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567B1 -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567B1
KR101371567B1 KR1020090065803A KR20090065803A KR101371567B1 KR 101371567 B1 KR101371567 B1 KR 101371567B1 KR 1020090065803 A KR1020090065803 A KR 1020090065803A KR 20090065803 A KR20090065803 A KR 20090065803A KR 101371567 B1 KR101371567 B1 KR 101371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ed
information
called terminal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446A (ko
Inventor
권혁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5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88Network monitoring; statistics on usage on called/calling nu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에 따른 최종 착신단말에 대한 착신정보를 발신단말의 과금정보 생성 시 포함시켜 생성함으로써,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과금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은, 발신단말로부터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발신교환장치가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연결 시도에 따라 중계교환장치가 해당 타사망의 착신교환장치에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착신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중계교환장치가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고, 이에 상기 발신교환장치가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로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착신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65803
착신번호, 번호이동, 과금, 타사

Description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SERVICE CHARGING PROCESSING SYSTEM AND SERVICE CHARGING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에 따른 최종 착신단말에 대한 착신정보를 발신단말의 과금정보 생성 시 포함시켜 생성함으로써,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과금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 교환장치 및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 및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 중계교환장치 및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 대부분의 사용자는 자신의 집 또는 사무실에 자신의 전화(유선전화단말, 인터넷전화단말 등)를 보유하고 있거나, 자신이 소유한 이동통신단말을 소지하고 다니는 등 적어도 하나의 통화가능 단말을 보유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이동통신, 유선전화, 인터넷전화 등의 단말에서 사용한 통신량에 대한 서비스이용요금을 할인해주는 요금 할인 서비스가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발신자가 발신하는 번호 즉 착신번호에 따라 통화요율을 달리하여 생성한 과금정보를 통해 할인하는 지정번호할인방식과, 발신자가 위치하 고 있는 지역에 따라 통화요율을 달리하여 생성한 과금정보를 통해 할인하는 발신지역할인방식이 존재한다.
헌데, 발신자가 발신하는 번호 즉 착신번호에 따라 통화요율을 달리하여 생성한 과금정보를 통해 할인하는 지정번호할인방식은, 사업자에 고유의 번호(NPA : Numbering Plan Area)를 사용하는 경우 발신사업자가 착신사업자를 구분하여 통화료 할인을 제공할 수 있는 방식이지만, 유무선 번호이동, 착신전환 연결 시에는 이를 인지할 수 없어 이를 악용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발신자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따라 통화요율을 달리하여 생성한 과금정보를 통해 할인하는 발신지역할인방식은, 착신자에 따라 통화요율을 달리할 수 없는 기술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발신단말로부터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발신교환장치가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연결 시도에 따라 중계교환장치가 해당 타사망의 착신교환장치에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착신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중계교환장치가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고, 이에 상기 발신교환장치가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로의 금 번 발신에 대응하는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착신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을 제공하여, 발신에 따른 최종 착신단말에 대한 착신정보를 발신단말의 과금정보 생성 시 포함시켜 생성함으로써,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과금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소정 발신단말로부터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연결 시도에 대응하여 외부의 중계교환장치를 통해 해당 타사망의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가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로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상기 착신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교환장치 및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을 제공하여, 발신에 따른 최종 착신단말에 대한 착신정보를 발신단말의 과금정보 생성 시 포함시켜 생성함으로써,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과금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소정 발신단말로부터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요청됨에 따라 소정 발신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해당 타사망의 착신교환장치에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착신교환장 치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중계교환장치 및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을 제공하여, 발신에 따른 최종 착신단말에 대한 착신정보를 발신단말의 과금정보 생성 시 포함시켜 생성함으로써,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과금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은 발신단말로부터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교환장치; 및 상기 발신교환장치로부터의 상기 연결 시도에 따라 해당 타사망의 착신교환장치에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착신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중계교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발신교환장치는,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로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착신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통신사 간의 단말번호 이동을 지원하는 번호이동에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응하여, 이동 전 단말번호 및 이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를 관리하는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신교환장치는, 상기 발신 요청에 따른 상기 착신단말이 상기 번호이동에 등록한 단말인 경우 상기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이동 후 단말번호를 토대로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신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는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교환장치는 소정 발신단말로부터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연결시도부; 상기 연결 시도에 대응하여 외부의 중계교환장치를 통해 해당 타사망의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착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로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상기 착신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서비스과금정보생성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시도부는, 상기 발신 요청에 따른 상기 착신단말이 상기 번호이동에 등록한 단말인 경우 외부의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이동 후 단말번호를 토대로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과금정보생성부는,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여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착신정보를 토대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상기 발신단말에 대비한 상기 통신사정보에 따른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교환장치는 타사망의 소정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시도에 따른 소정 착신단말로의 연결 요청이 외부의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착신단말로의 착신을 시도하는 연결처리부; 상기 착신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착신응답이 회신됨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중계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착신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착신응답이 회신됨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로의 착신 시도가 정상 처리되면,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중계교환장치로 제공하는 착신정보제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정보제공부는, 상기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상기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중계교환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처리부는,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 요청 수신 시,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착신전환 요청된 전환착신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환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정보제공부는, 상기 전환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전환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상기 전환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중계교환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중계교환장치는 소정 발신단말로부터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요청됨에 따라 소정 발신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해당 타사망의 착신교환장치에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부; 상기 착신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도록 지원하는 중계지원부; 및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착신정보전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정보전달부는, 상기 착신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착신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정보전달부는, 상기 착신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착신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요청부에서 상기 착신교환장치로 제공한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 요청을 토대로 상기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상기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은 발신단말로부터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발신교환장 치가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발신교환장치로부터의 상기 연결 시도에 따라, 중계교환장치가 해당 타사망의 착신교환장치에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중계교환장치가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교환장치가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로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착신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신 요청에 따른 상기 착신단말이 상기 번호이동에 등록한 단말인 경우, 상기 발신교환장치가 복수의 통신사 간의 단말번호 이동을 지원하는 