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308B1 - Multyaxial force/torque sensor - Google Patents

Multyaxial force/torqu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308B1
KR101372308B1 KR1020120074476A KR20120074476A KR101372308B1 KR 101372308 B1 KR101372308 B1 KR 101372308B1 KR 1020120074476 A KR1020120074476 A KR 1020120074476A KR 20120074476 A KR20120074476 A KR 20120074476A KR 101372308 B1 KR101372308 B1 KR 101372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rain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7170A (en
Inventor
김갑순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4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308B1/en
Publication of KR2014000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1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3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B25J11/006Deburr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B25J11/0065Polishing or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5Force or torque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1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407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1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407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springs
    • G01L3/1428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springs using electrical transducers
    • G01L3/1457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springs using electrical transducers involv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 G01L5/16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us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 G01L5/1627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us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train ga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힘과 토크를 전달받는 중앙블록; 상기 중앙블록의 양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방향(X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 상기 중앙블록의 또 다른 양 측면으로부터 상기 X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 후부와 박부를 구비하면서 상기 제1횡방사블록, 제2횡방사블록,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 및 상기 중앙블록과 상기 제1스트레인발생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횡방사블록, 제2횡방사블록,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2스트레인발생부;를 포함하는 다축 힘/토크 센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block receiving the force and torqu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s extend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ral block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X-axis direction), respectively; A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a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respectively extending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from two opposite sides of the central block; A first strain generator having a rear portion and a thin portion and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a second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to be located between the central block and the first strain generator. Provides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Description

다축 힘/토크 센서{MULTYAXIAL FORCE/TORQUE SENSOR}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s {MULTYAXIAL FORCE / TORQUE SENSOR}

본 발명은 다축 힘/토크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체 및 이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여러 방향의 힘 및 여러 방향의 토크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다축 힘/토크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axial force / torque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axial force / torqu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both force in various directions and torques in various directions using an elastic body and a strain gauge attached thereto.

최근 산업현장에서는 생산성 향상 및 공장 자동화 추세에 따라 로봇이 조립(assembling), 연마(polishing), 디버링(deburing) 등과 같은 작업에까지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로봇의 활용 분야가 확장됨에 따라 로봇에 요구되는 기능 또한 다양해 지고 있고, 이에 로봇의 위치 제어 외에 여러 방향의 힘과 토크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이를 제어해야 할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Recently, robots are being used for tasks such as assembly, polishing, and deburring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factory automation. In addition, as the field of application of the robot expands, the functions required for the robot are also diversified.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precisely measuring force and torque in various directions in addition to the position control of the robot is increasing.

힘과 토크는 3차원 공간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일자유도의 힘/토크 센서가 사용되면 많은 수의 센서가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수의 센서를 사용하는 것은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세 방향의 힘과 세 방향의 토크를 통시에 측정할 수 있는 6축 힘/토크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Forces and torques act in any direction in three-dimensional space. Therefore, when a degree of freedom force / torque sensor is used, a large number of sensors are required. However, it is not preferable to use a large number of sensors because of space constraints. Therefore, a six-axis force / torque sensor that can measure three directions of torque and three directions of torque at the same time is used.

6축 힘/토크 센서는 3 방향의 힘과 3 방향의 토크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크게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여 탄성체의 변형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압전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스튜어트 플랫폼기구를 이용하는 분류될 수 있다. The 6-axis force / torque sensor is a sensor that can measure both force in three directions and torque in three directions. It uses strain gauges to measure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an elastic body, a method using piezoelectric elements, and a stuart platform mechanism. Can be classified.

일반적으로 스트레인 게이지형 6축 힘/토크 센서는 중앙에 위치하는 하중 전달 블록과, 상기 하중 전달 블록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방사 블록과, 상기 방사 블록의 단부에 마련된 외곽 블록과, 상기 외곽 블록에 연결된 고정 블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사 블록 및 외곽 블록에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장착 부위인 스트레인발생부가 마련된다. In general, a strain gage type 6-axis force / torque sensor includes a load transmission block located at the center, a radiation block extending radially from the load transmission block, an outer block provided at an end of the radiation block, and connected to the outer block. It includes a fixed block. In addition, the radiation block and the outer block is provided with a strain generator that is a mounting portion of the strain gauge.

한국등록특허 제0753755호 및 제0760123호는 이와 같이 이루어진 스트레인 게이지형 6축 힘/토크 센서를 개시하고 있다. 위 한국등록특허들의 방사 블록 및 외곽 블록 각각에는 스트레인발생부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방사 블록에는 수평 이격 평행 평판보 형태 및 수직 이격 평행 평판보 형태의 스트레인발생부가 마련되어 있고, 외곽 블록에는 수평 이격 평행 평판보 형태의 스트레인 발생부가 마련되어 있다.Korean Patent Nos. 0753755 and 0760123 disclose a strain gauge type 6-axis force / torque sensor. Each of the radiation block and the outer block of the above Korean Patent Registration is provided with a strain generator. Specifically, the radial block is provided with a strain generator in the form of a horizontally spaced parallel flat beam and a vertical spaced parallel plate beam, and the outer block is provided with a strain generator in the form of a horizontal spaced parallel flat beam.

한편, 다축 힘/토크 센서의 적용 분야는 계속하여 확장되어 가고 있다. 그리고 다축 힘/토크 센서의 3축 방향 힘들 각각 및 3축 방향 토크들 각각에 대한 정격용량을 수요자는 다양하게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의 다축 힘/토크 센서는 각 힘들 및 토크들의 정격용량에 대한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쉽게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특허들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갖는다.Meanwhile, the field of application of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s continues to expand. In addition, the consumer demands a variety of rated capacities for each of the three-axis forces and the three-axis torques of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Therefore, today's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s must be designed to easily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 consumer for the rated capacity of each force and torque. However, according to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Korean patents,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these consumers.

한국등록특허 제0753755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0755755

한국등록특허 제0760123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0760123

본 발명은 여러 방향의 힘들 및 토크들의 정격용량에 대한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쉽게 충족시킬 수 있는 다축 힘/토크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that can easily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 consumer for the rated capacity of forces and torques in various direction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힘과 토크를 전달받는 중앙블록; 상기 중앙블록의 양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방향(X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 상기 중앙블록의 또 다른 양 측면으로부터 상기 X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 후부와 박부를 구비하면서 상기 제1횡방사블록, 제2횡방사블록,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 및 상기 중앙블록과 상기 제1스트레인발생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횡방사블록, 제2횡방사블록,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2스트레인발생부;를 포함하는 다축 힘/토크 센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block receiving the force and torqu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s extend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ral block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X-axis direction), respectively; A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a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respectively extending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from two opposite sides of the central block; A first strain generator having a rear portion and a thin portion and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a second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to be located between the central block and the first strain generator. Provides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상기 제1스트레인발생부는, X축 방향으로 뚫린 철(凸) 형태의 수평홈에 의해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 및 Y축 방향으로 뚫린 철(凸) 형태의 수평홈에 의해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를 포함한다.The first strain generating unit,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 beams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by a horizontal groove of the iron (凸) shape drill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 beams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by iron-shaped horizontal grooves drilled in the Y-axis direction.

이와 달리 상기 제1스트레인발생부는 X축 방향으로 뚫린 테이퍼 형태의 수평홈에 의해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 및 Y축 방향으로 뚫린 테이퍼 형태의 수평홈에 의해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contrast, the first strain generating unit is a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by a horizontal groove of the tapered shape drill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by tapered horizontal grooves drilled in the Y-axis direction.

