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858B1 -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858B1
KR101409858B1 KR1020070080006A KR20070080006A KR101409858B1 KR 101409858 B1 KR101409858 B1 KR 101409858B1 KR 1020070080006 A KR1020070080006 A KR 1020070080006A KR 20070080006 A KR20070080006 A KR 20070080006A KR 101409858 B1 KR101409858 B1 KR 101409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spam
forwarding information
call forw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575A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0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8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15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08Systems for anonymous communication between parties, e.g. by use of disposal contac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53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Abstract

본 발명은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스팸 차단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스팸 문자열 또는 스팸 번호를 설정하여 해당 문자열 또는 번호가 포함된 스팸성 통화 호를 차단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착신 전환 정보가 요청되면, 이에 따른 착신 전환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며,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해당 단말기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거나 해당 단말기의 스팸 등록을 요청하는 교환기와, 교환기로부터의 착신 전환 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의 착신 전환 정보를 확인하여 교환기로 제공하고, 교환기로부터의 스팸 등록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의 스팸 등록을 수행하는 HLR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착신 전환 정보를 통해 선택적으로 통화 호 연결 또는 스팸 등록할 수 있는 것이다.
스팸(spam), 착신 전환 정보,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메시지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PAM INTERCEPTION SERVICE SYSTEM AND ITS METHOD USING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팸 차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착신된 전화 번호에 대한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스팸 차단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스팸(spam)은 인터넷 상에서 다수의 수신인에게 무작위로 송신된 전자 우편(e-mail) 메시지, 다수의 뉴스 그룹에 일제히 게재된 뉴스 기사, 우편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수신인에게 무더기로 발송된 광고나 선전 우편물(junk mail) 등과 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PC 통신이나 인터넷 ID를 가진 사람에게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전자 우편을 스팸 메일(spam mail) 혹은 정크 메일(junk mail)이라고 하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스팸 메일은 전자 우편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치 않는 광고성 혹은 선 정성 메시지를 무차별적으로 전송하거나, '060' 등을 발신번호로 하는 음성호를 이용하여 광고성 혹은 선전성 내용의 안내 멘트를 전송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스팸 메시지는 이동 통신 사업자 측에서 다양한 방지 대책과 서비스를 개발하여 스팸성의 단문 메시지를 차단하는 성과를 이루고 있으며, 스팸 문자열, 스팸 번호 등을 일부 입력 설정하여 해당 문자열 또는 번호가 포함된 스팸성 통화 호를 차단하게 된다.
하지만, '060' 등을 발신번호로 하는 음성호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스팸 음성호는 부재중 전화로 통화를 유도하기 위해 벨을 울린 후 연결되기 직전에 바로 끊는 경우, 특정 국번에 대하여 착신 금지 서비스 등을 피하기 위해 일반 전화번호로 착신 전환하여 음성호를 연결하는 경우, CID(Caller IDentification)을 변조하는 경우,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이하 'ARS'라 함) 장비를 이용하여 무차별적인 연속번호로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등의 방법으로 스팸성의 음성호를 연결 시도하고 있어 스팸성의 음성호로 인한 사용자들의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종래에 일반 전화번호로 착신 전환하여 스팸성 음성호를 연결하는 경우에 이러한 스팸성 음성호는 부재중 전화로 통화를 유도하기 위해 벨을 울린 후 연결되기 직전에 끊어져 부재중 정보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거나 단문 메시지로 부재중 정보가 저장되는데, 이러한 부재중 정보에 따라 통화호를 연결 요청할 경우 스팸성 통화 호 연결에 따른 요금 지불, 스팸성 통화로 인한 사용자의 불 만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정보를 요청하여 그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대 단말기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정보를 요청하여 그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 요청되는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스팸 차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착신 전환 정보가 요청되면, 이에 따른 상기 착신 전환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해당 단말기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거나 해당 단말기의 스팸 등록을 요청하는 교환기와, 상기 교환기로부터의 착신 전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해당 단말기의 착신 전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교환기로 제공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의 스팸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해당 단말기의 스팸 등록을 수행하는 HLR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 요청되는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스팸 차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신망 을 통해 상기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착신 전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된 착신 전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통화 호 연결 요청 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재중 통화 호에 대응하는 단말기로의 통화 호를 선택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스팸 