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023B1 -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023B1
KR101373023B1 KR1020110135193A KR20110135193A KR101373023B1 KR 101373023 B1 KR101373023 B1 KR 101373023B1 KR 1020110135193 A KR1020110135193 A KR 1020110135193A KR 20110135193 A KR20110135193 A KR 20110135193A KR 101373023 B1 KR101373023 B1 KR 101373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call connection
information
detail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044A (ko
Inventor
김한석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석 filed Critical 김한석
Priority to KR1020110135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023B1/ko
Priority to PCT/KR2012/011006 priority patent/WO2013089532A2/ko
Publication of KR20130068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통해 입력받은 발신자정보를 저장하고,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화연결을 위한 호접속을 감지하는 경우, 발신자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동시에 발신자정보와 대응하도록 기 저장한 발신자 세부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폰(100); 및 스마트폰과 전화통화를 연결하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자 세부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내부 메모리 또는 SD메모리에 저장된 수신자정보와 대응하도록 수신자 세부정보를 저장하는 발신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수신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연결 호접속을 감지하는 경우, 기 저장된 발신자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동시에 기 입력된 발신자 세부정보와 링크된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신자의 세부정보를 인지한 이후 발신자와의 전화통화를 제공하고, 스마트폰이 수신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연결 호접속을 감지하는 경우, 저장된 발신자 세부정보에 대한 카테고리별 검색을 제공함으로써, 발신자의 소속과 직책에 대한 정보와 어떤 모임을 통해 누구의 소개로 알게 되었는지 등 디테일한 정보들을 즉각적인 검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SYSTEM FOR GUIDING CALLER INFORMATION OF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측 단말기로부터의 전화통화 연결을 위한 호접속이 감지됨과 동시에 스마트폰에 기 저장된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동시에 발신자 정보와 대응하도록 기 저장된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신자 번호 표시(Caller Identification Display: CID) 서비스로 알려져 있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는 가입자 착신 단말에 대한 호의 착신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표시창에 표시해 줌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미리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부가서비스이다.
기존의 발신자 번호 표시(CID)서비스는 발신자의 정보를 통화 개시 전에 수신자의 단말 또는 전용 표시 장치에 제공하여, 익명을 이용한 통화 폭력, 음란 통화 등 통신 사생활 침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는 발신자의 단말 번호가 통화 전 또는 통화 중에 액정화면에 표시되어 통화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며, 폭력 및 장난 통화 등 통화 폭력으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고, 부재중에 걸려온 통화의 발신자의 정보와 시간이 표시되어 부재중 수신 내역을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화면에 표시된 발신 번호로 자동 통화가 가능하고, 통화 중에도 새로운 통화가 수신되면 확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에 의해서 통화 이용의 편리성 증대, 단말의 지능화로 데이터 서비스 제공 가능, 불법 폭력 및 장난 통화의 감소로 건전한 통신 문화 형성, 단말 보급 활성화, 통신 기기 제조업체 고용 창출 및 활성화 도모 및 텔레마케팅 등에 활용이 가능함으로 관련 시장의 급성장 등의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는 단지 착신 단말에 발신 단말의 사용자가 설정한 발신자 번호가 표시될 뿐이어서, 사용자가 발신 단말과 장기간 전화통화를 하지 않거나 표시되는 발신자 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발신자의 신원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전화통화를 연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는 발신 단말뿐 만 아니라 착신 단말의 비의존적으로 서비스되어 착신 단말이 누구든 동일하게 설정된 발신자 정보가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21889(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외 다수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특허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부와; 가입자 관리부에 등록되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요청 수신부와; 서비스 요청 수신부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판단하는 서비스 조건 판단부와; 서비스 조건 판단부에 판단 결과,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서비스 조건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를 호출(Paging) 메시지에 삽입하는 발신자 정보 삽입부와; 발신자 정보가 삽입된 호출(Paging)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가입자 정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즉, 선행특허의 구성은 사용자가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통신사서버에 설정하고, 발신 단말이 사용자 단말로 전화통화를 호출하는 경우, 통신사서버가 기 저장한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과 대응하도록 수신 단말로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사용자가 통신사서버에 접속하여 단말에 저장된 복수의 발신자들 각각에 대하여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설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사용자가 설정해둔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과 대응하는 