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661B1 -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661B1
KR101374661B1 KR1020120102288A KR20120102288A KR101374661B1 KR 101374661 B1 KR101374661 B1 KR 101374661B1 KR 1020120102288 A KR1020120102288 A KR 1020120102288A KR 20120102288 A KR20120102288 A KR 20120102288A KR 101374661 B1 KR101374661 B1 KR 10137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dubbing
client
trans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승범
Original Assignee
류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승범 filed Critical 류승범
Priority to KR1020120102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획, 그림, 번역,더빙 등 각기 다른 재능을 갖은 사람들을 단계적, 계층적으로 컨텐츠 제작에 참여시키고 컨텐츠를 융합하여 스마트기기에 제공함과 동시에 최종 생산된 컨텐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컨텐츠 제작자에게 수익을 분배할 수 있는 컨텐츠 융합 방식의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획, 그림, 번역,더빙 등 각기 다른 재능을 갖은 사람들을 단계적, 계층적으로 컨텐츠 제작에 참여시키고 컨텐츠를 융합하여 스마트기기에 제공함과 동시에 최종 생산된 컨텐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컨텐츠 제작자에게 수익을 분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content convergence framework system possible content recycling.}
본 발명은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획, 그림, 번역,더빙 등 각기 다른 재능을 갖은 사람들을 단계적, 계층적으로 컨텐츠 제작에 참여시키고 컨텐츠를 융합하여 스마트기기에 제공함과 동시에 최종 생산된 컨텐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컨텐츠 제작자에게 수익을 분배할 수 있는 컨텐츠 융합 방식의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이 기존 산업의 전 부분에 걸쳐 전략적인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지속적으로 창출됨은 물론, 그 영역도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컨대, 인터넷 광고, 인터넷 방송, 온라인 게임, 인터넷 신문/잡지, 검색 서비스, 포탈(portal) 서비스,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등의 다양한 컨텐츠(contents)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급속히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산업 및 경제의 국제화로 인해 인터넷을 통해 외국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수많은 사이트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기기의 발전에 따라 어플을 이용하여 손쉽게 외국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각 사이트들은 제작된 학습 컨텐츠를 이용하여 외국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방법의 경우, 학습 컨텐츠인 그림이 학습할 상황을 보여주고 해당 상황에서 학습할 언어를 들려주는 음성이 통합된 형태로 제작되므로 학습 대상 언어, 즉 음성이 변경되는 경우 그림 이미지 자체를 새롭게 제작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대부분의 사이트들은 단지 몇 개의 언어에 대해서만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학습 가능한 외국어의 수 또한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학습 대상이 되는 언어를 사용하는 인종 또는 학습 대상이 되는 언어가 사용되는 나라 등의 정보가 반영되어 있지 않아 학습시 생동감이나 실제감이 감소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국어 멀티 미디어 컨텐츠는 기획, 그림, 더빙, 번역 등의 인력을 갖고 있는 대규모 제작자만 가능한 시장이였다.
따라서,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일반 개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창구가 존재하지 않아 획일적인 방식의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밖에 없었으며, 스마트 기기에서 한가지 재능의 소유자는 개별적 컨텐츠 생산으로 수익을 창출하기 어려운게 현실이었다.
