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973B1 -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요구사항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요구사항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973B1
KR101370973B1 KR1020120138665A KR20120138665A KR101370973B1 KR 101370973 B1 KR101370973 B1 KR 101370973B1 KR 1020120138665 A KR1020120138665 A KR 1020120138665A KR 20120138665 A KR20120138665 A KR 20120138665A KR 101370973 B1 KR101370973 B1 KR 101370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requirements
requirement
original document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섭
김대일
김형철
김정집
배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이
Priority to KR1020120138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원본문서, 원본문서의 요구사항을 표시하는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 내용 및 요구사항에 포함된 각 단위요구사항에 대한 원본문서 내 위치 및 웹표시문서 내 위치를 포함한 요구사항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등록된 요구사항 문서의 재편집이 필요할 경우, 원본문서를 그대로 불러와서 재편집이 가능하므로 원본문서의 서식이나 일부 개체가 달라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요구사항문서의 재편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작성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요구사항 관리방법{Requirements Data Management System and Requirements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요구사항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요구사항이 포함된 원본문서를 활용하는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요구사항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시스템의 기능 요구사항 및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 요구사항 등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모든 개발과정의 첫번째 단계는 시스템의 기능에 대한 요구사항을 작성하는 단계이고, 최종 단계는 개발된 시스템의 모든 요구사항이 반영되어 구현되었는지를 검증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요구사항문서는 개발 초기에 작성되어 개발 종료시까지 생명주기 동안에 품질관리를 위해서 엄격히 관리되어야 하는 문서이다. 그러나 개발단계 초기에 작성된 고객의 요구사항은 개발 진행과정에서 기존의 요구사항이 변경, 추가 또는 삭제되기도 하는데 이는 모든 개발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와 같이 변경, 추가 또는 삭제되는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목적으로 요구사항 관리 도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요구사항 관리 도구는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 기반한 도구로서 DOORS, Requisite Pro 등이 있고, 두 번째는 웹을 기반으로 하는 도구로서 Polarion 등이 있다.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도구들은 웹기반 도구들에 비하여 접근성에 한계가 있어서 최근에는 웹기반의 도구가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웹기반 도구도 웹 자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한계로 인해 기존의 범용 문서편집기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것에 비하여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기존의 클라이언트/서버환경 기반의 도구 및 웹기반의 도구들은 범용 문서편집기로 작성된 문서를 읽어들이기 위해서 통상 문서편집자가 작성한 요구사항문서에 대한 가져오기/내보내기(import/export)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글자 서식, 문단 모양 등이나 복잡한 표, 수식 등은 가져오기/내보내기를 했을 경우, 원본문서와 달라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서식이 변경되었을 경우 문서편집자는 모든 서식을 다시 맞추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작성오류가 유발되기도 한다.
또한 기존의 요구사항 관리도구들은 원본문서로 부터 가져오기 기능을 이용하여 도구 내로 요구사항을 모두 불러 온 이후에는, 더 이상 원본문서 내에서의 각 단위요구사항의 위치를 추적하여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원본문서를 재편집해야 할 경우, 재편집된 원본문서의 요구사항과 기존에 저장된 요구사항들의 연관관계를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각각의 단위요구사항에 대한 변경 이력이나, 연결되어 있는 개별 요구사항들 간의 추적성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요구사항문서를 재편집하고 관리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있다.
