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835B1 - 진동형 용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진동형 용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835B1
KR101372835B1 KR1020120062244A KR20120062244A KR101372835B1 KR 101372835 B1 KR101372835 B1 KR 101372835B1 KR 1020120062244 A KR1020120062244 A KR 1020120062244A KR 20120062244 A KR20120062244 A KR 20120062244A KR 101372835 B1 KR101372835 B1 KR 101372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tool
container
motor
rotation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555A (ko
Inventor
장예원
정상훈
Original Assignee
장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예원 filed Critical 장예원
Priority to KR1020120062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83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46B9/10Adjust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36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us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06Brushes for cleaning bottles or hollow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는, 모터가 내장되어 회전동력을 발생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중심과 상이한 회전 중심을 갖도록 구성되어 회전시 진동을 발생하는 세척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형 용기 세척기{Vibrating container wash machine}
본 발명은 진동형 용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툴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가변하여 다양한 깊이 및 형상을 가지는 용기의 세척이 가능하며, 세척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회전 중심축과 세척툴의 무게 중심이 불일치하도록 구성하여 세척툴의 진동을 야기함으로써 세척 기능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주위에 다양한 구조와 형태의 용기가 제공되고 있으며 또 이를 사용 후 세척수단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식사 후에는 음식그릇은 물론 물병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는 각종 음료수병, 그리고 유아용 젖병 등 다양한 용기가 주방에서 수시로 세척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용기중에서 밥그릇이나 대접 등 음식 그릇은 대체적으로 높이가 낮고 입구가 넓어 특별한 세척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세척에 크게 어려움이 없으나 용기몸체의 길이가 일방향으로 길거나 입구가 협소한 용기, 특히 몸체의 직경은 크나 입구만 협소한 용기는 그 세척에 어려움이 따른다.
종래에는 상가한 바와 같이 세척이 까다로운 용기는 용기 내에 물을 부어 용기를 마구 흔들어 주거나 강력한 물 분사를 이용하여 세척하였으나 그 효과는 극히 미미하다.
이에 따라 수동식 브러쉬가 제공되고 있다. 수동식 브러쉬는 긴 막대에 수평 상태로 뻗은 브러쉬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최초에 협소한 용기의 입구를 통과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브러쉬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게 되었는데 이와 같이 브러쉬의 길이가 짧은면 용기의 내부 바닥 구석진 곳까지 닿지 않을 뿐 아니라 용기 내면과의 밀착 상태도 불량하여 완벽한 세척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도구를 자주 사용하는 주부로서는 체력의 소모가 심하여 쉬 피로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용기 내부의 깊이에 따른 브러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도 1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98468호에 개시되어 있는 젖병 세척용 브러쉬의 사시도로서, 그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손잡이와 브러쉬(3) 사이에 절곡아암(2)을 구비하여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젖병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 역시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용기 내부의 바닥 세척이 어려우며 양손을 이용하여 돌려야 하므로 사용편의성도 저하된다.
한편, 도 2는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2010-012449호에 개시된 펫트병 세척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상기 펫트병 세척기는 스펀지, 수세미, 공을 끈으로 연결하여 펫트병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 역시 스펀지, 수세미, 공 등을 끈으로 연결한 상태로 펫트병 내부에 삽입하는 작업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세척 작업의 효율성도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툴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가변하여 다양한 깊이 및 형상을 가지는 용기의 세척이 가능하며, 세척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회전 중심축과 세척툴의 무게 중심이 불일치하도록 구성하여 세척툴의 진동을 발생함으로써 용기 바닥의 모서리 부위의 세척이 가능하여 세척력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는, 모터가 내장되어 회전동력을 발생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중심과 상이한 무게 중심을 갖도록 구성되어 회전시 진동을 발생하는 세척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툴은,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길이 신축이 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용기와 접촉하여 세척하는 세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와 세척부재는 다수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 연장부 일측에는 세척부재가 1개 이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 연장부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 크기가 감소하고,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며, 서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 세척부재는 다수 연장부의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다수 연장부의 길이가 신장시에 상기 다수 세척부재는 서로 이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형 용기 세척기는 세척툴의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깊이 및 형상을 가지는 용기의 세척이 가능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세척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회전중심축과 세척툴의 무게 중심이 불일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모터가 발생한 회전동력으로 세척툴이 회전시에 진동을 야기함으로써 용기 바닥의 모서리 부위 등의 세척이 용이하며 세척 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젖병 세척용 브러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펫트병 세척기의 구성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에서 일 구성인 세척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의 사용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에서 진동 작용을 나타내는 개요도.
