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858B1 -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858B1
KR101368858B1 KR1020120106430A KR20120106430A KR101368858B1 KR 101368858 B1 KR101368858 B1 KR 101368858B1 KR 1020120106430 A KR1020120106430 A KR 1020120106430A KR 20120106430 A KR20120106430 A KR 20120106430A KR 101368858 B1 KR101368858 B1 KR 101368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docking station
unit
portable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환
이상영
서명원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분투
세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분투, 세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분투
Priority to KR1020120106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08Network interface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52Converter between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PC)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1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커넥터; 상기 휴대단말 또는 도킹스테이션 장치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검증하는 충전 검증부; 상기 휴대단말 또는 도킹스테이션 장치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LED 출력부; 상기 도킹스테이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USB 키보드와 마우스의 입력 데이터를 블루투스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블루투스 변환부; 및 상기 블루투스 변환부에 의해 블루투스 데이터로 변환된 USB 키보드와 마우스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의 블루투스 입력부로 출력시키는 블루투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블루투스 키보드와 마우스 대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USB 키보드와 마우스를 스마트폰 기반의 입력 장치로 변환시켜주고 스마트폰의 작은 LCD 화면 대신 일반 모니터를 스마트폰 기반의 출력 장치로 변환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용 운영체제(OS)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일반 PC 용 운영체제(OS)가 스마트폰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을 일반 개인용 컴퓨터(PC)처럼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스마트폰에 2개 이상의 운영체제(OS)의 설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Docking s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PC)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가의 키보드와 마우스가 아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USB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PC)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폰과 연결된 도킹스테이션 장치에, 모니터를 연결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스마트폰의 화면(디스플레이부)보다 큰 크기의 상기 모니터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단순하게 스마트폰의 화면에 보이는 영상을 그대로 모니터에 출력하는 미러링(mirroring) 방식이 아니라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PC)로 변환시켜주기 위해 스마트폰의 운영체제(OS)를 범용 컴퓨터의 운영체제로 전환시켜 전환된 범용 컴퓨터 화면을 모니터에 출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은 그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도킹 스테이션(dock station)을 갖는다. 이럴 경우 도킹 스테이션은 휴대단말에 탑재되기 어려운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킹 스테이션은 블루투스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고 있어, 소비자의 비용부담과 구매선택권에 제한을 가져다 주었다. 또한, 종래의 도킹 스테이션에서는 스마트폰의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그대로 대상 모니터에 보여주는 방식(1:1 미러링)을 사용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눈의 피로와 화면인식에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해당 스마트폰에서는 정해진 하나의 스마트폰용 운영체제만 사용하기 때문에 타 범용 컴퓨터(PC) 전용 운영체제에 익숙한 사용자는 사용시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용 앱(응용소프트웨어)으로는 범용 컴퓨터(PC)에서 작업하던 일반 업무를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본 도킹시스템은 범용 컴퓨터(PC) 전용 운영체제(OS)로 전환하여 다중적으로 운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평소 익숙한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로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도킹 스테이션(dock station) 장치는 날이 갈수록 고 성능화되어가는 스마트폰의 유휴 자원을 활용하여 기업에서는 사원들의 범용 컴퓨터(PC) 공급에 따른 총소유 비용(TCO, Total Cost of Ownership)을 줄이고, 가정에서는 1가구 다(多) 컴퓨터 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범용 컴퓨터(PC) 본체로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킹 스테이션 장치는 블루투스 키보드와 마우스 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USB키보드와 마우스를 스마트폰 기반의 입력 장치로 변환시켜주고 스마트폰의 작은 LCD 화면 대신 일반 모니터를 스마트폰 기반의 출력 장치로 변환시켜 범용 컴퓨터(PC)의 모든 기능들을 스마트폰을 통해 구현 가능하도록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킹 스테이션 장치는 스마트폰 운영체제(OS) 대신 일반 범용 컴퓨터(PC)용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PC)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1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커넥터; 상기 휴대단말 또는 도킹스테이션 장치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검증하는 충전 검증부; 상기 휴대단말 또는 도킹스테이션 장치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LED 출력부; 상기 도킹스테이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USB 키보드와 마우스의 입력 데이터를 블루투스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블루투스 변환부; 및 상기 블루투스 변환부에 의해 블루투스 데이터로 변환된 USB 키보드와 마우스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의 블루투스 입력부로 출력시키는 블루투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PC)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는 무선랜이 지원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상기 도킹스테이션 장치가 사용가능하도록, 유선랜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무선랜 규격으로 변환시키는 무선랜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무선랜 규격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의 무선랜 입력부로 출력시키는 무선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PC)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는 상기 휴대단말으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다른 규격의 외부모니터에 출력시키기 위하여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모니터로 출력시키는 화면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PC)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는 상기 휴대단말이 다양한 범용 컴퓨터(PC)용 운영체제(OS)로 구동 및 실행되도록 상기 운영체제를 스마트폰 내부에 포함된 저장장치(메모리) 외 별도의 저장장치(메모리)에 저장하는 운영체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PC)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는 범용 컴퓨터(PC)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휴대단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클라우드(Cloud) 서비스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PC)용으로 사용하다가 상기 휴대단말의 본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휴대단말에서 상기 도킹스테이션 장치를 제거했다가 다시 연결시켰을 때, 상기 휴대단말에서 상기 도킹스테이션 장치를 제거하기 이전에 작업했던 내용들이 자동적으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블루투스 키보드와 마우스 대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USB 키보드와 마우스를 스마트폰 기반의 입력 장치로 변환시켜주고 스마트폰의 작은 LCD 화면 대신 일반 모니터를 스마트폰 기반의 출력 장치로 변환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최대화된다.