상기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X-Y 평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뚫린 철(凸) 형태의 수직홈에 의해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 또는 계단 형태의 외면을 갖는 단일 계단보 또는 경사진 외면을 갖는 단일 테이퍼보 또는 X-Y 평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뚫린 테이퍼 형태의 수직홈에 의해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 또는 단일 평판보 형태로 마련된다.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a horizontally spaced double stair beam provided by iron-shaped vertical grooves dri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Y plane (Z-axis direction), or a single stair beam or inclined outer surface having a stepped outer surface.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 beam or a single flat beam provided by a vertical tapered groove formed in a single taper beam or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Y plane (Z-axis direction).

상기 다축 힘/토크 센서는,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의 단부에 각각 마련된 제1종외곽블록 및 제2종외곽블록;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의 단부에 각각 마련된 제1횡외곽블록 및 제2횡외곽블록; 상기 제1종외곽블록 및 제2종외곽블록에 마련된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상기 제1횡외곽블록 및 제2횡외곽블록에 마련된 제4스트레인발생부;를 더 포함한다.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may include: a first type outer block and a second type outer block respectively provided at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so as to extend along the Y axis direction; A first transverse outer block and a second transverse outer block respectively provided at ends of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so as to extend along an X axis direction; A third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type outer block and the second type outer block; And a fourth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outer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outer block.

상기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는 단일 평판보 또는 수직홈에 의해 형성된 평행 평판보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스트레인발생부 및 제2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는 박부보다 상기 중앙블록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The third strain generating portion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ing portion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parallel plate beam formed by a single flat beam or a vertical groov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train generating portion is more in the center block than the thin portion. It is located close.

상기 다축 힘/토크 센서는,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2스트레인발생부의 박부 또는 상기 제3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된 복수의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제2스트레인발생부의 박부 또는 상기 제4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된 복수의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제2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 또는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2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에 부착된 복수의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에 부착된 복수의 Y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에 부착된 복수의 X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및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박부 또는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박부에 부착된 복수의 Z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한다.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thin portion of the second strain generator or the third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 plurality of Y-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thin portion of the second strain generator or the fourth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A plurality of Z-axis torque detection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second strain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or the second strain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Strain gauge for; A plurality of Y-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a rear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s; A plurality of X-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first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a plurality of Z-axis forces attached to a thin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ng block, or a thin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transverse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transverse radiation block. Sensing strain gauge; includes.

상기 제2스트레인발생부가 단일 평판보 형태로 마련될 경우에는 위와 다르게 상기 다축 힘/토크 센서는,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의 제2스트레인발생부 또는 상기 제3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된 복수의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의 제2스트레인발생부 또는 상기 제4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된 복수의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의 제2스트레인발생부 또는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의 제2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된 복수의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에 부착된 복수의 Y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에 부착된 복수의 X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및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박부 또는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박부에 부착된 복수의 Z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한다.When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ingle flat beam,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is different from the above, the second strain generator or the third strain generator of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 plurality of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hereto; A plurality of Y-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second strain generating unit or the fourth strain generating unit of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A plurality of Z-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a second strain generator of the first and second lateral radiation blocks or to a second strain generator of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s; A plurality of Y-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a rear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s; A plurality of X-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first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a plurality of Z-axis forces attached to a thin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ng block, or a thin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transverse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transverse radiation block. Sensing strain gauge; includes.

본 발명에서는 제1스트레인발생부 및/또는 제2스트레인발생부가 후부 및 박부를 구비하고,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이 후부 및 박부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후부 및 박부의 기하학적 파라미터 조절을 통해 여러 방향 힘들 및 토크들 각각의 정격용량을 모두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 힘들 및 토크들의 정격용량에 대한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쉽게 충족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rain generating portion and / or the second strain generating portion has a rear portion and a thin portion, and strain gauges are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and the thin portion. In addition,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geometric parameters of the rear part and the thin part, the rated capacity of each of the various directions of forces and torques may be different.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eet the various demands of the consumer for the rated capacity of various directional forces and torque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가 추가로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정격용량에 대한 더욱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가 충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들과 토크들 간 상호간섭률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rain generator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or is further provid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demands of more diverse consumers for the rated capacity can be satisfied, but also the mutual interference rate between the ships and the torques can be maintained at a low lev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축 힘/토크 센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변형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축 힘/토크 센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축 힘/토크 센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축 힘/토크 센서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축 힘/토크 센서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축 힘/토크 센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2.
5 is a modification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of Fig. 8.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lan view of FIG. 12.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lan view of Fig. 14.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축 힘/토크 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used herein are not to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제1실시예 > &Lt; Embodiment 1 >

본 발명의 제1실시예(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힘과 토크를 전달받는 중앙블록(110)과, 방사블록들과, 외곽블록들과, 원호 형태를 취하면서 상기 외곽블록들을 연결하는 고정블록들(200)을 포함한다. The first embodim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s the form of a central block 110, radial blocks, outer blocks, and circular arcs that receive force and torque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ures 1 to 4 While it includes a fixed block 200 for connecting the outer blocks.

상기 방사블록들은 중앙블록(11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블록들로서, 중앙블록(110)의 양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방향(X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제1횡방사블록(120) 및 제2횡방사블록(130)과, 중앙블록(110)의 또 다른 양 측면으로부터 X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종방사블록(140) 및 제2종방사블록(150)을 포함한다.The radiation blocks are block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ral block 110, and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120 and the second horizontal block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central block 11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X-axis direction), respectively. Radiating block 130 and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140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150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from the other two sides of the central block 110 It includes.

상기 방사블록들에는 제1스트레인발생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스트레인발생부는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122, 132, 142, 152) 형태로 마련된다. 횡방사블록들(120, 130) 각각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122, 132)는 Y축 방향으로 뚫린 철(凸) 형태의 수평홈으로 인해 Z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종방사블록들(140, 150) 각각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122, 132)는 X축 방향으로 뚫린 철(凸) 형태의 수평홈으로 인해 Z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한편 상기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122, 132, 142, 152)의 후부(두꺼운 부위)는 박부(얇은 부위)보다 중앙블록(110)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The radiation blocks are provided with a first strain generato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train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form of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cases 122, 132, 142, and 152.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ways 122 and 132 provided in each of the lateral blocks 120 and 130 are spaced apart in the Z-axis direction due to the horizontal groove of the iron shape drilled in the Y-axis direction.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ways 122 and 132 provided in each of the longitudinal radiation blocks 140 and 150 are spaced apart in the Z-axis direction due to the horizontal groove of the iron shape drilled in the X-axis direction. Meanwhile, the rear portion (thick portion) of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cases 122, 132, 142 and 152 is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block 110 than the thin portion (thin portion).

위와 같이 이루어진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122, 132, 142, 152)는 X축 방향 토크, Y축 방향 토크 및 Z축 방향 힘에 의해 변형한다. 따라서 X축 방향 토크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X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x1, S_tx2, S_tx3, S_tx4), Y축 방향 토크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Y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y1, S_ty2, S_ty3, S_ty4) 및 Z축 방향 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Z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z1, S_fz2, S_fz3, S_fz4)은 중앙블록(110)의 중심점에 대하여 점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122. 132. 142. 152)에 부착된다.The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 beams 122, 132, 142, and 152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deformed by the X-axis torque, the Y-axis torque, and the Z-axis force. Therefore, four strain gauges for detecting X-axis torque (S_tx1, S_tx2, S_tx3, S_tx4) for detecting magnitude of torque in the X axis, and four strain gauges for detecting Y-axis torque for detecting magnitude in Y-axis torque (S_ty1, S_ty2, S_ty3, S_ty4) and four Z-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S_fz1, S_fz2, S_fz3, and S_fz4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Z-axis for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center block 110. It is attached to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 beams (122. 132. 142. 152) to achieve point symmetry.

