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852B1 -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 Google Patents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852B1
KR101373852B1 KR1020140014382A KR20140014382A KR101373852B1 KR 101373852 B1 KR101373852 B1 KR 101373852B1 KR 1020140014382 A KR1020140014382 A KR 1020140014382A KR 20140014382 A KR20140014382 A KR 20140014382A KR 101373852 B1 KR101373852 B1 KR 101373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ircraft
rotating
rotary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스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스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스앤텍
Priority to KR102014001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3/00Feeding power to supply lines in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s; Arrangements for consuming regenerative power
    • B60M3/02Feeding power to supply lines in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s; Arrangements for consuming regenerative power with means for maintaining voltag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3/00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 B64F3/02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with mean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ircraft during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Abstract

본 발명의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는 비행체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타측이 결합되어 케이블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이 결합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프레임에 결합되며 위상이나 회전방향이 반대인 2개의 회전홈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드되며 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케이블작동부와, 상기 몸체의 프레임에 고정되면서 회전드럼에 연결되어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제1회전부와 상기 케이블작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로 이루어진 구동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케이블작동부의 가이드부가 회전축에 형성된 회전홈을 통해 프레임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되면서 케이블이 꼬이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드럼에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Power supply reel device of wired flying object}
본 발명은 유선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비행체가 이륙, 비행, 착륙하기 위해 이동할 때, 비행체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비행체나 릴장치에 부하를 주지 않고 용이하게 풀리거나 감기도록 하면서 케이블이 쉽게 꼬이지 않도록 하여, 비행체가 부하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비행체에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3149호와 같이 전선의 일측을 비행체에 연결하고 타측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에 연결하여 상기 전선을 통해 비행체에 전원을 공급하여 비행체를 작동시키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비행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외부의 릴장치에 감겨있지 않고 전선 전체가 풀어져 있어 비행체가 이동할 때 전선이 꼬이게 되거나 사용자가 비행체에 연결된 전선의 길이를 제대로 체크하지 않으면서 비행체를 전원부에서 일정 반경 이상 움직이게 되면, 비행체 및 전원부에 부하가 발생하게 되면서 비행체 및 전원부에서 전선이 끊어지거나 이로 인한 기체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비행체에 연결된 전선의 길이를 확인하면서 비행체를 움직이더라도 전선이 릴장치에 감겨있지 않아 바람이 전선으로 불 경우, 바람에 의해 전선이 흔들리게 되면서 비행체가 제대로 비행하지 못하거나 흔들리는 전선에 의해 비행체나 전원부에 부하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는 비행체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타측이 결합되어 케이블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이 결합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프레임에 결합되며 위상이나 회전방향이 반대인 2개의 회전홈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드되며 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케이블작동부와, 상기 몸체의 프레임에 고정되면서 회전드럼에 연결되어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제1회전부와 상기 케이블작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로 이루어진 구동부가 포함되어 상기 케이블작동부의 가이드부가 회전축에 형성된 회전홈을 통해 프레임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되면서 케이블이 꼬이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드럼에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작동부의 가이드부가 회전축에 형성된 회전홈을 통해 프레임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되면서 케이블이 꼬이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드럼에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케이블의 일측과 타측으로 금속링을 결합하고 케이블가이드부에 금속센서를 형성하여 비행체의 움직임에 의해 풀리거나 감기는 케이블이 일정한 거리까지만 풀리도록 하여 비행체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발생되는 케이블 및 비행체의 부하를 줄여 케이블 및 비행체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을 통해 비행체로 전달되는 전원을 감지할 수 있는 전류측정센서를 설치하여 비행체로 항상 일정한 크기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비행체로 공급되는 전원의 강하나 상승을 제어함으로써, 비행체로 전달되는 전원에 의한 비행체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고, 비행체의 움직임에 따라 순간적으로 많은 전원의 필요시 전원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를 통해 케이블이 풀릴 경우에는 부하를 받지않는 무부하 상태로 풀리도록 하여 비행체가 케이블의 길이만큼 용이하게 움직이도록 하며, 케이블이 감길 경우에는 모터나 보조모터에 제어작동에 의해 비행체 및 케이블에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감기도록 하여 비행체 및 케이블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상기 케이블가이드부를 통해 비행체와 연결된 케이블이 제1, 2롤러부의 사이로 위치되어 케이블이 수평방향, 수직방향으로 케이블의 전방향에서 케이블을 보호하면서 풀어지거나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이 다른 부품과 부딪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케이블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비행체에 케이블과 