둘째, 스마트폰 용 운영체제(OS)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범용 컴퓨터(PC) 용 운영체제(OS)가 스마트폰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을 일반 개인용 컴퓨터(PC)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셋째, 하나의 스마트폰에 2개 이상의 운영체제(OS)의 설치가 가능하다.
넷째, 스마트폰을 일반 범용 컴퓨터(PC) 용으로 사용하다가 통화 등의 목적을 위해 스마트폰을 본 발명품에서 제거했다가 다시 연결하게 되면 그 이전에 작업했던 내용들이 자동적으로 복원되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킹스테이션 장치가 휴대단말에 연결된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도킹스테이션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도킹스테이션 장치 및 휴대단말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도 1의 도킹스테이션 장치 및 휴대단말의 소프트웨어 블록 다이어그램.
도 5는 도 1의 도킹스테이션 장치의 작동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킹스테이션 장치가 휴대단말에 연결된 상태의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도킹스테이션 장치 및 휴대단말의 상세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킹스테이션 장치(100)가 휴대단말(200)에 연결된 상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킹스테이션 장치(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도킹스테이션 장치(100) 및 휴대단말(2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먼저, 휴대단말(스마트폰 등)(200)의 구조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제1커넥터(210), 충전부(220), 화면 출력부(230), 블루투스 입력부(240) 및 무선랜 입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커넥터(210)는 휴대단말(200)을 도킹스테이션 장치(1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충전부(220)는 휴대단말(200) 내부에 있는 배터리를 충전한다.
화면 출력부(230)는 스마트폰의 영상 데이터를 MHL 비디오 화면 규격으로 출력하기 위한 부분으로, 일례로서, 스마트폰의 TV Out 부분에 해당한다.
블루투스 입력부(240)는 본 발명의 도킹스테이션 장치(100)로부터 블루투스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무선랜 입력부(250)는 본 발명의 도킹스테이션 장치(100)로부터 무선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킹스테이션 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200)과 연결되어, 스마트폰에서 적용되지 않는 범용 컴퓨터(PC)의 기능(다양한 운영체제 가능, 다양한 형태의 입출력장치와의 호환 등)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커넥터(110), 충전 검증부(121), LED 출력부(122), 전원 공급부(123), 블루투스 변환부(133), 블루투스 출력부(134), 무선랜 변환부(142), 무선랜 출력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커넥터(110)는 휴대단말(200)의 제1커넥터(210)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로써 본원의 도킹스테이션 장치(100)와 휴대단말(200)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충전 검증부(121)는 휴대단말(200)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검증한다.
LED 출력부(122)는 휴대단말(200)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한다. 또한, LED 출력부(122)는 도킹스테이션 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도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원 공급부(123)는 도킹스테이션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은 도킹스테이션 장치(100)와 연결된 스마트폰으로도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키보드와 마우스가 아닌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USB 키보드(310)와 마우스(32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변환부(133) 및 블루투스 출력부(134)가 구성된다.
블루투스 변환부(133)는 USB 키보드(310)와 마우스(320)의 출력 데이터가 키보드 입력부(131) 및 마우스 입력부(132)를 통해 입력되는데, 이 입력된 신호를 각각 블루투스 데이터로 변환한다.
블루투스 출력부(134)는 블루투스 변환부(133)에 의해 블루투스 데이터로 각각 변환된 USB 키보드(310)와 마우스(320)의 입력 데이터를 휴대단말(200)의 블루투스 입력부(240)로 내보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키보드(310)와 마우스(320)의 동시 입력 처리를, 펌웨어(Firmware) 레벨에서 처리하기 위한 USB 멀티 태스킹 입력 소프트웨어를 구현한다.
또한, 무선랜이 지원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본 발명의 도킹스테이션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무선랜 변환부(142) 및 무선랜 출력부(143)가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무선랜 변환부(142)는 외부장치로부터 유선랜(340)을 통해 유선랜 입력부(141)로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는데, 이 입력 데이터를 무선랜 규격으로 변환한다.