없음.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기획, 그림, 번역,더빙 등 각기 다른 재능을 갖은 사람들을 단계적, 계층적으로 컨텐츠 제작에 참여시키고 컨텐츠를 융합하여 스마트기기에 제공함과 동시에 최종 생산된 컨텐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컨텐츠 제작자에게 수익을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컨텐츠 융합시에 기존에 대본, 그림, 번역, 생산된 컨텐츠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검색과 오브젝트를 이용한 재사용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복잡한 형태의 오브젝트를 평면적인 2차원 테이블 형태로 기록한 워크시트로 변환하여 제공하여 업무 분담의 유연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융합된 컨텐츠에 복수의 동일 오브젝트가 사용될 경우에 중복되는 오브젝트를 단일 오브젝트로 수정하여 배포용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은,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서 제공하는 융합 컨텐츠를 구매하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클라이언트(200);
기획자클라이언트에서 배포 승인 요청시 배포 승인하기 위한 운영자클라이언트(300);
시나리오를 기획하며, 디자인과 번역 및 더빙을 설정하여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며, 운영자클라이언트에 배포 승인을 요청하는 기획자클라이언트(400);
기획자클라이언트의 디자인 설정에 부합되는 디자인 작업을 수행한 후 해당 디자인 작업 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는 디자이너클라이언트(500);
기획자클라이언트의 번역 설정에 부합되는 번역 작업을 수행한 후 해당 번역 작업 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는 번역자클라이언트(600);
기획자클라이언트의 더빙 설정에 부합되는 더빙 작업을 수행한 후 해당 더빙 작업 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는 더빙클라이언트(700);
기획된 시나리오에 부합되는 디자인 정보, 번역 정보, 더빙 정보를 단계적으로 융합시키기 위한 컨텐츠융합부(105),
융합된 컨텐츠에 복수의 동일 오브젝트가 사용될 경우에 중복되는 오브젝트를 단일 오브젝트로 수정하여 배포용 컨텐츠를 생성하며, 생성된 융합 컨텐츠의 배포를 제어하기 위한 오브젝트필터링컨텐츠배포부(110),
사용자정보DB, 컨텐츠제작자정보DB, 컨텐츠정보DB, 다국어오브젝트DB, 단계별정보DB를 관리하기 위한 DB관리부(115),
기획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기획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는 기획정보등록부(120),
디자이너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디자인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는 디자인정보등록부(125),
번역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국가별 번역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는 번역정보등록부(130),
더빙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국가별 더빙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는 더빙정보등록부(135),
단계별정보DB에 저장된 단계별 정보를 획득하여 2차원 테이블 형태로 기록하는 워크시트기록부(미도시),
단계별정보DB에 저장된 단계별 정보를 획득하여 오브젝트별로 융합시켜 다국어오브젝트DB에 등록시키는 오브젝트등록부(140),
기획 정보에 부합되는 디자인, 번역, 더빙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적합성을 검수하도록 기획자클라이언트에 검수 요청신호를 단계별로 송출하는 검수부(145),
융합 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DB(150),
운영자, 기획자, 디자이너, 번역자, 더빙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제작자정보DB(155),
융합 컨텐츠의 가격, 사용된 오브젝트, 사용된 오브젝트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정보DB(160),
융합 컨텐츠에서 사용되는 다국어 오브젝트의 다국어 텍스트, 다국어 더빙, 그림, 검색어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다국어오브젝트DB(165),
기획된 시나리오 정보, 디자인 정보, 국가별 번역 정보, 국가별 더빙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별정보DB(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기획, 그림, 번역,더빙 등 각기 다른 재능을 갖은 사람들을 단계적, 계층적으로 컨텐츠 제작에 참여시키고 컨텐츠를 융합하여 스마트기기에 제공함과 동시에 최종 생산된 컨텐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컨텐츠 제작자에게 수익을 분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각각의 개인이 자신있는 컨텐츠에 참여하게 되므로 컨텐츠 제작자의 전문성을 강화시키는 특성을 제공하게 되며, 생산되는 컨텐츠의 질이 높아지고, 열린 컨텐츠 제작자 참여를 통해 컨텐츠의 제작 가격이 낮아지는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컨텐츠 융합시에 기존에 대본, 그림, 번역, 생산된 컨텐츠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검색과 오브젝트를 이용한 재사용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재사용을 통해 불필요한 컨텐츠의 제작을 감소시키게 되어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복잡한 형태의 오브젝트를 평면적인 2차원 테이블 형태로 기록한 워크시트로 변환하여 다음 작업자들에게 제공하여 외부 인원들에게도 쉽게 작업 지시가 가능하여 업무 분담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융합된 컨텐츠에 복수의 동일 오브젝트가 사용될 경우에 중복되는 오브젝트를 단일 오브젝트로 수정하여 배포용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배포용 화일 용량을 줄이게 되어 전송속도 및 최종 컨텐츠 사용자의 저장 공간을 절약하는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단계적, 계층적 컨텐츠 융합방식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배포까지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기획 등록 및 디자인 설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디자인 설정이 직접 등록일 경우의 디자인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디자인 설정이 전체 공개일 경우의 디자인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디자인 설정이 요청일 경우의 디자인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번역 등록 및 더빙 설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번역 설정이 전체공개일 경우의 번역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번역 설정이 요청일 경우의 번역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더빙 설정이 직접 등록일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더빙 설정이 전체 공개일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더빙 설정이 요청일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배포 승인 요청을 나타낸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저장된 오브젝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오브젝트 재활용을 나타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오브젝트 등록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번역 요청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을 당업자가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은,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서 제공하는 융합 컨텐츠를 구매하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클라이언트(200);
