridine) 계열의 혼합물에 산염(Acid salts)을 첨가하여 아스팔트의 노화를 개선하는 재생첨가제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549,834호에서는 아스팔틱유(Asphaltic oil)와 레진(resin), 그리고 피치(pitch)로 구성된 폐아스콘 재생용의 재생첨가제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캐나다특허 제2,304,260호에서는 하수 오물 내에 슬러지(Sludge)에서 추출한 오일을 활용한 재생용 첨가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폐아스콘 재생첨가제는 콜타르 유도체나 중질유 접촉분해공정 등에서 부수적으로 생성되는 슬러지 오일 등을 사용하기에 성분 함량과 성능이 항상 동일한 제품을 생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환경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끼쳤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6301호는 시판되고 있는 고급 기유를 사용하여 폐아스콘의 재활용을 위한 재생첨가제를 기술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생첨가제가 폐아스팔트의 성상 복원 능력이 클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직접 폐아스콘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오염도가 낮아 환경에도 안정하다는 점을 특징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러한 고가의 고급 기유를 폐아스콘의 재생에 사용하는 것은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본래의 취지에서 역행하고 있는 것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재생아스콘의 제조의 경우, 폐아스콘 즉, 회수된 아스콘을 분쇄 및 이물질 분리 등의 전처리를 수행한 다음, 130 내지 150℃의 온도범위로 가열되는 간접가열식 드라이어에서 가열시켜 사일로에 저장하고, 계속해서 상기 구재 아스콘의 중량 대비 신재 아스콘을 계량하여 투입하고, 재생첨가제를 투입하고 재혼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재생아스콘의 제조방법의 경우, 구재 아스콘과 신재 아스콘의 혼합 상태에서 소량의 재생첨가제를 투입하여 혼합하기 때문에 재생첨가제가 특히 구재 아스콘에만 코팅되지 않고, 신재 아스콘에도 함께 코팅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량 사용되는 재생첨가제가 구재 아스콘에 충분히 고르게 코팅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플랜트믹서의 히터가 내벽에 설치되기 때문에 중심부에 위치하는 구재 아스콘은 충분히 가열되지 못하고, 그에 따라 재생첨가제가 고르게 코팅되는 것을 더욱 방해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코팅율이 50% 또는 그 이하로까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생 아스콘의 경우, 신재 아스콘에 비해서는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폐아스콘의 가열 직후, 오일과 폐비닐수지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열분해시켜 수득되는 오일수지 열분해물 및 비닐단량체를 포함하는 보강제를 혼합하고, 그로부터 수득되는 생성물을 신재(new material)와 혼합함으로써 보강제의 구재 아스콘에의 코팅비를 높임과 동시에 그에 따라 수득되는 재생 아스콘의 물성, 특히 강도를 개선시키며, 특히 폐비닐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수지기반 오일첨가제의 사용으로 자원의 재활용 및 수득되는 재생 아스콘의 점착성, 탄성 및 강도 등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은, 130 내지 150℃로 가열된 폐아스콘에 보강제를 혼합하되, 상기 보강제를 상기 폐아스콘에 포함된 노화된 아스팔트의 총중량의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혼합하며, 상기 보강제는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수득되는 오일수지 열분해물 100중량부에 비닐단량체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여기에서 상기 오일부는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VHGO(Vacuum High Boiling point Gas Oil)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닐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t-부틸 스티렌 등과 같은 방향족비닐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비닐시안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을 포함하는 도로포장 조성물은 상기 재생 아스콘 30 내지 80중량%와 신재 아스콘 70 내지 20중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의 제조방법은, (1)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VHGO(Vacuum High Boiling point Gas Oil)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수득되는 열분해단계; (2) 