번호이동에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응하여, 이동 전 단말번호 및 이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를 관리하는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교환장치가 획득한 상기 이동 후 단말번호를 토대로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소정 발신단말로부터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연결 시도에 대응하여 외부의 중계교환장치를 통해 해당 타사망의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가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로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상기 착신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요청에 따른 상기 착신단말이 상기 번호이동에 등록한 단말인 경우, 외부의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상기 이동 후 단말번호를 토대로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여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착신정보를 토대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상기 발신단말에 대비한 상기 통신사정보에 따른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른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은 타사망의 소정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시도에 따른 소정 착신단말로의 연결 요청이 외부의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착신단말로의 착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착신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착신응답이 회신됨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로의 착시 시도가 정상 처리되면,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중계교환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중계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중계교환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상기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 요청 수신 시,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착신전환 요청된 전환착신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환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중계교환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환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전환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상기 전환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중계교환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8 관점에 따른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은 소정 발신단말로부터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요청됨에 따라 소정 발신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해당 타사망의 착신교환장치에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착신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로의 착신 시도가 정상 처리됨에 따라 상기 착신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착신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요청부에서 상기 착신교환장치로 제공한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 요청을 토대로 상기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상기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에 의하면, 발신에 따른 최종 착신단말의 착신정보(단말번호, 통신사정보)를 발신측 교환장치에 제공하여 발신교환장치가 발신단말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착신정보를 토대로 최종 착신단말의 착신정보를 나타내는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발신단말이 발신을 시도함에 따라 착신단말과 통화를 하거나 또는 번호이동된 타사망 또는 자사망의 착신단말과 통화를 하거나 또는 착신전환된 타사망 또는 자사망의 전환착신단말과 통화를 하는 다양한 경우를 고려하여,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과금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에 의하면, 발신교환장치에서 생성하는 서비스과금정보에 기존의 과금정보 뿐 아니라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된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가 포함되므로, 과금서버가 기존의 다양한 할인 서비스, 통신사끼리의 제휴 등을 토대로,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에 따라 발신단말에 대응하는 과금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지정번호할인방식에서 유무선 번호이동, 착신전환 연결 시에는 이를 인지할 수 없어 이를 악용하는 문제점, 종래의 발신지역할인방식에서 착신자에 따라 통화요율을 달리할 수 없는 기술적인 한계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은, 발신단말(10)로부터 타사망(예 : 통신사망B(200))의 소정 착신단말(20)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교환장치(110)와, 발신교환장치(110)로부터의 상기 연결 시도에 따라 해당 타사망(200)의 착신교환장치(210)에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요청하고, 착신교환장치(210)를 통해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착신단말(20)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하는 중계교환장치(30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은,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 과금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은, 자신이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예 : 유무선 통화 및 인터넷 통화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이면 어떤 형태이든 가능하며,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 유선전화단말, 인터넷전화단말, VoIP단말, IPTV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단말(10)은 통신사A에 가입된 단말이고, 착신단말(20)은 통신사B에 가입된 단말인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통신사A와 통신사B는, 이동통신사 또는 유선전화통신사 또는 인터넷전화통신사 등 일 수 있다.
발신단말(10)은, 사용자가 소정의 착신자와의 통화를 위해 착신자의 단말번호(예 :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B))를 입력하고 발신을 선택함에 따라, 발신교환장치(110)로 입력된 착신자의 단말번호에 대응하여 발신을 요청한다.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로부터의 발신 요청에 따른 착신단말(20)이 타사망(예 : 통신사망B(200))의 단말이면, 발신 요청에 따라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중계교환장치(300)로 시도한다. 물론,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로부터의 발신 요청에 따른 착신단말이 동일한 통신사망A(100)의 단말이면, 통신사망A(100) 내의 홈위치등록장치, 착신교환장치와 연동하여 해당 착신단말과의 통화 로를 연결할 것이다.
중계교환장치(300)는 발신교환장치(110)로부터의 상기 연결 시도에 따라 해 당 타사망(200)의 착신교환장치(210)에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요청한다. 이에, 착신교환장치(210)를 통해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중계교환장치(300)는 연결 정상 처리됨을 발신교환장치(110)에 알리고 통신사망A(100)의 발신교환장치(110) 및 통신사망B(200)의 착신교환장치(210) 간의 인터페이스를 중계함으로써,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화 로를 연결한다. 이때, 착신교환장치(210)를 통해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중계교환장치(300)는 착신단말(20)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한다.
여기서, 착신정보는,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발신교환장치(110)는 중계교환장치(300)를 통해 통신사망B(200)의 착신교환장치(210)와 연동하여,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화를 인터페이스한다. 이때, 발신교환장치(110)는, 금번 발신에 대응하여 발신단말(10)의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제공된 착신정보를 포함시켜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과금정보에는, 발신단말(10)의 단말번호(예 : a), 발신 요청 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예 : B), 서비스종류정보(예 : 음성통화), 서비스이용시간정보(예 : 시작시각~종료시각) 뿐 아니라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예 : B)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와, 발신단말(10)에 대비한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에 따른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단말(10)이 통신사A의 단말인 경우라면 서비스과금정보의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는, 망외식별정보로 기록될 것이다.
한편,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는, 복수의 통신사 간의 단말번호 이동을 지원하는 번호이동에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응하여, 이동 전 단말번호 및 이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통신사C에 가입한 단말번호(b)의 단말을 보유한 가입자가 통신사B로 번호이동 등록한 경우,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는, 단말번호(b)에 대응하여 이동 전 단말번호로서 통신사C에 대응하는 b를, 이동 후 단말번호로서 통신사B에 대응하는 B를 저장/관리하게 된다.
이에, 발신단말(10)의 사용자가 단말번호(b)를 입력하고 발신을 선택함에 따라, 발신단말(10)이 발신교환장치(110)로 입력된 착신자의 단말번호(b)에 대응하여 발신을 요청하면,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로부터의 발신 요청에 따른 착신측의 단말번호(예 : b)가 번호이동에 등록한 단말인 경우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착신단말(b)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예 : 통신사B에 대응하는 B)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동 후 단말번호(B)를 토대로 해당 착신단말(예 :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중계교환장치(300)로 시도한다. 물론,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로부터의 발신 요청에 따른 착신단말의 이동 후 단말번호가 동일 통신사인 통신사망A(100)의 단말번호이면, 통신사망A(100) 내의 홈위치등록장치, 착신교환장치와 연동하여 해당 착신단말과의 통화 로를 연결할 것이다.
중계교환장치(300)는 발신교환장치(110)로부터의 상기 연결 시도에 따라 해당 타사망(200)의 착신교환장치(210)에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요청한다. 이에, 착신교환장치(210)를 통해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중계교환장치(300)는 연결 정상 처리됨을 발신교환장치(110)에 알리고 통신사망A(100)의 발신교환장치(110) 및 통신사망B(200)의 착신교환장치(210) 간의 인터페이스를 중계함으로써,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화 로를 연결한다. 이때, 착신교환장치(210)를 통해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중계교환장치(300)는 착신단말(20)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한다.
여기서, 착신정보는, 번호이동에 따라 최종 착신된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발신교환장치(110)는 중계교환장치(300)를 통해 통신사망B(200)의 착신교환장치(210)와 연동하여,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화를 인터페이스한다. 이때, 발신교환장치(110)는, 금번 발신에 대응하여 발신단말(10)의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제공된 착신정보를 포함시켜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과금정보에는, 발신단말(10)의 단말번호(예 : a), 발신 요청 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예 : b), 서비스종류정보(예 : 음성통화), 서비스이용시간정보(예 : 시작시각~종료시각) 뿐 아니라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예 : B)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와, 발신단말(10)에 대비한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에 따른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단말(10)이 통신사A의 단말인 경우라면 서비스과금정보의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는, 망외식별정보로 기록될 것이다.