상시연결상태로 연결된 보조배터리를 형성하여 케이블을 통해 비행체로 공급되는 전원의 일부를 충전하도록 하면서 비행체로의 전원공급 이상시 보조배터리에서 전원공급의 공백시간 없이 바로 비행체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비행체가 전원이상에 의한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를 도시한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인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의 케이블가이드부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의 케이블가이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5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체 및 비행체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장치에서 비행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 및 케이블의 작동을 제어하는 몸체(10), 케이블작동부(20), 구동부(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체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회전하는 회전드럼(11)과 상기 회전드럼(11)이 결합되는 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드럼(11)은 프레임(12)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몸체(10)에 회전드럼(11)을 회전시킬 수 있는 베어링(도면에 미도시)이나 힌지(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2)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비행체에 전원을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공급할 때, 지상에는 일반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도면에 미도시)와 같은 전원장치(도면에 미도시), 주제어장치(도면에 미도시)가 구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장치와 비행체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형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비행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무선으로 비행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유선으로도 비행체를 제어할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케이블에는 케이블의 풀림과 감김 상태에 따라 풀어지거나 감겨지는 케이블의 길이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비행체와 인접한 위치의 케이블의 일측과 몸체(10)에 형성된 회전드럼(11)과 인접한 케이블의 타측으로 금속링(r)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링(r)은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에만 설치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수개가 일정간격 배열되도록 하여 설치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비행체에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의 이상시 비행체 자체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배터리(b)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배터리(b)는 전원장치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원이 충전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보조배터리(b)는 비행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비행체에서 전원을 사용하는 구성과 상시연결상태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는, 보조배터리가 비행체의 전원구성과 스위치형태로 연결되어 있고 외부의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가 외부전원의 이상시 외부 전원이 차단되고 스위치가 작동하게 되면서 비행체가 보조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외부전원이 차단되는 시간부터 스위치가 접촉되는 시간 사이에 공백이 발생하게 되어 그 공백시간으로 인한 비행체에 무리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덧붙여, 비행체와 같은 경우 아주 짧은 시간 동안이라도 전원이 끊어질 경우 비행체의 균형유지 및 기동이 어렵게 되며, 다시 전원이 복구되더라도 비행체가 다시 균형을 유지하거나 기동하기 위해 비행체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행체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백시간을 없애기 위해 보조배터리(b)가 비행체에 상시연결상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나 회전드럼(11)에 감겨진 케이블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에 케이블로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전류측정센서(sp)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비행체의 비행시 순간적인 상승이나 하강과 같이 움직임이 발생하게 될 경우, 그 순간에 케이블로 공급되는 전원이 순간적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순간적으로 상승된 전원이 비행체에 전달되면서 비행체에 전기적인 과부하를 줄 수 있게 되어 비행체의 오작동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비행체로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전류측정센서(sp)를 몸체(10)나 전원장치에 설치함으로써, 케이블을 통해 비행체로 공급되는 전원을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전원이 일정수치 이상으로 공급될 경우 기준점 이상의 전원을 차단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수치의 전원만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블작동부(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프레임(12)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위상이나 회전방향이 반대인 2개의 회전홈(21a)이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 회전축(21)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1)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회전축(21)에 형성된 회전홈(21a)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으로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홈(22a)이 형성된 가이드부(2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2)에는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에 결합되어 회전홈(22a)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드되면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에서 공회전하지 않도록 회전홈(22a)에 삽입되는 돌출부(22b)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가이드부(22)에 돌출부(22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에서 공회전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부(22b)가 회전홈(22a)에 삽입되어 회전홈(21a)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부(22)가 회전축(22)에서 공회전하지 않고 회전축(21)의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드되면서 가이드부(22)에 결합되어 몸체(10)의 회전드럼(11)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케이블이 꼬이지 않은 상태로 용이하게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1)에 형성된 위상이나 회전방향이 반대인 2개의 회전홈(21a)의 하나의 일측 끝부분과 다른 일측 끝부분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하나의 