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429B1 -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 Google Patents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429B1
KR101371429B1 KR1020120028690A KR20120028690A KR101371429B1 KR 101371429 B1 KR101371429 B1 KR 101371429B1 KR 1020120028690 A KR1020120028690 A KR 1020120028690A KR 20120028690 A KR20120028690 A KR 20120028690A KR 101371429 B1 KR101371429 B1 KR 10137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field generating
horizontal magnetic
generating member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977A (ko
Inventor
이용흠
김수병
김한성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8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42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8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pain treatment or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성체와 코일 주위에 수평적 자기장을 발생시켜 뼈 골절치료를 응용하기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자성체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어 이루어지고 외부의 전원 공급장치에서 인가되는 코일 전류에 의해 코어 주변에 수평적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에서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를 제공하여, 수평적 자기장으로 뼈를 자극하여 조골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용골세포를 억제시켜 뼈 골절치료, 골다공증치료, 심부근육치료, 관절염/관절통증 치료에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A complex stimulus apparatus for treating fracture}
본 발명은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성체에 권선된 코일에 교번 전류를 인가하여 자성체와 코일 주위에 시변자계를 발생시켜 자성체를 자화시킴으로써 그로 인해 발생된 자속으로 뼈를 자극하여 조골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용골세포를 억제시켜 뼈 골절치료, 골다공증치료, 심부근육치료, 관절염/관절통증 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뼈 골절이나 골다공증, 관절염 등과 같은 골 관련 질병은 골 조직의 흡수(용골세포)와 형성(조골세포)의 균형이 파괴된 것에 의해 야기되는 결과이며, 골다공증의 경우 골 조직의 흡수되는 양이 형성되는 양보다 많을 시, 결국 뼈의 미네랄 밀도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이는 결국 골다공증의 발현, 또는 골절의 위험을 야기시킨다.
한편 자기장(Magnetic field)의 주기적인 변화는 파라데이의 유도법칙을 통하여 필요한 전기장(Electric Field)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원리를 통해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 이하는 'EMF' 라 약칭함)은 생체 내 스트리밍 전위(natural endogenous streaming potentials)을 자극하는 것에 기초하여 뼈의 조골세포(골아세포)의 활성 및 용골세포(파골세포)의 억제 기전에 주로 응용되고 있다.
특히 펄스형 전자기장(Pulsed EMF: 이하는 'PEMF' 라 약칭함)은 시변(time varied) 전자기장으로써 8-30Hz 범위 내의 생리학적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뼈의 골절된 부위에 단위 자기장을 유발시켜 조골세포의 활동수준을 증가시키고 용골세포의 형성에 확연한 감소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PEMF는 오늘날 뼈 유착 및 뼈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주로 많이 응용되고 있으며, 골 형성(뼈의 증식과 분화)의 균형을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PEMF에 의한 자극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세포 내의 칼슘이온(Ca2 +)의 확연한 증가와 세포 내의 pH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기장을 치료기기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어지며, 전자기장의 정상적인 발생여부, 정상적인 제어여부가 확인되지 못하여 의료장치의 정밀성 및 골 밀도 성장 촉진효과 등에 대한 신뢰성 등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성체 코어에 권선된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성체와 코일 주위에 수평적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평적 자기장으로 뼈를 자극하여 조골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용골세포를 억제시켜 뼈 골절치료, 골다공증치료, 심부근육치료, 관절염/관절통증 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성체 코어에 권선된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성체와 코일 주위에 수평적 자기장 및 광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평적 자기장과 빛으로 뼈를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뼈 골절치료, 골다공증치료, 심부근육치료, 관절염/관절통증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자성체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어 이루어지고 외부의 전원 공급장치에서 인가되는 코일 전류에 의해 코어 주변에 수평적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에서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자성체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어 이루어지고 외부의 전원 공급장치에서 인가되는 코일 전류에 의해 코어 주변에 수평적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어에 설치되어 수평적 자기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광자극을 위한 빛을 방출하는 광 발생부,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에서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이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는,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수평적인 자기장에 대한 방향, 세기 및 빈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조절부를 구비하고 각 조절부에 의한 설정값을 제어부로 전달하여 제어부에서 전원 공급부로 출력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는 자극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또 다른 실시 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에 의하면, 자성체 코어의 권선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성체와 코일 주위에 수평적 자기장을 발생시켜 뼈를 자극할 수 있게 되므로, 수평적 자기장에 의한 조골세포의 활성화 및 용골세포의 억제시켜 뼈 골절치료, 골다공증치료, 심부근육치료, 관절염/관절통증 치료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뼈 골절치료를 이용한 복합 자극장치에 의하면, 자성체 코어의 권선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성체와 코일 주위에 수평적 자기장 및 광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수평적 자기장과 빛으로 뼈를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자극부위에서 다양한 전자기적 특성, 전기화학적 특성, 전기생리학적 특성을 유도하여 