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519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519B1
KR101370519B1 KR1020130060302A KR20130060302A KR101370519B1 KR 101370519 B1 KR101370519 B1 KR 101370519B1 KR 1020130060302 A KR1020130060302 A KR 1020130060302A KR 20130060302 A KR20130060302 A KR 20130060302A KR 101370519 B1 KR101370519 B1 KR 101370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electrode
substrate
electrode
display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보
최경철
임근서
김용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60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 G02B26/0841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moved or deformed by electrost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7/00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B7/02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containing distinct electrical or optical devices of particular relevance for their function, e.g.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셔터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상부전극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상부전극의 일측 아래에 위치하는 제1하부전극을 포함하는 제1표시부;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2상부전극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전극의 일측 아래에 위치하는 제2하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표시부와 이격된 제2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전극의 일측과 상기 제1하부전극이 서로 가까워지고 상기 제1상부전극의 타측이 상기 기판과 멀어지고, 상기 제2상부전극의 일측과 상기 제2하부전극이 서로 가까워지고 상기 제2상부전극의 타측이 상기 기판과 멀어지고, 상기 제1상부전극의 상면은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제2상부전극의 하면으로 반사하고, 상기 제2상부전극의 하면은 입사되는 광을 상기 기판으로 반사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셔터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셔터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의 일종으로 반응속도가 우수한 특징을 가지는 소자이다.
마이크로 셔터는 전압차에 의해 생성되는 정전기적(electrostatic force) 인력에 의해 변형되는 특성을 갖는다. 마이크로 셔터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마이크로 셔터의 변형 특성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셔터의 동작에 따라 직접적으로 빛을 투과 또는 차단한다. 따라서, 전압 레벨이 낮은 구동 전압에 대해서도 빠른 응답속도를 갖는다.
종래의 마이크로 셔터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빛을 투과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미러(micro mirror)가 큰 각변위를 가지고 회전하여야 했다. 또한, 마이크로 미러가 이용될 경우 미러가 90도 회전해야 충분한 광효율을 가지게 된다. 마이크로 미러가 90도의 각변위를 가지기 위해서는 큰 변위(90도)에 따른 높은 구동 전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마이크로 셔터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마이크로 미러의 각변위를 90도 이하로 줄이고, 표시장치의 구동 전압을 줄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미러의 각변위가 90도 이하인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전압을 줄일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상부전극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상부전극의 일측 아래에 위치하는 제1하부전극을 포함하는 제1표시부;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2상부전극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전극의 일측 아래에 위치하는 제2하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표시부와 이격된 제2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전극의 일측과 상기 제1하부전극이 서로 가까워지고 상기 제1상부전극의 타측이 상기 기판과 멀어지고, 상기 제2상부전극의 일측과 상기 제2하부전극이 서로 가까워지고 상기 제2상부전극의 타측이 상기 기판과 멀어지고, 상기 제1상부전극의 상면은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제2상부전극의 하면으로 반사하고, 상기 제2상부전극의 하면은 입사되는 광을 상기 기판으로 반사한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전극과 상기 제2상부전극이 상기 기판과 평행하면, 상기 제1상부전극의 상면과 상기 제2상부전극의 상면은 입사되는 광을 역반사(retro-reflec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표시부와 상기 제2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표시부와 상기 제2표시부 사이로 입사되는 광을 역반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전극과 상기 제2상부전극에는 제1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하부전극과 상기 제2하부전극에는 상기 제1전압과 전압차를 갖는 제2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1상부전극과 상기 제1하부전극 사이 및 상기 제2상부전극과 상기 제2하부전극 사이에는 정전기적(electrostatic force)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전극과 상기 제2상부전극은 상기 기판의 상면을 기준으로 45도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하부전극은 경사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전극의 회전 각도는 상기 경사전극의 경사각도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과 상기 제1상부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부전극이 배치되는 홈을 갖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전극이 상기 제1하부전극에 가까워지면, 상기 제1상부전극의 일측이 상기 절연층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전극은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1회전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부가 상기 제1하부전극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기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이격되어 형성된 두 수직기둥 및 상기 두 기둥을 연결하고, 상기 두 기둥 상단에 형성되는 제1수평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상기 제1수평기둥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평기둥 및 상기 제2수평기둥의 타측에 형성되는 사각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제1수평기둥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수평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는 마이크로 미러의 각변위가 90도 이하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구동 전압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오프상태(off state)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온상태(on state)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계조표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제2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표시부의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제1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표시부는 기판(100) 상에 배치된 상부전극(200) 및 기판(100) 상에 배치된 하부전극(3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하나의 마이크로 셔터일 수 있다.
