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493B1 - 펜슬형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펜슬형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493B1
KR101372493B1 KR1020130111830A KR20130111830A KR101372493B1 KR 101372493 B1 KR101372493 B1 KR 101372493B1 KR 1020130111830 A KR1020130111830 A KR 1020130111830A KR 20130111830 A KR20130111830 A KR 20130111830A KR 101372493 B1 KR101372493 B1 KR 101372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piece
ultrasonic
main body
pencil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Priority to KR102013011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Abstract

펜슬 형태로 구성되어 피부에 초음파를 시술하는 작업이 용이 신속하고, 시술중 시술하는 부위의 확인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술이 완료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된 펜슬형 핸드피스가 개시된다. 개시된 펜슬형 핸드피스는 하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가 빈공간으로 형성되는 펜슬 형상의 핸드피스 본체와,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내측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초음파를 방출시키는 초음파도자 및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파도자를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펜슬형 핸드피스{PENCIL TYPE WIRE HANDPIECE}
본 발명은 펜슬형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펜슬 형태로 구성되어 피부에 초음파를 시술하는 작업이 용이 신속하고, 시술중 시술하는 부위의 확인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술이 완료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된 펜슬형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록렌즈로 태양광을 한 곳에 모으면 촛점 부위에서 열이 발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고강도의 초음파에너지를 한 곳에 집속시키면 그 촛점 부분에서 약 65℃ 내지 100℃의 고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초음파집속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피부내 종양과 같은 특정 피하조직을 태워 제거(응고성괴사)하는 장치가 고강도집속초음파수술장치이고, 초음파집속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피부조직의 변성 및 재생을 유발시켜 주름개선과 같은 피부미용 또는 미부성형효과를 발생시키도록 소형화한 장치가 바로 "울쎄라(Ulthera)"로 알려진 고강도집속초음파장치이다.
이러한 고강도집속초음파장치는 초음파발생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시술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본체와, 이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원선과 제어신호전송선이 피복되어 형성되는 연결케이블과, 이 연결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고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도자가 구비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고강도집속초음파장치용 핸드피스의 경우에는 다리미 형태의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시술이 매우 번거울 뿐만 아니라, 정교하고 미세한 시술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강도집속초음파장치용 핸드피스는 시술중 시술부위가 투시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시술부위를 확인하면서 시술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핸드피스를 통해 시술이 완료된 후에도 핸드피스로 시술된 위치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시술된 곳을 재시술하거나, 시술을 미스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307551호(2013년09월05일) 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63614호(2013년06월17일) 3. 한국 등록특허 제10-117769호(2012년08월22일) 4.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12701호(2011년11월08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펜슬 형태로 구성되어 피부에 초음파를 시술하는 작업이 용이 신속하고, 시술중 시술하는 부위의 확인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술이 완료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된 펜슬형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하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가 빈공간으로 형성되는 펜슬 형상의 핸드피스 본체와,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내측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초음파를 방출시키는 초음파도자 및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파도자를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핸드피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하단부는 상기 초음파도자를 통해 시술되는 부분을 투시할 수 있게 투명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명관의 하단부 내부에는 상기 초음파도자를 통해 시술되는 부분을 조명할 수 있도록 조명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조명수단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ON 또는 OFF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잉크가 수용되는 잉크저장통이 구성되고,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하단부 내부에는 상기 잉크저장통과 핸드피스 본체의 하면을 연결하여 잉크저장통에 수용된 잉크를 핸드피스 본체의 하면으로 공급하는 잉크공급로가 형성되며, 상기 잉크공급로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작동되는 밸브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구성되며,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잉크공급로를 통해 유입된 잉크가 흡수되어 시술된 부분에 잉크가 날인될 수 있게 날인부가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핸드피스 본체에는 상기 초음파도자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초음파도자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집속되는 피하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높이조절수단이 더 설치되되, 상기 상하높이조절수단은 실린더본체와 실린더암으로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본체는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실린더암은 상기 지지대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암의 신장 및 수축을 통해 상기 지지대를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시켜, 상기 지지블럭에 설치된 초음파도자와 피부와의 간격을 조절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핸드피스는 펜슬 형태로 구성되어 피부에 초음파를 시술하는 작업이 용이 신속하고, 핸드피스 본체의 하단부가 투명관으로 형성되어 시술중 시술하는 부위의 확인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술이된 피부에는 잉크가 날인되어 시술이 완료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정확하고 신속한 초음파시술이 가능하게 구성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핸드피스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펜슬형 핸드피스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핸드피스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펜슬형 핸드피스의 사용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3에 따른 펜슬형 핸드피스의 구체적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핸드피스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펜슬형 핸드피스의 작동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핸드피스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핸드피스는 핸드피스 본체(100), 지지대(200), 지지블럭(300), 초음파도자(400) 및 조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는 하면에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내부가 