타측 끝부분과 다른 타측 끝부분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에 결합되어 하나의 회전홈(21a)을 따라 슬라이드될 때, 가이드부(22)가 하나의 회전홈(22a)의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 끝까지 이동한 후, 하나의 회전홈(22a)의 타측 끝부분에서 다른 회전홈(22a)의 타측 끝부분으로 이동하면서 다시 다른 회전홈(22a)의 타측 끝부분에서 일측 끝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에서 용이하게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홈(21a)을 회전축(21)에 하나로만 형성할 경우 케이블이 가이드부(22)의 케이블홈(22a)에 삽입되어 몸체(10)의 회전드럼(11)에 감겨지게 될 때, 케이블이 하나의 회전홈(21a)에 의해 한 방향으로만 감겨지게 되면서 몸체(10)에 형성된 회전드럼(11)의 어느 한 부분만 울퉁불퉁하게 감겨지게 되어 제대로 감겨지지 않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위상이나 회전방향이 반대인 두개의 회전홈(21a)을 형성함으로써, 케이블이 회전드럼(11)에서 꼬이거나 한 부분만 돌출되지 않고 회저드럼(11)의 전체 둘레에 편평하게 감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될 때, 가이드부(22)가 공회전하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일정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22)에 가이드홈(22c)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22c)에 결합되면서 양측으로 몸체(10)의 프레임(12)에 고정되는 가이드축(23)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2)에 가이드축(23)을 고정시킨 후, 상기 가이드부(22)의 가이드홈(22c)을 통해 가이드축(23)에 가이드부(22)을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부(22)가 공회전하지 않고 가이드축(23)의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21)의 외측과 가이드부(22)의 내측으로 슬라이드홈(24a)이 형성된 고정축(24)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고정축(24)이 회전축(21)과 가이드부(22)의 사이로 위치되면서 외부에서 회전축(21)이 보여지지 않도록 하여 시각적인 효과는 물론, 외부의 충격을 회전축(21)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회전축(21)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22)가 회전홈(21a)에 의해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회전축(21)을 따라 이동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가이드부(22)의 흔들림 등을 예방하여 케이블이 일정하게 몸체(10)의 회전드럼(11)에 용이하게 감겨지거나 풀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21)과 가이드부(22)의 사이로 위치된 고정축(24)에는 슬라이드홈(24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슬라이드홈(24a)은 가이드부(22)에 형성된 돌출부(22b)가 슬라이드홈(24a)을 관통하여 회전축(21)의 회전홈(21a)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기 고정축(24)에 슬라이드홈(24a)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고정축(24)이 파이프형태로만 형성되어 있을 경우, 가이드부(22)의 돌출부(22b)가 회전축(21)의 회전홈(21a)에 결합되지 않아 가이드부(22)가 직선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공회전하면서 고정축(24)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몸체(10)의 회전드럼(11)에 케이블이 울퉁불퉁하게 감겨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축(24)에 슬라이드홈(24a)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홈(24a)을 통해 가이드부(22)의 돌출부(22)가 용이하게 회전축(21)의 회전홈(21a)에 결합되어 이동함으로써, 가이드부(22)가 공회전하지 않고 원활하게 직선운동을 하면서 케이블이 몸체(10)의 회전드럼(11)에 편평하게 감겨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부(3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프레임(12)에 결합되며 몸체(10)의 회전드럼(11)과 연결되어 회전드럼(11)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31)와, 상기 프레임(12)에 고정된 케이블작동부(20)의 회전축(21)에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부(31)와 연결되면서 제1회전부(3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21)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부(31)와 제2회전부(32)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어형태로 형성되어 기어가 맞물리는 형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벨트풀리 형태로 형성되어 벨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거나 상술한 방법 두 가지를 혼용하거나 상술한 방법 외에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제1회전부(31)와 제2회전부(32)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30)에는 몸체(10)의 프레임(12)에 고정되며 주모터(3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3회전부(34)가 추가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에 제3회전부(34)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제1회전부(31)와 제3회전부(34)의 사이로 제1회전부(31)와 제3회전부(34)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제4회전부(35)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제4회전부(35)가 형성될 경우, 제1, 3회전부(31, 34)에 제4회전부(35)가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4회전부(35)를 승, 하강시키는 보조모터(36)를 추가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보조모터(36)를 통해 제4회전부(35)가 제1회전부(31) 및 제3회전부(34)에 밀착되거나 분리되도록 몸체(10)에 형성된 회전드럼(11)을 잠그거나 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회전드럼(11)에서 케이블이 부하없이 용이하게 풀리도록 함은 물론, 일정한 강도로 회전드럼(11)에 원활하게 감기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비행체가 이륙 및 고도상승, 반경 이동과 같이 공중으로 이동할 경우, 보조모터(36)가 작동하여 제4회전부(35)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제1회전부(31)와 제3회전부(34), 제4회전부(35)가 이격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1회전부(31)는 풀림상태로 변경되어 비행체의 상승에 의해 제1회전부(31)가 무부하상태로 자유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제1회전부(31)와 연결된 몸체(10)의 회전드럼(11)이 회전하게 되어 케이블이 힘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풀리게 되면서 비행체가 케이블의 길이만큼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조모터(36)가 작동하여 제4회전부(35)를 하강시키면 주모터(33) 및 제3회전부(34)가 회전하더라도 주모터(33)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제1회전부(31)로 전달되지 않아 제1회전부(31) 및 몸체(10)의 회전드럼(11)이 용이하게 자유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비행체가 이동거리의 축소나 고도하강, 착륙을 하기 위해 지면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모터(36)가 작동하여 각각 분리되어 있는 제1회전부(31)와 제3회전부(34)의 사이로 제4회전부(35)를 상승시켜 제1회전부(31)와 제3회전부(34), 제4회전부(35)가 서로 밀착되어 제1회전부(31)가 잠김상태로 변경된다.
