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694B1 - 사격장 - Google Patents

사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694B1
KR101375694B1 KR1020110062367A KR20110062367A KR101375694B1 KR 101375694 B1 KR101375694 B1 KR 101375694B1 KR 1020110062367 A KR1020110062367 A KR 1020110062367A KR 20110062367 A KR20110062367 A KR 20110062367A KR 101375694 B1 KR101375694 B1 KR 101375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passage
sound
soundproof
shooting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545A (ko
Inventor
엄경환
Original Assignee
엄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경환 filed Critical 엄경환
Publication of KR2012000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1/00Target ra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공간을 가지도록 건축되고 이 방음공간에서 사격수가 외부를 향하여 사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사로 입구를 가지는 방음구조물, 이 방음구조물에 각각 사로 입구와 연결되어 사로로서 기능하는 흡음통로를 마련하는 복수의 흡음구조물, 흡음통로를 통과하는 사격 소음이 다른 흡음통로로 분산되도록 흡음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마련된 연결구조물을 포함하는 사격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격장{Shooting Range}
본 발명은 주로 실탄을 사용한 사격훈련에 이용되는 실외사격장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 및 그 피해로 인한 민원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바로 소음이다. 소음으로 인한 피해는 인간의 정상적인 일상생활 영위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심각할 경우에는 신체적ㆍ정신적 이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볼 때, 실탄을 사용하는 사격장 소음은 항공기 소음과 비교하여 매우 큰 편에 속하지 않지만, 사격장이 대개 민가와 인접하여 있는 데다, 그 수가 많기 때문에, 민원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크다. 군(軍) 소화기 사격장을 예로 들면, 도시 확장으로 군부대 주둔지 주변지역의 개발속도가 가속화됨에 따라, 기존에는 민가와 원거리에 있던 사격장이 속속 주민들 거주지 주변에 위치하게 되었고, 이 때문에 최근에는 국가안보를 위한 군사훈련에 필수적인 사격장이 주민들의 정온한 생활을 오히려 방해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사격장 소음은 탄환의 총구 이탈에 앞서 공기 분출로 발생되는 음(전조 폭풍파), 탄환 이탈로 발생되는 음(탄환 파열음, 탄환 비행음), 탄환 이탈 후 추진가스의 고속분출로 인한 음(추진가스 폭풍파)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렇듯, 사격장 소음은 충격소음이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사격장의 충격소음은 지속시간이 짧고 음향강도가 높기 때문에, 그 날카로움으로 동일한 에너지의 다른 소음에 비하여 사람들을 더욱 불쾌하게 만드는 특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음의 세기는 음의 거리감쇠에 따라 음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므로, 사격장 소음문제는 사격장과 민가 간의 충분한 거리 확보가 최선의 해결책이라 할 수 있겠으나, 그러기에는 부지 확보 및 이에 따른 시간과 비용소요 문제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는 것이 현 실정인바, 이에 대한 개선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사격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음공간을 가지도록 건축되고 이 방음공간에서 사격수가 외부를 향하여 사격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사로(射路) 입구를 가지는 방음구조물과; 상기 방음구조물의 외부에 각각 상기 사로 입구와 연결되어 사로로서 기능하는 흡음통로를 마련하는 복수 개의 흡음구조물과; 상기 흡음통로를 통과하는 사격 시의 소음이 다른 흡음통로로 분산되도록 상기 흡음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마련하는 연결구조물을 포함하는 사격장이 제공된다.
