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706B1 -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706B1
KR101370706B1 KR1020120071259A KR20120071259A KR101370706B1 KR 101370706 B1 KR101370706 B1 KR 101370706B1 KR 1020120071259 A KR1020120071259 A KR 1020120071259A KR 20120071259 A KR20120071259 A KR 20120071259A KR 101370706 B1 KR101370706 B1 KR 101370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value
transform
conversion valu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879A (ko
Inventor
김성완
이재호
임경민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706B1/ko
Priority to PCT/KR2013/005810 priority patent/WO2014003507A1/ko
Publication of KR20140003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arrangement of data among different coding units, e.g. shuffling, interleaving, scrambling or permutation of pixel data or permutation of transform coefficient data among differen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차영상 정보를 전처리하여 영상을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는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영상 정보를 일 차원 배열로 변환하는 배열 변환부; 상기 배열에 포함된 스트링들에 변환 함수를 적용하여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결정하는 변환값 결정부; 및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사용하여 스트링들을 순차적으로 그룹화하는 그룹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PROCESSING OF VIDEO CODER}
본 발명은 차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영상을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BWT(Burrows-Wheeler transform) 기술을 기초로 차영상 정보를 전처리하여 영상을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에는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영상 정보와 영상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 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송하고, 예측 정보로 예측한 영상을 차영상 정보로 보정하여 원본 영상을 복호화하는 기술이 있다.
이때, 영상의 해상도가 증가하면, 예측 정보로 생성한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차이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해상도 증가에 따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정보에서 차영상 정보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차영상 정보의 부호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차영상 정보를 부호화하기 전에 차영상 정보의 스트링에 따라 분류하는 전처리 과정을 추가함으로써 차영상 정보의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는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영상 정보를 일 차원 배열로 변환하는 배열 변환부; 상기 배열에 포함된 스트링들에 변환 함수를 적용하여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결정하는 변환값 결정부; 및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사용하여 스트링들을 순차적으로 그룹화하는 그룹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의 그룹화부는 각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보다 변환값이 작은 스트링들을 각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의 그룹화부는 각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보다 변환값이 큰 스트링이 있는 경우, 신규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변환값이 큰 스트링을 신규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의 변환값 결정부는 절대값 함수를 포함하는 변환 함수를 사용하여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의 변환값 결정부는 상기 배열에 포함된 스트링들 중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을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는 그룹화부가 그룹화한 그룹들에 bijective-BWT 변환을 적용하는 BWT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기의 후처리 장치는 그룹들 각각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을 식별하는 변환값 식별부;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그룹을 결합하여 일 차원 배열을 생성하는 배열 생성부; 및 일 차원 배열을 차영상 정보로 변환하는 차영상 정보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기의 후처리 장치는 부호화 정보에 역BWT 변환을 적용하여 변환값 식별부에 제공하는 역BWT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방법은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영상 정보를 일 차원 배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배열에 포함된 스트링들에 변환 함수를 적용하여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사용하여 스트링들을 순차적으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기의 후처리 방법은 그룹들 각각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을 식별하는 단계;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그룹을 결합하여 일 차원 배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일 차원 배열을 차영상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차영상 정보를 부호화하기 전에 차영상 정보의 스트링에 따라 분류하는 전처리 과정을 추가함으로써 차영상 정보의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가 포함된 영상 부호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룹화부가 배열의 스트링들을 그룹화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기의 후처리부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가 복호화 정보를 사용하여 일 차원 배열을 생성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처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방법은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는 예측 영상 생성부(110), 차영상 정보 생성부(120), 차영상 정보 변환부(130), 전처리부(140), 및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영상 생성부(110)는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원본 영상의 다음 프레임의 값을 예측하여 예측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예측 모드는 다양한 크기의 매크로 블록이고, 각각의 매크로 블록마다 인트라(intra) 모드, 또는 인터(inter)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측 영상 생성부(110)는 예측 모드 중에서 예측 영상을 생성할 때 사용할 최적의 예측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최적의 예측 모드를 사용하여 예측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차영상 정보 생성부(120)는 예측 영상 생성부(110)가 생성한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다음 프레임을 비교하여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차영상 정보 변환부(130)는 차영상 정보 생성부(120)가 생성한 차영상 정보에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및 양자화(quantization)를 적용할 수 있다.