또한, 상기 주모터(33) 및 제3회전부(34)가 회전하게 되면서 주모터(33)에서 제3회전부(34)로 전달된 회전력이 제4회전부(35)를 통해 제1회전부(31)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1회전부(31)에 연결된 몸체(10)의 회전드럼(11)이 회전하게 되면서 케이블이 처지지 않고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회전드럼(11)에 감기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비행체의 이륙 및 착륙에 따라 보조모터(36)가 작동하면서 제4회전부(35)의 위치가 변경하면 제1회전부(31)를 잠근 상태로 유지하거나 풀림 상태로 유지하여 몸체(10)의 회전드럼(11)이 자유회전하여 비행체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거나 비행체가 케이블 처짐에 의한 피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착륙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0)의 상측으로 케이블가이드부(40)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가이드부(40)는 지면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한 쌍의 제1롤러부(41)와, 상기 제1롤러부(41)의 상측이나 하측으로 제1롤러부(4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한 쌍의 제2롤러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롤러부(41)와 제2롤러부(43)를 고정하는 롤러고정부(4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롤러부(41)와 제2롤러부(42)를 중력방향에 대해 수직형태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1층에는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롤러부(41)가 위치되고, 2층에는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롤러부(42)가 위치되어 전체부피가 입체적인 육면체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제1롤러부(41)의 제2롤러부(42)의 사이의 공간으로 케이블이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롤러부(41)와 제2롤러부(42)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비행체를 용이하게 보관하거나 착륙, 이륙시킬 수 있는 지지판(44)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44)은 제1롤러부(41)나 제2롤러부(42)가 고정되는 롤러고정부(43)의 하측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롤러고정부(43)를 가로질러 높이차이가 나는 제1롤러부(41)나 제2롤러부(42)의 사이로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롤러고정부(43)가 지지판(44)에 고정될 때, 롤러고정부(43)의 사이로 케이블이 관통되기 때문에, 케이블이 지지판(44)에서도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케이블이 결합되는 홈(도면에 미도시)이 지지판(44)에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고정부(43)에는 케이블에 결합된 금속링(r)을 감지하여 케이블의 감김 상태나 풀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금속센서(s)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금속센서(s)는 비행체와 인접한 케이블의 일측에 설치된 금속링(r)을 감지할 경우 비행체가 상승하는 것으로 파악할 경우 회전드럼(11)이 자유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이 용이하게 풀어질 수 있도록 하며, 금속센서(s)가 케이블의 타측에 설치된 금속링(r)을 감지할 경우 회전드럼(11)에 감겨진 케이블이 더 이상 풀리지 않도록 하여 비행체가 케이블의 길이만큼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몸체(10), 케이블작동부(20), 구동부(30), 케이블가이드부(40)이 외에 비행체, 케이블, 전원장치 등 다양한 부품을 용이하게 보관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차량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이동수단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동수단에 설치된 비행체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원장치에서 비행체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런 후, 사용자가 리모콘(도면에 미도시)과 같은 조종장치를 이용하여 비행체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케이블을 통해 비행체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비행체가 움직이게 되는데, 상기 비행체와 인접한 케이블의 일측에 설치된 금속링(r)을 케이블가이드부(40)에 형성된 금속센서(s)가 감지하여 상기 몸체(10)의 회전드럼(11)에 케이블이 감겨져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비행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몸체(10)의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있던 구동부(30)의 보조모터(36)가 작동하면서 상기 보조모터(36)에 연결된 