발신정정보만을 수신하기 때문에 추가, 갱신 및 삭제가 통신사서버를 통해서만 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이 수신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연결 호접속을 감지하는 경우, 기 저장된 발신자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동시에 기 입력된 발신자 세부정보와 링크된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신자의 세부정보를 인지한 이후 발신자와의 전화통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수신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연결 호접속을 감지하는 경우, 저장된 발신자 세부정보에 대한 카테고리별 검색을 제공함으로써, 발신자의 소속과 직책에 대한 정보와 어떤 모임을 통해 누구의 소개로 알게 되었는지 등 디테일한 정보들을 즉각적인 검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통해 입력받은 발신자정보를 저장하고,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화연결을 위한 호접속을 감지하는 경우, 발신자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동시에 발신자정보와 대응하도록 기 저장한 발신자 세부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폰(100); 및 스마트폰과 전화통화를 연결하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자 세부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내부 메모리 또는 SD메모리에 저장된 수신자정보와 대응하도록 수신자 세부정보를 저장하는 발신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은, 스마트폰(100)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발신자 이름 및 발신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a) 단계; 스마트폰(100)이 발신자 정보와 대응하도록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카테고리별로 입력받은 발신자 세부정보를 저장하는 (b) 단계; 스마트폰(100)이 발신자 단말기(200)의 통화연결 호접속을 감지함과 동시에 발신자 단말기 식별번호와 대응하는 발신자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c) 단계; 스마트폰(100)이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d) 단계;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스마트폰(100)이 내부 메모리 또는 SD메모리에 발신자정보와 대응하도록 기 저장된 발신자 세부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e) 단계; 및 스마트폰(100)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통화연결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발신자 단말기(200)와의 전화통화를 연결하는 (f)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수신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연결 호접속을 감지하는 경우, 기 저장된 발신자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동시에 기 입력된 발신자 세부정보와 링크된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신자의 세부정보를 인지한 이후 발신자와의 전화통화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수신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연결 호접속을 감지하는 경우, 저장된 발신자 세부정보에 대한 카테고리별 검색을 제공함으로써, 발신자의 소속과 직책에 대한 정보와 어떤 모임을 통해 누구의 소개로 알게 되었는지 등 디테일한 정보들을 즉각적인 검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망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메시지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의 스마트폰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의 광고출력모듈, 무음전환모듈 및 명함 스캐닝모듈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의 광고출력모듈 및 무음전환모듈에 대한 디스플레이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의 명함 스캐닝모듈에 대한 디스플레이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의 명함 스캐닝모듈에 대한 또 다른 디스플레이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의 발신자 단말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의 제S30단계 이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의 제S60단계 또는 제S90단계 이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의 제S30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의 제S20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S)은 스마트폰(100) 및 발신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00) 및 발신자 단말기(200)간의 정보 송수신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수행되며, 정보통신망은 무선인터넷(3G망/4G망) 또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중에 어느 하나의 통신에 의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망을 총칭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스마트폰(100)은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통해 입력받은 발신자정보를 저장하고, 발신자 단말기(200)로부터 통화연결을 위한 호접속을 감지하는 경우, 발신자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동시에 발신자정보와 대응하도록 기 저장한 발신자 세부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바, 발신자 입력모듈(110), 발신자 세부정보 입력모듈(120), 전화통화 연결모듈(130), 발신자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140), 전화통화 통계모듈(150) 및 수신자 세부정보 전송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전화통화 및 인터넷접속이 가능한 인터넷폰 또는 태블릿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S)의 스마트폰(1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스마트폰(100)의 발신자 입력모듈(110)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발신자 이름 및 발신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를 입력받아 내부 메모리 또는 탈착 가능한 SD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발신자 세부정보 입력모듈(120)은 발신자 입력모듈(110)로부터 인가받은 발신자 정보와 대응하도록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카테고리별로 입력받은 발신자 세부정보를 내부 메모리 또는 탈착 가능한 SD메모리에 저장한다.