상기 방음공간을 구성하는 천장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음공간용 흡음배플이 매달려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로 입구는 상기 방음공간을 구성하는 벽의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방음공간용 흡음배플은 상기 사로 입구 측에서 이 사로 입구의 맞은편 측으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로 입구는 상기 방음공간을 구성하는 벽에 마련되고, 상기 방음공간을 구성하는 천장은 상기 방음공간이 상기 사로 입구 측에서 이 사로 입구의 맞은편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천장은 상기 사로 입구의 맞은편 벽과 만곡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음공간을 구성하는 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배출구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음통로의 내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음통로용 흡음배플이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음통로용 흡음배플은 상기 흡음통로의 길이방향 좌우에 각각 이 흡음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음통로는 적어도 그 끝 부분이 이 끝 쪽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의 내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통로용 흡음배플이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통로용 흡음배플은 상기 연결통로의 길이방향 좌우에 각각 이 연결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통로는 지그재그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음공간, 흡음통로 및 연결통로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마감패널, 석고보드, 차음시트 및 내부마감패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합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마감패널은 구멍이 천공된 흡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양단 중 한쪽을 사격수가 위치하여 사격하는 사로 입구로 하여 사로로서 기능하는 흡음통로가 마련되도록 각각 건축된 복수 개의 흡음구조물과; 상기 흡음통로를 통과하는 사격 시의 소음이 다른 흡음통로로 분산되도록 상기 흡음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마련하는 연결구조물을 포함하는 사격장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X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Y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Z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및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에 대한 정의는 이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이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은 사격 시의 소음이 후방 측(탄환이 발사되는 방향과 반대쪽)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음구조물(2), 전방 측(탄환이 발사되는 방향)으로 전파되는 사격 시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흡음구조물(4)을 포함한다.
방음구조물(2)은 방음벽(21~24)과 방음천장(25)을 가지도록 건축되고 이 방음벽(21~24)과 방음천장(25)으로 한정되는 내부공간을 방음공간(B)으로 한다.
방음벽(21~24)은 바닥에 전후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세워진 전벽(21)과 후벽(22), 이 전벽(21)과 후벽(22)의 좌우에 각각 연결되도록 세워진 두 측벽(23,2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네 벽(21~24) 중 표적이 설치되는 방탄사면(8)을 향하는 전벽(21)에는 사격수가 방음공간(B)에서 이 전방의 방탄사면(8)을 향하여 사격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사로(射路) 입구(26)가 마련된다.
여기에서, 복수 개의 사로 입구(26)는 서로 이격되도록 전벽(21)의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이에 따라 이 사로 입구(26)의 후방은 각각 사격수가 위치하는 사대(射臺)(27)가 된다.
방음천장(25)은 방음공간(B)의 높이가 전벽(21)에서 후벽(22) 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도록 후벽(22) 측으로 일정한 각도 상향 경사지고, 후벽(22)은 그 상측이 전벽(21) 측을 향하여 일정한 각도 기울어져 있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후벽(22)과 방음천장(25)은 만곡하게 연결되어, 방음공간(B)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돔(dome)의 구조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도 4, 도 5는 도 2의 X 부분 및 도 3의 Y 부분 확대도로, 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벽(21~24)을 구성하는 네 벽 및 방음천장(25)은, 모두 외부마감패널(L1), 석고보드(L2), 차음시트(L3) 및 내부마감패널(L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합패널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외부마감패널(L1)은 우레탄이 충전된 우레탄패널일 수 있다. 차음시트(L3)로는 고무, 염화비닐 및 철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고체전송음과 공기전송음에 대한 차음효과가 우수한 것을 적용하였는바, 석고보드(L2)와 병행 사용 시 보다 향상된 차음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내부마감패널(L4)은 흡음재로 이루어지고 구멍이 천공되어 소정의 개구율을 가지는 흡음판이다.