다양한 치료목적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서의 자기장 발생패턴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원통 코일과 그에 인가될 수 있는 자극 전류의 파형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서 한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로 이루어지는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가 각각 밴드형 고정부재 및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각각의 배치 구조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 의한 본 발명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서 두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로 이루어지는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가 각각 밴드형 고정부재 및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각각의 배치 구조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5a 및 도 5b에 의한 본 발명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에서 광 발생부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주요부분 상세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자극장치에서 한 쌍 및 두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로 구성된 각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가 피사체 간격 조절형 고정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각각의 배치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서의 자기장 발생패턴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원통 코일과 그에 인가될 수 있는 자극 전류의 파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는, 일 실시 형태에서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 전원 공급부(200),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자극 조절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는 한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110,120: 도 3a 내지 도 4b 참조), 또는 두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110-140: 도 5a 내지 도 6b 참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각 자기장 발생부재(110-140)는 주변 자계에 의해 자화될 수 있도록 도전성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코어(111), 코어의 외면에 수회 권선되는 코일(112)로 각각 구성되고, 컨넥터(151,152)를 통해 전원 공급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200)에서 코일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각 실시 형태의 자기장 발생부재(110-140)는 코일이 권선된 각 코어의 표면 전체를 외부 케이스(113)로 커버링하여 절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부(200)는 컨넥터(151,152)를 통해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의 각 코일(112)에 전류를 인가한다.
제어부(300)는 자극 조절부(400)에서 제공된 자극 조절신호에 따라 또는 직접 전원 공급부(200)에서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의 코일(111)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주파수를 제어한다.
자극 조절부(400)는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방향, 세기 및 빈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조절부를 구비하고 각 조절부에 의한 설정값을 제어부(300)로 전달하여 제어부(300)에서 전원 공급부(200)로 출력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는 자극 조절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장치에서의 자기장 발생패턴은 자극 조절부(400)에서 발생되는 자극 조절신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전원 공급부(200)에서 코일(112)에 인가되는 전류의 형태, 즉 전압, 전류, 주파수에 따라 자기장 자극의 세기, 방향, 및 빈도가 달라질 수 있고, 자기장 자극 방식은 도 2b에 그래프로 도시된 바와 같이 N 펄스 자극, S펄스 자극, N/S 펄스 자극, N 연속자극, S 연속자극 등이 인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자극장치는 코어의 굵기와 길이, 코일의 굵기와 길이와 권선수, 코일 전류와 전압의 조절을 통해 자기장의 세기를 각각 10-50mT, 50-100mT, 100-500mT 범위 내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따라서 실험용 생쥐, 인체의 손가락이나 팔, 다리 등의 치료에 적용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자극장치는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의 각 자기장 발생부재의 크기 조절을 통해 그 크기를 각각 5mm*10mm, 10mm*20mm, 40mm*100mm 등의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이러한 크기의 장치는 각각 실험용 생쥐, 인체의 손가락이나 팔, 다리 등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서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가 한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110,120)로 이루어지고 각각이 밴드형 고정부재(160) 및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170)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배치 구조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 의한 본 발명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는 수평적인 자기장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110,120)가 일정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배치되되, 이때 각 자기장 발생부재(110,120)는 코어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는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자극이 인가되는 피사체의 크기에 관계없이 부착 또는 고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신축성이 있는 밴드형 고정부재(160) 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착될 수도 있으며,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위치 및 간격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간격 조절부재(171)가 구비된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170) 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서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가 두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110-140)로 이루어지고 각각이 밴드형 고정부재(160) 및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170)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배치 구조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도 5a 및 도 5b에 의한 본 발명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5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는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수평적인 