그리고,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에 대응하여 생성한 서비스과금정보를 기존의 방식과 같이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것이다. 이때,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 간의 통화가 종료됨과 동시에 발신단말(10)에 대한 서비스과금정보를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 간의 통화가 종료된 후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서비스과금정보를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고, 또는 특정 날짜(매달 1일)까지 누적된 발신단말(10)의 서비스과금정보를 특정 날짜(매달 1일)에 과금서버(500)로 제공하는 등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과금서버(500)로 제공될 서비스과금정보에는, 기존의 과금정보 뿐 아니라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된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과금서버(500)는, 기존의 다양한 할인 서비스, 통신사끼리의 제휴 등을 토대로,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에 따라 발신단말(10)에 대응하는 과금을 처리한다.
예를 들면, 발신단말(10)에서 발신 시도 시에 다이얼링 한 착신측 단말번호(b)가 아닌 단말번호(B)의 타 단말장치(예 : 착신단말(20))가 실제 착신측이 되는 경우에도, 과금서버(500)가 서비스과금정보를 통해 최종 착신단말이 누구이고, 최종 착신단말이 무슨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고, 발신자와는 동일망인지 또는 타망 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발신단말(10)에 대한 과금을 처리함에 있어서, 최종 착신단말에 대한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과금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환장치 특히 발신측의 교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발신교환장치(110)에 대응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장치 즉 발신교환장치(110)는, 소정 발신단말(10)로부터 타사망(예 : 통신사망B(200))의 소정 착신단말(20)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연결시도부(112)와, 상기 연결 시도에 대응하여 외부의 중계교환장치(300)를 통해 해당 타사망(200)의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114)와, 착신단말(20)에 대응하여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착신정보를 수신하고, 발신단말(10)에 대응하여 착신단말(20)로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상기 착신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서비스과금정보생성부(116)를 포함한다.
연결시도부(112)는, 소정 발신단말(10)로부터 타사망(예 : 통신사망B(200))의 소정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B)에 대한 발신이 요청되면,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중계교환장치(300)로 시도한다.
여기서, 연결시도부(112)는, 발신 요청에 따른 착신단말이 번호이동에 등록한 단말인 경우 외부의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이 동 후 단말번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동 후 단말번호를 토대로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한다.
즉, 발신단말(10)의 사용자가 단말번호(b)를 입력하고 발신을 선택함에 따라, 발신단말(10)로부터 소정의 착신단말의 단말번호(b)에 대한 발신이 요청되면, 연결시도부(112)는 착신측의 단말번호(예 : b)가 번호이동에 등록한 단말인 경우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착신단말(b)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예 : 통신사B에 대응하는 B)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연결시도부(112)는, 발신 요청이 수신되면 이에 따른 단말번호(예 : b)를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에 제공하여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에 번호이동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단말번호(예 : b)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예 : 통신사B에 대응하는 B)가 회신되면 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연결시도부(112)는, 획득한 이동 후 단말번호(B)를 토대로 통신사B에 대응하는 단말번호(B)의 착신단말(예 :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중계교환장치(300)로 시도한다.
인터페이스부(114)는, 연결시도부(112)에 의한 연결 시도에 대응하여 외부의 중계교환장치(300)를 통해 해당 타사망(예 : 통신사망B(200))의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연결시도부(112)에 의한 연결 시도에 대응하여 외부의 중계교환장치(300)를 통해 해당 타사망(예 : 통신사망B(200))의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중계교환장치(300) 및 착신교환장치(210)와 함께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화 로를 설정하여 통화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서비스과금정보생성부(116)는, 착신단말(20)로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과금정보생성부(116)는,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연결시도부(112)에 의한 연결 시도에 대응하여 연결 정상 처리됨을 인지하면,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발신단말(10)의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서비스과금정보생성부(116)는,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착신정보가 제공되면 발신단말(10)에 대응하여 착신단말(20)로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상기 착신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한다. 즉, 서비스과금정보생성부(116)는, 발신단말(10)에 대응하여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와 발신단말(10)에 대비한 상기 통신사정보에 따른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존의 서비스과금정보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서비스과금정보에는, 발신단말(10)의 단말번호(예 : a), 발신 요청 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예 : B), 서비스종류정보(예 : 음성통화), 서비스이용시간정보(예 : 시작시각~종료시각) 뿐 아니라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예 : B)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와, 발신단말(10)에 대비한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에 따른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단말(10)이 통신사A의 단말인 경우라면 서비스과금정보의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는, 망외식별정보로 기록될 것이다.
한편, 발신단말(10)의 사용자가 단말번호(b)를 입력하고 발신을 선택함에 따라 발신단말(10)로부터 소정의 착신단말의 단말번호(b)에 대한 발신이 요청되고, 연결시도부(112)가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착신단말(b)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예 : 통신사B에 대응하는 B)를 획득하여 이동 후 단말번호(B)를 토대로 통신사B에 대응하는 단말번호(B)의 착신단말(예 :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시도한 경우라면, 서비스과금정보생성부(116)가 생성한 서비스과금정보에는, 발신단말(10)의 단말번호(예 : a), 발신 요청 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예 : b), 서비스종류정보(예 : 음성통화), 서비스이용시간정보(예 : 시작시각~종료시각),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예 : B)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와, 망외식별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그리고,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에 대응하여 생성한 서비스과금정보를 기존의 방식과 같이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것이다. 이는, 발신교환장치(110)의 서비스과금정보생성부(116)가 과금서버(5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서비스과금정보생성부(116)는,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 간의 통화가 종료됨과 동시에 발신단말(10)에 대한 서비스과금정보를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 간의 통화가 종료된 후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서비스과금정보를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고, 또는 특정 날짜(매달 1일)까지 누적된 발신단말(10)의 서비스과금정보를 특정 날짜(매달 1일)에 과금서버(500)로 제공하는 등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과금서버(500)로 제공될 서비스과금정보에는, 기존의 과금정보 뿐 아니라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된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과금서버(500)는, 기존의 다양한 할인 서비스, 통신사끼리의 제휴 등을 토대로,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에 따라 발신단말(10)에 대응하는 과금을 처리한다.