도 6은 도 3의 Z 부분 확대도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벽(22)에는 방음공간(B)의 환기 및 사격 시의 소음 일부에 대한 배출을 목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28)가 마련되고, 이 배출구(28)에는 배출구(28)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개폐수단(29)이 설치된다. 이 때, 이 개폐수단(29)은 루버(louver)의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방음천장(25)에는 흡음재로 이루어진 방음공간용 흡음배플(baffle)(20)이 복수 개 설치된다. 이 방음공간용 흡음배플(20)은 기다란 판상으로 형성되는바, 각각 장착수단에 의하여 방음천장(25)에 매달려 있도록 이 방음천장(25)의 좌우방향으로 장착되는 한편, 방음천장(25)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방음공간용 흡음배플(20)은 전벽(21)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된 사대(27) 중 어느 곳에서 사격하더라도 이 사격 시의 소음을 흡음작용에 의하여 감소시킬 수 있는 좌우길이(L)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방음공간용 흡음배플(20)은 각 사로 입구(26)의 후방 측에 복수 개씩, 방음천장(25)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방음공간(B)의 바닥으로부터 각 방음공간용 흡음배플(20) 하단까지의 높이(H)가 모두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방음공간용 흡음배플(20)은 이러한 높이(H)가 상이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방음공간용 흡음배플(20) 간의 이격거리 또한 모두 동일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다르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음구조물(2)에 따르면, 각 사로 입구(27)에서 후방 측으로 전달되는 사격 시의 소음은 방음공간(B)의 확장구조에 따라 확산되는 것과 동시에, 방음벽(21~24)과 방음천장(25), 방음공간용 흡음배플(20)의 복합적인 작용에 따라 차단되고 흡수되어 감소된다. 아울러, 사격 시의 소음 일부는 배기구(28)로 배출되므로, 사격수는 사격 시의 소음으로 인한 일시적 난청현상을 덜 느끼게 된다.
여기에서, 소음이 방음공간(B)의 확장구조에 의하여 확산된다는 것은 소음이 방음공간(B)에 머므르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즉, 흔히 플랫에코(flat echo)라 칭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이다. 플랫에코 현상은 대향하는 두 면(여기에서는, 방음공간(B)의 바닥과 방음천장(25)에 해당)이 평행하면 소음이 반사작용에 따라 이 평행한 두 면 사이를 즉시 벗어나지 못하고 왕복하는 현상을 말한다.
흡음구조물(4)은 사로(射路)의 역할을 하는 일정한 길이의 흡음통로(C)를 가지도록 구성되는바,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 방음구조물(2) 외부에 그 흡음통로(C)가 사로 입구(26)와 각각 연결되도록 건축된다. 물론, 사대(27)에서 사격수가 사격하여 발사된 탄환이 방탄사면(8)을 향하려면 흡음통로(C)를 통과하여야 하므로, 흡음구조물(4)의 설계에는 마땅히 이 점이 반영된다.
흡음통로(C)는 바닥에 세워진 좌우의 두 벽 및 이 두 벽의 상단에 연결된 상판에 의하여 각각 사로 입구(2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사각 덕트(duct)의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흡음통로(C)를 구성하는 상판은 적어도 단부(발사된 탄환이 나오는 끝 부분)가 이 끝 쪽으로 일정한 각도 상향 경사져, 흡음통로(C)는 적어도 그 끝 부분이 점차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흡음통로(C)를 구성하는 두 벽과 상판은, 모두 방음벽(21~24), 방음천장(25)과 마찬가지로 외부마감패널(L1), 석고보드(L2), 차음시트(L3), 내부마감패널(L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합패널로 구성된다. 이 복합패널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흡음통로(C)의 내벽에는 흡음재로 이루어진 흡음통로용 흡음배플(40)이 복수 개 설치된다. 이 흡음통로용 흡음배플(40)은 기다란 판상으로 형성되는바, 각각 장착수단에 의하여 흡음통로(C)의 좌우 두 벽에 이 두 벽의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는 한편, 흡음통로(C)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즉, 흡음통로(C)의 길이방향 좌우에 각각 복수 개씩 설치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흡음통로용 흡음배플(40)이 흡음통로(C)의 벽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동일하고 흡음통로용 흡음배플(40) 간의 이격거리 또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흡음통로용 흡음배플(40)의 돌출길이와 이격거리는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도록 될 수도 있다. 아울러, 한쪽과 맞은편의 흡음통로용 흡음배플(40)이 대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쪽과 맞은편의 흡음통로용 흡음배플(40)은 교호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흡음구조물(4)에 따르면, 각 사로 입구(27)에서 전방 측으로 전파되는 사격 시의 소음은 흡음통로(C)의 확장구조에 따라 확산되는 것과 동시에, 흡음통로(C) 및 흡음통로용 흡음배플(40)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하여 차단되고 흡수되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은 각 사로 입구(27)에서 전방으로 전파되어 흡음통로(C)를 통과하는 사격 시의 소음이 다른 흡음통로(C)로 분산되도록 흡음구조물(4)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조물(6)을 더 포함한다.