무선랜 출력부(143)는 상기 변환된 무선랜 규격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200)의 무선랜 입력부(250)로 내보낸다.
본 발명의 도킹스테이션 장치(100)는 충전 검증부(121), LED 출력부(122), 블루투스 변환부(133), 블루투스 출력부(134), 무선랜 변환부(142) 및 무선랜 출력부(143)를 총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미도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도킹스테이션 장치(100) 및 휴대단말(200)의 소프트웨어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킹스테이션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이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킹스테이션 장치(100)의 메모리부에는 USB 키보드(310)와 USB 마우스(320)로부터 신호들을 입력 받기 위한 소프트웨어(Firmware)(401)와, 상기 입력받은 USB 키보드(310)와 USB 마우스(320)의 출력 신호들을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소프트웨어(402)와, 상기 변환된 블루투스 신호를 입력받아 블루투스 출력부(134)를 통해 스마트폰(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입력부(240))으로 전송하기 위한 소프트웨어(403)와, 블루투스 변환부(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시리얼 통신으로 동작하는 블루투스 모듈 내에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시리얼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404)와, 상기 시리얼 통신 기반으로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405)와, 스마트폰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배터리 충전에 들어가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406)와,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측정하여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407)와, 시스템 전원 인가와 스마트폰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LED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입출력 디바이스 제어 소프트웨어(408)와, 시스템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와 스마트폰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를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한 LED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409)가 저장된다.
도 5는 도 1의 도킹스테이션 장치(100)의 작동 순서도로서, USB 키보드(310) 및 마우스(32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블루투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폰으로 내보내는 과정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도킹스테이션 장치(100)와 스마트폰간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S501)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시리얼 통신 디바이스를 먼저 초기화한다.(S502)
이후, USB 키보드(310)와 마우스(320)로부터 신호(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USB 디바이스를 초기화한다.(S503)
이후, 스마트폰으로 블루투스 신호(데이터)를 전송시킬 수 있도록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초기화한다.(S504)
이후, USB 키보드(310)와 마우스(320)로부터 신호(데이터)들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USB 디바이스를 제어한다.(S505)
이후, USB 키보드(310) 혹은 USB 마우스(320)로부터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S506) 만약 상기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블루투스 신호(데이터)로 변환시키고(S507), 상기 신호(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면 계속 대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USB 키보드(310) 혹은 USB 마우스(320)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되면, 이 변환된 블루투스 신호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블루투스 출력부(134) 포함)를 거쳐 스마트폰으로 전송된다.(S508)(S509)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킹스테이션 장치(100)가 휴대단말(200)에 연결된 상태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도킹스테이션 장치(100) 및 휴대단말(2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 내지 도 3에 비하여 스마트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외부 모니터(330)로 출력시키기 위한 수단이 더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상기 수단은, 휴대단말(200)으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다른 규격의 외부모니터(330)에 출력시키기 위하여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데이터 변환부(124)와, 이 데이터 변환부(124)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외부 모니터(330)로 출력시키는 화면 출력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서 출력되거나 출력될 영상을 외부 모니터(330)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화면보다 큰 외부 모니터(330) 화면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으므로 눈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킹스테이션 장치(100)에는 운영체제 저장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 운영체제 저장부에는 범용 컴퓨터(PC) 전용 운영체제가 저장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해당 스마트폰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의 운영체제를 설치 및 제거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를 최대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200)의 한정된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클라우드(Cloud) 서비스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된다. 이로써, 스마트폰에 저장된 데이터를 어디에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200)을 범용 컴퓨터(PC)용으로 사용하다가 휴대단말(200)의 원래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휴대단말(200)에서 도킹스테이션 장치(100)를 제거했다가 다시 연결시켰을 때, 휴대단말(200)에서 도킹스테이션 장치(100)를 제거하기 이전에 작업했던 내용들이 자동적으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 수행이 가능하다.
1. 스마트폰을 일반 개인용 컴퓨터(PC)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폰 용 운영체제(OS)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일반 PC 용 운영체제(OS)가 스마트폰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 하나의 스마트폰에 2개 이상의 운영체제(OS)의 설치가 가능하다.