예를 들면, 발신단말(10)에서 발신 시도 시에 다이얼링 한 착신측 단말번호(b)가 아닌 단말번호(B)의 타 단말장치(예 : 착신단말(20))가 실제 착신측이 되는 경우에도, 과금서버(500)가 서비스과금정보를 통해 최종 착신단말이 누구이고, 최종 착신단말이 무슨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고, 발신자와는 동일망인지 또는 타망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발신단말(10)에 대한 과금을 처리함에 있어서, 최종 착신단말에 대한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과금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환장치 특히 착신측의 교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착신교환장치(210)에 대응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착신교환장치(210)는, 타사망(예 : 통신사망A(100))의 소정 발신단말(10)로부터의 발신 시도에 따른 소정 착신단말(20)로의 연결 요청이 외부의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착신단말(20)로의 착신을 시도하는 연결처리부(212)와, 상기 착신 시도에 대응하여 착신단말(20)로부터 착신응답이 회신됨에 따라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중계교환장치(300)를 통해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214)와, 상기 착신 시도에 대응하여 착신단말(20)로부터 착신응답이 회신됨에 따라 착신단말(20)로의 착신 시도가 정상 처리되면, 착신단말(20)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중계교환장치(300)로 제공하는 착신정보제공부(216)를 포함한다.
연결처리부(212)는,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타사망(예 : 통신사망A(100))의 소정 발신단말(10)로부터의 발신 시도에 따른 소정 착신측 단말번호(B)에 대한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착신측 단말번호(B)에 따른 해당 착신단말(20)로 착신을 시도한다.
여기서,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착신단말(20)로의 연결 요청 수신 시, 착신단말(20)에 대응하여 착신전환 요청된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연결처리부(212)는,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로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즉, 착신단말(20)의 사용자가 착신단말(20)로 착신되는 전화를 단말번호가 c인 타 단말로 착신전환 요청/등록된 경우라면, 기존의 착신전화 서비스와 같이 착신교환장치(210)가 이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착신단말(20)로의 연결 요청 수신 시, 착신단말(20)에 대응하여 착신전환 요청된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이 등록되어 있음을 인지한 연결처리부(212)는, 착신단말(20)이 아닌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로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연결처리부(212)가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것은, 착신교환장치(210)가 발신측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도 2를 통해 설명한 발신측의 연결시도부(112)가 수행하는 연결 시도와 동일하거나 대응된다 하겠다.
인터페이스부(214)는, 착신 시도에 대응하여 착신단말(20)로부터 착신응답이 회신됨에 따라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중계교환장치(300)를 통해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연결처리부(212)에 의한 착신 시도에 따른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또는 착신전환에 따른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로의 연결 시도에 대응하여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중계교환장치(300) 및 발신교환장치(110)와 함께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또는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 간의 통화 로를 설정하여 통화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착신정보제공부(216)는, 상기 착신 시도에 대응하여 착신단말(20)로부터 착신응답이 회신됨에 따라 착신단말(20)로의 착신 시도가 정상 처리되면, 착신단말(20)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중계교환장치(300)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착신단말(20)로의 착신 시도가 정상 처리됨에 따라 연결 요청이 정상 처리됨을 착신교환장치(210)가 중계교환장치(300)로 알릴 때, 착신정보제공부(216)가 착신정보를 함께 중계교환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착신정보는,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중계교환장치(400)를 통해 착신정보를 수신하게 될 발신교환장치(110)에서 생성한 서비스과금정보에는, 발신단말(10)의 단말번호(예 : a), 발신 요청 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예 : B, 번호이동인 경우라면 b), 서비스종류정보(예 : 음성통화), 서비스이용시간정보(예 : 시작시각~종료시각),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예 : B)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와, 망외식별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한편, 착신단말(20)이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로 착신전화 됨에 따라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로의 연결 시도가 처리되어 연결이 정상 처리된 경우라면, 착신정보제공부(216)는, 전환착신단말의 단말번호(c)와 전환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정보를 중계교환장치(400)로 제공할 것이다.
이에, 중계교환장치(400)를 통해 착신정보를 수신하게 될 발신교환장치(110)에서 생성한 서비스과금정보에는, 발신단말(10)의 단말번호(예 : a), 발신 요청 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예 : B, 번호이동인 경우라면 b), 서비스종류정보(예 : 음성통화), 서비스이용시간정보(예 : 시작시각~종료시각),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전환착신단말의 단말번호(예 : c)와, 전환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C)와, 망외식별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계교환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언급한 중계교환장치(300)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교환장치(300)는, 소정 발신단말(10)로부터 타사망(통신사망B(200))의 소정 착신단말(20)로의 발신이 요청됨에 따라 소정 발신교환장치(110)로부터 착신단말(20)로의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해당 타사망(200)의 착신교환장치(21)에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부(320)와, 착신교환장치(210)를 통해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도록 지원하는 중계지원부(340)와, 착신단말(20)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하는 착신정보전달부(360)를 포함한다.
연결요청부(320)는, 소정 통신사망A(100)에 속하는 발신교환장치(110)로부터 발신단말(10)로부터의 착신단말(20)로의 발신이 요청됨에 따라 타사망(통신사망B(200))의 착신단말(20)로의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해당 타사망(200)의 착신교환장치(21)에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요청한다.
중계지원부(340)는, 연결요청부(320)에 의한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교환장치(210)를 통해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도록 발신교환장치(110) 및 착신교환장치(210)간을 중계 지원한다.
착신정보전달부(360)는, 착신단말(20)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한다. 즉, 착신정보전달부(360)는, 착신교환장치(210)를 통해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됨을 인지하면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됨을 인지한 착신정보전 달부(360)가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됨을 발신교환장치(110)로 알릴 때, 착신정보를 함께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착신정보전달부(360)는, 착신교환장치(210)로부터 금번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할 것이다. 즉, 연결 요청이 정상 처리됨을 착신교환장치(210)가 중계교환장치(300)로 알릴 때 착신교환장치(210)가 착신정보를 함께 제공한 경우라면, 착신정보전달부(360)는, 착신교환장치(210)로부터 제공된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전달할 것이다.
한편, 착신정보전달부(360)는, 착신교환장치(210)로부터 착신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연결요청부(320)에서 착신교환장치(210)로 제공한 착신단말(20)로의 연결 요청을 토대로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통신사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정보를 생성하여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할 것이다. 즉, 연결 요청이 정상 처리됨을 착신교환장치(210)가 중계교환장치(300)로 알릴 때 착신교환장치(210)가 착신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경우라면, 착신정보전달부(360)는, 연결요청부(320)에서 착신교환장치(210)로 제공한 착신단말(20)로의 연결 요청을 토대로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통신사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정보를 생성하여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은, 발신단말(10)이 발신을 시도함에 따라 착신단말(20)과 통화를 하거나 또는 번 호이동된 타사망 또는 자사망의 착신단말(20)과 통화를 하거나 또는 착신전환된 타사망 또는 자사망의 전환착신단말과 통화를 하는 다양한 경우를 고려하여, 최종 착신단말의 착신정보(단말번호, 통신사정보)를 발신측 교환장치(110)에 제공하고, 이에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착신정보를 토대로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과금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발신교환장치(110)에서 생성하는 서비스과금정보에 기존의 과금정보 뿐 아니라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된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가 포함되므로, 과금서버(500)가 기존의 다양한 할인 서비스, 통신사끼리의 제휴 등을 토대로,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에 따라 발신단말(10)에 대응하는 과금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종래의 지정번호할인방식에서 유무선 번호이동, 착신전환 연결 시에는 이를 인지할 수 없어 이를 악용하는 문제점, 종래의 발신지역할인방식에서 착신자에 따라 통화요율을 달리할 수 없는 기술적인 한계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발신단말(10)은, 사용자가 소정의 착신자와의 통화를 위해 착신자의 단말번호(예 :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B))를 입력하고 발신을 선택함에 따라, 발신교환장치(110)로 입력된 착신자의 단말번호에 대응하여 발신을 요청한다(S10).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로부터의 발신 요청에 따른 착신단말(20)이 타사망(예 : 통신사망B(200))의 단말이면, 발신 요청에 따라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중계교환장치(300)로 시도한다(S15).
