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807B1 -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807B1
KR101373807B1 KR1020120059036A KR20120059036A KR101373807B1 KR 101373807 B1 KR101373807 B1 KR 101373807B1 KR 1020120059036 A KR1020120059036 A KR 1020120059036A KR 20120059036 A KR20120059036 A KR 20120059036A KR 101373807 B1 KR101373807 B1 KR 10137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code
status information
power suppl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465A (ko
Inventor
박재업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20059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80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회사별, 종류별로 복수의 프로토콜을 구비한 제어 서버에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비로 전원을 공급하며, 고유의 기기용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두 개 이상의 제어용 프로토콜이 구비되며, 제어용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를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가 상기 선택된 제어용 프로토콜에 속하는 상태정보코드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면 해당 제어용 프로토콜을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설정시키는 제어 서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서버에 제조회사별, 종류별로 복수의 프로토콜을 구비한 후 UPS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UPS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UPS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알 수 없더라도 자동으로 프로토콜을 알아내어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Integrated Control System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회사별, 종류별로 복수의 프로토콜을 구비한 제어 서버에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이하 'UPS'로 칭함)를 통신회선을 통하여 제어를 하는 기존의 방법은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RS203, RS232C Port)이나 LAN 통신(Local Area Network) 상에서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하여 사용해 왔다.
상술한 통신방식은 데이터 통신방식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기는 하나 제조회사마다 독립적인 패킷모델(Packet Model)과 독립적인 제어 소프트웨어를 제조하여 구매자들(UPS 구매자들)에게 배포해 왔다.
특히, UPS 제조회사들의 경우 일반적인 자동화 설비 제조회사들이 프로토콜의 통합화를 하는 것과는 달리 자사의 독립적인 관리 방식으로 관리해 왔다.
이러한 이유로 UPS와 UPS가 전력을 공급해 주는 설비를 운영하기 위해 서로 다른 제어 소프트웨어와 프로토콜로 이원화된 채로 운영하여 왔고 또한 SNMP 자체가 UPS 및 산업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아니라 네트워크용 장비들을 감시제어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이라 UPS를 관리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현재 일반적인 UPS 제품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은 표준화된 것이 없기 때문에 UPS 제조회사마다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과 감시(모니터링)용 제어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 다양한 UPS 제조사의 UPS 제품을 사용하게 되면 해당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감시 제어프로그램만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각각 관리를 해야함으로써 관리의 어려움과 이로 인한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1652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어 서버(소프트웨어)에 제조회사별, 종류별로 복수의 프로토콜을 구비한 후 UPS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UPS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UPS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알려지지 않았어도 자동으로 프로토콜을 알아내어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은, 설비로 전원을 공급하며, 고유의 기기용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두 개 이상의 제어용 프로토콜이 구비되며, 제어용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를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가 상기 선택된 제어용 프로토콜에 속하는 상태정보코드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면 해당 제어용 프로토콜을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설정시키는 제어 서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용 프로토콜은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종류별 및 제조회사별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가 상기 선택된 제어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 중 어느 것과도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와 제어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가 일치할 때까지 다른 제어용 프로토콜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를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 선택된 제어용 프로토콜에 속하는 상태요구코드를 보내어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정보코드를 수신받으며; 상기 제어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와 상기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의 코드 크기가 일치하면서 미리 설정된 제어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 내의 상태부호코드 중에 어느 하나와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 내의 상태부호코드가 일치하는 것이 있으면, 상기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가 제어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방법은, 제어 서버가 두 개 이상의 제어용 프로토콜을 자동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를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 전송하면서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요구단계;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를 수신받는 상태정보수신단계; 및 수신된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가 상기 선택된 제어용 프로토콜에 속한 상태정보코드 중의 어느 하나와 일치하면 해당 제어용 프로토콜을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설정시키는 비교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비교단계에서는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가 상기 선택된 제어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 중의 어느 하나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와 