기획자클라이언트에서 배포 승인 요청시 배포 승인하기 위한 운영자클라이언트(300);
시나리오를 기획하며, 디자인과 번역 및 더빙을 설정하여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며, 운영자클라이언트에 배포 승인을 요청하는 기획자클라이언트(400);
기획자클라이언트의 디자인 설정에 부합되는 디자인 작업을 수행한 후 해당 디자인 작업 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는 디자이너클라이언트(500);
기획자클라이언트의 번역 설정에 부합되는 번역 작업을 수행한 후 해당 번역 작업 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는 번역자클라이언트(600);
기획자클라이언트의 더빙 설정에 부합되는 더빙 작업을 수행한 후 해당 더빙 작업 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는 더빙클라이언트(700);
단계적 융합 컨텐츠를 제작 관리하기 위한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단계적, 계층적 컨텐츠 융합방식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적 혹은 계층적 컨텐츠는 최초 기획자에 의해 컨텐츠 기획과 대본(시나리오)를 작업하게 되고, 해당 작업된 기획안을 회사 소속의 디자이너 혹은 기획자가 원하는 디자이너에게 요청하거나, 아니면 웹사이트에 제공하여 불특정 다수의 개인들에게 디자인을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이후, 작업된 디자인과 대본을 번역자에게 제공하여 기획자가 원하는 언어로 번역을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번역은 대규모 회사에서 처리하게 되어 극히 한정된 번역 작업 밖에 수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거의 대부분의 학습 컨텐츠 제공업체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등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언어만을 취급하고 있어 다른 언어를 배우고자 하는 개인들에게 다양한 번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기획자가 원하는 언어로 번역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되는데, 기획자가 상기한 대본과 그림을 웹사이트에 제공하고 원하는 언어로의 번역을 요청하게 되면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개인들이 전문성을 가지고 번역하여 제공하게 되므로 어떠한 언어라도 번역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후, 작업된 대본, 그림, 번역문을 기획자가 획득하여 더빙을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더빙도 마찬가지로 기획자가 지정하거나, 요청하거나 불특정 다수에게 공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시나리오 작업, 그림 작업, 번역 작업, 더빙 작업을 순서대로 진행하는데 이를 단계적, 계층적 컨텐츠라 정의한 것이고, 이를 융합한 컨텐츠를 최종 소비자(사용자)들에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스마트 교육 융합 컨텐츠라 정의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들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획자클라이언트에서 배포 승인 요청시 배포 승인하기 위한 운영자클라이언트(300);
시나리오를 기획하며, 디자인과 번역 및 더빙을 설정하여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며, 운영자클라이언트에 배포 승인을 요청하는 기획자클라이언트(400);
기획자클라이언트의 디자인 설정에 부합되는 디자인 작업을 수행한 후 해당 디자인 작업 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는 디자이너클라이언트(500);
기획자클라이언트의 번역 설정에 부합되는 번역 작업을 수행한 후 해당 번역 작업 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는 번역자클라이언트(600);
기획자클라이언트의 더빙 설정에 부합되는 더빙 작업을 수행한 후 해당 더빙 작업 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는 더빙클라이언트(700);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서 제공하는 융합 컨텐츠를 구매하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클라이언트(200);의 클라이언트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컨텐츠 배포까지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서 기획자클라이언트의 권한을 체크하게 되며, 권한이 부여된 기획자가 기획한 기획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등록하게 되며, 디자이너, 번역가, 성우가 등록을 원할 경우에 기획자가 승인을 결정하게 되며, 최종 컨텐츠를 시스템관리자에 의해 배포 승인시 컨텐츠가 불특정 다수에게 배포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는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디자이너용 워크시트, 번역가용 워크시트, 더빙용 워크시트를 작업자들에게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기획 등록 및 디자인 설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획자클라이언트가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로그인(S10)하게 되고, 기획자가 기획한 새로운 기획을 등록(S100)하게 된다.
이때, 기획정보등록부에서 해당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게 되는 것이다.
로그인 기획자가 기본 언어로 된 기획 정보를 입력(S200)하게 되면 해당 정보들을 기획정보등록부에서 획득하여 등록시키게 되며, 기획이 완료(S290)되면 기획자의 디자인 설정(S300) 과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상기 디자인 설정 과정은 직접 등록(S410), 전체 공개(S420), 요청(S430)이 있으며, 직접 등록은 기획자가 속해 있는 기관이나 집단에 소속되어 있는 디자이너에게 해당 기획안을 등록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전체 공개는 웹사이트를 통해 불특정 다수들에게 기획안인 시나리오를 공개하여 디자인 작업을 의뢰하는 것을 의미하며, 요청은 특정 디자이너에게 디자인 작업을 요청하는 것이다.