수거된 폐아스콘을 조분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3) 상기 전처리된 폐아스콘을 130 내지 15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4) 상기 가열단계 이후,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 100중량부와 비닐단량체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시켜서 수득되는 보강제를 상기 폐아스콘에 투입하되, 상기 폐아스콘에 포함되어 있는 노화 아스팔트의 총중량의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투입하고 혼합하여 재생 아스콘을 수득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은, (1)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VHGO(Vacuum High Boiling point Gas Oil)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수득되는 열분해단계; (2) 수거된 폐아스콘을 조분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3) 상기 전처리된 폐아스콘을 130 내지 15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4) 상기 가열단계 이후,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 100중량부와 비닐단량체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시켜서 수득되는 보강제를 상기 폐아스콘에 투입하되, 상기 폐아스콘에 포함되어 있는 노화 아스팔트의 총중량의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투입하고 혼합하여 재생 아스콘을 수득하는 혼합단계; 및 (5)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상기 재생 아스콘 30 내지 80중량%와 신재 아스콘 70 내지 20중량%을 혼합하고, 이를 노면 상에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과 상기 비닐단량체의 혼합이 상기 포장단계를 수행하기 직전에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과정에 있어서 폐아스콘의 가열 직후, 오일과 폐비닐수지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열분해시켜 수득되는 오일수지 열분해물 및 비닐단량체를 포함하는 보강제를 혼합하고, 그로부터 수득되는 생성물을 신재(new material)와 혼합함으로써 보강제의 구재 아스콘에의 코팅비를 높임과 동시에 그에 따라 수득되는 재생 아스콘의 물성, 특히 강도를 개선시키며, 특히 폐비닐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수지기반 오일첨가제의 사용으로 자원의 재활용 및 수득되는 재생 아스콘의 점착성, 탄성 및 강도 등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은, 130 내지 150℃로 가열된 폐아스콘에 보강제를 혼합하되, 상기 보강제를 상기 폐아스콘에 포함된 노화된 아스팔트의 총중량의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혼합하며, 상기 보강제는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수득되는 오일수지 열분해물 100중량부에 비닐단량체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여기에서 상기 오일부는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VHGO(Vacuum High Boiling point Gas Oil)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폐아스콘을 재생함에 있어서 재생을 위한 첨가제로서 다른 용도로의 활용도가 높은 기유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재생 아스콘의 물성을 신재 아스콘과 유사하게 하여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본래의 의도를 충실히 하고자 기유를 사용하는 종래의 첨가제 대신 폐수지와 오일의 혼합물을 열분해시킨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사용하며 동시에 이 오일수지 열분해물이 합성수지 분해물로서 높은 수준의 탄화수소 함량을 가지는 것에 착안하여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에 비닐단량체를 혼합하는 것에 의하여 수득되는 보강제를 구재 아스콘(폐아스콘)의 초기 가열 시에 바로 혼합시킴으로써 특히 재생시키고자 하는 구재 아스콘의 표면에 첨가제가 충분히 고르게 코팅되도록 하며, 또한 도로포장 이후 상기 비닐단량체 단독 또는 상기 비닐단량체와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구성하는 탄화수소 간의 중합에 의하여 수득되는 수지가 구재 아스콘이나 골재들과 같은 고형분들을 서로 결합시켜 포장 직후 초기 강도의 향상은 물론 수득되는 포장재의 마샬안정도, 동적안정도 등의 물성을 현저히 개선시키고, 포장면의 밀도가 증가되고, 공극률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9839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재 아스콘(폐아스콘)을 신재 아스콘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성능을 갖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참조로 인용한다.