제어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때까지 다른 제어용 프로토콜을 순차적으로 자동 선택하여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를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 전송시키는 상태요구단계로의 회기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교단계에서는 상기 제어용 프로토콜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정보코드와, 상기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정보코드의 코드 크기가 일치하면, 제어용 프로토콜에 속한 상태정보코드내의 상태부호코드 중의 어느 하나와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내의 상태부호코드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수신단계에서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상태정보 수신이 없으면, 이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가 수신한 상태요구코드로 인하여 내부 제어환경을 외부상황에 맞추기 위하여 변경 중인 경우이므로, 상기 제어 서버는 다시 한번 동일한 상태요구코드를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전송하고, 이때 다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상태정보 수신이 없으면, 이는 기기용 프로토콜 상이로 인한 것이므로, 다른 제어용 프로토콜을 순차적으로 자동 선택하여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를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로 보내는 상기 상태요구단계로의 회기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제어 서버에 제조회사별, 종류별로 복수의 프로토콜을 구비한 후 UPS와 호환되는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UPS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UPS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알려지지 않아도 자동으로 프로토콜을 알아내어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PS의 통합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PS의 통합 제어시스템을 이루는 UPS와 UPS 제어부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PS의 통합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PS의 통합 제어방법에서 상태 정보의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PS의 통합 제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제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PS의 통합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PS의 통합 제어시스템을 이루는 UPS와 UPS 제어부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PS의 통합 제어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비(100)와, UPS 기기(300)와, 제어 서버(5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설비(100)는 UPS 기기(300)에 의해 전원이 통제되어 작동되는 장치로써 역단위 전산기, 자동발매기, 환급/정산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UPS 기기(300)는 상기 각각의 설비(100)에 일정 전원을 공급하며,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가 가능하다.
상기 UPS 기기(3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회사별, 종류별로 고유의 UPS 프로토콜(310)을 사용한다.
상기 제어 서버(500)는 상기 UPS 기기(3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제공받아 각종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설비(100)와 상기 UPS 기기(3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서버(500)은 보통 상기 설비(100) 내에 위치하며, 소프트웨어 형태이다.
상기 제어 서버(500)는 상기 설비(100)를 제어하는 설비제어부(510)와, 상기 UPS 기기(3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제공받으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UPS 기기(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UPS 제어부(5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UPS 제어부(55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 1(551), 프로토콜 2(553), 프로토콜 3(555) 내지 프로토콜 N(555) 등 UPS 기기(300)의 제조회사별, 종류별로 복수의 프로토콜이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PS의 통합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PS의 통합 제어방법에서 상태 정보의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PS의 통합 제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제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PS의 통합 제어시스템이 이루어지고, 설비(100)에 연결된 UPS 기기(300)를 제어 서버(500)가 제어하기 위하여 UPS 기기(300)와 제어 서버(500) 간에는 서로 동일한 프로토콜 방식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 서버(500)는 UPS 제어부(550)를 통하여 프로토콜 1(551), 프로토콜 2(553), 프로토콜 3(555) 내지 프로토콜 N 중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선택하여(S100), 선택된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상태요구코드(591)를 UPS 기기(300)로 전송하면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S101).
상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트 시험기라는 프로그램을 시험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제어 서버(500)에서 예를 들어, 16 바이트(byte) 크기의 16진수 상태정보코드를 가지는 프로토콜 1(551)을 선택하여 이에 해당되는 상태요구코드(591)인 1 바이트 크기의 16진수 코드 '01'을 UPS 기기(300)로 전송한다(S101).
이어서, 상기 UPS 기기(300)로부터 상태 정보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S102),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593)가 수신된다(S103).
예를 들어, UPS 기기(300)로부터 전송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59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6 바이트 크기의 16진수 코드인 '05 D1 7F 7F 50 81 50 00 00 00 00 4B 38 00 00 DE'로 전송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가 상기 제어 서버(500) 내의 선택된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 중의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서버(500)에서 16 바이트 크기의 16진수 상태정보코드를 가지는 프로토콜 1(551)에 속하는 상태요구코드(591)를 UPS 기기(300)로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UPS 기기(300)로부터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593)인 16 바이트 크기의 16진수 코드 '“05 D1 7F 7F 50 81 50 00 00 00 00 4B 38 00 00 DE'가 수신되었으므로, 상태정보코드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와 상기 제어 서버(500) 내의 선택된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는 1차적으로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S104).