또한, 하기의 번역, 더빙에서 언급하고 있는 직접 등록, 전체 공개, 요청도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디자인 설정이 직접 등록일 경우의 디자인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접 등록일 경우에는 기획 의도에 맞는 이미지 파일을 등록(S500)하게 되며, 이미지의 X,Y,Z 좌표값을 설정하고 이미지 폭, 높이를 설정(S600)하게 되며, 그림이 완료(S690)되면 기획자의 번역 설정(S700)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이때에도 번역 설정의 직접 등록(S710), 전체 공개(S720), 요청(S730)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디자인 설정이 전체 공개일 경우의 디자인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공개일 경우에는 디자이너들이 회원 가입 후 로그인(S800)하여 그림 작업이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그리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요청(S900)하게 된다.
이후 기획자클라이언트에서는 요청 신호를 획득하여 기획자가 승인(S990)시 해당 승인 메세지를 해당 디자이너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게 되며, 디자이너는 기획 의도에 맞는 이미지 파일을 등록(S1000)하게 되고, 이미지의 X,Y,Z 좌표값을 설정하고 이미지 폭, 높이를 설정(S1100)하게 되며, 그림이 완료(S1190)되면 기획자클라이언트에 이미지 검수 요청(S1200)을 하게 된다.
이때, 기획자의 승인 대기(S1290) 상태가 되어 승인시 기획자의 번역 설정(S700)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디자인 설정이 요청일 경우의 디자인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자이너들이 회원 가입 후 로그인(S1300)하여 기획자가 요청한 디자인을 확인하게 되고, 디자이너가 승인(S1390)시 기획 의도에 맞는 이미지 파일을 등록(S500)하게 되는 것이다.
거절시 기획자는 디자인 설정을 다시 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번역 등록 및 더빙 설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획자의 기본 언어로 된 기획정보 및 이미 번역된 언어를 바탕으로 번역된 정보를 입력(S1400)하게 된다.
이때, 전체 번역이 완료(S1490)될 경우에 기획자의 더빙 설정 단계(S1500)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직접 등록(S1510), 전체 공개(S1520), 요청(S15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번역 설정이 전체 공개일 경우의 번역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역자클라이언트에서 로그인(S1600)하게 되면, 번역 요청이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번역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 및 요청(S1700)하게 된다.
이후에 기획자클라이언트의 승인시까지 대기 상태(S1790)가 되며, 승인시 기획자 기본 언어로 된 기획 정보 및 이미 번역된 언어를 바탕으로 번역된 정보를 입력(S1800)하게 되며, 전체 번역이 완료(S1890)될 경우에 기획자클라이언트로 검수 요청(S1900)하게 되고, 기획자가 승인시까지 승인 대기 상태(S1990)가 되며, 승인시 기획자의 더빙 설정 단계(S1500)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번역 설정이 요청일 경우의 번역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역자가 로그인(S1300)하여 번역 요청을 확인하게 되고, 번역가가 승인(S1390)시 번역된 정보를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거절 시 기획자의 번역 설정(S700)을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더빙 설정이 직접 등록일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획자 기본 언어로 된 기획 정보 및 이미 번역된 언어를 바탕으로 더빙된 파일을 등록(S2000)하게 되며, 전체 더빙 완료(S2090)시 배포 승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더빙 설정이 전체 공개일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우가 로그인(S2100)한 후, 더빙 요청이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더빙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 요청(S2200)하게 된다.
