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341B1 -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341B1
KR101375341B1 KR1020130020105A KR20130020105A KR101375341B1 KR 101375341 B1 KR101375341 B1 KR 101375341B1 KR 1020130020105 A KR1020130020105 A KR 1020130020105A KR 20130020105 A KR20130020105 A KR 20130020105A KR 101375341 B1 KR101375341 B1 KR 101375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signal
trigger
power
image acquisition
acquisi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현
이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래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래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래비스
Priority to KR1020130020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처리장치와 영상획득장치간에 간편하게 접속되어 영상처리장치와 영상획득장치간의 동기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이더넷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고, 트리거 신호 전송을 위한 별도의 회선 추가없이 영상처리장치와 영상획득장치간에 안정적으로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Trigger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trigger signal recie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격의 두 장치간 동기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원격의 두 장치간 동기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주신호 전송라인과는 다른 별도의 전송라인을 통해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는 하드웨어적인 방법과, 미국등록특허 제6,084,631호(2000.07.04) 등에서 기재한 바와 같은 소프트웨어 트리거 기법을 사용해 트리거 신호를 주신호와 함께 전송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주신호 전송라인과는 다른 별도의 전송라인을 통해 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경우에는 별도의 전송라인 추가를 위한 작업 및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소프트웨어 트리거 기법을 사용해 트리거 신호를 주신호와 함께 전송할 경우에는 불규칙한 신호 지연에 의해 정확한 동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미국등록특허 제6,084,631호(2000.07.04)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와 영상획득장치간에 접속되어 영상처리장치와 영상획득장치간의 동기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이더넷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이더넷 포트와; 원격의 영상획득장치의 동기화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공급하는 트리거 신호 공급장치와 접속되는 트리거 공급단자와; 영상처리장치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로컬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고,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은 트리거 공급단자와 연결되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가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와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 사이에 연결되어 트리거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의 트랜스포머가 복수이고, 각 트랜스포머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들이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에 공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가 원격의 영상획득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접속되는 전원 공급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트랜스포머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전원 공급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이더넷 포트와; 원격의 영상획득장치의 동기화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공급하는 트리거 신호 공급장치와 접속되는 트리거 공급단자와; 원격의 영상획득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접속되는 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 및 전원 공급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트리거 신호와 상기 전원 공급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동시에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과; 영상처리장치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로컬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고,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은 상기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과 연결되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이더넷 포트와; 영상획득장치와 접속되어 영상획득장치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 출력단자와; 영상획득장치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로컬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고,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은 트리거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가 상기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과 트리거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회로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회로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회로 분리부가 포토 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가 트리거 송신장치로부터 변조되어 전송된 트리거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가 영상획득장치에 접속되어 영상획득장치로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머가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트랜스포머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전원 출력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가 상기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과 전원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을 조정하는 전원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전원 처리부가 영상획득장치의 정격 전압으로 전원을 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이더넷 포트와; 영상획득장치와 접속되어 영상획득장치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 출력단자와; 영상획득장치에 접속되어 영상획득장치로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단자와; 상기 트리거 출력단자 및 전원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와 상기 전원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분리시키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과; 영상획득장치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로컬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고,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은 상기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과 연결되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와 영상획득장치간에 간편하게 접속되어 영상처리장치와 영상획득장치간의 동기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이더넷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고, 트리거 신호 전송을 위한 별도의 회선 추가없이 영상처리장치와 영상획득장치간에 안정적으로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개요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의 제 4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개요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200)는 영상처리장치(300)와 영상획득장치(400)간에 접속되어 영상처리장치(300)와 영상획득장치(400)간에 이더넷을 통해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영상처리장치(300)로부터의 트리거 신호를 이더넷 신호에 포함시켜 영상획득장치(400)로 단방향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는 영상획득장치(40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처리하는 PC 등의 영상처리장치(300)에 로컬 연결된다. 이 때,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가 직접 또는 허브 등의 스위칭 장치(500)를 통해 영상처리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는 트리거 신호 공급장치(600)와 로컬 연결되어 원격의 영상획득장치(400)의 동기화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는 전원공급장치(700)와 로컬 연결되어 원격의 영상획득장치(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200)는 영상을 획득하는 CCD 카메라 등의 영상획득장치(400)에 로컬 연결되고,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와는 이더넷을 통해 리모우트 연결되어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이더넷을 통해 전송되는 이더넷 신호로부터 트리거 신호 및/또는 전원 신호를 분리하여 영상획득장치(400)로 각각 이더넷 데이터, 트리거 신호 및/또는 전원 신호를 출력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는 이더넷 포트(Ethernet Port)(110)와, 트리거(Trigger) 공급단자(120)와, 트랜스포머(Transformer)(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더넷 포트(110)는 이더넷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로컬(Local)측 이더넷 포트(111)에 영상처리장치(300)가 직접 또는 스위칭 장치(500)를 통해 간접 접속되고, 리모우트(Remote)측 이더넷 포트(112)에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200)가 접속된다.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120)는 원격의 영상획득장치(400)의 동기화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공급하는 트리거 신호 공급장치(600)와 접속된다. 트리거 신호 공급장치(600)에 의해 생성된 트리거(Trigger) 신호는 이 트리거 공급단자(120)를 통해 입력된다.