먼저 기판(100)은 유리재질 및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절연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부전극(200)은 금속(metal)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전극(200)은 상기 상부전극(200)으로 입사(incident)되는 광(light)을 반사할 수 있는 양면 반사형 금속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전극(200)은 상기 상부전극(200)으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전극(200)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은 상부전극(200)의 상면에서 역반사(retro-reflection)된다. 여기서, 역반사는 반사 경로가 입사 경로와 평행인 반사를 뜻한다.
상부전극(200)은 제1회전부(201), 제2회전부(202) 및 지지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회전부(201), 제2회전부(202) 및 지지부(203)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부(201) 및 제2회전부(202)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후 지지부(203)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203)는 이격되어 형성된 두 수직기둥 및 상기 두 기둥을 연결하고, 상기 두 기둥 상단에 형성되는 제1수평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부(201)는 지지부(203)의 타측에 상기 제1수평기둥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평기둥 및 상기 제2수평기둥의 타측에 형성되는 사각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부(202)는 지지부(203)의 일측에 상기 제1수평기둥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수평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부(201)와 제2회전부(202)는 지지부(203)를 기준으로 소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회전부(202)는 외력이 발생하면 하부전극(300)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다. 제2회전부(202)가 하부전극(3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면, 제1회전부(201)는 지지부(203)를 축으로 하여 기판(1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소정각도 회전한다.
지지부(203)는 제1회전부(201)와 제2회전부(202)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지지부(203)는 제2회전부(202)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통로(channel)역할을 한다.
하부전극(3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전극(300)은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또한, 하부전극(300)은 제2회전부(202)와 마주할 수 있도록 제2회전부(202)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전극(300)은 제2회전부(202)에 대응하는 크기 및 모양일 수 있다. 하부전극(300)에는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부전극(200)과 하부전극(300)에 전압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압차에 따라 외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부전극(200)의 제2회전부(202)가 하부전극(300)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오프상태(off state)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온상태(on state)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앞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는 기판(100), 제1표시부(10), 제2표시부(20) 및 반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0)은 도 1의 기판(100)과 동일한 구성이고, 제1표시부(10) 및 제2표시부(20)는 도 1의 표시부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광은 기판(100) 방향으로 전파(propagation)될 수 있다.
제1표시부(10)는 제1상부전극(210) 및 제1하부전극(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표시부(10)는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표시부(20)는 제2상부전극(220) 및 제2하부전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표시부(20)는 기판(100) 상에 제1표시부(1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400)는 상기 반사부(400)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다. 반사부(400)는 기판(100)의 일측 상면 및 기판(100)의 타측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반사부(400)는 제1표시부(10)와 제2표시부(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400)는 제1표시부(10) 및 제2표시부(20)로 입사되는 광을 제외한 광을 역반사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제1표시부(10) 및 제2표시부(20)의 오프상태를 설명하면, 제1상부전극(210) 및 제2상부전극(220)은 입사되는 광을 역반사한다. 구체적으로, 광은 기판(100)에 수직하게 입사되고, 제1상부전극(210) 및 제2상부전극(220)은 기판(100)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그러므로, 광은 제1상부전극(210) 및 제2상부전극(220)에 수직하도록 입사된다. 따라서, 제1상부전극(210) 및 제2상부전극(220)에 입사된 광은 역반사된다.
제1 및 제2표시부(10, 20)가 오프상태일 때는 제1상부전극(210) 및 제2상부전극(220)과 반사부(400) 모두가 입사되는 광을 역반사한다. 따라서, 입사되는 광은 모두 기판(100)을 투과하지 못한다.
상기와 달리 도 3을 참조하여 제1표시부(10) 및 제2표시부(20)의 온상태를 설명하면, 제1상부전극(210) 및 제2상부전극(220)에는 제1전압이 인가되고. 제1하부전극(310) 및 제2하부전극(320)에는 제2전압이 인가된다. 제1전압과 제2전압은 소정 이상의 전압차를 갖는다. 여기서, 소정 이상의 전압차는 제1상부전극(210) 및 제2상부전극(220)의 타측이 제1하부전극(310) 및 제2하부전극(320)에 끌려가기 충분한 정전기적(electrostatic force) 인력이 발생할 수 있는 전압차이다.
제1상부전극(210)과 제1하부전극(310) 사이와 제2상부전극(220)과 제2하부전극(320) 사이에 정전기적 인력이 발생하면 제1상부전극(210)의 일측과 제1하부전극(310)이 서로 가까워지고 제1상부전극(210)의 타측이 기판(100)과 멀어진다. 또한, 제2상부전극(220)의 일측과 제2하부전극(320)이 서로 가까워지고 제2상부전극(220)의 타측이 기판(100)과 멀어진다.