먼저 아스팔트 노화에 따른 성분 변화를 알아보는 실험을 통해 신재 아스콘과 구재 아스콘의 성분 분석을 불꽃이온화 검출기를 사용하는 박막크로마토그래피(TLC-FID ; Thin Layer Chromatography - Flame Ionization Detecto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신재 아스콘의 아스팔트 바인더 구재 아스콘의 아스팔트 바인더
오일 포화 탄화수소 3 - 5 1 - 4
방향족 탄화수소 45 - 65 12 - 17
레진 15 - 30 30 - 50
아스팔텐 20 - 35 25 - 40
상기 성분 중의 포화 탄화수소는 분자량이 가장 적은 유분으로 이중결합이나 방향족 고리가 없는 담황색의 화합물이고, 방향족 탄화수소는 방향족 고리를 1개 이상 함유하는 유분으로서 포화 탄화수소를 제외한 나머지 유분을 일컫는다. 이들 오일은 아스팔트 중에서 분산매 역할을 하며, 아스팔트의 점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레진은 아스팔트에 접착성과 가소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유동특성을 좌우하며, 아스팔텐은 오일에 분산되어 있으며, 아스팔트의 단단함 등 경도 특성을 좌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아스콘이 도로에 포장되어 공용됨에 따라 아스콘이 노화되어 신재 아스콘에 비하여 아스팔텐 및 레진의 함량비가 높아지고, 오일분으로서의 방향족 탄화수소 및 포화 탄화수소의 함량비가 작아져, 침입도가 낮고 단단하며, 쉽게 깨지는 성질을 가지게 되어 균열이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오일분으로서의 방향족 탄화수소 및 포화 탄화수소를 보충하면서 동시에 활용도가 높고, 고가인 기유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구재 아스콘의 표면을 첨가제가 충분히 코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폐비닐수지로 개량시킨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사용하여 구재 아스콘의 재생에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에 이르렀으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에 비닐단량체를 더 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비닐단량체가 단독으로 또는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과 함께 중합되어 고분자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특히 경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오일수지 열분해물은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 더 좋게는 250℃내지 350℃ 범위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수득된 것이다. 상기에서 오일부는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VHGO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VHGO는 Vacuum High Boiling point Gas Oil의 약자로서 이는 진공 하, 고비점의 기체상 오일을 의미하며, 원유의 감압 증류 공정에서 생산되는 반제품으로 주로 산업용 아스팔트를 제조하는데 연화제 및 침입도 조절재로 사용된다. 이는 레진 및 아스팔텐의 비율이 작고, 유분 특히 방향족 탄화수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노화된 아스팔트에 첨가하면, 노화된 아스팔트의 성분이 신제 아스콘과 유사하게 할 수 있어 폐아스콘의 재생용 첨가제로서 적합하다. 상기 VHGO는 비점이 250 내지 650℃의 범위 이내, 점도(70℃, SFS(Saybolt Furol Second) 60 내지 100SFS의 범위 이내, 인화점(COC ; Cleaveland Open Cup)(℃) 205 이상, 톨루엔 가용분(%) 99 이상인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VHGO는 상기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7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VHGO가 3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아스콘의 연화 및 침입도 조절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7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성분 특히 아로마틱기유의 함량이 부족하게 되어 역시 방향족 탄화수소의 보충이 불충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한 VHGO 만으로는 노화된 아스콘을 신재 아스콘과 동일 또는 유사한 성분으로 조절하는 데는 VHGO에 존재하는 유분의 함량을 높일 필요성이 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로마틱계 프로세스오일과 파라핀계 프로세스오일을 적용하여 아스콘의 노화에 따라 감소된 성분인 방향족 탄화수소 유분을 보충하여 보다 우수한 성상 복원 능력 및 재생 첨가제의 성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 VHGO의 성분 분석을 불꽃이온화 검출기를 사용하는 박막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목 VHGO 오일
오일 포화 탄화수소 18 - 23
방향족 탄화수소 49 - 53
레진 11 - 16
아스팔텐 10 - 15
상기 아로마틱계 프로세스오일(점도(100℃) 82 내지 125sus(Saybolt Universal Second), 인화점 220℃ 이상) 및 상기 파라핀계 프로세스오일(점도(100℃) 30.5 내지 32.5cSt(센티스토크))은 당업자에게는 상용적으로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상기 아로마틱기유는 상기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그리고 상기 파라핀기유는 상기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상기 VHGO의 사용량에 따라 그 혼합비가 적의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VHGO : 아로마틱 기유 : 파라핀기유가 중량비로 약 5 : 3 : 2의 비율이 되도록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비는 본 발명에 따라 폐아스콘을 재생하기에 특히 적절한 혼합비로 본 발명자들의 반복 실험을 통해 실험적으로 얻어진 혼합비이다.
