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551B1 -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551B1
KR101373551B1 KR1020120116781A KR20120116781A KR101373551B1 KR 101373551 B1 KR101373551 B1 KR 101373551B1 KR 1020120116781 A KR1020120116781 A KR 1020120116781A KR 20120116781 A KR20120116781 A KR 20120116781A KR 101373551 B1 KR101373551 B1 KR 10137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
smartphone
female
smart phone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준희
Original Assignee
노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준희 filed Critical 노준희
Priority to KR1020120116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이 항상 휴대하고 있는 물품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여성에게 위험이 발생할 경우 이를 주변에 알림과 아울러 비상시 여성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는,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폰과; 여성의 브래지어 또는 브라용 패드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상기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과 구동부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이 차단된 경우에 상기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이 작동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Women using GPS and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이 항상 휴대하고 있는 물품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여성에게 위험이 발생할 경우 이를 주변에 알림과 아울러 비상시 여성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발전에 따라 여성의 사회활동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여성을 노리는 흉악 범죄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여성에 대한 성추행이나 성폭행과 같은 성범죄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이들 범죄의 은닉을 위하여 납치나 살인 등과 같은 강력 범죄가 일어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상당수의 여성들은 호신용품으로 전기충격기나 스프레이 등과 같은 휴대용 호신용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가스총을 소지한 경우도 있다. 이들 휴대용 호신용구는 대부분 여성의 핸드백 등에 수납되어 있고, 비상시 이들을 꺼내 범죄자들로부터 자신을 지키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범죄가 발생할 경우 여성이 휴대용 호신용구를 이용하여 상대방을 저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 즉, 상대적으로 힘이 강한 범죄자들은 여성을 완력으로 제압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여성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호신용구를 꺼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여 휴대용 호신용구가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최근에는 대부분의 사람이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이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비상시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주변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여기서,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폰(Celluler Phone)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점,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는 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점 그리고 같은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점 등도 기존 휴대폰이 갖지 못한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에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비상연락이 가능하도록 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비상시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작동시킴으로써 경고음을 발생하여 주변으로 알리거나 연락 가능한 사람들에게 비상 연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범죄자가 여성으로부터 휴대폰을 빼앗아 가거나 멀리 버리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대부분의 범죄자는 여성을 제압한 후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비상 연락을 할 수 있는 휴대폰을 빼앗거나 멀리 던져 버린 후 자리를 이동하여 범죄를 저지르기 때문에, 상기한 방법은 거의 무용지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KR 10-2012-0028769 A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성이 항상 휴대하고 있으면서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언제든지 접촉할 수 있는 여성용품과 스마트폰을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비상시 위험 신호를 주변으로 전파함으로써 주위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는,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폰과; 여성의 브래지어 또는 브라용 패드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상기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과 구동부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이 차단된 경우에 상기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이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은 비상 연락망을 통해 주변사람에게 즉시 연결할 수 있도록 긴급 연락처를 등록하는 연락처 등록 기능과, 블루투스 기능을 온/오프할 수 있는 블루투스 제어기능 및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위험을 주변으로 전파하거나 가상통화를 통해 범죄자를 위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긴급 대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구동부는 블루투스 작동부와, 배터리, 안테나 및 전원입력부가 구비되며, 브래지어 또는 패드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플렉시블 기판과;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설치되며,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안테나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구난용 응용프로그램 작동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구동부는 브래지어의 양쪽 또는 양쪽 브라용 패드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GPS 수신기와,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전파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브래지어의 일측 또는 일측 브라용 패드에 GPS 수신기 및 통신모듈이 설치된 경우, 브래지어의 타측 또는 타측 브라용 패드에는 GPS 수신기 및 통신모듈에 대응하는 무게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구동부는 브래지어 또는 브라용 패드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된 상기 구동부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빠져나오지 않도록 브래지어 또는 브라용 패드에 밸크로 타입의 마감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구동부는 실리콘 재질의 브라용 패드에 일체형으로 수납되되, 전원입력부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상시 스마트폰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스마트폰을 통해 위험 상황을 전파하고 위치 추적을 통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구동부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이 해제될 경우 스마트폰의 구난용 프로그램이 작동되어 비상 상황 발생시 조기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에 긴급 대처 기능이 포함되어 비상 상황에서 빠른 상황 전파가 가능해지고 스마트폰이 분실된 경우에도 경고음 발생이나 비상 연락을 통해 스마트폰의 조기 회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에 블루투스 온/오프 기능이 포함되어 안전한 장소에 있거나 수업중 또는 회의 중에는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의 작동을 제한함으로써 불필요한 대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구동부가 플렉시블 기판으로 구성되어 브래지어 또는 브라용 패드에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어 비상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동부가 브래지어의 양쪽 또는 양측 브라용 패드에 각각 설치되어 어느 일측의 구동부가 오작동하더라도 다른 일측의 구동부를 통해 스마트폰의 구낭용 응용프로그램을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구동부의 플렉시블 기판에 GPS 수신기 및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스마트폰과의 연결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통신사 또는 경찰관서 등의 외부 기관에 대한 통신을 통해 위치 정보를 송신하여 현장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브래지어의 일측 또는 일측의 브라용 패드에 고가의 GPS 수신기 및 통신모듈이 설치된 경우 다른 일측에는 무게추가 설치되어 양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브래지어 또는 브라용 패드가 봉제형인 경우 구동부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브래지어 또는 브라용 패드를 세탁할 수 있음은 물론 밸크로 타입의 마감부로 인해 수납된 구동부의 노출 및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브라용 패드가 실리콘 재질인 경우 브라용 패드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미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의 작동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구동부의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동부의 좌우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구동부의 다른 예가 도시된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부의 좌우 배치도.