여기서, 발신자 세부정보는 발신자의 소속데이터, 직책데이터, 메모데이터, 주소데이터, 이메일주소 또는 SNS주소 중에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카테고리는 사용자 정의에 따라 모임 필드데이터 또는 거래처 필드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발신자 세부정보 입력시 모임 필드데이터에 어떤 모임을 통해 누구의 소개로 알게 되었는지 등 디테일한 정보들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전화통화 연결모듈(130)은 발신자 단말기(200)의 통화연결 호접속을 감지함과 동시에 발신자 단말기 식별번호와 대응하는 발신자정보를 내부 메모리 또는 SD메모리로부터 색인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화연결을 위한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발신자 단말기(200)와의 전화통화를 연결한다.
또한, 발신자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140)은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내부 메모리 또는 SD메모리에 발신자정보와 대응하도록 기 저장된 발신자 세부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전화통화 통계모듈(150)은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전화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기록 데이터를 인가받아 저장하고,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인가받은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와 대응하는 통화기록 데이터를 색인하되,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발신자 단말기(200)와의 통화기록 데이터가 검색되는 경우, 발신자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140)이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반면에,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발신자 단말기(200)와의 전화기록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전화통화 통계모듈(150)이 발신자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140)이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전화통화 통계모듈(150)은 상기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와 대응하는 발신자 단말기(200)와의 전화통화 횟수를 카운트하여 생성한 전화통화 카운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신자 세부정보 전송모듈(16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받은 수신자 세부정보를 SMS 또는 MMS로 변환하여 발신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수신자 세부정보는 수신자의 소속데이터, 직책데이터, 메모데이터, 주소데이터, 이메일주소 또는 SNS주소 중에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출력모듈(170), 무음전환모듈(180) 및 명함 스캐닝모듈(1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광고출력모듈(170)은 도 5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3G 통신망, 4G 통신망 또는 WIFI망을 통해 웹서버로부터 수신한 광고이미지 또는 광고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광고출력모듈(170)은 수신한 광고이미지 또는 광고동영상을 기 설정된 프레임과 대응하는 크기로 디스플레이창 하단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 구역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무음전환모듈(180)은 도 5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무음전환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무음전환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버튼을 드래그 하여 우측으로 이동)를 입력받는 경우, 내장된 스피커를 제어하여 전화벨소리를 무음으로 전환시키고, 내장된 진동모터를 제어하여 진동을 무음으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명함 스캐닝모듈(190)은 발신자 세부정보 입력모듈(120)에 의해 저장된 발신자 세부정보와 대응하는 명함스캔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와 같이, 명함스캔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내장된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촬영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촬영한 명함을 상기 발신자 세부정보와 대응하도록 저장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S)의 발신자 단말기(2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발신자 단말기(200)는 발신자의 조작에 의한 키 입력에 따라 스마트폰(100)과 전화통화를 연결하고,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수신자 세부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내부 메모리 또는 SD메모리에 저장된 수신자정보와 대응하도록 수신자 세부정보를 저장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스마트폰(100)의 발신자 입력모듈(110)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발신자 이름 및 발신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S10).
이어서, 스마트폰(100)의 발신자 세부정보 입력모듈(120)이 발신자 입력모듈(110)로부터 인가받은 발신자 정보와 대응하도록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카테고리별로 입력받은 발신자 세부정보를 저장한다(S20).
뒤이어, 스마트폰(100)의 전화통화 연결모듈(130)이 발신자 단말기(200)의 통화연결 호접속을 감지함과 동시에 발신자 단말기 식별번호와 대응하는 발신자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S30).
이어서, 스마트폰(100)의 발신자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140)이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 한다(S40).
뒤이어,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스마트폰(100)의 발신자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140)이 내부 메모리 또는 SD메모리에 발신자정보와 대응하도록 기 저장된 발신자 세부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S50).
그리고, 스마트폰(100)의 전화통화 연결모듈(130)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통화연결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발신자 단말기(200)와의 전화통화를 연결한다(S60).
또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의 제S30단계 이후 과정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30단계 이후, 스마트폰(100)의 전화통화 통계모듈(150)이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인가받은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와 대응하는 통화기록 데이터를 색인한다(S70).
이어서, 스마트폰(100)의 전화통화 통계모듈(150)이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발신자 단말기(200)와의 통화기록 데이터가 검색되는 경우,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발신자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140)을 제어한다(S80).
반면에,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발신자 단말기(200)와의 전화기록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스마트폰(100)의 전화통화 통계모듈(150)이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발신자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140)을 제어한다(S90).