자기장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두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110-140)가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교차 배치되되, 이때 하나의 쌍을 이루고 있는 자기장 발생부재는 그 코어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는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자극이 인가되는 피사체(1)의 크기에 관계없이 부착 또는 고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신축성이 있는 밴드형 고정부재(160) 상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교차되어 부착될 수도 있으며, 도 5b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위치 및 간격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간격 조절부재(171)가 구비된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170) 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태로 교차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170)에 구비되는 간격 조절부재(171)는 각 자기장 발생부재(110-140) 사이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에서 광 발생부(500)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주요부분 상세도이고,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자극장치에서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가 한 쌍 및 두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로 구성되고 피사체 간격 조절형 고정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각각의 배치 구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는,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 전원 공급부(200), 제어부(300), 및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에 일체형으로 탑재되는 광 발생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자극 조절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 전원 공급부(200), 제어부(300) 및 자극 조절부(400)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 발생부(500)는 광 다이오드로 구성이 가능하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의 코어(111)에 설치되어 전원 공급부(20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수평적 자기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광 자극을 위한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10,120) 또는 두 쌍의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10-140)의 각 코어(111)는 그 속이 빈 중공형 원통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 발생부(500)를 구성하는 광 다이오드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코어(111)의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가 한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110,120)로 구성되는 경우, 도 3a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밴드형 고정부재(160)에 코어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게 부착하여 피사체(1)에 고정하며, 또는 도 3b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170)에 코어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게 부착하여 피사체에 고정한다. 이때 밴드형 고정부재(160)의 경우는 해당 부재의 신축성을 이용하여 뼈 골절치료 부위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게 되며,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170)의 경우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절부재(171)로 피사체와의 거리를 조정하여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가 두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110-140)로 구성되는 경우, 도 5a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밴드형 고정부재(160)에 각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110,120)(130,140)를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게 부착하되, 하나의 쌍을 이루고 있는 자기장 발생부재의 각 코어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게 부착하여 피사체에 고정한다. 또는 도 5b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170)에 각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110,120)(130,140)를 부착하는 경우 각각의 간격조절부재(171)를 사용하여 피사체와 각 자기장 발생부재간의 간격을 미세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장착이 완료된 후 자극 조절부(400)를 통해 원하는 형태의 자기장 자극 패턴, 세기, 방향, 빈도 등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전원 공급부(200)에서 각각의 컨넥터(151,152)를 통해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의 각 코일에 동작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각 자기장 발생부재(110,120)에서는 도 3a 내지 도 4b와 같은 형태의 수평적 자기장이 발생되어 밴드형 고정부재(160) 또는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170)의 중심에 위치되는 뼈 골절부위에 인가될 수 있게 되며, 두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110-140)에서는 도 5a 내지 도 6b와 같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두 개의 수평적 자기장이 발생되어 뼈 골절부위에 인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에 광 발생부(500)가 부가되는 경우, 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광 발생부(500)에서는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100)로의 코일 전류 인가와 동시에 광자극을 위한 빛이 방출될 수 있게 되므로, 자기장 자극과 광 자극이 동시에 인가되는 복합 자극이 가능하게 되며, 이는 다양한 부위에서의 적용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 110-140 : 자기장 발생부재
111 : 코어 112 : 코일
113 : 케이스 151,152 : 컨넥터
160 : 밴드형 고정부재 170 :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
171 : 간격 조절부재 200 : 전원 공급부
300 : 제어부 400 : 자극 조절부
500 : 광 발생부

Claims (13)