중계교환장치(300)는 발신교환장치(110)로부터의 상기 연결 시도에 따라 해당 타사망(200)의 착신교환장치(210)에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요청한다(S20). 이에, 착신교환장치(210)는 해당 착신단말(20)로 착신을 시도하고(S25), 착신단말(20)에서는 착신벨(30)이 출력될 것이다(S30). 착신단말(20)로부터 착신 응답이 회신되면(S35), 착신교환장치(210)는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됨을 중계교환장치(300)에 알린다(S40).
이에, 중계교환장치(300)는 착신교환장치(210)로부터 연결 정상 처리됨을 인지하고 착신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5).
착신정보가 수신된 경우, 중계교환장치(300)는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한다(S55). 이때, 중계교환장치(300)는 연결 정상 처리됨을 발신교환장치(110)에 알리면서 착신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신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중계교환장치(300)는 S20단계에서 착신교환 장치(210)로 제공한 연결 요청을 토대로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통신사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정보를 생성한다(S50). 그리고, 중계교환장치(300)는 생성한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한다(S55). 이때, 중계교환장치(300)는 연결 정상 처리됨을 발신교환장치(110)에 알리면서 착신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발신교환장치(110), 중계교환장치(300), 착신교환장치(210) 간 연동을 통해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간의 통화 로가 설정되어 연결되고 통화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된다(S60).
한편, 발신교환장치(110)는, 금번 발신에 대응하여 발신단말(10)의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제공된 착신정보를 포함시켜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한다(S65). 즉, 서비스과금정보에는, 발신단말(10)의 단말번호(예 : a), 발신 요청 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예 : B), 서비스종류정보(예 : 음성통화), 서비스이용시간정보(예 : 시작시각~종료시각) 뿐 아니라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예 : B)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와, 발신단말(10)에 대비한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에 따른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단말(10)이 통신사A의 단말인 경우라면 서비스과금정보의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는, 망외식별정보로 기록될 것이다.
그리고,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에 대응하여 생성한 서비스과금정보를 기존의 방식과 같이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것이다(S67). 이때, 발신교환 장치(110)는,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 간의 통화가 종료됨과 동시에 발신단말(10)에 대한 서비스과금정보를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 간의 통화가 종료된 후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서비스과금정보를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고, 또는 특정 날짜(매달 1일)까지 누적된 발신단말(10)의 서비스과금정보를 특정 날짜(매달 1일)에 과금서버(500)로 제공하는 등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과금서버(500)로 제공될 서비스과금정보에는, 기존의 과금정보 뿐 아니라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된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과금서버(500)는, 기존의 다양한 할인 서비스, 통신사끼리의 제휴 등을 토대로,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에 따라 발신단말(10)에 대응하는 과금을 처리한다(S69).
예를 들면, 발신단말(10)에서 발신 시도 시에 다이얼링 한 착신측 단말번호(b)가 아닌 단말번호(B)의 타 단말장치(예 : 착신단말(20))가 실제 착신측이 되는 경우에도, 과금서버(500)가 서비스과금정보를 통해 최종 착신단말이 누구이고, 최종 착신단말이 무슨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고, 발신자와는 동일망인지 또는 타망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발신단말(10)에 대한 과금을 처리함에 있어서, 최종 착신단말에 대한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과금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발신단말(10)은, 용자가 단말번호(b)를 입력하고 발신을 선택함에 따라, 발신단말(10)이 발신교환장치(110)로 입력된 착신자의 단말번호(b)에 대응하여 발신을 요청한다(S70).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로부터의 발신 요청에 따른 착신측의 단말번호(예 : b)가 번호이동에 등록한 단말인지 여부에 대한 번호이동 확인을 번호이동DB(400)에 요청한다(S75).
번호이동 확인요청에 따라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가 단말번호(예 : b)에 대응하여 확인한 결과 단말번호(예 : b)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B)가 존재하면,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가 착신단말(b)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예 : 통신사B에 대응하는 B)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할 것이다(S80).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 착신단말(b)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예 : 통신사B에 대응하는 B)를 획득한 발신교환장치(110)는, S70단계의 발신 요청에 따른 이동 후 단말번호(예 : 통신사B에 대응하는 B)의 해당 착신단말(20)로 연결을 시도한다, 해당 착신단말(20)이 타사망(예 : 통신사망B(200))의 단말이면, 발신교환장치(110)는,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중계교환장치(300)로 시도할 것이다(S85).
중계교환장치(300)는 발신교환장치(110)로부터의 상기 연결 시도에 따라 해당 타사망(200)의 착신교환장치(210)에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요청한다(S90). 이에, 착신교환장치(210)는 해당 착신단말(20)로 착신을 시도하고(S95), 착신단 말(20)에서는 착신벨(30)이 출력될 것이다(S100). 착신단말(20)로부터 착신 응답이 회신되면(S105), 착신교환장치(210)는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됨을 중계교환장치(300)에 알린다(S110).
이에, 중계교환장치(300)는 착신교환장치(210)로부터 연결 정상 처리됨을 인지하고 착신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5).
착신정보가 수신된 경우, 중계교환장치(300)는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한다(S125). 이때, 중계교환장치(300)는 연결 정상 처리됨을 발신교환장치(110)에 알리면서 착신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신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중계교환장치(300)는 S90단계에서 착신교환장치(210)로 제공한 연결 요청을 토대로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통신사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정보를 생성한다(S120). 그리고, 중계교환장치(300)는 생성한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제공한다(S125). 이때, 중계교환장치(300)는 연결 정상 처리됨을 발신교환장치(110)에 알리면서 착신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발신교환장치(110), 중계교환장치(300), 착신교환장치(210) 간 연동을 통해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간의 통화 로가 설정되어 연결되고 통화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된다(S130).