제4회전부(35)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회전부(31), 제3회전부(34), 제4회전부(35)로 서로 분리된 형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부(30)의 제1회전부(31), 제3회전부(34), 제4회전부(35)가 서로 분리되면서 제1회전부(31)가 자유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회전부(31)와 연결된 몸체(10)의 회전드럼(11)이 자유회전을 할 수 있게 되어 비행체가 이륙하면서 이동하게 되면 회전드럼(11)에 감겨져 있던 케이블이 부하없이 원활하게 풀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부(31)가 주모터(33)와 연결된 제3회전부(34)와 분리되면서 주모터(33)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받지 않고 쉽게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동부(30)의 제1회전부(31), 제3회전부(34), 제4회전부(35)가 분리되어 회전드럼(11)에 감겨진 케이블이 풀리게 되면서 케이블의 길이만큼 사용자가 비행체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케이블이 풀리면서 비행체가 이동하다가 케이블의 타측에 설치된 금속링(r)이 케이블가이드부(40)에 설치된 금속센서(s)가 설치된 지점에 위치하여 금속센서(s)가 금속링(r)을 감지하게 되면, 보조모터(36)가 작동하여 제3회전부(34)를 상승하도록 작동시켜 제1회전부(31), 제4회전부(35)의 사이로 제3회전부(34)가 위치되도록 하여 제1회전부(31)와 제3회전부(34), 제4회전부(35)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런 후, 자유회전을 수행하던 제1회전부(31)와 상기 제1회전부(31)와 연결된 몸체(10)의 회전드럼(11)에 부하가 걸리게 되면서 케이블이 더 이상이 풀리지 않게 되어 비행체가 케이블의 길이만큼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던 비행체가 케이블의 길이 이상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 및 비행체로 전달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이 몸체(10)의 회전드럼(11)에서 풀릴 때,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작동부(20)의 가이드부(22)에 형성된 케이블홈(22a)에 결합된 상태에서 풀리기 때문에 케이블이 꼬이지 않고 원활하게 풀리게 된다.
덧붙여, 상기 케이블가이드부(40)에 형성된 제1, 2롤러부(41, 42)의 사이로 케이블이 위치되면서 풀리게 되어 케이블이 제1, 2롤러부(41, 42)의 회전력을 통해 용이하게 풀리게 됨은 물론, 다른 구성과의 마찰을 줄여 케이블이 충격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풀리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케이블작동부(20)의 가이드부(22)에 형성된 케이블홈(22a)에 결합되어 있던 케이블이 풀릴 때, 상기 가이드부(22)에 형성된 돌출부(22b)가 회전축(21)의 회전홈(21a)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22b)가 회전홈(21a)을 따라 회전축(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거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을 따라 이동하여 케이블이 풀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을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블이 꼬이지 않고 원활하게 풀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21)의 회전홈(21a)은 위상이나 회전방향이 180°다르게 2개로 형성되어 있는데, 하나의 회전홈(21a)과 다른 회전홈(21a)의 양끝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및 타측에서 일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2)가 가이드축(23)에도 결합되어 있어, 가이드부(22)가 공회전하지 않고 회전축(21)의 축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어 케이블이 용이하게 풀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2)에는 가이드홈(22c)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홈(22c)에 가이드축(23)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축(23)을 따라 가이드부(22)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회전축(21)의 외측으로 고정축(24)이 결합되어 있어, 케이블이 회전축(21)의 회전홈(21a)에 끼이지 않아 케이블의 파손을 예방함은 물론, 외부의 충격에 의한 회전홈(21a)의 파손을 예방하여 가이드부(22)의 돌출부(22b)가 회전홈(21a)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축(24)에는 슬라이드홈(24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부(22)의 돌출부(22b)가 회전홈(21a)에 용이하게 결합되면서 회전축(21)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사용자가 비행체를 하강시키거나 풀어져 있던 케이블을 감기 위해 조종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보조모터(36)에 의해 제1회전부(31), 제3회전부(34), 제4회전부(35)가 연결되면서 상기 제3회전부(34)가 연결된 주모터(33)의 회전력을 제3회전부(34), 제4회전부(35), 제1회전부(31)의 순서로 전달하게 된다.