이하 첨부된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에서 일 구성인 세척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100)는 용기를 세척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기 위한 와, 상기 본체(120)의 하측에 결합되어 본체(120)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으로 용기를 세척하는 세척툴(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20)는 내부에 모터가 내장되어 있고, 외면에는 모터의 on/off, 회전속도, 작동시간 등을 조작 및 확인하기 위한 조작부(1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20)의 하단에는 모터의 회전축(124)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세척툴(140)과 결합 가능하며, 상기 회전축(124)과 세척툴(140)이 결합한 상태에서 모터가 동작하여 회전축(124)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세척툴(140)은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용기의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체(120)의 하측 즉, 모터의 회전축(124)에는 세척툴(140)이 결합된다. 상기 세척툴(140)은 회전축(124)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용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회전축(124)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42)가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42)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 크기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결합홈(143)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43)은 회전축(124)과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회전축(124)을 수용함으로써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143)과 회전축(12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였으나, 회전축(124)의 회전동력이 결합홈(143)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라면 사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변경 실시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결합홈(143)과 회전축(124)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시에 세척툴(140)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4와 같이 상기 결합홈(143)은 세척툴(140)의 무게 중심에서 약간 좌측에서 함몰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결합홈(143)은 세척툴(140)의 무게중심(B)과 불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모터의 회전축(124)이 결합홈(143)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중심(A)은 세척툴(140)의 무게중심(B)과 불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24)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세척툴(140)은 편심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툴(140)에 발생하는 진동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더욱 더 증폭되어 세척툴(140)의 하단부는 큰 원을 그리면서 움직이게 된다. 물론 상기 세척툴(140)은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을 하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 세척툴(14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세척툴(140)은 다수개의 연장부(144)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 연장부(144)는 서로 다른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세로로 길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 연장부(144)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세척툴(140)의 전체 길이를 신축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용기의 깊이가 다양함에 따라 세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다수 연장부(144)에는 세척부재(146)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부재(146)는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외측 방향으로 곧게 뻗은 합성수지 브러쉬, 구름 모양의 극세사 직물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재(146)는 다수로 구성되어 서로 근접하거나 이격되어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용기의 세척이 가능하다.
즉, 상기 세척부재(146)는 연장부(144)의 하측 외면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144)가 서로 포개져 길이가 축소되면 도 6과 같이 뭉쳐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반대로 상기 다수 연장부(144)의 포개지는 길이가 짧아지면 세척툴(140)의 전체 길이가 증가하게 되며, 이때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어 깊은 용기의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세척부재(146)는 연장부(144)의 길이 신축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라면 형상 및 부착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44)에는 신축안내홈(147)이 구비된다. 상기 신축안내홈(147)은 신축안내돌기(145)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수 연장부(144)가 각각 직선 운동할 때 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신축안내돌기(145)는 결합부(142)의 하단부, 연장부(144)의 하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축안내홈(147)은 연장부(144)의 외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안내돌기(145)의 하단부에는 회전방지홈(148)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방지홈(148)은 신축안내돌기(145)를 내부에 수용하여 각각의 연장부(144)가 헛돌지 않돌고 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축(124)의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신축안내홈(147)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124)이 도 3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방지홈(148)은 신축안내홈(147)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진동형 용기 세척기(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100)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100)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형 용기 세척기(100)에서 진동 작용을 나타내는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세척 대상물인 용기가 준비되면 상기 세척툴(140)의 결합홈(143)과 본체(120)의 회전축(124)을 끼워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24)의 회전중심(A)과 세척툴(140)의 무게중심(B)은 도 4와 같이 불일치하게 되며, 이후 사용자는 세척툴(140)의 길이를 조절하여 용기 내부에 세척부재(146)를 삽입하게 된다.
예를 들어 깊이가 얕은 용기의 경우 상기 다수 연장부(144)의 겹침길이를 증가시켜 세척부재(146)를 도 6과 같이 만든 후 사용하게 된다.