정전기적 인력이 발생한 제1 및 제2상부전극(210, 220)은 기판(100)과 평행한 선을 기준으로 0도에서 45도로 회전한다. 여기서, 0도와 45도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각도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표시부(10, 20)의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상부전극(210, 220)이 회전하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45도로 회전한 제1상부전극(210)과 제2상부전극(220)에는 상기 제1상부전극(210)과 상기 제2상부전극(220)의 상면으로 광이 입사될 수 있다. 제1상부전극(210)의 상면으로 입사된 광은 제2상부전극(220)의 하면으로 반사된다. 또한, 제2상부전극(220)의 하면으로 입사된 광은 제2상부전극(220) 아래에 있는 기판(100)으로 반사된다. 그리고, 기판(100)으로 입사된 광은 기판(100)을 투과한다.
제1표시부(10) 및 제2표시부(20)가 온상태일 때는 제1상부전극(210)에 입사되는 광이 제2상부전극(220) 아래에서 기판(100)을 투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두 개의 표시부(10, 20)를 이용하였지만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행의 증진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둘 이상의 표시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다수의 화소(pixel)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화소는 하나의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고, 둘 이상의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상부전극(210) 및 제2상부전극(220)이 45도만 회전하여도 동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상부전극(210) 및 제2상부전극(220)이 45도 회전할 때의 표시장치의 두께는 제1상부전극(210) 및 제2상부전극(220)이 90도 회전할 때의 표시장치의 두께보다 얇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1상부전극(210) 및 제2상부전극(220)이 45도 회전할 때의 표시장치의 구동 전압은 제1상부전극(210) 및 제2상부전극(220)이 90도 회전할 때의 표시장치의 구동 전압보다 낮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계조표현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계조표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제1 내지 제4표시부(10, 20, 30, 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계조표현은 동작하는 표시부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계조는 빛의 농도를 뜻한다.
먼저, 도 4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표시부(10, 20, 30, 40)는 모두 오프상태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표시부(10, 20, 30, 40)가 모두 오프상태이므로, 도 4의 표시장치는 입사되는 모든 광을 역반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표시장치의 계조는 0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표시부(10) 및 제2표시부(20)는 온상태이고, 제3표시부(30) 및 제4표시부(40)는 오프상태일 수 있다. 제1표시부(10) 및 제2표시부(20)가 온상태이고, 제3표시부(30) 및 제4표시부(40)가 오프상태이므로, 도 5의 표시장치는 제2표시부(20) 아래에서 광을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표시장치의 계조는 1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표시부(10, 20, 30)는 온상태이고, 제4표시부(40)는 오프상태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표시부(10, 20, 30)가 온상태이고, 제4표시부(40)가 오프상태이므로, 도 6의 표시장치는 제2표시부(20) 및 제3표시부(30) 아래에서 광을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표시장치의 계조는 2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표시부(10, 20, 30, 40)는 온상태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표시부(10, 20, 30, 40)가 온상태이므로, 도 7의 표시장치는 제 2 내지 제4표시부(20, 30, 40) 아래에서 광을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표시장치의 계조는 3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는 온상태의 표시부에 개수에 따라서 계조를 표현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실시 형태>
이하에서는 제2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제2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표시부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9는 측면도이나, 경사전극(300')을 도시하기 위해 경사전극(300')부분은 단면도 형식으로 도시하였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였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부는 기판(100), 절연층(100'), 상부전극(200) 및 경사전극(300')을 포함한다.
경사전극(300')은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경사전극(300')은 도 1의 하부전극(300)과 형상만 다를 뿐 동일한 특성을 가진다.
절연층(100')은 기판(100) 상에 배치되고, 경사전극(300')이 배치된 부분에는 홈이 형성된다. 절연층(100')은 절연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전극(200)은 절연층(100') 상에 배치된다.
경사전극(300')은 기판(100) 상에 배치되고, 상부전극(200)은 상기 기판(100)보다 높은 절연층(100')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경사전극(300')의 높이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상부전극(200)의 지지부는 높이가 높아지지 않는다.