  1. 자성체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어 이루어지고, 외부의 전원 공급장치에서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코어 주변에 수평적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는, 수평적인 자기장 채널 형성을 위해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로 이루어지며, 각 자기장 발생부재는 각 코어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를 이루고 있는 각 자기장 발생부재는, 자기장 자극이 인가되는 피사체의 크기에 관계없이 부착 또는 고정 가능하도록 신축성이 있는 밴드형 고정부재 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적 자기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광자극을 위한 빛을 방출하는 광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3. 자성체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어 이루어지고, 외부의 전원 공급장치에서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코어 주변에 수평적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는,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수평적인 자기장 채널 형성을 위해 서로 수직하게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두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쌍을 이루고 있는 각 자기장 발생부재는 각 코어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를 이루고 있는 각 자기장 발생부재는, 자기장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위치 및 간격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간격 조절부재가 구비된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 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적 자기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광자극을 위한 빛을 방출하는 광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수평적인 자기장에 대한 방향, 세기 및 빈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조절부를 구비하고 각 조절부에 의한 설정값을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로 출력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는 자극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는,
    코일이 권선된 각 코어의 표면 전체를 외부 케이스로 커버링하여 절연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7.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자기장 발생부재에 구비되는 간격 조절부재는,
    상기 각 자기장 발생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8. 자성체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어 이루어지고, 외부의 전원 공급장치에서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코어 주변에 수평적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는,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수평적인 자기장 채널 형성을 위해 서로 수직하게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두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쌍을 이루고 있는 각 자기장 발생부재는 각 코어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를 이루고 있는 각 자기장 발생부재는, 자기장 자극이 인가되는 피사체의 크기에 관계없이 부착 또는 고정 가능하도록 신축성이 있는 밴드형 고정부재 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적 자기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광자극을 위한 빛을 방출하는 광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10. 자성체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어 이루어지고, 외부의 전원 공급장치에서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코어 주변에 수평적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는, 수평적인 자기장 채널 형성을 위해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자기장 발생부재로 이루어지며, 각 자기장 발생부재는 각 코어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를 이루고 있는 각 자기장 발생부재는, 자기장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위치 및 간격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간격 조절부재가 구비된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 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적 자기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광자극을 위한 빛을 방출하는 광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간격조절형 고정부재에 구비되는 간격 조절부재는,
    상기 각 자기장 발생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13. 제2항 또는 제4항 또는 제9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적 자기장 발생부재의 코어가 속이 빈 중공형 원통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 발생부가 코어의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KR1020120028690A 2012-03-21 2012-03-21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KR10137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690A KR101371429B1 (ko) 2012-03-21 2012-03-21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690A KR101371429B1 (ko) 2012-03-21 2012-03-21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977A KR20130106977A (ko) 2013-10-01
KR101371429B1 true KR101371429B1 (ko) 2014-03-10

Family

ID=4963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690A KR101371429B1 (ko) 2012-03-21 2012-03-21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4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693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리메드 요실금 치료 장치
KR20210126424A (ko) * 2020-04-10 2021-10-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근골격계 질환 치료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3054804A1 (ko) *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리메드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자기 자극 장치
KR20230107011A (ko) 2022-01-07 2023-07-14 케어텍코리아(주) 골밀도 진단 치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766B1 (ko) * 2014-08-07 2015-12-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내 비상 대피로 안내 장치
KR101771516B1 (ko) * 2016-04-01 2017-08-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유착 촉진 장치, 임플란트 유착 촉진 시스템 및 치과용 의자
KR101994994B1 (ko) * 2017-12-13 2019-07-01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뼈 재형성 증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뼈 재형성 증가 방법
KR102176978B1 (ko) * 2018-05-23 2020-11-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투석기 제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7200586B2 (ja) * 2018-10-09 2023-01-10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生体刺激用磁場発生装置