본 발명은 요구사항이 포함된 원본문서의 재편집 시에도 요구사항 데이터를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본문서를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정보와 함께 통합 관리하는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요구사항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원본문서, 원본문서의 요구사항을 표시하는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 내용 및 요구사항에 포함된 각 단위요구사항에 대한 원본문서 내 위치 및 웹표시문서 내 위치를 포함한 요구사항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서 원본문서,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정보는 참조주소 또는 고유코드를 통하여 가상 통합되는 일체화 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원본문서를 편집하는 문서편집기를 포함하며, 원본문서를 웹표시문서로 변환하며, 원본문서로부터 요구사항정보를 추출하는 원본문서편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웹표시문서를 전시하는 웹문서열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서 원본문서는 각 단위요구사항이 식별되는 범위 식별자가 설정되어 있으며, 요구사항정보의 각 단위요구사항의 원본문서 내 위치는 해당 범위 식별자의 레이블을 통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서 원본문서의 범위 식별 되는 각 부분은 단위요구사항 아이디와 단위요구사항 내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구사항 관리방법은 원본문서편집모듈에서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원본문서를 불러오거나 작성하는 단계, 원본문서편집모듈을 통하여 원본문서, 원본문서의 요구사항을 표시하는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 내용 및 요구사항에 포함된 각 단위요구사항에 대한 원본문서 내 위치 및 웹표시문서 내 위치를 포함한 요구사항정보를 요구사항데이터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웹문서열람모듈에서 등록된 웹표시문서를 열람하는 단계, 원본문서편집모듈에서 요구사항데이터서버의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해당 원본문서를 다운로드하여 편집하는 단계, 및 원본문서,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정보를 요구사항데이터서버에 재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구사항문서 관리방법은 원본문서,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정보는 참조주소 또는 고유코드를 통하여 가상 통합되는 일체화 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구사항문서 관리방법의 원본문서는 각 단위요구사항이 식별되는 범위 식별자가 설정되어 있으며, 요구사항정보의 각 단위요구사항의 원본문서 내 위치는 해당 범위 식별자의 레이블을 통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요구사항문서 관리방법은 원본문서를 가상의 일체화 문서의 일부로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등록함으로써, 등록된 요구사항 문서의 재편집이 필요할 경우, 원본문서를 그대로 불러와서 재편집이 가능하므로 원본문서의 서식이나 일부 개체가 달라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요구사항문서의 재편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작성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원본문서를 재편집하더라도 단위 요구사항들 간의 연관관계가 유지되므로 추적성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간단히 웹브라우저만을 이용하여 요구사항을 열람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원본문서편집툴의 화면 배치 구획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원본문서편집툴 화면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웹문서열람툴 화면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요구사항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요구사항 문서의 등록 및 재등록 절차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간략화 되었으며,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하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원본문서편집툴(ECA; Editing Client Application)이 탑재된 원본문서편집모듈, 웹문서열람툴(WSA; Web Service Application)이 탑재된 웹문서열람모듈, 및 요구사항데이터서버(RS; Requirement Serv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본문서편집모듈 및 웹문서열람모듈은 각각 하나 이상 복수개 있을 수 있으며, 이들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등의 네트웍을 통하여 요구사항데이터서버에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요구사항은 요구사항문서에 기재되는데, 예컨대, 시스템 요구사항 명세서,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서, 하드웨어 요구사항 명세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요구사항 명세서 등이 이에 해당되며, 이하에서 이는 원본문서라 지칭된다. 원본문서는 문서편집자가 선호하는 MS-Word 또는 아래한글 등 범용 문서편집기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도 있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원본문서편집툴(ECA)을 이용하여 작성한 문서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원본문서는 .docx 및 .hwp 등의 형식으로 관리된다.
원본문서편집툴(ECA)은 원본문서 편집자가 사용하는 도구로서, 원본문서를 편집하거나 불러오는 기능 이외에 요구사항 등록기능 및 요구사항 추적성 연결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범용 문서편집기를 내포(Embedded)할 수 있다.
원본문서편집툴(ECA)은 원본문서로부터 요구사항정보를 추출하고, 원본문서 및 요구사항정보를 요구사항데이터서버에 저장한다.
원본문서는 요구사항을 포함한 문서이다. 반드시 요구사항데이터서버에 저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원본문서편집모듈이 접속(access) 가능한 저장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웹표시문서는 원본문서를 웹에서 볼 수 있도록 변환한 문서로서, 일반적으로 .html 등의 형식으로 관리된다. 웹표시문서는 ECA에서 원본문서로부터 변환되어 요구사항데이터 서버에 저장되거나, 또는 후술되는 웹문서열람툴 동작 시에 요구사항데이터서버에 저장된 원본문서로부터 변환되고, 사용자가 열람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저장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웹표시문서는 반드시 통상의 웹브라우저로 전시 가능한 문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웹문서열람툴을 통하여 사용자가 열람 가능한 표시문서이면 이는 균등물의 범위에 포함된다.