상기 트랜스포머(130)는 영상처리장치(300)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111)에 로컬측 코일 병렬체(131) 양단이 연결되고,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200)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112)에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 양단이 연결되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의 중간텝(132a)은 트리거 공급단자(1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영상처리장치(300)와 영상획득장치(400)간에 송수신되는 양방향 이더넷 데이터는 로컬측 코일 병렬체(131) 양단과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 양단을 통해 송수신되고,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의 중간텝(132a)을 통해 입력되는 트리거 신호는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 양단을 통해 이더넷 신호와 함께 영상획득장치(400)로 단방향 전송된다.
이 때, 상기 트랜스포머(130)를 복수로 구현하고, 각 트랜스포머(130)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의 중간텝(132a)들이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에 공통 연결되도록 구현하여 다수의 영상획득장치(400)로 이더넷 신호에 포함하여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에 대응하는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200)는 이더넷 포트(210)와, 트리거 출력단자(220)와, 트랜스포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더넷 포트(210)는 이더넷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로컬(Local)측 이더넷 포트(211)에 영상획득장치(400)가 접속되고, 리모우트(Remote)측 이더넷 포트(212)에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가 접속된다.
상기 트리거 출력단자(220)는 영상획득장치(400)와 접속되어 영상획득장치(400)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이 트리거 출력단자(220)를 통해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 영상획득장치(400)는 영상처리장치(300)와 동기를 맞춘다.
상기 트랜스포머(230)는 영상획득장치(400)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211)에 로컬측 코일 병렬체(231) 양단이 연결되고,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212)에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2) 양단이 연결되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2)의 중간텝(232a)은 트리거 출력단자(2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영상처리장치(300)와 영상획득장치(400)간에 송수신되는 양방향 이더넷 데이터는 로컬측 코일 병렬체(231) 양단과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2) 양단을 통해 송수신되고,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2) 양단을 통해 이더넷 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트리거 신호는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2)의 중간텝(232a)을 통해 트리거 출력단자(220)로 출력된다. 이 때, 상기 트랜스포머(230)를 복수로 구현하여 다수의 영상획득장치(400)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200)가 회로 분리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 분리부(240)는 상기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2)의 중간텝(232a)과 트리거 출력단자(220) 사이에 연결되어 회로를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예컨대, 상기 회로 분리부(240)가 포토 커플러일 수 있다.
이렇게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300)와 영상획득장치(400)간에 간편하게 접속되어 영상처리장치와 영상획득장치간의 동기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이더넷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고, 트리거 신호 전송을 위한 별도의 회선 추가없이 영상처리장치와 영상획득장치간에 안정적으로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트리거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하고, 변조된 트리거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도록 한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는 도 2 에 도시한 구성에 변조기(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변조기(140)는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120)와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의 중간텝(132a) 사이에 연결되어 트리거 신호를 변조(Modulation)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에 대응하는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200)는 도 2 에 도시한 구성에 복조기(2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조기(250)는 트리거 송신장치(100)로부터 변조되어 전송된 트리거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트리거 신호뿐만 아니라 전원 신호도 이더넷 신호에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한 실시예로, 트리거 신호와 전원 신호가 서로 다른 이더넷 포트를 통해 전송되도록 한 것이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는 도 2 에 도시한 구성에 전원 공급단자(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단자(150)는 원격의 영상획득장치(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700)와 접속된다. 한편, 복수의 트랜스포머(130)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의 중간텝(132a)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전원 공급단자(150)가 연결된다.
따라서, 전원공급장치(7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전원 공급단자(150)를 통해 복수의 트랜스포머(130)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의 중간텝(132a)들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고, 트리거 신호가 포함되는 이더넷 신호가 전송되는 이더넷 포트(112)와는 별도의 이더넷 포트(112)를 통해 이더넷 신호에 포함되어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200)로 단방향 전송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에 대응하는 전원 출력단자(260)를 더 포함한다. 전원 출력단자(260)는 영상획득장치(400)에 접속되어 영상획득장치(400)로 전원을 출력한다. 한편, 복수의 트랜스포머(230)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2)의 중간텝(232a)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전원 출력단자(260)가 연결된다.