전처리부(140)는 bijective-BWT(Burrows-Wheeler transform) 기술을 기초로 차영상 정보 변환부(130)가 변환한 차영상 정보를 전처리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전처리부(140)가 전처리한 차영상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부(140)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100)의 전처리부 (140)는 배열 변환부(210), 변환값 결정부(220), 그룹화부(230) 및 BWT 변환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열 변환부(210)는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영상 정보를 일 차원 배열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열 변환부(210)는 차영상 정보 변환부(130)가 변환한 차영상 정보를 고주파부터 저주파의 방향으로 스캐닝하여 일 차원 배열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값 결정부(220)는 배열에 포함된 스트링(string)들에 변환 함수를 적용하여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변환값 결정부(220)는 수학식 1을 만족하는 변환 함수 T를 사용하여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2052393212-pat00001
이때, abs() 함수는 절대값 함수이고, a, b는 배열의 스트링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배열에 포함된 스트링들 중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은 0일 수 있다.
그리고, 변환값 결정부(220)는 수학식 1을 만족하는 다른 함수들을 변환 함수 T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변환값 결정부(220)는 log(abs(x)) 또는 floor(x^2/c)를 변환 함수 T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룹화부(230)는 변환값 결정부(220)가 결정한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사용하여 스트링들을 순차적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때, 그룹화부(230)는 그룹 각각이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스트링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Figure 112012052393212-pat00002
이때, f0은 각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이고, fi는 각 그룹의 i 번째 스트링일 수 있다.
즉, 그룹화부(230)는 각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보다 변환값이 작은 스트링들을 각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또한, 그룹화부(230)는 각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보다 변환값이 큰 스트링이 있는 경우, 신규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변환값이 큰 스트링을 신규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룹화부(230)과 스트링들을 그룹화하는 과정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BWT 변환부(240)는 그룹화부(230)가 그룹화한 그룹들에 BWT 변환을 적용하여 그룹들 전체에 포함된 유사 계수들을 유사 계수 별로 모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룹화부 배열의 스트링들을 그룹화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먼저, 그룹화부(230)는 배열(300)에 포함된 스트링들 중 제1 스트링(301)의 변환값 0을 제2 스트링(302)의 변환값 5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트링(302)의 변환값 5는 제1 스트링(301)의 변환값 0보다 크므로 그룹화부(230)는 제1 스트링(301)를 제1 그룹(310)으로 그룹화하고, 제2 스트링(302)를 첫 번째 스트링으로 설정한 제2 그룹(320)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그룹화부(230)는 제2 스트링(302)의 변환값 5을 제3 스트링(303)의 변환값 4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3 스트링(303)의 변환값 4는 제2 스트링(302)의 변환값 5보다 작으므로 그룹화부(230)는 제3 스트링(303)를 제2 그룹(320)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룹화부(230)는 제3 스트링(303) 이후의 스트링의 변환값들을 각각 제2 스트링(302)의 변환값 5와 비교하고, 변환값이 5보다 적은 스트링들을 제2 그룹(320)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그룹화부(230)는 제5 스트링(304)와 같이 변환값이 제2 스트링(302)의 변환값 5보다 큰 스트링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스트링(302)부터 제5 스트링(304) 직전에 위치한 제4 스트링(305)까지의 스트링들을 제2 그룹(320)으로 그룹화하고, 제5 스트링(304)를 첫 번째 스트링으로 설정한 제3 그룹(330)을 생성할 수 있다.
그룹화부(230)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제3 그룹(330)을 확정하고, 제5 스트링(304)의 변환값 6보다 변환값이 큰 제6스트링(306)을 첫 번째 스트링으로 설정한 제4 그룹(34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변환값들은 양수이므로 제1 스트링(301)의 변환값 0보다 변환값이 작은 스트링은 없다. 따라서, 제1 그룹(310)는 스트링의 원본값과 상관 없이 항상 배열의 첫 번째 스트링만 포함하는 그룹일 수 있다.