경사전극(300')은 45도로 경사진 계단형상일 수 있다. 45도로 경사진 경사전극(300')은 상부전극(200)이 45도의 각도를 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45도의 각도를 유지한 상부전극(200)의 일측은 경사전극(300')이 배치된 홈에 삽입된다. 여기서, 경사전극(300')은 반드시 계단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사전극(300')은 상부전극(200)이 45도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30, 40: 표시부 100: 기판
200, 210, 220: 상부전극 300, 310, 320: 하부전극
400: 반사부

Claims (10)

  1. 광이 투과될 수 있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상부전극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상부전극의 일측 아래에 위치하는 제1하부전극을 포함하는 제1표시부;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2상부전극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전극의 일측 아래에 위치하는 제2하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표시부와 이격된 제2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전극의 일측과 상기 제1하부전극이 서로 가까워지고 상기 제1상부전극의 타측이 상기 기판과 멀어지고,
    상기 제2상부전극의 일측과 상기 제2하부전극이 서로 가까워지고 상기 제2상부전극의 타측이 상기 기판과 멀어지고,
    상기 제1상부전극의 상면은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제2상부전극의 하면으로 반사하고, 상기 제2상부전극의 하면은 입사되는 광을 상기 기판으로 반사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전극과 상기 제2상부전극이 상기 기판과 평행하면,
    상기 제1상부전극의 상면과 상기 제2상부전극의 상면은 입사되는 광을 역반사(retro-reflection)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부와 상기 제2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표시부와 상기 제2표시부 사이로 입사되는 광을 역반사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전극과 상기 제2상부전극에는 제1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하부전극과 상기 제2하부전극에는 상기 제1전압과 전압차를 갖는 제2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1상부전극과 상기 제1하부전극 사이 및 상기 제2상부전극과 상기 제2하부전극 사이에는 정전기적(electrostatic force) 인력이 발생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전극과 상기 제2상부전극은 상기 기판의 상면을 기준으로 45도 회전하는,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전극은 경사전극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전극의 회전 각도는 상기 경사전극의 경사각도에 대응되는, 표시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제1상부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부전극이 배치되는 홈을 갖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전극이 상기 제1하부전극에 가까워지면, 상기 제1상부전극의 일측이 상기 절연층의 홈에 삽입되는,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전극은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1회전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부가 상기 제1하부전극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기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이격되어 형성된 두 수직기둥 및 상기 두 기둥을 연결하고, 상기 두 기둥 상단에 형성되는 제1수평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상기 제1수평기둥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평기둥 및 상기 제2수평기둥의 타측에 형성되는 사각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제1수평기둥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수평기둥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30060302A 2013-05-28 2013-05-28 표시장치 KR10137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302A KR101370519B1 (ko) 2013-05-28 2013-05-28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302A KR101370519B1 (ko) 2013-05-28 2013-05-28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519B1 true KR101370519B1 (ko) 2014-03-06

Family

ID=5064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302A KR101370519B1 (ko) 2013-05-28 2013-05-2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5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184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광경로변환 미소거울 화상소자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70279558A1 (en) * 2006-05-30 2007-12-06 Chang Jae-Hyuk Display device
KR20100027827A (ko) * 2008-09-03 201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10015318A (ko) * 2009-08-07 201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멤스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184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광경로변환 미소거울 화상소자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70279558A1 (en) * 2006-05-30 2007-12-06 Chang Jae-Hyuk Display device
KR20100027827A (ko) * 2008-09-03 201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10015318A (ko) * 2009-08-07 201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멤스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79900B (zh) 用于前光半后向反射显示器的方法和装置
JP5259728B2 (ja) 前面光ガイドおよび結合素子を有する表示部の光照明
KR101969713B1 (ko) 휘어진 표시 장치
JP6469656B2 (ja) 改善されたカラーフィルタの飽和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1221256B (zh) 微百叶窗、发光装置、显示装置和电子装置
US7447417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13011904A (ja) ディスプレイを照明するための二重膜光ガイド
TW201128282A (en) Touchscreens for displays
TWI729727B (zh) 雙視像區域背光件、雙模式顯示器和採用方向性發射器的方法
US7400438B2 (en) Micro-electro mechanical device, micro-electro mechanical device array, light modulation device, micro-electro mechanical light modulation device, micro-electro mechanical light modulation device arra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60091041A (ko)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간섭 변조기를 조명하는 시스템 및방법
CN101424808A (zh) 使用电驱动液晶透镜的立体显示设备
KR20060092924A (ko) 간섭 변조기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6313248A (ja) 液晶レンズ
US9684111B2 (en) Display apparatus
KR102411662B1 (ko) 액정 광 편향기 및 액정 광 편향기를 구비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JP2022107681A (ja) 3次元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370519B1 (ko) 표시장치
Hoskinson et al. Arrays of large-area, tip/tilt micromirrors for use in a high-contrast projector
US8416224B2 (en) Method of operating an array of electromechanical pixels resulting in efficient and reliable operation of light modulating elements
KR20150093893A (ko) 표시 장치
TWI568663B (zh) 微機電系統元件
KR102590788B1 (ko) Mems 디스플레이
KR102657488B1 (ko) Mems 디스플레이용 광 변조기
CN107577043A (zh) 用于显示器的mems光调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