상기 아로마틱기유와 파라핀기유의 물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으나, 본 발명이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성 아로마틱 기유 파라핀 기유
비중(specific gravity) 15/4℃ 0.95 - 1.02 0.88 - 0.96
인화점(flash point) C.O.C 250 - 280 290 이상
동점도(kinematic viscosity) 40℃ cSt - 400 - 550
100℃ cSt 20 - 25 -
유동점(pour point) ℃ + 7.5 - 5.0 이하
부식성(corrosive test) 100℃, 3시간 1a 1a
아닐린점(aniline point) ℃ - 120 - 140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수득된 것이며, 오일부가 50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오일부의 함량이 너무 적어져서 폐아스콘의 재생을 위한 유분의 보충이 부족하게 되어 아스콘의 연화 및 침입도 조절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9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폐비닐수지의 함량이 적어져서 다른 활용도가 높은 고가의 기유의 사용량의 증대로 인한 폐자원의 재활용이 충분치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조건은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킨 것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가 아닌 경우에는 산소로 인하여 열분해 과정에서 가해지는 열로 인하여 오일부의 오일이나 폐비닐수지 또는 수지의 열분해물들이 부분적으로 산화되어 물성의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열분해의 온도가 250℃ 미만으로 되는 경우, 열분해를 위한 온도가 낮아 열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500℃를 초과하는 것은 폐비닐수지의 과분해를 유발 및 오일 분의 증발 손실을 유발하여 역시 폐아스콘의 재생을 위한 수지기반 오일첨가제로서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열처리를 위한 에너지의 낭비라는 문제점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시간은 열처리에 적용되는 폐비닐수지의 조성, 상기 오일수지 혼합물의 양이나 공급방식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반복적인 실험을 통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 수치로서 상기한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열분해가 충분치 못하게 되거나 폐비닐 수지의 과분해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열분해 조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득된 오일수지 열분해물이 폐아스콘에 포함되어 있는 노화 아스팔트의 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역시 유분의 보충이 불충분하게 되어 수득되는 재생 아스콘의 물성 즉, 아스콘의 연화 및 침입도 조절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역시 수득되는 재생 아스콘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득되는 재생 아스콘 30 내지 80중량%에 신재 아스콘 70 내지 20중량%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충분히 안정적인 물성을 갖는 아스콘을 상용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비닐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t-부틸 스티렌 등과 같은 방향족비닐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비닐시안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가 될 수 있다. 상기 비닐단량체는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과 혼합되어 본 발명에 따라 폐아스콘을 재생하여 재활용하도록 하는 재생 아스콘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보강제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비닐단량체들은 노면에 도포된 후 자외선이나 열 등에 의해서도 중합될 수 있기는 하나, 특히 중합개시제의 존재에 의하여 중합이 가속될 수 있으며, 상기 중합 개시제로는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스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황산염 등과 같은 과산화물 및 소디움포름알데히드술폭실레이트, 소디움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황산제1철, 덱스트로오스, 피로인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등과 같은 환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산화-환원 촉매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상기 비닐단량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2 내지 0.3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을 포함하는 도로포장 조성물은 상기 재생 아스콘 30 내지 80중량%와 신재 아스콘 70 내지 20중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의 제조방법은, (1)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VHGO(Vacuum High Boiling point Gas Oil)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수득되는 열분해단계; (2) 수거된 폐아스콘을 조분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3) 상기 전처리된 폐아스콘을 130 내지 15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4) 상기 가열단계 이후,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 100중량부와 비닐단량체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시켜서 수득되는 보강제를 상기 폐아스콘에 투입하되, 상기 폐아스콘에 포함되어 있는 노화 아스팔트의 총중량의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투입하고 혼합하여 재생 아스콘을 수득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열분해단계는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VHGO(Vacuum High Boiling point Gas Oil)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수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 단계에서 수득되는 열분해물이 구재 아스콘을 재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2)의 전처리단계는 수거된 폐아스콘을 조분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수거된 폐아스콘을 재생하기에 적절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3)의 가열단계는 상기 전처리된 폐아스콘을 130 내지 15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폐아스콘이 상기 열분해물과 잘 혼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4)의 혼합단계는 상기 가열단계 이후,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 100중량부와 비닐단량체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시켜서 수득되는 보강제를 상기 폐아스콘에 투입하되, 상기 폐아스콘에 포함되어 있는 노화 아스팔트의 총중량의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투입하고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은, (1)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VHGO(Vacuum High Boiling point Gas Oil)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수득되는 열분해단계; (2) 수거된 폐아스콘을 조분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3) 상기 전처리된 폐아스콘을 130 내지 15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4) 상기 가열단계 이후,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 100중량부와 