보다 구체적으로, X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x1, S_tx2, S_tx3, S_tx4)은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142, 152)의 후부 상하면에 부착되고, Y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y1, S_ty2, S_ty3, S_ty4)은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122, 132)의 후부 상하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Z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z1, S_fz2, S_fz3, S_fz4)은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142, 152)의 박부 상하면 또는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122, 132)의 박부 상하면에 부착된다.More specifically, the X-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S_tx1, S_tx2, S_tx3, S_tx4) is attached to the rea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s (142, 152)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radiation blocks (140, 150), Strain gauges S_ty1, S_ty2, S_ty3, and S_ty4 for Y-axis torque sensing are attached to the rea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ways 122 and 132 provided in the lateral blocks 120 and 130. The strain gages S_fz1, S_fz2, S_fz3, and S_fz4 for detecting Z-axis force are thin top, bottom, or horizontal radiating blocks 120 of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ways 142 and 152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radiating blocks 140 and 150. And attach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hin portions of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cases 122 and 132 provided at 130.

상기 방사블록들에는 제2스트레인발생부도 마련된다. 상기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중앙블록(110)과 제1스트레인발생부 사이에 위치하고,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124, 134, 144, 154)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124, 134, 144, 154)는 Z축 방향으로 뚫린 철(凸) 형태의 수직홈으로 인해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한편 상기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124, 134, 144, 154)의 후부(두꺼운 부위)는 박부(얇은 부위)보다 중앙블록(110)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The radiation blocks are also provided with a second strain generator.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positioned between the central block 110 and the first strain generator,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horizontally spaced double stairways 124, 134, 144, and 154. The horizontally spaced double stair beams 124, 134, 144, and 154 are spaced apart in the X-axis or Y-axis direction due to the vertical grooves of the iron shape drilled in the Z-axis direction. Meanwhile, the rear part (thick part) of the horizontal spaced double stair beams 124, 134, 144 and 154 is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block 110 than the thin part (thin part).

위와 같이 이루어진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124, 134, 144, 154)는 X축 방향 힘, Y축 방향 힘 및 Z축 방향 토크에 의해 변형한다. 따라서 X축 방향 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1, S_fx2, S_fx3, S_fx4), Y축 방향 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1, S_fy2, S_fy3, S_fy4) 및 Z축 방향 토크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z1, S_tz2, S_tz3, S_tz4)은 중앙블록(110)의 중심점에 대하여 점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124, 134, 144, 154)에 부착된다.The horizontally spaced double stair beams 124, 134, 144, and 154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deformed by an X-axis force, a Y-axis force, and a Z-axis torque. Therefore, four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X-axis force (S_fx1, S_fx2, S_fx3, S_fx4) and four Y-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Y-axis force (S_fy1, S_fy2, S_fy3, S_fy4) and four Z-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S_tz1, S_tz2, S_tz3, and S_tz4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torque in the Z-axis ar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center block 110. Attached to the horizontally spaced double stair beams 124, 134, 144, 154 to achieve point symmetry.

보다 구체적으로,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1, S_fx2, S_fx3, S_fx4)은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144, 154)의 박부 좌우면에 부착되고,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1, S_fy2, S_fy3, S_fy4)은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124, 134)의 박부 좌우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z1, S_tz2, S_tz3, S_tz4)은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124, 134)의 후부 좌우면 또는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144, 154)의 후부 좌우면에 부착된다.More specifically, the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S_fx1, S_fx2, S_fx3, S_fx4) is attached to the thi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ly spaced double staircases (144, 154)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radiation blocks (140, 150) Strain gauges S_fy1, S_fy2, S_fy3, and S_fy4 for Y-axis force sensing are attached to thin left and right sides of horizontally spaced double stairways 124 and 134 provided in the lateral blocks 120 and 130. The strain gauges S_tz1, S_tz2, S_tz3, and S_tz4 for Z-axis torque sensing may include rear left, right, or longitudinal radiating blocks of horizontally spaced double stairways 124 and 134 provided in the lateral blocks 120 and 130. It is attached to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 spaced double stair beams (144, 154) provided in 140, 150.

이상 설명된 다축 힘/토크 센서(100)에서는 제1스트레인발생부 및 제2스트레인발생부가 후부 및 박부를 구비하고,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이 후부 및 박부에 부착된다. 따라서 후부 및 박부의 기하학적 파라미터(두께, 길이 등)가 적절하게 선택되면, 상기 다축 힘/토크 센서(100)의 3축 방향 힘들 각각 및 3축 방향 토크들 각각의 정격용량이 모두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상기 다축 힘/토크 센서(100)는 각 힘들 및 토크들의 정격용량에 대한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쉽게 충족시킬 수 있다.In the multiaxial force / torque sensor 100 described above, the first strain gener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train generating portion have a rear portion and a thin portion, and strain gauges are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and the thin portion. Therefore, if the geometrical parameters (thickness, length, etc.) of the rear and thin sections are appropriately selected, the rated capacity of each of the triaxial forces and the triaxial torques of the multiaxial force / torque sensor 100 may be different. And because of this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100 can easily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 consumer for the rated capacity of each force and torque.

한편, 상기 제1스트레인발생부 및 제2스트레인발생부만으로는 정격용량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정격용량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더라도 큰 상호간섭이 발생하여 센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다축 힘/토크 센서(100)는 또 다른 스트레인발생부를 구비한 외곽블록들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rain generating unit and the second strain generating unit may not be able to meet the demand of the consumer for the rated capacity may occur. In addition, even if the user's demand for the rated capacity is met, a large amount of interference may occur, thereby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sensor. Accordingly,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100 includes outer blocks having another strain generator.

상기 외곽블록들은 제1횡방사블록(120)의 단부에 마련되어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종외곽블록(160)과, 제2횡방사블록(130)의 단부에 마련되어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종외곽블록(170)과, 제1종방사블록(140)의 단부에 마련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횡외곽블록(180)과, 제2종방사블록(150)의 단부에 마련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횡외곽블록(190)을 포함한다. The outer blocks are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120 and extend along the Y axis direction, and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130 and along the Y axis direction. The second longitudinal outer block 170 and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140 extending at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outer block 180, extending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150 A second transverse outer block 190 is provided at the end and extends along the X-axis direction.

제1종외곽블록(160) 및 제2종외곽블록(170)에는 제3스트레인발생부가 마련된다. 상기 제3스트레인발생부는 수직홈에 의해 형성된 평행 평판보(162a, 172a)(도 1 및 2) 또는 단일 평판보(162b, 172b)(도 5)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평행 평판보(162a, 172a)나 단일 평판보(162b, 172b)는 횡방사부재(120, 130)와 종외곽블록(160, 170)이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위치한다. The first strain outer block 160 and the second strain outer block 170 are provided with a third strain generator. The third strain generator has a form of parallel flat beams 162a and 172a (FIGS. 1 and 2) or single flat beams 162b and 172b (FIG. 5) formed by vertical grooves. The parallel flat beams 162a and 172a or the single flat beams 162b and 172b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point where the lateral radiating members 120 and 130 and the longitudinal outer blocks 160 and 170 meet.

