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895B1 -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895B1
KR101369895B1 KR1020140005157A KR20140005157A KR101369895B1 KR 101369895 B1 KR101369895 B1 KR 101369895B1 KR 1020140005157 A KR1020140005157 A KR 1020140005157A KR 20140005157 A KR20140005157 A KR 20140005157A KR 101369895 B1 KR101369895 B1 KR 101369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haft
spacer
axle
inser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엽
Original Assignee
김홍엽
주식회사 알에스에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엽, 주식회사 알에스에프텍 filed Critical 김홍엽
Priority to KR1020140005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895B1/ko
Priority to PCT/KR2015/000388 priority patent/WO20151083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7/00Wheel-axle combinations, e.g. wheel sets
    • B60B37/04Wheel-axle combinations, e.g. wheel sets the wheels being rigidly attached to solid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1T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형자동차나 주행로봇의 바퀴축에 바퀴를 고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회전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퀴축이 삽입되는 축삽입부; 상기 축삽입부의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스페이서삽입부; 상기 스페이서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축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바퀴축이 지지되어 상기 바퀴의 중심에 일치하는 중심을 가지도록 가이드되는 축정렬스페이서; 상기 축삽입부에서 상기 스페이서삽입부의 반대측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볼트삽입부; 상기 볼트삽입부에 걸림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너트삽입부; 상기 너트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이 억제되는 축고정너트; 및 상기 볼트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축고정너트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축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바퀴축이 상기 축정렬스페이서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축고정볼트를 포함하도록 한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바퀴를 다양한 직경을 가진 바퀴축에 적용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바퀴축이 바퀴의 중심에 용이하게 정렬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바퀴에 별도의 바퀴 고정을 위한 어댑터나 암나사를 구성하지 않고서도 바퀴의 고정을 가능하도록 하고, 제작 방법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driving wheel axis of model car or driving robot}
본 발명은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다양한 바퀴축을 바퀴 중심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형자동차는 실물이나 가상의 자동차를 모형으로 구현하거나, 임의의 형태로 구현한 모형으로서, 대개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이때, 모형자동차는 리모트 콘트롤인 원격 조정기의 조작 또는 주변 환경을 인식하여, 원격 제어 또는 자율 제어에 의해 구동 및 조향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모형자동차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68348호의 "모형자동차"가 있는데, 이는 자동차몸체의 전후방 회전축에 전/후방바퀴가 결합되는 모형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바퀴는 자성체인 구조물 표면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각 림의 외면에 링형의 영구자석이 고정 결합된다. 또한 종래 기술은 전/후방의 바퀴가 전/후방의 회전축, 즉 바퀴축에 억지 끼움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바퀴가 바퀴축에 단순하게 끼워짐으로써 바퀴축으로 쉽게 분리되고, 바퀴가 동일한 직경 및 단면 형상을 가진 바퀴축에만 고정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바퀴가 바퀴축으로 쉽게 빠지지 않기 위하여, 바퀴와 바퀴축을 볼트로 체결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역시 바퀴가 동일한 직경 및 단면 형상을 가진 바퀴축에만 적용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게 된다. 특히 볼트의 체결을 위하여 바퀴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볼트를 바퀴의 한 쪽에서 조여 고정하는 경우, 다양한 직경의 바퀴축 적용이 불가능하고, 바퀴 측의 고정홀과 바퀴축의 직경이 상이할 경우, 바퀴의 중심과 바퀴축의 중심이 편심되게 조립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바퀴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로봇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일한 바퀴에 다양한 직경을 가진 바퀴축을 적용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바퀴축이 바퀴의 중심에 용이하게 정렬되도록 고정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모형자동차나 주행로봇의 바퀴축에 바퀴를 고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회전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퀴축이 삽입되는 축삽입부; 상기 축삽입부의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스페이서삽입부; 상기 스페이서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축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바퀴축이 지지되어 상기 바퀴의 중심에 일치하는 중심을 가지도록 가이드되는 축정렬스페이서; 상기 축삽입부에서 상기 스페이서삽입부의 반대측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볼트삽입부; 상기 볼트삽입부에 걸림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너트삽입부; 상기 너트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이 억제되는 축고정너트; 및 상기 볼트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축고정너트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축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바퀴축이 상기 축정렬스페이서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축고정볼트를 포함하는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스페이서삽입부는 상기 축삽입부의 측부를 감싸도록 상기 바퀴와 동심을 이루는 원의 일부를 이루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정렬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삽입부의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삽입부 및 상기 축정렬스페이서는 반원에 해당하는 원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너트삽입부는 상기 