비닐단량체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시켜서 수득되는 보강제를 상기 폐아스콘에 투입하되, 상기 폐아스콘에 포함되어 있는 노화 아스팔트의 총중량의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투입하고 혼합하여 재생 아스콘을 수득하는 혼합단계; 및 (5)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상기 재생 아스콘 30 내지 80중량%와 신재 아스콘 70 내지 20중량%을 혼합하고, 이를 노면 상에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열분해단계는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VHGO(Vacuum High Boiling point Gas Oil)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수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 단계에서 수득되는 열분해물이 구재 아스콘을 재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2)의 전처리단계는 수거된 폐아스콘을 조분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수거된 폐아스콘을 재생하기에 적절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3)의 가열단계는 상기 전처리된 폐아스콘을 130 내지 15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폐아스콘이 상기 열분해물과 잘 혼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4)의 혼합단계는 상기 가열단계 이후,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 100중량부와 비닐단량체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시켜서 수득되는 보강제를 상기 폐아스콘에 투입하되, 상기 폐아스콘에 포함되어 있는 노화 아스팔트의 총중량의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투입하고 혼합하여 재생 아스콘을 수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5)의 포장단계는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상기 재생 아스콘 30 내지 80중량%와 신재 아스콘 70 내지 20중량%을 혼합하고, 이를 노면 상에 포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노면 상에의 아스콘의 포장은 당업자에게는 아스콘을 포장하는 시공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용이하게 이를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포장단계의 순서는 일반적으로 (a) 골재 포설 및 다짐 작업, (b) 비후다를 이용한 프라임 코팅, (c) 아스콘 포장에 의한 기층 형성 및 (d) 마케덤, 타이어로라 및 탄뎀로라를 이용한 다짐 및 마무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면층 만을 얇게 포설하거나 달리 필요한 부분 만을 보수하는 등의 포장 역시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과 상기 비닐단량체의 혼합이 상기 포장단계를 수행하기 직전에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닐단량체의 사전 중합을 피하고,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포함하는 재생 아스콘의 유동성 및 작업성 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라 VHGO 50중량%, 아로마틱기유 30중량% 및 파라핀기유 20중량%를 혼합하여 오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오일부 50중량%와 폐비닐수지 50중량%를 혼합하여 수득되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질소분위기 하에서 28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오일수지 열분해물의 물성을 분석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라 VHGO 35중량%, 아로마틱기유 40량% 및 파라핀기유 25중량%를 혼합하여 오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오일부 70중량%와 폐비닐수지 30중량%를 혼합하여 수득되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질소분위기 하에서 30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오일수지 열분해물의 물성을 분석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라 VHGO 60중량%, 아로마틱기유 20중량% 및 파라핀기유 20중량%를 혼합하여 오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오일부 90중량%와 폐비닐수지 10중량%를 혼합하여 수득되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질소분위기 하에서 30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수지기반 오일첨가제의 물성을 분석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물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점도(cSt), 100℃ 218 140 68
인화점(℃) 240 이상 240 이상 240 이상
포화 탄화수소(중량%) 25 25 26
실시예 4
별도로, 수거된 폐아스콘을 조분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를 140℃의 온도로 가열한 후, 여기에 실시예 1의 오일수지 열분해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비닐단량체로서 아크릴로니트릴 20중량부를 혼합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제를 폐아스콘에 포함된 노화아스팔트의 10중량% 추가한 후 혼합하여 수득한 재생 아스콘 50%와 잔량으로서 상기 온도범위로 가열된 신재 아스콘(50중량%)을 혼합하여 재생 아스콘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재생 아스콘을 이용하여 양면 각 75회 다짐을 실시하여 마샬 공시체를 제작하여 마샬 안정도 등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의 보강제를 폐아스콘에 포함된 노화아스팔트의 10중량% 대신 20중량%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재생 아스콘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재생 아스콘을 이용하여 양면 각 75회 다짐을 실시하여 마샬 공시체를 제작하여 마샬 안정도 등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별도로, 수거된 폐아스콘을 조분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를 140℃의 온도로 가열한 후, 여기에 실시예 4의 보강제를 폐아스콘에 포함된 노화아스팔트의 10중량% 추가한 후 혼합하여 수득한 구재 아스콘 70%와 잔량으로서 상기 온도범위로 가열된 신재 아스콘(30중량%)을 혼합하여 재생 아스콘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재생 아스콘을 이용하여 양면 각 75회 다짐을 실시하여 마샬 공시체를 제작하여 마샬 안정도 등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2의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재생 아스콘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재생 아스콘을 이용하여 양면 각 75회 다짐을 실시하여 마샬 공시체를 제작하여 마샬 안정도 등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3의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재생 아스콘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재생 아스콘을 이용하여 양면 각 75회 다짐을 실시하여 마샬 공시체를 제작하여 마샬 안정도 등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골재 입도를 가지고, 바인더로서 침입도가 60에서 80인 아스팔트를 사용한 신재아스콘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신제 아스콘을 이용하여 양면 각 75회 다짐을 실시하여 마샬 공시체를 제작하여 마샬 안정도 등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비닐단량체를 추가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스콘 도막물성, 내마모율 및 아스콘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역시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1) 아스콘 도막물성 : 1년 경과동안 아스콘에 부착된 도막의 외관중 도막 탈락, 균열상태 등을 육안으로 관찰.