그로 인해, 무부하로 회전되던 몸체(10)의 회전드럼(11)에 부하가 걸리게 되어 회전드럼(11)의 자유회전이 정지하게 된 후, 주모터(33)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제1회전부(31)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31)로 주모터(33)의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상기 제1회전부(31)와 연결되어 있던 제2회전부(32)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2회전부(32)와 연결되어 있던 회전축(21)이 최초 케이블이 풀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1) 및 고정축(24)에 결합되어 있던 가이드부(22)가 케이블이 풀릴 때, 이동하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케이블이 회전드럼(11)에 감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부(31)가 주모터(33)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서 제1회전부(31)와 연결된 몸체(10)의 회전드럼(11)이 회전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케이블작동부(20)의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의 회전홈(21a)을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블이 가이드부(22)의 케이블홈(22a)을 통해 서서히 이동하면서 회전드럼(11)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을 따라 이동하는 방법은 상술한 케이블이 풀리 때의 역방향 및 역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22)가 가이드축(23)에 의해 공회전하지 않고 일정하게 직선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덧붙여, 상기 케이블이 회전드럼(11)에 감길 때에도 케이블가이드부(40)의 제1, 2롤러부(41, 42)에 의해 용이하게 감겨지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을 따라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하게 되면서 케이블이 울퉁불퉁하게 회전드럼(11)에 감기지 않고 일정하게 편평함을 유지하면서 감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케이블이 감기게 되어 비행체와 인접한 케이블의 일측에 설치된 금속링(r)을 케이블가이드부(40)에 설치된 금속센서(s)가 감지하게 되면, 케이블이 회전드럼(11)에 전부 감긴 것으로 파악하여 비행체로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고 비행체가 착륙한 것으로 연산하여 비행체의 비행을 종료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가이드부(40)에는 지지판(40)이 형성되어 있어, 비행체를 이동, 보관시키거나 이륙, 착륙시킬 때, 지지판(44)에 비행체가 놓여지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비행체가 비행하거나 착륙할 때, 상기 몸체(10)의 프레임(12)에 설치된 전류측정센서(sp)가 케이블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상태를 항시 파악하여 비행체의 급격한 움직임 등으로 인한 순간적인 기준 이상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항상 일정한 전류값을 가지도록 하여 전원공급 이상에 대한 비행체의 오작동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비행체에 설치된 보조배터리가 항상 비행체의 전원장치에 연결되어 있어, 케이블을 통해 비행체로 전원공급시 케이블의 이상 등으로 인한 전원공급의 공백시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전원공급의 공백시간으로 인한 비행체의 추락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몸체
11 : 회전드럼 12 : 프레임
20 : 케이블작동부
21 : 회전축 21a : 회전홈
22 : 가이드부 22a : 케이블홈
22b : 돌출부 22c : 가이드홈
23 : 가이드축 24 : 고정축
24a : 슬라이드홈
30 : 구동부
31 : 제1회전부 32 : 제2회전부
33 : 주모터 34 : 제3회전부
35 : 제4회전부 36 : 보조모터
40 : 케이블가이드부
41 : 제1롤러 42 : 제2롤러
43 : 롤러고정부 44 : 지지판
b : 보조배터리 r : 금속링
s : 금속센서 sp : 전류측정센서
50 :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Claims (12)

  1. 비행체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된 케이블을 제어하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타측이 결합되어 케이블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드럼(11), 상기 회전드럼(11)이 결합되는 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 몸체(10);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프레임(12)에 결합되며 위상이나 회전방향이 반대인 2개의 회전홈(21a)이 형성된 회전축(21), 상기 회전축(21)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드되며 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홈(22a)이 형성되는 가이드부(22)로 이루어진 케이블작동부(20);
    상기 몸체(10)의 프레임(12)에 고정되면서 회전드럼(11)에 연결되어 회전드럼(11)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31), 상기 프레임(12)에 고정되면서 제1회전부(31)와 상기 케이블작동부(20)의 회전축(21)에 연결되어 회전축(21)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32)로 이루어진 구동부(30);가 포함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에는 전원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원과 상시 연결되어 전원을 충전하는 보조배터리(b)가 형성되어 비행체로 공급되는 전원장치의 이상시 공백시간없이 비행체로 전원을 공급하여 비행체가 지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프레임(12)에는 케이블에서 비행체로 공급되는 전원을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sp)가 더 포함되도록 하여 전원장치에서 비행체로 전달되는 전원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작동부(20)의 회전축(21)에 형성된 회전홈(21a)의 