요구사항정보는 요구사항 아이디(ID), 요구사항 내용, 요구사항에 포함된 각 단위요구사항에 대한 원본문서 내 위치 및 웹표시문서 내 위치, 및 후술하는 요구사항의 추적성 정보 등을 포함한다.
원본문서,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정보는 참조주소 또는 고유코드를 통하여 가상 통합된 일체화 문서(virtually integrated document)를 구성한다.
웹문서열람툴(WSA)은 요구사항 문서에 대한 열람 권한을 가진 요구사항 열람자가 사용하는 도구로서, 사용자에게 요구사항문서에 대한 목록을 보여주고, 서버로 부터 요청하여 선택된 요구사항 정보를 웹표시문서와 함께 전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므로 문서열람자에게 네트웍 상에서 적합한 형식으로 쉽게 요구사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요구사항 관리 목적상 웹문서열람툴을 이용하여 요구사항을 편집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으며, 요구사항의 내용 및 변환된 기타 정보의 열람만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원본문서 편집자는 문서에 대한 열람 권한도 가지게 되므로 동시에 문서열람자가 될 수도 있다.
요구사항데이터서버(RS)는 요구사항 문서와 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이다. RS는 ECA와 WSA간의 데이터 저장 및 데이터 검색 등의 기능을 지원하여, ECA나 WSA의 요청에 따라 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원본문서편집모듈은 각 단위요구사항의 상위레벨 요구사항 또는 하위레벨 요구사항을 요구사항정보에 포함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웹문서열람모듈도 각 단위요구사항의 상위레벨 요구사항 또는 하위레벨 요구사항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저장된 요구사항정보를 이용하여 요구사항들 간의 추적성을 네트웍 상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요구사항 추적성이란 해당 단위요구사항이 참조하고 있는 상위레벨 및 하위레벨 요구사항과의 관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요구사항 →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 테스트 요구사항이 순서대로 레벨관계를 구성한다고 가정하면,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은 상위레벨의 시스템 요구사항 중에서 어느 시스템 요구사항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인지를 명시적으로 표시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연관관계는 소프트웨어가 시스템 요구사항을 누락 없이 구현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마찬가지로, 테스트 요구사항은 그 상위레벨 요구사항인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중에서 어느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요구사항인지를 명시적으로 표시한다. 만일 해당 테스트가 실패했을 경우, 테스트 요구사항이 추적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았다고 추정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원본문서편집툴(ECA)에서 단위요구사항과 관련된 상위레벨 요구사항과 하위레벨 요구사항의 화면 배치 구획도이고, 도 3은 도 2에 대응되는 화면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서 가운데(파란색) 부분은 각 단위요구사항을 작성하는 부분이고, 좌상단(붉은색) 부분은 상위레벨 요구사항이 표시되는 부분이며, 오른쪽(초록색) 부분은 하위레벨 요구사항이 표시되는 부분이다. 상위/하위레벨 요구사항은 각각 요구사항이 포함된 문서, 요구사항 ID, 요구사항 내용을 표시한다. 도3의 상위레벨 요구사항의 예를 보면, 요구사항이 "상위요건.docx"라는 원본문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추출되어 요구사항목록에 표시된 요구사항 아이디(ID)는 "FRE1.1", "FRE1.2", "FRE2.1", "FRE2.2", "FRE2.3", "FRE2.4" 등이므로 적어도 6개의 단위요구사항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 중에서 단위요구사항 "FRE1.2"가 선택되어 반전 표시되었을 때 그 "요구사항 내용"은 "PM은 공통 기능 화면에서 프로젝트 기본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와 같이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서술적 문구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요구사항"이라 함은 원본문서에 포함된 요구사항 전체를 포괄하여 통칭하는 것이며, "요구사항"은 통상 복수개의 "단위요구사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단위요구사항"은 "요구사항" 내에서 개별적으로 구별 가능한 요구사항의 최소단위를 지칭한다.