양호: 외관이상 없음/ 불량: 균열이 있음/ 매우불량: 도막 탈락 및 균열.
(2) 내마모율 : EN1436, 13197 기준 및 측정.
(3) 롤러(roller) 작업성 : 롤러로 도장 시 점도가 적절하지 않아 롤러 마크가 남는다거나 다른 외관상의 이상이 발견되는가를 체크.
양호: 외관이상 없음/ 불량: 롤러 마크가 남음.
(4) 인장강도비(TSR: Tensile Strength Ratio): 수분에 대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건조상태의 아스팔트 혼합물의 간접인장강도와 수분포화 후의 간접인장강도비
물성 비교예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안정도(㎏f) 1100 1220 1170 1275 1160 1035
흐름값(1/100㎝) 32 28 33 24 34 31
공극율(%) 5.0 4.4 4.2 4.0 4.9 4.5
아스콘 도막물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내마모율
(50만회, %)
2.56 0.33 0.46 0.43 0.37 0.41
롤러 작업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장강도비(%) 77 83 85 82 81 82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상기 표 5에서는 포장용 아스콘에 널리 사용되는 신재 아스콘(침입도 등급 60 내지 80 아스팔트 사용)의 물리적 성질 나타내었다.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아스콘의 경우, 안정도, 흐름값 및 아스콘 도막물성 등의 물성이 신재 아스콘과 거의 유사하면서도 강도가 향상되어 내마모율이 향상되고, 그리고 롤러 작업성에도 영향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장강도비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되는 도로를 포장하는 포장재에 의해 형성되는 포장면의 밀도가 증가되고 공극률이 감소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노면의 균열과 변형을 방지하고, 장기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어 도로 보수에 따른 복잡한 도시교통 장해가 해소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폐수지의 처리 및 재활용 산업, 아스콘 재생 산업, 도로 포장 산업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30 내지 150℃로 가열된 폐아스콘에 보강제를 혼합하되, 상기 보강제를 상기 폐아스콘에 포함된 노화된 아스팔트의 총중량의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혼합하며, 상기 보강제는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수득되는 오일수지 열분해물 100중량부에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t-부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비닐단량체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여기에서 상기 오일부는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VHGO(Vacuum High Boiling point Gas Oil)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
삭제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재생 아스콘 30 내지 80중량%와 신재 아스콘 70 내지 20중량%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을 포함하는 도로포장 조성물.
(1)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VHGO(Vacuum High Boiling point Gas Oil)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수득되는 열분해단계;
(2) 수거된 폐아스콘을 조분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3) 상기 전처리된 폐아스콘을 130 내지 15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4) 상기 가열단계 이후,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 100중량부와 비닐단량체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시켜서 수득되는 보강제를 상기 폐아스콘에 투입하되, 상기 폐아스콘에 포함되어 있는 노화 아스팔트의 총중량의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투입하고 혼합하여 재생 아스콘을 수득하는 혼합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의 제조방법.