따라서,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포함되는 이더넷 신호와는 별도의 이더넷 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전원을 복수의 트랜스포머(230)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2)의 중간텝(232a)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 출력단자(260)로 출력함으로써 영상획득장치(4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200)가 전원 처리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처리부(270)는 상기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2)의 중간텝(232a)과 전원 출력단자(260)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을 조정한다. 예컨대, 전원 처리부(270)가 영상획득장치(400)의 정격 전압으로 전원을 변압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의 제 4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트리거 신호와 전원 신호를 전력선 통신PLC(Power Line Communication) 기법을 이용해 동일한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도록 한 실시예이다.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는 이더넷 포트(110)와, 트리거 공급단자(120)와, 전원 공급단자(150)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160)과, 트랜스포머(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더넷 포트(110)는 이더넷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로컬(Local)측 이더넷 포트(111)에 영상처리장치(300)가 직접 또는 스위칭 장치(500)를 통해 간접 접속되고, 리모우트(Remote)측 이더넷 포트(112)에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200)가 접속된다.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120)는 원격의 영상획득장치(400)의 동기화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공급하는 트리거 신호 공급장치(600)와 접속된다. 트리거 신호 공급장치(600)에 의해 생성된 트리거(Trigger) 신호는 이 트리거 공급단자(120)를 통해 입력된다.
상기 전원 공급단자(150)는 원격의 영상획득장치(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700)와 접속된다. 전원공급장치(700)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은 이 전원 공급단자(150)를 통해 입력된다.
상기 PLC 모듈(160)은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120) 및 전원 공급단자(150)와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120)를 통해 공급되는 트리거 신호와 상기 전원 공급단자(15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동시에 하나의 이더넷 포트(112)를 통해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PLC 회로는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된 통상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트랜스포머(130)는 영상처리장치(300)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111)에 로컬측 코일 병렬체(131) 양단이 연결되고,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200)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112)에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 양단이 연결되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의 중간텝(132a)은 상기 PLC 모듈(160)과 연결된다.
따라서, 영상처리장치(300)와 영상획득장치(400)간에 송수신되는 양방향 이더넷 데이터는 로컬측 코일 병렬체(131) 양단과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 양단을 통해 송수신되고, PLC 모듈(160)에 의해 처리된 트리거 신호와 전원신호는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의 중간텝(132a)을 통해 입력되어,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132) 양단을 통해 이더넷 신호와 함께 영상획득장치(400)로 단방향 전송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에 대응하는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200)는 이더넷 포트(210)와, 트리거 출력단자(220)와, 전원 출력단자(260)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280)과, 트랜스포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더넷 포트(210)는 이더넷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로컬(Local)측 이더넷 포트(211)에 영상획득장치(400)가 접속되고, 리모우트(Remote)측 이더넷 포트(212)에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가 접속된다.
상기 트리거 출력단자(220)는 영상획득장치(400)와 접속되어 영상획득장치(400)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이 트리거 출력단자(220)를 통해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 영상획득장치(400)는 영상처리장치(300)와 동기를 맞춘다.
상기 전원 출력단자(260)는 영상획득장치(400)에 접속되어 영상획득장치(400)로 전원을 출력한다. 이 전원 출력단자(260)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이 영상획득장치(400)에 인가되게 된다.
상기 PLC 모듈(280)은 상기 트리거 출력단자(220) 및 전원 출력단자(260)와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출력단자(220)를 통해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와 상기 전원 출력단자(260)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분리시킨다. PLC 회로는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된 통상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트랜스포머(230)는 영상획득장치(400)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211)에 로컬측 코일 병렬체(231) 양단이 연결되고,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100)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212)에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2) 양단이 연결되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1)의 중간텝(231a)은 상기 PLC 모듈(280)과 연결된다.