제1횡외곽블록(180) 및 제2횡외곽블록(190)에는 제4스트레인발생부가 마련된다. 상기 제4스트레인발생부는 수직홈에 의해 형성된 평행 평판보(182a, 192a)(도 1 및 2) 또는 단일 평판보(182b, 192b)(도 5)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평행 평판보(182a, 192a)나 단일 평판보(182b, 192b)는 종방사부재(140, 150)와 횡외곽블록(180, 190)이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위치한다. A first strain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outer block 180 and the second horizontal outer block 190. The fourth strain generator has a form of parallel flat beams 182a and 192a (FIGS. 1 and 2) or single flat beams 182b and 192b (FIG. 5) formed by vertical grooves. The parallel flat beams 182a and 192a or the single flat beams 182b and 192b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at both sides based on a point where the longitudinal radiating members 140 and 150 and the transverse outer blocks 180 and 190 meet.

상기 다축 힘/토크 센서(100)가 위와 같이 제3스트레인발생부를 구비하면, 제1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되었던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1, S_fx2, S_fx3, S_fx4)이 제3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1, S_fx2, S_fx3, S_fx4) 중 어느 하나(S_fx1)가 평행 평판보(162a)나 단일 평판보(162b)의 소정 위치(X1_1, X2-1, X3-1, X4-1)에 부착되면, 나머지 3개의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2, S_fx3, S_fx4)은 중앙블록(110)의 중심점에 대하여 상기 소정 위치(X1_1, X2-1, X3-1, X4-1)와 점대칭을 이루는 위치((X1-2, X1-3, X1-4), (X2_2, X2-3, X2-4 ), (X3_2, X3-3, X3-4), (X4_2, X4_3, X4_4))에 각각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3스트레인발생부는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1, S_fx2, S_fx3, S_fx4)을 제1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시켰을 때 발생하는 문제(정격용량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나 상호간섭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When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100 includes the third strain generator as described above, the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S_fx1, S_fx2, S_fx3, and S_fx4 attached to the first strain generator generate a third strain. Can be attached to the part. For example, any one of the strain gages S_fx1, S_fx2, S_fx3, and S_fx4 for X-axis force sensing may be a predetermined position X1_1, X2-1, X3 of the parallel plate 162a or the single plate 162b. -1, X4-1, the remaining three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S_fx2, S_fx3, S_fx4) is the predetermined position (X1_1, X2-1, X3)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central block 110 Point symmetry with (-1, X4-1) ((X1-2, X1-3, X1-4), (X2_2, X2-3, X2-4), (X3_2, X3-3, X3-4) , (X4_2, X4_3, X4_4)). Therefore, the third strain generator is a problem that occurs when attaching the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S_fx1, S_fx2, S_fx3, S_fx4) to the first strain generator (the problem that does not meet the demand of the consumer for the rated capacity) Or mutual interference problems).

또한 상기 다축 힘/토크 센서(100)가 제4스트레인발생부를 구비하면, 제1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되었던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1, S_fy2, S_fy3, S_fy4)이 제4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1, S_fy2, S_fy3, S_fy4) 중 어느 하나(S_fy1)가 평행 평판보(182a)나 단일 평판보(182b)의 소정 위치(Y1_1, Y2-1, Y3-1, Y4-1)에 부착되면, 나머지 3개의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2, S_fy3, S_fy4)은 중앙블록(110)의 중심점에 대하여 상기 소정 위치(Y1_1, Y2-1, Y3-1, Y4-1)와 점대칭을 이루는 위치((Y1-2, Y1-3, Y1-4), (Y2_2, Y2-3, Y2-4), (Y3_2, Y3-3, Y3-4), (Y4_2, Y4_3, Y4_4))에 각각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4스트레인발생부는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1, S_fy2, S_fy3, S_fy4)을 제1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시켰을 때 발생하는 문제(정격용량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나 상호간섭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100 is provided with a fourth strain generating portion, the strain gauges (S_fy1, S_fy2, S_fy3, S_fy4) for detecting Y-axis force attached to the first strain generating portion are the fourth strain generating portion. It can be attached to. For example, any one of the strain gauges S_fy1, S_fy2, S_fy3, and S_fy4 for Y-axis force sensing may be a predetermined position Y1_1, Y2-1, or Y3 of the parallel plate 182a or the single plate 182b. -1, Y4-1, the remaining three Y-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S_fy2, S_fy3, S_fy4) is the predetermined position (Y1_1, Y2-1, Y3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central block 110) Point symmetry with (-1, Y4-1) ((Y1-2, Y1-3, Y1-4), (Y2_2, Y2-3, Y2-4), (Y3_2, Y3-3, Y3-4) , (Y4_2, Y4_3, Y4_4)). Therefore, the fourth strain generator is a problem that occurs when attaching the Y-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S_fy1, S_fy2, S_fy3, S_fy4) to the first strain generator (the problem that does not meet the demand of the consumer for the rated capacity) Or mutual interference problems).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가 모두 평행 평판보로 도시되었고, 도 5에는 모두 단일 평판보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제3스트레인발생부는 평행 평판보로 그리고 제4스트레인발생부는 단일 평판보로 마련되어도 되고, 이와 반대로 제3스트레인발생부는 단일 평판보로 그리고 제4스트레인발생부는 평행 평판보로 마련되어도 된다.
1 and 2, both the third strain generator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or are illustrated as parallel flat beams, and in FIG. 5, all are illustrated as single flat beams. However, the third strain generator may be provided as a parallel plate beam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or may be provided as a single plate beam, and on the contrary, the third strain generator may be provided as a single plate beam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or may be provided as a parallel plate beam.

< 제2실시예 > &Lt; Embodiment 2 >

본 발명의 제2실시예(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트레인발생부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스트레인발생부에 대하여만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100 except for the second strain generator as shown in FIGS. 6 and 7. Therefore, hereinafter, only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described.

본 실시예(200)에서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중앙블록(110)과 제1스트레인발생부 사이에 위치하고, 단일 계단보(224, 234, 244, 254)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단일 계단보(224, 234, 244, 254)는 마주보는 양 측면을 갖고, 이 양 측면은 모두 계단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단일 계단보(224, 234, 244, 254)의 후부(두꺼운 부위)는 박부(얇은 부위)보다 중앙블록(110)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200, the second strain generating unit is located between the central block 110 and the first strain generating unit,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ingle staircase 224, 234, 244, 254. The single staircases 224, 234, 244, and 254 have opposite sides, both sides having a stepped shape. And the rear part (thick part) of the single staircase (224, 234, 244, 254) is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block 110 than the thin part (thin part).

위와 같이 이루어진 단일 계단보(224, 234, 244, 254)는 X축 방향 힘, Y축 방향 힘 및 Z축 방향 토크에 의해 변형한다. 따라서 X축 방향 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1, S_fx2, S_fx3, S_fx4), Y축 방향 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1, S_fy2, S_fy3, S_fy4) 및 Z축 방향 토크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z1, S_tz2, S_tz3, S_tz4)은 중앙블록(110)의 중심점에 대하여 점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단일 계단보(224, 234, 244, 254)에 부착된다.The single stepped beams 224, 234, 244, and 254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deformed by the X-axis force, the Y-axis force, and the Z-axis torque. Therefore, four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X-axis force (S_fx1, S_fx2, S_fx3, S_fx4) and four Y-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Y-axis force (S_fy1, S_fy2, S_fy3, S_fy4) and four Z-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S_tz1, S_tz2, S_tz3, and S_tz4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torque in the Z-axis ar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center block 110. Attached to the single stepped beams 224, 234, 244, 254 to achieve point symmetry.