도 6은 브라용 패드에 구동부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폰과; 여성의 브래지어 또는 브라용 패드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상기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과 구동부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이 차단된 경우에 상기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이 작동되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여성안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여기서, 블루투스(Bluetooth)란,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하는 것으로, 주로 10 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사용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면 거추장스러운 케이블 없이도 주머니 속의 MP3 플레이어의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구동부와 스마트폰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의 작동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구동부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동부의 좌우 배치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구동부의 다른 예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부의 좌우 배치도이며, 도 6은 브라용 패드에 구동부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는,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25)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폰(20)과; 여성의 브래지어(30) 또는 브라용 패드(35)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20)과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상기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25)을 작동시키는 구동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마트폰(20)과 구동부(10)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이 차단된 경우에 상기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25)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25)은 비상 연락망을 통해 주변사람에게 즉시 연결할 수 있도록 긴급 연락처를 등록하는 연락처 등록 기능과, 블루투스 기능을 온/오프할 수 있는 블루투스 제어기능 및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위험을 주변으로 전파하거나 가상통화를 통해 범죄자를 위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긴급 대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0)는 블루투스 작동부(12)와, 배터리(15), 안테나(16) 및 전원입력부(14)가 구비되며, 브래지어(30) 또는 패드(35)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플렉시블 기판(11)과; 상기 플렉시블 기판(11)에 설치되며,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플렉시블 기판(11)의 안테나(16)를 통해 스마트폰(20)으로 구난용 응용프로그램 작동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압력센서(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지어(30)의 좌우 양쪽 모두에 설치되거나, 양쪽 브라용 패드(35)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측에 설치된 구동부(10)가 오작동하더라도 다른 일측의 구동부(10)를 통해 스마트폰(20)의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브래지어(30) 또는 브라용 패드(35)가 봉제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10)가 브래지어(30) 또는 브라용 패드(35)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브래지어의 세탁 또는 브라용 패드의 세척시 상기 구동부(10)로 물이 침투하여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수납된 상기 구동부(1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빠져나오지 않도록 브래지어(30) 또는 브라용 패드(35)에 밸크로 타입의 마감부(36)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0)가 실리콘 재질의 브라용 패드(35)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10)는 브라용 패드(35)에 일체형으로 수납되되, 전원입력부(14)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브라용 패드(35)가 실리콘 재질일 경우 구태여 상기 구동부(10)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브라용 패드(35)와 구동부(10)를 일체로 형성하여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10)의 배터리(1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입력부(14)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기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는 구동부와 스마트폰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 상태를 통해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비상시 스마트폰의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이 작동하여 범죄의 위험으로부터 여성을 보호하게 된다.
브래지어(30) 또는 브라용 패드(35)에 설치된 구동부(10)와 스마트폰(20)은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있으며, 어떤 원인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10)와 스마트폰(20) 사이의 거리가 일정 이상으로 멀어지게 되면 블루투스 연결이 끊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마트폰(20)의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이 작동한다.