이후에 기획자의 승인시까지 승인 대기(S2290) 상태가 되고, 기획자 기본 언어로 된 기획 정보 및 이미 번역된 언어를 바탕으로 더빙된 파일을 등록(S2300)하게 되며, 전체 더빙 완료(S2390)시에 기획자에게 검수 요청(S2400)하게 되며, 기획자 승인(S2490)시 배포 승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더빙 설정이 요청일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우 로그인(S2500)시 성우는 더빙 요청을 확인하게 되며, 더빙 요청 승인(S2590)시 기획자 기본 언어로 된 기획 정보 및 이미 번역된 언어를 바탕으로 더빙된 파일을 등록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배포 승인 요청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획자 로그인(S2600) 후 배포 승인 요청(S2700)을 운영자클라이언트에 제공하게 되며, 운영자클라이언트의 승인(S2790)시 배포대기 상태(S2800)가 되어 배포(S2900)하거나 배포 중지(S3000)를 설정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100)는,
기획된 시나리오에 부합되는 디자인 정보, 번역 정보, 더빙 정보를 단계적으로 융합시키기 위한 컨텐츠융합부(105),
융합된 컨텐츠에 복수의 동일 오브젝트가 사용될 경우에 중복되는 오브젝트를 단일 오브젝트로 수정하여 배포용 컨텐츠를 생성하며, 생성된 융합 컨텐츠의 배포를 제어하기 위한 오브젝트필터링컨텐츠배포부(110),
사용자정보DB, 컨텐츠제작자정보DB, 컨텐츠정보DB, 다국어오브젝트DB, 단계별정보DB를 관리하기 위한 DB관리부(115),
기획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기획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는 기획정보등록부(120),
디자이너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디자인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는 디자인정보등록부(125),
번역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국가별 번역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는 번역정보등록부(130),
더빙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국가별 더빙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는 더빙정보등록부(135),
단계별정보DB에 저장된 단계별 정보를 획득하여 2차원 테이블 형태로 기록하는 워크시트기록부(미도시),
단계별정보DB에 저장된 단계별 정보를 획득하여 오브젝트별로 융합시켜 다국어오브젝트DB에 등록시키는 오브젝트등록부(140),
기획 정보에 부합되는 디자인, 번역, 더빙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적합성을 검수하도록 기획자클라이언트에 검수 요청신호를 단계별로 송출하는 검수부(145),
융합 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DB(150),
운영자, 기획자, 디자이너, 번역자, 더빙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제작자정보DB(155),
융합 컨텐츠의 가격, 사용된 오브젝트, 사용된 오브젝트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정보DB(160),
융합 컨텐츠에서 사용되는 다국어 오브젝트의 다국어 텍스트, 다국어 더빙, 그림, 검색어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다국어오브젝트DB(165),
기획된 시나리오 정보, 디자인 정보, 국가별 번역 정보, 국가별 더빙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별정보DB(17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컨텐츠융합부(105)는 기획된 시나리오에 부합되는 디자인 정보, 번역 정보, 더빙 정보를 단계적으로 융합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기획자의 설정에 따라 획득된 디자인을 대본에 매칭시키고, 대본과 디자인에 다시 번역문을 매칭시키고, 다시 더빙 정보를 매칭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오브젝트로 융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오브젝트필터링컨텐츠배포부(110)는 융합된 컨텐츠의 배포를 제어하게 되는 것인데, 운영자클라이언트에서 배포대기 상태에서 배포를 선택하게 되면 배포 과정이 되어 해당 융합 컨텐츠를 웹사이트 혹은 스마트기기에 제공하기 위하여 앱스토어에 올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가 발생하여 배포가 불가능할 경우에 배포 중지를 선택할 수있게 되는데 해당 신호를 획득하여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융합된 컨텐츠에 복수의 동일 오브젝트가 사용될 경우에 중복되는 오브젝트를 단일 오브젝트로 수정하여 배포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기능도 제공하게 된다.
즉, 하나의 컨텐츠에 복수의 동일 오브젝트가 쓰일 경우에, 중복되는 오브젝트(오브젝트의 상태속성은 각각 다른 것)를 단일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배포용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작성된 배포용 컨텐츠는 불필요한 중복이 배제되므로 배포용 화일 용량이 줄어들어 전송속도 및 최종 컨텐츠 사용자의 저장 공간을 절약하는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DB관리부(115)는 사용자정보DB, 컨텐츠제작자정보DB, 컨텐츠정보DB, 다국어오브젝트DB, 단계별정보DB를 관리하게 된다.