즉, 배열의 첫 번째 스트링의 위치가 보존되므로 엔트로피 부호화부(150)에서 사용하는 Last non-zero position 정보가 보존될 수 있다.
또한, BWT 연산을 수행할 경우, 변환값이 0인 스트링들을 연산에서 제외할 수 있으므로 연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기(40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410), 후처리부(420), 예측 영상 생성부(430), 및 원본 영상 생성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410)는 영상 부호화기(100)로부터 수신한 부호화 정보를 복호화하여 복호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후처리부(42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410)가 생성한 복호화 정보를 역변환하여 전처리부(140)에 입력된 차영상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이때, 후처리부(420)는 역변환한 차영상 정보에 역 이산 코사인 변환 및 역양자화를 적용할 수 있다.
예측 영상 생성부(430)는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원본 영상의 다음 프레임의 값을 예측하여 예측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원본 영상은 이전 프레임의 부호화 정보에서 복호화한 영상이고, 예측 모드는 다양한 크기의 매크로 블록이며, 각각의 매크로 블록마다 인트라(intra) 모드, 또는 인터(inter)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원본 영상 생성부(430)는 후처리부(420)가 복호화한 차영상 정보와 예측 영상 생성부(430)가 생성한 예측 영상을 사용하여 원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예측 영상 생성부(430)가 생성한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실제 프레임 간의 차이는 차영상 정보에 포함되므로 원본 영상 생성부(430)는 예측 영상에 차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원본 영상의 다음 프레임을 복호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기의 후처리부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기(400)의 후처리부 (420)는 BWT 역변환부(510), 변환값 식별부(520), 배열 생성부(530) 및 차영상 정보 변환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BWT 역변환부(510)는 부호화 정보에 역 BWT 변환을 적용하여 그룹화부(230)가 그룹화한 그룹들을 복호화할 수 있다.
변환값 식별부(520)는 BWT 역변환부(510)가 복호화한 그룹들 각각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을 식별할 수 있다.
배열 생성부(530)는 변환값 식별부(520)가 식별한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그룹을 결합하여 일 차원 배열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열 생성부(530)는 변환값 식별부(520)가 식별한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의 크기가 작은 순서부터 그룹들을 정렬하고, 정렬한 그룹들을 결합하여 일 차원 배열을 생성할 수 있다.
후처리부(420)가 일 차원 배열을 생성하는 과정은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차영상 정보 변환부(540)는 배열 생성부(530)가 생성한 일 차원 배열을 차영상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영상 정보 변환부(540)는 일 차원 배열을 저주파부터 고주파 방향으로 역스캐닝하여 차영상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가 복호화 정보를 사용하여 일 차원 배열을 생성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먼저, 변환값 식별부(52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410)로부터 제1 그룹(611), 제2 그룹(612), 제3 그룹(613) 및 제4 그룹(614)를 포함하는 복호화 정보(610)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변환값 식별부(520)는 제1 그룹(611), 제2 그룹(612), 제3 그룹(613) 및 제4 그룹(614)의 첫 번째 스트링들의 변환값이 각각 0, 5, 7, 6 임을 식별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배열 생성부(530) 변환값이 가장 작은 0인 제1 그룹(611)의 위치를 가장 앞으로 설정하고, 변환 값이 5인 제2 그룹(612), 변환값이 6인 제4 그룹(614) 및 변환값이 7인 제3그룹(6130)의 순서로 각 그룹들을 정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열 생성부(530)는 정렬한 그룹(620)들을 정렬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일 차원 배열(630)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420)는 그룹들 각각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의 크기에 따라 그룹들을 결합함으로써, 그룹들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추가 정보 없이도 차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일 차원 배열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710)에서 예측 영상 생성부(110)는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원본 영상의 다음 프레임의 값을 예측하여 예측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720)에서 차영상 정보 생성부(120)는 단계(710)에서 생성한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다음 프레임을 비교하여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차영상 정보 변환부(130)는 단계(720)에서 생성한 차영상 정보에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및 양자화(quantization)를 적용할 수 있다.