한편, 발신교환장치(110)는, 금번 발신에 대응하여 발신단말(10)의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제공된 착신정보를 포함시켜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한다(S135). 즉, 서비스과금정보에는, 발신단말(10)의 단말 번호(예 : a), 발신 요청 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예 : b), 서비스종류정보(예 : 음성통화), 서비스이용시간정보(예 : 시작시각~종료시각) 뿐 아니라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예 : B)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와, 발신단말(10)에 대비한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에 따른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단말(10)이 통신사A의 단말인 경우라면 서비스과금정보의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는, 망외식별정보로 기록될 것이다.
그리고,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에 대응하여 생성한 서비스과금정보를 기존의 방식과 같이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것이다(S140). 이때,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 간의 통화가 종료됨과 동시에 발신단말(10)에 대한 서비스과금정보를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 간의 통화가 종료된 후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서비스과금정보를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고, 또는 특정 날짜(매달 1일)까지 누적된 발신단말(10)의 서비스과금정보를 특정 날짜(매달 1일)에 과금서버(500)로 제공하는 등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과금서버(500)로 제공될 서비스과금정보에는, 기존의 과금정보 뿐 아니라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된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과금서버(500)는, 기존의 다양한 할인 서비스, 통신사끼리의 제휴 등을 토대로,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 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에 따라 발신단말(10)에 대응하는 과금을 처리한다(S150).
예를 들면, 발신단말(10)에서 발신 시도 시에 다이얼링 한 착신측 단말번호(b)가 아닌 단말번호(B)의 타 단말장치(예 : 착신단말(20))가 실제 착신측이 되는 경우에도, 과금서버(500)가 서비스과금정보를 통해 최종 착신단말이 누구이고, 최종 착신단말이 무슨 통신사에 가입되어 있고, 발신자와는 동일망인지 또는 타망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발신단말(10)에 대한 과금을 처리함에 있어서, 최종 착신단말에 대한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과금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교환장치(11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소정 발신단말(10)로부터 타사망(예 : 통신사망B(200))의 소정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B)에 대한 발신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00), 발신 요청이 수신되면 번호이동DB(400)로 번호이동 확인을 요청한다(S205).
즉, 발신단말(10)의 사용자가 단말번호(b)를 입력하고 발신을 선택함에 따라, 발신단말(10)로부터 소정의 착신단말의 단말번호(b)에 대한 발신이 요청되면,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단말번호(예 : b)를 번호이동DB(400)에 제공하여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400)에 번호이동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 청할 수 있다.
이에, 번호이동DB(400)로부터 단말번호(예 : b)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예 : 통신사B에 대응하는 B)가 회신되는지 판단한다(S210).
이동 후 단말번호(예 : 통신사B에 대응하는 B)가 수신되지 않으면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단말번호(예 : b)에 대응하는 단말로의 연결을 중계교환장치(300)로 시도한다(S220).
한편, 이동 후 단말번호(예 : 통신사B에 대응하는 B)가 수신되면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획득한 이동 후 단말번호(예 : 통신사B에 대응하는 B)에 대응하는 단말(예: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중계교환장치(300)로 시도한다(S215). 이하 단계에서는, 번호이동된 이동 후 단말번호(예 : 통신사B에 대응하는 B)에 대응하는 단말(예: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시도한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S220단계에서 연결 시도한 후,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연결 시도에 대응하여 연결이 정상 처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5). 즉,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연결이 정상 처리됨이 수신되는지 판단함으로써 S225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연결이 정상 처리되었다고 인지되면,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중계교환장치(300) 및 착신교환장치(210)와 함께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화 로를 설정하여 통화를 인터페이스할 수 있 다(S230).
여기서,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착신단말(20)로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즉,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연결 시도에 대응하여 연결 정상 처리됨을 인지하면,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발신단말(10)의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착신정보가 제공되면 발신단말(10)에 대응하여 착신단말(20)로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는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상기 착신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한다(S235). 여기서, 착신정보는 S225단계에서 판단 요소가 되는 연결 정상 처리됨이 수신될 때 함께 중계교환장치(330)로부터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발신단말(10)에 대응하여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와 발신단말(10)에 대비한 상기 통신사정보에 따른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존의 서비스과금정보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서비스과금정보에는, 발신단말(10)의 단말번호(예 : a), 발신 요청 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예 : b), 서비스종류정보(예 : 음성통화), 서비스이용시간정보(예 : 시작시각~종료시각) 뿐 아니라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예 : B)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와, 발신단말(10)에 대비한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에 따른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단말(10)이 통신사A의 단말인 경우라면 서비스과금정보의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는, 망외식별정보로 기록될 것이다.
물론, 전술의 S220단계를 통해 단말번호(b)에 대응하는 단말(예: 착신단말(b))로의 연결을 시도하고, S225단계~S235단계를 수행한 경우라면,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에서 생성한 서비스과금정보에는, 발신단말(10)의 단말번호(예 : a), 발신 요청 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예 : b), 서비스종류정보(예 : 음성통화), 서비스이용시간정보(예 : 시작시각~종료시각) 뿐 아니라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예 : b)와,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C)와, 발신단말(10)에 대비한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에 따른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단말(10)이 통신사A의 단말인 경우라면 서비스과금정보의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는, 망외식별정보로 기록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발신단말(10)에 대응하여 생성한 서비스과금정보를 기존의 방식과 같이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것이다(S237).
이때,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은,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 간의 통화가 종료됨과 동시에 발신단말(10)에 대한 서비스과금정보를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 간의 통화가 종료된 후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서비스과금정보를 과금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고, 또는 특정 날짜(매달 1일)까지 누적된 발신단말(10)의 서비스과금정보를 특정 날짜(매달 1일)에 과금서버(500)로 제공하는 등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과금서버(500)로 제공될 서비스과금정보에는, 기존의 과금정보 뿐 아니라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된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과금서버(500)는, 기존의 다양한 할인 서비스, 통신사끼리의 제휴 등을 토대로,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에 따라 발신단말(10)에 대응하는 과금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착신교환장치(21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은, 중계교환장치(300)로부터 타사망(예 : 통신사망A(100))의 소정 발신단말(10)로부터의 발신 시도에 따른 소정 착신측 단말번호(B)에 대한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이에,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은, 착신단말(20)에 대응하여 착신전환 요청된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5). 즉, 착신단말(20)의 사용자가 착신단말(20)로 착신되는 전화를 단말번호가 c인 타 단말로 착신전환 요청/등록된 경우라면, 기존의 착 신전화 서비스와 같이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은 이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찬신전환단말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라 판단되면,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은, 착신측 단말번호(B)에 따른 해당 착신단말(20)로 착신을 시도한다(S250).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은, 착신 시도에 대응하여 착신단말(20)로부터 착신응답이 수신되는지 판단하고(S255), 착신응답이 수신되면 착신단말(20)로의 연결 요청에 따른 연결이 정상 처리됨을 중계교환장치(300)에 알린다(S270). 이때,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은, S270단계에서 연결 요청이 정상처리됨을 중계교환장치(300)로 알릴 때, 착신단말(20)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중계교환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착신정보는,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은, 중계교환장치(300)를 통해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수행한다(S280).