연결구조물(6)은 연결통로(D)를 가지도록 구성되는바, 흡음구조물(4) 사이에 위치되고 이웃하는 두 흡음통로(C)에 그 연결통로(D)의 양쪽이 각각 연결되도록 건축되어, 흡음통로(C)는 연결통로(D)를 매개로 하여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된다.
연결통로(D)는 횡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일 수도 있으나, 여기에서는 바닥의 전후에 세워진 두 벽 및 이 두 벽의 상단에 연결된 상판에 의하여 사각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연결통로(D)를 구성하는 두 벽과 상판의 경우에도 외부마감패널(L1), 석고보드(L2), 차음시트(L3) 및 내부마감패널(L4)을 적층시켜 만든 복합패널로 구성된다. 이 복합패널 역시 앞서 설명한 것이고 구성이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통로(D)의 내벽에는 흡음재로 이루어지고 기다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이 복수 개 설치된다. 이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은 장착수단에 의하여 각각 연결통로(D)의 두 벽에 이 두 벽의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는 한편, 연결통로(D)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은 연결통로(D)의 길이방향 좌우에 각각 복수 개씩 설치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보았을 때, 한쪽과 그 맞은편의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은 교호하고, 아울러 이 상태에서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은 맞은편의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 사이에 끝 부분이 위치하는 돌출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연결통로(D)는 지그재그의 구조를 가지나,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은 끝 부분이 맞은편의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돌출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나아가 한쪽과 그 맞은편의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같은 연결구조물(6)에 따르면, 각 사로 입구(27)에서 전방 측으로 전파되는 사격 시의 소음은 그 일부가 흡음통로(C)를 통과하는 중 연결통로(D)를 따라 다른 흡음통로(C)로 전파, 분산되어 감소된다. 또한, 연결통로(D)를 통과하는 소음은 연결통로(D) 및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하여 차단되고 흡수되어 감소된다. 이 때, 연결통로(D)로 유입되는 소음은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의 배치구조로 인하여 연결통로(D)를 지그재그로 통과하므로, 소음 감소효과는 배가된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에서는 본 발명이 방음구조물(2), 복수 개의 흡음구조물(4) 및 연결구조물(6)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극단적으로는 방음구조물(2) 또는 연결구조물(6)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의 소음 측정시험]
1. 소음 측정조건
1) 측정기간 : 3개월 (우천 시 및 흐린 날은 제외)
2) 측정시간 : 12:00 ~ 16:00
3) 온도 : 12℃ ~ 28℃
4) 상대습도 : 65% ~ 85%
5) 풍속 : 5m/s 이하
6) 소음계 : KSC-1502에 정한 보통소음계
7) 총기 종류 : 군용 소총
8) 사격장의 구조
- 방음구조물(2)은 돔 구조의 방음공간(B)과 12개의 사로 입구(26)가 마련되도록 방음벽(21~24)과 방음천장(25)으로 구성하고, 방음벽(21~24) 및 방음천장(25)은 모두 복합패널(즉, 외부마감패널, 석고보드, 차음시트 및 내부마감패널)로 구성하며, 방음천장(25)에는 복수의 방음공간용 흡음배플(20)을 설치하였다.
- 흡음구조물(4)은 복합패널에 의하여 덕트의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그 흡음통로(C)의 내벽에는 복수의 흡음통로용 흡음배플(40)을 설치하였다.
- 연결구조물(6)은 이웃하는 흡음통로(C)가 서로 연결되게 흡음구조물(4) 사이에 각각 위치시키는 한편 복합패널로 구성하고, 그 연결통로(D)의 내벽에는 복수의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을 설치하였다.
- 전체에서 개방된 부분의 비율(개구율)은 약 5%로 하였다.
2. 소음 측정결과
1) 소음원(발음원)
12개 사로에서 동시에 사격을 하고, 이 때 발생하는 소음을 방음공간(B)에서 측정하였다. 결과(이하, 결과 1-1)는 다음과 같다.