즉, 실시간으로 사용자, 컨텐츠제작자, 컨텐츠 정보, 오브젝트 정보 등이 수시로 바뀌게 되므로 해당 디비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DB관리부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획정보등록부(120)는 기획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기획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게 되는데, 기획 정보는 시나리오 기획안, 디자인 기획안 등과 같이 융합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기획안을 의미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계층적 컨텐츠를 불특정 다수들이 선택하게 되면 이를 기획자가 평가하게 되며 점수에 따라 승인하게 되어 최종 융합 컨텐츠가 완성되므로 자신의 장점에 맞는 분야를 개인들이 찾아서 작업하여 이를 올리게 되면 이에 따른 수익 창출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전문성을 가지고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전문성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디자인정보등록부(125)는 디자이너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디자인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며, 번역정보등록부(130)는 번역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국가별 번역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며, 더빙정보등록부(135)는 더빙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국가별 더빙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워크시트기록부(미도시)는 단계별정보DB에 저장된 단계별 정보를 획득하여 2차원 테이블 형태로 기록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기획자는 기획자클라이언트를 통해 디자이너용 워크시트를 작성하여 디자이너들에게 제공하게 되며, 디자인 완성시 다시 번역가용 워크시트를 작성하여 번역가들에게 제공하게 되며, 번역 완성시 다시 더빙용 워크시트를 작성하여 성우들에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복잡한 형태의 오브젝트는 데이터 저장 구조나 표시 형태가 복잡하므로 다음 단계 작업자들에게 간단 명료한 업무를 전달하기 위하여 다음 작업자에게 필요한 사항만 오브젝트로부터 추출하여 평면적인 2차원 테이블 형태로 기록한 워크시트를 기록하여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작성된 워크시트는 내부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외부 인원에게도 쉽게 작업 지시가 가능하게 되므로 업무 분담의 유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오브젝트등록부(140)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별정보DB에 저장된 단계별 정보를 획득하여 오브젝트별로 융합시켜 다국어오브젝트DB에 등록시키게 된다.
상기 검수부(145)는 기획 정보에 부합되는 디자인, 번역, 더빙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적합성을 검수하도록 기획자클라이언트에 검수 요청신호를 단계별로 송출하게 된다.
즉, 디자이너클라이언트, 번역자클라이언트, 더빙클라이언트로부터 완료된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적합성을 검수하도록 기획자클라이언트에 검수 요청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정보DB(150)에는 융합 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아이디, 비번, 연락처, 주소, 구매한 컨텐츠 정보, 구매액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제작자정보DB(155)에는 운영자, 기획자, 디자이너, 번역자, 더빙자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정보에는 해당인의 신상 정보를 포함한 식별자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컨텐츠정보DB(160)에는 융합 컨텐츠의 가격, 사용된 오브젝트, 사용된 오브젝트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 아이디, 오브젝트명, 텍스트, 더빙, 이미지, 검색어 데이터 필드가 각각 존재하게 되며, 오브젝트의 컨텐츠별 상태 정보에는 좌표값, 크기, 액션 형태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옵션은 데이터의 입력 유/무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다국어오브젝트DB(165)에는 융합 컨텐츠에서 사용되는 다국어 오브젝트의 다국어 텍스트, 다국어 더빙, 그림, 검색어 태그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컨텐츠는 글, 그림, 번역, 더빙 정보를 포함한 오브젝트 단위로 컨텐츠정보DB에 저장하되, 오브젝트의 속성을 다수개의 태그 설정으로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검색어 태그 정보로 남자, 아이, 파란 셔츠를 설정하게 되면 해당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오브젝트의 속성을 다수개의 태그 설정으로 저장하고 있어 컨텐츠의 태그 검색을 통해 컨텐츠를 검색하고, 기획자클라이언트에서 검색을 통한 컨텐츠 재사용시 컨텐츠정보DB(160)에서 해당 컨텐츠를 오브젝트 단위로 추출하게 된다.
상기 오브젝트는 글(다국어 포함), 소리(다국어 포함), 그림, 검색어가 융합된 것이며, 다국어오브젝트DB(170)에는 오브젝트 아이디, 오브젝트명, 다국어의 텍스트, 다국어의 더빙, 그림, 검색어 태그 정보에 관한 데이터 필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되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후에 특정인이 검색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개와 배경음의 오브젝트를 생성한 상태에서 추후 동물원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 개와 배경음의 오브젝트는 검색 후 재활용하고, 기린에 대한 글, 그림, 번역, 더빙만을 새로이 생성하여 매칭시키게 되면, 동물원 컨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이 단순화되어 제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제작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컨텐츠의 용량이 감소되어 배포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더 나은 효과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각되는 점은 디자인과 번역 및 더빙 설정에 의하여 특정 디자이너클라이언트에 등록 혹은 요청하거나, 웹사이트에 공개하여 불특정 다수의 디자이너클라이언트의 참여를 유도하게 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치원 놀이터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라는 기획자의 컨텐츠 기획안을 설정하게 되면, 새 오브젝트를 등록하게 된다.