도 4는 웹문서열람툴(WSA) 화면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의 좌측에는 요구사항 목록이 도시되고, 우측에는 웹표시문서가 전시된다. WSA도 원본문서편집툴과 유사하게 선택된 단위요구사항이 포함된 웹표시문서와 상위레벨 및 하위레벨 요구사항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원본문서에서 각 단위요구사항을 식별하고 요구사항정보를 통하여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내용을 연결시키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하나의 단위요구사항은 원본 문서에 범위 식별 기능을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원본문서는 각 단위요구사항이 식별되는 범위 식별자가 설정되어 있으며, 요구사항정보의 각 단위요구사항의 원본문서 내 위치는 해당 범위 식별자의 레이블을 통하여 지정된다. 범위 식별자의 레이블에 의하여 각 단위요구사항이 원본문서 및 웹표시문서 내에서 어느 위치에 기록되는지 규정된다. 원본문서에서 하나의 단위요구사항으로 범위 식별 되는 부분은 통상 단위요구사항 아이디(ID)와 단위요구사항 내용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범위 식별자의 일 실시예로서 책갈피(Bookmark)라고 지칭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범위 식별자는 원본 문서내에서 범위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이하에서 책갈피를 실시예로서 설명하나 반드시 통상의 책갈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책갈피는 특정 단위요구사항의 아이디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식별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명시적인 지정을 통하여 식별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단위요구사항은 "[SWR1.1]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게 ~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등의 요구사항 작성형식으로 단위요구사항 ID와 '~해야 한다'는 내용 문구로 작성되어진다. 따라서 원본문서에서 단위요구사항 작성형식으로 작성된 부분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책갈피를 자동으로 지정하여 단위요구사항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요구사항 작성형식을 따르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원본문서에서 사용자가 직접 요구사항에 해당 부분을 마우스의 드래그 기능을 이용하여 지정한 후, 수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수동으로 등록할 경우에도 단위요구사항 ID 부분은 자동으로 인식되어 등록되며, 만일 문서편집자가 요구사항 ID 형식이 일치하지 않는 요구사항을 등록하려고 할 경우, 문서편집자가 ID를 등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여 요구사항이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자동 혹은 수동으로 등록된 요구사항은 요구사항 정보로 구성되어 요구사항데이터서버에 관리되며, 단위요구사항 ID, 단위요구사항 내용, 단위요구사항의 문서 내의 위치 및 요구사항 추적성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도 5는 요구사항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요구사항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전술한 가상 통합 문서(virtually integrated document)의 구조와 관련된다.
원본문서 및 웹표시문서를 포함하는 요구사항문서는 요구사항문서 테이블(b)에 저장된다. 이는 하나의 프로젝트(a)에 포함되어 있다. 즉, 하나의 프로젝트(a)는 여러 개의 요구사항문서(b)를 가질 수 있다. 요구사항문서(b)는 논리적인 개념에서의 요구사항문서를 가리킴으로 요구사항문서의 버젼이 변경되어도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시스템요구사항 명세서는 하나의 요구사항문서이며, 이 문서의 버전이 v1.0, v2.0 등으로 갱신되어도 시스템요구사항 명세서는 프로젝트에 한개만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버전이 달라지면, 물리적인 파일은 여러 개 생성된다. 이러한 물리적인 파일은 파일테이블(d)에서 관리된다. 이 파일테이블(d)과 요구사항문서(b) 사이의 버젼에 대한 연관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곳이 요구사항 버젼 테이블(c)이다. 하나의 요구사항문서(b)에는 여러 개의 요구사항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단위요구사항들은 요구사항 테이블(e)에 저장된다. 단위요구사항은 자신의 상위 요구사항에 대한 추적성 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요구사항 추적성 테이블(f)을 이용하여 관계를 저장한다.