- 측정 소음 : 116.9dB(A)
Figure 112011048866716-pat00001
2) 수음원
12개 사로에서 동시에 사격을 하고, 이 때의 발생 소음을 소음원으로부터 전방으로 400m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하였다. 결과(이하, 결과 1-2)는 다음과 같다.
- 측정 소음 : 53.2dB(A)
Figure 112011048866716-pat00002
[비교시험 1]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의 소음 측정시험과 비교하여 볼 때, 기타 조건 및 방법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사격장의 구조는 흡음구조물(4)과 연결구조물(6)을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방음구조물(2)에서 방음공간용 흡음배플(20)을 제거하여 달리하고 시험을 하였다.
소음원에서의 소음 측정결과(이하, 결과 2-1)는 다음과 같다.
- 측정 소음 : 120.6dB(A)
Figure 112011048866716-pat00003
수음원에서의 소음 측정결과(이하, 결과 2-2)는 다음과 같다.
- 측정 소음 : 58.5dB(A)
Figure 112011048866716-pat00004
[비교시험 2]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의 소음 측정시험과 비교하여 볼 때, 기타 조건 및 방법은 모두 동일하되, 사격장으로서는 전방과 좌우 전체가 개방된 박스형인 일반 군 사격장에서 시험을 하였다.
소음원에서의 소음 측정결과(이하, 결과 3-1)는 다음과 같다.
- 측정 소음 : 122.7dB(A)
Figure 112011048866716-pat00005
수음원에서의 소음 측정결과(이하, 결과 3-2)는 다음과 같다.
- 측정 소음 : 62.3dB(A)
Figure 112011048866716-pat00006
[소음 시험결과]
이상의 소음 시험에 대한 측정결과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1048866716-pat00007
이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의 소음 측정시험 결과(결과 1-1 및 1-2)의 수치는 비교시험 2(결과 3-1 및 3-2)에 비하여 현저히 작으므로,(결과 1-1과 3-1의 차이는 -5.8, 결과 1-2와 3-2의 차이는 -9.1)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은 우수한 소음 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의 소음 측정시험 결과의 수치는 비교시험 1(결과 2-1 및 2-2)에 비해서도 작으므로,(결과 1-1과 2-1의 차이는 -3.7, 결과 1-2와 2-2의 차이는 -5.3)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은 그 방음구조물(2)의 방음공간용 흡음배플(20), 흡음구조물(4) 및 연결구조물(6)에 의하여 한층 향상된 소음 감소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한편, 결과 2-1과 3-1의 차이는 다른 결과의 수치 차이에 비하여 작은데, 이는 비교시험 2의 사격장 전체에서 개방된 부분의 비율이 비교시험 1의 그것에 비하여 큰 점에 기인한다.
2 : 방음구조물 4 : 흡음구조물
6 : 연결구조물 20 : 방음공간용 흡음배플
21~24 : 방음벽 25 : 방음천장
26 : 사로 입구 27 : 사대
28 : 배출구 29 : 개폐수단
40 : 흡음통로용 흡음배플 60 : 연결통로용 흡음배플
B : 방음공간 C : 흡음통로
D : 연결통로 L1 : 외부마감패널
L2 : 석고보드 L3 : 차음시트
L4 : 내부마감패널(흡음판)

Claims (6)

  1. 방음공간(B)을 갖도록 건축되며 상기 방음공간(B)에서 사격수가 외부를 향하여 사격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사로(射路) 입구(26)를 갖는 방음구조물(2)과;
    상기 방음구조물(2)의 외부에 각각 상기 사로 입구(26)와 연결되어 사로로서 기능하는 흡음통로(C)를 마련하는 복수 개의 흡음구조물(4)과;
    상기 흡음통로(C)를 통과하는 사격 시의 소음이 다른 흡음통로(C)로 분산되도록 상기 흡음구조물(4)을 연결하는 연결통로(D)를 마련하는 연결구조물(6)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통로(C)는 적어도 끝 부분이 상기 흡음통로(C)의 끝 쪽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통로(D)의 좌우 내벽에는 각각 복수 개의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이 상기 연결통로(D)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은 상기 연결통로(D)가 지그재그의 구조를 갖도록 교호로 배치되고 끝 부분이 맞은편의 연결통로용 흡음배플(60)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길이를 갖는 사격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음통로(C)의 좌우 내벽에는 각각 복수 개의 흡음통로용 흡음배플(40)이 상기 흡음통로(C)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돌출되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흡음통로용 흡음배플(40) 중 적어도 일부는 돌출길이가 상이한 사격장.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음공간(B)을 구성하는 벽(22)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배출구(28)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28)에는 상기 배출구(28)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개폐수단(29)이 설치된 사격장.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음공간(B), 흡음통로(C) 및 연결통로(D)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마감패널(L1), 석고보드(L2), 차음시트(L3) 및 내부마감패널(L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합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마감패널(L4)은 구멍이 천공된 흡음재인 사격장.