보다 구체적으로,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1, S_fx2, S_fx3, S_fx4)은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단일 계단보(244, 254)의 박부 좌우면에 부착되고,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1, S_fy2, S_fy3, S_fy4)은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단일 계단보(224, 234)의 박부 좌우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z1, S_tz2, S_tz3, S_tz4)은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단일 계단보(224, 234)의 후부 좌우면 또는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단일 계단보(244, 254)의 후부 좌우면에 부착된다.More specifically, the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S_fx1, S_fx2, S_fx3, S_fx4) are attached to the thi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ngle staircase (244, 254)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radiation blocks (140, 150), Y Strain gauges S_fy1, S_fy2, S_fy3, and S_fy4 for axial force sensing are attached to the thi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ngle stair beams 224 and 234 provided in the lateral blocks 120 and 130. The strain gauges S_tz1, S_tz2, S_tz3, and S_tz4 for Z-axis torque sensing may include rear left, right, or longitudinal radiating blocks 140 of the single stair beams 224 and 234 provided in the lateral blocks 120 and 130. It is attached to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ngle staircase (244, 254) provided in 150.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가 모두 평행 평판보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일 평판보로 마련되어도 되고, 평행 평판보와 단일 평판보의 조합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Meanwhile, FIGS. 6 and 7 show both the third strain generator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or as parallel flat beams. However, the third strain generating portion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as a single flat beam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r may be provided as a combination of parallel flat beam and single flat beam.

< 제3실시예 > &Lt; Third Embodiment >

본 발명의 제3실시예(3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트레인발생부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스트레인발생부에 대하여만 설명한다.The third embodimen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100 except for the second strain generator as shown in FIGS. 8 and 9. Therefore, hereinafter, only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described.

본 실시예(300)에서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중앙블록(110)과 제1스트레인발생부 사이에 위치하고, 단일 테이퍼보(324, 334, 344, 354)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단일 테이퍼보(324, 334, 344, 354)는 마주보는 양 측면을 갖고, 이 양 측면은 모두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일 테이퍼보(324, 334, 344, 354)의 후부(두꺼운 부위)는 박부(얇은 부위)보다 중앙블록(110)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300,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located between the central block 110 and the first strain generator,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ingle taper beam (324, 334, 344, 354). The single taper beams 324, 334, 344, and 354 have opposite sides, both of which are inclined surfaces. The rear portion (thick portion) of the single tapered beams 324, 334, 344 and 354 is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block 110 than the thin portion (thin portion).

위와 같이 이루어진 단일 테이퍼보(324, 334, 344, 354)는 X축 방향 힘, Y축 방향 힘 및 Z축 방향 토크에 의해 변형한다. 따라서 X축 방향 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1, S_fx2, S_fx3, S_fx4), Y축 방향 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1, S_fy2, S_fy3, S_fy4) 및 Z축 방향 토크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z1, S_tz2, S_tz3, S_tz4)은 중앙블록(110)의 중심점에 대하여 점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단일 테이퍼보(324, 334, 344, 354)에 부착된다.The single taper beams 324, 334, 344 and 354 made as described above are deformed by the X-axis force, the Y-axis force and the Z-axis torque. Therefore, four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X-axis force (S_fx1, S_fx2, S_fx3, S_fx4) and four Y-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Y-axis force (S_fy1, S_fy2, S_fy3, S_fy4) and four Z-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S_tz1, S_tz2, S_tz3, and S_tz4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torque in the Z-axis ar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center block 110. Attached to the single tapered beams 324, 334, 344, 354 to achieve point symmetry.

보다 구체적으로,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1, S_fx2, S_fx3, S_fx4)은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단일 테이퍼보(344, 354)의 박부 좌우면에 부착되고,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1, S_fy2, S_fy3, S_fy4)은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단일 테이퍼보(324, 334)의 박부 좌우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z1, S_tz2, S_tz3, S_tz4)은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단일 테이퍼보(324, 334)의 후부 좌우면 또는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단일 테이퍼보(344, 354)의 후부 좌우면에 부착된다.More specifically, the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S_fx1, S_fx2, S_fx3, S_fx4) is attached to the thi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ngle tapered beams (344, 354)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radiation blocks (140, 150), Y Strain gauges S_fy1, S_fy2, S_fy3, and S_fy4 for sensing axial force are attached to the thi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ngle tapered beams 324 and 334 provided in the lateral blocks 120 and 130. The strain gauges S_tz1, S_tz2, S_tz3, and S_tz4 for Z-axis torque sensing may include rear left, right, or longitudinal radiating blocks 140 of the single tapered beams 324 and 334 provided in the transverse blocks 120 and 130. It is attached to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ngle tapered beams (344, 354) provided in 150.

한편, 도 8 및 도 9에는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가 모두 평행 평판보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일 평판보로 마련되어도 되고, 평행 평판보와 단일 평판보의 조합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8 and 9, the third strain generator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or are shown as parallel flat beams. However, the third strain generating portion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as a single flat beam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r may be provided as a combination of parallel flat beam and single flat beam.

< 제4실시예 >Four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4실시예(4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트레인발생부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스트레인발생부에 대하여만 설명한다.The fourth embodimen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100 except for the second strain generator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refore, hereinafter, only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described.

본 실시예(300)에서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중앙블록(110)과 제1스트레인발생부 사이에 위치하고,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424, 434, 444, 454)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424, 434, 444, 454)는 Z축 방향으로 뚫린 테이퍼 형태의 수직홈으로 인해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한편 상기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424, 434, 444, 454)의 후부(두꺼운 부위)는 박부(얇은 부위)보다 중앙블록(110)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300,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positioned between the central block 110 and the first strain generator,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424, 434, 444, and 454. The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 beams 424, 434, 444, and 454 are spaced apart in the X-axis or Y-axis direction due to the tapered vertical grooves bored in the Z-axis direction. Meanwhile, the rear portion (thick portion) of the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424, 434, 444 and 454 is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block 110 than the thin portion (thin portion).

위와 같이 이루어진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424, 434, 444, 454)는 X축 방향 힘, Y축 방향 힘 및 Z축 방향 토크에 의해 변형한다. 따라서 X축 방향 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1, S_fx2, S_fx3, S_fx4), Y축 방향 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1, S_fy2, S_fy3, S_fy4) 및 Z축 방향 토크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z1, S_tz2, S_tz3, S_tz4)은 중앙블록(110)의 중심점에 대하여 점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424, 434, 444, 454)에 부착된다.The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 beams 424, 434, 444, and 454 made as described above are deformed by the X-axis force, the Y-axis force, and the Z-axis torque. Therefore, four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X-axis force (S_fx1, S_fx2, S_fx3, S_fx4) and four Y-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Y-axis force (S_fy1, S_fy2, S_fy3, S_fy4) and four Z-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S_tz1, S_tz2, S_tz3, and S_tz4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torque in the Z-axis ar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center block 110. Attached to the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424, 434, 444, 454 to achieve point symmetry.