빈공간(101)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개방부(110)는 후술하는 초음파도자(4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방출되어 피부에 초음파시술을 할 수 있게 구성되는 부분이고,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의 빈공간(101)에는 후술하는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는 피부에 초음파시술을 하기 위해 시술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핸드피스 본체(100)가 펜슬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시술자가 핸드피스 본체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의 내측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대(200)는 후술하는 초음파도자(40)가 설치되는 지지블럭(300)이 설치되어 지지블럭을 지지되는 역활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별도의 브라켓(B)에 결합되어 밴드피스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블럭(300)은 상기 지지대(2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110)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3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블럭(300)에는 후술하는 초음파도자(400)가 상기 개방부(100)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게 초음파도자(400)를 설치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 초음파도자(400)는 상기 지지블럭(300)의 설치공간(310)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110)를 통해 초음파를 방출시키게 구성된다. 즉, 상기 초음파도자(400)는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의 개방부(11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110)를 통해 초음파를 방출시키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도자(400)는 일반적으로 볼록렌즈로 태양광을 한 곳에 모으면 촛점 부위에서 열이 발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고강도의 초음파에너지를 한 곳에 집속시키면 그 촛점 부분에서 약 65℃ 내지 100℃의 고열이 발생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초음파도자(400)는 개방부(110)을 통해 방출된 초음파의 집속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피부조직의 변성 및 재생을 유발시켜 주름개선과 같은 피부미용 또는 미부성형효과를 발생시키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도자(400)는 미도시된 연결케이블을 통해 외부에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키게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500)는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파도자(400)를 작동시키게 구성된다. 즉, 상기 조작부(500)는 초음파도자(400)가 선택적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ON 또는 OFF시키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핸드피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를 시술하기 위해, 시술자가 펜슬형의 핸드피스 본체(100)를 파지한 다음, 핸드피스 본체(100)의 하면을 시술대상자인 환자의 피부조직(S)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조작부(500)의 조작을 통해 초음파도자(400)에서 초음파(U)을 발생시켜 환자의 피부조직(S)에 초음파시술을 행한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도자(400)에서 발생되어 핸드피스 본체의 개방부(110)을 통해 방출된 초음파(U)는 피부에서 집속되고, 이때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피부조직의 변성 및 재생을 유발시켜 주름개선과 같은 피부미용 또는 미부성형효과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펜슬 형상의 핸드피스 본체를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한 다음 피부에 초음파를 시술하는 작업을 용이 신속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교하고 미세한 시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의 하단부는 상기 초음파도자(400)를 통해 시술되는 부분을 투시할 수 있게 투명관(12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투명관(120)을 통해 초음파도자(400)를 통해 시술되는 피부(S)를 투시할 수 있기 때문에, 초음파가 시술되는 부위를 확인하면서 정확한 시술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관(120)의 하단부 내부에는 상기 초음파도자(400)를 통해 시술되는 부분을 조명할 수 있도록 조명수단(13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명수단(130)은 상기 조작부(500)를 통해 선택적으로 ON 또는 OFF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명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조명수단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 조명수단은 LE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피스를 통해 시술이 완료된 후에 핸드피스로 시술된 피부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잉크(I)가 수용되는 잉크저장통(140)이 구성되고,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의 하단부 내부에는 상기 잉크저장통(140)과 핸드피스 본체(100)의 하면을 연결하여 잉크저장통(140)에 수용된 잉크(I)를 핸드피스 본체(100)의 하면으로 공급하는 잉크공급로(150)가 형성되며, 상기 잉크공급로(150)는 상기 조작부(500)의 조작을 통해 작동되는 밸브(160)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구성되며,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의 하면에는 상기 잉크공급로(150)를 통해 유입된 잉크(I)가 흡수되어 시술된 부분에 잉크(I)가 날인될 수 있게 날인부(170)가 구성된다. 즉, 상기 잉크저장통(140)에 수용된 잉크(I)는 상기 잉크공급로(150)를 통해 핸드피스의 하면에 위치한 날인부(170)로 공급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를 통해 시술된 피부(S)의 표면에는 날인부(170)를 통해 잉크(I)가 날인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부(S)의 표면에 날인된 잉크(I)를 통해 핸드피스로 시술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피스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시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술된 곳을 재시술하거나, 시술을 미스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에는 상기 초음파도자(40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초음파도자(4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U)가 집속되는 피하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높이조절수단(60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하높이조절수단(600)은 실린더본체(610)와 실린더암(6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본체(610)는 상기 핸드피스 본체(10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실린더암(620)은 상기 지지대(200)의 후단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암(620)의 신장 및 수축을 통해 상기 지지대(200)를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시켜, 상기 지지블럭(300)에 설치된 초음파도자(400)와 피부(S)와의 간격이 조절되게 구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본체(610)로부터 실린더암(620)이 신장되면 초음파도자(400)와 피부조직(S)의 상하 간격이 낮아져 초음파도자(4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U)가 집속되는 피하깊이가 깊어지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본체(610)로부터 실린더암(620)이 수축되면 초음파도자(400)와 피부조직(S)의 상하 간격이 높아져 초음파도자(4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U)가 집속되는 피하깊이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높이조절수단(600)을 통해 상기 초음파도자(400)의 상하 높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초음파도자(4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U)가 피부조직(S)에 집속되는 피하깊이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핸드피스 본체 110: 개방부
120: 투명관 130: 조명수단
140: 잉크저장통 150: 잉크공급로
170: 날인부 200: 지지대
300: 지지블럭 400: 초음파도자
500: 조작부 600: 상하높이조절수단
610: 실린더본체 620: 실린더암
S: 빈공간 I: 잉크
U: 초음파