이에, 중계교환장치(400)를 통해 착신정보를 수신하게 될 발신교환장치(110)에서 생성한 서비스과금정보에는, 발신단말(10)의 단말번호(예 : a), 발신 요청 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예 : B, 번호이동인 경우라면 b), 서비스종류정보(예 : 음성통화), 서비스이용시간정보(예 : 시작시각~종료시각),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예 : B)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B)와, 망외식별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한편, S245단계의 판단 결과 착신단말(20)에 대응하여 착신전환 요청된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이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은 착신단말(20)이 아닌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로의 연결을 시도할 것이다(S260). 여기서, 발명의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이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것은, 착신교환장치(210)가 발신측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도 2를 통해 설명한 발신측의 연결시도부(112)가 수행하는 연결 시도와 동일하거나 대응된다 하겠다.
이에,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은,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는지 확인하고(S265), 정상 처리된 경우 연결 요청에 따른 연결이 정상 처리됨을 중계교환장치(300)에 알린다(S270). 이때,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은, S270단계에서 연결 요청이 정상처리됨을 중계교환장치(300)로 알릴 때, 전환착신단말(예 : 단말번호(c))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중계교환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착신정보는, 전환착신단말의 단말번호(c)와 전환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은, 중계교환장치(300)를 통해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수행한다(S280).
이에, 중계교환장치(400)를 통해 착신정보를 수신하게 될 발신교환장치(110)에서 생성한 서비스과금정보에는, 발신단말(10)의 단말번호(예 : a), 발신 요청 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예 : B, 번호이동인 경우라면 b), 서비스종류정보(예 : 음성통화), 서비스이용시간정보(예 : 시작시각~종료시각),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단말인 전환착신단말의 단말번호(예 : c)와, 전환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예 : 통신사C)와, 망외식별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계교환장치(30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은, 소정 통신사망A(100)에 속하는 발신교환장치(110)로부터 발신단말(10)로부터의 착신단말(20)로의 발신이 요청됨에 따라 타사망(통신사망B(200))의 착신단말(20)로의 연결 시도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0). 이에 연결 시도가 수신되는 경우, 본 발명의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은, 연결 시도에 기초하여 해당 타사망(200)의 착신교환장치(21)에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을 요청한다(S310).
그리고, 본 발명의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은,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교환장치(210)를 통해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는지 판단하고(S320), 연결이 정상 처리됨이 인지되면 착신교환장치(210)로부터 착신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즉, 연결 요청이 정상 처리됨을 착신교환장치(210)가 중계교환장치(300)로 알릴 때 착신교환장치(210)가 착신정보를 함께 제공한 경우라면, 본 발명의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은, 착신교환장치(210)로부터 착신정보가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착신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본 발명의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은, 착신교환장치(210)로부터 제공된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전달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은,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교환장치(210)를 통해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됨을 인지함에 따라 발신교환장치(110)로 연결 시도에 따른 연결이 정상처리됨을 알릴 때, 착신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50).
한편, 착신교환장치(210)로부터 착신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은, S310단계에서 착신교환장치(210)로 제공한 착신단말(20)로의 연결 요청을 토대로 착신단말(20)의 단말번호와 착신단말(20)의 통신사정보(통신사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정보를 생성한다(S340). 그리고, 본 발명의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은, 생성한 착신정보를 발신교환장치(110)로 전달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은,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교환장치(210)를 통해 착신단말(20)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됨을 인지함에 따라 발신교환장치(110)로 연결 시도에 따른 연결이 정상처리됨을 알릴 때, 착신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50).
그리고, 본 발명의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은,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도록 발신교환장치(110) 및 착신교환장치(210)간을 중계 지원할 것이다(S36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은, 발신단말(10)이 발신을 시도함에 따라 착신단말(20)과 통화를 하거나 또는 번호이동된 타사망 또는 자사망의 착신단말(20)과 통화를 하거나 또는 착신전환된 타사망 또는 자사망의 전환착신단말과 통화를 하는 다양한 경우를 고려하여, 최종 착신단말의 착신정보(단말번호, 통신사정보)를 발신측 교환장치(110)에 제공하고, 이에 발신교환장치(110)는 발신단말(10)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착신정보를 토대로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과금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에 따르면, 발신교환장치(110)에서 생성하는 서비스과금정보에 기존의 과금정보 뿐 아니라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토대로 한 최종 착신된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가 포함되므로, 과금서버(500)가 기존의 다양한 할인 서비스, 통신사끼리의 제휴 등을 토대로,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와, 망내식별정보 또는 망외식별정보에 따라 발신단말(10)에 대응하는 과금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지정번호할인방식에서 유무선 번호이동, 착신전환 연결 시에는 이를 인지할 수 없어 이를 악용하는 문제점, 종래의 발신지역할인방식에서 착신자에 따라 통화요율을 달리할 수 없는 기술적인 한계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발신에 따른 최종 착신단말의 착신정보(단말번호, 통신사정보)를 발신측 교환장치에 제공하여 발신교환장치가 발신단말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시 착신정보를 토대로 최종 착신단말의 착신정보를 나타내는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발신단말이 발신을 시도함에 따라 착신단말과 통화를 하거나 또는 번호이동된 타사망 또는 자사망의 착신단말과 통화를 하거나 또는 착신전환된 타사망 또는 자사망의 전환착신단말과 통화를 하는 다양한 경우를 고려하여, 최종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과금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을 적용할 경우, 과금 적용에 따른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 및 과금 적용 악용사례 방지, 다양한 과금 적용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교환장치, 중계교환장치, 과금서버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측 교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 측 교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계교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신단말 20 : 착신단말
100, 200 : 통신사망
110 : 발신교환장치 210 : 착신교환장치
300 : 중계교환장치
400 :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

Claims (25)

  1.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요청 시,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교환장치; 및
    상기 발신교환장치로부터의 상기 연결 시도에 따라 해당 타사망의 착신교환장치에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착신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중계교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발신교환장치는,
    상기 발신단말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요청 시 상기 발신단말에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와, 상기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와는 별개로 상기 착신정보에서 확인되는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발신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는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통신사 간의 단말번호 이동을 지원하는 번호이동에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응하여, 이동 전 단말번호 및 이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를 관리하는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신교환장치는,
    상기 발신 요청에 따른 상기 착신단말이 상기 번호이동에 등록한 단말인 경우 상기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 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이동 후 단말번호를 토대로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3. 삭제
  4. 소정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요청 시,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연결시도부;
    상기 연결 시도에 대응하여 외부의 중계교환장치를 통해 해당 타사망의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착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단말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요청 시 상기 발신단말에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와, 상기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와는 별개로 상기 착신정보에서 확인되는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서비스과금정보를 과금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는 과금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과금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시도부는,
    상기 발신 요청에 따른 상기 착신단말이 복수의 통신사 간의 단말번호 이동을 지원하는 번호이동에 등록한 단말인 경우, 외부의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이동 후 단말번호를 토대로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6. 삭제
  7. 타사망의 소정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요청에 따른 소정 착신단말로의 연결 요청이 외부의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착신단말로의 착신을 시도하는 연결처리부;
    상기 착신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착신응답이 회신됨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중계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착신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착신응답이 회신됨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로의 착신 시도가 정상 처리되면,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중계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발신교환장치에서 상기 발신단말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요청 시 상기 발신단말에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와, 상기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와는 별개로 상기 착신정보에서 확인되는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착신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처리부는,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 요청 수신 시,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착신전환이 요청되는 전환착신단말이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환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정보제공부는,
    상기 전환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된 경우,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로서 상기 전환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로서 상기 전환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중계교환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11. 소정 발신단말로부터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요청됨에 따라 소정 발신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해당 타사망의 착신교환장치에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부;
    상기 착신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도록 지원하는 중계지원부; 및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착신정보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교환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정보전달부는,
    상기 착신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착신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교환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정보전달부는,
    상기 착신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착신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요청부에서 상기 착신교환장치로 제공한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 요청을 토대로 상기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상기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교환장치.