KR102351975B1 (ko) * 2019-11-11 2022-01-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기장을 이용하는 성장판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04871B1 (ko) * 2020-01-02 2020-04-27 주식회사 엠엔 펄스 미세 전자기장 방식의 키성장 보조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46498B1 (ko) * 2020-11-13 2024-03-1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촉감 유도가 가능한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8366A (en) * 1981-05-06 1984-01-31 Alfred B. Kurtz Electromagneti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duction of serum glucose levels
KR19990051783A (ko) * 1997-12-20 1999-07-05 류재만 파동전자기 에너지의 전사시스템과 그 장치 및 전사방법
WO2000006252A1 (fr) * 1998-07-28 2000-02-10 Pulse Medical Co., Ltd. Electroaimant pour dispositif de magnetotherapie, bobine pour dispositif de magnetotherapie, et dispositif de magnetotherapie
WO2002004072A1 (en) * 2000-07-07 2002-01-17 Med-Tech A/S Magnetic generator for an electromedical treatment apparatus
KR20090063618A (ko) * 2007-12-14 2009-06-18 주식회사 씨알테크놀러지 자기장을 이용한 자극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9226040A (ja) * 2008-03-24 2009-10-08 Terumo Corp 治療装置
KR20100069145A (ko) * 2008-12-16 2010-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한방용 자기침 시스템
KR101017023B1 (ko) * 2008-12-30 2011-02-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전자계를 이용한 집속형 자기장 침 장치
WO2011084788A2 (en) * 2009-12-21 2011-07-14 Sherwin Hua Insertion of medical devices through non-orthogonal and orthogonal trajectories within the cranium and methods of using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8366A (en) * 1981-05-06 1984-01-31 Alfred B. Kurtz Electromagneti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duction of serum glucose levels
KR19990051783A (ko) * 1997-12-20 1999-07-05 류재만 파동전자기 에너지의 전사시스템과 그 장치 및 전사방법
WO2000006252A1 (fr) * 1998-07-28 2000-02-10 Pulse Medical Co., Ltd. Electroaimant pour dispositif de magnetotherapie, bobine pour dispositif de magnetotherapie, et dispositif de magnetotherapie
WO2002004072A1 (en) * 2000-07-07 2002-01-17 Med-Tech A/S Magnetic generator for an electromedical treatment apparatus
KR20090063618A (ko) * 2007-12-14 2009-06-18 주식회사 씨알테크놀러지 자기장을 이용한 자극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9226040A (ja) * 2008-03-24 2009-10-08 Terumo Corp 治療装置
KR20100069145A (ko) * 2008-12-16 2010-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한방용 자기침 시스템
KR101017023B1 (ko) * 2008-12-30 2011-02-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전자계를 이용한 집속형 자기장 침 장치
WO2011084788A2 (en) * 2009-12-21 2011-07-14 Sherwin Hua Insertion of medical devices through non-orthogonal and orthogonal trajectories within the cranium and methods of us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693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리메드 요실금 치료 장치
KR102195670B1 (ko) * 2018-11-15 2020-12-28 주식회사 리메드 펄스 자기장 자극 장치
KR20210126424A (ko) * 2020-04-10 2021-10-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근골격계 질환 치료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45657B1 (ko) * 2020-04-10 2023-06-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기장 및 음파 인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3054804A1 (ko) *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리메드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자기 자극 장치
KR20230107011A (ko) 2022-01-07 2023-07-14 케어텍코리아(주) 골밀도 진단 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977A (ko)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429B1 (ko) 뼈 골절치료를 위한 복합 자극장치
KR100866378B1 (ko) 뇌파를 주요치료정보로 사용하는 저주파 자기물리치료장치
AU2016203613B2 (en) Sequentially programmed magnetic therapeutic system (SPMF)
US106106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biological tissue
US7335156B2 (en) Digital electromagnetic pulse generator
EP0062032B1 (en) Electromedical treatment apparatus
KR101249387B1 (ko) 코일의 교번자계를 이용한 자화침/뜸에 의한 복합 자극장치
HRPK20190078B3 (hr) Uređaj za neinvazivno tretiranje bolesti i stanja živih organizama
KR102596493B1 (ko) 건강관리 또는 의료기기용 중추신경 자기 자극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건강관리 또는 의료 기기
JP2015521521A5 (ko)
US20130110150A1 (en) Electroacupuncture needle and electroacupuncture platform
SK283156B6 (sk) Zariadenie na ovplyvnenie biologických procesov
KR101522019B1 (ko) 출력보정이 가능한 자극발생장치 및 그의 자극발생방법
KR102141761B1 (ko)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KR101017023B1 (ko) 가변 전자계를 이용한 집속형 자기장 침 장치
US20210251679A1 (en) Method and apparatus generator, concentrator and router of electromagnetic fields for cellular regeneration
KR102134157B1 (ko)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KR20090124462A (ko) 피부저항을 고려한 전류자극 방법 및 장치
WO2017082584A1 (ko) 저주파 전기 자극 효과를 갖는 고주파 치료기
JP6307620B2 (ja) 磁気マイナスイオン治療システム
RU44054U1 (ru) Электронейроадаптивный стимулятор (варианты) и электр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262957C1 (ru) Электронейроадаптивный стимулятор (варианты) и электр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ES2693272T3 (es) Dispositivo electromédico de alta frecuencia
KR101510713B1 (ko) 전기자극장치
CN102228726A (zh) 低频经颅磁场发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