등록 요청 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스팸 등록을 선택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팸 문자열 또는 스팸 번호를 설정하여 해당 문자열 또는 번호가 포함된 스팸성 통화 호를 차단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신망을 통해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착신 전환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된 착신 전환 정보를 확인하여 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며, 제공된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통화 호 연결 요청 시 통신망을 통해 부재중 통화 호에 대응하는 단말기로의 통화 호를 선택 연결하거나 제공된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스팸 등록 요청 시 통신망을 통해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스팸 등록을 선택 수행함으로써,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착신 전환된 스팸성 통화 호를 선택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부재중 정보를 확인한 후 그에 대한 착신 전환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부재중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정보를 확인하여 제공하며, 이를 통해 통화 호 연결을 시도할 경우 부재중 정보에 따라 해당 단말기로의 통화 호를 연결하거나 해당 부재중 정보를 스팸 등록 요청할 경우 부재중 정보에 따라 해당 단말기 정보를 스팸 등록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스팸 차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제 1 단말기(102), 제 1 통신망(104), 교환기(106), HLR(Home Location Register, 108, 이하 'HLR'이라 함), ARS 서비스 센터(110), 제 2 단말기(112) 및 제 2 통신망(114)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단말기(102)는 제 1 통신망(104)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화상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제 1 단말기(102)는 사용자가 음성 통화 등을 위해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호를 발생하여 제 1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전송한다.
또한, 제 1 단말기(102)는 단문 메시지, 부재중 전화 등의 부재중 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되는 부재중 정보에 따라 해당 제 2 단말기의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제 1 통신망(104)을 통해 전송되는 착신 전환 정보를 ARS 서비스로 제공한다.
이러한 착신 전환 정보에 대한 ARS 서비스를 통해 제 1 단말기(102)는 부재중 정보에 따른 제 2 단말기(112)로의 통화 호 연결을 요청할 경우 제 1 통신 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제 2 단말기(112)로의 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고, 부재중 정보 및 착신 전환 정보에 따른 스팸 등록을 요청할 경우 제 1 통신망(104) 및 교환기(106)를 통해 HLR(108)로 스팸 등록을 요청한다.
그리고, 제 1 통신망(104)은 제 1 단말기(102)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에서, 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제 1 단말기(102)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기지국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을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되고, 비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제 1 단말기(102)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기지국은 노드 B(Node-B), 노드 B를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된다. 물론, 제 1 통신망(104)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 W-CDMA망이 아닌 GSM망 및 제4세대를 포함하여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신망을 포함한다.
다음에, 교환기(106)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제 1 단말기(102)의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 오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아울러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교환기(106)는 제 1 단말기(102)로부터 제 1 통신망(104)을 통해 제 2 단말기(112)의 정보가 요청되면, 제 2 단말기(112)의 착신 전환 정보를 HLR(108)로 요청하고, 이에 따라 HLR(108)로부터 전송되는 제 2 단말기(112)의 착신 전환 정보를 ARS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해 ARS 서비스 센터(110)로 그 착신 전환 정보를 전송한다.
이 후에, 교환기(106)에서는 제 1 단말기(102)로부터 제 1 통신망(104)을 통해 제 2 단말기(112)로의 통화 호 연결이 요청되면 제 2 단말기(112)의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최종 착신 전환 번호로 제 2 단말기(112)에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며, 제 1 단말기(102)로부터 제 1 통신망(104)을 통해 제 2 단말기(112)의 착신 전환 정보에 따른 스팸 등록이 요청되면 그 착신 전환 정보에 따른 스팸 등록을 HLR(108)로 요청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VLR은 방문 위치 등록기로서, 교환기(106)가 서비스하는 지역 내 방문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담당 영역으로 위치 등록한 제 1 단말기(102) 및 가입자 정보를 HLR(108)로부터 가져와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HLR(108)은 제 1 단말기(102) 및 제 2 단말기(112)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 1 단말기(102) 및 제 2 단말기(112)의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프로파일 정보란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y), 발신 번호 서비스와 같은 가입된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HLR(110)은 유선 통신 서비스에 구현할 경우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HLR(110)과 유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는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입자별로 착신 전환 정보를 포함하는 스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HLR(110)은 교환기(106)로부터 요청되는 제 2 단말기(112)의 착신 전환 정보를 확인한 후, 이러한 착신 전환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 번호, 착신 전환 번호 등)를 교환기(106)로 제공하며, 제 1 단말기(102)로부터 제 1 통신망(104) 및 교환기(106)를 통해 착신 전환 정보에 따른 해당 제 2 단말기(112)의 정보에 대한 스팸 등록이 요청되면, 해당 제 2 단말기(112)의 정보, 즉, 단말기 번호, 착신 전환 번호 등에 대한 스팸 등록을 수행한다.