앞서 기술된대로, 요구사항문서는 원본문서(orgFileName)와 웹표시문서(htmlFileName)로 나뉘어 관리된다(요구사항문서 테이블(b)의 붉은색 점선 영역 참조). 요구사항은 별도의 테이블로 따로 관리된다(요구사항 테이블(e)). 요구사항 테이블(e)에는 책갈피 아이디(bookmarkID)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원본문서와 웹표시문서에서의 단위요구사항의 위치를 찾아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절차적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라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요구사항을 관리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요구사항 문서는 고객과의 합의에 의하여 작성되는 문서이므로, 문서편집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고객과 합의가 이루어진 요구사항 문서는 체크인(check-in) 후 서버에 등록된다. 일단 서버에 등록된 문서는 열람만이 가능하다. 변경 필요성에 따라 수정이 승인된 요구사항 문서는 수정권한을 요청할 수 있으며, 시스템 관리자는 이를 변경 승인(체크아웃,check-out)할 수 있다. 체크아웃된 요구사항 문서는 수정이 가능하며, 수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고객과 합의가 이루어지면 체크인 과정을 통하여 서버에 재등록된다.
도 6은 원본문서편집모듈, 웹문서열람모듈, 및 요구사항데이터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요구사항 관리방법에서 요구사항 문서의 등록, 수정 및 재등록 절차를 간략하게 도시하며, 이하에서 이와 관련된 설명을 한다.
원본문서편집모듈에서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원본문서를 불러오거나 작성한 후, 요구사항데이터서버에 체크인한다. 원본문서편집모듈은 원본문서를 웹표시문서로 변환하고, 요구사항 내용 및 요구사항에 포함된 각 단위요구사항에 대한 원본문서 내 위치 및 웹표시문서 내 위치를 추출하여 요구사항정보를 작성한다. 그 다음, 원본문서편집모듈을 통하여 원본문서,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정보를 요구사항데이터서버에 등록한다. 원본문서,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정보는 참조주소 또는 고유코드를 통하여 가상 통합되는 일체화 문서를 구성한다. 원본문서는 각 단위요구사항이 식별되는 범위 식별자가 설정되어 있으며, 요구사항정보의 각 요구사항의 원본문서 내 위치는 해당 범위 식별자의 레이블을 통하여 지정된다.
웹문서열람모듈에서 등록된 웹표시문서를 열람한 후, 열람하는 요구사항문서에 대하여 수정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문서열람자는 WSA상에서 문서에 대한 수정 권한을 요청한다. 시스템 관리자에 의하여 수정권한이 승인되면, 웹문서열람모듈을 통하여 웹표시문서의 해당 요구사항을 체크아웃 한다. 원본문서편집모듈에서 요구사항데이터서버에 체크아웃된 요구사항문서의 목록을 확인하고 편집하고자 하는 요구사항문서를 선택하여 그 원본문서를 다운로드하여 편집한다. 원본문서편집모듈에서 체크인하고, 원본문서,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정보를 요구사항데이터서버에 재등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요구사항문서 관리방법은 원본문서를 가상의 일체화 문서의 일부로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등록함으로써, 등록된 요구사항 문서의 재편집이 필요할 경우, 원본문서를 그대로 불러와서 재편집이 가능하므로 원본문서의 서식이나 일부 개체가 달라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요구사항문서의 재편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작성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진다. 첨부된 청구항의 균등물로의 치환은 첨부된 청구항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해당사항 없음

Claims (9)

  1.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원본문서;
    원본문서의 요구사항을 표시하는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 내용 및 요구사항에 포함된 각 단위요구사항에 대한 원본문서 내 위치 및 웹표시문서 내 위치를 포함한 요구사항정보;를 저장하는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원본문서,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정보는 참조주소 또는 고유코드를 통하여 가상 통합되는 일체화 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원본문서를 편집하는 문서편집기를 포함하며, 원본문서를 웹표시문서로 변환하며, 원본문서로부터 요구사항정보를 추출하는 원본문서편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웹표시문서를 전시하는 웹문서열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원본문서는 각 단위요구사항이 식별되는 범위 식별자가 설정되어 있으며, 요구사항정보의 각 단위요구사항의 원본문서 내 위치는 해당 범위 식별자의 레이블을 통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원본문서에서 하나의 단위요구사항으로 범위 식별 되는 각 부분은 단위요구사항 아이디와 단위요구사항 내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7. 원본문서편집모듈, 웹문서열람모듈, 및 요구사항데이터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요구사항 관리방법에 있어서,
    원본문서편집모듈에서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원본문서를 불러오거나 작성하는 단계;
    원본문서편집모듈을 통하여 원본문서, 원본문서의 요구사항을 표시하는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 내용 및 요구사항에 포함된 각 단위요구사항에 대한 원본문서 내 위치 및 웹표시문서 내 위치를 포함한 요구사항정보를 요구사항데이터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웹문서열람모듈에서 등록된 웹표시문서를 열람하는 단계;