Claims (5)

  1. 하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가 빈공간으로 형성되는 펜슬 형상의 핸드피스 본체와,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내측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초음파를 방출시키는 초음파도자 및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파도자를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하단부는 상기 초음파도자를 통해 시술되는 부분을 투시할 수 있게 투명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투명관의 하단부 내부에는 상기 초음파도자를 통해 시술되는 부분을 조명할 수 있도록 조명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조명수단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ON 또는 OFF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잉크가 수용되는 잉크저장통이 구성되고,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하단부 내부에는 상기 잉크저장통과 핸드피스 본체의 하면을 연결하여 잉크저장통에 수용된 잉크를 핸드피스 본체의 하면으로 공급하는 잉크공급로가 형성되며, 상기 잉크공급로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작동되는 밸브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구성되며,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잉크공급로를 통해 유입된 잉크가 흡수되어 시술된 부분에 잉크가 날인될 수 있게 날인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핸드피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 본체에는 상기 초음파도자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초음파도자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집속되는 피하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높이조절수단이 더 설치되되,
    상기 상하높이조절수단은 실린더본체와 실린더암으로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본체는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실린더암은 상기 지지대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암의 신장 및 수축을 통해 상기 지지대를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시켜, 상기 지지블럭에 설치된 초음파도자와 피부와의 간격을 조절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핸드피스.
KR1020130111830A 2013-09-17 2013-09-17 펜슬형 핸드피스 KR101372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830A KR101372493B1 (ko) 2013-09-17 2013-09-17 펜슬형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830A KR101372493B1 (ko) 2013-09-17 2013-09-17 펜슬형 핸드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493B1 true KR101372493B1 (ko) 2014-03-11

Family

ID=5064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830A KR101372493B1 (ko) 2013-09-17 2013-09-17 펜슬형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490B1 (ko) 2014-11-26 2015-12-17 주식회사 로보맥스 깊이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536B1 (ko) * 2011-05-17 2011-10-20 주식회사 하이로닉 마킹 인식 기능을 구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536B1 (ko) * 2011-05-17 2011-10-20 주식회사 하이로닉 마킹 인식 기능을 구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490B1 (ko) 2014-11-26 2015-12-17 주식회사 로보맥스 깊이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핸드피스용 카트리지와 이를 갖춘 초음파 핸드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30992B (zh) 治疗阴道腔或其它自然或手术获得的孔的设备及相关装置
KR20140067482A (ko) 초음파도자의 전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한 핸드피스
KR101249954B1 (ko) 초점 거리 조절이 가능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JP5623397B2 (ja) 皮膚突起の大きさの自動的調整をもった皮膚治療のためのアプリケータ
KR101246557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비침습적 피부미용 기기
US10893907B2 (en) Medical skin wrinkle improvement device using peak of laser pulse wave
CN109310883A (zh) 超声波套筒及利用其的超声波治疗头
RU2020110696A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терап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вета
TW200628120A (en) Gynecological ablation procedure and system
WO2018153080A1 (zh) 激光针灸系统及激光针灸设备
WO2004002319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surgical instrument
JP2009034239A (ja) 発毛調節光照射装置
KR101372493B1 (ko) 펜슬형 핸드피스
CN104921805A (zh) 可视化点阵激光治疗仪
US20140324033A1 (en) Medical lase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075536B1 (ko) 마킹 인식 기능을 구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PT1763379E (pt) Agulha laser para execução de uma combinação de acupunctura de agulha laser e eléctrica
DE502004008692D1 (de) Vorrichtung zur akupunktur mittels laserstrahlung
KR101559927B1 (ko) 체내 삽입용 레이저 조사 장치
KR102117636B1 (ko) 초음파 치료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JP2009034235A (ja) 発毛調節光照射装置
KR101578174B1 (ko)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치료 장치
KR101878729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CN211751876U (zh) 一种机械式聚焦超声治疗头
KR102388415B1 (ko) 조직 처리 장치 및 조직의 처리를 위한 이미지 안내 장치의 이미지의 작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