한편, 제 2 단말기(112)는 제 2 통신망(114)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화상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교환기(106) 및 제 2 통신망(114)을 통해 제 1 단말기(102)로부터의 통화 호를 연결하여 링 신호와 함께 통신 서비스(통화 호 연결)를 수행한다.
또한, 제 2 통신망(114)은 제 2 단말기(112)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 원한다. 여기에서, 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118)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기지국은 BTS, 기지국을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는 BSC가 되고, 비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제 2 단말기(112)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기지국은 노드 B, 노드 B를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는 RNC가 된다. 물론, 제 2 통신망(114)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 W-CDMA망이 아닌 GSM망 및 제4세대를 포함하여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신망을 포함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에서 부재중 정보에 따라 제 2 단말기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제 2 단말기의 착신 전환 정보를 확인 및 제공하고,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화 호 연결이 요청되면 제 2 단말기로의 통화 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재중 정보에 따른 착신 전환 정보를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통화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단말기(102)에서는 부재중 통화 호에 따라 단문 메시지 또는 부재중 전화 등의 부재중 정보를 제공한다(단계202).
그리고, 제 1 단말기(102)에서는 제공된 부재중 정보에 따라 제 2 단말기(112)의 정보를 제 1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요청한다(단계204). 여기에서, 제 1 통신망(104)은 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제 1 단말기(102)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와, BTS를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비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제 1 단말기(102)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노드 B(Node-B)와, 노드 B를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CDMA망, W-CDMA망이 아닌 GSM망 및 제4세대를 포함하여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교환기(106)에서는 제 1 단말기(102)로부터의 제 2 단말기(112)의 정보 요청에 따라 HLR(108)에 제 2 단말기(112)의 착신 전환 정보를 요청한다(단계206). 여기에서, 착신 전환 정보는, 예를 들어 제 2 단말기(112)의 단말기 번호, 착신 전환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HLR(108)에서는 교환기(106)로부터의 착신 전환 정보 요청에 따라 제 1 단말기(102)의 스팸 차단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제 2 단말기(112)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착신 전환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 번호, 착신 전환 번호 등)를 확인한다(단계208).
그리고, HLR(108)에서는 확인된 제 2 단말기(112)의 착신 전환 정보를 추출하여 교환기(106)로 제공하고(단계210), 교환기(106)에서는 이러한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제 1 단말기(102)로 ARS 서비스를 통해 제 2 단말기(112)의 착신 전환 정보를 전송하도록 ARS 서비스 센터(110)에 요청한다(단계212).
또한, ARS 서비스 센터(110)에서는 교환기(106)로부터의 착신 전환 정보의 전송 요청에 따라 해당 착신 전환 정보를 포함하는 ARS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러한 ARS 메시지를 교환기(106) 및 제 1 통신망(104)을 통해 제 1 단말기(102)로 전 송한다(단계214). 이러한 ARS 메시지는 예를 들면, 통화 종료, 통화 호 연결 등의 메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단말기(102)에서는 ARS 서비스 센터(110)로부터 전송되는 착신 전환 정보 ARS 메시지를 제공하고(단계216), 제 2 단말기(112)로의 통화 호 연결 요청을 대기한다. 이 때, 통화 호 연결 요청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대기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통화 종료를 위한 특정키(예를 들면, '1', '0' 등)를 입력할 경우, ARS 메시지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단말기(102)에서는 착신 전환 정보 ARS 메시지에 따라 제 2 단말기(112)로의 통화 호 연결을 위한 특정키가 입력되면, 이러한 통화 호 연결을 제 1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요청한다(단계218). 여기에서, 착신 전환 정보 ARS 메시지에 따른 통화 호 연결 요청은 예를 들면, 기 설정된 '#', '*' 등의 특정키의 입력에 따라 요청될 수 있다.