상기 구난용 응용프로그램(20)은 비상 연락망 등 긴급 연락처로 등록된 전화번호에 전화를 걸어 이상 발생을 통지한다. 또한,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가상통화를 실시함으로써 상대방이 주춤거리게 하여 위험 상황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0)을 분실한 경우에도 스마트폰(2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는 순간 구난용 응용프로그램(25)이 작동되어 주변 사람에게 전화가 가거나 스마트폰(20)에서 경보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스마트폰(20)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다만, 수업 중이나 회의 중과 같이 스마트폰(20)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안전한 장소에 있어 상기한 구난용 응용프로그램(25)이 동작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구난용 응용프로그램(25)의 블루투스 제어기능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오프시킴으로써 불필요한 경고음이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10)의 배터리(15)에 남아 있는 전력량을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블루투스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누군가로부터 위협을 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10)의 압력 센서(13)에 일정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스마트폰(20)의 구난용 응용프로그램(25)이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10)의 압력 센서(13)는 대략 30~35g/㎠ 정도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안테나(16)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20)에 구난용 응용프로그램(25) 작동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여성은 위협을 받으면 움츠리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여성은 브래지어(30) 또는 브라용 패드(35)에 구비된 구동부(10)의 압력 센서(13)를 상대방 몰래 가압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20)의 구난용 응용프로그램(25)이 작동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추행이나 성폭행 등의 위험 상황에 놓여 있는 여성이 범죄자의 눈을 피해 움츠리면서 압력 센서(13)를 가압하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외부의 조력을 기다릴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일부의 범죄자들은 여성을 위협함과 동시에 스마트폰을 빼앗아 멀리 던져버리고 장소를 이동하여 성추행이나 성폭행은 물론 각종 범죄를 저지르기도 한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10)에 있는 안테나(16)를 통해 스마트폰(20)과의 연결은 불가능하므로, 상기 구동부(10)에서 스마트폰(25)의 구난용 응용프로그램(25)을 직접 조작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통신사나 경찰관서 등에 비상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의 상기 플렉시블 기판(11)에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GPS 수신기(17)와,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전파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17)이 더 설치되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 등을 고려하여 통신사나 경찰관서 등과의 협조 체계를 구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브래지어(30)의 일측 또는 일측 브라용 패드(35)에 GPS 수신기(17) 및 통신모듈(18)이 설치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지어(30)의 타측 또는 타측 브라용 패드(35)에는 상기 GPS 수신기(17) 및 통신모듈(18)에 대응하는 중량을 갖는 무게추(1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브래지어(3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구동부(10)의 중량을 일치시켜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의 다른 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끌려간 경우에도 구동부가 자체적으로 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빠른 추적이 가능하게 한다.
범죄자에 의해 스마트폰(20)은 버려지고 스마트폰(20)과 통신이 연결되지 않는 거리까지 여성이 끌려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스마트폰(20)의 구난용 응용프로그램(25)이 동작하여 긴급 연락처에 전화를 걸게 되므로, 사고 발생을 인지하여 경찰에 신고할 수 있다.
그리고, 범죄자에게 끌려가는 여성이 움츠리면서 상기 구동부(10)의 압력 센서(13)를 가압하면 배터리(15)에 의해 GPS 수신기(17) 및 통신모듈(18)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10)의 GPS 수신기(17)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통신모듈(18)은 그 위치 정보를 외부의 통신사 또는 경찰관서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미 비상 신호를 받고 출동한 경찰 등의 위치 추적을 용이하게 한다.
이상에서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구동부가 브래지어 또는 브라용 패드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동부를 여성이 항상 휴대하고 있는 여성용품에 부가하여 본원발명과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구동부 11: 플렉시블 기판
12: 블루투스 작동부 13: 압력 센서
14: 전원 입력부 15: 배터리
16: 안테나 17: GPS 수신기
18: 통신모듈 19: 무게추
20: 스마트폰 25: 구난용 응용프로그램
30: 브래지어 35: 패드
36: 마감부

Claims (8)

  1.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폰과;
    여성의 브래지어 또는 브라용 패드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상기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을 작동시키기 위해 블루투스 작동부와, 배터리, 안테나 및 전원입력부가 구비되며, 브래지어 또는 패드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플렉시블 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안테나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구난용 응용프로그램 작동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압력센서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과 구동부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이 차단된 경우에 상기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이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구난용 응용프로그램은,
    비상 연락망을 통해 주변사람에게 즉시 연결할 수 있도록 긴급 연락처를 등록하는 연락처 등록 기능과,