하지만, 상태정보코드(593)의 크기가 일치한다 하여도,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593) 내의 상태부호코드가 상기 선택된 제어용 프로토콜에 속하는 상태정보코드 내의 상태부호코드(595) 중에서 어느 하나와도 일치하지 않으면(S105), 이는 상태정보코드가 최종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것이므로 상기 UPS 기기(300)와 제어 서버(500)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태부호코드(59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태정보코드(593)에서 1 바이트 단위로 10번째에 위치한 1 바이트 크기의 16진수 코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태정보코드(593)에 포함된 상태부호코드(595)를 비교한다.
상기 제어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593)내의 상태부호코드(595)는 UPS업체에 의하여 프로토콜별로 미리 설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00, 10, 18, 40, 80, 88' 중 어느 하나이면 정상상태를 나타내고, '01, 11, 19, 41, 81, 89' 중 어느 하나이면 외부 AC전원이 단절된 상태를 나타내고, '02, 12, 1A, 42, 82, 8A' 중 어느 하나이면 외부 AC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배터리 전압이 낮은 상태를 나타내고, '03, 13, 1B, 43, 83, 8B' 중 어느 하나이면 외부 AC전원 단절된 상태에서 배터리 전압이 낮은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UPS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코드(593)의 10번째에 위치한 1 바이트 크기의 상태부호코드가 상기 UPS 제조업체에 의하여 프로토콜 1(551)에 미리 설정된 상태정보코드(593) 내의 상태부호코드(595)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면, 상기 제어 서버(500)내 프로토콜 1(551)의 상태정보코드 중 하나와 UPS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가 최종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105).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과정을 거쳐 제어 서버(500) 내의 프로토콜 1(551)의 상태정보코드 중 하나와 UPS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가 최종적으로 일치하면, 제어 서버(500) 내의 프로토콜 1(551)을 상기 UPS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 방식으로 설정시켜 UPS 기기(300)와 제어 서버(500)의 연결이 완료된다(S106).
따라서, 상기 제어 서버(500)는 UPS 기기(300)와 프로토콜 1(551)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UPS 기기(300)를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한 도면은 상태부호코드(595)가 '00, 10, 18, 40, 80, 88' 중 어느 하나인 정상상태일 때 제어 서버(5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UPS 기기(300)의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한 도면은 상태부호코드(595)가 '01, 11, 19, 41, 81, 89' 중 어느 하나인 외부 AC전원이 단절된 상태일 때 제어 서버(5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UPS 기기(300)의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한 도면은 상태부호코드(595)가 '03, 13, 1B, 43, 83, 8B' 중 어느 하나인 외부 AC전원 단절이 단절된 상태에서 배터리 전압이 낮은 상태일 때 제어 서버(5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UPS 기기(300)의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다.
한편, 제어 서버(500)에서 UPS 기기(300)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상태요구코드(591)를 보낸 후, 상기 UPS 기기(300)가 상기 상태요구코드(591)로 인하여 내부의 제어환경을 외부상황에 맞게 변경 중이면 상태 정보요청에 대한 응답인 상태정보코드(593)가 없을 수 있다(S102).
이때, 상기 제어 서버(500)는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또다시 동일한 상태요구코드(591)를 전송한다(S111).
이어서, 상기 UPS 기기(30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S112),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가 상기 제어 서버(500) 내의 선택된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UPS 기기(30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인 상태정보코드(593)가 수신되지 않으면(S112), 상기 제어 서버(500)는 또 다른 프로토콜이 존재할 경우에(S114), 그 프로토콜을 자동 선택한 후(S113), 그 프로토콜에 속한 상태요구코드(591)를 상기 UPS 기기(300)로 전송시킨다(S101).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서버(500)에서 UPS 기기(300)로 상태요구코드(591)를 반복 전송한 후에 상기 UPS 기기(30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S112), 제어 서버(500)는 상기 UPS 기기(30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이 있을 때까지 또 다른 프로토콜인 프로토콜 2(553), 프로토콜 3(555) 내지 프로토콜 N까지 순차적으로 자동 선택하여(S113),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를 상기 UPS 기기(300)로 전송시킨다(S101).