3. 스마트폰을 일반 PC 용으로 사용하다가 통화 등의 목적을 위해 스마트폰을 본 발명품에서 제거했다가 다시 연결하게 되면 그 이전에 작업했던 내용들이 자동적으로 복원되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도킹스테이션 장치
110: 제2커넥터
121: 충전 검증부
122: LED 출력부
123: 전원 공급부
124: 데이터 변환부
125: 화면 출력부
131: 키보드 입력부
132: 마우스 입력부
133: 블루투스 변환부
134: 블루투스 출력부
141: 유선랜 입력부
142: 무선랜 변환부
143: 무선랜 출력부
200: 휴대단말
210: 제1커넥터
220: 충전부
230: 화면 출력부
240: 블루투스 입력부
250: 무선랜 입력부
310: USB 키보드
320: USB 마우스
330: 외부 모니터
340: 유선랜

Claims (6)

  1.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PC)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1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휴대단말 또는 도킹스테이션 장치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검증하는 충전 검증부와, 상기 휴대단말 또는 도킹스테이션 장치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LED 출력부와, 상기 도킹스테이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USB 키보드와 마우스의 입력 데이터를 블루투스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블루투스 변환부와, 상기 블루투스 변환부에 의해 블루투스 데이터로 변환된 USB 키보드와 마우스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의 블루투스 입력부로 출력시키는 블루투스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다른 규격의 외부 모니터에 출력시키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모니터로 출력시키는 화면 출력부와, 상기 휴대단말이 다양한 범용 컴퓨터(PC)용 운영체제(OS)로 구동 및 실행되도록 상기 운영체제를 저장하는 운영체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무선랜이 지원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상기 도킹스테이션 장치가 사용가능하도록, 유선랜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무선랜 규격으로 변환시키는 무선랜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무선랜 규격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의 무선랜 입력부로 출력시키는 무선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한정된 자원을 극복하기 위하여 클라우드(Cloud) 서비스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PC)용으로 사용하다가 상기 휴대단말의 원래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휴대단말에서 상기 도킹스테이션 장치를 제거했다가 다시 연결시켰을 때, 상기 휴대단말에서 상기 도킹스테이션 장치를 제거하기 이전에 작업했던 내용들이 자동적으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
KR1020120106430A 2012-09-25 2012-09-25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 KR101368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430A KR101368858B1 (ko) 2012-09-25 2012-09-25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430A KR101368858B1 (ko) 2012-09-25 2012-09-25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858B1 true KR101368858B1 (ko) 2014-02-27

Family

ID=5027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430A KR101368858B1 (ko) 2012-09-25 2012-09-25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193A (ko) * 2018-01-12 2019-07-22 둘툰 주식회사 미니 피씨와 usb 메모리 기능이 구현된 모듈형 착탈식 공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273A (ko) * 2002-07-09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20070076181A (ko) * 2006-01-18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확장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37498A (ko) * 2008-10-01 2010-04-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휴대용 컴퓨터 및 휴대용 컴퓨터의 도킹 스테이션
KR20110003076U (ko) * 2011-03-08 2011-03-24 송훈호 도킹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273A (ko) * 2002-07-09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20070076181A (ko) * 2006-01-18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확장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37498A (ko) * 2008-10-01 2010-04-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휴대용 컴퓨터 및 휴대용 컴퓨터의 도킹 스테이션
KR20110003076U (ko) * 2011-03-08 2011-03-24 송훈호 도킹스테이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193A (ko) * 2018-01-12 2019-07-22 둘툰 주식회사 미니 피씨와 usb 메모리 기능이 구현된 모듈형 착탈식 공유장치
KR102075129B1 (ko) 2018-01-12 2020-02-10 둘툰(주) 미니 피씨와 usb 메모리 기능이 구현된 모듈형 착탈식 공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82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 having battery
TWI609543B (zh) 集線器
EP2993756B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charging by electronic device
KR102193181B1 (ko) 전력 공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20100109602A1 (en) Charg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199837B2 (en) Method for charging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EP3123590B1 (en) Method for charging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US9942697B2 (en) Wireless data input and output method and apparatus
KR20160140275A (ko) 동적 전원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9055543B2 (en) Reduced power wireless wake on connection
CN103581598A (zh) 一种互联互通、多屏互动的设备、系统及实现方法
WO2018103021A1 (zh) 无线充放电的方法和无线充放电设备
KR20140117919A (ko) 스마트폰 도킹 장치
CN109254210B (zh) 电子设备端口类型检测方法、装置、检测电路及电子设备
KR20110003076U (ko) 도킹스테이션
US20180019614A1 (en) Solar Home System for All Household Services
US20120089763A1 (en) Computer and usb interface module thereof
KR101368858B1 (ko) 휴대단말을 범용 컴퓨터로 변환시키는 도킹스테이션 장치
CN103138343A (zh) 移动设备及其充电的方法
US11758598B1 (en) Automated multi-client and multi-mode wireless device pairing and connection methods and systems
KR102467174B1 (ko) Usb 타입의 충전 장치 및 상기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CN102855112A (zh) 用于屏幕控制的装置
KR101484045B1 (ko)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TW201539195A (zh) 用於資料儲存的系統及智慧型usb裝置
CN103812146A (zh) 移动设备及其充电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