이때, 오브젝트의 유형은 단어형, 문장형, 사운드형, 대화형 등이 있으며 기획자가 이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며, 시소타는 아이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게 되며, 디자인을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디자인의 이미지 설명을 간략하게 하고, 태그 검색 정보로 시소, 남자, 여자아이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검색을 통한 오브젝트를 등록할 수 있는데, 태그 검색어로 남자를 검색하게 되면 아이디 : 1, 타이틀 : 시소타는 아이가 검색되게 되며 이를 선택하게 되게 된다.
한편, 기존 오브젝트의 재활용을 위한 설정창을 제공하게 되어 해당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하여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획자가 직접 등록, 전체공개, 요청(타겟팅)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획자가 직접 번역을 등록하는 예제이며, 번역이 가능한 언어로 영어를 선택하는 것이다.
또한, 전체 공개시의 예제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에 의하면, 기획, 그림, 번역,더빙 등 각기 다른 재능을 갖은 사람들을 단계적, 계층적으로 컨텐츠 제작에 참여시키고 컨텐츠를 융합하여 스마트기기에 제공함과 동시에 최종 생산된 컨텐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컨텐츠 제작자에게 수익을 분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이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0 :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
200 : 사용자클라이언트
300 : 운영자클라이언트
400 : 기획자클라이언트
500 : 디자이너클라이언트
600 : 번역자클라이언트
700 : 더빙클라이언트

Claims (7)

  1.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서 제공하는 융합 컨텐츠를 구매하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클라이언트(200);
    기획자클라이언트에서 배포 승인 요청시 배포 승인하기 위한 운영자클라이언트(300);
    시나리오 기획 정보, 디자인 설정 정보와 번역 설정 정보 및 더빙 설정 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며, 운영자클라이언트에 배포 승인을 요청하는 기획자클라이언트(400);
    디자인 작업 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는 디자이너클라이언트(500);
    번역 작업 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는 번역자클라이언트(600);
    더빙 작업 정보를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에 제공하는 더빙클라이언트(700);
    기획된 시나리오에 부합되는 디자인 정보, 번역 정보, 더빙 정보를 단계적으로 융합시키기 위한 컨텐츠융합부(105),
    융합된 컨텐츠에 복수의 동일 오브젝트가 사용될 경우에 중복되는 오브젝트를 단일 오브젝트로 수정하여 배포용 컨텐츠를 생성하며, 생성된 융합 컨텐츠의 배포를 제어하기 위한 오브젝트필터링컨텐츠배포부(110),
    사용자정보DB, 컨텐츠제작자정보DB, 컨텐츠정보DB, 다국어오브젝트DB, 단계별정보DB를 관리하기 위한 DB관리부(115),
    기획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기획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는 기획정보등록부(120),
    디자이너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디자인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는 디자인정보등록부(125),
    번역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국가별 번역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는 번역정보등록부(130),
    더빙클라이언트로부터 송출된 국가별 더빙 정보를 단계별정보DB에 등록시키는 더빙정보등록부(135),
    단계별정보DB에 저장된 단계별 정보를 획득하여 2차원 테이블 형태로 기록하는 워크시트기록부,
    단계별정보DB에 저장된 단계별 정보를 획득하여 오브젝트별로 융합시켜 다국어오브젝트DB에 등록시키는 오브젝트등록부(140),
    기획 정보에 부합되는 디자인, 번역, 더빙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적합성을 검수하도록 기획자클라이언트에 검수 요청신호를 단계별로 송출하는 검수부(145),
    융합 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DB(150),
    운영자, 기획자, 디자이너, 번역자, 더빙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제작자정보DB(155),
    융합 컨텐츠의 가격, 사용된 오브젝트, 사용된 오브젝트의 좌표값, 크기값, 액션 형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정보DB(160),
    융합 컨텐츠에서 사용되는 다국어 오브젝트의 다국어 텍스트, 다국어 더빙, 그림, 검색어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다국어오브젝트DB(165),
    기획된 시나리오 정보, 디자인 정보, 국가별 번역 정보, 국가별 더빙 정보를 저장하되, 오브젝트 아이디, 오브젝트명, 다국어의 텍스트, 다국어의 더빙, 그림, 검색어 태그 정보에 관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있는 단계별정보DB(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계적컨텐츠융합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컨텐츠는,
    글, 그림, 번역, 더빙 정보를 포함한 오브젝트 단위로 컨텐츠정보DB(160)에 저장되어 있으며, 오브젝트의 속성을 다수개의 태그 설정으로 저장하고 있어 컨텐츠의 태그 검색을 통해 컨텐츠를 검색하고, 기획자클라이언트에서 검색을 통한 컨텐츠 재사용시 컨텐츠정보DB(160)에서 해당 컨텐츠를 오브젝트 단위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디자인과 번역 및 더빙 설정에 의하여,
    특정 디자이너클라이언트에 등록 혹은 요청하거나, 웹사이트에 공개하여 불특정 다수의 디자이너클라이언트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오브젝트는,