다음에, 교환기(106)에서는 제 1 통신망(104)을 통한 제 1 단말기(102)로부터의 통화 호 연결 요청에 따라 해당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제 2 통신망(114)을 통해 제 2 단말기(112)로의 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고(단계220), 이에 따라 제 1 단말기(102) 및 제 2 단말기(112) 간의 통화 호 연결이 수행된다(단계222). 여기에서, 제 2 통신망(114)은 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제 2 단말기(112)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BTS와, BTS를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BS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비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제 2 단말기(112)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노드 B와, 노드 B를 제어하여 교환 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RN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CDMA망, W-CDMA망이 아닌 GSM망 및 제4세대를 포함하여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에서 부재중 정보에 따라 해당 단말기의 착신 전환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된 착신 전환 정보를 ARS 메시지로 제공한 후, 이를 통해 해당 단말기로의 통화 호 연결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에서 부재중 정보에 따라 제 2 단말기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제 2 단말기의 착신 전환 정보를 확인 및 제공하고, 이러한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스팸 등록이 요청되면, 해당 제 2 단말기 정보를 스팸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부재중 정보에 따른 착신 전환 정보를 제공하여 스팸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단말기(102)에서는 부재중 통화 호에 따라 단문 메시지 또는 부재중 전화 등의 부재중 정보를 제공한다(단계302).
그리고, 제 1 단말기(102)에서는 제공된 부재중 정보에 따라 제 2 단말기(112)의 정보를 제 1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요청한다(단계304). 여기에서, 제 1 통신망(104)은 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제 1 단말기(102)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와, BTS를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비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제 1 단말기(102)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노드 B(Node-B)와, 노드 B를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CDMA망, W-CDMA망이 아닌 GSM망 및 제4세대를 포함하여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교환기(106)에서는 제 1 단말기(102)로부터의 제 2 단말기(112)의 정보 요청에 따라 HLR(108)에 제 2 단말기(112)의 착신 전환 정보를 요청한다(단계306). 여기에서, 착신 전환 정보는, 예를 들어 제 2 단말기(112)의 단말기 번호, 착신 전환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HLR(108)에서는 교환기(106)로부터의 착신 전환 정보 요청에 따라 제 1 단말기(102)의 스팸 차단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제 2 단말기(112)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착신 전환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 번호, 착신 전환 번호 등)를 확인한다(단계308).
그리고, HLR(108)에서는 확인된 제 2 단말기(112)의 착신 전환 정보를 추출하여 교환기(106)로 제공하고(단계310), 교환기(106)에서는 이러한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제 1 단말기(102)로 ARS 서비스를 통해 제 2 단말기(112)의 착신 전환 정보를 전송하도록 ARS 서비스 센터(110)에 요청한다(단계312).
또한, ARS 서비스 센터(110)에서는 교환기(106)로부터의 착신 전환 정보의 전송 요청에 따라 해당 착신 전환 정보를 포함하는 ARS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러한 ARS 메시지를 교환기(106) 및 제 1 통신망(104)을 통해 제 1 단말기(102)로 전송한다(단계314). 이러한 ARS 메시지는 예를 들면, 통화 종료, 스팸 등록 등의 메 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단말기(102)에서는 ARS 서비스 센터(110)로부터 전송되는 착신 전환 정보 ARS 메시지를 제공하고(단계316), 제 2 단말기(112)의 착신 전환 정보에 따른 스팸 등록 요청을 대기한다. 이 때, 스팸 등록 요청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대기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통화 종료를 위한 특정키(예를 들면, '1', '0' 등)를 입력할 경우, ARS 메시지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단말기(102)에서는 착신 전환 정보 ARS 메시지에 따라 제 2 단말기(112)로의 통화 호 연결을 위한 특정키가 입력되면, 이러한 통화 호 연결을 제 1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요청한다(단계318). 여기에서, 착신 전환 정보 ARS 메시지에 따른 스팸 등록 요청은 예를 들면, 기 설정된 '#', '*' 등의 특정키의 입력에 따라 요청될 수 있다.