또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의 제S60단계 또는 제S90단계 이후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60단계 또는 제S90단계 이후, 스마트폰(100)의 수신자 세부정보 전송모듈(160)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받은 수신자 세부정보를 SMS 또는 MMS로 변환하여 발신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00).
그리고, 발신자 단말기(200)가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수신자 세부정보를 내부 메모리 또는 SD메모리에 저장된 수신자정보와 대응하도록 저장한다(S110).
한편,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의 제S30단계 이후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30단계 이후, 스마트폰(100)의 광고출력모듈(170)이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3G 통신망, 4G 통신망 또는 WIFI망을 통해 수신한 광고이미지 또는 광고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20).
이어서, 스마트폰(100)의 무음전환모듈(180)이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무음전환버튼을 디스플레이한다(S130).
그리고, 무음전환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버튼을 드래그 하여 우측으로 이동)를 입력받는 경우, 스마트폰(100)의 무음전환모듈(180)이 내장된 스피커를 제어하여 전화벨소리를 무음으로 전환시키고, 내장된 진동모터를 제어하여 진동을 무음으로 전환시킨다(S140).
한편,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의 제S20단계 이후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20단계 이후, 스마트폰(100)의 명함 스캐닝모듈(190)이 발신자 세부정보 입력모듈(120)에 의해 저장된 발신자 세부정보와 대응하는 명함스캔버튼을 디스플레이한다(S150).
이어서, 명함스캔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스마트폰(100)의 명함 스캐닝모듈(190)이 내장된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버튼을 디스플레이한다(S160).
그리고, 스마트폰(100)의 명함 스캐닝모듈(190)이 촬영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촬영한 명함을 상기 발신자 세부정보와 대응하도록 저장한다(S17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100: 스마트폰 110: 발신자 입력모듈
120: 발신자 세부정보 입력모듈 130: 전화통화 연결모듈
140: 발신자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 150: 전화통화 통계모듈
160: 수신자 세부정보 전송모듈 170: 광고출력모듈
180: 무음전환모듈 190: 명함 스캐닝모듈
200: 발신자 단말기

Claims (14)

  1.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통해 입력받은 발신자정보를 저장하고,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화연결을 위한 호접속을 감지하는 경우, 발신자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동시에 발신자정보와 대응하도록 기 저장한 발신자 세부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폰(100); 및
    상기 스마트폰과 전화통화를 연결하되,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자 세부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내부 메모리 또는 SD메모리에 저장된 수신자정보와 대응하도록 상기 수신자 세부정보를 저장하는 발신자 단말기(200);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100)은,
    발신자 이름 및 발신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를 입력받아 내부 메모리 또는 탈착 가능한 SD메모리에 저장하는 발신자 입력모듈(110);
    상기 발신자 입력모듈(110)로부터 인가받은 발신자 정보와 대응하도록 카테고리별로 입력받은 발신자 세부정보를 내부 메모리 또는 탈착 가능한 SD메모리에 저장하는 발신자 세부정보 입력모듈(120);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의 통화연결 호접속을 감지함과 동시에 발신자 단말기 식별번호와 대응하는 발신자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통화연결을 위한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와 전화통화를 연결하는 전화통화 연결모듈(130);
    상기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내부 메모리 또는 SD메모리에 발신자정보와 대응하도록 기 저장된 발신자 세부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발신자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140);
    상기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전화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기록 데이터를 인가받아 저장하고, 상기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인가받은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와 대응하는 통화기록 데이터를 색인하되,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발신자 단말기(200)와의 통화기록 데이터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상기 발신자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140)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발신자 단말기(200)와의 전화기록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자 세부정보 검색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발신자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140)을 제어하는 전화통화 통계모듈(150);
    상기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3G 통신망, 4G 통신망 또는 WIFI망을 통해 수신한 광고이미지 또는 광고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광고출력모듈(170);
    상기 전화통화 연결모듈(130)로부터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무음전환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무음전환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버튼을 드래그 하여 우측으로 이동)를 입력받는 경우, 내장된 스피커를 제어하여 전화벨소리를 무음으로 전환시키고, 내장된 진동모터를 제어하여 진동을 무음으로 전환시키는 무음전환모듈(180); 및
    상기 발신자 세부정보 입력모듈(120)에 의해 저장된 발신자 세부정보와 대응하는 명함스캔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명함스캔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내장된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버튼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촬영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촬영한 명함을 상기 발신자 세부정보와 대응하도록 저장하는 명함 스캐닝모듈(1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00)은,
    전화통화 통계모듈(150)은,
    상기 통화연결 호접속 감지신호와 대응하는 발신자 단말기(200)와의 전화통화 횟수를 카운트하여 생성한 전화통화 카운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00)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수신자 세부정보를 SMS 또는 MMS로 변환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되,