상기 제어 서버(500)에서 UPS 기기(300)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서버(500)로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593)의 코드 크기가 상기 제어 서버(500)의 선택된 프로토콜에 속한 상태정보코드의 크기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UPS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593)의 크기가 제어 서버(500)의 프로토콜에 속한 상태정보코드의 크기와 일치하지 않으면(S104), 상기 제어 서버(500)는 서로 다른 프토토콜 방식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593)의 크기와 제어 서버(500)에 구비된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의 크기가 일치할 때까지 임의의 또 다른 프로토콜을 순차적으로 자동 선택한 후(S113),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를 상기 UPS 기기(300)로 전송시킨다(S101).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서버(500)에서 16 바이트 크기의 16진수 코드를 가지는 프로토콜 1(551)을 선택하여(S100), 그 프로토콜에 속한 상태요구코드를 UPS 기기(300)로 전송하였는데, 상기 UPS 기기(300)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으로써 16 바이트가 아닌 다른 크기의 상태정보코드가 수신될 수가 있다.
이때, 제어 서버(500)는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와 상기 제어 서버(500) 내의 선택된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S104), 또 다른 프로토콜인 프로토콜 2(553)를 자동으로 선택한다(S113).
이어서, 프로토콜 2(553)의 상태요구코드를 UPS 기기(300)로 전송하여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와 프로토콜 2(553)의 상태정보코드를 비교하는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프로토콜 2(553)의 상태정보코드와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의 코드 크기가 일치하지 않으면, 또 다른 프로토콜인 프로토콜 3(555)이 자동으로 선택되어(S113),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가 UPS 기기(300)로 전송된다(S101).
프로토콜 3(555)의 상태정보코드와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의 코드 크기가 일치하지 않으면, 프로토콜인 프로토콜 N까지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선택되어(S113),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가 UPS 기기(300)로 전송된다(S101).
상기 UPS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593)의 코드 크기가 제어 서버(500) 내의 선택된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의 크기와 일치하여도(S104), 상태정보코드(593)에 포함된 상태부호코드(595)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S105).
즉, 상기 UPS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593) 내의 상태부호코드(595)가 상술한 미리 설정된 제어 서버(500) 내의 선택된 프로토콜에 속한 상태정보코드 내의 상태부호코드 중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어 서버(500)는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 내의 상태부호코드와 상기 제어 서버(500) 내의 선택된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 내의 상태부호코드 중의 어느 것과도 일치하는 것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S105), 상태정보코드도 최종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593) 내의 상태부호코드(595)가 제어 서버(500)에서 선택된 프로토콜에 속하는 상태정보코드 내의 상태부호코드 중 하나와 일치할 때까지 또 다른 프로토콜을(S114),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하여(S113),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를 상기 UPS 기기(300)로 전송시킨다(S101).