보다 구체적으로,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1, S_fx2, S_fx3, S_fx4)은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444, 454)의 박부 좌우면에 부착되고,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1, S_fy2, S_fy3, S_fy4)은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424, 434)의 박부 좌우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z1, S_tz2, S_tz3, S_tz4)은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424, 434)의 후부 좌우면 또는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444, 454)의 후부 좌우면에 부착된다.More specifically, the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S_fx1, S_fx2, S_fx3, S_fx4) is attached to the thi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444, 454)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radiation blocks (140, 150) Strain gauges S_fy1, S_fy2, S_fy3, and S_fy4 for Y-axis force sensing are attached to thin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424 and 434 provided in the lateral blocks 120 and 130. The strain gauges S_tz1, S_tz2, S_tz3, and S_tz4 for Z-axis torque sensing may include rear left, right, or longitudinal radiating blocks of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424 and 434 provided in the lateral blocks 120 and 130. It is attached to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444, 454) provided in 140, 150.

한편, 도 10 및 도 11에는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가 모두 평행 평판보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일 평판보로 마련되어도 되고, 평행 평판보와 단일 평판보의 조합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Meanwhile, FIGS. 10 and 11 show both the third strain generator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or as parallel flat beams. However, the third strain generating portion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as a single flat beam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r may be provided as a combination of parallel flat beam and single flat beam.

< 제5실시예 > Fif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5실시예(5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트레인발생부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스트레인발생부에 대하여만 설명한다.The fifth embodimen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100 except for the second strain generator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refore, hereinafter, only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described.

본 실시예(500)에서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중앙블록(110)과 제1스트레인발생부 사이에 위치하고, 단일 평판보(524, 534, 544, 554)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단일 평판보(524, 534, 544, 554)는 마주보는 양 측면을 갖고, 이 양 측면은 평행하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500,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located between the central block 110 and the first strain generator,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ingle flat plate 524, 534, 544, or 554. The single flat beams 524, 534, 544, 554 have opposing sides, both sides being parallel.

위와 같이 이루어진 단일 평판보(524, 534, 544, 554)는 X축 방향 힘, Y축 방향 힘 및 Z축 방향 토크에 의해 변형한다. 따라서 X축 방향 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1, S_fx2, S_fx3, S_fx4), Y축 방향 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1, S_fy2, S_fy3, S_fy4) 및 Z축 방향 토크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z1, S_tz2, S_tz3, S_tz4)은 중앙블록(110)의 중심점에 대하여 점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단일 평판보(524, 534, 544, 554)에 부착된다.The single flat beams 524, 534, 544, and 554 made as described above are deformed by the X-axis force, the Y-axis force, and the Z-axis torque. Therefore, four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X-axis force (S_fx1, S_fx2, S_fx3, S_fx4) and four Y-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Y-axis force (S_fy1, S_fy2, S_fy3, S_fy4) and four Z-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S_tz1, S_tz2, S_tz3, and S_tz4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torque in the Z-axis ar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center block 110. Attached to the single flat beams 524, 534, 544, 554 to achieve point symmetry.

보다 구체적으로,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x1, S_fx2, S_fx3, S_fx4)은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단일 평판보(544, 554)의 좌우면에 부착되고,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y1, S_fy2, S_fy3, S_fy4)은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단일 평판보(524, 534)의 좌우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z1, S_tz2, S_tz3, S_tz4)은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단일 평판보(524, 534)의 좌우면 또는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단일 평판보(544, 554)의 좌우면에 부착된다.More specifically, the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S_fx1, S_fx2, S_fx3, S_fx4)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ngle flat beams 544, 554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radiation blocks (140, 150), Y-axis The force sensing strain gauges S_fy1, S_fy2, S_fy3, and S_fy4 are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ngle flat beams 524 and 534 provided in the lateral blocks 120 and 130. The strain gauges S_tz1, S_tz2, S_tz3, and S_tz4 for Z-axis torque sensing may have left and right or longitudinal radiating blocks 140 and 150 of single flat beams 524 and 534 provided in the transverse blocks 120 and 130. It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ngle flat beam (544, 554) provided in the).

한편, 도 12 및 도 13에는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가 모두 평행 평판보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일 평판보로 마련되어도 되고, 평행 평판보와 단일 평판보의 조합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12 and 13, both the third strain generator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or are illustrated as parallel flat beams. However, the third strain generating portion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as a single flat beam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r may be provided as a combination of parallel flat beam and single flat beam.

< 제6실시예 > Sixth Embodiment

앞선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는 제1스트레인발생부가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 형태로 마련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600)에서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트레인발생부가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622, 632, 642, 652) 형태로 마련된다.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the first strain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 beam. However, in the exemplary embodiment 600, as illustrated in FIGS. 14 and 15, the first strain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form of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622, 632, 642, and 652.

횡방사블록들(120, 130) 각각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622, 632)는 Y축 방향으로 뚫린 테이퍼 형태의 수평홈으로 인해 Z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종방사블록들(140, 150) 각각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622, 632)는 X축 방향으로 뚫린 테이퍼 형태의 수평홈으로 인해 Z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한편 상기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622, 632, 642, 652)의 후부(두꺼운 부위)는 박부(얇은 부위)보다 중앙블록(110)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622 and 632 provided in the lateral blocks 120 and 130 are spaced apart in the Z-axis direction due to the tapered horizontal grooves drilled in the Y-axis direction.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622 and 632 provided in each of the longitudinal radiation blocks 140 and 150 are spaced apart in the Z-axis direction due to a tapered horizontal groove formed in the X-axis direction. Meanwhile, the rear portion (thick portion) of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622, 632, 642 and 652 is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block 110 than the thin portion (thin portion).

위와 같이 이루어진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622, 632, 642, 652)는 X축 방향 토크, Y축 방향 토크 및 Z축 방향 힘에 의해 변형한다. 따라서 X축 방향 토크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X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x1, S_tx2, S_tx3, S_tx4), Y축 방향 토크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Y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y1, S_ty2, S_ty3, S_ty4) 및 Z축 방향 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Z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z1, S_fz2, S_fz3, S_fz4)은 중앙블록(110)의 중심점에 대하여 점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622, 632, 642, 652)에 부착된다.The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 beams 622, 632, 642, and 652 made as described above are deformed by the X-axis torque, the Y-axis torque, and the Z-axis force. Therefore, four strain gauges for detecting X-axis torque (S_tx1, S_tx2, S_tx3, S_tx4) for detecting magnitude of torque in the X axis, and four strain gauges for detecting Y-axis torque for detecting magnitude in Y-axis torque (S_ty1, S_ty2, S_ty3, S_ty4) and four Z-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S_fz1, S_fz2, S_fz3, and S_fz4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Z-axis for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center block 110. Attached to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622, 632, 642, 652 to achieve point symmetry.

보다 구체적으로, X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x1, S_tx2, S_tx3, S_tx4)은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642, 652)의 후부 상하면에 부착되고, Y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ty1, S_ty2, S_ty3, S_ty4)은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622, 632)의 후부 상하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Z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들(S_fz1, S_fz2, S_fz3, S_fz4)은 종방사블록들(140, 150)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642, 652)의 박부 상하면 또는 횡방사블록들(120, 130)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622, 632)의 박부 상하면에 부착된다.More specifically, the X-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S_tx1, S_tx2, S_tx3, S_tx4) is attached to the rea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642, 652)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radiation blocks (140, 150), Strain gauges S_ty1, S_ty2, S_ty3, and S_ty4 for Y-axis torque sensing are attached to the rea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622 and 632 provided in the lateral blocks 120 and 130. The strain gages S_fz1, S_fz2, S_fz3, and S_fz4 for detecting Z-axis force are thin upper, lower, or lateral radiating blocks 120 of the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642 and 652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radiating blocks 140 and 150. And attach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hin spaced double tapered beams 622 and 632 provided at 130.