    원본문서편집모듈에서 요구사항데이터서버의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해당 원본문서를 다운로드하여 편집하는 단계; 및
    원본문서,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정보를 요구사항데이터서버에 재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구사항 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원본문서, 웹표시문서, 및 요구사항정보는 참조주소 또는 고유코드를 통하여 가상 통합되는 일체화 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관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원본문서는 각 단위요구사항이 식별되는 범위 식별자가 설정되어 있으며, 요구사항정보의 각 단위요구사항의 원본문서 내 위치는 해당 범위 식별자의 레이블을 통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관리방법.
KR1020120138665A 2012-12-03 2012-12-03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요구사항 관리방법 KR101370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665A KR101370973B1 (ko) 2012-12-03 2012-12-03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요구사항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665A KR101370973B1 (ko) 2012-12-03 2012-12-03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요구사항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973B1 true KR101370973B1 (ko) 2014-03-14

Family

ID=5064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665A KR101370973B1 (ko) 2012-12-03 2012-12-03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요구사항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638A (ko) 2020-03-31 2021-10-08 에이비앤아이(주) 개발 프로젝트에서 복수의 분석 의도를 지원하는 목표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589A (ko) * 2008-12-05 2010-06-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요구 사항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589A (ko) * 2008-12-05 2010-06-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요구 사항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638A (ko) 2020-03-31 2021-10-08 에이비앤아이(주) 개발 프로젝트에서 복수의 분석 의도를 지원하는 목표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0413B1 (en) Web content management
US10061788B2 (en) Transformation of document flow to contributors network
US201902361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60124914A1 (en) Page Processing for Mobile App
JP2016029558A (ja) 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を開発する方法、及び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生成を支援する装置
US10210142B1 (en) Inserting linked text fragments in a document
US201300548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ssembling an application on a client device
CN102103500B (zh) 操作监视装置
US7720814B2 (en) Repopulating a database with document content
US20150347353A1 (en) Document layering platform
Foster CodeIgniter web application blueprints
JP5867540B2 (ja) プログラム生成装置、プログラム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048859B2 (en) Transforming a website for dynamic web content management
KR101370973B1 (ko) 요구사항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요구사항 관리방법
US10788959B2 (en) Personalization of a web application
Kohler Atlassian confluence 5 essentials
KR102014500B1 (ko)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및 드릴-다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및 재생 시스템
Rizzo et al. Professional SharePoint 2010 Development
US9342530B2 (en) Method for skipping empty folders when navigating a file system
US9734160B1 (en) Virtual file system for hosted network sites
US9772984B2 (en) Visualization interface for information object system
JP5682984B1 (ja) 文書処理システム
US11983756B2 (en) Quick information portal
KR102014501B1 (ko)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및 드릴-다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및 재생 시스템
US816638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luding customized CDA attributes for searching and retrie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