  14.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요청 시, 발신교환장치가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발신교환장치로부터의 상기 연결 시도에 따라, 중계교환장치가 상기 타사망의 착신교환장치에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중계교환장치가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발신교환장치가 상기 발신단말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요청 시 상기 발신단말에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와, 상기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와는 별개로 상기 착신정보에서 확인되는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과금서버가 상기 발신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는 과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요청에 따른 상기 착신단말이 복수의 통신사 간의 단말번호 이동을 지원하는 번호이동에 등록한 단말인 경우, 상기 발신교환장치가 상기 번호이동에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응하여 이동 전 단말번호 및 이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를 관리하는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교환장치가 획득한 상기 이동 후 단말번호를 토대로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
  16. 소정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요청 시, 상기 발신 요청에 따라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연결 시도에 대응하여 외부의 중계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타사망의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단계;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가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발신단말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요청 시 상기 발신단말에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와, 상기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와는 별개로 상기 착신정보에서 확인되는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과금정보를 과금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서비스과금정보에 포함된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단말에 대응하는 과금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요청에 따른 상기 착신단말이 복수의 통신사 간의 단말번호 이동을 지원하는 번호이동에 등록한 단말인 경우, 외부의 번호이동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이동 후 단말번호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상기 이동 후 단말번호를 토대로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의 서비스과금정보 생성 방법.
  18. 삭제
  19. 타사망의 소정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요청에 따른 소정 착신단말로의 연결 요청이 외부의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착신단말로의 착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착신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로부터 착신응답이 회신됨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로의 착시 시도가 정상 처리되면,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중계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발신교환장치에서 상기 발신단말의 금번 발신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단말로부터의 발신 요청 시 상기 발신단말에서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와, 상기 다이얼링된 착신 단말번호와는 별개로 상기 착신정보에서 확인되는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과금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중계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
  20. 삭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 요청 수신 시,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여 착신전환이 요청되는 전환착신단말이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환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환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된 경우, 최종 착신단말의 단말번호로서 상기 전환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최종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로서 상기 전환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
  23. 소정 발신단말로부터 타사망의 소정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요청됨에 따라 소정 발신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해당 타사망의 착신교환장치에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교환장치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이 정상 처리되면,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착신단말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착신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정보를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로의 착신 시도가 정상 처리됨에 따라 상기 착신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착신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착신교환장치로 제공한 상기 착신단말로의 연결 요청을 토대로 상기 착신단말의 단말번호와 상기 착신단말의 통신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교환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교환장치의 중계 방법.
KR1020090065803A 2009-07-20 2009-07-20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 KR101371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803A KR101371567B1 (ko) 2009-07-20 2009-07-20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803A KR101371567B1 (ko) 2009-07-20 2009-07-20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46A KR20110008446A (ko) 2011-01-27
KR101371567B1 true KR101371567B1 (ko) 2014-03-07

Family

ID=4361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803A KR101371567B1 (ko) 2009-07-20 2009-07-20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5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221A (ko) * 1999-09-11 2001-04-06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과금 통보 방법
JP2005244419A (ja) * 2004-02-25 2005-09-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料金課金方法、通信装置、料金装置、通信料金課金プログラム
KR100546763B1 (ko) * 2003-12-03 2006-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번호 이동성을 제공하는 VoIP 및 공중 전화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47801A (ja) 2006-12-07 2008-06-26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221A (ko) * 1999-09-11 2001-04-06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과금 통보 방법
KR100546763B1 (ko) * 2003-12-03 2006-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번호 이동성을 제공하는 VoIP 및 공중 전화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44419A (ja) * 2004-02-25 2005-09-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料金課金方法、通信装置、料金装置、通信料金課金プログラム
JP2008147801A (ja) 2006-12-07 2008-06-26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46A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1552B2 (ja) ローミング加入者に対する不在着信通知
CN101043751B (zh) 限制呼叫转移的方法及系统
US200601044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call completion handling of user equipment
US8060087B2 (en) CDMA intelligent network system and its method, device for realizing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US201000676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telecommunications extension service for multiple telecommunications units
KR20060105597A (ko)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동작 방법
EP2637429B1 (en) Call establishment to an active SIM card identifier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KR100767968B1 (ko)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07068161A1 (fr) Procede de suggestion de phoneme manquant pour terminal d&#39;appel global base sur un terminal virtuel
KR20070074291A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1371567B1 (ko) 서비스 과금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과금 처리 방법
CN100461963C (zh) 呼叫控制方法
KR101179485B1 (ko) 로밍 요금 절감을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로밍 제어 방법
CN100591171C (zh) 回铃音实现方法及系统、业务控制点及回铃音智能外设
KR100942895B1 (ko) Pan 기반 홈 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73246B1 (ko) 이동 통신망에서 착신자 정보 제공방법
KR20080020808A (ko) 스팸 발송을 차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807907B1 (ko) 국제 로밍 통화연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07362B1 (ko) 착신전환 자동해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737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한 무선 품질 관리방법
KR100509155B1 (ko) Gsm/umts에서의 착신불가호에 대한 발신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56999B1 (ko)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KR100577918B1 (ko) 자동 연결된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KR10140985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30822B1 (ko) 캐치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