반대로 용기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연장부(144)를 잡아당겨 도 5와 같이 길이를 신장시킨 후 사용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세척툴(140)이 도 6과 같이 축소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144)를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연장부(144)들은 서로 겹침량이 감소하게 되고 세척툴(140)의 전체 길이는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신축안내돌기(145)는 신축안내홈(147)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사용자는 맨 아래에 위치한 연장부(144)를 회전시켜 회전방지홈(148)에 신축안내돌기(145)를 삽입시킴으로써 연장부(144)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라 세척툴(140)의 길이 조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조작부(122)를 조작하여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고, 회전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24)이 결함홈에 끼워져 세척툴(140)의 무게중심(B)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회전중심(A)이 위치함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결과로 상기 세척툴(140)은 도 7과 같이 용기의 바닥면을 깨끗이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결합부(142)에 전해진 진동은 세척툴(140)의 아래로 갈수록 진폭이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최하측에 위치한 연장부(144)의 하단부는 도 7과 같이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되어 용기의 바닥면 구성까지 용이하게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방지홈(148)은 연장부(144)의 하단부에만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연장부(144)의 상단부에도 형성함으로써 도 6과 같이 세척툴(140)의 길이가 축소된 경우에도 다수의 연장부(144)가 서로 헛돌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진동형 용기 세척기 120. 본체
122. 조작부 124. 회전축
140. 세척툴 142. 결합부
143. 결합홈 144. 연장부
145. 신축안내돌기 146. 세척부재
147. 신축안내홈 148. 회전방지홈
A . 모터의 회전중심 B . 세척툴의 무게중심

Claims (5)

  1. 삭제
  2. 모터가 내장되어 회전동력을 발생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중심과 상이한 무게중심을 갖도록 구성되어 회전시 진동을 발생하는 세척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척툴은,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길이 신축이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용기와 접촉하여 세척하는 세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길이 신축 방향을 안내하는 신축안내홈 및 신축안내돌기와,
    상기 신축안내홈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신축안내돌기를 내부에 수용하여 다수 연장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용기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홈은 신축안내홈의 단부에서 세척툴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용기 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연장부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 크기가 감소하고,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며, 서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용기 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세척부재는 다수 연장부의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다수 연장부의 길이가 신장시에 상기 다수 세척부재는 서로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용기 세척기.
KR1020120062244A 2012-06-11 2012-06-11 진동형 용기 세척기 KR101372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44A KR101372835B1 (ko) 2012-06-11 2012-06-11 진동형 용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44A KR101372835B1 (ko) 2012-06-11 2012-06-11 진동형 용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555A KR20130138555A (ko) 2013-12-19
KR101372835B1 true KR101372835B1 (ko) 2014-03-19

Family

ID=4998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244A KR101372835B1 (ko) 2012-06-11 2012-06-11 진동형 용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3485A (zh) * 2015-03-27 2015-07-22 谢振西 电动刷杯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542B1 (ko) * 2018-06-20 2020-06-08 김영희 실 길이로 만든 세척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914A (ja) * 2001-05-07 2002-11-19 Tsuneo Yorikane 靴洗浄具
JP2003116768A (ja) * 2001-08-08 2003-04-22 Kazuhiro Fujii 調理用鍋類洗浄法及びその装置
KR20090013973A (ko) * 2007-08-03 2009-02-06 남궁금자 세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914A (ja) * 2001-05-07 2002-11-19 Tsuneo Yorikane 靴洗浄具
JP2003116768A (ja) * 2001-08-08 2003-04-22 Kazuhiro Fujii 調理用鍋類洗浄法及びその装置
KR20090013973A (ko) * 2007-08-03 2009-02-06 남궁금자 세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3485A (zh) * 2015-03-27 2015-07-22 谢振西 电动刷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555A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733Y1 (ko) 컵 세척기
US9440267B2 (en) Tool for cleaning vessels
KR200492049Y1 (ko) 전동식 세척솔 기구
KR101372835B1 (ko) 진동형 용기 세척기
KR20110000730U (ko) 누름회전 설거지 브러시
CN203900053U (zh) 一种化学仪器清洗装置
CN108144933B (zh) 一种瓶体清洗装置
CN111184343B (zh) 一种基于静电原理的奶瓶清洁器
KR102076074B1 (ko) 전동식 젖병 세척기
KR101379506B1 (ko) 병 세척용구
CN109351734A (zh) 玻璃瓶清洗装置
CN204362899U (zh) 一种适用于块茎蔬菜清洗装置
JP3237948U (ja) モップ洗浄システム
KR20060026323A (ko) 회전식 브러쉬를 갖는 세탁기
KR102062181B1 (ko) 세척용 솔
KR101371791B1 (ko) 전동브러시장치
US20140101961A1 (en) Glass drying device
CN204362898U (zh) 一种适用于块茎蔬菜清洗装置
CN108065897A (zh) 一种旋转刷杯器
CN204104771U (zh) 红薯清洗机
KR101753577B1 (ko) 용기 세척장치
KR101729627B1 (ko) 다용도 용기 세척기
CN206435552U (zh) 一种周转箱清洗装置
CN104068453B (zh) 红薯清洗机
KR200366713Y1 (ko) 주방용 전동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