    블루투스 기능을 온/오프할 수 있는 블루투스 제어기능 및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하여 위험을 주변으로 전파하거나 가상통화를 통해 범죄자를 위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긴급 대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브래지어의 양쪽 또는 양쪽 브라용 패드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GPS 수신기와,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전파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브래지어의 일측 또는 일측 브라용 패드에 GPS 수신기 및 통신모듈이 설치된 경우, 브래지어의 타측 또는 타측 브라용 패드에는 GPS 수신기 및 통신모듈에 대응하는 무게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브래지어 또는 브라용 패드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된 상기 구동부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빠져나오지 않도록 브래지어 또는 브라용 패드에 밸크로 타입의 마감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실리콘 재질의 브라용 패드에 일체형으로 수납되되, 전원입력부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KR1020120116781A 2012-10-19 2012-10-19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KR10137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781A KR101373551B1 (ko) 2012-10-19 2012-10-19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781A KR101373551B1 (ko) 2012-10-19 2012-10-19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551B1 true KR101373551B1 (ko) 2014-03-12

Family

ID=5064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781A KR101373551B1 (ko) 2012-10-19 2012-10-19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5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984B1 (ko) 2015-12-11 2017-05-29 대한민국 탑승자 보호용 에어벨트
KR101774786B1 (ko) 2016-10-06 2017-09-05 윤태소 안전잠금장치가 구비된 캐릭터 최루액 분무기
KR20200041562A (ko) * 2018-10-12 2020-04-22 울산과학기술원 위급상황 경보 시스템
KR102274579B1 (ko) * 2020-03-06 2021-07-07 주식회사 에스비휴먼텍 성폭력 방지를 위한 성폭력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폭력 방지 시스템
CN114679475A (zh) * 2022-01-13 2022-06-28 中科虎卫科技有限公司 一种警用装备物联网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745A (ko) * 2000-12-29 2002-07-10 송재인 블루투스 신호 추적/알람 장치
KR100630219B1 (ko) 2004-12-15 2006-09-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근거리 통신 가능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방법
KR20090066166A (ko) * 2007-12-18 2009-06-23 김창범 블루투스를 이용한 도난 및 분실 방지 장치
KR101282669B1 (ko) 2012-11-12 2013-07-12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745A (ko) * 2000-12-29 2002-07-10 송재인 블루투스 신호 추적/알람 장치
KR100630219B1 (ko) 2004-12-15 2006-09-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근거리 통신 가능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방법
KR20090066166A (ko) * 2007-12-18 2009-06-23 김창범 블루투스를 이용한 도난 및 분실 방지 장치
KR101282669B1 (ko) 2012-11-12 2013-07-12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984B1 (ko) 2015-12-11 2017-05-29 대한민국 탑승자 보호용 에어벨트
KR101774786B1 (ko) 2016-10-06 2017-09-05 윤태소 안전잠금장치가 구비된 캐릭터 최루액 분무기
KR20200041562A (ko) * 2018-10-12 2020-04-22 울산과학기술원 위급상황 경보 시스템
KR102106819B1 (ko) * 2018-10-12 2020-05-06 울산과학기술원 위급상황 경보 시스템
KR102274579B1 (ko) * 2020-03-06 2021-07-07 주식회사 에스비휴먼텍 성폭력 방지를 위한 성폭력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폭력 방지 시스템
CN114679475A (zh) * 2022-01-13 2022-06-28 中科虎卫科技有限公司 一种警用装备物联网系统
CN114679475B (zh) * 2022-01-13 2023-08-25 中科虎卫科技有限公司 一种警用装备物联网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551B1 (ko) 스마트폰과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여성안전장치
KR101486402B1 (ko)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US10075826B2 (en) User protection method using smart phone case
WO2017018908A1 (ru) Способ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об угрозе лич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CN110971261A (zh) 基于NFC和LoRa通讯技术的穿戴式紧急报警系统
CN203786852U (zh) 移动终端防盗器及系统
CN203706360U (zh) 一种便携式救生装置及救生管理系统
JP2017005668A (ja) 防犯及び防災システム
GB2446217A (en) Wireless separation alarm with two distance thresholds
US10881326B1 (en) Wearable safety device
US20110053505A1 (en) Portable distress device with a bluetooth signal
CN107124197A (zh)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移动终端通知方法及系统
KR20120135504A (ko) 액세서리 단말기를 이용한 안전 지킴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4454A (ko)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방법
WO2014033711A1 (en) A pager add-on device for a mobile device
US10009724B2 (en) Intelligent personal safety device
KR101639598B1 (ko) 범죄예방 스마트 반지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스마트 알림 시스템
WO2016046614A1 (en) A self-defence system
JP3155439U (ja) 携帯用安全防護装置
KR20170095556A (ko) 조난 알림 모듈 및 방법
CN205787147U (zh) 老幼群体用居家或外出的远程对讲定位器
KR101665265B1 (ko) Gps 기능을 적용한 응급구조 휴대전화 케이스 장치
KR20160108049A (ko) 다기능 바지 고정 벨트
KR20140110122A (ko)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60049847A (ko) 브라 볼륨 패드를 이용한 여성 구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