한편, 도 14 및 도 15에는 제2스트레인발생부가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424, 434, 444, 454)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실시예의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124, 134, 144, 154) 형태 또는 제2실시예의 단일 계단보(224, 234, 244, 254) 형태 또는 제3실시예의 단일 테이퍼보(324, 334, 344, 354) 형태 또는 제5실시예의 단일 평판보(524, 534, 544, 554) 형태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14 and 15,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shown as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 beams 424, 434, 444, 454 as in the fourth embodiment. However, the second strain genera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of the horizontally spaced double stair beams 124, 134, 144, and 154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ingle stair beams 224, 234, 244, and 254 of the second embodiment.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ingle taper beam (324, 334, 344, 354) of the third embodiment or in the form of a single flat beam (524, 534, 544, 554) of the fifth embodiment.

또한 도 14 및 도 15에는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가 모두 평행 평판보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일 평판보로 마련되어도 되고, 평행 평판보와 단일 평판보의 조합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14 and 15, both the third strain generator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or are shown as parallel flat beams. However, the third strain generating portion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as a single flat beam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r may be provided as a combination of parallel flat beam and single flat bea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200, 300, 400, 500, 600 : 다축 힘/토크 센서
110 : 중앙블록 120 : 제1횡방사블
130 : 제2횡방사블록 140 : 제1종방사블록
150 : 제2종방사블록
122, 132, 142, 152 :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
124, 134, 144, 154 :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
160 : 제1종외곽블록 170 : 제2종외곽블록
180 : 제1횡외곽블록 190 : 제2횡외곽블록
162a, 172a, 182a, 192a : 수평 이격 평행 평판보
162b, 172b, 182b, 192b : 단일 평판보
200 : 고정블록
224, 234, 244, 254 : 단일 계단보
324, 334, 344, 354 : 단일 테이퍼보
424, 434, 444, 454 :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
524, 534, 544, 554 : 단일 평판보
622, 632, 642, 652 :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
100, 200, 300, 400, 500, 600: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110: center block 120: first horizontal radiation
130: second radial block 140: first radial block
150: second type radiation block
122, 132, 142, 152: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s
124, 134, 144, 154: horizontally spaced double stairs
160: outer type 1 block 170: outer type 2 block
180: first transverse outer block 190: second transverse outer block
162a, 172a, 182a, 192a: horizontally spaced parallel flat beam
162b, 172b, 182b, 192b: single flat beam
200: fixed block
224, 234, 244, 254: single staircase
324, 334, 344, 354: single tapered beam
424, 434, 444, 454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524, 534, 544, 554: single flat beam
622, 632, 642, 652: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Claims (20)

삭제delete 힘과 토크를 전달받는 중앙블록;
상기 중앙블록의 양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방향(X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
상기 중앙블록의 또 다른 양 측면으로부터 상기 X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
후부와 박부를 구비하면서 상기 제1횡방사블록, 제2횡방사블록,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 및
상기 중앙블록과 상기 제1스트레인발생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횡방사블록, 제2횡방사블록,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2스트레인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스트레인발생부는,
X축 방향으로 뚫린 철(凸) 형태의 수평홈에 의해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 및
Y축 방향으로 뚫린 철(凸) 형태의 수평홈에 의해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계단보;를 포함하는 다축 힘/토크 센서.
A central block receiving force and torqu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s extend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ral block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X-axis direction), respectively;
A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a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respectively extending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from two opposite sides of the central block;
A first strain generator having a rear portion and a thin portion and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And a second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central block and the first strain generator.
The first strain generator,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 beams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by iron grooves form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And a vertically spaced double stair beam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by iron-shaped horizontal grooves drilled in the Y-axis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X-Y 평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뚫린 철(凸) 형태의 수직홈에 의해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인 다축 힘/토크 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a horizontally spaced double staircase stepped multi-axial force / torque sensor provided by a vertical groove of the iron shap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Y plane (Z-axis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계단 형태의 외면을 갖는 단일 계단보인 다축 힘/토크 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a single step beam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having a stepped outer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경사진 외면을 갖는 단일 테이퍼보인 다축 힘/토크 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And said second strain generating portion is a single tapered bor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having an inclined outer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X-Y 평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뚫린 테이퍼 형태의 수직홈에 의해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인 다축 힘/토크 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a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provided by a vertical groove of the tapered shap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Y plane (Z-axis direction).
힘과 토크를 전달받는 중앙블록;
상기 중앙블록의 양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방향(X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
상기 중앙블록의 또 다른 양 측면으로부터 상기 X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
후부와 박부를 구비하면서 상기 제1횡방사블록, 제2횡방사블록,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 및
상기 중앙블록과 상기 제1스트레인발생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횡방사블록, 제2횡방사블록,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2스트레인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스트레인발생부는,
X축 방향으로 뚫린 테이퍼 형태의 수평홈에 의해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 및
Y축 방향으로 뚫린 테이퍼 형태의 수평홈에 의해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수직 이격 이중 테이퍼보;를 포함하는 다축 힘/토크 센서.
A central block receiving force and torqu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s extend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ral block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X-axis direction), respectively;
A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a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respectively extending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from two opposite sides of the central block;
A first strain generator having a rear portion and a thin portion and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And a second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central block and the first strain generator.
The first strain generator,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s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by a tapered horizontal groove formed in an X-axis direction; And
And a vertically spaced double taper beam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by a tapered horizontal groove formed in the Y-axis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X-Y 평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뚫린 철(凸) 형태의 수직홈에 의해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계단보인 다축 힘/토크 센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a horizontally spaced double staircase stepped multi-axial force / torque sensor provided by a vertical groove of the iron shap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Y plane (Z-axis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계단 형태의 외면을 갖는 단일 계단보인 다축 힘/토크 센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a single step beam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having a stepped outer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경사진 외면을 갖는 단일 테이퍼보인 다축 힘/토크 센서.
8. The method of claim 7,
And said second strain generating portion is a single tapered bore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having a sloped outer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X-Y 평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뚫린 테이퍼 형태의 수직홈에 의해 마련된 수평 이격 이중 테이퍼보인 다축 힘/토크 센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a horizontally spaced double tapered beam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provided by a vertical groove of the tapered shap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Y plane (Z-axis direction).
제3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의 단부에 각각 마련된 제1종외곽블록 및 제2종외곽블록;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의 단부에 각각 마련된 제1횡외곽블록 및 제2횡외곽블록;
상기 제1종외곽블록 및 제2종외곽블록에 마련된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상기 제1횡외곽블록 및 제2횡외곽블록에 마련된 제4스트레인발생부;를 포함하는 다축 힘/ 토크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and 8 to 11,
A first longitudinal outer block and a second longitudinal outer block, respectively provided at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radi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radial block so as to extend along a Y axis direction;
A first transverse outer block and a second transverse outer block respectively provided at ends of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so as to extend along an X axis direction;
A third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type outer block and the second type outer block; And
And a fourth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transverse outer block and the second transverse outer block.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는 단일 평판보 또는 수직홈에 의해 형성된 평행 평판보인 다축 힘/토크 센서.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nd the third strain generator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or are parallel plate beams formed by a single plate beam or a vertical groov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레인발생부 및 제2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는 박부보다 상기 중앙블록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다축 힘/토크 센서.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rear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or and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block than the thin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2스트레인발생부의 박부 또는 상기 제3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된 복수의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제2스트레인발생부의 박부 또는 상기 제4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된 복수의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제2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 또는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2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에 부착된 복수의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에 부착된 복수의 Y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에 부착된 복수의 X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및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박부 또는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박부에 부착된 복수의 Z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다축 힘/토크 센서.
15. The method of claim 14,
A plurality of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thin portion of the second strain generator or the third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 plurality of Y-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thin portion of the second strain generator or the fourth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A plurality of Z-axis torque detection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second strain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or the second strain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Strain gauge for;
A plurality of Y-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a rear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s;
A plurality of X-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first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Detecting a plurality of Z-axis forces attached to the thin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ng block or the thin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comprising a strain gauge for.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레인발생부는 단일 평판보인 다축 힘/토크 센서.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7,
The second strain generator is a single plate beam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제16항에 있어서,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의 단부에 각각 마련된 제1종외곽블록 및 제2종외곽블록;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의 단부에 각각 마련된 제1횡외곽블록 및 제2횡외곽블록;
상기 제1종외곽블록 및 제2종외곽블록에 마련된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상기 제1횡외곽블록 및 제2횡외곽블록에 마련된 제4스트레인발생부;를 포함하는 다축 힘/ 토크 센서.
17. The method of claim 16,
A first longitudinal outer block and a second longitudinal outer block, respectively provided at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radial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radial block so as to extend along a Y axis direction;
A first transverse outer block and a second transverse outer block respectively provided at ends of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so as to extend along an X axis direction;
A third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type outer block and the second type outer block; And
And a fourth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transverse outer block and the second transverse outer block.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트레인발생부 및 제4스트레인발생부는 단일 평판보 또는 수직홈에 의해 형성된 평행 평판보인 다축 힘/토크 센서.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nd the third strain generator and the fourth strain generator are parallel plate beams formed by a single plate beam or a vertical groov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는 박부보다 상기 중앙블록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다축 힘/토크 센서.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a rear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or is located closer to the center block than the thin port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의 제2스트레인발생부 또는 상기 제3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된 복수의 X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의 제2스트레인발생부 또는 상기 제4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된 복수의 Y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의 제2스트레인발생부 또는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의 제2스트레인발생부에 부착된 복수의 Z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에 부착된 복수의 Y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후부에 부착된 복수의 X축 토크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 및
상기 제1종방사블록 및 제2종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박부 또는 상기 제1횡방사블록 및 제2횡방사블록에 마련된 제1스트레인발생부의 박부에 부착된 복수의 Z축 힘 감지용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다축 힘/토크 센서.
20. The method of claim 19,
A plurality of X-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second strain generator or the third strain generator of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 plurality of Y-axis forc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second strain generating unit or the fourth strain generating unit of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A plurality of Z-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a second strain generator of the first and second lateral radiation blocks or to a second strain generator of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s;
A plurality of Y-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a rear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s;
A plurality of X-axis torque sensing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first strain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Detecting a plurality of Z-axis forces attached to the thin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longitudin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adiating block or the thin portion of the first strain gener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radiation block and the second horizontal radiation block. Multi-axis force / torque sensor comprising a strain gauge for.
KR1020120074476A 2012-07-09 2012-07-09 Multyaxial force/torque sensor KR1013723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476A KR101372308B1 (en) 2012-07-09 2012-07-09 Multyaxial force/torqu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476A KR101372308B1 (en) 2012-07-09 2012-07-09 Multyaxial force/torque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170A KR20140007170A (en) 2014-01-17
KR101372308B1 true KR101372308B1 (en) 2014-03-12