  5. 삭제
  6. 삭제
KR1020110062367A 2010-06-25 2011-06-27 사격장 KR101375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696 2010-06-25
KR20100060696 2010-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545A KR20120000545A (ko) 2012-01-02
KR101375694B1 true KR101375694B1 (ko) 2014-03-20

Family

ID=4560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367A KR101375694B1 (ko) 2010-06-25 2011-06-27 사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485A (ko)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포스코 타발성 및 재질 균일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438B1 (ko) * 2014-06-10 2016-07-08 도아기업주식회사 사격장 소음저감시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7930A (en) 1997-11-26 1999-06-01 Ricco, Sr.; John A. Shooting range
KR100879887B1 (ko) 2008-04-02 2009-01-22 안경덕 변압기 소음 저감용 흡음·공명형 음향 배플 및 그 설치방법
EP2096219A1 (en) 2004-06-29 2009-09-02 Chicago Metallic Continental Baffle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7930A (en) 1997-11-26 1999-06-01 Ricco, Sr.; John A. Shooting range
EP2096219A1 (en) 2004-06-29 2009-09-02 Chicago Metallic Continental Baffle system
KR100879887B1 (ko) 2008-04-02 2009-01-22 안경덕 변압기 소음 저감용 흡음·공명형 음향 배플 및 그 설치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릉MBC 뉴스(2010.1.22.)에서 방송된 "백이사격장"에 대한 자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485A (ko)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포스코 타발성 및 재질 균일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545A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331B2 (en) Modular shooting range
US5907930A (en) Shooting range
US5088741A (en) Modular firing ground
US20070117503A1 (en) Airflow ceiling ventilation system for an armored tactical personnel and collective training facility
US9074850B2 (en) Ballistic wall
US10598466B2 (en) Bullet projectile resistant drywall structure
US20080258395A1 (en) Modular Shooting Range
KR101375694B1 (ko) 사격장
KR101637438B1 (ko) 사격장 소음저감시설
KR20110122239A (ko) 다층형 내충격 패널 및 그 설계방법
US10612895B2 (en) Tapered shooting range
JP4743542B2 (ja) 防音エンクロージャの吸排気システム
US6446974B1 (en) Durable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position of expended munitions fired at a target positioned close to the shooter
KR102338317B1 (ko) 친환경 블록 흡음재,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도비탄 방지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3671280B (zh) 复合烟囱消声器
CN217560460U (zh) 一种封闭式靶道噪声控制系统
CN111332413A (zh) 一种船舶舱室防火回风消音装置
RU186181U1 (ru) Антирикошетная панель
CN202925707U (zh) 一种降低爆炸破坏力的泄爆装置
KR102630493B1 (ko)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
JPH0395399A (ja) 実弾射撃訓練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PL71164Y1 (pl) Mobilna strzelnica kontenerowa
PL237765B1 (pl) Mobilna strzelnica kontenerowa
PL71163Y1 (pl) Mobilna strzelnica kontenerowa
KR102340283B1 (ko) 평탄화부재,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도비탄 방지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