양끝부분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회전홈(21a)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작동부(20)의 가이드부(22)에는 회전축(21)의 회전홈(21a)에 삽입되어 가이드부(22)가 회전축(21)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돌출부(22b)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작동부(20)의 가이드부(22)에는 가이드홈(22c)이 더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홈(22c)에 결합되면서 몸체(10)의 프레임(12)에 고정되는 가이드축(23)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작동부(20)에는 몸체(10)에 형성된 프레임(12)에 고정되며 회전축(21)과 가이드부(22)의 사이로 위치되면서 슬라이드홈(24a)이 형성된 고정축(24)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와 케이블작동부(20)에 연결되는 구동부(30)에는 주모터(33)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회전부(34), 상기 제1회전부(31)와 제3회전부(34)의 사이로 위치되어 제1회전부(31)와 제3회전부(34)에 밀착되는 제4회전부(35), 상기 제4회전부(35)에 연결되어 제4회전부(35)를 승, 하강시켜 제1, 3, 4회전부(31, 34, 35)를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보조모터(36)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의 보조모터(36)는 비행체의 이륙시 제4회전부(35)를 이동시켜 제1, 3, 4회전부(31, 34, 35)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여 제1회전부(31)의 잠김 상태가 풀려 몸체(10)의 회전드럼(11)이 자유회전하게 되면서 비행체가 무부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비행체의 하강이나 착륙시 제4회전부(35)를 이동시켜 제1, 3, 4회전부(31, 34, 35)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1회전부(31)가 제4회전부(34)에 밀착되는 잠긴 상태로 변환시키고 주모터(33)의 회전력을 제3회전부(34)와 제4회전부(35), 제1회전부(31)로 전달시켜 상기 제1회전부(31)에 연결된 몸체(10)의 회전드럼(11)이 회전되면서 케이블을 회전드럼(11)에 감기도록 작동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와 케이블작동부(20)에 연결되는 구동부(30)의 상측으로는 지면에서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롤러부(41), 상기 제1롤러부(41)의 상측이나 하측으로 제1롤러부(4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롤러부(42), 상기 제1롤러부(41)와 제2롤러부(42)가 고정되는 롤러고정부(43)로 이루어진 케이블가이드부(40)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가이드부(40)에는 비행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롤러부(41)와 제2롤러부(42)의 사이나 제1, 2롤러부(41, 42)의 상, 하측 중 어느 한 측면으로 케이블이 내부로 관통되어 지날 수 있는 지지판(44)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와 인접하는 케이블의 일측과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회전드럼(11)에 고정되는 케이블의 타측으로 금속링(r)이 결합되록 하며, 케이블가이드부(40)의 롤러고정부(43)에 금속링(r)의 위치상태를 파악하고 케이블의 풀림작동과 감김작동을 감지하는 금속센서(s)가 형성되도록 하여, 비행체의 이륙시 상기 금속센서(s)가 비행체와 인접한 위치에 있는 금속링(r)을 감지할 경우 케이블이 용이하게 풀어질 수 있도록 하며, 몸체(10)의 회전드럼(11)과 인접한 금속링(r)을 감지할 경우 케이블이 더 이상 풀리지 않도록 하여, 비행체와 케이블에 부하를 주지 않도록 하고, 비행체의 착륙시 비행체와 인접한 위치에 있는 금속링(r)을 감지할 경우 비행체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비행체가 원활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KR1020140014382A 2014-02-07 2014-02-07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KR10137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382A KR101373852B1 (ko) 2014-02-07 2014-02-07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382A KR101373852B1 (ko) 2014-02-07 2014-02-07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852B1 true KR101373852B1 (ko) 2014-03-18

Family

ID=5064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382A KR101373852B1 (ko) 2014-02-07 2014-02-07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85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362B1 (ko) * 2016-01-22 2016-07-15 박종모 자율비행로봇을 위한 윈치 장치
KR101645309B1 (ko) * 2015-07-10 2016-08-04 (주)엔정보기술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배낭형 재난 관측 장치
KR20160142670A (ko) * 2015-06-03 2016-12-13 한국원자력연구원 비행체의 착륙 시스템
KR20170019684A (ko) 2015-08-12 2017-02-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연결식의 무인 비행체 시스템
WO2017029611A1 (en) * 2015-08-17 2017-02-23 H3 Dynamics Holdings Pte. Ltd. Drone box
WO2017048016A1 (ko) * 2015-09-14 2017-03-23 이승규 유선 비행체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
JP2017114200A (ja) * 2015-12-22 2017-06-29 株式会社ミヤマエ 無人航空機の飛行補助装置
KR20180057381A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 더원 무인비행로봇을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200486515Y1 (ko) * 2017-09-25 2018-05-31 정다울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장치