Family

ID=5014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476A KR101372308B1 (en) 2012-07-09 2012-07-09 Multyaxial force/torqu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30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2595A (en) * 2019-11-15 2020-02-18 山东大学 Sensing device for mechanical arm, mechanical arm assembly and appl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386B1 (en) * 2014-12-09 2017-03-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Starting Block with Sensor, Measurement System, Measuring Method of Starting Time and Repulsive Power,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7421667A (en) * 2017-03-29 2017-12-01 广西大学 A kind of condenser type torque sensor with ladder beam
JP6919964B2 (en) * 2018-01-29 2021-08-18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Sensor chip and force sensor device
CN111272328B (en) * 2020-02-25 2020-11-06 东南大学 High-sensitivity low-dimensional coupling six-dimensional force sensor
CN117387821A (en) * 2023-12-08 2024-01-12 佛山市华道超精科技有限公司 Orthogonal flexible hinge piece combined six-dimensional force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1511A (en) * 1993-03-26 1994-10-07 Tokyo Electric Co Ltd Strain sensor
KR100753755B1 (en) 2006-02-22 2007-08-3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6-axis force/moment sensor for robot's wrist
KR100760123B1 (en) * 2006-11-01 2007-09-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6-axis force/moment for intelligent robot's ankle
KR100942018B1 (en) 2008-04-15 2010-02-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act type 3-axis load ce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1511A (en) * 1993-03-26 1994-10-07 Tokyo Electric Co Ltd Strain sensor
KR100753755B1 (en) 2006-02-22 2007-08-3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6-axis force/moment sensor for robot's wrist
KR100760123B1 (en) * 2006-11-01 2007-09-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6-axis force/moment for intelligent robot's ankle
KR100942018B1 (en) 2008-04-15 2010-02-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act type 3-axis load ce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2595A (en) * 2019-11-15 2020-02-18 山东大学 Sensing device for mechanical arm, mechanical arm assembly and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170A (en) 201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308B1 (en) Multyaxial force/torque sensor
US9200969B2 (en) Force sensor
Du et al. A piezo-actuated high-precision flexible parallel pointing mechanism: conceptual design, development, and experiments
US20200070354A1 (en) Sensor unit, sensor system, robot hand, robot arm, server device, calculation method, and program
EP1772235A1 (en) Multi-point ground contact type foot part support mechanism, bipedal walking robot having the support mechanism, and control structure for the robot
JP6469447B2 (en) Multi-dimensional force / torque sensor
US7343223B2 (en) Robot apparatus and load sensor
JP4519941B1 (en) Sensor
CN111417594B (en) Asymmetric plane external accelerometer
JP2010008343A (en) Force sensor and process for assembling the same
US11747223B2 (en) Strain inducing body and force sensor device with improved load bearing
WO2016170848A1 (en) Multiaxial force sensor
US11662261B2 (en) Sensor chip and force sensor device with increased fracture resistance
JP2767766B2 (en) 6-axis force sensor
US11933809B2 (en) Inertial sensor
JP5719521B2 (en) 3-axis force sensor
KR101759102B1 (en) Improving performance wheel dynamometer on rotation
KR102123696B1 (en) 6-axis compliance device with force/torque sensing capability
KR102088978B1 (en) 6 axis force/torque sensor having enhanced characteristics of axis stiffness decoupling and isotropy
CN108593059B (en) Multi-beam structure elastic element
EP2260279A2 (en) A multi-dof sensor for an industrial robot
Wu et al. Interaction force measurement of robotic manipulator based on 12DOF force sensor
KR102289416B1 (en) Sensor
US20220299382A1 (en) Strain body and force sensor apparatus
KR101279285B1 (en) Force sensor for robot and exoskeleton robot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