볼트삽입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축삽입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삽입부는 상기 볼트삽입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축삽입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에 의하면, 동일한 바퀴를 다양한 직경을 가진 바퀴축에 적용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바퀴축이 바퀴의 중심에 용이하게 정렬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바퀴에 별도의 바퀴 고정을 위한 어댑터나 암나사를 구성하지 않고서도 바퀴의 고정을 가능하도록 하고, 제작 방법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100)는 모형자동차나 주행로봇의 바퀴축(20)에 바퀴(10)를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축삽입부(110), 스페이서삽입부(120), 축정렬스페이서(130), 볼트삽입부(140), 너트삽입부(150), 축고정너트(160) 및 축고정볼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퀴(10)는 일례로 휠(11)과, 휠(11)에 장착되는 테두리부(12)가 서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테두리부(12)의 경우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퀴(10)는 다른 예로서 휠(11)과 테두리부(12)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모형자동차나 주행로봇은 리모트 콘트롤인 원격 조정기의 조작 또는 주변 환경을 인식하여, 원격 제어 또는 자율 제어에 의해 구동 및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축삽입부(110)는 바퀴(1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바퀴(10)의 회전중심부에 형성되고, 바퀴축(20)이 삽입되도록 홈 또는 홀 형태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축삽입부(110)뿐만 아니라, 스페이서삽입부(120), 볼트삽입부(140) 및 너트삽입부(15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바퀴(10)에서 휠(11)에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삽입부(120)는 축삽입부(110)의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스페이서삽입부(120)는 바퀴(10)의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축정렬스페이서(130)의 삽입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스페이서삽입부(120)는 축삽입부(110)의 측부를 감싸도록 바퀴(10)와 동심을 이루는 원의 일부를 이루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반원에 해당하는 원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반원은 기하하적으로 원의 반에 정확하게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원의 반에 유사하다고 판단될 정도의 테두리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축정렬스페이서(13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비롯하여, 바퀴축(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페이서삽입부(120)에 삽입되고, 축삽입부(110)에 삽입된 바퀴축(20)이 지지되어 바퀴(10)의 중심에 일치하는 중심을 가지도록 가이드된다. 또한 축정렬스페이서(130)는 스페이서삽입부(120)의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 반원에 해당하는 원주 형태를 가짐으로써 바퀴축(20)을 축고정볼트(170)와 함께 여러 방향에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축정렬스페이서(130)는 스페이서삽입부(120)에 여유롭게 삽입되기 위하여, 스페이서삽입부(12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볼트삽입부(140)는 축삽입부(110)에서 스페이서삽입부(120)의 반대측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축고정볼트(170)가 여유롭게 삽입되기 위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너트삽입부(150)는 볼트삽입부(140)에 걸림턱(151)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너트삽입부(150)는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볼트삽입부(14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형성되되, 축삽입부(110)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축고정너트(160)가 너트삽입부(150)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은 물론 내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너트삽입부(150) 내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축고정너트(160)는 너트삽입부(150)에 삽입되어 걸림턱(151)에 걸림으로써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이 억제된다.
축고정볼트(170)는 볼트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축고정너트(160)에 나사 체결되고, 축삽입부(110)에 삽입된 바퀴축(20)이 축정렬스페이서(130)에 밀착되어 바퀴(10)의 중심에 자신의 중심이 정렬되도록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200)는 바퀴(10)의 회전중심부에 형성되고, 바퀴축(20)이 삽입되는 축삽입부(210)와, 축삽입부(210)의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스페이서삽입부(220)와, 스페이서삽입부(220)에 삽입되고, 축삽입부(210)에 삽입된 바퀴축(20)이 지지되어 바퀴(10)의 중심에 일치하는 중심을 가지도록 가이드되는 축정렬스페이서(230)와, 축삽입부(210)에서 스페이서삽입부(220)의 반대측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볼트삽입부(240)와, 볼트삽입부(240)에 걸림턱(251)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너트삽입부(250)와, 너트삽입부(250)에 삽입되어 걸림턱(251)에 걸림으로써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이 억제되는 축고정너트(260)와, 볼트삽입부(240)에 삽입되어 축고정너트(260)에 나사 체결되고, 축삽입부(210)에 삽입된 바퀴축(20)이 축정렬스페이서(230)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축고정볼트(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100)에서 동일 명칭으로 설명하였으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너트삽입부(250)는 볼트삽입부(24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형성되되, 축삽입부(210)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축고정너트(260)가 너트삽입부(250)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여, 축고정너트(260)에 축고정볼트(270)가 쉽게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바퀴(10)에 형성된 축삽입부(110,210)에 바퀴축(20) 끝단을 삽입한 다음, 스페이서삽입부(120,220)에 축정렬스페이서(130,230)를 장착하여 바퀴축(20)의 측부가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축고정볼트(170,270)를 볼트삽입부(140,240)에 삽입하여 너트삽입부(150,250)에 삽입된 축고정너트(160,260)에 나사 체결하여, 축고정볼트(170,270)의 조임에 의해 바퀴축(20)을 가압함으로써, 바퀴축(20)이 축정렬스페이서(130,230)에 의해 바퀴(10)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가지도록 정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축정렬스페이서의 교체 적용만으로 동일한 바퀴를 다양한 직경을 가진 바퀴축에 적용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바퀴축이 바퀴의 중심에 용이하게 정렬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바퀴를 표준의 축고정너트와 축고정볼트에 의해 다양한 직경의 바퀴축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바퀴에 별도의 바퀴 고정을 위한 어댑터나 암나사를 구성하지 않고서도 바퀴의 고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표준 부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작 방법을 간단하게 구성함으로써 제작 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바퀴 11 : 휠