따라서, 영상처리장치(300)와 영상획득장치(400)간에 송수신되는 양방향 이더넷 데이터는 로컬측 코일 병렬체(231) 양단과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2) 양단을 통해 송수신되고,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2) 양단을 통해 이더넷 신호와 함께 동일한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트리거 신호와 전원 신호는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232)의 중간텝(232a)을 통해 PLC 모듈(280)로 출력되어 트리거 신호와 전원이 분리되고, 각각 상기 트리거 출력단자(220)와 전원 출력단자(260)를 통해 영상획득장치(400)로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는 영상처리장치와 영상획득장치간에 간편하게 접속되어 영상처리장치와 영상획득장치간의 동기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이더넷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고, 트리거 신호 전송을 위한 별도의 회선 추가없이 영상처리장치와 영상획득장치간에 안정적으로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리거 신호에 한정되지 않고, 트리거 신호외의 제어명령 등의 전송시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트리거 신호 송수신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110 : 이더넷 포트
120 : 트리거 공급단자 130 : 트랜스포머
131 : 로컬측 코일 병렬체 132 :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
132a : 중간텝 140 : 변조기
150 : 전원 공급단자 160, 280 : PLC 모듈
200 :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210 : 이더넷 포트
220 : 트리거 출력단자 230 : 트랜스포머
213 : 로컬측 코일 병렬체 232 :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
232a : 중간텝 240 : 회로 분리부
250 : 복조기 260 : 전원 출력단자
270 : 전원 처리부 300 : 영상처리장치
400 : 영상획득장치 500 : 스위칭 장치
600 : 트리거 신호 공급장치 700 : 전원공급장치

Claims (13)

  1.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이더넷 포트와;
    원격의 영상획득장치의 동기화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공급하는 트리거 신호 공급장치와 접속되는 트리거 공급단자와;
    영상처리장치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로컬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고,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은 트리거 공급단자와 연결되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가: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와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 사이에 연결되어 트리거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가 복수이고, 각 트랜스포머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들이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에 공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가:
    원격의 영상획득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접속되는 전원 공급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트랜스포머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전원 공급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5.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이더넷 포트와;
    원격의 영상획득장치의 동기화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공급하는 트리거 신호 공급장치와 접속되는 트리거 공급단자와;
    원격의 영상획득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접속되는 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 및 전원 공급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공급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트리거 신호와 상기 전원 공급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동시에 하나의 이더넷 포트를 통해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과;
    영상처리장치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로컬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고,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은 상기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과 연결되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6.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이더넷 포트와;
    영상획득장치와 접속되어 영상획득장치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 출력단자와;
    영상획득장치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로컬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고,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은 트리거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가:
    상기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과 트리거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회로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회로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분리부가:
    포토 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가:
    트리거 송신장치로부터 변조되어 전송된 트리거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가:
    영상획득장치에 접속되어 영상획득장치로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머가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트랜스포머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전원 출력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가:
    상기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과 전원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을 조정하는 전원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부가:
    영상획득장치의 정격 전압으로 전원을 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13.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이더넷 포트와;
    영상획득장치와 접속되어 영상획득장치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 출력단자와;
    영상획득장치에 접속되어 영상획득장치로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단자와;
    상기 트리거 출력단자 및 전원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와 상기 전원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분리시키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과;
    영상획득장치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로컬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고,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와 접속되는 이더넷 포트에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 양단이 연결되되, 리모우트측 코일 병렬체의 중간텝은 상기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과 연결되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KR1020130020105A 2013-02-25 2013-02-25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KR101375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105A KR101375341B1 (ko) 2013-02-25 2013-02-25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105A KR101375341B1 (ko) 2013-02-25 2013-02-25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341B1 true KR101375341B1 (ko) 2014-03-18

Family

ID=50648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105A KR101375341B1 (ko) 2013-02-25 2013-02-25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3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891A (ko) * 1999-12-30 2001-07-06 구자홍 무선카메라의 외부동기신호 송수신장치
KR20050074333A (ko) * 2004-01-13 2005-07-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촬상 장치, 위상 제어 방법 및 동기 확립 방법
KR20060091580A (ko) * 2005-02-16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송수신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891A (ko) * 1999-12-30 2001-07-06 구자홍 무선카메라의 외부동기신호 송수신장치
KR20050074333A (ko) * 2004-01-13 2005-07-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촬상 장치, 위상 제어 방법 및 동기 확립 방법
KR20060091580A (ko) * 2005-02-16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송수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18003B (zh) 多摄像机同步系统
JP2009010537A5 (ko)
CN111339015B (zh) 一种控制指令传输方法、系统及设备
CN105049912A (zh) 一种视频信号的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0301098B (zh) 补偿器,用于运行一天线的电子电路装置,和天线装置
KR20100007789A (ko) 비디오 오버 이더넷
US20110234771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tion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3686301A (zh) 一种通过移动终端调节机顶盒输出亮度的方法和系统
KR101621076B1 (ko) 적층 구조를 이용한 전원 및 통신회선 공유장치
KR101375341B1 (ko) 트리거 신호 송신장치 및 트리거 신호 수신장치
US99127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uplex communication
JP2006217384A (ja) テレビカメラ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カメラ
EP2413611A4 (en) Image data transmission device, imag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image data recording device
US8387103B2 (en) Video server device for closed circuit television
CN203872255U (zh) 网络摄像机
CN203722709U (zh) 一种基于同轴线缆传输的高清网络视频装置
US20160065826A1 (en) Device and Method for Photographic Synchronization
CN104349016B (zh) 高清图像数据传输方法和系统
US9571804B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JP6197400B2 (ja) 映像機器及び映像機器の制御方法
US20180103232A1 (en) Video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CN201536396U (zh) 节点型视频同轴传输装置
CN204652567U (zh) 电磁波监控系统
KR101239018B1 (ko) 컨버터박스
JP2015154387A (ja) 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