(1) 오일부 총량을 기준으로 VHGO(Vacuum High Boiling point Gas Oil)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오일수지 열분해물을 수득되는 열분해단계;
(2) 수거된 폐아스콘을 조분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3) 상기 전처리된 폐아스콘을 130 내지 15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4) 상기 가열단계 이후,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 100중량부와 비닐단량체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시켜서 수득되는 보강제를 상기 폐아스콘에 투입하되, 상기 폐아스콘에 포함되어 있는 노화 아스팔트의 총중량의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투입하고 혼합하여 재생 아스콘을 수득하는 혼합단계; 및
(5)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상기 재생 아스콘 30 내지 80중량%와 신재 아스콘 70 내지 20중량%을 혼합하고, 이를 노면 상에 포장하는 포장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오일수지 열분해물과 상기 비닐단량체의 혼합이 상기 포장단계를 수행하기 직전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20130120441A 2013-10-10 2013-10-10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1376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441A KR101376051B1 (ko) 2013-10-10 2013-10-10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441A KR101376051B1 (ko) 2013-10-10 2013-10-10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051B1 true KR101376051B1 (ko) 2014-04-01

Family

ID=5065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441A KR101376051B1 (ko) 2013-10-10 2013-10-10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218B1 (ko) * 2022-06-03 2023-07-07 한국화학연구원 아스콘 탈취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콘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336A (ko) * 2005-08-19 2005-09-13 홍영근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0898393B1 (ko) * 2009-02-09 2009-05-18 (주)현대아스콘 재생 아스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25081A (ko) * 2008-08-27 2010-03-09 최재영 새로운 혼재폐비닐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34408B1 (ko) * 2009-12-03 2013-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칭형 다중가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336A (ko) * 2005-08-19 2005-09-13 홍영근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100025081A (ko) * 2008-08-27 2010-03-09 최재영 새로운 혼재폐비닐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898393B1 (ko) * 2009-02-09 2009-05-18 (주)현대아스콘 재생 아스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34408B1 (ko) * 2009-12-03 2013-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칭형 다중가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218B1 (ko) * 2022-06-03 2023-07-07 한국화학연구원 아스콘 탈취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콘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393B1 (ko) 재생 아스콘 및 그의 제조방법
Han et al.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terminal blend tyre rubber modified asphalt
EP1740676B1 (en) Asphalt mastic utilizing petroleum refinery waste solids
Pyshyev et al. Polymer modified bitumen
Gawande et al. An overview on waste plastic utilization in asphalting of roads
CN112125575B (zh) 一种高效再生沥青混合料及其制备工艺
CN104119032B (zh) 一种高rap掺量的sbs沥青混合料再生方法
KR20090096407A (ko) 아스팔트 골재의 제조 및 재생 아스팔트의 재사용 방법
KR20130067292A (ko) 고무 및 왁스를 포함하는 응집체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응집체, 및 아스팔트 또는 역청 물질에서의 상기 응집체의 용도
CN105255206A (zh) 一种温拌再生沥青及其制备方法
CN109526224B (zh) 沥青组合物、蜡混合物和沥青组合物的用途、沥青混料组合物和制造沥青混料路面的方法
CN104262889A (zh) 含有煤直接液化残渣的抗车辙添加剂、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49311B1 (ko)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공법
CN107651887B (zh) 一种高模量橡胶沥青混合料及其制备方法
Honarmand et al. Bitumen and its modifier for use in pavement engineering
Widyatmoko Sustainability of bituminous materials
Nemade et al. Utilization of polymer waste for modification of bitumen in road construction
Yang et al. Performance of the heavy fraction of pyrolysis oil derived from waste printed circuit boards in modifying asphalt
CN101824176B (zh) 沥青热再生改性剂
CN110283616B (zh) 一种废旧轮胎热裂解再生炭黑改性材料以及改性沥青
Esfeh et al. Properties of modified bitumen obtained from natural bitumen by adding pyrolysis fuel oil
KR101376051B1 (ko) 수지보강 재생 아스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Syrmanova et al. Research of oil road bitumen modification with low density polyethylene
KR100519667B1 (ko) 혼합 폐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Jafari et al. A novel method for recovery of acidic sludge of used-motor oil reprocessing industries to bitumen using bentonite and S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