WO2018100222A1 (es) * 2016-12-01 2018-06-07 PISA ORON, Miguel Dispositivo de transporte individual
KR101898391B1 (ko) 2017-07-27 2018-09-12 케이엔알스페이스(주) 유선 드론의 위치제어를 위한 드래그 센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55117A (ko) * 2020-10-26 2022-05-03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강구조물 상태 평가를 위한 실시간 도막 두께 측정 드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096Y1 (ko) 1999-09-01 2000-02-15 오현규 전원공급용 케이블 릴
KR200211681Y1 (ko) 2000-08-21 2001-01-15 김범재 전원공급용 케이블 릴
KR200430864Y1 (ko) 2006-07-14 2006-11-13 주식회사 정아마린 선박용 전원공급 케이블 릴 장치
KR101114874B1 (ko) 2011-08-12 2012-03-06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무대 설비용 케이블 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096Y1 (ko) 1999-09-01 2000-02-15 오현규 전원공급용 케이블 릴
KR200211681Y1 (ko) 2000-08-21 2001-01-15 김범재 전원공급용 케이블 릴
KR200430864Y1 (ko) 2006-07-14 2006-11-13 주식회사 정아마린 선박용 전원공급 케이블 릴 장치
KR101114874B1 (ko) 2011-08-12 2012-03-06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무대 설비용 케이블 릴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670A (ko) * 2015-06-03 2016-12-13 한국원자력연구원 비행체의 착륙 시스템
KR101700754B1 (ko) * 2015-06-03 2017-01-31 한국원자력연구원 비행체의 착륙 시스템
KR101645309B1 (ko) * 2015-07-10 2016-08-04 (주)엔정보기술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배낭형 재난 관측 장치
KR20170019684A (ko) 2015-08-12 2017-02-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연결식의 무인 비행체 시스템
JP2018528123A (ja) * 2015-08-17 2018-09-27 エイチ3 ダイナミックス ホールディングス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ドローンボックス
WO2017029611A1 (en) * 2015-08-17 2017-02-23 H3 Dynamics Holdings Pte. Ltd. Drone box
US11168487B2 (en) 2015-08-17 2021-11-09 H3 Dynamics Holdings Pte. Ltd. Storage unit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U2016308793B2 (en) * 2015-08-17 2020-10-22 H3 Dynamics Holdings Pte. Ltd. Drone box
WO2017048016A1 (ko) * 2015-09-14 2017-03-23 이승규 유선 비행체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
JP2017114200A (ja) * 2015-12-22 2017-06-29 株式会社ミヤマエ 無人航空機の飛行補助装置
KR101640362B1 (ko) * 2016-01-22 2016-07-15 박종모 자율비행로봇을 위한 윈치 장치
KR20180057381A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 더원 무인비행로봇을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1866666B1 (ko) * 2016-11-22 2018-06-11 주식회사 더원 무인비행로봇을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WO2018100222A1 (es) * 2016-12-01 2018-06-07 PISA ORON, Miguel Dispositivo de transporte individual
KR101898391B1 (ko) 2017-07-27 2018-09-12 케이엔알스페이스(주) 유선 드론의 위치제어를 위한 드래그 센서 및 그 제어방법
KR200486515Y1 (ko) * 2017-09-25 2018-05-31 정다울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장치
KR20220055117A (ko) * 2020-10-26 2022-05-03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강구조물 상태 평가를 위한 실시간 도막 두께 측정 드론 시스템
KR102416274B1 (ko) * 2020-10-26 2022-07-05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강구조물 상태 평가를 위한 실시간 도막 두께 측정 드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852B1 (ko)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 릴 장치
EP3128115B1 (en) Roller tube electrical motor and roller shade positioning control system
JP6169577B2 (ja) 建築物開口部遮蔽物の制御
KR102150856B1 (ko) 유선드론 시스템
US9127500B2 (en) Cord-winding device for venetian blind
TWI739930B (zh) 雙重模式建築結構覆蓋物
EP3029258B1 (en) Lifting device for a cordless covering
JP2015217901A (ja) マルチコプター
CN107154526B (zh) 一种室外天线
JP6085520B2 (ja) 遠隔操縦式無人飛行体
CN102674076A (zh) 测井电缆自动倒绳机
KR102231048B1 (ko) 유전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한 테더 드론 시스템
JP2022097371A (ja) ワイヤー及びケーブル方式で連結されて昇降自在であり、空気清浄機が取り付けられた灯器具装置
CN201449510U (zh) 卷筒式自卷扬升降电动投影幕
EP2990573B1 (en) Hoist mechanism
US20180202220A1 (en) Cord Reel Device for a Window Blind
KR100950782B1 (ko) 포크레인 시스템
CN106050110A (zh) 收放式窗帘
CN207106930U (zh) 一种无人机充电装置
CN206753431U (zh) 便于安装卷筒和调整卷筒长度的卷帘门
KR102607927B1 (ko) 드론 전원공급장치
CN106193975A (zh) 一种新型卷帘
KR20110049163A (ko) 제연장치
CN108516095A (zh) 一种无人机降落伞
KR101220990B1 (ko) 회전 전원공급선을 이용한 전기비행기의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