단계(740)에서 전처리부(140)는 BWT(Burrows-Wheeler transform) 기술을 기초로 단계(730)에서 변환한 차영상 정보를 전처리할 수 있다.
단계(750)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단계(740)에서 전처리한 차영상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때, 단계(810) 내지 단계(840)는 도 7의 단계(740)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810)에서 배열 변환부(210)는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영상 정보를 일 차원 배열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열 변환부(210)는 차영상 정보 변환부(130)가 변환한 차영상 정보를 고주파부터 저주파의 방향으로 스캐닝하여 일 차원 배열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820)에서 변환값 결정부(220)는 단계(820)에서 변환한 배열의 스트링들에 변환 함수를 적용하여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830)에서 그룹화부(230)는 단계(820)에서 결정한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사용하여 스트링들을 순차적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때, 그룹화부(230)는 각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보다 변환값이 작은 스트링들을 각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또한, 그룹화부(230)는 각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보다 변환값이 큰 스트링이 있는 경우, 신규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변환값이 큰 스트링을 신규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840)에서 BWT 변환부(240)는 단계(830)에서 그룹화한 그룹들에 bijective-BWT 변환을 적용하여 그룹들 전체에 포함된 유사 계수들을 유사 계수 별로 모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910)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부(410)는 영상 부호화기(100)로부터 수신한 부호화 정보를 복호화하여 복호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920)에서 후처리부(420)는 단계(910)에서 생성한 복호화 정보를 역변환하여 전처리부(140)에 입력된 차영상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단계(930)에서 예측 영상 생성부(430)는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원본 영상의 다음 프레임의 값을 예측하여 예측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940)에서 원본 영상 생성부(430)는 단계(920)에서 복호화한 차영상 정보와 단계(930)에서 생성한 예측 영상을 사용하여 원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영상 정보 복호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때, 단계(1010) 내지 단계(1040)는 도 9의 단계(920)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1010)에서 BWT 역변환부(510)는 부호화 정보에 역 BWT 변환을 적용하여 그룹화부(230)가 그룹화한 그룹들을 복호화할 수 있다.
단계(1020)에서 변환값 식별부(520)는 단계(1010)에서 복호화한 그룹들 각각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1030)에서 배열 생성부(530)는 단계(1020)에서 식별한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그룹을 결합하여 일 차원 배열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1040)에서 차영상 정보 변환부(540)는 단계(1030)에서 생성한 일 차원 배열을 차영상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영상 정보 변환부(540)는 일 차원 배열을 저주파부터 고주파 방향으로 역스캐닝하여 차영상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영상 정보를 부호화하기 전에 차영상 정보의 스트링에 따라 분류하는 전처리 과정을 추가함으로써 차영상 정보의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영상 정보를 전처리 하는 과정의 추가만으로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다양한 영상 부호화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영상 부호화기
140: 전처리부
220: 변환값 결정부
230: 그룹화부
400: 영상 복호화기
420: 후처리부
510: 변환값 식별부
520: 배열 생성부

Claims (16)

  1.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영상 정보를 일 차원 배열로 변환하는 배열 변환부;
    상기 배열에 포함된 스트링들에 변환 함수를 적용하여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결정하는 변환값 결정부; 및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사용하여 스트링들을 순차적으로 그룹화하는 그룹화부
    를 포함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부는,
    각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보다 변환값이 작은 스트링들을 각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부는,
    각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보다 변환값이 큰 스트링이 있는 경우, 신규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변환값이 큰 스트링을 신규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으로 설정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값 결정부는,
    절대값 함수를 포함하는 변환 함수를 사용하여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결정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값 결정부는,
    상기 배열에 포함된 스트링들 중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을 0으로 결정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부가 그룹화한 그룹들에 bijective-BWT 변환을 적용하는 BWT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7. 그룹들 각각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을 식별하는 변환값 식별부;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그룹을 결합하여 일 차원 배열을 생성하는 배열 생성부; 및
    일 차원 배열을 차영상 정보로 변환하는 차영상 정보 변환부
    를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기의 후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부호화 정보에 역BWT 변환을 적용하여 변환값 식별부에 제공하는 역BWT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기의 후처리 장치.