    상기 수신자 세부정보는 수신자의 소속데이터, 직책데이터, 메모데이터, 주소데이터, 이메일주소 또는 SNS주소 중에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135193A 2011-12-15 2011-12-15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KR101373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193A KR101373023B1 (ko) 2011-12-15 2011-12-15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PCT/KR2012/011006 WO2013089532A2 (ko) 2011-12-15 2012-12-17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193A KR101373023B1 (ko) 2011-12-15 2011-12-15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044A KR20130068044A (ko) 2013-06-25
KR101373023B1 true KR101373023B1 (ko) 2014-03-11

Family

ID=4861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193A KR101373023B1 (ko) 2011-12-15 2011-12-15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3023B1 (ko)
WO (1) WO201308953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7235A (zh) * 2016-06-16 2017-12-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号码的提示方法、装置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945B1 (ko) 2013-10-07 2021-0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기기에서 연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WO2015170789A1 (ko) * 2014-05-09 2015-1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표시 단말 및 방법
KR102309070B1 (ko) 2014-12-24 2021-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통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KR102427302B1 (ko) * 2015-11-10 202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에서의 음성 통화 지원방법
CN109889755B (zh) * 2019-02-02 2020-10-27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通信连接方法和视联网终端
CN114040049A (zh) * 2021-11-01 2022-02-11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来电名片的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376A (ko) * 2002-08-21 2004-02-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명함인식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KR20060072629A (ko) * 2004-12-23 2006-06-28 브이엘씨주식회사 발신자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00128267A (ko) * 2010-11-17 2010-12-07 주식회사 미르도르 스마트폰의 통화 발신 대기 상태에 광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467A (ko)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화상정보 표시 방법
KR100560439B1 (ko) * 2004-01-13 2006-03-14 문영백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KR20060006241A (ko) * 2004-07-15 2006-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통화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689803B1 (ko) * 2005-07-13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376A (ko) * 2002-08-21 2004-02-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명함인식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KR20060072629A (ko) * 2004-12-23 2006-06-28 브이엘씨주식회사 발신자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00128267A (ko) * 2010-11-17 2010-12-07 주식회사 미르도르 스마트폰의 통화 발신 대기 상태에 광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7235A (zh) * 2016-06-16 2017-12-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号码的提示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9532A3 (ko) 2013-08-08
WO2013089532A2 (ko) 2013-06-20
KR20130068044A (ko)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023B1 (ko)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CN107846730B (zh) 呼叫转移方法及装置
WO20171905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voice prompt of third-party call
US2022025649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ceiving paging signaling, an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paging signaling
KR20140003196A (ko) 통화연결 중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EP2991326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US9531818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electronic devices
CN101521702B (zh) 多媒体个性化呼叫方法及通信终端
CN108702764B (zh) 物理下行控制信道监测配置、监测方法及装置和基站
CN106506808B (zh) 对通讯消息提示的方法及装置
US2017028932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terpreting a Phone Number
KR100762642B1 (ko)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및 그 단말기
CN104994211A (zh) 来电提示方法、装置及系统
KR20140035681A (ko)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CN106303050B (zh) 信息提醒方法及装置
KR20120064900A (ko) 사생활보호 기능이 구현되는 통신단말기 및 통신방법, 사생활보호 기능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N107181850B (zh) 号码标记方法及装置
CN111385423A (zh) 语音播报方法、语音播报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8234782B (zh) 一种来电呼叫的处理方法、装置和设备
KR10166902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8463985B (zh) 一种通话处理方法、终端及系统
JP5169063B2 (ja)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6227A (ko) 통화연결 중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CN110393037B (zh) 随机接入方法及装置、用户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00016936A (ko) 통신 단말에서 전화번호 자동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