다음에, 교환기(106)에서는 제 1 단말기(102)로부터의 스팸 등록 요청에 따라 해당 제 2 단말기(112)의 착신 전환 정보에 따른 스팸 등록을 HLR(108)로 요청하고(단계320), HLR(108)에서는 해당 제 2 단말기(112)의 단말기 번호, 착신 전환 번호 등을 포함한 착신 전환 정보를 이용하여 스팸 등록을 수행한다(단계322). 이 후에, 스팸 등록된 착신 전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번호에 대한 스팸 차단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에서 부재중 정보에 따라 해당 단말기의 착신 전환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된 착신 전환 정보를 ARS 메시지로 제공한 후, 이를 통해 해당 단말기의 착신 전환 정보를 이용하여 스팸 등록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통화 종료, 통화 호 연결 또는 스팸 등록을 선택 수행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스팸 차단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스팸성 통화 호를 효과적으로 선택 차단할 수 있어 단말기 이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통신 서비스를 장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스팸 차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재중 정보에 따른 착신 전환 정보를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통화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부재중 정보에 따른 착신 전환 정보를 제공하여 스팸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제 1 단말기 104 : 제 1 통신망
106 : 교환기 108 : HLR
110 : ARS 서비스 센터 112 : 제 2 단말기
114 : 제 2 통신망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스팸 차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착신 전환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착신 전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통화 호 연결 요청 시에 상기 착신 전환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통화 호를 선택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부재중 통화 호에 대한 스팸 등록 요청 시에 상기 착신 전환 정보를 이용하여 스팸 등록을 선택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통화 호는, 단문 메시지 또는 부재중 전화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 및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전환 정보는, 그에 대응하는 ARS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전환 정보는, 단말기 번호 및 착신 전환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RS 메시지는, 통화 종료, 통화 호 연결 및 스팸 등록의 메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070080006A 2007-08-09 2007-08-09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409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006A KR101409858B1 (ko) 2007-08-09 2007-08-09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006A KR101409858B1 (ko) 2007-08-09 2007-08-09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575A KR20090015575A (ko) 2009-02-12
KR101409858B1 true KR101409858B1 (ko) 2014-06-20

Family

ID=4068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006A KR101409858B1 (ko) 2007-08-09 2007-08-09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8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997A (ko) * 2002-09-28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부재중 전화의 발신자 표시 방법
KR100585556B1 (ko) * 2004-12-04 2006-06-07 유엔젤주식회사 스팸전화 자동 식별 및 차단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997A (ko) * 2002-09-28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부재중 전화의 발신자 표시 방법
KR100901372B1 (ko) 2002-09-28 2009-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부재중 전화의 발신자 표시 방법
KR100585556B1 (ko) * 2004-12-04 2006-06-07 유엔젤주식회사 스팸전화 자동 식별 및 차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575A (ko)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4498C (zh) 专用通信系统中的呼叫处理方法和设备
CA2454886A1 (en) Short text messaging-based incoming call termination control
US76304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telecommunications extension service for multiple telecommunications units
KR20060105597A (ko)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동작 방법
KR1007544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설정된 기간 동안 부가 서비스를변경하는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관리 서버 및시스템
KR20030000491A (ko) 단문메시지 전달방법
KR100767968B1 (ko)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184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팸 음성호 차단 방법
KR10140985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71461B1 (ko) 스팸 발송을 차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1112A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1054081B1 (ko) 해외 로밍 단말을 위한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561671B1 (ko) 부가 서비스의 우선순위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및 부가 서비스 우선순위 제어 방법
KR10120299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서버
KR20090045978A (ko) 스팸 필터링 서비스 서버와 이를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시스템과 그 방법
KR20070091719A (ko) 국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591894B1 (ko) 착신 가입자의 착신 통화를 녹음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120723A (ko)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286751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착신 가입자 위치에 따른 이동 입 호거부 방법
KR100878076B1 (ko) 국제로밍시 음성사서함 자동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79003A (ko) 비정상 호 수집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시스템
KR1010408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비밀 메시지 수신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비밀 메시지 수신 방법
KR20050106379A (ko) 이동통신망에서 단문메시지전송서버를 이용한 불완료호정보의 수집과 선택적 통지 방식 변경에 대한 방법 및시스템
KR101111113B1 (ko)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제공 장치,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KR100561672B1 (ko) 비동기 imt-2000 망에서의 발신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