  9. 예측 영상과 원본 영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영상 정보를 일 차원 배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배열에 포함된 스트링들에 변환 함수를 적용하여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사용하여 스트링들을 순차적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하는 단계는,
    각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보다 변환값이 작은 스트링들을 각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하는 단계는,
    각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보다 변환값이 큰 스트링이 있는 경우, 신규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변환값이 큰 스트링을 신규 그룹의 첫 번째 스트링으로 설정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절대값 함수를 포함하는 변환 함수를 사용하여 스트링들 각각의 변환값을 결정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열에 포함된 스트링들 중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을 0으로 결정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그룹화한 그룹들에 bijective-BWT 변환을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방법.
  15. 그룹들 각각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을 식별하는 단계;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그룹을 결합하여 일 차원 배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일 차원 배열을 차영상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기의 후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부호화 정보에 역BWT 변환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값을 식별하는 단계는
    역BWT 변환이 적용된 부호화 정보 중에서 그룹들 각각의 첫 번째 스트링의 변환값을 식별하는 영상 복호화기의 후처리 방법.
KR1020120071259A 2012-06-29 2012-06-29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70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259A KR101370706B1 (ko) 2012-06-29 2012-06-29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및 방법
PCT/KR2013/005810 WO2014003507A1 (ko) 2012-06-29 2013-07-01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와 3차원 얼굴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259A KR101370706B1 (ko) 2012-06-29 2012-06-29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79A KR20140003879A (ko) 2014-01-10
KR101370706B1 true KR101370706B1 (ko) 2014-03-12

Family

ID=5014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259A KR101370706B1 (ko) 2012-06-29 2012-06-29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7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043A (ko) * 2006-07-06 2008-01-1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의 기본 블록들의 다차원 구성을 통한 다단계 변환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97013A (ko) * 2008-03-10 2009-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장치 및 영상 복호화장치
KR20100044333A (ko) * 2008-10-22 2010-04-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영상 부호화 장치 및 이를 위한 영상 신호의 2차원 정렬 변환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10070687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차원 변환 및 양자화가 가능한 부호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복호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043A (ko) * 2006-07-06 2008-01-1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의 기본 블록들의 다차원 구성을 통한 다단계 변환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97013A (ko) * 2008-03-10 2009-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장치 및 영상 복호화장치
KR20100044333A (ko) * 2008-10-22 2010-04-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영상 부호화 장치 및 이를 위한 영상 신호의 2차원 정렬 변환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10070687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차원 변환 및 양자화가 가능한 부호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복호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79A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477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и декод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рупной единицы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KR101351714B1 (ko) 비트 스트림 복호 방법
KR101375668B1 (ko) 변환 계수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5733590B2 (ja) 変換係数レベルを符号化するコンテキストモデリング技法
US8483500B2 (en) Run length coding with context model for image compression using sparse dictionaries
RU2008142358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и декодир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связанные с сжатием видеосигнала
RU2567988C2 (ru) Кодер,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данных, декодер, способ декодирования данных,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и программный продукт
JP4831547B2 (ja) 画像圧縮および伸張加速化のための方法
US20240040128A1 (en) Image encoding device, image decoding device and program
US20130082850A1 (en) Data encoding apparatus, data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US9848204B2 (en) Spatial prediction method and device, coding and decoding methods and devices
KR20140048322A (ko)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KR101370706B1 (ko) 영상 부호화기의 전처리 장치 및 방법
JP5674596B2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及びこれらのプログラム
KR20130062108A (ko) 적응적 탬플릿을 이용한 이진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09136475A1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方法
JP5676184B2 (ja) 画像系列を時間的に位置合わせする方法及びレジストレーション装置
KR100938498B1 (ko) 코드블록 노이즈 분산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jpeg2000스테가노그라피 장치 및 그 방법
JP2015035788A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79709A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39714B2 (ja) 符号化装置、復号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743884B2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RU257586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и декод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рупной единицы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Li et al. Lossless grey image compression using a splitting binary tree
Jakhetiya et al. Lossless/near lossless compression using bilateral filter and symmetrical structure based bias cance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