12 : 테두리부 20 : 바퀴축
110,210 : 축삽입부 120,220 : 스페이서삽입부
130,230 : 축정렬스페이서 140,240 : 볼트삽입부
150,250 : 너트삽입부 151,251 : 걸림턱
160,260 : 축고정너트 170,270 : 축고정볼트

Claims (5)

  1. 모형자동차나 주행로봇의 바퀴축에 바퀴를 고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회전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퀴축이 삽입되는 축삽입부;
    상기 축삽입부의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스페이서삽입부;
    상기 스페이서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축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바퀴축이 지지되어 상기 바퀴의 중심에 일치하는 중심을 가지도록 가이드되는 축정렬스페이서;
    상기 축삽입부에서 상기 스페이서삽입부의 반대측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볼트삽입부;
    상기 볼트삽입부에 걸림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너트삽입부;
    상기 너트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이 억제되는 축고정너트; 및
    상기 볼트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축고정너트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축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바퀴축이 상기 축정렬스페이서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축고정볼트를 포함하는,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삽입부는,
    상기 축삽입부의 측부를 감싸도록 상기 바퀴와 동심을 이루는 원의 일부를 이루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정렬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삽입부의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삽입부 및 상기 축정렬스페이서는,
    반원에 해당하는 원주 형태를 가지는,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삽입부는,
    상기 볼트삽입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축삽입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삽입부는,
    상기 볼트삽입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축삽입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
KR1020140005157A 2014-01-15 2014-01-15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 KR101369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57A KR101369895B1 (ko) 2014-01-15 2014-01-15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
PCT/KR2015/000388 WO2015108335A1 (ko) 2014-01-15 2015-01-14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57A KR101369895B1 (ko) 2014-01-15 2014-01-15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895B1 true KR101369895B1 (ko) 2014-03-04

Family

ID=5064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157A KR101369895B1 (ko) 2014-01-15 2014-01-15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9895B1 (ko)
WO (1) WO20151083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589A (ko) * 2019-07-12 2021-01-20 박근호 스윙암 고정행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176Y1 (ko) 2002-01-05 2002-05-06 정윤산 의자의 캐스터
KR20080066297A (ko) * 2007-01-11 2008-07-16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용 캐스터
KR100865732B1 (ko) 2008-07-04 2008-10-28 엄옥순 캐스터
JP2010184567A (ja) 2009-02-12 2010-08-26 Ishiguro Seisakusho:Kk リフトロック式双輪キャス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176Y1 (ko) 2002-01-05 2002-05-06 정윤산 의자의 캐스터
KR20080066297A (ko) * 2007-01-11 2008-07-16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용 캐스터
KR100865732B1 (ko) 2008-07-04 2008-10-28 엄옥순 캐스터
JP2010184567A (ja) 2009-02-12 2010-08-26 Ishiguro Seisakusho:Kk リフトロック式双輪キャスタ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589A (ko) * 2019-07-12 2021-01-20 박근호 스윙암 고정행거
WO2021010643A1 (ko) * 2019-07-12 2021-01-21 박근호 스윙암 고정행거
KR102369073B1 (ko) 2019-07-12 2022-03-02 박근호 스윙암 고정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8335A1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996B1 (ko) 메카넘휠
US9752647B2 (en) Additional weight for a wheel
US10279882B2 (en) Member to control the direction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nautical vehicle
CN103619531A (zh) 多轴临时紧固工具
CN104097169B (zh) 一种装卸轮胎用扳手
US20160039518A1 (en) Method for rotationally driving an aircraft wheel
KR101369895B1 (ko) 모형자동차 또는 주행로봇의 바퀴축 고정장치
KR101345845B1 (ko) 자동차의 허브베어링어셈블리 및 휠디스크 체결구조
JP2017013782A (ja) 自動車車軸における配置のためのゴム・固体支承部
CN103042883A (zh) 一种万向转动驱动轮系
US20130146231A1 (en) Accessory for tyre-changing machines, particularly for the locking of wheel rims for vehicles
US20190126680A1 (en) Wheel lug nut tool
JP2014218151A (ja) ホイール取付構造
CN204606118U (zh) 快拆式自行车、电动自行车脚踏板
KR20140115793A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CN104703872A (zh) 轴安装组件及具有轴安装组件的儿童产品
CN105313678A (zh) 安装在驾驶室上的排气管解偶器
CN206012816U (zh) 轮毂电机与踏板的连接装置
CN203450203U (zh) 转向节转轴配合结构
CN209223937U (zh) 一种新型扳手
KR20130068066A (ko) 차량용 휠볼트 조립공구 세트
KR101496575B1 (ko) 차량용 드라이브 샤프트 결합장치
KR20120002339A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용 체결유닛
US20170203222A1 (en) Rotating device module for a toy
RU2653976C1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ивода велосипе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