    오브젝트 아이디별 오브젝트의 좌표값, 크기, 액션 형태가 포함된 상태 정보가 매칭되어 있어 컨텐츠 완성시 해당 오브젝트가 상기 상태 정보에 부합되게 출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102288A 2012-09-14 2012-09-14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 KR101374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88A KR101374661B1 (ko) 2012-09-14 2012-09-14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88A KR101374661B1 (ko) 2012-09-14 2012-09-14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661B1 true KR101374661B1 (ko) 2014-03-17

Family

ID=5064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288A KR101374661B1 (ko) 2012-09-14 2012-09-14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6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929A1 (ko) * 2015-08-06 2017-02-09 이래득 공유창작 콘텐츠 복합거래 생태계 서비스 플랫폼 및 그 방법
CN107659850A (zh) * 2016-11-24 2018-02-02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媒体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20240033388A (ko)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도이피다 스케토리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206A (ko) * 2006-06-30 2007-07-25 (주)케이시크 통합문서를 이용한 웹서비스 운용 방법
KR20100104453A (ko) * 2009-03-18 2010-09-29 애니프레임(주)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장치 및 방법
KR20110099608A (ko) * 2010-03-02 2011-09-08 (주)스포크시스템즈 다국어 전자책 제작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206A (ko) * 2006-06-30 2007-07-25 (주)케이시크 통합문서를 이용한 웹서비스 운용 방법
KR20100104453A (ko) * 2009-03-18 2010-09-29 애니프레임(주)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장치 및 방법
KR20110099608A (ko) * 2010-03-02 2011-09-08 (주)스포크시스템즈 다국어 전자책 제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929A1 (ko) * 2015-08-06 2017-02-09 이래득 공유창작 콘텐츠 복합거래 생태계 서비스 플랫폼 및 그 방법
CN107659850A (zh) * 2016-11-24 2018-02-02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媒体信息处理方法和装置
CN107659850B (zh) * 2016-11-24 2019-09-17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媒体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20240033388A (ko)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도이피다 스케토리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47277B (zh) 一种移动校园综合服务平台及其工作方法
CN112668295B (zh) 一种基于自定义表单和Activiti工作流的管理系统及方法
US7159175B2 (en) Cut-list creation system, center server, advertisement creation terminals, computer programs, storage media and cut-list creation method of center server
CN110796570A (zh) 一种智慧文旅系统
CN105684023A (zh) 用于事件直播流的消息传递
KR102402026B1 (ko)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5338223A (zh) 广播电视播出领域融合新媒体图文集中播控管理系统
Heimstädt et al. Politics of disclosure: Organizational transparency as multiactor negotiation
WO2021012410A1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08574850A (zh) 一种直播资源分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374661B1 (ko) 컨텐츠 객체 재사용이 가능한 컨텐츠 융합 프레임워크 시스템
Li Grounded theory-based model of the influence of digital communication on handicraf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KR20140034674A (ko) 디자인 컨설팅 제공시스템 및 방법
Yang et al. The design model for robotic waitress
Jia Analysis methods for the planning and dissemination mode of radio and television assis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US20210125192A1 (en) Methods for monitoring communications channels and determining triggers and actions in role-based collaborative systems
CN104184824B (zh) 手机报定制和推送的装置及方法
KR20200110836A (ko) 개인방송 기반 개인별 재주 판매를 위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34837B1 (ko) 캐릭터 인형을 이용한 문화콘텐츠 밸류체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ownsend Working Title Films and Universal: The integration of a British production company into a Hollywood studio
CN106777175B (zh) 一种基于协同创建的荐书文章管理方法、服务器及系统
Maguire A framework for user-requirement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creative design concepts
Smart et al. Competencies and Digital Marketing Skills-Thailand Case
KR102176936B1 (ko) 사용자 템플릿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콘텐츠 제작 및 관리 시스템
DuPont et al. Ordering space: Alternative views of ICT and ge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