예를 들어, 상술한 예와 같이 상기 UPS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UPS 프로토콜(310)의 상태정보코드(593)의 크기가 16 바이트라고 하더라도, 상태정보코드 내의 상태부호코드(595)가 10번째에 위치하지 않거나 또는 제어 서버(500) 내의 선택된 프로토콜 1(551)에 속하는 상태정보코드 내의 상태부호코드 중 어느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다면(S105), 또 다른 프로토콜(S114) 즉, 프로토콜 2(553), 프로토콜 3(555) 내지 프로토콜 N까지 순차적으로 자동 선택되어(S113),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가 UPS 기기(300)로 전송된다(S101).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서버(500)는 제조회사별, 종류별로 복수의 프로토콜을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프로토콜 방식을 가지거나 또는 어떤 방식의 프로토콜이 사용되는지 알려지지 않은 UPS 기기(300)가 연결되더라도 해당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찾아 선택하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제어 서버(500)로 다양한 종류의 프로토콜을 가진 개별 UPS 기기(300)마다 자동으로 연결하여 제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UPS 기기(300)를 마치 한 종류의 UPS 기기처럼 제어하므로, 제어 관리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 및 공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 제어 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 S100 내지 단계 S106 및 단계 S111 내지 S114에 따른 방법을 제어 서버(500) 형태로 프로그램화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시디롬, 메모리, ROM, EEPROM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설비 300: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500: 제어 서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어 서버(500)가 두 개 이상의 제어용 프로토콜을 자동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를 무정전 전원공급장치(300)로 전송하면서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요구단계;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300)로부터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를 수신받는 상태정보수신단계; 및
    수신된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가 상기 선택된 제어용 프로토콜에 속한 상태정보코드 중의 어느 하나와 일치하면 해당 제어용 프로토콜을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설정시키는 비교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비교단계에서는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300)로부터 수신된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가 상기 선택된 제어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 중의 어느 하나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와 제어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때까지 다른 제어용 프로토콜을 순차적으로 자동 선택하여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를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300)로 전송시키는 상태요구단계로의 회기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태정보수신단계에서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300)로부터 상태정보 수신이 없으면, 이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300)가 수신한 상태요구코드로 인하여 내부 제어환경을 외부상황에 맞추기 위하여 변경 중인 경우이므로, 상기 제어 서버(500)는 다시 한번 동일한 상태요구코드를 무정전 전원공급장치(300)에 전송하고, 이때 다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300)로부터 상태정보 수신이 없으면, 이는 기기용 프로토콜 상이로 인한 것이므로, 다른 제어용 프로토콜을 순차적으로 자동 선택하여 그에 속한 상태요구코드를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300)로 보내는 상기 상태요구단계로의 회기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교단계에서는 상기 제어용 프로토콜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16 바이트 크기의 16진수로 이루어진 상태정보코드와, 상기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16 바이트 크기의 16진수로 이루어진 상태정보코드의 코드 크기가 일치하면, 제어용 프로토콜에 속한 상태정보코드 내의 1 바이트 크기의 16진수로 이루어진 상태부호코드 중의 어느 하나와 기기용 프로토콜의 상태정보코드 내의 1 바이트 크기의 16진수로 이루어진 상태부호코드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59036A 2012-06-01 2012-06-01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036A KR101373807B1 (ko) 2012-06-01 2012-06-01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036A KR101373807B1 (ko) 2012-06-01 2012-06-01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465A KR20130135465A (ko) 2013-12-11
KR101373807B1 true KR101373807B1 (ko) 2014-03-14

Family

ID=4998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036A KR101373807B1 (ko) 2012-06-01 2012-06-01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8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6766A (ko) * 2007-12-20 2009-06-24 성신전기공업(주) 무정전전원장치의 통합 원격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6766A (ko) * 2007-12-20 2009-06-24 성신전기공업(주) 무정전전원장치의 통합 원격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465A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05066A1 (en) Unique device address assignment technique for bidirectional daisy chain system
CN108141649B (zh) 通信适配器
US8484323B2 (en) Network system connected with multiple master devic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21063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detecting server power connections
CN104412245A (zh) 模块化的无线供电、照明和自动化控制
US923540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upgrading firmware of energy metering device
JP2005346189A (ja) 家電機器情報通信システム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CN107431640A (zh) 受电装置、供电设备装置、以太网供电网络系统及其方法
KR100442281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373807B1 (ko)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EP3022869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smart module in home network system
KR101242054B1 (ko) WⅰBro 망을 통해 시리얼 통신 에뮬레이션을 지원하는 M2M 모듈 및 그 동작 방법
EP3180659B1 (en) Mobile device, engineering tool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cable configuration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10740253B2 (en) Technologies for remote device emulation
WO2006091029A1 (en) Method of configuring network profile of network system
JP4950617B2 (ja) 空調管理装置、空調管理方法および空調管理プログラム
WO2015008641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アダプタ、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2709438A1 (en) Control system code installation and upgrade
JP6514075B2 (ja) 通信アダプタ、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36857B2 (ja) 制御システム、接続状態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201532456A (zh) 無線控制系統的連線啓用方法
JP2015023456A (ja) 制御可能コンセントおよび消費電力管理システム
CN100511147C (zh) 数据处理装置及其程序数据设置方法
CN105242938B (zh) 自动化程序下载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